KR101836329B1 - 지붕설치용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지붕설치용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329B1
KR101836329B1 KR1020150152186A KR20150152186A KR101836329B1 KR 101836329 B1 KR101836329 B1 KR 101836329B1 KR 1020150152186 A KR1020150152186 A KR 1020150152186A KR 20150152186 A KR20150152186 A KR 20150152186A KR 101836329 B1 KR101836329 B1 KR 101836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lower housing
plate
housing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2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0533A (ko
Inventor
이종민
Original Assignee
이종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민 filed Critical 이종민
Priority to KR1020150152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329B1/ko
Publication of KR20170050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지붕설치용 환기장치는, 양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측면에는 배출구가 하나 이상 형성된 하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며, 중심축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일정한 각을 이루며 원주방향으로 경사진 복수 개의 빗물유도판 및 빗물유도판의 하측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절곡 형성된 빗물차단판을 포함하는 빗물유도체와, 복수 개의 빗물유도판을 따라 흘러내린 빗물을 받아 배출구로 배출시키도록 하부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는 빗물받이 및 하부하우징과 연통되도록 하부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하우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붕설치용 환기장치에 의하면, 빗물이 빗물유도체의 빗물유도판을 따라 배출구로 배출됨으로써, 빗물이 배기라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빗물유도체와 상부하우징의 경사부에 의해 공기가 강하게 회전하면서 저항 없이 상측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배기성능이 향상되는 효가가 있다.

Description

지붕설치용 환기장치{Ventilator}
본 발명은 지붕설치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지붕이나 외벽에는 건물의 배기라인과 연결되는 환기장치가 설치되어 배기라인을 통하여 올라온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환기장치는 중심이 개구되어 테두리가 경사지도록 형성된 기류안내판이 지지대에 의하여 상,하 이격되게 다단으로 적층되고, 그 최상단에는 기류차단판이 장착되어 환기장치의 측방향으로 이격공간을 통하여 공기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환기장치는 중간기류안내판의 개구부에 빗물 등을 차단하기 위한 어떠한 수단도 구비되지 않아 폭우시 빗물이 바람에 의해 기류안내판의 경사면을 따라 환기장치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배기라인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감안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0091432호(명칭:벤틸레이터)에는 건물의 굴뚝이나 지붕의 환기구 등에 결합되는 통형상의 받침부와, 이 받침부 상부에 스페이서에 의해 이격 설치되며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중간 기류안내판과, 이 중간 기류안내판의 상부에 스페이서에 의해 이격 설치되며 둘레부에는 공기유도부가 형성된 상단 기류안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간 기류안내판의 개구부 둘레에는 상기 스페이서가 거치되는 수평면부가 형성되고, 이 수평면부의 둘레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공기유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틸레이터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 또한, 부품의 수가 증가하여 부품 가공성 및 부품 수급에 많은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가 무겁고, 많은 양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배기성능을 향상시키면서 빗물이 내부 배기라인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환기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0091432호(2003.12.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배기라인 상의 공기가 원할하게 배출되게 유도하여 배기성능을 높이고, 또한 빗물이 배기라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지붕설치용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붕설치용 환기장치는, 양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하부 측면에는 배출구가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중심축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일정한 각을 이루며 원주방향으로 경사진 복수 개의 빗물유도판 및 상기 빗물유도판의 하측 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빗물차단판을 포함하는 빗물유도체; 상기 빗물유도판을 따라 흘러내린 빗물을 받아 상기 배출구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배출구에 대응대는 위치인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빗물받이; 상기 하부하우징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의 하단에 결합하여 공기를 강제 배출시키는 배기팬;을 포함한다.
상기 빗물받이는, 상기 배출구와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일정 폭을 갖는 링 형상의 하판; 및, 상기 하판의 내측 단부로부터 상향 절곡되며 일정 높이를 갖는 측판;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하우징의 외측면에는 상기 배출구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하우징의 외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덮개판이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하부하우징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하부하우징의 상단과 결합하는 제1배기관; 상기 제1배기관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동일한 직경을 갖는 제2배기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붕설치용 환기장치에 의하면, 빗물이 빗물유도체의 빗물유도판을 따라 배출구로 배출됨으로써, 빗물이 배기라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빗물유도체와 상부하우징의 경사부에 의해 공기가 강하게 회전하면서 저항 없이 상측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배기성능이 향상되는 효가가 있다.
또한, 배출구를 덮도록 하부하우징 외측면에 덮개판이 설치됨으로써, 외부로부터 배출구를 통해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붕설치용 환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붕설치용 환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붕설치용 환기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붕설치용 환기장치가 지붕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붕설치용 환기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붕설치용 환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붕설치용 환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붕설치용 환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붕설치용 환기장치는 하부하우징(110), 빗물유도체(120) 상부하우징(150) 및 배기팬(160)을 포함한다.
하부하우징(110)은 양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개구된 양단부에는 외측으로 직각 절곡된 플랜지(116, 118)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하부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빗물이 배기라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빗물이 빗물받이(130)로 흘러내리도록 유도하는 빗물유도체(120)가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된다.
빗물유도체(120)는 중심축부(122)로부터 방사상으로 일정한 각을 이루며 원주방향으로 경사진 복수 개의 빗물유도판(124)과, 경사진 빗물유도판(124)의 하측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곡 형성된 빗물차단판(126)으로 이루어진다. 빗물유도체의 끝단 즉 빗물유도판(124)의 단부와 빗물차단판(126)의 단부는 하부하우징(110)의 내주면에 결합된다.
중심축부(122)로부터 방사상으로 일정한 각을 이루며 원주방향으로 경사진 복수 개의 빗물유도판(124)은 상부에서 봤을 때 서로 겹쳐지도록 원주방향 일정간격 이격되어 중심축부(122)에 결합된다.
빗물차단판(126)은 빗물유도판(124)의 하측 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데, 따라서 빗물유도판(124)을 따라 흘러내린 빗물은 빗물차단판(126)에 의해 막혀 하단으로 흘러가므로 배기라인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빗물유도체(120)는 하부하우징(11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빗물이 빗물받이(130)로 흘러내리도록 유도할 뿐만 아니라, 배기팬(16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강하게 회전하면서 저항 없이 상측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빗물받이(130)는 빗물유도체(120)의 하측에 배치되며, 빗물유도체(120)의 빗물유도판(124)을 따라 흘러내린 빗물을 받게 된다. 빗물받이(130)는 하부하우징(110)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일정 폭을 갖는 링 형상의 하판(132)과, 하판(132)의 내측 단부로부터 상향 절곡되며 일정 높이를 갖는 측판(134)으로 이루어지며, ;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빗물유도판(124)을 따라 흘러내린 빗물을 받게 된다.
이때, 하부하우징(110)의 측면에는 빗물받이(130)가 결합되는 위치와 대응되도록 배출구(114)가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되며, 빗물받이(130)에 고인 빗물이 배출구(1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더불어, 하부하우징(110)의 외측면에는 배출구(114)를 통해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부하우징(110)의 외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한 각을 이루며 하향 경사진 링형상의 덮개판(140)이 배출구(114)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배출구(114)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부하우징(110) 외측면에 덮개판(140)이 설치됨으로써, 외부로부터 배출구(114)를 통해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부하우징(150)은 하부하우징(110)과 연통되도록 하부하우징(110)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제1배기관(152)과, 제1배기관(152)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직경 좁아지는 경사부(154)와, 경사부(154)로부터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연장 형성된 제2배기관(156)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부하우징(150)의 하측 단부에는 외측으로 직각 절곡된 플랜지(158)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하우징(150)의 하측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58)와 하부하우징(110)의 상측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16)를 서로 맞대어 관통공(117, 159)에 볼트(B)를 관통시켜 너트(N)로 체결함으로써, 상부하우징(150)은 하부하우징(110)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상부하우징(150)의 제2배기관(156)은 제1배기관(15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되고, 경사부(154)는 공기가 강하게 회전하면서 저항 없이 상측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배기팬(160)은 팬하우징(162)에 설치된 모터(164)와, 모터(164)의 모터축(165)에 결합된 날개(166)로 이루어지며, 모터(164)에 전기를 공급하여 날개(166)를 회전시킴으로써 공기를 상측으로 강제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팬하우징(162)의 상측 단부에는 외측으로 직각 절곡된 플랜지(168)가 형성되며, 팬하우징(162)에 형성된 플랜지(168)와 하부하우징(110)의 하측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18)를 서로 맞대어 관통공(119, 169)에 볼트(B)를 관통시켜 너트(N)로 체결함으로써, 배기팬(160)이 하부하우징(110)에 결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붕설치용 환기장치가 지붕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설치용 환기장치가 지붕(10)에 설치된 상태에서 배기팬(160)의 모터(164)에 전기를 공급하여 날개(166)를 회전시키게 되면, 공기(A)가 강하게 회전하면서 저항 없이 상측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비(R)가 내리게 되면 빗물이 빗물유도체(120)의 빗물유도판(124)을 따라 이동하여 빗물받이(130)로 모여지고 배출구(1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빗물이 배기라인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붕설치용 환기장치에 의하면, 빗물유도체(120)와 상부하우징(150)의 경사부(154)에 의해 공기가 강하게 회전하면서 저항 없이 상측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배기성능이 향상되고, 또한 빗물이 빗물유도체(120)에 의해 배출구(114)로 배출됨으로써 빗물이 배기라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10 : 하부하우징 114 : 배출구
120 : 빗물유도체 122 : 중심축부
124 : 빗물유도판 126 : 빗물차단판
130 : 빗물받이 140 : 덮개판
150 : 상부하우징 152 : 제1배기관
154 : 경사부 156 : 제2배기관
160 : 배기팬

Claims (4)

  1. 양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 하부에는 배출구가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된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되 단부가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중심축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일정한 각을 이루며 원주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복수 개 설치되는 빗물유도판, 및 각각의 빗물유도판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빗물차단판을 포함하며 상기 서로 인접하는 빗물유도판은 상하 높이차를 갖도록 일부 영역이 겹쳐지도록 배치되는 빗물유도체;
    상기 빗물유도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빗물유도판을 따라 흘러내린 빗물을 받아 상기 배출구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배출구와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면에 결합된 일정 폭을 갖는 링 형상의 하판, 및 상기 하판의 내측 단부로부터 상향 절곡되어 일정 높이를 갖는 측판을 포함하는 빗물받이;
    상기 하부하우징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되, 상기 하부하우징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하부하우징의 상단과 결합하는 제1배기관; 상기 제1배기관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동일한 직경을 갖는 제2배기관;을 포함하는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의 하단에 결합하여 공기를 강제 배출시키는 배기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설치용 환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의 외측면에는 상기 배출구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하우징의 외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덮개판이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설치용 환기장치.
  4. 삭제
KR1020150152186A 2015-10-30 2015-10-30 지붕설치용 환기장치 KR101836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186A KR101836329B1 (ko) 2015-10-30 2015-10-30 지붕설치용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186A KR101836329B1 (ko) 2015-10-30 2015-10-30 지붕설치용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533A KR20170050533A (ko) 2017-05-11
KR101836329B1 true KR101836329B1 (ko) 2018-03-08

Family

ID=58741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2186A KR101836329B1 (ko) 2015-10-30 2015-10-30 지붕설치용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3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0568B2 (ja) * 1997-09-09 2000-10-16 エイ・アイ・エル株式会社 小面積伝送ゲートセル
KR200312669Y1 (ko) 1999-10-25 2003-05-14 이찬섭 빗물 배수장치가 설치된 옥상 환풍기
KR200388543Y1 (ko) 2005-04-19 2005-06-29 김기수 온실용 지붕 환풍기
KR101532628B1 (ko) * 2015-01-27 2015-07-01 (주)정방환경엔지니어링 집진기용 소음방지 배출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0568B2 (ja) * 1997-09-09 2000-10-16 エイ・アイ・エル株式会社 小面積伝送ゲートセル
KR200312669Y1 (ko) 1999-10-25 2003-05-14 이찬섭 빗물 배수장치가 설치된 옥상 환풍기
KR200388543Y1 (ko) 2005-04-19 2005-06-29 김기수 온실용 지붕 환풍기
KR101532628B1 (ko) * 2015-01-27 2015-07-01 (주)정방환경엔지니어링 집진기용 소음방지 배출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533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199B1 (ko) 조리 기기 및 배기 장치
KR100481068B1 (ko) 급배기 장치
CN102102676B (zh) 过滤器式风扇的风扇单元
EP2504580B1 (en) Centrifugal ceiling fan
US10018368B2 (en) Snow proof roof vent
US6802311B1 (en) Kitchen range hood motor housing and fan
KR101709278B1 (ko) 국소배기장치
KR101444338B1 (ko) 스왈러를 구비한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CN106415138B (zh) 空调
KR102146057B1 (ko) 국소배기장치
CN106403026B (zh) 空调柜机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US20210162327A1 (en) Directional airflow device and air cleaner with same
KR20180006641A (ko) 후드 및 조리기기
KR101606864B1 (ko) 스왈러와 가이드 부재를 구비한 국소배기장치
CN103148001A (zh) 双涵道风机
KR101836329B1 (ko) 지붕설치용 환기장치
KR100479390B1 (ko) 벤틸레이터
TWI571604B (zh) 氣流交換裝置及其阻隔件
KR20170059240A (ko) 국소배기장치
CN203257699U (zh) 双涵道风机
US1783406A (en) Ventilator
KR101954419B1 (ko) 직배기용 역풍방지 환기캡
US7074121B2 (en) Homogeneous vent cap
KR102669481B1 (ko) 필터교체가 용이한 디퓨저
US20170108234A1 (en) Ventilation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