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182B1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182B1
KR101836182B1 KR1020130166069A KR20130166069A KR101836182B1 KR 101836182 B1 KR101836182 B1 KR 101836182B1 KR 1020130166069 A KR1020130166069 A KR 1020130166069A KR 20130166069 A KR20130166069 A KR 20130166069A KR 101836182 B1 KR101836182 B1 KR 101836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signal transmission
seating part
film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60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77158A (en
Inventor
이재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6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182B1/en
Publication of KR20150077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71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1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표시영역 주변에 신호전달패드가 형성된 제 1기판; 상기 신호전달패드에 적어도 일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신호전달필름; 및 제 2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 2기판은 상기 제 2기판의 적어도 일면의 끝단영역에서 중앙영역과 단차지게 형성되거나, 상기 제 2기판의 적어도 일면의 끝단영역에서 측면홈 형태로 형성된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전달필름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안착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a first substrate having signal transmission pads formed around a display area; A signal transmission film having at least one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transmission pad; Wherein the second substrate is formed to have a stepped portion with respect to a central region in an end region of at least one side of the second substrate or a recess formed in a side groove shape in at least one end region of the second substrate, And at least a part of the signal transmitting film is located in the seating part.

Description

유기발광표시장치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인캡슐레이션 기판을 이용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an encapsulation substrate.

사회가 정보화 사회로 변화되면서, 최근 각광받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중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스스로 빛을 발광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활용하여 표시장치를 구현하는 기술이다.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나 플라즈마표시장치와 대비하여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 등이 큰 장점이 있다. As the society has changed into an information society,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among display apparatuses that have recently come into the spotlight are technologies for implementing display devices by utiliz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hat emit light by themselve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as a high response speed a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a plasma display device, and has advantages such as a light emitting efficiency, a luminance and a viewing angle.

이러한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유기발광다이오드가 포함된 화소를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하고 스캔신호에 의해 선택된 화소들의 밝기를 데이터의 계조에 따라 제어한다. 특히,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스스로 빛을 내는 자체 발광형이기 때문에 대조비(contrast ratio)가 크고, 초박형 디스플레이의 구현이 가능하며, 응답시간이 수 마이크로초(㎲) 정도로 동화상 구현이 쉽고, 시야각의 제한이 없으며 저온에서도 안정적이고, 낮은 전압으로 구동하므로 구동회로의 제작 및 설계가 용이하다. 또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 등에 비하여 액정을 주입하는 공정이 없고 유기물의 증착(deposition)을 통해서 디스플레이의 패널 부분이 제조되고 봉지층(encapsulation)을 통해 유기물을 수분과 산소로부터 보호하고 있다. Such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rranges pixels includ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in a matrix form and controls the brightness of pixels selected by a scan signal according to data gradation. In particular, sinc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a self-emitting type that emits light by itself, it has a large contrast ratio, can realize an ultra-thin display, can realize a moving image with a response time of several microseconds (μs) It is stable even at low temperature and driven by low voltage, so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design a driving circuit.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s no liquid crystal injection process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he panel part of the display is manufactured through the deposition of the organic material, It is protected from oxygen.

도 1a는 종래기술의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제 1기판(11) 및 제 2기판(22) 사이에 유기발광다이오드층(미도시)이 형성되어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빛을 발광하는 방식으로 이미지를 구현한다. 이때, 제 1기판(11) 상에는 신호 및/또는 전원 전달을 수행하는 신호전달패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신호전달패드에는 신호전달필름(33)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이때, 신호전달필름(33)의 타단은 제 2기판(22) 상부 영역에 오버랩되면서 위치하게 된다. 또한, 신호 및/또는 전원 전달을 위해서 신호전달필름(33)의 상부에는 드라이버 IC(DC)가 형성될 수 있다. 1A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genera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layer (not shown) formed between a first substrate 11 and a second substrate 22 to emit light in an upward or downward direction. At this time, signal transmission pads (not shown) for transmitting signals and / or power are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1. One end of the signal transfer film 33 is connected to the signal transfer pad and the other end of the signal transfer film 33 overlaps the upper region of the second substrate 22. In addition, a driver IC (DC) may be formed on the signal transfer film 33 for signal and / or power transfer.

도 1b를 참조하면, 도 1b는 1a의 A-A'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제 2기판(22) 상부에는 추가적으로 백커버(BC)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기판(22)과 백커버의 접착을 위해 백커버접착층(AD')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제 2기판(22) 상부에 놓여지는 신호전달필름(33)은 상기 백커버접착층(AD')과 물리적 간섭이 일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 다양한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시, 제 1기판(11)과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제 2기판(22)상에 놓여지는 신호전달필름(33)은 위치가 고정되지 않아서, 공정 진행 중 정렬이 되어 있지가 않아서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Referring to FIG. 1B, FIG. 1B schematically shows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B, and a back cover BC may further be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22. A back cover adhesive layer AD 'may be formed for bonding the second substrate 22 and the back cover. At this time, the signal transfer film 33 placed on the second substrate 22 may be formed on the back Physical interference with the cover adhesive layer AD 'occurs, resulting in various defects. Further,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33 connected to the first substrate 11 and at least part of which is placed on the second substrate 22 is not fixed in pos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defects may occur,

신호전달필름(33) 상부에 백커버접착층(AD')과 직접적으로 접촉이 이뤄지며, 백커버접착층(AD') 등이 물리적으로 들뜸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불량은 제품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고, 패널의 동작을 방해하는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패널의 동작이 되지 않아서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를 폐기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The back cover adhesive layer AD 'is direct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signal transmitting film 33, and the back cover adhesive layer AD' may be physically lifted. Such defects may deteriorat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and may cause the operation of the panel to be interrupted. In a serious case, the panel may not operate and the display device itself may be discarded.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신호전달필름과 다른 부품들과의 물리적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solve such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physical interference between a signal transmitting film and other components.

그리고, 본 발명은 신호전달필름 및 인쇄회로기판 등을 제 2기판상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고 제품의 불량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 capable of stably positioning a signal transmitting film, a printed circuit board, etc. on a second substrate, preventing defective products and improving reliability.

또한, 본 발명은 제 2기판상에 안착부를 제공하여 신호전달필름 및 인쇄회로기판 등을 공정 오차없이 정확하게 얼라인하여 안착할 수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pable of accurately positioning a signal transmission film, a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like without a process error by providing a seating portion on a second substrate.

또한, 본 발명은 제 2기판을 제작하는 공정중에 식각 또는 레이져 가공 또는 가공성형 또는 패터닝 등을 동시에 수행하여 추가 비용을 발생시키지 않고 안착부를 형성할 수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pable of forming a seating portion without performing additional processing and etching, laser processing, machining or patterning simultaneously dur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econd substrate .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표시영역 주변에 신호전달패드가 형성된 제 1기판; 상기 신호전달패드에 적어도 일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신호전달필름; 및 제 2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 2기판은 상기 제 2기판의 적어도 일면의 끝단영역에서 중앙영역과 단차지게 형성되거나, 상기 제 2기판의 적어도 일면의 끝단영역에서 측면홈 형태로 형성된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전달필름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안착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omprising: a first substrate having signal transmission pads formed around a display region; A signal transmission film having at least one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transmission pad; Wherein the second substrate is formed to have a stepped portion with respect to a central region in an end region of at least one side of the second substrate or a recess formed in a side groove shape in at least one end region of the second substrate,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signal transmitting film is located in the seat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상기 제 2기판은 유리 또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bstrate is formed of at least one of glass, metal, and plastic.

또한, 상기 안착부의 적어도 일면은 상기 제 2기판의 상면 또는 하면과 평행하지 않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eating part is formed so as not to b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상기 신호전달필름은 그 상부에 드라이버 IC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의 내부의 단면은 그 직경이 일정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further includes a driver IC on an upper portion thereof, wherein a cross section of the inside of the mount portion is not constant in diamete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상기 안착부 내부의 하면은 적어도 2중 계단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wherein a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is formed in at least two stepped shape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상기 안착부 내부의 단면은 상기 신호전달필름이 진입되는 입구를 제외하고 폐쇄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inside of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in a closed shape except for an entrance where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enter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상기 안착부의 내부의 단면은 그 직경이 일정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wherein a cross section of the inside of the seating portion is not constant in diamete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접측층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LED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layer form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wherein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closer to the contact layer .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상기 제 2기판은 인쇄회로기판을 안착할 수 있는 제 2안착부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wherein the second substrate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cond seating portion capable of placing a printed circuit board there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패널상에 역본딩 방식으로 본딩되는 신호전달필름을 본딩하여 비표시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내로우 베젤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제 2기판상에 안착부를 형성하여 신호전달필름이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되어 불량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The OLED display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narrow bezel that minimizes a non-display area by bonding a signal transmission film bonded on a panel in a reverse bonding manner. So that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is stably positioned, thereby preventing defects and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패널의 외부를 커버하는 외부커버와 신호전달필름간의 물리적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physical interference between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and the outer cover covering the outside of the pane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제 2기판상에 안착부를 형성함으로써 패널의 모듈 공정 진행시, 신호전달필름을 상기 안착부에 안착하여 오차없이 정확하게 얼라인하여 안착할 수 있으므로, 공정시간을 최소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LED display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ly mount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on the seating portion and accurately align the OLED without error when the panel is processed in the module process by forming the seating portion on the second substrate. The process time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제 2기판을 제작하는 공정중에 식각 또는 레이져 가공 또는 가공성형 또는 패터닝등을 동시에 수행하여 추가 비용을 발생시키지 않고 안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etching, laser processing, machining, patterning or the like at the same time dur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econd substrate, thereby forming the seating portion without generating additional cost.

도 1a은 종래기술의 일반적인 유기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의 B-B'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c는 도 2a의 C-C'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안착부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단면을 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도 4b, 도 4c, 도 4d 및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안착부의 다양한 실시예의 또 다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B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AA 'of FIG. 1A.
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BB 'of FIG. 2A.
FIG. 2C is a schematic view of the CC 'section of FIG. 2A.
FIGS. 3A, 3B, and 3C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ounting portion of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4B, 4C, 4D, and 4E are cross-sectional views of various embodiments of a mounting portion of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illustr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일 수 있는 것으로서, 실제 유기발광표시 장치의 부품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enote substantially identical compon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component name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may be different from the component name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를 참고하면, 제 1기판(11)상부에 측면에서 상기 제 1기판(11)과 연결되어 있고 디스플레이 구현에 필요한 신호 및/또는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신호전달필름(33)이 형성되어 있다. 제 2기판(22) 상부에는 상기 신호전달필름(33)의 적어도 일부를 위치시키기 위한 안착부(SS)가 형성되어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2A, a signal transfer film 33 connected to the first substrate 11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1 for applying a signal and / or a power required for display implementation is formed . A seating part SS for positioning at least a part of the signal transfer film 33 is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22.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기판(11) 상부에는 디스플레이 구현을 위한 화소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화소부 각각의 구동을 위한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등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로는 발광을 위한 유기발광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회로부는 유기발광층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트랜지스터(미도시), 구동 트랜지스터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트랜지스터(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신호 전달 및 구동 트랜지스터의 보상을 수행하기 위한 추가적인 트랜지스터(미도시) 및 캐패시터(미도시)가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소부를 제어하기 위해 제 1기판(11)상에는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선(미도시), 스캔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스캔 신호선(미도시) 및 각 화소부에 특정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배선들(미도시)을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 1기판(11)상에 형성된 각 화소부에는 다수의 트랜지스터 및 캐패시터 등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전압이 다른 복수의 전원이 필요 하다. 일반적으로는 고전위 전압, 저전위 전압 및 기준전압(Vref) 등이 패널에 인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서로 다른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제 1기판(11)상에 서로 다른 전원배선들을 형성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pixel portion (not shown) for implementing a display i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1, a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for driving each of the pixel portions is formed,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not shown) for light emission is formed. In general, the circuit por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driving transistor (not shown) for driv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switching transisto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driving transistor. In addition, additional transistors (not shown) and capacitors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formed to carry out appropriate signal transmission and compensation of the driving transistor. In order to control the pixel portion, a data signal line (not shown) for applying a data signal, a scan signal line (not shown) for applying a scan signal and a specific power source are applied to each pixel portion on the first substrate 11 (Not shown). At this time, since a plurality of transistors, capacitors, and the like are included in each pixel portion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1, a plurality of power sources having different voltages are required. In general, a high potential voltage, a low potential voltage, and a reference voltage Vref may be applied to the panel, and different power lines may be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1 to supply the different voltages. have.

또한, 상기 유기발광층(미도시)은 제 1기판(11)상에서 형성된 제 1전극(미도시) 및 제 2전극(미도시)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층 상부에는 수분 및 산소로부터 유기물질 등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미도시)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유기발광층은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을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으며, 나아가 유기발광층의 발광 효율 및/또는 수명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능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층은 특정 색을 발광하는 발광 물질층을 단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특정 색을 발광하는 발광층을 여러층으로 쌓아 형성될 수도 있다. 여러층을 쌓는 형태로 발광층을 형성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상기 발광층은 백색광을 발광하며, 별도의 컬러필터를 제 1기판(11) 또는 제 2기판(22) 주변에 추가로 형성하여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색을 재현해낼 수 있다.In addi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not shown) may be formed between a first electrode (not shown) and a second electrode (not shown)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1. A protective layer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o protect the organic material from moisture and oxyg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may include a hole injection layer, a hole transporting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n electron transporting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al layer for improving the luminous efficiency and / have.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may have a single layer of a light emitting material layer emitting a specific color, but may be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layers emitting a specific color. When a light emitting layer is formed by stacking several layers, generally, the light emitting layer emits white light, and a separate color filter is further formed around the first substrate 11 or the second substrate 22 to display a color Can be reproduc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 2기판(22)은 유리 또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기판(22)은 제 1기판(11)상에 형성된 유기발광층 및 보호층 등을 물리적, 화학적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제 1기판(11) 및 제 2기판(22)을 유리로 형성하는 경우 서로 동일한 재질이므로 가장 유사한 성질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금속으로 형성되는 경우 유리로 형성되는 것보다 더 얇고 가볍게 제 2기판(22)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때로는 유리보다 더 저렴한 가격으로 제 2기판(2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기판(11)이 유리로 형성된 경우, 제 1기판(11)과의 열팽창계수가 거의 동일한 수준의 합금으로 제 2기판(2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기판(11) 및 제 2기판(22)이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경우, 유기발광표시장치 자체가 유연성을 가지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제 2기판(22)은 일반적으로 제 1기판(11)보다 작게 형성해야 한다. 왜냐하면, 제 1기판(11)상에 형성된 신호전달패드(미도시) 및/또는 전원인가부(미도시)는 신호전달필름(33)과 전기적으로 연결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제 1기판(11)상에 표시영역의 주변부 또는 적어도 비표시영역에서 신호전달필름(33)과의 연결을 위한 신호전달패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영역은 오픈되어 있어야만 하고, 그렇게 되기 위해 제 1기판(11)보다 제 2기판(22)을 더 작게 형성해야 한다.The second substrate 22 of the OLED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glass, metal, or plastic. At this time, the second substrate 22 physically and chemically protects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protective layer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1. In general, when the first substrate 11 and the second substrate 22 are formed of glass, they have the same properties as each other because they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In addition, when formed of metal, the second substrate 22 can be thinner and lighter than the glass, and the second substrate 22 can be formed at a lower cost than glass. When the first substrate 11 is formed of glass, the second substrate 22 may be formed of an alloy having a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substantially equal to that of the first substrate 11. When the first substrate 11 and the second substrate 22 are formed of plastic,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tself has flexibility and a flexible display can be realized. At this time, the second substrate 22 should generally be formed smaller than the first substrate 11. This is because the signal transmission pad (not shown) and / or the power application unit (not shown)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1 must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transfer film 33. Since the signal transmission pad for connection with the signal transfer film 33 is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region or at least the non-display region on the first substrate 11, the region must be opened, The second substrate 22 should be formed smaller than the substrate 11. [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상기 제 1기판(11)상에 표시영역 주변부 또는 비표시영역상에 신호전달패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신호전달패드상에는 적어도 일단이 신호전달필름(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 2기판(22)의 적어도 일면의 끝단영역은 제 2기판(22)의 중앙영역과 단차지게 형성되어 안착부(SS)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기판(22)의 적어도 일면의 끝단영역은 측면홈 형태로 형성되어 안착부(SS)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전달필름(33)은 적어도 일부가 안착부(SS)에 위치하여 안정적으로 정렬될 수 있으며, 안착부(SS) 내부에 안착되므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2A and 2B, signal transmission pads are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1 on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area or on the non-display area. At least one end of the signal transmission pa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33. At this time, an end region of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22 is formed to be stepped with the central region of the second substrate 22 to form a seating portion SS. At least one end region of the second substrate 22 may be formed as a side groove to form a seating part SS. At this time, at least a part of the signal transfer film 33 can be stably positioned at the seating part SS and can be stably placed in the seating part S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 2기판(22)은 안착부(S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SS)는 신호전달필름(33)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여, 신호전달필름(33)이 고정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시 필요한 신호전달필름(33)의 위치 정렬 또는 얼라인(Align)을 보다 정확히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상기 안착부(SS)는 신호전달필름(33)이 제 2기판(22) 상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신호전달필름(33)을 위치시키는 내부의 공간을 제공하여 신호전달필름(33)이 다른 부품들과 물리적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다.The second substrate 22 of the OLED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ating part SS. The seating part SS accommodates at least a part of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33 to help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33 to be fixed. In addition, it facilitates alignment or alignment of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33 requir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OLED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ating part SS provides an internal space for positioning the signal transfer film 33 so that the signal transfer film 33 is not exposed above the second substrate 22, Do not cause physical interference with par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도2a 에서는 제 2기판(22)의 좌우(또는 상하)영역에 형성된 안착부(SS)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하영역에서 안착부(SS)가 형성될 수 도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가 가로로 긴 형태인 경우 좌우영역에는 게이트 신호 및/또는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신호전달필름(33)이 형성된다. 또한, 상하영역에는 데이터 신호 및/또는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신호전달필름(33)이 형성된다. 이때, 제 2기판(22)의 상하 영역에 안착부(SS)가 필요한 경우, 제 2기판(22)의 상하부의 적절한 위치에 안착부(SS)를 형성할 수 있다.2A shows a seating part S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or upper and lower) areas of the second substrate 22 in the embodiment of FIG. 2A. However, in the upper and lower areas, the seating part SS is formed It can be. Generally, in the case where the display is of a horizontally elongated shape, a signal transfer film 33 for applying a gate signal and / or a power source is formed in left and right regions. Further, a signal transfer film 33 for applying a data signal and / or a power source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regions. At this time, if the seating part SS is required in the upper and lower areas of the second substrate 22, the seating part SS can be formed at appropriate positions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 substrate 22.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2b는 2a의 B-B'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신호전달필름(33)은 제 1기판(11)상에서 역본딩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 역본딩 형태란, 기존의 일반적인 본딩방식과 반대로 본딩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기존에는 신호전달필름(33)의 일단이 제 1기판(11)에 연결되면, 신호전달필름(33)의 타단은 제 1기판(11) 외부로 놓여지게 되고 외부에서 인쇄회로기판(PB)등과 연결된다. 그 후 신호전달필름(33)을 구부려 제 1기판(11) 내부로 향하도록 접어서 신호전달필름(33) 및 인쇄회로기판(PB)이 제 1기판(11) 내부에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신호전달필름(33)의 구부러져야 하는 단점이 있고, 제 1기판(11)의 외곽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어쩔 수 없이 있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최근에는 역본딩 방식으로 신호전달필름(33)을 제 1기판(11)과 연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B,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2B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B-B 'of 2a. At this time,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33 is connected in a reverse bonding manner on the first substrate 11. The reverse bonding type means bonding in reverse to the conventional bonding method. In other words, conventionally, when one end of the signal transfer film 33 is connected to the first substrate 11, the other end of the signal transfer film 33 is placed outside the first substrate 11, ) And the like. The signal transfer film 33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PB are formed so as to be seated in the first substrate 11 by bending the signal transfer film 33 to be bent into the first substrate 11. In this cas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ignal transmitting film 33 has to be bent, and there is inevitably a portion protruding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ubstrate 11. In order to overcome this disadvantage,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33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substrate 11 by a reverse bonding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신호전달필름(33)은 제 1기판(11) 내부로 향하도록 형성되지만, 일부가 구부러지는 영역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제 1기판(11) 상부에는 접착층(AD) 및 제 2기판(2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신호전달패드가 형성된 제 1기판(11)의 상부면과 단차가 있게 된다. 따라서, 신호전달필름(33)의 일부가 구부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제 2기판(22)상에 안착부(SS)가 형성되기 때문에 신호전달필름(33)은 종래기술보다 단차가 덜 발생될 수 있다. The signal transfer film 33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direct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substrate 11, but a bent region may be generated. That is, since the adhesive layer AD and the second substrate 22 are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1, there is a step differe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1 on which the signal transmission pad is formed. Therefore, a part of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33 is bent. However, in the OLED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ating part SS is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22, (33) may be less stepped than in the prior ar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 2기판(22) 상부 또는 하부의 적어도 일면의 끝단에서 안착부(SS)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부(SS)는 제 2기판(22)의 중앙영역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기판(22)의 중앙영역의 두께와 제 2기판(22)의 안착부(SS)는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신호전달필름(33)의 일단은 제 1기판(11)상에 형성된 신호전달패드(미도시)와 연결되어 있고, 신호전달필름(33)의 타단은 제 2기판(22)상에 형성된 안착부(SS)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The seating part SS is formed on at least one end of the upper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bstrate 22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seating portion SS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entral region of the second substrate 22.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central region of the second substrate 22 and the seating portion SS of the second substrate 22 may be stepped. One end of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33 is connected to a signal transmission pad (not shown)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1 and the other end of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33 is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22 It can be positioned on the seat portion S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신호전달필름(33)은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신호전달필름(33)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라이버 IC(D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 IC((DC))는 패널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거나, 패널에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신호들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신호전달필름(33)은 반드시 드라이버 IC(DC)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때로는 드라이버 IC(DC)가 필요없는 신호전달필름(33)이 형성될 수 도 있으므로 반드시 드라이버 IC(DC)를 포함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33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t least one driver IC (DC) may be formed on the signal transfer film 33. The driver IC (DC) serves to supply necessary power to the panel or to transmit signals for displaying an image on the panel. However,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33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cessarily include the driver IC (DC). Sometimes a signal transfer film 33 that does not require a driver IC (DC) may be formed, and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include a driver IC (DC).

이때, 신호전달필름(33)은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패널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전원공급부(미도시)로부터 전달하거나, 또는 전원을 전달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을 재현하기 위해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물론, 영상 재현을 위한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거나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기타 패널에 필요한 전압이나 신호들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신호전달필름(33)은 COF(Chip On Film)나 TCP(Tape Carrier Package)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gnal transfer film 33 may serve to transfer power required for driving the pane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rom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or to provide a path for transmitting power. In addition, it may serve to transmit a gate signal to reproduce an image. Of course, it may also transmit or apply a data signal for image reproduction. It may also serve to convey the necessary voltages or signals to other panel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33 of the OLED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COF (Chip On Film) or TCP (Tape Carrier Package).

도 2a를 참조하면, 제 2기판(22) 상부에 신호전달필름(33)이 적절한 위치로 안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는 안착부(SS)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기판(22)상에 형성된 안착부(SS)는 신호전달필름(33)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신호전달필름(33)의 타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SS)는 신호전달필름(33)의 크기와 정확히 일치하여 형성할 수도 있지만, 약간의 유격이 발생할 수 있도록 신호전달필름(33)의 크기보다 조금 크게 형성될 수 있다.2A, a seating part SS serving as a guide can be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22 so that the signal transmitting film 33 can be seat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At this time, the seating part SS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22 may accommodate at least a part of the signal transfer film 33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signal transfer film 33 can be fixed. In addition, although the seating part SS may be formed exactly in conformity with the size of the signal transfer film 33, it may be formed slightly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ignal transfer film 33 so that a slight gap may be generated.

또한, 상기 안착부(SS)의 크기 및 형태는 설계 및 공정상의 마진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신호전달필름(33)의 설계 및 공정 마진을 고려하여야 한다. 즉, 신호전달필름(33)의 실제 요구된 스펙과 다르게 공정상의 오차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안착부(SS) 자체의 설계 및 공정상의 마진을 고려하여야 한다. 안착부(SS)의 설계상의 크기와 실제 제작된 크기는 공정상의 오차로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신호전달필름(33)을 제 1기판(11)에 연결하고나, 상기 안착부(SS)에 위치시키는 공정을 진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정렬마진을 고려하여야 한다.In addition, the size and shape of the seating part SS can be formed in consideration of design and process margins. In particular, the design and process margins of the signal transfer film 33 should be considered. That is, there may be process errors different from the actually required specifications of the signal transmitting film 33. Also,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design and process margins of the seated part (SS) itself. This is because the design size of the seat part SS and the actual size of the seat part SS may differ from each other in terms of process errors.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alignment margins that may occur when the signal transfer film 33 is connected to the first substrate 11 or placed on the seating portion SS.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제 1기판(11)상에 표시영역 주변부 또는 비표시영역상에 신호전달패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신호전달패드상에는 적어도 일단이 신호전달필름(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신호전달필름(33)의 일단은 제 1기판(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타단은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신호전달필름(33)의 일단은 전기적으로 제 1기판(11)과 연결되어 있고, 그 일단 부분만을 신호전달 및 전원의 입출력부로 활용되는 경우, 타단은 다른 부품과 연결이 반드시 될 필요가 없다. 일반적으로 신호전달필름(33)의 일단은 제 1기판(11)과 연결되고 타단은 인쇄회로기판(PB)과 연결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신호전달필름(33)의 일단만으로 제품의 구현이 가능하다면, 신호전달필름(33)의 타단은 다른 인쇄회로기판(PB) 또는 다른 부분과 연결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Referring to FIG. 2B, a signal transmission pad i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1 on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region or on the non-display region. At least one end of the signal transmission pa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33. At this time, one end of the signal transfer film 3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ubstrate 11, but the other end may not be connected. That is, when one end of the signal transfer film 3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ubstrate 11, and only one end portion thereof is utilized as a signal transfer portion and an input / output portion of a power supply, none.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33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ubstrate 11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PB. However,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end of the signal transfer film 33 may not nee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rinted circuit board PB or other part.

도2b를 참조하면, 제 1기판(11)과 제 2기판(22)의 합착을 위해 접착층(AD)이 형성 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AD)은 일반적으로 제 2기판(22)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또는 조금 작게 형성하여 제 1기판(11) 및 제 2기판(22)을 합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기판(11)상에 형성된 유기발광층은 수분이나 산소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접착층(AD)은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외부 또는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분이나 산소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2B, an adhesive layer AD may be formed for attaching the first substrate 11 and the second substrate 22 together. The adhesive layer AD may be formed to be equal to or slightly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substrate 22 so that the first substrate 11 and the second substrate 22 may be bonded together. Further, since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1 may be vulnerable to moisture or oxygen, the adhesive layer AD functions to block moisture or oxygen that may occur outside or insi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도 2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2c는 2a의 C-C'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2c는 제 2기판(22)상에 형성된 안착부(SS)에 신호전달필름(33)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는 것을 단면적으로 보여준다. 이때, 신호전달필름(33)은 안착부(SS)의 하면 또는 상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지만, 적당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위치될 수 도 있다. Referring to FIG. 2C,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2C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ection C-C 'of 2a. Particularly, FIG. 2C shows in cross section that at least a part of the signal transmitting film 33 is located on the seating part SS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22. In FIG. At this time,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33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SS, but may be positioned apart at a proper distance.

도 3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3a는 제 2기판(22)의 안착부(SS)가 형성된 부분의 일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안착부(SS)의 내부 공간에서 하면(또는 상면)은 제 2기판(22)의 상면 또는 하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착부(SS)는 제 2기판(22)의 적어도 일면 끝단부에서 형성되며, 제 2기판(22)의 중앙영역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3A,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3A schematically shows a partial cross-section of a portion of the second substrate 22 on which the seating portion SS is formed. At this time, the lower surface (or the upper surface) in the inner space of the seating part SS may be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r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22. As described above, the seating part SS may be formed at at least one end of the second substrate 22, and may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central area of the second substrate 22.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3a는 제 2기판(22)의 안착부(SS)가 형성된 부분의 일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안착부(SS)의 내부 공간에서 하면 또는 상면 중 적어도 일부는 제 2기판(22)의 상면 또는 하면과 평행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기판(11)에 연결되어 있는 신호전달필름(33)의 일단의 부분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안착부(SS)의 하면 또 상면의 적어도 일부는 경사지게 형성되며, 신호전달필름(33)이 좀 더 안착부(SS)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다. 이하 앞서 설명한 특징 중 동일한 부분은 생략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3B,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3A schematically shows a partial cross-section of a portion of the second substrate 22 on which the seating portion SS is formed. At this time,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r the upper surface in the inner space of the seating part SS may be formed so as not to b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22. That is,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SS located at a position close to one end of the signal transfer film 33 connected to the first substrate 11 is inclined, Can be stably positioned at the seat portion SS. Hereinafter, the same features as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도 3c는 도 3b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기판(22)의 안착부(SS)가 형성된 부분의 일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안착부(SS)의 하면 또는 상면이 전체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3C schematically shows a partial cross-section of a portion of the second substrate 22 on which the seating portion SS is form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B. The bottom or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SS is inclined Respectively.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 2기판(22)상에 형성된 안착부(SS)의 또 다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때, 안착부(SS)는 신호전달필름(33)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앞서 설명한 안착부(SS)의 모양과 다르게 안착부(SS)의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신호전달필름(33)은 그 상부에 드라이버 IC(DC)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전달필름(33) 및 상기 드라이버 IC(DC)를 안착하기 위해 상기 안착부(SS)의 내부의 단면은 그 직경이 일정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신호전달필름(33)의 상부에 드라이버 IC(DC)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신호전달필름(33)의 전체적인 모양과 유사하도록 안착부(SS)의 모양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4a에 도시된 안착부(SS)의 단면을 참조하면, 안착부(SS)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의 폭을 달리 형성할 수 있다. 즉, 신호전달필름(33)의 상부에 형성된 드라이버 IC(DC)가 안착부(SS)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그 폭은 D1로 형성한다. 또한, 신호전달필름(33)은 안착부(SS)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그 폭은 D2로 형성한다. 이때, 드라이버 IC(DC)의 폭은 신호전달필름(33) 자체의 폭보다 작기 때문에, D1의 길이는 D2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there is schematically shown another cross section of a seating part SS formed on a second substrate 22 of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seating part SS can form the shape of the seating part SS differently from the shape of the seating part S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signal transmitting film 33 can be stably mounted. That is, the signal transfer film 33 may further include a driver IC (DC) on the signal transfer film 33, and the signal transfer film 33 may include a driver IC (DC) The inner cross section may be formed such that its diameter is not constant. That is, when the driver IC (DC) is formed on the signal transfer film 33, the shape of the seating part SS may be formed so as to be similar to the overall shape of the signal transfer film 33. Referr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seating part SS shown in FIG. 4A, the width of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of the seating part SS can be formed differently. That is, the driver IC (DC)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ignal transfer film 33 is positioned above the seat portion SS and the width thereof is formed as D1. Further,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33 is positioned below the seating part SS, and its width is D2. At this time, since the width of the driver IC (DC)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ignal transfer film 33 itself, the length of D1 may be shorter than D2.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 2기판(22)상에 형성된 안착부(SS)의 또 다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때, 안착부(SS) 내부의 하면은 하부 공간에 단차를 갖는 적어도 2중 계단형태를 갖는 하면을 더 형성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신호전달필름(33)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열 방출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4B, there is schematically shown another cross section of a seating part SS formed on a second substrate 22 of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art SS may have at least a bottom surface having a stepped shape with a step in the lower space. By doing so, it becomes possible to secure a heat releasable space that can be generated in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33.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 2기판(22)상에 형성된 안착부(SS)의 또 다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때, 안착부(SS)의 내부의 단면은, 신호전달필름(33)이 진입되는 입구를 제외하고 폐쇄형으로 형성될 수 수 있다. 즉, 제 2기판(22)의 상면 또는 하면이 아닌 측면에서 구멍형태로 안착부(SS)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제 2기판(22)의 측면홈 형태로 안착부(SS)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측면홈 형태로 안착부(SS)를 형성하는 경우, 제 2기판(22) 상부에 형성될 다른 부품과 신호전달필름(33)과의 직접적인 접촉이 없기 때문에 서로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C, another cross section of a seating part SS formed on a second substrate 22 of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chematically shown. At this time, the inner cross section of the seat portion SS may be formed in a closed shape except for the entrance where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33 enters. That is, the seating part SS can be formed in the form of a hole i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22. Alternatively, the seating part SS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22. In the case of forming the seating part SS in the form of a side groove, interference between each other can be minimized since there is no direct contact between the signal transmitting film 33 and other parts to be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22.

도 4d를 참조하면, 도 4c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 2기판(22)상에 형성된 안착부(SS)의 또 다른 단면 모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즉, 안착부(SS)의 단면을 드라이버 IC(DC)가 형성된 신호전달필름(33)의 모양과 유사하도록 형성하여, 신호전달필름(33)이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안착부(SS)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4D, another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ating part SS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22 of the OLED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C is schematically shown. That is, the cross section of the seat SS is formed so as to resemble the shape of the signal transfer film 33 on which the driver IC (DC) is formed, so that the signal transfer film 33 is positioned more stably on the seat SS .

도 4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 2기판(22)상에 형성된 안착부(SS)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기판(11)과 상기 제 2기판(22)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층(AD)을 더 포함하며, 제 2기판(22) 상에 안착부(SS)는 상기 접측층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기판(22)에 형성된 안착부(SS)의 공간이 접착층(AD)과 가까운 영역에 형성되면, 도 4c 또는 도 4d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처럼, 제 2 기판의 측면에 측면홈 형태를 갖는 안착부(SS)를 형성하지 않아도, 신호전달필름(33)과 제 2기판(22) 상부에 형성될 다른 부품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즉, 안착부(SS)의 하면이 신호전달필름(33)과 제 2기판(22) 상부에 형성될 다른 부품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각각이 직접적인 물리적 접촉이 없기 때문이다.Referring to FIG. 4E, a cross section of a seating part SS formed on a second substrate 22 of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chematically shown. The first substrate 11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layer AD form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1 and the second substrate 22. The second substrate 22 may have a seating portion SS closer to the contact layer / RTI > That is, if the space of the seating part SS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22 is formed in a region close to the adhesive layer AD,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C or 4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signal transmitting film 33 and other parts to be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22 without forming the seating part SS having a groove shape. That is, since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SS is positioned between the signal transfer film 33 and other parts to be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22, there is no direct physical contact with each other.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 2기판(22)상에 형성된 안착부(SS)를 설명하면, 제 2기판(22)의 상하 및 좌우의 끝단영역에 형성된 안착부(SS)를 도시한 것이다. 제 1기판(11)상에 형성된 신호전달패드는 제 1기판(11) 상부 및 하부 그리고 좌우에 모두 형성되어 있다. 이때, 신호전달필름(33)은 상기 신호전달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모두 역본딩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신호전달필름(33)은 제 2기판(22)상에서 상하 및 좌우 영역에서 모두 중첩되어 형성 될 수 있으므로, 제 2기판(22)상에서 안착부(SS)는 상하 및 좌우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동일한 특징은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5, the seating part SS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22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In the upper and lower and left and right end regions of the second substrate 22, And shows the formed seating part SS. Signal transmission pad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1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substrate 11 and on both sides thereof. At this time,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33 is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transmission pad, and all of them are connected in a reverse bonding manner. Therefore, since the signal transfer film 33 can be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22 in both the upper and lower and right and left regions, the seating portion SS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and right and left regions on the second substrate 22 . Hereinafter, description of the same features will be omitted.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신호전달필름(33)의 특징 중 신호전달필름(33)의 타단이 인쇄회로기판(PB)과 연결된 형태의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신호전달필름(33)의 일단은 제 1기판(11)상에 형성된 신호전달패드(미도시)와 연결되어 있고, 신호전달필름(33)의 타단은 인쇄회로기판(PB)과 연결되어 있다. 이때, 인쇄회로기판(PB)과 상응하는 영역에 한하여 제 2기판(22)상에 추가적으로 제 2안착부(SS)를 형성하여, 인쇄회로기판(PB)이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PB)과 제 2기판(22) 상부에 형성될 다른 부품간의 물리적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공정상 작업자가 인쇄회로기판(PB)이 위치하는 영역을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전달필름(33)의 안착부(SS)는 인쇄회로기판(PB)의 안착부(SS)가 형성됨으로써 형성되지 않을 수 도 있다. 즉, 인쇄회로기판(PB)의 안착부(SS)가 있음으로써, 신호전달필름(33)의 위치를 위한 안착부(SS)는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6,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transmission film 33,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33, RTI ID = 0.0 > PB. ≪ / RTI > One end of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33 is connected to a signal transmission pad (not shown)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1 and the other end of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33 is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PB. At this time, the second seating portion SS is additionally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22 only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PB, so that the printed circuit board PB can be stably positioned .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hysical interference between the printed circuit board PB and other parts to be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22, and in the proc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Can be more accurately known. In addition, the seating portion SS of the signal transfer film 33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formed by forming the seating portion S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PB. That is, since the seating portion S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PB exists, the seating portion SS for the position of the signal transfer film 33 may not be formed.

본 명세서상에 첨부된 도면들의 도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개략적인 것으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도면은 관찰자의 시선으로 도시되기 때문에 도면을 설명하는 방향이나 위치는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면 번호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단수로 설명되는 경우 다수로도 해석될 수 있다. 형상, 크기의 비교, 위치 관계 등이 '약', '실질적' 등으로 설명되지 않아도 통상의 오차 범위가 포함되도록 해석된다. '~후', '~전', '이어서', '그리고', '여기서', '후속하여', '이 때' 등의 용어가 사용되더라도 시간적 위치를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단순히 구분의 편의를 위해 선택적, 교환적 또는 반복적으로 사용되며 한정적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가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부분들이 '~또는'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부분들 단독뿐만 아니라 조합도 포함되게 해석되나 '~또는 ~중 하나'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부분들 단독으로만 해석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he illustrated shapes, sizes, ratios, angles, numbers, etc. of the drawings attached hereto are schematic and may be modified somewhat. Since the drawing is shown by the line of sight of the observer, the direction or position to explain the drawing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observ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can be used for the same parts even if the drawing numbers are different. Where the terms "comprises", "having", "done", and the like are used in this specification, other portion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But may be interpreted in a number of ways as described in the singular. Shape, size comparison, and positional relationship are interpreted to include a normal error range even if they are not described as 'weak' or 'substantial'. Even if the terms 'after', 'before', 'after', 'and', 'here', 'following', 'after', etc. are used, they are not used to limit the temporal position. The terms 'first', 'second', and 'third' are used selectively, interchangeably or repeatedly for convenience of division and are not construed as definite meaning. I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on top', 'under', or 'next to', etc., This can also be located. Where part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 or ", portions are interpreted to include not only a single portion but also a combination, but portions are interpreted solely if they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or more of.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 제 1기판(11) 22: 제 2기판(22)
AD: 접착층(AD) DC: 드라이버 IC
33: 신호전달필름(33) SS: 안착부(SS)
PB: 인쇄회로기판
11: first substrate (11) 22: second substrate (22)
AD: Adhesive layer (AD) DC: Driver IC
33: Signal transmission film (33) SS: Seated part (SS)
PB: printed circuit board

Claims (9)

표시영역 주변에 신호전달패드가 형성된 제 1기판(11);
상기 신호전달패드에 적어도 일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신호전달필름(33); 및
제 2기판(22);을 포함하며,
상기 제 2기판(22)은 상기 제 2기판(22)의 적어도 일면의 끝단영역에서 중앙영역과 단차지게 형성되거나, 상기 제 2기판(22)의 적어도 일면의 끝단영역에서 측면홈 형태로 형성된 안착부(SS)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전달필름(33)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안착부(SS)에 위치하고,
상기 안착부(SS)는 상기 제 2기판(22)의 일부에 상기 신호전달필름(33)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SS)는 상기 신호전달필름(33)의 상기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A first substrate (11) having a signal transmission pad formed around a display area;
A signal transmission film (33) having at least one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transmission pad; And
And a second substrate (22)
The second substrate 22 may be formed to have a stepped portion with respect to a central region in at least one end surface region of the second substrate 22 or a recessed portion formed in a side groove shape in at least one end surface region of the second substrate 22 (SS)
At least a portion of the signal transfer film (33) is located on the seating part (SS)
The seating part SS is formed in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gnal transfer film 33 on a part of the second substrate 22,
Wherein the seating part (SS) receives and guides the at least a part of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3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판(22)은 유리 또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substrate (22) is formed of at least one of glass, metal, and plastic.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SS)의 적어도 일면은 상기 제 2기판(22)의 상면 또는 하면과 평행하지 않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eating part (SS) is formed so as not to be parallel to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달필름(33)은 그 상부에 드라이버 IC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SS)의 내부의 단면은 그 직경이 일정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33) further includes a driver IC on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cross section of the inside of the seating portion (SS) is not constant in diameter.
표시영역 주변에 신호전달패드가 형성된 제 1기판(11);
상기 신호전달패드에 적어도 일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신호전달필름(33); 및
제 2기판(22);을 포함하며,
상기 제 2기판(22)은 상기 제 2기판(22)의 적어도 일면의 끝단영역에서 중앙영역과 단차지게 형성되거나, 상기 제 2기판(22)의 적어도 일면의 끝단영역에서 측면홈 형태로 형성된 안착부(SS)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전달필름(33)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안착부(SS)에 위치하고,
상기 안착부(SS) 내부의 하면은 적어도 2중 계단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A first substrate (11) having a signal transmission pad formed around a display area;
A signal transmission film (33) having at least one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transmission pad; And
And a second substrate (22)
The second substrate 22 may be formed to have a stepped portion with respect to a central region in at least one end surface region of the second substrate 22 or a recessed portion formed in a side groove shape in at least one end surface region of the second substrate 22 (SS)
At least a portion of the signal transfer film (33) is located on the seating part (SS)
Wherein a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art (SS) is formed in at least two stepped shapes.
표시영역 주변에 신호전달패드가 형성된 제 1기판(11);
상기 신호전달패드에 적어도 일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신호전달필름(33); 및
제 2기판(22);을 포함하며,
상기 제 2기판(22)은 상기 제 2기판(22)의 적어도 일면의 끝단영역에서 중앙영역과 단차지게 형성되거나, 상기 제 2기판(22)의 적어도 일면의 끝단영역에서 측면홈 형태로 형성된 안착부(SS)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전달필름(33)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안착부(SS)에 위치하고,
상기 안착부(SS) 내부의 단면은 상기 신호전달필름(33)이 진입되는 입구를 제외하고 폐쇄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A first substrate (11) having a signal transmission pad formed around a display area;
A signal transmission film (33) having at least one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transmission pad; And
And a second substrate (22)
The second substrate 22 may be formed to have a stepped portion with respect to a central region in at least one end surface region of the second substrate 22 or a recessed portion formed in a side groove shape in at least one end surface region of the second substrate 22 (SS)
At least a portion of the signal transfer film (33) is located on the seating part (SS)
Wherein a cross section of the interior of the seating part (SS) is formed in a closed shape except for an entrance where the signal transfer film (33) enter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SS)의 내부의 단면은 그 직경이 일정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cross section of the inside of the seating part (SS) is not constant in diame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판(11)과 상기 제 2기판(22)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층(AD)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SS)는 상기 접착층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AD) form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1) and the second substrate (22), the seating part (SS) being formed at a position closer to the adhesive layer Display device.
표시영역 주변에 신호전달패드가 형성된 제 1기판(11);
상기 신호전달패드에 적어도 일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신호전달필름(33); 및
제 2기판(22);을 포함하며,
상기 제 2기판(22)은 상기 제 2기판(22)의 적어도 일면의 끝단영역에서 중앙영역과 단차지게 형성되거나, 상기 제 2기판(22)의 적어도 일면의 끝단영역에서 측면홈 형태로 형성된 안착부(SS)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전달필름(33)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안착부(SS)에 위치하고,
상기 제 2기판(22)은 인쇄회로기판을 안착할 수 있는 제 2안착부(SS)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A first substrate (11) having a signal transmission pad formed around a display area;
A signal transmission film (33) having at least one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transmission pad; And
And a second substrate (22)
The second substrate 22 may be formed to have a stepped portion with respect to a central region in at least one end surface region of the second substrate 22 or a recessed portion formed in a side groove shape in at least one end surface region of the second substrate 22 (SS)
At least a portion of the signal transfer film (33) is located on the seating part (SS)
Wherein the second substrate (22) is further formed with a second seating portion (SS) capable of placing a printed circuit board thereon.

KR1020130166069A 2013-12-27 2013-12-27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8361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069A KR101836182B1 (en) 2013-12-27 2013-12-27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069A KR101836182B1 (en) 2013-12-27 2013-12-27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158A KR20150077158A (en) 2015-07-07
KR101836182B1 true KR101836182B1 (en) 2018-03-08

Family

ID=53789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6069A KR101836182B1 (en) 2013-12-27 2013-12-27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18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2034A (en) * 2005-08-29 2007-03-15 Seiko Epson Corp Wiring structure, device, manufacturing method for device, liquid droplet ejecting head, manufacturing method for liquid droplet ejecting head, and liquid droplet ejector
JP2007240810A (en) * 2006-03-08 2007-09-20 Epson Imaging Devices Corp Electro-optical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electronic equip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2034A (en) * 2005-08-29 2007-03-15 Seiko Epson Corp Wiring structure, device, manufacturing method for device, liquid droplet ejecting head, manufacturing method for liquid droplet ejecting head, and liquid droplet ejector
JP2007240810A (en) * 2006-03-08 2007-09-20 Epson Imaging Devices Corp Electro-optical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electronic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158A (en) 201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588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11742358B2 (en) Display panel and large format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233565B1 (en) Display device
US7994810B2 (en) Electro-optical device
KR20140038823A (en) Display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090267526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150065554A (en) Curved Display Device
KR102200912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077758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70003316A (en)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US20220085000A1 (en) Light-emitting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11545538B2 (en) Display panel
US1169647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ncluding a common power supply line in a non-display area
US9033567B2 (en) Backlight assembly
US10304392B2 (en) Display device
CN205828391U (en) A kind of OLED display panel
KR20150000571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170036942A (en) Flexible film,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0600990B2 (en) Display device with resin layer and improved cooling
KR20150061738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836182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20240047434A1 (en) Double-surface display panel and double-surface spliced display screen
US20230194922A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45117B1 (en) Light source module, back 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240162214A1 (en) Active matrix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