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884B1 - 장치의 서비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장치의 서비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884B1
KR101835884B1 KR1020110020372A KR20110020372A KR101835884B1 KR 101835884 B1 KR101835884 B1 KR 101835884B1 KR 1020110020372 A KR1020110020372 A KR 1020110020372A KR 20110020372 A KR20110020372 A KR 20110020372A KR 101835884 B1 KR101835884 B1 KR 101835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application
server application
content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4885A (ko
Inventor
시몬 히바드
에럴 매그너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1158465A priority Critical patent/EP2367342A1/en
Priority to US13/050,282 priority patent/US9807224B2/en
Priority to CN201110072739XA priority patent/CN102196037A/zh
Publication of KR20110104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4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8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non-voice services, e.g. email, internet acc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33Protocols for remote procedure calls [R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1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및 하나 이상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은 제1 명령 요청에 대한 제1 응답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제1 응답 수신에 응답하여, 제1 콘텐츠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에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 장치는, 제1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제1 명령 요청을 인식하도록 구성되고, 제1 명령 요청에 응답하여, 이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도록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인스트럭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서버 어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한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서버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인스트럭션의 수신에 응답하여, 이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고 서버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수신에 대한 제1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서버 어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제1 콘텐츠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1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1 명령 요청에 대한 제1 응답을 생성한다.

Description

장치의 서비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ONE OR MORE SERVICES OF A DEVICE}
본 발명은 장치의 기능성을 제어하기 위하여 장치의 하나 이상의 서비스들에 액세스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고, 장치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입력장치들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기능성(functionality)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들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특수한 프로그램들(specialized programs)은 장치의 특정 상황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특수한 프로그램들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특정 상황에서의 장치의 기능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은 장치상에서 동작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의 시스템 호출(System Call)을 이용하여, 장치의 컴포넌트들과 상호작용하여 장치의 기능성을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전화 호출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특수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화 장치일 수 있으며, 특수한 프로그램은 전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전화 호출을 제어할 수 있으며, 장치는 연락처 리스트(contact list 또는 교신 리스트)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특수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면서 전화 장치에 포함된 연락처 리스트를 제어하는 연락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장치의 예들에는 텔레비전, 셋톱 박스, 미디어 재생기, 이북(e-book) 리더, 또는 디지털 카메라가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장치들은 인터넷 웹사이트들에 대한 접근을 가능케 하도록 설정된 인터넷 브라우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인터넷 브라우저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시스템 호출을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장치의 컴포넌트들과 상호 연동될 수 있는데, 전화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웹사이트들과 통신하고 인터넷 웹사이트로부터 획득되는 콘텐트를 표시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장치의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특수화된 프로그램들은 전형적으로 다른 장치들에서 이용하기 위해 전송되지 않을 수도 있는 장치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하는 특정 방법들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특수화된 프로그램들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들 사이에서 분리 정도가 낮아지는 것을 야기하여, 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를 장치의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설계와 분리하기가 어렵다. 부가적으로, 예를 들어 컴퓨터나 다른 장치를 이용하여 장치가 원격에서 제어되는 경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들에 액세스하기 위해 더 많은 특수화된 수단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는 장치를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개발하는 것이 어렵고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본 발명은 서버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처리되는 표준 프로토콜을 경유하여 전송된 명령 요청들을 통하여 이것의 서비스에 액세스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이들 단점들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상기 장치는 상기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및 하나 이상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도록 하며,
상기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제1 명령 요청에 대한 제1 응답을 수신하고, 제1 응답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1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상기 장치는, 제1 명령 요청에 응답하여 인스트럭션을 제공하여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서버 어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명령 요청은 제1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며,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상기 인스트럭션을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이 수신할 제1 콘텐츠를 생성하며,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콘텐츠를 수신하면,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명령 요청에 대한 상기 제1 응답을 생성하되, 상기 제1응답은 상기 제1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및 서버 어플리케이션을 상기와 같이 동작하도록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제1 전송 프로토콜을 경유하여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과 서버 어플리케이션 사이에 명령 요청을 행하게 되어 장치를 제어하고 이 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장치의 제어 및 이것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공은 특별한 기술을 통하지 않고도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용이하게 수정되거나 다른 장치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표준 프로토콜을 통하여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장치의 제어 및 이것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공은 명령 요청을 국부적으로 송신하는 서버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컴퓨팅 장치와 같은 외부 엔터티(Entity)로부터 행해질 수 있다. 만일 서버 어플리케이션이 외부 컴퓨팅 장치로부터 명령 요청 송신 받으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도록 제1 응답이 여전히 송신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전송 프로토콜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또는 HTTPS(HTTP Secure)를 포함한다.
따라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는 명령은 HTTP 또는 HTTPS와 같은 공지의 전송 프로토콜을 통하여 명령 요청을 행하여 액세스할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는 시스템 버스에 접속되는 복수의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장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제1 복수의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변경하도록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 및/또는 비디오 방송 수신기를 포함할 수도 있는 장치 컴포넌트의 제어는 서버 어플리케이션에 송신된 명령 요청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이벤트 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임의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서비스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제1 콘텐츠의 제공을 지연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이벤트가 발생할 때 이 요청에 직접 응답하기보다는 서버 어플리케이션에 제1 명령 요청을 송신한 엔터티(Entity)에 제1 전송 프로토콜을 경유하는 "누름"(push) 데이터가 될 수도 있다. 서비스 이벤트는 장치가 포함되는 컴포넌트에 의해 트리거링(triggering)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장치에 의해 수신된 착신 전화 통화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장치에 접속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하나 이상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1 장치와,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수단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2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수단으로부터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제1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1 명령 요청을 상기 제1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제1 장치는 서버 어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명령 요청을 인식하며, 상기 제1 명령 요청에 따라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도록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인스트럭션을 제공하여, 상기 제1 장치의 전화통화 기능, 메시징 기능, 접속성 기능 및 이벤트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고,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인스트럭션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장치의 전화통화 기능, 메시징 기능, 접속성 기능 및 이벤트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고,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이 수신할 제1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상기 제1 콘텐츠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명령 요청에 대한 제1 응답을 생성하여 상기 제2 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제1 응답은 상기 제1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제1 응답의 수신에 따라 상기 제1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2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1 장치의 전화통화 기능의 제어는 표준 프로토콜을 경유하여 제2 장치로부터 명령 요청이 송신되는 서버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행해질 수도 있다. 제1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 장치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된 콘텐츠를 이용하여 제2 장치의 디스플레이와 같은 제1 장치에 외부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 제2 장치에서 제1 장치로 명령 요청을 전송하여 콘텐츠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에서, 상기 제1 장치는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장치에 접속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서버 어플리케이션 및 하나 이상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장치는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수단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수단으로부터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제1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장치에 제1 명령 요청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명령 요청이 인식되면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도록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인스트럭션을 제공하여, 상기 장치의 전화통화 기능, 메시징 기능, 접속성 기능 및 이벤트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상기 인스트럭션을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장치의 전화통화 기능, 메시징 기능, 접속성 기능 및 이벤트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고,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이 수신할 제1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콘텐츠를 수신하면, 제1 콘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제1 명령 요청에 대한 제1 응답을 생성하여 상기 제1 응답을 상기 제2 장치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2장치는 상기 제1 콘텐츠가 포함된 상기 제1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제2 장치의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제1 콘텐츠가 포함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와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서버 어플리케이션 및 하나 이상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동작시키며,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통신을 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전화 장치에서,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제1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된 제1 명령 요청을 인식하고, 상기 제1 명령 요청의 인식에 응답하여,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도록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인스트럭션을 제공하여 상기 전화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며,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인스트럭션을 수신하면, 상기 전화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이 수신할 제1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콘텐츠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콘텐츠가 포함되도록 상기 제1 명령 요청에 대한 제1 응답을 생성하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제1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응답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전화 장치의 기능 제어는 국부적으로 또는 원격으로 표준 프로토콜을 경유하여 명령 요청이 송신되는 서버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행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단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 장치의 컴포넌트들 및 통신 링크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전화 장치의 서버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되는 스텝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전화 장치의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되는 스텝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전화 장치의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이벤트 서비스 및 메시징 서비스에 의해 실행되는 스텝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전화 장치의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표시된 콘텐츠 리스트에 관한 예시적인 스크린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의 전화 장치의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표시되는 착신 전화 호출에 관한 예시적인 스크린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의 전화 장치의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표시되는 상태 바(status bar)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스크린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특징을 도시하기 위하여 이용된 예시적인 장치인 전화 장치(100)의 컴포넌트들 및 통신 링크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전화 장치(100)는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시스템 버스(104)에 접속되는 전화 장치(100) 내의 컴포넌트들과 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프로세서(102)를 포함한다. 이들 컴포넌트들은 비휘발성 저장 장치(106), 랜덤 액세스 메모리(108),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2) 및 그래픽 프로세싱 컴포넌트(11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이며, 플래시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휘발성 저장 장치(106)로부터 로딩되었던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108)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을 처리한다. 이들 인스트럭션들은 오퍼레이팅 시스템(118), 서버 어플리케이션(120),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 하나 이상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 및 이하에 설명하는 그 밖의 프로그램들을 실시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의 형태인 컴퓨터 소프트웨어 형태로 존재한다. RAM(108)은 전자 신호의 형태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액세스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프로세서(102) 상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들에 의해 또한 이용되며, 여기서 데이터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 이용된다.
오퍼레이팅 시스템(118, Operating System)은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세트 형태의 컴퓨터 소프트웨어이며 이들 프로그램의 인스트럭션들은 프로세서(102)에 의해 비휘발성 저장 장치(106)에서 로딩되어 전화 장치(100)가 턴온(Turn On)될 때 실행된다. 오퍼레이팅 시스템(118)은 더 많은 프로그램들을 자동으로 개시할 수도 있으며 및/또는 사용자가 더 많은 프로그램들을 개시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전화 장치(100)에 의해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개시할 수도 있다. 오퍼레이팅 시스템(118)은 프로세서(102) 상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들(예를 들어, 118, 120, 122, 124) 사이에 프로세서(102)에 의해 제공된 프로세싱 능력(processing power)의 공유를 가능케 한다.
오퍼레이팅 시스템(118)은 프로세서(102) 상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에 대하여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들 제공하여 오퍼레이팅 시스템(118)으로부터 기능성을 요청하도록 한다. 이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는 프로시저, 즉, 시스템 호출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으며, 이는 프로세서(102) 상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이 오퍼레이팅 시스템(118)을 호출하고 원하는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요청하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다. 기능성에 대한 요청 수신에 응답하여, 오퍼레이팅 시스템(118)은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요청된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시스템 버스(104)에 접속된 컴포넌트(예를 들어, 106, 108, 110, 112, 114, 116)들과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고, 결과로서 요청한 프로그램에 데이터를 반환시킬 수도 있다.
전화 장치(100)는 그래픽 프로세싱 컴포넌트(114)를 포함하며, 이 그래픽 프로세싱 컴포넌트는 프로세서(102) 상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들에 의해 행해진 명령에 따라서 그래픽을 렌더링할 수 있고 이들을 전화 장치(100) 내에 있을 수도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16)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16)는 복합 비디오(composite video), 컴포넌트 비디오, 비디오 그래픽 어레이, 디지털 영상 인터페이스, 또는 고화질(high-definition)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접속을 경유하여 전화 장치(100)에 접속된 외부 컴포넌트가 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02) 상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들은 사용자 입력 장치 또는 장치들(도시 생략)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10)에서 획득된 사용자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들은 디스플레이 장치(116) 내에 일체되어 있을 수도 있는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즉,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116)). 다른 형태 또는 부가적으로는 사용자 입력 장치는 전화 장치(100) 내에 일체되거나 이것에 접속될 수도 있는 키패드, 키보드, 마우스 및/또는 원격 제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전화 장치(100)는 프로세서(102) 상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들이 통신 네트워크(140, 또는 복수의 이러한 네트워크들)을 경유하여 다수의 다른 장치들 및 시스템들과 상호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2, 또는 복수의 이러한 인터페이스들)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2, 또는 복수의 이러한 인터페이스들)은 인터넷 또는 사설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해당 통신 네트워크(140, 또는 네트워크들)을 이용하는 모뎀 및/또는 이더넷 카드 또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2, 또는 복수의 이러한 인터페이스들)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일 수도 있는 해당 통신 네트워크(140, 또는 복수의 이러한 네트워크들)을 이용하기 위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또는 복수의 이러한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2; 또는 복수의 이러한 인터페이스들)가 접속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는 GSM(Globla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네트워크,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고정 무선 액세스(예를 들어, IEEE 802.16 WiMax), 및 무선 네트워킹(예를 들어, IEEE 802.11 WiFi)를 포함한다. 이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140)은 인터넷으로의 액세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오퍼레이팅 시스템(118)은 네트워킹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네트워킹 프로그램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또는 UDP(User Datagram Protocol)과 같은 네트워킹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프로세서(102) 상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들과 통신 네트워크(140, 또는 복수의 이러한 네트워크들)를 경유하여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는 외부 장치들 사이에서의 통신뿐만 아니라, 전화 장치(100)의 프로세서(102) 상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들 사이에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통신 네트워크(140)를 경유하여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는 외부 장치들은 외부 컴퓨팅 장치(150)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이것은 외부 통신 장치를 통신 네트워크(150)에 접속시키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는 개인용 컴퓨터 또는 컴퓨터 서버가 될 수도 있다.
전화 장치(100)는 전화 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프로그램 기능 및 프로시저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들(124)을 포함한다. 이들 프로그램 기능들 및 프로시저들은 시스템 버스(104)에 접속되는 전화 장치(100)의 컴포넌트들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오퍼레이팅 시스템(118)이 이용가능한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들 프로그램 기능들 및 프로시저들은 전화 장치(100)의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는 제1 복수의 명령들을 형성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전화 장치(1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의 상태를 변경할 수도 있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의 제1 복수의 명령들은 프로세서(102) 상에서 동작하는 다른 프로그램들에 대해 다음의 예시적인 방법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복수의 명령들의 제1 명령은 프로세서 상에서 동작하는 제1 프로그램에 의해 호출될 수도 있으며, 제1 명령이 오퍼레이팅 시스템(118)을 지시하는 제1 프로그램에 의해 제1 명령을 특정하는 특정 파라미터 세트를 갖는 적합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을 개시하게 된다.
다른 형태로는, 제1 명령을 실행하도록 인스턴스를 지시하기 위하여, 파이프 또는 공유 메모리와 같은, 오퍼레이팅 시스템(118)이 이용할 수 있는 인터-프로세스(inter-process)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제1 프로그램은 프로세서(102) 상에서 동작하는 적합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의 인스턴스와 통신을 행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에 있어서, 실행된 명령의 결과가 인터-프로세스 통신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으로부터 요청하는 프로그램으로 반환될 수도 있다.
다른 형태 또는 부가적으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의 제1 복수의 명령은 CGI(Common Gateway Interface) 또는 FastCGI(Fast Common Gateway Interface)와 같은 공통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프로세서(102) 상에서 동작하는 다른 프로그램들이 이용할 수도 있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은 전화 서비스(126), 메시징 서비스(128), 교신 서비스(130), 미디어 서비스(도시 생략),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도시 생략), 구성 서비스(134), 접속성 서비스(136), 이벤트 서비스(138), 및 데이터 공유 서비스(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이 포함할 수도 있는 프로그램들 중 하나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전화 장치(100)의 전화 서비스(126)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2, 또는 복수의 이러한 인터페이스들) 및 해당 통신 네트워크(140, 또는 복수의 이러한 네트워크들)을 경유하여 전화 장치(100)를 이용하여 전화 호출의 생성 및 수신을 제어하는 명령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전화 서비스(126)는 전화 호출들을 생성하고 수신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전화 장치(1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2)의 상태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전화 장치(100)의 메시징 서비스(128)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2, 또는 복수의 이러한 인터페이스들) 및 해당 통신 네트워크(140, 또는 복수의 이러한 네트워크들)을 경유하여 다른 장치들로의 메시지 송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제공한다. 이러한 메시지들로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메시지 및 이메일이 포함될 수도 있다. 메시징 서비스(128)는 이전에 송수신 또는 쓰여진 메시지들을 편집, 저장 및 검색하기 위한 명령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징 서비스(128)는 텍스트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전화 장치(1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2)의 상태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전화 장치(100)의 교신 서비스(130)는 교신 리스트(또는 복수의 리스트들)을 편집, 저장 및 검색하고 이 리스트(또는 리스트들)에서 엔트리들을 편집, 저장 및 검색하기 위한 명령들을 제공하며, 여기서 각각의 엔트리는 교신의 이름 및 교신 상세(전화 번호, 이메일 주소 등)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화 장치(100)의 미디어 서비스는 전화 장치(100)가 액세스할 수 있는 또는 통신 네트워크(140)를 경유하여 액세스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파일들을 저장(예를 들어, 비휘발성 저장 장치(106)에 저장)하고 검색하기 위한 명령을 제공한다. 이들 멀티미디어 파일들은 음향 레코딩, 음악 파일, 이미지 파일, 및/또는 비디오 파일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미디어 서비스들은 이들 멀티미디어 파일들의 편집, 기록 및/또는 재생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전화 장치(100)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통신 네트워크(140)를 경유하여 MySpace, Facebook 및 Twitter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소셜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한 명령을 제공한다. 소셜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은 사용자 입력 또는 미리 저장된(예를 들어, 비휘발성 저장 장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일부 또는 전부의 소셜 네트워크에 대해 전화 장치(100)의 사용자를 인증(예를 들어, 로그인)하는 것, 이들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메시지, 멀티미디어 파일, 교신 정보 및 그 밖의 정보를 편집 및 송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상기 활동들을 행하기 위하여 소셜 네트워크에 대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전화 장치(1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2)의 상태를 변경할 수도 있다.
전화 장치(100)의 위치 서비스(132)는 전화 장치(100)를 포함할 수도 있고 장치의 시스템 버스(104)에 접속될 수도 있는 위치 수신기 장치(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의 수신 및 이용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위치 수신기 장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가 될 수도 있다.
전화 장치(100)의 구성 서비스(134)는 전화 장치(100)에 대한 셋팅을 편집, 저장 및 검색하기 위한 명령을 제공하며, 시스템 버스(104)에 접속된 컴포넌트들, 및/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118), 서버 어플리케이션(120),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 및/또는 이하에 나타낸 그 밖의 다른 프로그램들에 대한 셋팅(setting)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화 장치(100)의 접속성 서비스(136)는 전화 장치(1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2, 또는 복수의 이러한 인터페이스들)을 이용가능한 통신 네트워크(140, 또는 이러한 네트워크들)에 접속하고 통신 네트워크(140, 또는 복수의 이러한 네트워크들)에 대한 임의의 이러한 접속을 구성하기 위한 명령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140)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접속 및 분리함으로써, 접속성 서비스(136)는 전화 장치(1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2)의 상태를 변경할 수도 있다.
전화 장치(100)의 이벤트 서비스(138)는 다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들이 하나 이상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들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도 있는 서비스 이벤트의 발생을 통지하도록 하는 명령을 제공한다. 서비스 이벤트들은 시스템 버스(104)에 접속된 컴포넌트들 중 하나에 의해 또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들에 의해 처리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118)에 의해 트리거되는 이벤트들을 포함한다. 서비스 이벤트의 예로는 전화 서비스(126)에 의해 처리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2)에 의해 검출된 착신 전화 통화, 오퍼레이팅 시스템(118)의 구성 서비스(134)에 의해 처리되는 사용자 설정 시간에서의 알람 활성화, 또는 위치 서비스(132)에 의해 처리되는 위치 수신기 장치(도시 생략)로부터의 신규 장치 위치의 수신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이 신규 서비스 이벤트를 수신하게 되면, 신규 서비스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이벤트 서비스(138)에 송신하여 이 서비스 이벤트의 발생을 이벤트 서비스(138)에 통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정보는 인터-프로세스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2)들 사이에서 송신될 수도 있고, 다른 형태 또는 부가적으로는 파이프, 소켓, 공유 메모리, CGI(Common Gateway Interface) 또는 FastCGI(Fast Common Gateway Interface)의 이용과 같이 공통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2)들 사이에서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이하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벤트 서비스(138)는 서비스 이벤트와 관련하여 정보 수신을 요청했던 다른 엔터티(Entity)들에게 이벤트 서비스(138)의 명령을 경유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전화 장치(100)의 데이터 공유 서비스는 전화 장치(100)와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들 사이에 통신 네트워크(140)를 경유하여 데이터를 공유하게 하는 명령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공유 서비스는 전화 장치(100)의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 또는 스크립트와 다른 장치들의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들 또는 스크립트들 사이에 메시지를 송신하게 할 수도 있다. 이들 메시지들은 전화 장치(100)의 사용자 및 다른 장치들의 사용자들에 의해 작동되고 있는 다중 플레이어가 참여하는 게임(예를 들어, 카드 게임)을 실시하는 프로그램들 또는 스크립트들 사이에 통신을 행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다른 형태로는 전화 장치(100)와 다른 장치들 사이에 파일을 공유하기 위하여 메시지가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공유 서비스는 전화 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메시지 수신을, 전화 장치(100) 상의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들 또는 스크립트들 및/또는 다른 장치들의 브라우저들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들 또는 스크립트들에 통지하기 위하여 이벤트 서비스(138)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다중 플레이어가 참여하는 게임에서 플레이어에 의해 행해진 새로운 동작이 전화 장치 및 다른 장치들 양측에서 게임을 동작하는 프로그램들 및 스크립트들에 의해 수신될 수도 있다.
제1 복수의 명령 중 하나의 명령이 프로세서(102) 상에서 동작하는 다른 프로그램에 의해 이용(즉, 실행)될 경우, 전화 장치(100)의 상태는 하나의 상태에서 다른 생태로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화 장치(100)의 상태는 전화 호출을 행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전화 서비스(126)의 명령 중 하나를 실행함으로써 변경될 수도 있다. 즉, 전화 장치(100)의 상태는 "통화 상태 아님"에서 "통화 상태"로 변경될 수도 있다. 전화 장치(100)의 상태를 변경할 수도 있는 제1 복수의 명령 중 다른 예시적인 명령으로는 메시징 서비스(128)를 이용한 메시지의 송신, 교신 서비스(130)를 이용한 교신 다이얼 편집, 구성 서비스(134)를 이용한 장치의 구성 변경 등을 포함한다.
전화 장치(100)의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의 제1 복수의 명령들로 구현된 전화 장치(100)의 기능성을 이용하기 위하여, 그래픽 프로세싱 장치(114)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16)상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호작용을 행하기 위하여 사용자 입력 장치 또는 장치들을 이용할 수도 있으므로 전화 장치(100)의 기능을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 및 이에 의해 제공된 기능성은 전화 장치(100)의 프로세서(102) 상에서 동작할 수도 있는 서버 어플리케이션(120) 및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 모두에 의해 관리된다.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웹서버가 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화 장치(100)에 관하여 이용가능한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을 이용할 수도 있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서버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은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을 경유하여 액세스가 가능한 웹 서비스 세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생성된 콘텐츠는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은 이 콘텐츠를 처리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하여 그래픽 프로세싱 컴포넌트(114)를 적절하게 지시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16) 상에 표시하게 된다.
도 2a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의 제1 복수의 명령 중에서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는 스텝들을 나타낸다.
초기에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제1 명령 요청을 인식할 수도 있다(스텝 200).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제1 전송 프로토콜(예를 들어, HTTP)을 이용하여 이것에 제공된 명령 요청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명령 요청은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의해 전화 장치(100) 상에서 동작하는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거나 외부 컴퓨팅 장치(150)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전화 장치의 오퍼레이팅 시스템(118)에 의해 제공된 인터-프로세스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이 제1 명령 요청을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으로 송신함으로써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으로부터 제1 명령 요청이 수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명령 요청은 오퍼레이팅 시스템(118)의 네트워킹 프로그램에 의해 TCP 또는 UDP를 통하여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서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전화 장치(100)가 접속되는 통신 네트워크(140)를 통하여 제1 명령 요청을 전송하는 외부 컴퓨팅 장치(150)에 의해 외부 컴퓨팅 장치(150)로부터 제1 명령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명령 요청은 통신 네트워크(140)를 경유하여 TCP 또는 UDP를 통하여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제1 명령 요청은 전화 장치(1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2)에 의해 수신되어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송신될 수도 있다.
일단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이 스텝 200에서 제1 명령 요청을 인식했으면,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전화 장치(100)의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의 제1 복수의 명령 중에서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을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이 실행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는 제1 자원의 타입을 식별할 수도 있다(스텝 202).
제1 명령 요청은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기 위하여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의해 지시될 수도 있는 제1 자원을 식별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또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포함하는 HTTP GET 요청의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교신 서비스이고 제1 명령이 "Contacts"로 명명된 것인 URL "/phonebook/Contacts"를 이용함으로써, 제1 자원은 제1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과 제1 명령을 특정할 수도 있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제1 자원은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URL "/phonebookApp.php"를 이용하여,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의해 지시될 수도 있는 스크립트를 특정할 수도 있다.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의 각각의 명령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의 제1 복수의 명령들 중의 하나의 명령이며, 이하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자원의 타입에 따라서 스텝 204 및 스텝 206 또는 스텝 214에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들 중 하나를 이용하여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의해 행해진 인스트럭션에 응답하여 실행된다.
제1 명령 요청에 의해 식별된 제1 자원은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이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의 실행을 지시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는 제1 복수의 명령 중에서 제1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 및 제1 명령을 식별할 수도 있다. 제1 자원은 제1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의 이름과 경로 및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행해진 HTTP POST 요청에서의 제1 명령을 포함하는 URL을 이용함으로써 제1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 및 제1 명령을 식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원은 메시징 서비스(128)의 이름을 나타내는 "/messaging"과 제1 명령의 이름을 나타내는 "sms"인 URL "/messaging/sms"를 이용함으로써 제1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 및 제1 명령을 식별할 수도 있다. 데이터는 POST 요청에서의 제1 명령에 송신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SMS 메시지를 송신하는데 이용하는 전화 번호 및 메시지 텍스트는 POST 요청의 메시지 본문에서 POST 데이터 "number=012345&msgTxt=Hi"를 이용하여 특정될 수도 있다.
만일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이 상술한 스텝 202에서 제1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로서 제1 자원의 타입 및 제1 명령을 인식할 경우, 다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제1 복수의 명령을 이용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제1 명령을 실행하도록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의해 제1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을 지시함으로써 진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제1 명령을 실행하도록 제1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을 지시하기 위하여 파이프, 소켓, 공유 메모리, CGI 또는 FastCGI와 같은 제1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과의 사이에 공통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제1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명령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의 제1 복수의 명령에 속하는 제2 세트의 명령을 실행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만일 스텝 202에서 제1 자원의 타입이 제1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 및 제1 명령으로서 식별되는 경우,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의 인스트럭션에 응답하여 실행된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은 제1 명령 및 제2 세트의 명령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의 제1 복수의 명령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은 전화 장치(100)의 기능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스텝 204에서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은 전화 장치(100)에 관하여 이용가능한 제1 정보에 액세스할 수도 있다(스텝 206). 제1 정보는 스텝 204에서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의 실행에 의해 반환된 정보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의 세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스텝 204에서 실행된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의 각각의 명령은 정보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의 세트에서 정보의 일부분들 중 하나를 반환할 수도 있으며, 정보의 각각의 부분은 명령 실행의 성공 또는 실패를 나타낼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정보의 각각의 부분은 전화 장치(100)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 및/또는 전화 장치(100, 예를 들어, RAM(108)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106))에 저장된 데이터 및/또는 통신 네트워크(140)를 경유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반환할 수도 있다. 제1 정보의 예로는 교신 서비스(130)에 의해 유지된 교신 리스트에서 하나 이상의 엔트리, 메시징 서비스(128)에 의해 수신된 SMS 메시지 또는 이메일과 같이 전화 장치(100)에 의해 수신된 하나 이상의 메시지, 및/또는 미디어 서비스에 의해 제공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만일 스텝 206에서 실행된 제2 세트의 명령이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포함한 경우, 제2 세트의 명령의 실행에서 얻어진 정보의 일부분들은 제1 명령의 실행 동안 처리될 수도 있으며 제1 명령의 실행으로부터 얻어진 정보의 일부분들과 함께 제1 정보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그렇지 않고 만일 스텝 206에서 실행된 제2 세트의 명령이 비어있었을 경우, 제1 정보가 수집되고 제1 명령만을 실행하여 얻어진 정보의 일부분들을 이용하여 처리될 수도 있다.
제1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은, 제1 명령의 실행에 의해 반환되는 제1 정보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스텝 204에서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에서 제1 명령을 실행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제1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은 제1 정보에 관한 제1 콘텐츠를 생성한다(스텝 208).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의 실행 결과로서 액세스된 제1 정보는 제1 명령을 실행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에 의해 처리될 수도 있으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에 의해 생성되는 제1콘텐트를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은 제1정보를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또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과 같이 구조화된 데이터 포맷의 프로그램 정보로 나타낸다.
이 프로그램 정보는 제1 정보를 포함하거나, 제1 정보의 처리 결과로 얻어진 처리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그램 정보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갱신하기 위하여 제1 콘텐츠를 수신하는 프로그램(예를 들어,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 또는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의해 해석된 스크립트, 또는 외부 컴퓨팅 장치(150) 상에서 동작하는 적합한 프로그램 등)에 의해 차후에 처리될 수도 있다.
제1 콘텐츠는 인터-프로세스 통신 적합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으로부터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반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은 파이프, 소켓, 공유 메모리, CGI 또는 FastCGI와 같은 서버 프로그램(120)과의 사이에 공통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제1 명령 요청의 제1 자원의 타입을 스텝 202에서의 스크립트로서 식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크립트는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행해진 HTTP GET 요청에서의 URL "/phonebookApp.php"를 이용하여 명령 요청의 제1 자원으로 식별될 수도 있다. 데이터는 제1 자원의 URL에서의 파라미터, 예를 들어, URL "phonebookapp.php?sort=byName"를 이용함으로써, 제1 스크립트가 이용하기 위해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송신될 수도 있다. 제1 스크립트는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기 위하여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의해 지시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될 수도 있다.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도록 스크립트를 지시하기 위하여 제1 스크립트를 로딩하고 해석하는 인터프리터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도 있다(스텝 210).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이 이와 같이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스크립트들은 PHP: PHP 스크립트 및/또는 JSP(JavaServer Pages) 스크립트 및/또는 루비 온 레일스(Ruby on Rails) 스크립트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들 각각은 적합한 인터프리터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제1 스크립트를 특정하는 특정 세트의 파라미터들로 인터프리터 프로그램을 개시하도록 오퍼레이팅 시스템(118)을 지시함으로써 제1 스크립트를 해석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오퍼레이팅 시스템(118)에 의해 이용가능하게 되는 인터-프로세스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프로세서(102) 상에서 동작하는 인터프리터 프로그램의 인스턴스와 통신을 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제1 스크립트를 해석하도록 인터프리터 프로그램의 인스턴스를 지시하기 위하여, 파이프, 소켓, 공유 메모리, CGI 또는 FastCGI와 같은 적합한 인터프리터 프로그램과의 사이에 공통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인터프리터 프로그램이 제1 스크립트를 해석하는 동안, 제1 복수의 명령들의 하나 이상의 명령은 전화 장치(100)의 기능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제1 복수의 명령들의 하나 이상의 명령의 실행은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하나 이상의 명령 요청을 송신하는 제1 스크립트에서의 코드를 이용함으로써 요청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립트는, TCP 또는 UDP와 같은 전화 장치의 오퍼레이팅 시스템(118)에 의해 제공된 인터-프로세스 통신 방법 및 오퍼레이팅 시스템(118)의 네트워킹 프로그램을 이용함으로써, HTTP GET 요청의 형태로 명령 요청을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스크립트는 파이프, 소켓, 공유 메모리, CGI 또는 FastCGI와 같은 서버 어플리케이션(120)과의 사이에 공통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명령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스크립트에 의해 행해진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대한 각각의 명령 요청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인 자원 및 명령을 식별할 수도 있다.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제1 복수의 명령이 다른 프로그램들에 의한 실행에 이용 가능하게 하는 방법들 중 하나를 이용하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이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의해 명령을 실행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명령을 실행하도록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를 지시하기 위하여,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파이프, 소켓, 공유 메모리, CGI 또는 FastCGI와 같은 적합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과의 사이에 공통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은 제1 스크립트에서 이것에 이와 같이 행해진 명령 요청의 결과로서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 각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스크립트에 의해 행해진 명령 요청은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이 또 다른 세트의 명령(즉, 명령 및/또는 또 다른 스크립트를 실행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을 식별하는 명령 요청을 행하는 제2 스크립트)을 실행하도록 이용할 수도 있는 제2 스크립트인 자원을 식별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은 제1 스크립트에 의해 행해진 명령 요청의 결과로서 해석되는 또 다른 스크립트에 의해 행해진 명령 요청에서 특정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에 의해 실행된 명령 세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스텝 210에서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의 실행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은 전화 장치(100)에 관하여 이용가능한 제1 정보에 액세스할 수도 있다(스텝 212). 제1 정보는 스텝 210에서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의 실행에 의해 반환된 정보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의 세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스텝 210에서 실행된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의 각각의 명령은 정보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의 세트에서의 정보의 일부분들 중 하나를 반환할 수도 있으므로 정보의 각 부분은 명령 실행의 성공 또는 실패를 나타낼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정보의 각 부분은 전화 장치(100)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 및/또는 전화 장치(100)에 저장(예를 들어, RAM(108)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106)에 저장)된 데이터 및/또는 통신 네트워크(140)를 경유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반환할 수도 있다. 제1 정보의 예로는 교신 서비스(130)에 의해 유지된 교신 리스트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엔트리, 메시징 서비스(128)에 의해 수신된 SMS 메시지 또는 이메일과 같은 장치에 의해 수신된 하나 이상의 메시지, 및/또는 미디어 서비스에 의해 제공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의 각각의 명령에 대하여, 이 명령을 실행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은 이 명령의 실행에 의해 반환된 정보의 일부분에 액세스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의해 액세스된 제1 정보는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의 실행에 대해 응답하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으로 반환된 정보의 일부분들로 형성된다.
그런 다음, 하나 이상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은 제1 정보에 관한 제1 교신을 생성할 수도 있다(스텝 214).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의 실행의 결과로서 스텝 212에서 액세스된 제1 정보는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으로 먼저 송신된다. 제1 정보는 인터-프로세스 통신의 적합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각각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으로부터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은 파이프, 소켓, 공유 메모리, CGI 또는 FastCGI와 같은 서버 프로그램(120)과의 사이에 공통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제1 정보는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의 각각의 명령의 실행 결과로서 획득된 정보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정보의 이들 부분들 각각은 JSON 또는 XML과 같은 구조화된 데이터 포맷으로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으로 독립적으로 송신될 수도 있으며,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정보의 각 부분을 정보의 이 부분에 액세스하게 되는 명령 요청을 행하게 된 스크립트, 즉, 제1 명령 요청에서 특정된 제1 스크립트 또는 제1 스크립트에 의해 행해진 명령 요청에 응답하여 해석된 적합한 또 다른 스크립트에 송신할 수도 있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정보의 각 부분은 HTTP POST 요청의 메시지 본문에서 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으로부터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독립적으로 송신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정보의 일부분은 URL 인코딩(즉, '퍼센트 인코딩')을 이용하여 CSV(comma separated value) 또는 패킹된 바이너리 포맷으로 인코딩될 수도 있다.
정보의 이들 부분들은 인터-프로세스 통신의 적합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으로부터 적합한 스크립트에 반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은 파이프, 소켓, 공유 메모리, CGI 또는 FastCGI와 같은 인터프리터 프로그램(즉, 스크립트를 해석하는 프로그램)과의 사이에 공통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정보의 일부를 수신하는 각각의 스크립트는 정보의 이 부분을 처리하여 콘텐츠의 일부분을 생성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조화된 데이터 포맷으로 나타내는 정보의 일부분이 처리될 수도 있으며, 및/또는 이것을 처리하는 스크립트에 의해 포맷팅되어 HTML 문서 내로 삽입되거나, 이 문서의 외관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제1 스크립트에 의해 행해진 명령 요청에 응답하여 해석된 임의의 또 다른 스크립트들에 의해 작성되는 콘텐츠의 각각의 부분들은, 콘텐츠의 이들 부분들 각각을 먼저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송신하고 그런 다음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이 콘텐츠의 이들 부분들을 제1 스크립트에 송신함으로써, 제1 스크립트에 송신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스크립트들과 서버 어플리케이션(120) 및 제1 스크립트들 사이의 콘텐츠의 이들 부분들의 송신은 인터-프로세스 통신의 적합한 방법을 경유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 소켓, 공유 메모리, CGI 또는 FastCGI와 같은 인터프리터 프로그램(즉, 스크립트를 해석하는 프로그램)과 서버 어플리케이션 사이에 공통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이러한 송신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콘텐츠를 작성하기 위하여, 제1 스크립트에 의해 작성된 콘텐츠의 부분들은 제1 스크립트에 의해 행해진 명령 요청에 응답하여 해석된 임의의 또 다른 스크립트들에 의해 작성된 콘텐츠의 임의의 부분들과 함께 이용된다. 제1 콘텐츠는 인터-프로세스 통신의 적합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제1 스크립트로부터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반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립트를 동작시키는 인터프리터는 파이프, 소켓, 공유 메모리, CGI 또는 FastCGI와 같은 서버 프로그램(120)과의 사이에 공통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스크립트인 제1 자원에 의해 생성된 제1 콘텐츠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는 외관 정보(appearance information), 프로그램 정보, 및 명령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콘텐츠를 생성하는 프로세스에 이용된 제1 정보는 이들 타입의 정보 각각을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콘텐츠에 포함된 외관 정보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콘텐츠 및 객체들의 모양과 느낌과 레이아웃을 포함하여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모양과 느낌에 관한 디스플레이 데이터와 같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외관에 관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스텝 212에서 서버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액세스된 장치에 관하여 이용 가능한 제1 정보에 관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정보는 착신 통화를 행하고 있는 교신의 이름이 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교신의 이름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될 수 있도록 제1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제1 정보는 시간을 포함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시간을 나타내기 위하여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이용될 색상, 아이콘(예를 들어, 태양 또는 달 아이콘) 등을 디스플레이 데이터 내에 포함시킴으로써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모양 및 느낌을 설정할 수도 있다.
외관 정보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과 같은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로 정의될 수도 있다. 이 외관 정보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하여 제1 콘텐츠를 수신하는 프로그램(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 또는 외부 컴퓨팅 장치(150) 상에서 동작하는 적합한 프로그램)에 의해 차후에 처리될 수도 있다.
콘텐츠에 포함된 프로그램 정보는 제1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의 형태일 수도 있으며, HTML 콘텐츠 내에 내장되는 JavaScript 또는 VBScript(Visual Basic Script)와 같은 스크립트 언어의 형태가 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JavaScript 파일로 될 수도 있다. 이들 스크립트들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갱신 및/또는 관리하기 위하여 제1 콘텐츠를 수신하는 프로그램(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 또는 외부 컴퓨팅 장치(150) 상에서 동작하는 적합한 프로그램)에 의해 차후에 해석될 수도 있다. 스크립트들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또는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응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관리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콘텐츠에 포함된 프로그램 정보는 스텝 212에서 액세스된 제1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또는 제1 정보의 프로세싱의 결과로 얻은 처리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정보는 HTML 콘텐츠에 내장될 수도 있으며 및/또는 CSV(comma-separated value)와 같은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또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로 나타내거나 URL 인코딩(즉, '퍼센트 인코딩')을 이용하여 인코딩되거나, 또는 다른 구조화된 데이터 포맷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프로그램 정보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갱신하기 위하여 제1 콘텐츠를 수신하는 프로그램(예를 들어,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 또는 외부 컴퓨팅 장치(150) 상에서 동작하는 적합한 프로그램)에 의해 차후에 처리될 수도 있다.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또 다른 콘텐츠를 검색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갱신하기 위하여, 콘텐츠에 포함된 명령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행해진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상호작용에 응답하거나 또는 서비스 이벤트에 응답하여 이용될 수도 있는 명령 요청 세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명령 정보는 HTML 콘텐츠 내의 하이퍼링크의 형태일 수도 있으며, 및/또는 콘텐츠 검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명령을 이용하는 프로그램 정보의 스크립트 내의 인스트럭션 형태일 수도 있다. 이 명령 정보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및/또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갱신하도록 프로그램이 또 다른 명령 요청을 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1 콘텐츠를 검색하는 프로그램(예를 들어,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 또는 외부 컴퓨팅 장치(150) 상에서 동작하는 적합한 프로그램)에 의해 차후에 처리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제1 명령 요청에 대한 제1 응답을 생성하고, 제1 응답은 스텝 208 또는 스텝 214에서 생성된 제1 콘텐츠를 포함한다(스텝 216). 제1 명령 요청에 대한 제1 응답은 제1 명령 요청이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제공하는데 이용된 동일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행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응답은 제1 명령 요청을 포함하는 HTTP 요청에 대한 HTTP 응답이 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제1 명령 요청은 상술한 바와 같이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 또는 외부 컴퓨팅 장치(150)에 의해 행해진다.
제1 명령에 대한 제1 응답은 요청의 발신자가 제1 응답에서 제1 콘텐츠를 처리하기 위하여 제1 명령 요청의 발신자에게 송신(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의 경우) 또는 전송(외부 컴퓨팅 장치(150)의 경우)된다.
만일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이 상기 스텝 200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으로부터 제1 명령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제1 컨텐츠가 포함할 수도 있는 제1 정보를 지시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장치(116) 상에 표시하기 위하여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이 제1 콘텐츠를 제1 응답에서 처리하도록 제1 응답이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으로 송신된다. 예를 들어, 제1 응답은 오퍼레이팅 시스템(118)의 네트워킹 프로그램에 의해 TCP 또는 UDP를 통하여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으로 반송될 수도 있다.
만일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이 외부 컴퓨팅 장치(150)로부터 제1 명령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제1 응답은 전화 장치(100)가 접속(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2)를 이용하여 서버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통신 네트워크(140)를 경유하여 외부 컴퓨팅 장치(150)로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의해 다시 전송된다. 예를 들어, 제1 응답은 통신 네트워크(140)를 경유하여 TCP 또는 UDP를 통하여 외부 컴퓨팅 장치(150)로 다시 전송될 수도 있다.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 또는 외부 컴퓨팅 장치(150)에 의해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행해진 명령 요청에서 특정되는 파일로부터 검색된 스태틱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스태틱 콘텐츠는, 예를 들어, 하나의 명령 요청에서 다른 것까지의 시간을 변경하기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콘텐츠는, 예를 들어, HTML 문서, CSS(Cascading Style Sheet) 문서, JavaScript 프로그램, 및/또는 HTTP를 이용(예를 들어, 요청된 문서(예를 들어, HTTP GET 요청에서 "help/index.html")의 이름 및 경로를 포함하는 URL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명령 요청으로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 요청될 수도 있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멀티미디어를 제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 스태틱 콘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 및/또는 관리를 위해 스태틱 HTML, CSS 또는 JavaScript 문서를 제공하기 위해 스태틱 콘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 또는 외부 컴퓨팅 장치(150)에 의해 표시될 수도 있다.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은 전송 프로토콜(예를 들어, HTTP)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요청 및 검색할 수 있는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도 있다. 일단 콘텐츠가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 의해 검색되었다면, 요청된 콘텐츠를 처리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6) 상에 처리된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그래픽 프로세싱 장치(114)를 이용한다.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은 마크-업(mark-up) 언어(예를 들어, HTML)로 기술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전화 장치(100)의 기능성을 제어하기 위하여,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링크, 버튼 및 그 밖의 다른 객체들이 전화 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이용될 수도 있다.
도 2b는 전화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장치(116)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하여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는 스텝들을 나타낸다.
초기에,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은 제1 전송 프로토콜(예를 들어, HTTP GET 요청)을 이용하여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제1 명령 요청을 송신한다(스텝 250). 상기 스텝 200에서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의 관점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은 전화 장치의 오퍼레이팅 시스템(118)에 의해 제공된 인터-프로세스 통신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명령 요청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명령 요청은 오퍼레이팅 시스템(118)의 네트워킹 프로그램에 의해 TCP 또는 UDP를 통하여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으로부터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스텝 250에서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서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으로 송신된 제1 명령 요청은 스크립트(script)에 해당하는 자원을 식별하는 URL 또는 URI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화 장치(100)가 턴온되고 오퍼레이팅 시스템(118)이 개시된 후에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이 먼저 로딩될 경우,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은 초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기 위하여 URL "http://phoneServer/homeScreen.php"를 포함하는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명령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http://phoneServer/homeScreen.php"와 같은 URL를 포함하는 제1 명령 요청을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서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으로 송신하기 위하여,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은 명령 요청이 HTTP 프로토콜(즉, 상기 URL에서 "http://")을 경유하여 행해져야 함을 인식하고,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이 명령 요청을 송신해야되는 것을 판단하기 위하여 오퍼레이팅 시스템(118)의 네트워킹 프로그램을 이용하고(예를 들어, 네트워킹 프로그램은 "phoneServer"를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의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로 분해하기 위해 네임서버 기능을 포함하거나 이용할 수도 있음), 명령 요청을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송신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도 2a에 나타낸 스텝 210 내지 스텝 214에 따라서,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기 위하여 명령 요청에서 식별된 스크립트를 이용하고, 전화 장치(100)에 관하여 이용가능한 제1 정보에 액세스하고, 제1 정보에 관한 제1 콘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2a에 나타낸 스텝 214에 따라서, 제1 콘텐츠는 제1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1 명령 요청에 대한 제1 응답에서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서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으로 송신된다(스텝 252).
일단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이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 제1 콘텐츠를 수신하게 되면,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스텝 212에서 서버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액세스된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장치(116) 상에 표시하기 위하여 제1 콘텐츠를 처리할 수도 있다(스텝 254).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 의해 수신된 제1 콘텐츠는, 텍스트, 하이퍼링크, 형태, 버튼 등을 구성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하여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이 처리할 수도 있는 외관 정보(HTML로 인코딩될 수도 있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요소들을 재배치하고 갱신하여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관리하기 위하여, 제1 콘텐츠는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이 해석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브라우저 스크립트(예를 들어, JavaScript)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콘텐츠는 명령 요청 세트를 포함하는 명령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호작용하는 사용자에 응답하여 명령 정보의 명령 요청 세트에서 하나 이상의 명령 요청을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들 명령 요청 중 하나는 하이퍼링크 또는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에 응답하여 또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형태를 대체함으로써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제1 콘텐츠의 프로그램 정보에서 브라우저 스크립트는, 사용자 입력 수단을 경유한 사용자 입력 또는 하나 이상의 브라우저 스트립트에 의해 검출된 프로그램 상태와 같은 브라우저 스크립트에 의해 검출된 이벤트에 응답하여, 명령 정보의 명령 요청 세트에서 하나 이상의 명령 요청을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외관 정보는 또 다른 외관 정보, 다른 프로그램 정보, 및/또는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하여 처리할 수도 있는 다른 명령 정보와 같은 다른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하여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다른 명령 요청을 행하도록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 대한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콘텐츠는 HTML 문서, JavaScript 문서, 및/또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는 멀티미디어 파일과 같은 하나 이상의 파일 또는 문서의 형태로 검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콘텐츠는 복수의 HTML 문서(예를 들어, 다른 프레임에서 다른 문서를 이용)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및/또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의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은, 동일 콘텐츠 및/또는 정보를 차후에 요청하는 동안 서버 어플리케이션(122)으로부터 이것을 요청하기보다는 캐시로부터 이 콘텐츠 및/또는 정보 몇몇을 검색하기 위하여,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 이전에 수신된 몇몇 콘텐츠 및/또는 정보 몇몇을 캐시(예를 들어, RAM(108)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106))에 유지할 수도 있다.
일단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스텝 254에 따라서 표시되었다면,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은 전화 장치(100)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서비스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 이벤트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도 있다(스텝 256). 서비스 이벤트 스크립트는 스텝 252에서 수신된 제1 콘텐츠에 내장된 JavaScript의 형태일 수도 있으며, 또는 스텝 252에서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 의해 행해진 또 다른 콘텐츠에 대한 요청에 응답하여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 의해 수신된 별도의 JavaScript 파일일 수도 있다. 서비스 이벤트 스크립트는 서비스 이벤트에 응답하여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 의해 제공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갱신을 제어하기 위하여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 의해 해석될 수도 있다.
서비스 이벤트 스크립트는 제1 이벤트 명령 요청을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초기에 송신함으로써 서비스 이벤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으로 송신된 이 제1 이벤트 명령 요청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인 자원과 제1 이벤트 명령을 식별하는 URL 또는 URI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이벤트 명령 요청에서 식별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은 이벤트 서비스(138)일 수도 있고, 제1 이벤트 명령은 이벤트 서비스(138)의 신규 이벤트 커맨드(command)를 수신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이벤트 서비스(138)가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200 내지 스텝 208 및 스텝 216에 따라서 제1 이벤트 명령을 실행하도록 지시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벤트 서비스(138)의 수신된 신규 이벤트 명령의 실행은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제1 신규 이벤트 콘텐츠를 반환하게 되고, 이 제1 신규 이벤트 콘텐츠는 최근 발생하였던 신규 이벤트에 관한 구조화된 데이터 포맷으로 나타낸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신규 이벤트 콘텐츠는 제1 신규 이벤트 응답에서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 의해 해석되는 서비스 이벤트 스크립트에 송신된다. 만일 신규 서비스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이벤트 서비스(138)의 수신된 신규 이벤트 명령은 신규 서비스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어떠한 콘텐츠도 반환하지 않게 되므로,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신규 서비스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제1 신규 이벤트 응답을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면, 서비스 이벤트 스크립트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갱신하기 위하여 제1 이벤트 응답에 포함된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정보는 전화 장치(1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2)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특정 영역에 아이콘 또는 이미지를 나타냄으로써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될 수도 있는 무선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140)에 접속되었음을 나타낼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서비스 이벤트 스크립트는 또 다른 서비스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하여 제2 이벤트 명령 요청을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송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이벤트 스크립트가 명령 요청을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송신하여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갱신하기 위하여, 제1 이벤트 스크립트 및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백그라운드에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와 동작을 갱신하기 위하여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프레임워크에 따라서 동작할 수도 있다. 즉,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 전체적으로 다시 로딩할 필요가 있는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이 없이도 동작할 수도 있다.
제1 이벤트 응답에 포함된 프로그램 정보는 서비스 이벤트에 응답하여 정보에 액세스하고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하여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이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제2 명령 요청을 송신해야하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여기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대체할 수도 있다(스텝 258). 이러한 경우, 프로그램 정보는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이 제2 명령 요청을 행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는 URL 또는 URI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는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이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게 신규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것을 요청하는 이벤트를 통지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만일 사용자가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 의해 표시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고 있는 도중에 전화 장치(100)는 착신 전화 통화를 수신하고 있다면, 서비스 이벤트는 이 착신 통화에 관련된 정보와 이 착신 통화를 사용자가 수락 또는 거절하도록 하는 명령 요청과 연관된 하이퍼링크 및/또는 버튼들로 구성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 로딩하도록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을 지시하기 위하여 트리거링될 수도 있다.
만일 제1 이벤트 응답이 스텝 258에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하여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제2 명령 요청을 송신해야하는 것을 나타낸다면, 브라우저는 이를 행하기 위하여 스텝 250으로 되돌아가고, 그렇지 않으면 스텝 260을 지속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실시예에 있어서,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은 전화 장치(100)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에 관하여 발생하는 서비스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 이벤트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도 있다. 각각의 서비스 이벤트 스크립트는 상술한 스텝에 따라서 서비스 이벤트를 검출할 수도 있다. 서비스 이벤트 스크립트에 의해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송신된 각각의 이벤트 명령 요청은 서비스 이벤트 스크립트가 특정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의 서비스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기를 원하고 있음을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이벤트 스크립트는 만일 신규의 SMS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통지를 표시하기 위하여 메시징 서비스(128)의 서비스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기 원하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은 하나 이상의 브라우저 스크립트에 의해 행해진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의 갱신을 처리할 수도 있다(스텝 260).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브라우저 스크립트는 사용자 입력 또는 그 밖의 다른 프로그램 상태와 같은 브라우저 스크립트에 의해 검출된 이벤트에 응답하여 명령 정보로부터 하나 이상의 명령 요청을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브라우저 스크립트에 의해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송신된 명령 요청은 전화 장치(100)에 관한 정보에 액세스하고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갱신에 응답하여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을 지시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갱신하는데 이용된 명령 요청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인 자원과 제1 갱신 명령을 식별하는 URL 또는 URI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200 내지 스텝 208 및 스텝 216에 따라서 제1 갱신 명령을 실행하도록 특정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을 지시하게 된다. 이들 스텝에 따라서, 제1 갱신 명령의 실행은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제1 갱신 콘텐츠를 반환하게 되며, 이는 구조화된 데이터 포맷으로 나타낸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제1 갱신 콘텐츠는 제1 갱신 응답에서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 의해 해석되는 제1 브라우저 스크립트에 송신된다. 제1 브라우저 스크립트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갱신하기 위하여 제1 갱신 응답에 포함된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정보는 제1 브라우저 스크립트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HTML 테이블을 이용하여 포맷팅되고 표시될 수도 있는 교신 및 이들의 전화 번호 리스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브라우저 스크립트가 명령 요청을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송신하여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갱신하기 위하여, 브라우저 스크립트 및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백그라운드에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와 동작을 갱신하기 위하여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프레임워크에 따라서 예시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즉,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 전체적으로 다시 로딩할 필요가 있는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이 없이도 동작할 수도 있다.
브라우저 스크립트에 의해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송신된 명령 요청은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이 전화 장치(100)에 관한 정보에 액세스하고 또한 이에 대한 응답으로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 의해 표시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지시하기 위하여 달리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는 만일 브라우저 스크립트에 의해 테스트된 특정 프로그램 상태를 만족할 경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이용될 수도 있다.
만일 스텝 260에서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이 브라우저 스크립트에 의해 스텝 250 내지 스텝 254의 결과로서 현재 표시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2 명령 요청을 이용하여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 검색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교체하도록 지시할 경우,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은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으로 제2 명령 요청을 송신하고 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를 준비하기 위하여 스텝 250으로 되돌아가고(스텝 262), 그렇지 않을 경우 스텝 264로 지속하게 된다.
그런 다음, 브라우저는 어떤 것 또는 사용자 입력 수단을 경유하여 수신된 임의의 다른 사용자 입력을 처리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스텝 260에서 하나 이상의 브라우저 스크립트에 의해 처리되지 않았던 것이다. 예를 들어, 명령 요청(즉, 명령 요청은 명령 정보의 명령 요청 세트의 일부를 형성)과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의 아이템 선택을 들 수 있다(스텝 264). 아이템의 예로는 사용자가 하이퍼링크, 버튼, 형식 등을 포함하는 명령 요청과 연관될 수도 있다. 만일 사용자가 명령 요청과 연관된 아이템을 선택하였을 경우, 명령 요청은 전화 장치(100)와 관련된 정보에 액세스하도록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을 지시하고 또한 이에 대한 응답으로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 의한 표시를 위하여 디스플레이에 대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 의해 이용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시된 교신 리스트로부터 선택되었던 특정 교신으로 SMS 메시지를 기입하도록 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스텝 264에서, 만일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하여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제2 명령 요청을 송신해야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다른 사용자 입력을 처리할 경우,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은 제2 명령 요청을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송신하고 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준비하기 위하여 스텝 250으로 되돌아가며(스텝 266), 그렇지 않을 경우 서비스 이벤트 등을 계속 처리하기 위하여 스텝 256으로 되돌아 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 어플리케이션(120) 및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전화 장치(100)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은 이하에 기재되는 몇몇 이점을 갖는다. 먼저, HTTP와 같이 공지의 전송 프로토콜이 될 수도 있는 제1 전송 프로토콜을 경유하여 명령 요청을 행함으로써 전화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현존하는 브라우저에서 이용 가능한 공지의 전송 프로토콜 및 이들 브라우저에서 동작할 수도 있는 스크립트에 의해 제1 복수의 명령들의 명령의 실행을 요청하게 한다.
제1 복수의 명령에 의해 제공된 전화 장치(100)의 기능상의 제어 정도는 매우 세밀하게 될 수 있으며, 제1 전송 프로토콜(예를 들어, HTTP)을 경유하여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송신된 명령 요청을 이용하여 전화 장치(100)의 세밀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1 복수의 명령들은 HTTP를 경유하여 전화 장치(1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정보 및/또는 제1 복수의 명령의 실행 결과로서 이용 가능한 결과들의 제공은 제1 전송 프로토콜(예를 들어, HTTP 응답)을 이용하여 응답을 통해 명령 요청을 구조화된 데이터 포맷으로 송신하는 엔터티(Entity)로 반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상호작용을 향상시기기 위해 이용되는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 의해 해석된 스크립트와 병합될 수도 있는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생성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들 스크립트들은 신규 정보 또는 요청된 정보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부분들을 갱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고, 및/또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서비스 이벤트에 응답하여 이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부분들을 갱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으로는 전화 장치(100)(즉,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의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에 의해 제공)의 기능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즉,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의해 실행된 스크립트)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것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즉,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 의해)를 표시하는데 필요한 것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이들 컴포넌트 각각의 설계가, 공지의 툴, 전송 프로토콜 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설계되는 전화 장치(100)에 대한 신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제1 명령 세트의 실행에 응답하여 액세스되는 장치에 관하여 이용 가능한 정보에 따라서 고객맞춤형으로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외관은 시간에 따라서 변경될 수도 있고(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의해 해석된 스크립트 및/또는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 의해 해석된 스크립트를 이용), 또는 전화 장치(100) 등의 위치에 따라서 변경될 수도 있다(전화 장치(100) 내의 수신기 장치(도시 생략)의 위치를 이용하여 위치 서비스(132)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음).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은 전화 장치(100)의 기능성을 제어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하여 스크립트인 자원을 특정하는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대하여 임의의 명령 요청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실시예에 있어서,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은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의해 제공된 HTML을 이용하여 포맷팅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필요가 없고, 대신에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및/또는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의 프로시저를 이용하여 외관이 결정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은 HTML을 이용하여 포맷된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인터넷 브라우저일 필요는 없지만,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인 자원 및 명령을 특정하고, 명령 세트를 실행하고 XML 또는 JSON과 같은 구조화된 데이터 포맷으로 된 콘텐츠인 전화 장치(100)에 관한 정보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송신하는 명령 요청을 이용할 수도 있다.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은 이 정보를 처리하고,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 임의의 외관 정보를 검색하지 않고 표시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로 삽입하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외관에 관하여 행해진 모든 결정 사항들은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 의해 행해질 수도 있다.
상기 스텝 20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외부 컴퓨팅 장치(150)로부터 수신되었던 명령 요청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외부 컴퓨팅 장치(150)는, 외부 컴퓨팅 장치(150)가 포함하거나 접속될 수도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하여, 전화 장치(100)의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과 동일한 방식, 즉, 도 2b의 스텝들에 따라서, 제2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b에서, 전화 장치(100)의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은, 예를 들어,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명령 요청을 송신하거나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 명령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서버 어플리케이션(120)과 통신을 행하며, 외부 컴퓨팅 장치(150)의 제2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은 그 대신에, 예를 들어, HTTP 요청을 TCP를 통하여 송신함으로써,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 어플리케이션(120)과 통신을 행해야만 한다. 전화 장치(100)는 통신 네트워크(140)를 경유함으로써 외부 컴퓨팅 장치(150)에 액세스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컴퓨팅 장치(150)에 알려진 통신 네트워크 상의 고정 IP 어드레스를 이용하거나, 또는 다른 형태로, 예를 들어, 인터넷을 경유하여 외부 컴퓨팅 장치에 액세스할 수 있는 알려진 서버로 액세스될 수도 있는 현재 IP 어드레스를 등록하는 전화 장치(100)에 의해 액세스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전화 장치(100)의 기능성은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 의해 표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도 있는 외부 컴퓨팅 장치(150)를 이용하여 완전히 제어될 수도 있다. 즉, 양측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컴퓨팅 장치상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은 외관이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및/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결정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은 HTML을 이용하여 포맷된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인터넷 브라우저일 필요는 없으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인 자원 및 명령만을 특정하는 명령 요청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명령 요청은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고 XML 또는 JSON과 같은 구조화된 데이터 포맷으로 된 콘텐츠인 전화 장치(100)에 관한 정보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통신 네트워크(140)를 경유하여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전송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은,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 임의의 외관 정보를 검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없이도, 이 정보를 처리하고, 외부 컴퓨팅 장치(150)가 포함하거나 이에 접속될 수도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커스텀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 삽입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외관에 관하여 행해진 모든 결정 사항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에 의해 행해진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외부 컴퓨팅 프로그램상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에 의해 제시된 커스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외부 컴퓨팅 장치(100)로부터 자신의 전화 장치(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컴퓨팅 장치(150)는 전화 장치(100)의 기능성을 제어하고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데 이용되는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는 웹 제어 서비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웹 제어 서비스는 제1 명령 세트의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명령을 실행하고 XML 또는 JSON과 같은 구조화된 데이터 포맷으로 된 콘텐츠인 전화 장치(100)에 관한 정보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통신 네트워크(140)를 경유하여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전송된 명령 요청을 이용할 수도 있다. 웹 제어 서비스는,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 임의의 외관 정보를 검색하는 웹 제어 서비스가 없어도, 이 정보를 처리하고, 개인용 컴퓨터가 접속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웹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개인용 컴퓨터에 제공할 수도 있는 웹 콘텐츠 내에 이 정보를 삽입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외관에 관하여 행해진 모든 결정들은 웹 제어 서비스에 의해 행해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상에서 제시된 커스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함으로써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자신의 전화 장치(100)를 제어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커스텀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외부 컴퓨팅 장치(150) 상에서 동작하는 웹 제어 서비스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전화 장치(100)가 제어될 수도 있는 커스텀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상에서 전화 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보여지는 인터넷 웹페이지에 병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전화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커스텀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개인용 컴퓨터상에서 자신의 Facebook 페이지를 볼 때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인터넷 웹페이지에 포함될 수 있고, 여기서 외부 컴퓨팅 장치(150; Facebook 페이지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서버일 수도 있음)은 커스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커스텀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전화 장치(100)를 이용하여 모바일 통화를 행하도록 하거나, 또는 다른 사용자에게 전화 장치(100)를 이용하여 SMS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도 2a의 스텝 216에서, 예를 들어, 외부 컴퓨팅 장치(150)로부터 스텝 200에서 수신된 제1 명령 요청에 응답하여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 제1 응답을 송신할 수도 있다. 제1 응답은 스텝 208 또는 스텝 214에서 서버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제1 콘텐츠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2 응답은 컴퓨팅 장치(150)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는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라서 외부 컴퓨팅 장치(150)를 이용하여 전화 장치(100)의 기능성을 제어하는 사용자에 응답하여 전화 장치(100)의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이 전화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장치(116)상에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한다. 브라우저 정보에 의해 표시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스텝 206 또는 스텝 212에서 제1 명령 요청에 응답하여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의해 액세스된 제1 정보를 나타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도 2a의 스텝 216에서, 예를 들어, 외부 컴퓨팅 장치(150)로부터 스텝 200에서 수신된 제1 명령 요청에 응답하여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 의해 해석되는 서비스 이벤트 스크립트에 제1 이벤트 응답을 송신할 수도 있다. 제1 이벤트 응답은 스텝 208 또는 스텝 214에서 서버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제1 콘텐츠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제1 이벤트 응답은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 의해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갱신되어야 하는 서비스 이벤트 스크립트에 대한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이벤트 스크립트가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 의해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갱신하기 위하여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는 서비스 이벤트 스크립트에 명령 요청을 제공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SMS 메시지를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 전송하고, 텍스트 메시지의 표시 확인 전달(indication confirming delivery)를 표시하기 위하여,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 이벤트 서비스(138) 및 메시징 서비스(128)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는 스텝들을 나타낸다.
초기에,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은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의 제1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1 응답을 수신하고 상술한 도 2b에서의 스텝들에 따라서 제1 콘텐츠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낼 수도 있다.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은 전화 장치(100)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서비스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 이벤트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도 있다. 서비스 이벤트 스크립트는 제1 이벤트 명령 요청을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초기에 송신함으로써 서비스 이벤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스텝 302). 이벤트 스크립트에 의해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송신된 제1 이벤트 명령 요청은, 만일 신규 SMS 메시지가 수신되거나 전송된 SMS 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전달될 경우 통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메시징 서비스(128)의 서비스 이벤트에 관한 정보 수신을 원하고 있음을 지시할 수도 있다.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도 2a의 스텝들에 따라서 이벤트 서비스(138)를 이용하여 제1 이벤트 명령 요청을 실행하도록 이벤트 서비스(138)를 지시하게 된다. 메시징 서비스(128)의 신규 서비스 이벤트 발생이 없으면, 이벤트 서비스(138)의 수신된 신규 이벤트 명령은 신규 서비스 이벤트가 발생될 때까지 임의의 어떠한 콘텐츠도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반환할 수 없게 되므로,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신규 서비스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제1 신규 이벤트 요청을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벤트 서비스(138)가 신규 이벤트가 발생하기를 대기하고 있을 동안, 제1 이벤트 명령 요청은 계속 보류(pending)된다. 제1 이벤트 명령 요청은 특정 시간 후에 경과, 즉, 타이아웃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경과되었던 제1 이벤트 커맨트 요청을 대체하기 위하여 서비스 이벤트에 의해 신규의 제1 이벤트 명령 요청이 송신된다.
사용자는 SMS 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하여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고 있는 중에 있을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있는 링크 또는 버튼을 누름으로써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SMS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링크 또는 버튼은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이 제1 명령 요청을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송신하도록 하거나,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에서 동작하는 브라우저 스크립트가 제1 명령 요청을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송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스텝 304). 이 제1 명령 요청은, 입력된 SMS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하여, 제1 복수의 명령의 하나 이상의 커맨트 세트를 실행하도록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을 지시할 수도 있다. 제1 명령 요청은 송신될 SMS 메시지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명령 요청은 송신될 SMS 메시지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파라미터를 갖는 URL, SMS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전화 번호를 갖는 다른 파라미터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도 2a의 스텝들에 따라서 제1 명령 요청을 처리할 수도 있다. 제1 명령 요청은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이 SMS 메시지를 송신할 필요가 있는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도록 메시징 서비스를 지시해야하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으므로,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입력된 SMS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하여, 메시징 서비스(128)가 제1 복수의 명령의 하나 이상의 명령 세트를 실행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명령 세트의 실행 결과로서, 메시징 서비스는 특정된 전화 번호로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텍스트를 포함하는 SMS 메시지를 통신 네트워크(140; GSM 네트워크일 수도 있음)를 경유하여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2)를 이용할 수도 있다(스텝 306).
그런 다음, 메시징 서비스(128)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2)에 의해 SMS 메시지의 전송이 성공적인(또는 실패적인)지에 관한 정보와 같이 전화 장치(100)에 관한 정보에 액세스하고,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반환되는 이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콘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은 제1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1 응답을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할 수도 있다(스텝 308).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은 제1 응답을 수신하고, SMS 메시지가 전송되었음을 나타내도록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갱신하기 위해 제1 콘텐츠를 이용할 수도 있다(스텝 310). 예를 들어, 제1 콘텐츠는 SMS 메시지가 전송되었음을 나타내는 구조화된 데이터 포맷으로 된 데이터와 같은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갱신하기 위하여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서 동작하는 브라우저 스크립트에 의해 이용될 수도 있다.
SMS 메시지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전화 번호를 갖는 전화로 통신 네트워크(140; 예를 들어, GSM 네트워크)에 의해 전달될 수도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통신 네트워크(140)를 경유하여 전화 장치(100)에 전송되는 SMS 메시지 전달이 확인되었음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이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2)에 의해 수신되고 메시징 서비스(128)에 의해 처리될 수도 있다. 이후, 메시징 서비스(128)는, 예를 들어, 인터-프로세스 통신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SMS 메시지의 전달이 확인되었음을 이벤트 서비스(138)로 통보할 수도 있다(스텝 312).
이벤트 서비스(138)는 메시징 서비스(128)에 관한 서비스 이벤트를 대기하고 있는지 식별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벤트 서비스(138)는 제2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2 응답을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서 동작하는 서비스 이벤트 스크립트에 제공하도록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반환되는 SMS 메시지의 전달 확인에 관한 제2 콘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스텝 314). 그러므로, 제2 응답은 제1 이벤트 명령 요청에 대한 응답일 수도 있다.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서 동작하는 서비스 이벤트 스크립트는 제2 응답을 수신하고, SMS 메시지가 전달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하여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갱신하도록 제2 콘텐츠를 이용할 수도 있다(스텝 316). 예를 들어, 제2 콘텐츠는 SMS 메시지가 전달되었음을 나타내는 구조화된 데이터 포맷으로 된 데이터와 같은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는 전달 통지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서비스 이벤트가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갱신하도록 이용될 수도 있다.
도 4는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의해 전화 장치(100)에 관하여 액세스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하여 콘텐츠를 처리하는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으로부터의 교신 리스트에 관한 예시적인 스크린(400)을 나타낸다. 스크린(400)은, 예를 들어, 전화 장치(100)의 비휘발성 저장 장치(106)로부터 검색되었을 수도 있는 교신 정보(예를 들어, 참조 번호 400)를 포함한다. 즉, 이것은 전화 장치(100)에 관하여 액세스된 정보를 나타낸다. 스크린(400)은 다수의 하이퍼링크(예를 들어, 참조 번호 404, 406, 410 및 412)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명령 요청과 관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이퍼링크(406)는 URL "http://phoneServer/telephony/call?number=1234"인 명령 요청(408)과 연관된다. 만일 이들 하이퍼링크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경우,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갱신하거나 신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하여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명령 요청을 송신할 수도 있다.
도 5는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의해 전화 장치(100)에 관하여 액세스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하여 콘텐츠를 처리하는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으로부터의 착신 전화 통화에 관한 예시적인 스크린(500)을 나타낸다. 스크린은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 이벤트 응답을 수신하는 서비스 이벤트 스크립트의 결과로서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 의해 표시되었을 수도 있다(즉,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 의해 해석됨). 이벤트 응답은 정보에 액세스하고 서비스 이벤트에 응답하여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하여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명령 요청을 송신해야함을 나타냈을 수도 있다. 또는, 이벤트 응답은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착신 전화 통화에 관하여 표시된 정보로 갱신하기 위하여 서비스 이벤트 스크립트가 처리하였을 수도 있는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였을 수도 있다. 스크린(500)은 각각이 명령 요청과 연관될 수도 있는 다수의 하이퍼링크(예를 들어, 참조 번호 502 및 504)를 포함한다. 만일 이들 하이퍼링크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경우,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은 착신 통화를 받거나 취소(적절하게)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갱신하거나 신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하여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명령 요청을 송신할 수도 있다.
도 6은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의해 전화 장치(100)에 관하여 액세스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하여 콘텐츠를 처라히는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으로부터의 상태 바(status bar; 602)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스크린(600)의 일부를 나타낸다. 스크린은,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 의해 행해진 제1 명령 요청에 대한 제1 응답 내의 제1 콘텐츠로서,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의해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 송신되었던 복수의 HTML 프레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의 HTML 프레임에서 하나의 HTML 프레임은 상태 바 프레임(602)일 수도 있으며, 이것은 전화 장치(100)에 관하여 이용가능한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한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에 관하여 발생하는 서비스 이벤트에 응답하여 이벤트 서비스로부터 신규 이벤트 콘텐츠를 수신하는 서비스 이벤트 스크립트에 응답하여, 상태 바 프레임의 콘텐츠는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서 동작하는 서비스 이벤트 스크립트에 의해 갱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신규 이벤트 콘텐츠는 오퍼레이팅 시스템(118)이 전화 장치(100)의 잔여 배터리 전원이 낮아졌음을 검출한 것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배터리 레벨 지시자(604)를 갱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는 콘텐츠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신규 이벤트 콘텐츠는 접속성 서비스(136)가 전화 장치(100)의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성 레벨이 변경되었음을 검출한 것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접속 레벨 지시자(606)를 갱신하도록 이용될 수도 있는 콘텐츠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신규 이벤트 콘텐츠는 신규 SMS 메시지, MMS 메시지 또는 이메일이 메시징 서비스(128)에 의해 수신되었음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신규 메시지 지시자(608)를 갱신하도록 이용될 수도 있는 콘텐츠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신규 이벤트 콘텐츠는 오퍼레이팅 시스템(118)이 시간이 변경되었음을 검출한 것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시간 지시자(610)를 갱신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는 콘텐츠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도시적인 예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이 다음과 같이 상정된다.
서버 어플리케이션(120) 및/또는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이 상술한 모든 기능성을 제공하지는 것은 아닐 수도 있으며, 및/또는 비교적 낮은 성능의 프로세서(102)를 포함하는 전화 장치(100)로 이용될 수도 있도록 더 변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몇몇 또는 모든 브라우저 스크립트는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 의해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및/또는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 및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하여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의해 해석된 스크립트는 보다 더 기본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프로세서(102)에 부담이 되는 프로세싱을 줄이기 위하여 단순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전화 장치(100)의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은 도 2a 및 도 2b의 스텝에서 이용된 동일 제1 전송 프로토콜(예를 들어, HTTP)을 이용하여 웹 서버와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 네트워크(140)를 경유하여 통신을 행하기 위하여 전화 장치(1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2)를 이용함으로써 외부 장치로부터 제2 콘텐츠를 요청하고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은 전화 장치(100)의 기능성을 제어하는데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들 외부 장치들에 의해 제공된 인터넷 콘텐츠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으로 명령 요청을 송신(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 또는 외부 컴퓨팅 장치(150)로부터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고 명령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제공하기 위하여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의해 이용된 제1 전송 프로토콜은 HTTPS(HTTP Secure)와 같은 보안 전송 프로토콜 또는 HTTP와 같은 보안이 되지 않은 전송 프로토콜이 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술한 전화 장치(100)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임을 이해하여야 하며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다른 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음이 상정되며, 여기서 이러한 장치는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서버 어플리케이션 및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의 서버 어플리케이션은 도 2a에서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에 대하여 나타낸 스텝 및 상술한 서버 어플리케이션(120)을 병합하는 다른 스텝 및 실시예에 따라서 진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의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은 도 2b에서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에 대하여 나타낸 스텝 및 상술한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22)을 병합하는 다른 스텝 및 실시예에 따라서 진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는 전화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포넌트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화 장치(100)에서 이들의 균등물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그러나, 장치는 이것의 기능들을 제어하도록 하는 상이한 제1 복수의 명령인 상이한 세트의 하나 이상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즉, 전화 장치(100)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4)에 포함).
예를 들어, 이러한 장치는 텔레비전 장치, 또는 비디오 방송 수신기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셋톱 박스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텔레비전 채널 및/또는 비디오 입력 소스를 선택하게 함으로써 이러한 장치는 비디오 방송 수신기의 수신된 비디오 소스를 변경하기 위한 비디오 소스 선택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따라서, 비디오 방송 수신기의 상태 변경). 또한, 이러한 장치는 다른 타입의 비디오의 디코딩 및 재생(playback)을 위한 비디오 재생(video playback) 서비스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2)를 이용하여 텔레비전 일람표 안내에 액세스하고 표시하기 위한 안내 서비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장치의 다른 예로는 휴대용 음악, 사진 및/또는 비디오 플레이어와 같은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휴대용 전자 북 리더가 포함되고, 이들 각각은 멀티미디오 파일의 저장, 검색, 편집, 기록 및/또는 재생을 위한 미디오 서비스 및/또는 전자 북 파일의 저장, 검색, 편집, 기록 및/또는 재생을 위한 전자 북(ebook)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예에서, 장치는 전화 장치(100)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성을 제공하는 구성 서비스, 접속성 서비스 및 이벤트 서비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장치의 다른 예로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저장, 검색, 편집 및/또는 재생을 위한 미디어 서비스 및/또는 디지털 이미지를 촬상하기 위하여 이미지 센서, 렌즈 배치 및/또는 카메라의 다른 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도 있는 디지털 카메라가 포함된다. 상기 예에서, 장치는 전화 장치(100)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성을 제공하는 구성 서비스, 접속성 서비스 및 이벤트 서비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임의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기술된 임의의 특징은 단독으로 또는 기술된 다른 특징들과 조합하여 이용될 수도 있으며, 임의의 다른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의 조합으로 이용되거나, 임의의 다른 실시예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한 청구항에 정의되어 있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상기 언급되지 않은 균등물 및 변형들이 채용될 수도 있다.

Claims (17)

  1. 디스플레이와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서버 어플리케이션 및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동작시키며,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통신을 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제1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제1 명령 요청을 인식하고, 상기 제1 명령 요청의 인식에 응답하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인스트럭션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인스트럭션을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전화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고, 제1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콘텐츠를 수신하면,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콘텐츠가 포함되도록 상기 제1 명령 요청에 대한 제1 응답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프로토콜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또는 HTTPS(HTTP Secur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명령 요청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외부 컴퓨팅 장치에서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제1 응답을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명령 요청은,
    상기 장치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으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제1 응답을 상기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제2 콘텐츠를 요청 및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전화 통화를 생성하거나 수신하는 전화 서비스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텍스트 메시지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메시징 서비스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 또는 분리하는 접속성 서비스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소셜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비디오 광대역 수신기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비디오를 변경하는 비디오 소스 선택 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이벤트 서비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중에서 임의의 서비스에 관한 서비스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상기 제1 콘텐츠의 생성을 지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이벤트는 착신 전화 통화의 발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이벤트는 소정의 신규 장치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명령 요청은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및 제1 명령을 식별하는 제1 자원을 식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도록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지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명령 요청은 제1 스크립트를 포함하는 제1 자원을 식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스크립트를 해석하여 상기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도록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이 인터프리터 프로그램을 지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장치.
  14.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제2 장치에 접속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하나 이상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1 장치와,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수단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2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수단으로부터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제1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제1 명령 요청을 상기 제1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제1 장치는 서버 어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명령 요청을 인식하며, 상기 제1 명령 요청에 따라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도록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인스트럭션을 제공하여, 상기 제1 장치의 전화통화 기능, 메시징 기능, 접속성 기능 및 이벤트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장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인스트럭션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장치의 전화통화 기능, 메시징 기능, 접속성 기능 및 이벤트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고,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이 수신할 제1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장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콘텐츠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명령 요청에 대한 제1 응답을 생성하여 상기 제2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1 응답은 상기 제1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제1 응답의 수신에 따라 상기 제1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2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프로토콜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또는 HTTPS(HTTP Secur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시스템.
  16. 제2 장치에서 제1 장치로 명령 요청을 전송하여 콘텐츠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는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장치에 접속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서버 어플리케이션 및 하나 이상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장치는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수단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수단으로부터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제1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제1 장치에 제1 명령 요청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명령 요청이 인식되면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하도록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인스트럭션을 제공하여, 상기 장치의 전화통화 기능, 메시징 기능, 접속성 기능 및 이벤트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상기 인스트럭션을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장치의 전화통화 기능, 메시징 기능, 접속성 기능 및 이벤트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고,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이 수신할 제1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콘텐츠를 수신하면, 제1 콘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제1 명령 요청에 대한 제1 응답을 생성하여 상기 제1 응답을 상기 제2 장치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2장치는 상기 제1 콘텐츠가 포함된 상기 제1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제2 장치의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제1 콘텐츠가 포함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프로토콜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또는 HTTPS(HTTP Secur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KR1020110020372A 2010-03-17 2011-03-08 장치의 서비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835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58465A EP2367342A1 (en) 2010-03-17 2011-03-16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services of a device
US13/050,282 US9807224B2 (en) 2010-03-17 2011-03-17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services of a device
CN201110072739XA CN102196037A (zh) 2010-03-17 2011-03-17 访问装置的服务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004456.8A GB2478767B (en) 2010-03-17 2010-03-17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services of a device
GB1004456.8 2010-03-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885A KR20110104885A (ko) 2011-09-23
KR101835884B1 true KR101835884B1 (ko) 2018-04-19

Family

ID=42227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372A KR101835884B1 (ko) 2010-03-17 2011-03-08 장치의 서비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35884B1 (ko)
GB (1) GB24787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4177B2 (en) 2014-03-31 2018-02-1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management using a social network
CN111193952B (zh) * 2018-11-15 2022-10-21 西安诺瓦星云科技股份有限公司 媒体播放方法、装置、终端及系统和存储介质
CN112087476B (zh) * 2019-06-14 2022-07-0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页面启动方法、第一硬件设备、移动终端、服务器与系统
KR102207715B1 (ko) 2020-07-15 2021-01-26 프라임원테크 주식회사 IoT를 기반으로 산업용 동력기기를 원격제어하는 전자접촉 장치 및 원격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2905A (en) 1996-12-23 1999-04-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uter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mmon user interface for software applications accessed via the world-wide web
US20010025307A1 (en) 1996-10-25 2001-09-27 Chandrasekar Venkatraman Embedding web access functionality into a device for user interface functions
US20010046851A1 (en) 2000-05-29 2001-11-29 Tomohisa Yamaguchi Communication system, a communication method, and a cellular phone
US20040246822A1 (en) 2003-06-05 2004-12-09 Johnny Wo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unified telephony solu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48059B1 (en) * 1999-09-03 2013-05-21 Cisco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browser audio control for voice enabled web applications
US6628644B1 (en) * 1999-09-30 2003-09-30 Cisco Technology, Inc. Telephone-based hypertext transport protocol server
KR100498930B1 (ko) * 2002-10-21 2005-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화기의 정보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
FR2879877B1 (fr) * 2004-12-16 2007-02-16 Sagem Procede de commande a distance d'un combine de telephonie fixe
US20070101004A1 (en) * 2005-06-30 2007-05-03 Rich Loen Internet protocol telephone system
KR101017912B1 (ko) * 2008-07-23 2011-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5307A1 (en) 1996-10-25 2001-09-27 Chandrasekar Venkatraman Embedding web access functionality into a device for user interface functions
US5892905A (en) 1996-12-23 1999-04-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uter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mmon user interface for software applications accessed via the world-wide web
US20010046851A1 (en) 2000-05-29 2001-11-29 Tomohisa Yamaguchi Communication system, a communication method, and a cellular phone
US20040246822A1 (en) 2003-06-05 2004-12-09 Johnny Wo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unified telephony solu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78767A (en) 2011-09-21
GB2478767B (en) 2019-10-23
KR20110104885A (ko) 2011-09-23
GB201004456D0 (en) 2010-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72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services of a device
US10819839B2 (en) Operation method and system of mobile terminal
US10356235B2 (en) Operation method and system of mobile terminal
US11003331B2 (en) Screen capturing method and terminal, and screenshot reading method and terminal
EP2604027B1 (en) Media/voice binding protocol and related user interfaces
US20130138723A1 (en) Dynamic browser icons
US8620353B1 (en) Automatic sharing and publication of multimedia from a mobile device
US11855940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generating contextually relevant messages
KR101835884B1 (ko) 장치의 서비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8932243B (zh) 刷新网页页面的方法及装置
CN111782997A (zh) 加载网页的方法及装置、存储介质
CN105868354B (zh) 网页修复方法及装置
JP6952399B2 (ja) 端末、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60022179A (ko) 휴대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CN113938550B (zh) 一种终端设备、信息反馈方法和存储介质
CN116684833A (zh) 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可读存储介质及程序产品
CN113794890A (zh) 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905738A (zh) 应用内存快照的获取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10134593A (ko) 단말의 플랫폼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911843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画面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