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112B1 - 철도교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철도교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112B1
KR101835112B1 KR1020170113656A KR20170113656A KR101835112B1 KR 101835112 B1 KR101835112 B1 KR 101835112B1 KR 1020170113656 A KR1020170113656 A KR 1020170113656A KR 20170113656 A KR20170113656 A KR 20170113656A KR 101835112 B1 KR101835112 B1 KR 101835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rainage sheet
sliding guide
suppor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용
한명희
박인수
Original Assignee
(주)대영산업
윤기용
한명희
박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영산업, 윤기용, 한명희, 박인수 filed Critical (주)대영산업
Priority to KR1020170113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1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중 누수방지용 배수시트에 손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단순히 슬라이딩 가이드판을 지지대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지지대에 배치된 배수시트를 인출시킨 후, 다시 지지대에 새로운 배수시트를 설치하고, 상기 배수시트 상에 슬라이딩 가이드판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단시간내에 저비용으로 수월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철도교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일측의 지지대와 타측의 지지대 간의 하부에 걸쳐 설치되는 배수시트와; 상기 배수시트의 양단부 상면을 덮음과 동시에 지지대의 중간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슬라이딩 가이드판과;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판의 단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지지대의 상부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의 상면과 지지대 상부 내측 간에 고정 설치되는 고무봉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일측의 지지대와 타측의 지지대 간의 하부에 걸쳐 설치되는 배수시트와; 상기 배수시트의 양단부 상면을 덮음과 동시에 지지대의 중간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슬라이딩 가이드판과;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판의 단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지지대의 상부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의 상면과 지지대 상부 내측 간에 고정 설치되는 고무봉으로 구성된 철도교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유간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일정한 길이 및 폭을 갖는 지지대를 일정한 간격으로 앵커볼트를 매개로 슬래브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지대 사이에 배수시트를 삽입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배수시트의 양단부 상에 슬라이딩 가이드판을 삽입 설치하는 단계;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판이 빠지지 않도록 지지대의 내측 상단에 차단판을 삽입 설치하는 단계; 상기 차단판이 빠지지 않도록 지지대와 차단판 사이에 고무봉을 삽입 설치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도교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Railway bridge expansion join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철도교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중 누수방지용 배수시트에 손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단순히 슬라이딩 가이드판을 지지대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지지대에 배치된 배수시트를 인출시킨 후, 다시 지지대에 새로운 배수시트를 설치하고, 상기 배수시트 상에 슬라이딩 가이드판을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단시간에 저비용으로 교체할 수 있는 철도교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용 교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의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0938114호 교량용 물받이 겸용 신축이음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선 궤도부 또는 보도부의 슬래브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대부재(2);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대부재(2) 사이에 조립 설치되며, 상판의 변위를 수용하면서도 자갈 또는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물받이부재(5)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대부재(2)에는 상단날개부(2-1)과 하단날개부(2-2)가 구비되고, 상기 물받이부재(5)에는 상단부(5-2)와 절곡부(5-3)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대부재(2)는 고정용 볼트(99)에 의하여 슬래브의 철근에 체결되어 이루어진 장치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교량용 물받이 겸용 신축이음장치는 고정용 볼트(99)가 고정대 부재(2)와 슬래브 내의 철근에 나사체결 내지 용접에 의하여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대부재(2)와 고정용 볼트(99)를 따라 스며드는 빗물 등의 물과 공기의 접촉됨으로 인하여 슬래브 내(內)의 철근이 부식되고, 슬래브가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교량용 교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의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0922599호 교체가 가능한 교량의 매립형 누수방지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슬래브(slab)와 슬래브 사이에 설치되는 매립형 누수방지장치에 있어서, 삽입 통로(250)가 형성된 한쌍의 매립프레임(200)과; 지지판(520)과 굴곡부(530)가 형성된 배수판(500)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매립프레임(200)은 고정볼트(970)에 의하여 슬래브의 철근(110)에 체결되어 이루어진 장치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교체가 가능한 교량의 매립형 누수방지장치는 매립프레임(200)과 슬래브의 철근(110)이 고정볼트(970)에 의한 나사체결 내지 용접에 의하여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매립프레임(200)과 고정볼트(970)를 따라 스며드는 빗물 등의 물과 공기의 접촉됨으로 인하여 슬래브의 철근(110)이 부식되고, 슬래브가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1305213호 교량용 교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가 제안되었다.
상기한 종래의 교량용 교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상판의 이음부에서 서로 마주 대하는 슬래브(slab)(100)에 서로 대칭되게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설치된 한 쌍의 고정대 부재(2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대 부재(20)에는 물받이 부재(30)가 착탈 가능하여 교체 가능하게 설치됨이 가능하도록 개구부(20e)가 구비된 공간부가 이루어지고, 이 공간부는 상부의 설치용 제1공간부(20s-1)와 하부의 설치용 제2공간부(20s-2)로 이루어지며, 상기 서로 마주 대하는 슬래브(100)가 구비되기 위한 거푸집(10)에 볼트(11)로 나사 체결됨이 가능하도록 된 암나사부(20n)가 이루어진 플랜지부(20-1)가 고정대 부재(20)의 본체부(20-2)의 상방과 하방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대 부재(20) 사이에서, 배수 가능하고 아울러 신축가능한 이음부재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착탈 가능하여 교체 가능하게 설치된 물받이 부재(30)가 구비된 교량용 교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 부재(20)의 본체부(20-2)는 상면부(20-2b)와 하면부(20-2c)에 각각 고정설치 지지용 돌출부(27)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대 부재(20)의 본체부(20-2)는 물받이 부재(30)의 낙수받이부(30-2)와 걸림부재(50)가 상기 설치용 제1공간부(20s-1)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상기 설치용 제1공간부(20s-1)가 상기 본체부(20-2)의 내부에 개구부(20e)로부터 안쪽 방향에서 하방으로 경사진 설치용 제1공간부(20s-1)로 이루어지도록, 이 설치용 제1공간부(20s-1)의 상방에는 개구부(20e)의 상단부로부터 안쪽 방향에서 하방으로 경사진 설치 유도용 경사부(23)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설치용 제1 공간부(20s-1)의 하방에는 상기 개구부(20e)의 하단부로부터 안쪽 방향에서 하방으로 경사진 걸림턱부(25)가 구비되고, 이 걸림턱부(25)는 상단 걸림턱부(25a)와 걸림턱 본체부(25b)와 하단 걸림턱부(25c)로 이루어지고; 상기 설치 유도용 경사부(23)의 상단부에는 낙수 차단용 홈(22s)과 낙수 차단부(22)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대 부재(20)의 본체부(20-2)는, 그 내부의 하부에는 상기 설치용 제2 공간부(20s-2)가 상기 설치용 제1 공간부(20s-1)의 하부에 이어지며 걸림부재(50)의 제2 걸림편(50-3)이 삽입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하는 설치용 제2 공간부(20s-2)로 이루어지고; 물받이 부재(30)의 상단부는 상기 낙수 차단부(22)로부터 낙하하는 낙수를 받아 배수 가능하도록 상기 물받이 부재(30)의 본체부(30-1)의 상단이 구부러져 이루어진 낙수 받이부(30-2)로 이루어지고; 상기 낙수 받이부(30-2)의 바깥쪽부(30-2b)에는 상기 물받이 부재(30)가 걸림부재(50)에 의하여 상기 걸림턱부(25)에 걸려 설치됨이 가능하도록, 상기 상단 걸림턱부(25a)에 상응하여 걸림 가능한 제1걸림편(50-1)과, 상기 걸림턱 본체부(25b)에 상응하여 접하여 지지됨이 가능한 걸림 본체부(50-2)와, 상기 하단 걸림턱부(25c)에 상응하여 걸림 가능한 제2 걸림편(50-3)으로 이루어진 걸림부재(50)가, 상기 제1걸림편(50-1)이 상기 낙수 받이부(30-2)의 바깥쪽부(30-2b)에 체결됨에 의하여,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교량용 교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는 신축이음장치 교체시 슬래브 유간이 좁아서 슬래브의 측면에서 고정대 부재(20)의 공간부에 물받이 부재(30)를 삽입하고,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 유간의 슬래브 횡방향의 끝단에 공중비계를 설치하며, 교축직각방향으로 손상된 배수시트를 잡아당겨서 철거하고, 새로운 배수시트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좁은 유간에 물받이 부재(30)를 고정대 부재의 공간에 설치하는 것이 장시간이 소요되며, 상대적으로 장시간과 고비용으로 교체되기 때문에 상당히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공간부에 물받이 부재를 설치한 후에 공간부에 물이 고이게 되어 슬래브의 철근이 부식되고, 슬래브가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0938114(등록일: 2010.01.13) 등록특허 10-0922599(등록일: 2009.10.13) 등록특허 10-1305213(등록일: 2013.09.02)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중 누수방지용 배수시트에 손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단순히 슬라이딩 가이드판을 지지대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지지대에 배치된 배수시트를 인출시킨 후, 다시 지지대에 새로운 배수시트를 설치하고, 상기 배수시트 상에 슬라이딩 가이드판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단시간내에 저비용으로 수월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철도교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일측의 지지대와 타측의 지지대 간의 하부에 걸쳐 설치되는 배수시트와; 상기 배수시트의 양단부 상면을 덮음과 동시에 지지대의 중간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슬라이딩 가이드판과;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판의 단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지지대의 상부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의 상면과 지지대 상부 내측 간에 고정 설치되는 고무봉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일측의 지지대와 타측의 지지대 간의 하부에 걸쳐 설치되는 배수시트와; 상기 배수시트의 양단부 상면을 덮음과 동시에 지지대의 중간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슬라이딩 가이드판과;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판의 단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지지대의 상부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의 상면과 지지대 상부 내측 간에 고정 설치되는 고무봉으로 구성된 철도교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유간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일정한 길이 및 폭을 갖는 지지대를 일정한 간격으로 앵커볼트를 매개로 슬래브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지대 사이에 배수시트를 삽입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배수시트의 양단부 상에 슬라이딩 가이드판을 삽입 설치하는 단계;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판이 빠지지 않도록 지지대의 내측 상단에 차단판을 삽입 설치하는 단계; 상기 차단판이 빠지지 않도록 지지대와 차단판 사이에 고무봉을 삽입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지대의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쳐 차단판의 외면에 방수테이프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손상된 누수방지용 배수시트를 신축이음장치의 슬라이딩 가이드판을 지지대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지지대에 배치된 배수시트를 인출시킨 후, 다시 지지대에 새로운 배수시트를 설치하고, 상기 배수시트 상에 슬라이딩 가이드판을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단시간에 저비용 및 수월하게 배수시트를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배수시트 교체시간이 상대적으로 매우 짧은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단순히 배수시트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배수시트 교체에 따른 배수시트 교체비용이 매우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배수시트 교체공사시 공중비계 및 장비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매우 안전하며, 구조적인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교량용 물받이 겸용 신축이음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교체가 가능한 교량의 매립형 누수방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종래의 교량용 교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의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의 지지대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의 고무 배수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의 고무 배수시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의 알루미늄 배수시트를 도시한 정면도 1,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의 알루미늄 배수시트를 도시한 정면도 2,
도 9d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의 복합 배수시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의 슬라이딩 가이드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의 슬라이딩 가이드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의 차단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의 차단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의 고무봉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의 고무봉을 도시한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8a∼18h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의 시공순서를 도시한 공정도,
도 19a∼19e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된 철도교 신축이음장치에서 배수시트를 교체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J)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1000)와; 일측의 지지대(1000)와 타측의 지지대(1000) 간의 하부에 걸쳐 설치되는 배수시트(2000)와; 상기 배수시트(2000)의 양단부 상면을 덮음과 동시에 지지대(1000)의 중간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슬라이딩 가이드판(3000)과;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판(3000)의 단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지지대(1000)의 상부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차단판(4000)과; 상기 차단판(4000)의 상면과 지지대(1000) 상부 내측 간에 고정 설치되는 고무봉(5000)으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J)는 지지대(1000), 배수시트(2000), 슬라이딩 가이드판(3000), 차단판(4000), 고무봉(5000)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체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10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판(1100)과; 상기 수직판(1100)의 상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일정한 길이가 연장되는 상부판(1200)과; 상기 수직판(1100)의 하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일정한 길이가 연장됨과 동시에 상부판(1200)과 동일방향으로 배치되는 하부판(13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판(1100)의 높이 1/2지점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측면수평연장판(1110)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수평연장판(1110)의 단부에는 수직으로 일정한 높이를 갖는 수직차단부(1120)가 형성되며, 상기 측면수평연장판(1110)보다 높이가 상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수직판(1100)의 내측으로 수평하게 일정길이 연장되는 걸림부(1130)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판(1200)의 폭 1/2지점에서 수직으로 제1수직연장판(1210)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연장판(1210)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경사판(1220)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판(1220)의 상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제2수직연장판(1230)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연장판(1210)에는 내측으로 걸림홈(1240)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판(1300)의 단부에는 상향으로 일정 높이 돌출됨과 동시에 하향으로 일정한 길이가 연장되는 수직걸림부(1310)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걸림부(1310)의 상단에는 슬라이딩 가이드홈(1320)이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배수시트(2000)는 도 8 및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U형 고무 배수판(2100)으로, 상기 배수판(2100)의 양단부는 내측 두께에 비하여 두꺼워지는 확대부(2200)가 형성되고, 상기 확대부(2200)에 소정의 위치에 봉(2300)이 다수개 압착 설치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배수시트(2000)의 양단부인 확대부(2200)에 봉(2300)을 설치한 이유는 부재간의 표면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설치한 것으로, 재질은 강재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배수시트(2000)의 소정의 위치에 돌기(250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배수시트(2000) 자체에 돌기(2500)를 형성한 이유는 부재간의 표면마찰력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유입된 유입수가 더 이상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지지대(1000)에 배수시트(2000)를 처음 설치할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만약 상기 배수시트(2000)가 노화되어 교체가 필요할 경우에는 지지대(1000)로부터 배수시트(2000)를 분리시켜야 하는바, 이때 상기 지지대(1000)와 배수시트(2000)가 맞닿은 면에서 표면마찰력이 발생하여 배수시트(2000)를 지지대(1000)로부터 분리시키는데에 상당한 애를 먹게 되므로,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배수시트(2000)의 확대부에 다수개의 강봉(2300) 및 돌기(250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배수시트(2000)가 지지대(1000)와 직접적으로 면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지지대(1000)와 배수시트(2000)간에 표면마찰력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배수시트(2000)에 압착 설치된 봉(2300) 및 돌기(2500)으로 인하여 지지대(1000)로부터의 배수시트(2000)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봉(2300) 및 돌기(2500)에 의해 지지대(1000)에 배수시트(2000)가 설치됨으로 인하여 상기 배수시트(2000)와 지지대(1000) 간의 결합이 직접 면접촉이 아닌 봉(2300) 및 돌기(2500)에 의해 선접촉으로 이루어지므로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어 적은 힘으로도 지지대(1000)로부터 배수시트(20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무 배수시트(2000)를 알루미늄 배수시트(2000a)로 구성할 경우에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U형 알루미늄 배수판(2100)으로, 상기 배수판(2100)의 양단부는 내측 두께에 비하여 두꺼워지는 확대부(2200)가 형성되고, 상기 확대부(2200)에 소정의 위치에 봉(2300)이 다수개 압착 설치되며, 끝부분에는 개구부(2400)가 형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알루미늄 배수시트(2000a)의 양단부 끝부분에 개구부(2400)가 형성된 이유는 모재가 되는 알루미늄의 압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무 배수시트(2000)를 알루미늄 배수시트(2000a)로 구성할 경우에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U형 알루미늄 배수판(2100)으로, 상기 배수판(2100)의 양단부는 내측 두께에 비하여 두꺼워지는 확대부(2200)가 형성되고, 상기 확대부(2200)에 소정의 위치에 봉(2300)이 다수개 압착 설치되며, 끝부분에는 중공부(2600)가 형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알루미늄 배수시트(2000a)의 양단부 끝부분에 중공부(2600)가 형성된 이유는 모재가 되는 알루미늄의 압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형성한 것이다.
한편, 도 9d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의 복합 배수시트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스테인리스스틸 배수판(2100b)의 상부 양단부는 내측 두께에 비하여 두꺼워지는 확대부(2200)가 형성되고, 상기 확대부(2200)에 소정의 위치에 봉(2300)이 다수개 압착 설치된 구조이다.
즉, 상기 스테인리스스틸 배수판(2100b)의 상부인 확대부(2200)는 고무로 하여, 상기 확대부(2200)의 하부 양단에 스테인리스스틸을 U형으로 절곡하여 U형 스테인리스스틸 배수판(2100b)을 상기 확대부(2200)에 삽입시켜 열을 가하여 고무가황처리하여 제작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복합배수사ㅍ(2200b)은 고무와 스테인리스스틸의 재료적 장점을 활용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판(3000)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하게 수평판(3100)이 배치되고, 상기 수평판(3100)의 양단부에서 각각 수직으로 수직부(3200)가 일정높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3200)의 일측은 외부로 일정한 곡률로 절곡되어 절곡부(3300)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3300)의 하면에 돌기(3400)가 형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돌기(3400)도 배수시트(2000)의 봉(2300) 및 돌기(2500)과 같은 기능으로 인하여 슬라이딩 가이드판(3000)이 지지대(1000)와 면접촉이 아닌 선접촉이 이루어지므로 원활하게 지지대(1000) 및 배수시트(2000)로부터 슬라이딩 가이드판(3000)을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차단판(4000)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수직부(4100)가 배치되고, 상기 수직부(4100)의 상단부는 일정한 두께로 확대되는 확장부(4200)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4100)과 확장부(4200) 상면 간에 슬라이딩 가이드홈(4300)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홈(4300)의 외측 하부에는 걸림홈(4400)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4400)의 하부에 돌기(4500)이 형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걸림홈(1240)에 차단판(4000)의 확장부(4200)를 삽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슬라이딩가이드판(3000)과 배수시트(2000)가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돌기(4500)도 배수시트(2000)의 봉(2300) 및 돌기(2500)과 같은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홈(4300)에 고무봉(5000)이 삽입 설치됨으로 지지대(1000)와 차단판(4000) 간에 수밀성이 확보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수시트(2000)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거름망(6000)을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즉, 거름망(6000)을 메쉬형상으로 형성하여 물은 배수되고, 이물질이 거름망(6000)에 쌓이도록 하여 이물질의 청소가 편리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을 구성하는 지지대(1000), 배수시트(2000), 슬라이딩 가이드판(3000), 차단판(4000), 고무봉(5000) 및 거름망(6000)에 광반도성 세라믹스가 도포된다.
여기서, 상기 광반도성 세라믹스는 Ti[OCH(Cl3)2]4와, (CH3)2 CHOH로 제조한 TiO2졸(sol) 57㏖/ℓ, C8H20O4Si와 (CH3)CHOH로 제조된 SiO2졸(sol) 44㏖/ℓ, Zn(C2H3O2)2로부터 제조한 ZnO 졸(sol) 50㏖/ℓ에 Ag, Zn, Cu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이온을 담지하여, 이를 중량대비 TiO2졸(sol) 50%, SiO2졸(sol) 40%, ZnO졸(sol) 9%와 Ag, Zn, Cu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이온 1%의 비율로 복합 처리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요소에 광반도성 세라믹스를 도포함으로써, 열화 방지와, 막강도, 내구성, 가시광 투과율, 광반도성 세라믹스 활성의 저하 등을 해결함과 동시에 1회 코팅만으로 광반도성 세라믹스막을 형성하여,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광반도성 세라믹스 활성을 결정성이 우수한 이산화티탄(TiO2) 초미립자를 형성하고, Ag, Zn, Cu 중 1종 이상의 금속이온을 담지함으로써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가전자대에서 여기되어 전도대로 여기한 전자들이 가전자대의 정공에 빠른 시간 내에 재결합되는 것을 억제하여 광화학 반응의 활성점을 최대로 지속시킴으로써, 적은 양의 자외선 에너지량에서의 광화학반응이 충분함은 물론 금속이온에 의한 악취물질의 분해와 미생물의 살균 메커니즘에 의해 더욱 우수한, 방오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의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8a∼18k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의 시공순서를 도시한 공정도, 도 19a∼19e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된 철도교 신축이음장치에서 배수시트를 교체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은 유간(G)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일정한 길이 및 폭을 갖는 지지대(1000)를 일정한 간격으로 앵커볼트(A)를 매개로 슬래브(S)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지대(1000) 사이에 배수시트(2000)를 삽입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배수시트(2000)의 양단부 상에 슬라이딩 가이드판(3000)을 삽입 설치하는 단계;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판(3000)이 빠지지 않도록 지지대(1000)의 내측 상단에 차단판(4000)을 삽입 설치하는 단계; 상기 차단판(4000)의 양단에 걸쳐 거름망(6000)을 설치한다.
상기 차단판(4000) 및 거름망(6000)이 빠지지 않도록 지지대(1000)과 차단판(4000) 및 거름망(6000) 사이에 고무봉(5000)을 삽입 설치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신축이음장치(J)를 설치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1000)와; 일측의 지지대(1000)와 타측의 지지대(1000) 간의 하부에 걸쳐 설치되는 배수시트(2000)와; 상기 배수시트(2000)의 양단부 상면을 덮음과 동시에 지지대(1000)의 중간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슬라이딩 가이드판(3000)과;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판(3000)의 단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지지대(1000)의 상부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차단판(4000)과; 상기 차단판(4000)의 상면과 지지대(1000) 상부 내측 간에 고정 설치되는 고무봉(5000)으로 구성된 철도교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유간(G)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일정한 길이 및 폭을 갖는 지지대(1000)를 일정한 간격으로 앵커볼트(A)를 매개로 슬래브(S) 길이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1000) 사이에 배수시트(2000)를 삽입 설치하며, 상기 배수시트(2000)의 양단부 상에 슬라이딩 가이드판(3000)을 삽입 설치하며,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판(3000)이 빠지지 않도록 지지대(1000)의 내측 상단에 차단판(4000)을 삽입 설치하며, 상기 차단판(4000)의 양쪽에 걸쳐 거름망(6000)을 설치하고, 상기 차단판(4000) 및 거름망(6000)이 빠지지 않도록 지지대(1000)과 차단판(4000) 및 거름망(6000) 사이에 고무봉(5000)을 삽입 설치하여 신축이음장치(J)를 설치한다.
한편, 상기 신축이음장치(J)를 설치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배수시트(2000)의 교체시에는 배수시트(2000)를 고정하고 있는 슬라이딩 가이드판(3000)을 신축이음장치(J)의 외부로 인출한 후,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판(3000)의 아래에 위치한 노후 배수시트(2000)를 지지대(1000)로부터 인출한 후, 새로운 배수시트(2000)를 지지대(1000)에 슬라이딩 하여 삽입 설치한 후, 상기 새로운 배수시트(2000) 표면에 슬라이딩 가이드판(3000)을 삽입하여 상기 새로운 배수시트(2000)를 고정하여 설치함으로써, 배수시트(2000)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작용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은 손상된 누수방지용 배수시트(2000)를 신축이음장치(J)의 슬라이딩 가이드판(3000)을 지지대(1000)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지지대(1000)에 배치된 배수시트(2000)를 인출시킨 후, 다시 지지대(1000)에 새로운 배수시트(2000)를 설치하고, 상기 배수시트(2000) 상에 슬라이딩 가이드판(3000)을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단시간에 저비용 및 수월하게 배수시트(2000)를 교체할 수 있고, 배수시트(2000) 교체시간이 상대적으로 매우 짧은 장점이 있으며, 단순히 배수시트(2000)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배수시트(2000) 교체에 따른 배수시트(2000) 교체비용이 매우 적게 드는 장점이 있으며, 배수시트(2000) 교체공사시 공중비계 및 장비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매우 안전하며, 구조적인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 기재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나타나 있고, 그들 특허청구범위의 의미중에 들어가는 모든 변형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1000: 지지대 1100: 수직판
1110: 측면수평연장판 1120: 수직차단부
1130: 걸림부 1200: 상부판
1210: 제1수직연장판 1220: 경사판
1230: 제2수직연장판 1240: 걸림홈
1300: 하부판 1310: 수직걸림부
1320: 슬라이딩 가이드홈 2000: 고무 배수시트
2000a: 알루미늄 배수시트 2000b: 복합배수시트
2100: U형 고무 배수판 2100a: U형 알루미늄 배수판
2100b: 스테인리스스틸 배수판 2200: 확대부
2300: 봉 2400: 개구부
2500: 돌기 2600: 중공부
3000: 슬라이딩 가이드판
3100: 수평판 3200: 수직부
3300: 절곡부 3400: 돌기
4000: 차단판 4100: 수직부
4200: 확장부 4300: 슬라이딩 가이드홈
4400: 걸림홈 4500: 돌기
5000: 고무봉 6000: 거름망
A: 철근 G: 유간
J: 철도교 신축이음장치 S: 슬래브

Claims (7)

  1.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1000)와;
    일측의 지지대(1000)와 타측의 지지대(1000) 간의 하부에 걸쳐 설치되는 배수시트(2000)와;
    상기 배수시트(2000)의 양단부 상면을 덮음과 동시에 지지대(1000)의 중간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슬라이딩 가이드판(3000)과;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판(3000)의 단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지지대(1000)의 상부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차단판(4000)과;
    상기 차단판(4000)의 상면과 지지대(1000) 상부 내측 간에 고정 설치되는 고무봉(50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 신축이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00)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판(1100)과; 상기 수직판(1100)의 상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일정한 길이가 연장되는 상부판(1200)과; 상기 수직판(1100)의 하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일정한 길이가 연장됨과 동시에 상부판(1200)과 동일방향으로 배치되는 하부판(13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판(1100)의 높이 1/2지점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측면수평연장판(1110)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수평연장판(1110)의 단부에는 수직으로 일정한 높이를 갖는 수직차단부(1120)가 형성되며, 상기 측면수평연장판(1110)보다 높이가 상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수직판(1100)의 내측으로 수평하게 일정길이 연장되는 걸림부(1130)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판(1200)의 폭 1/2지점에서 수직으로 제1수직연장판(1210)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연장판(1210)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경사판(1220)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판(1220)의 상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제2수직연장판(1230)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연장판(1210)에는 내측으로 걸림홈(1240)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판(1300)의 단부에는 상향으로 일정 높이 돌출됨과 동시에 하향으로 일정한 길이가 연장되는 수직걸림부(1310)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걸림부(1310)의 상단에는 슬라이딩 가이드홈(132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 신축이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시트(2000)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U형 배수판(2100)으로, 상기 배수판(2100)의 양단부는 내측 두께에 비하여 두꺼워지는 확대부(2200)가 형성되고, 상기 확대부(2200)에 소정의 위치에 봉(2300)이 다수개 압착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 신축이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판(3000)은 수평하게 수평판(3100)이 배치되고, 상기 수평판(3100)의 양단부에서 각각 수직으로 수직부(3200)가 일정높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3200)의 일측은 외부로 일정한 곡률로 절곡되어 절곡부(3300)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3300)의 하면에 돌기(340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 신축이음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4000)은 수직으로 수직부(4100)가 배치되고, 상기 수직부(4100)의 상단부는 일정한 두께로 확대되는 확장부(4200)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4100)과 확장부(4200) 상면 간에 슬라이딩 가이드홈(4300)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홈(4300)의 외측 하부에는 걸림홈(440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 신축이음장치.
  6.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1000)와;
    일측의 지지대(1000)와 타측의 지지대(1000) 간의 하부에 걸쳐 설치되는 배수시트(2000)와;
    상기 배수시트(2000)의 양단부 상면을 덮음과 동시에 지지대(1000)의 중간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슬라이딩 가이드판(3000)과;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판(3000)의 단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지지대(1000)의 상부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차단판(4000)과;
    상기 차단판(4000)의 상면과 지지대(1000) 상부 내측 간에 고정 설치되는 고무봉(5000)으로 구성된 철도교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유간(G)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일정한 길이 및 폭을 갖는 지지대(1000)를 일정한 간격으로 앵커볼트(A)를 매개로 슬래브(S)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지대(1000) 사이에 배수시트(2000)를 삽입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배수시트(2000)의 양단부 상에 슬라이딩 가이드판(3000)을 삽입 설치하는 단계;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판(3000)이 빠지지 않도록 지지대(1000)의 내측 상단에 차단판(4000)을 삽입 설치하는 단계;
    상기 차단판(4000)이 빠지지 않도록 지지대(1000)과 차단판(4000) 사이에 고무봉(5000)을 삽입 설치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신축이음장치(J)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장치(J)를 설치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배수시트(2000)의 교체시에는 배수시트(2000)를 고정하고 있는 슬라이딩 가이드판(3000)을 신축이음장치(J)의 외부로 인출한 후,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판(3000)의 아래에 위치한 노후 배수시트(2000)를 지지대(1000)로부터 인출한 후, 새로운 배수시트(2000)를 지지대(1000)에 슬라이딩 하여 삽입 설치한 후, 상기 새로운 배수시트(2000) 표면에 슬라이딩 가이드판(3000)을 삽입하여 상기 새로운 배수시트(2000)를 고정하여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KR1020170113656A 2017-09-06 2017-09-06 철도교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35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656A KR101835112B1 (ko) 2017-09-06 2017-09-06 철도교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656A KR101835112B1 (ko) 2017-09-06 2017-09-06 철도교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112B1 true KR101835112B1 (ko) 2018-03-09

Family

ID=61727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656A KR101835112B1 (ko) 2017-09-06 2017-09-06 철도교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1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938B1 (ko) 2020-04-29 2020-11-05 (주) 아이씨엔지니어링 철도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284959B1 (ko) * 2020-12-15 2021-08-03 주식회사 리얼테크 교량 신축이음 배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099B1 (ko) 2011-10-14 2012-06-22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교량용 누수방지장치
KR101266118B1 (ko) 2012-08-22 2013-05-27 안태환 교량신축이음용 수밀형 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099B1 (ko) 2011-10-14 2012-06-22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교량용 누수방지장치
KR101266118B1 (ko) 2012-08-22 2013-05-27 안태환 교량신축이음용 수밀형 배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938B1 (ko) 2020-04-29 2020-11-05 (주) 아이씨엔지니어링 철도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284959B1 (ko) * 2020-12-15 2021-08-03 주식회사 리얼테크 교량 신축이음 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4334B1 (ko) 철도교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35112B1 (ko) 철도교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60303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80013833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 방지용 도어 가이드 장치 및 이를포함한 잠금장치
CN105569180B (zh) 一种排水沟用垃圾过滤网及钢格板组件
US20050067338A1 (en) Subgrate drain basin filter
KR102094526B1 (ko) L형 패널에 적용하는 교량 배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730161B1 (ko) 방충망 일체형 조립식 난간 구조를 가진 창호
SK27393A3 (en) Transport spatial cell as transforming station and mode of its production
KR101305213B1 (ko) 교량용 교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KR101904333B1 (ko) 도로교 횡방향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CN209941435U (zh) 一种公路工程的排水槽装置
JP7001830B2 (ja) 雨水ます
CN216157235U (zh) 一种楼梯间洞口防护装置
KR101897472B1 (ko) 스페이서와 데크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체
KR101784717B1 (ko) 슬래브 단부 시공 후 누수방지용 철도교 신축이음장치와 이의 시공방법
CN207065744U (zh) 一种组合式l型装配空调安装固定架
KR100867154B1 (ko) 건축용 배수 그레이팅
JP2019148156A (ja) 排水溝ユニット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594350B1 (ko) 천정누수 유도배수장치
CN219690917U (zh) 一种可重复利用的雨水斗
KR100951752B1 (ko) 교량용 신축이음 조인트
KR100683123B1 (ko) 교량용 배수관의 오물수거장치
KR20220022607A (ko) 교량용 선배수 장치
CN219107928U (zh) 一种地埋式通讯机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