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017B1 - 스마트 호출기를 이용한 지역 기반의 방범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호출기를 이용한 지역 기반의 방범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017B1
KR101835017B1 KR1020160160973A KR20160160973A KR101835017B1 KR 101835017 B1 KR101835017 B1 KR 101835017B1 KR 1020160160973 A KR1020160160973 A KR 1020160160973A KR 20160160973 A KR20160160973 A KR 20160160973A KR 101835017 B1 KR101835017 B1 KR 101835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rea
smart pager
rescu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충광
Original Assignee
전충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충광 filed Critical 전충광
Priority to KR1020160160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0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units via remote transmission means, e.g. satellite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8Alarm setting and unsetting, i.e. arming or disarming of the security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호출기를 이용한 지역 기반의 방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호출기를 구비하여 별도의 스마트기기를 소지하지 않고도,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도 구조요청메세지를 발송하는 동시에 GPS를 활성화시켜 현재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인근 거주민에게 구조요청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고, 스마트 호출기로부터 전송되는 호출신호는 학교를 기준으로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구획화하고, 학교로부터 소정 반경 내에 위치한 인근 거주자 단말기로 구조요청메세지와 위치정보를 발송하도록 하여 지역 기반의 방범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호출기를 이용한 지역 기반의 방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위험요소에 노출된 어린이가 위급상황에 처했을 경우 인근 거주민에게 구조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위급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버튼을 눌러 외부로의 구조요청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누름부, 버튼누름부로부터 구조요청신호를 전달받아 인근 거주자 단말기로 SOS 메세지를 자동발송하도록 하는 제어부, 버튼누름부를 누르는 동시에 GPS로부터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인근 거주자 단말기로 현재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GPS 송수신부, 버튼누름부의 구조요청신호에 의해 무선통신방식으로 인근 거주자 단말기로 SOS 메세지를 전송하는 통신부,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스마트 호출기; 스마트 호출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어린이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어린이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스마트 호출기에 의해 전송된 SOS 메세지를 전송받아 인근 경찰서, 소방서를 포함하는 구조요청기관으로 구조요청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구현되는 인근 거주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호출기를 이용한 지역 기반의 방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호출기를 이용한 지역 기반의 방범 서비스 제공 시스템{Local-based security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smart pager}
본 발명은 스마트 호출기를 이용한 지역 기반의 방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호출기를 구비하여 별도의 스마트기기를 소지하지 않고도,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도 구조요청메세지를 발송하는 동시에 GPS를 활성화시켜 현재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인근 거주민에게 구조요청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고, 스마트 호출기로부터 전송되는 호출신호는 학교를 기준으로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구획화하고, 학교로부터 소정 반경 내에 위치한 인근 거주자 단말기로 구조요청메세지와 위치정보를 발송하도록 하여 지역 기반의 방범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호출기를 이용한 지역 기반의 방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각종 범죄가 급증하고 있는 실정에 따라 이러한 범죄 상황으로부터 신속하게 구조를 요청할 수 있는 방범장치 및 보안장치들이 다수 개발되고 있다.
특히,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범죄가 증가하고, 맞벌이 부부가 증가함에 따라 어린이가 안전하게 집으로 귀가하였는 지, 귀가 중 범죄에 노출될 위험성에 대해 학부모들은 우려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795호(2011.01.05.공고), "호출 및 구조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구조 요청자의 작동에 따라 동작하는 호출유닛, 호출유닛의 신호에 연동하여 소정의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말유닛, 카메라 유닛, 호출유닛 및 단말유닛이 각각 연결되며, 호출유닛의 신호를 기초로 단말유닛을 제어하며, 호출유닛의 신호는 센터운영 유닛에 전달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어린이들은 실제 위급상황에 처했을 때 경찰서 등과 같은 기관으로 구조요청을 대처할 수 있는 대처능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각 구조기관으로부터 원거리에서 사건이 발생한 경우, 설령 구조요청을 청했다 할지라도, 해당 기관이 구조요청을 전달받고 도착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어린이들이 통학하고 있는 학교를 기준으로 하여 인근에 거주 중인 주민들에게 구조요청신호를 발송하도록 함으로써 지역 기반의 방범 플랫폼을 구축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스마트기기를 소지하지 않는 어린이들을 위하여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도 인근 주민에게 구조요청메세지를 발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구조요청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지역 기반의 방범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호출기를 이용한 지역 기반의 방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호출기를 이용한 지역 기반의 방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위험요소에 노출된 어린이가 위급상황에 처했을 경우 인근 거주민에게 구조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위급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버튼을 눌러 외부로의 구조요청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누름부, 버튼누름부로부터 구조요청신호를 전달받아 인근 거주자 단말기로 SOS 메세지를 자동발송하도록 하는 제어부, 버튼누름부를 누르는 동시에 GPS로부터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인근 거주자 단말기로 현재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GPS 송수신부, 버튼누름부의 구조요청신호에 의해 무선통신방식으로 인근 거주자 단말기로 SOS 메세지를 전송하는 통신부,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스마트 호출기; 스마트 호출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어린이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어린이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스마트 호출기에 의해 전송된 SOS 메세지를 전송받아 인근 경찰서, 소방서를 포함하는 구조요청기관으로 구조요청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구현되는 인근 거주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버튼누름부의 누름횟수에 따라 긴급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버튼누름부의 누름횟수가 소정 시간 이내에 기 저장된 일정 횟수를 초과하여 발생하는 경우, 긴급정도가 높다고 판단하고, SOS 메세지를 간헐적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호출기는 학교를 중심으로 하여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대응되는 고유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구축하고, 분할된 각 영역에 의해 SOS 메세지가 발송되며, 각 영역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거주자일 경우에는 학교와의 최단 거리를 산출하여 해당 영역에 포함시키도록 하며, 동일한 영역에서는 구조요청신호를 동시에 발송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호출기를 구비하여 별도의 스마트기기를 소지하지 않고도,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도 구조요청메세지를 발송하는 동시에 GPS를 활성화시켜 현재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인근 거주민에게 구조요청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호출기로부터 전송되는 호출신호는 학교를 기준으로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구획화하고, 학교로부터 소정 반경 내에 위치한 인근 거주자 단말기로 구조요청메세지와 위치정보를 발송하도록 하여 지역 기반의 방범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호출기를 이용한 지역 기반의 방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호출기를 이용한 지역 기반의 방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호출기를 이용한 지역 기반의 방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스마트 호출기(100), 인근 거주자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호출기(100)는 버튼누름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GPS 송수신부(140), 전원부(150), 및 메모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버튼누름부(110)는 어린이, 학생을 포함하는 대상자가 긴급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버튼을 눌러 외부로의 구조요청을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20)는 버튼누름부(110)로부터 구조요청신호를 전달받아 소정의 가공을 거쳐 학교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 반경 내에 위치한 인근 거주자 단말기(100)로 SOS 메세지를 자동발송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버튼누름부(110)의 누름횟수에 따라 긴급단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며, 버튼누름부(110)의 누름횟수가 소정 시간 이내로 일정 횟수를 초과하여 발생하는 경우, 긴급정도가 높다고 판단하고 SOS 메세지를 복수 회 간헐적으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버튼누름부(110)의 누름횟수에 따라 긴급 단계를 대응시켜 저장하고, 누름횟수에 비례하여 누름횟수가 증가할수록 긴급 상황임을 인지할 수 있는 강도 높은 구조요청 메세지가 전달되거나, 그 전달횟수를 여러 차례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호출버튼을 누를 경우,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 반경 내에 위치한 학교 DB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학교 근방에 거주 중인 인근 거주자 단말기(200)로 사용자의 현재위치와, SOS 메세지를 전송하도록 한다.
통신부(130)는 버튼누름부(110)의 구조요청신호에 의해 무선통신방식으로 인근 거주자 단말기(200)로 SOS 메세지를 전송하도록 한다.
일례로, 스마트 호출기(100)는 블루투스(Bluetooth) 4.1 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신방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스마트 호출기(100)와 인근 거주자 단말기(200)의 무선통신 방식은 저전력 장거리 통신망(LPWAN)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전력 장거리 통신망(LPWAN)은 초고속, 광대역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기존의 스마트기기와는 다르게 별도의 기지국이나 중계 기기없이 장치에 칩을 올려 저전력으로 소규모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고, 통신 거리가 넓고 전력 소모가 적어 수명이 수년간 유지되며, 인프라 구축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GPS 송수신부(140)는 버튼누름부(110)를 누르는 동시에 GPS로부터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인근 거주자 단말기(200)로 현재 위치정보를 전송한다.
전원부(150)는 스마트 호출기(1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메모리(160)는 GPS에 의해 생성된 현재 위치와 학교 위치정보 등을 저장하며, 소정 주기를 두고 동기화한다.
인근 거주자 단말기(200)는 스마트 호출기(10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어린이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어린이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스마트 호출기(100)에 의해 전송된 SOS 메세지를 전송받아 인근 경찰서, 소방서를 포함하는 구조요청기관으로 구조요청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210)이 활성화된다.
인근 거주자 단말기(200)는 전용 애플리케이션(210)을 통해 스마트 호출기(100)로부터 전송된 SOS 메세지를 확인하고, 구조요청기관으로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한다.
인근 거주자 단말기(200)의 전용 애플리케이션(210)은 앱 스토어 등에서 지역 기반 방범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거나, 내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호출기(100)는 학교를 중심으로 하여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대응되는 고유식별코드를 부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구축하고, 분할된 각 영역에 의해 SOS 메세지가 발송되며, 각 영역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거주자일 경우에는 학교와의 최단 거리를 산출하여 해당 영역에 포함시키도록 하며, 동일한 영역에서는 구조요청신호를 동시에 발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스마트 호출기 110 - 버튼누름부
120 - 제어부 130 - 통신부
140 - GPS 송수신부 150 - 전원부
160 - 메모리 200 - 인근 거주자 단말기
210 - 애플리케이션

Claims (3)

  1. 위험요소에 노출된 어린이가 위급상황에 처했을 경우 인근 거주민에게 구조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위급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버튼을 눌러 외부로의 구조요청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누름부,
    버튼누름부로부터 구조요청신호를 전달받아 인근 거주자 단말기로 SOS 메세지를 자동발송하도록 하는 제어부,
    버튼누름부를 누르는 동시에 GPS로부터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인근 거주자 단말기로 현재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GPS 송수신부,
    버튼누름부의 구조요청신호에 의해 무선통신방식으로 인근 거주자 단말기로 SOS 메세지를 전송하는 통신부,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는 스마트 호출기;
    스마트 호출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어린이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어린이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스마트 호출기에 의해 전송된 SOS 메세지를 전송받아 인근 경찰서, 소방서를 포함하는 구조요청기관으로 구조요청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구현되는 인근 거주자 단말기
    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버튼누름부의 누름횟수에 따라 긴급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을 더 포함하며,
    버튼누름부의 누름횟수가 소정 시간 이내에 기 저장된 일정 횟수를 초과하여 발생하는 경우, 긴급정도가 높다고 판단하고, SOS 메세지를 간헐적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고,
    스마트 호출기는
    학교를 중심으로 하여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대응되는 고유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구축하고, 분할된 각 영역에 의해 SOS 메세지가 발송되며, 각 영역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거주자일 경우에는 학교와의 최단 거리를 산출하여 학교와 더 가까운 영역에 포함시키도록 하며, 학교와의 거리가 동일한 영역에서는 경계 지역에 맞물리는 영역에 구조요청신호를 동시에 발송하도록 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호출기를 이용한 지역 기반의 방범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60160973A 2016-11-30 2016-11-30 스마트 호출기를 이용한 지역 기반의 방범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835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973A KR101835017B1 (ko) 2016-11-30 2016-11-30 스마트 호출기를 이용한 지역 기반의 방범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973A KR101835017B1 (ko) 2016-11-30 2016-11-30 스마트 호출기를 이용한 지역 기반의 방범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017B1 true KR101835017B1 (ko) 2018-03-06

Family

ID=61727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973A KR101835017B1 (ko) 2016-11-30 2016-11-30 스마트 호출기를 이용한 지역 기반의 방범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0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8579A1 (ko) * 2018-12-29 2020-07-02 가야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범죄 복합신고방법
KR102529689B1 (ko) * 2022-09-16 2023-05-08 주식회사 키핀 스마트 소통 콜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046B1 (ko) * 2015-10-16 2016-09-30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스마트 벨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046B1 (ko) * 2015-10-16 2016-09-30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스마트 벨 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8579A1 (ko) * 2018-12-29 2020-07-02 가야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범죄 복합신고방법
KR102529689B1 (ko) * 2022-09-16 2023-05-08 주식회사 키핀 스마트 소통 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906B1 (ko) Gps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조회 및 안심 서비스 방법
WO2013154281A1 (ko) 위치 관리 시스템
KR101875377B1 (ko)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NO973157D0 (no) Fremgangsmåte og system for automatisk registreringsunderretning for mobilsambandsaktivitet
RU2005113233A (ru) Обеспечение информации, относящейся к мобильной станции
CN105814616A (zh) 用于操作紧急呼救系统的方法、紧急呼救系统
KR20130028317A (ko) 위치 추적용 휴대용 단말기, 위치 추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위치 추적 시스템
KR101835017B1 (ko) 스마트 호출기를 이용한 지역 기반의 방범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6682541B2 (ja) オブジェクトをユーザと関連付けるための方法、デバイス、オブジェクト、及び対応す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CN101663593B (zh) 远程可激活的定位系统和方法
JP2024036633A (ja) 情報送信端末及び情報送信方法
KR101395262B1 (ko) 발신자 신호를 이용하여 동시 다중 방송이 가능한 주택침수감시 시스템
KR102178501B1 (ko) 시설물 기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101767444B1 (ko) 단독 경보형 감지기 연계된 화재 알림 시스템
JP4021445B2 (ja) 近隣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近隣セキュリティ方法
KR102403328B1 (ko) Sms 팝업 알림 서비스를 이용한 범죄 징후 차단 및 구조 신호 통보 시스템
KR101638513B1 (ko) 지그비 수신장치를 탑재한 아이피 카메라 시스템
KR20050040373A (ko) 비상버튼이 내장된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구조요청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2013558B1 (ko) 버스 정보 안내 단말기 기반 버스정보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9100785A (ja) 位置管理システム、位置管理方法、および携帯端末
KR100297945B1 (ko) 안전전화 서비스망
TWI471042B (zh) Wireless telephone search device and its searching method
JP2021150779A (ja) 位置特定システムとそれに用いられる情報送受信装置並びにサーバ装置及び情報送信方法並びに位置特定方法
KR20050011612A (ko) 이동통신 단말기(핸드폰, pda 등)를 이용한 주변인물 신원확보를 통한 비상구호 시스템
JP2009171484A (ja) 通信システム、報知情報処理装置および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