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961B1 - 취침 자세에 따른 베개 높이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취침 자세에 따른 베개 높이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961B1
KR101834961B1 KR1020160111973A KR20160111973A KR101834961B1 KR 101834961 B1 KR101834961 B1 KR 101834961B1 KR 1020160111973 A KR1020160111973 A KR 1020160111973A KR 20160111973 A KR20160111973 A KR 20160111973A KR 101834961 B1 KR101834961 B1 KR 101834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pressure
user
pillow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명
강아름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11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22Weight
    • A47G2200/226Weight sensor

Abstract

본 발명은 베개 외관을 이루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높이를 변경시키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를 가압하는 사용자의 신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싱부 및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높이조절부 및 상기 압력센싱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높이조절 베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취침 자세에 따른 베개 높이 조절 방법{Height Adjustable Pillow and A Method to Automatically Adjust The Height of Pillow According to Sleep Pose}
본 발명은 취침 자세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취침 자세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베개 및 이를 이용한 취침 자세에 따른 베개 높이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베개는 누워서 수면을 취하거나 누워서 휴식을 취할 때 머리에 괴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머리를 적정높이 이상으로 들어올려지도록 받쳐 줌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수면 혹은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한 침구류이다.
그러나 이러한 베개는 사용으로 인해 압축되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최소 제조시 가지는 높이를 변화시킬 수 없는 구조이므로, 사용자가 바로 누웠을 때에 가장 편안한 높이로 제조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바로 누울 때나 옆으로 누울 때나 항시 동일한 높이로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옆으로 누웠을 때 높이가 낮아 머리를 제대로 받쳐주지 못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안한 자세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수동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수동 높이 조절 베개가 최근에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높이 조절 베개는 사용자의 누운 자세 등에 따라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보다 편안한 잠자리 등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져왔다.
그러나 종래 높이 조절 베개는 사용자가 수면을 취할 경우 다른 사람이 조절장치를 조작하지 않는 이상은 높이조절이 불가능한 기능적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래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수면을 취할 수 없었다.
이를 위해 자동적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베개도 최근 많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나 사용이 불편함 점이 있었다.
[문헌 1]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7199호, 2007.11.05. [문헌 2]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788715호, 2007.12.18.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취침 자세에 따라 베개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 높이조절 베개 및 이를 이용한 높이조절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베개 높이를 설정하고, 취침 자세에 따른 베개 높이 또한 데이터화하여 사용자가 현재 취하고 있는 취침 자세와 의도하는 취침 자세 사이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취침 자세에 따른 가장 적합한 베개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개 외관을 이루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높이를 변경시키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를 가압하는 사용자의 신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싱부 및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높이조절부 및 상기 압력센싱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높이조절 베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압력센싱부는 상기 몸체부에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사용자가 누어 있는 측으로 사용자의 어깨 하부에 가압된 상태를 이루도록 연장되게 구비되는 연장시트부 및 상기 연장시트부에 구비되는 압력센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베개 외관을 이루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높이를 변경시키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를 가압하는 사용자의 신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싱부(100) 및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높이조절부 및 상기 압력센싱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높이조절 베개를 이용한 높이조절방법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방법은 설정모드와 구동모드를 포함하되 상기 설정모드는 상기 압력센싱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누워 있는 압력 분포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높이조절부를 이용 높이를 조절하여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압력 분포를 정규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정규화된 압력분포와 상기 설정된 높이를 대응시키어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취침 자세에 따른 베개 높이 조절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드는 상기 압력센싱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누워 있는 압력 분포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압력분포를 이용 사용자의 누워 있는 상태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상태에 따라서 압력분포를 정규화하는 단계와, 상기 정규화된 압력분포를 기 저장된 압력분포들 중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 및 분류된 압력분포에 따라서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베개 및 이를 이용한 취침 자세에 따른 베개 높이 조절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설정한 베개 높이 및 그에 따른 취침 자세가 저장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자세로 베개에 눕게 되더라도 높이조절부를 통하여 자동적으로 베개 높이가 조절된다. 이에 따라서 보다 편안한 숙면을 유도할 수 있게 되며, 부적합한 취침 자세에서 오는 코골이, 목 디스크 등과 같은 개인에게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황에 따라서 사용자의 어깨부위의 압력 측정도 가능하게 되어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의 누어 있는 상태 파악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베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베개를 이루는 주요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높이조절 베개에 적용되는 제어부의 주요 구성들 및 구성들간의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베개에 있어서 설정모드를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압력센싱부를 이용하여 측정된 압력값 중 임계값을 이용하여 선별된 압력분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상기 도 5의 압력분포에서 분산이 가장 큰 방향으로의 고유벡터와 이에 수직인 벡터를 기저벡터로 하는 공간에 사영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상기 도 6에서와 같이 데이터를 사영시킨 후 히스토그램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베개에 있어서 설정모드를 나타낸 순서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베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베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베개(1)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 내부에 구비되는 높이조절부(200) 및 상기 높이조절부(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 내측에 설치된 상기 높이조절부(200)와 제어부(300)는 소정의 전기선(50)에 연결되어 외부에 연결되는 전력공급원의 전력을 이용 작동되며, 상기 전력공급원은 상기 몸체부(10) 내측에 별도의 밧데리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부(20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1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모터방식 또는 피스톤-실린더 방식 등 공지된 다양한 형태 중 일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와 달리 외부로부터 공기를 주입하여 몸체부(10)의 높이가 달라지도록 하는 유압식 펌프가 적용될 수도 있다.
즉, 도 1은 일예로 피스톤-실린더 방식의 높이조절부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베개의 높이조절을 위하여 적용되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 중 일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그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몸체부(10)는 상측 표면에 압력센싱부(100)가 구비된다. 상기 압력센싱부(100)는 상기 몸체부(10) 표면에 사용자의 머리 등과의 접촉부위를 전체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복수 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1에는 몸체부(10) 상측에만 상기 압력센싱부(100)가 적용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사용자의 몸이 배치되는 측으로도 압력센싱부 복수 개가 적용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부(200)와 압력센싱부(100)는 상기 제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도 2 참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베개에 적용되는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00)는 전처리모듈(210)과, 제어모듈(220)과, 저장모듈(230) 및 압력정보 분류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모듈(210)은 사용자가 몸체부(10)에 누운 경우, 상기 압력센싱부(100)를 통하여 측정된 압력정보에서 자세와 방향 등 사용자의 누워있는 상태를 찾고, 찾은 상태로부터 압력정보를 정규화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220)은 상기 정규화된 압력정보를 상기 저장모듈(230)로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압력정보 분류모듈(240)은 상기 전처리모듈(210)로부터 전달받은 정규화된 압력정보를 상기 저장모듈(230)로부터 전달받은 정규화된 압력정보들 중 하나로 분류한 후, 분류된 압력정보에 대응하는 높이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높이정보를 상기 높이조절부(200)로 전달하여 후술하는 구동모드에서 베개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높이조절 베개(1)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베개(1)는 사용자가 베개에 눕는 상태를 측정하고 누운 상태에 대응하여 미리 적정 높이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설정모드와, 상기 설정모드에 따른 높이를 저장 후에 실제 사용자가 베개를 사용 시 사용자의 눕는 자세에 따른 베개높이가 자동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구동모드로 나뉘어 작동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몸체부(10)는 별도로 설정모드와 구동모드를 분류하는 버튼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버튼을 이용 사용자는 설정모드와 구동모드를 분류하여 작동시키게 된다.
이하 먼저 상기 설정모드를 설명한 후, 구동모드를 후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베개에 있어서 설정모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베개(1)의 몸체부(10)에 눕게 되면, 상기 압력센싱부(100)로부터 측정된 압력정보가 전처리모듈(210)로 전송되며(S11), 사용자는 별도로 상기 높이조절부(200)를 이용 상기 몸체부(10)의 높이를 조절하여 설정시키되, 상기 설정시킨 높이정보는 상기 제어모듈(220)로 입력되도록 한다(S12).
이때, 상기 전처리모듈(210)은 전달받은 압력정보를 이용한 압력분포와 사용자의 누운 상태에 따른 설정높이를 인식하여 정규화하고(S13), 정규화된 압력분포를 상기 제어모듈(220)로 전달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모듈(220)은 전달받은 정규화된 압력정보와 입력받은 높이정보를 상기 저장모듈(230)에 전달하고, 상기 저장모듈(230)은 전달받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S14).
이때,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먼저 상기 전처리모듈(210)은 측정된 압력정보를 기 설정된 상태로 정규화하여 압력정보를 가공한 후, 상기 측정된 압력정보에서 사용자가 베개에 접촉된 위치로 누워있는 방향을 찾고, 찾은 방향으로 압력을 정규화하게 된다.
예를 들면, 압력정보에서 압력정보 분류에 필요하지 않은 압력정보들은 지우기 위해서 임계값을 압력정보로부터 계산을 하여 필요한 압력정보만 선별한 후, 선별된 압력정보에서 도 6에와 같이, 분산이 가장 큰 방향으로의 벡터와 그에 수직인 벡터를 기저로 하는 공간에 압력정보를 사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영된 압력정보에서 분산이 가장 큰 방향으로 사영을 시키고 히스토그램화 시킨 다음, 도 7에서와 같이, 히스토그램으로부터 어깨와 베개 사이를 찾거나, 어깨의 위치를 찾아내는 등 사용자의 누워있는 상태와 압력정보를 대응시키는 과정을 수행한 후, 찾아낸 위치에서부터 일정 영역만을 이용 후술하는 높이조절을 위한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220)은 상기 전처리모듈(210)에서 전달된 정규화된 압력정보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높이정보를 저장모듈(230)에 저장시키기 위해 전달하게 되며, 상기 저장모듈(230)은 상기 제어모듈(220)에서 전달된 정규화된 압력정보와 그에 대응하는 높이정보를 전달받아서 데이터베이스화시키게 된다.
이때, 하나의 압력정보와 그 압력정보에 인접한 압력정보들이 어떤 압력정보들로 분류되는지 카운트를 하고, 카운트가 가장 많이 된 압력정보로 분류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압력정보 분류모듈(240)은 상기 전처리모듈(210)에서 전처리된 압력정보를 저장모듈(230)에 저장되어 있는 압력정보들 중 하나로 분류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베개에 있어서 구동모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구동모드를 선택한 후 베개에 눕게 되면 상기 압력센싱부(100)로부터 측정된 압력정보가 전처리모듈(210)로 전달된다(S21).
그리고, 상기 전처리모듈(210)은 전달받은 압력분포에서 사용자의 누워있는 상태를 찾고(S22), 찾은 상태로부터 압력분포를 정규화한 후(S23), 정규화된 압력분포를 압력정보 분류모듈(240)로 전달한다.
상기 압력정보 분류모듈(240)은 상기 전처리모듈(210)로부터 전달받은 정규화된 압력분포를 상기 저장모듈(230)로부터 전달받은 상술한 정규화된 압력들 중 하나로 분류한다(S24).
다음으로, 현재 분류결과가 이전 분류결과와 같으면, 상기 압력센싱부(100)로부터 압력 측정을 다시 수행하는 등 베개의 높이를 유지시키게 되고, 현재 분류결과가 이전 분류결과와 다르면, 분류된 압력분포에 대응하는 높이정보를 추출하고(S26), 추출된 높이정보를 상기 높이조절부(200)를 이용하여 베개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S27).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베개 및 이를 이용한 취침 자세에 따른 베개 높이 조절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설정한 베개 높이 및 그에 따른 취침 자세가 저장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자세로 베개에 눕게 되더라도 높이조절부를 통하여 자동적으로 베개 높이가 조절된다. 이에 따라서 보다 편안한 숙면을 유도할 수 있게 되며, 부적합한 취침 자세에서 오는 코골이, 목 디스크 등과 같은 개인에게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베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베개(2)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는 사용자가 누워 있는 측으로 사용자의 어깨부위 하부에 가압된 상태를 이루도록 연장되게 구비되는 연장시트부(20)와 상기 연장시트부(20)에 구비되는 압력센싱부(1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장시트부(20)는 상기 몸체부(10) 외부 둘레를 둘러 감싸는 상태로 설치가 가능할 정도를 이루는 유연한 재질 및 얇은 두께를 이루며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압력센싱부(100)는 상기 연장시트부(20) 전체에 걸쳐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다수 개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베개(2)는 상기 연장시트부(20)를 이용 사용자의 어깨부위의 위치 및 압력측정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누워 있는 자세 측정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장시트부(20)는 상황에 따라서 상기 몸체부(10) 둘레를 감싼 상태로 보관하거나, 나아가 감싼 상태 그대로 베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높이조절부(200)는 높이 조절 시 상기 연장시트부(20)가 몸체부(10)를 감싼 후에 증가되는 두께에 해당하는 만큼 더 작게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는 상기 연장시트부(20)에 설치된 압력센싱부(100)와 상기 몸체부(10)의 압력센싱부(100)가 대응하는 동일한 위치에서 사용자의 머리가 놓여지는 압력이 측정된 것으로 판단 시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압력센싱부(100)가 무게측정도 가능하도록 하거나 별도의 무게센싱부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미리 상기 압력센싱부(100) 등을 이용한 압력 및 무게의 측정 값 및 분포에 대응하여 바람직한 베개 몸체부(10)의 높이가 기 설정되도록 한 후에, 상술한 설정모드의 적용 없이 바로 구동모드로 작동하여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일반적인 압력과 무게에 대응하여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베개 높이를 저장한 후에 설정모드 없이 바로 높이조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1, 2: 높이조절 베개 10: 몸체부
20: 연장시트부 100: 압력센싱부
200: 높이조절부 210: 전처리모듈
220: 제어모듈 230: 저장모듈
240: 압력정보 분류모듈 300: 제어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베개 외관을 이루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높이를 변경시키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를 가압하는 사용자의 신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싱부 및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높이조절부 및 상기 압력센싱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높이조절 베개를 이용한 높이조절방법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방법은 설정모드와 구동모드를 포함하되, 상기 설정모드는,
    상기 압력센싱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누워 있는 압력정보를 측정하여, 측정된 압력정보를 전처리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높이조절부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설정하고 설정된 높이정보를 제어모듈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압력 분포를 정규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정규화된 압력분포와 상기 설정된 높이를 대응시키어 저장모듈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처리모듈은 측정된 압력정보를 기 설정된 상태로 정규화하여 압력정보를 가공한 후, 상기 측정된 압력정보에서 사용자가 베개에 접촉된 위치로 누워있는 방향을 찾고, 찾은 방향으로 압력을 정규화하고,
    사영된 압력정보에서 분산이 가장 큰 방향으로 사영을 시키고 히스토그램화 시킨 다음, 히스토그램으로부터 사용자의 누워있는 상태와 압력정보를 대응시키는 과정을 수행한 후, 찾아낸 사용자의 위치에서부터 일정 영역만을 이용하여 높이조절을 위한 데이터로 사용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전처리모듈에서 전달된 정규화된 압력정보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높이정보를 저장모듈에 저장시키기 위해 전달하게 되며, 상기 저장모듈은 상기 제어모듈에서 전달된 정규화된 압력정보와 그에 대응하는 높이정보를 전달받아서 데이터베이스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침 자세에 따른 베개 높이 조절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드는,
    상기 압력센싱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누워 있는 압력 분포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압력분포를 이용 사용자의 누워 있는 상태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상태에 따라서 압력분포를 정규화하는 단계;
    상기 정규화된 압력분포를 기 저장된 압력분포들 중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 및
    분류된 압력분포에 따라서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취침 자세에 따른 베개 높이 조절 방법.
KR1020160111973A 2016-08-31 2016-08-31 취침 자세에 따른 베개 높이 조절 방법 KR101834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973A KR101834961B1 (ko) 2016-08-31 2016-08-31 취침 자세에 따른 베개 높이 조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973A KR101834961B1 (ko) 2016-08-31 2016-08-31 취침 자세에 따른 베개 높이 조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4961B1 true KR101834961B1 (ko) 2018-04-20

Family

ID=62088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973A KR101834961B1 (ko) 2016-08-31 2016-08-31 취침 자세에 따른 베개 높이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96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062B1 (ko) 2018-09-19 2020-01-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높이 자동조절 베개
KR20210090319A (ko) * 2020-01-09 2021-07-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면 자세 교정용 베개
KR102347542B1 (ko) * 2020-08-27 2022-01-05 주식회사 세이포드 스마트 베개 및 이를 이용하여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디지털 치료제
CN113974402A (zh) * 2021-12-08 2022-01-28 和也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按摩功能的止鼾旋磁枕
KR102653864B1 (ko) * 2023-06-12 2024-04-01 장성해 베개의 높낮이 조절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따른 높낮이 조절 방법
KR102653859B1 (ko) * 2023-06-12 2024-04-02 주식회사 서연에스앤씨 높낮이 자동 조절 스마트 베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062B1 (ko) 2018-09-19 2020-01-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높이 자동조절 베개
KR20210090319A (ko) * 2020-01-09 2021-07-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면 자세 교정용 베개
KR102332975B1 (ko) * 2020-01-09 2021-12-0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면 자세 교정용 베개
KR102347542B1 (ko) * 2020-08-27 2022-01-05 주식회사 세이포드 스마트 베개 및 이를 이용하여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디지털 치료제
CN113974402A (zh) * 2021-12-08 2022-01-28 和也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按摩功能的止鼾旋磁枕
CN113974402B (zh) * 2021-12-08 2023-11-10 和也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按摩功能的止鼾旋磁枕
KR102653864B1 (ko) * 2023-06-12 2024-04-01 장성해 베개의 높낮이 조절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따른 높낮이 조절 방법
KR102653859B1 (ko) * 2023-06-12 2024-04-02 주식회사 서연에스앤씨 높낮이 자동 조절 스마트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961B1 (ko) 취침 자세에 따른 베개 높이 조절 방법
KR102034574B1 (ko) 자동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US20220000654A1 (en) Inflatable Air Mattress Snoring Detection and Response
CN109744785B (zh) 一种基于柔性压力传感器阵列的智能自适应床垫
EP2967223B1 (en) Inflatable air mattress with light controls
EP2967227B1 (en) Inflatable air mattress sleep environment adjustment and suggestions
CN108523524A (zh) 一种智能软硬可调床垫的用户睡眠个性化服务系统和方法
RU2727596C2 (ru) Электрическая кровать
KR101586908B1 (ko) 베개 높이 조절 장치
WO2017133578A1 (zh) 一种智能床
KR102111660B1 (ko) 전력 감응형 스마트 베개
US20190038041A1 (en) Adjustment system and method of bed
WO2017166238A1 (zh) 背包及一种受力检测方法
CN111989015A (zh) 外力检测系统及外力检测系统的驱动方法
CN111481024B (zh) 一种自动调节智能枕头的方法及其智能枕头
KR102023362B1 (ko) 외력 검출 시스템 및 외력 검출 시스템의 구동방법
US11889940B2 (en) Pillow with controll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963043B1 (ko) 사용자 수면에 적응하는 에어백 베개
KR20200073909A (ko) 높이 조절형 스마트 베개
CN113951686B (zh) 一种智能床垫控制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16115051A (zh) 高度可调节枕头和枕高调节方法
CN117796632A (zh) 一种高度调节机构及其智能调节系统和方法
CN210902429U (zh) 枕头
CN107595027A (zh) 一种智能型席子的控制系统
CN117442161A (zh) 一种ai自适应智能床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