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772B1 - 비닐 하우스 환기용 뚜껑 장치 - Google Patents

비닐 하우스 환기용 뚜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772B1
KR101834772B1 KR1020160082026A KR20160082026A KR101834772B1 KR 101834772 B1 KR101834772 B1 KR 101834772B1 KR 1020160082026 A KR1020160082026 A KR 1020160082026A KR 20160082026 A KR20160082026 A KR 20160082026A KR 101834772 B1 KR101834772 B1 KR 101834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xle
ventilation
vinyl house
cov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451A (ko
Inventor
조명환
유인호
류희룡
최경이
최효길
신영안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60082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772B1/ko
Publication of KR20180002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01G9/242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for greenhouses with flexible cove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 하우스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만으로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의 환기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비닐 하우스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100)에서 환기를 위하여 형성된 환기구에 설치되며, 상기 환기구의 상측에서 마련된 갓 유닛(300); 상기 갓 유닛(300)에 연결된 채로 블레이드 유닛(217)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액슬유닛(213); 상기 갓 유닛(300)과 상기 블레이드 유닛(217)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액슬유닛(213)이 삽입된 채로 상기 블레이드 유닛(217)이 회전할 때 풍압에 의해 상승력이 인가되어 상기 환기구를 닫고 있는 제1 위치로부터 상기 환기구를 개방하는 제2 위치로 상승되는 커버 케이스 유닛(211); 을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 환기용 뚜껑 장치를 제공하여, 간단한 구조로도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의 환기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 커버 케이스 유닛(211)이 액슬 유닛(213)에서 안내될 때 혹시 발생될 수 있는 흔들림 현상이 제2 면(222) 및 제3 면(223)에서 접선 방향의 면접촉에 의해 완충되어짐으로써 액슬 가이드 유닛(220) 내부면의 마찰이 최소화될 수 있고, 결국 액슬 가이드 유닛(220) 및 액슬 유닛(213)의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비닐 하우스 환기용 뚜껑 장치{A ventilation capping device for greenhouse}
본 발명은 비닐 하우스 환기용 뚜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만으로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의 환기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비닐 하우스 환기용 뚜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닐 하우스 시설물은 기밀성이 높아 보온력이 높아 작물 재배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조도면에 있어서도 비교적 유리하기 때문에 작물의 생육에서 유리온실에 비하여 결코 뒤지지 않는 강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작물의 재배에 있어서 비닐 하우스 시설물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비닐 하우스 시설물은 작물 생육에 필요한 내부 공기의 환기가 요구된다.
종래의 환기 장치는 환기창을 형성한 뒤 플랩 등을 이용하여 단순 개폐하는 방식을 선보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도어 방식의 환기장치는 환기량의 한계가 있었기에 강제적인 송풍을 유도하는 프로펠러 방식도 등장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프로펠러 방식의 환기장치 역시 회전축의 진동 등으로 인하여 회전축과 지지부간의 충돌 문제 등으로 인하여 그 내구성이 보장되지 못한 치명적인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한편, 위와 같은 종래의 비닐 하우스 시설물의 환기를 위한 장치는 구조적으로도 매우 복잡하였기 때문에 유지 보수의 어려움, 설치 비용의 과다문제 등이 따랐다.
또한, 종래의 환기 시설은 그 부피가 방대하여 비닐 하우스 시설물 내부 공간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KR1234530 B1
(특허문헌 2) KR1095341 B1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조가 매우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환기를 가능케 함과 동시에 콤팩트한 사이즈로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 내부의 부피공간을 최소로 차지하도록 하는 비닐 하우스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100)에서 환기를 위하여 형성된 환기구에 설치되며, 상기 환기구의 상측에서 마련된 갓 유닛(300); 상기 갓 유닛(300)에 연결된 채로 블레이드 유닛(217)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액슬유닛(213); 상기 갓 유닛(300)과 상기 블레이드 유닛(217)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액슬유닛(213)이 삽입된 채로 상기 블레이드 유닛(217)이 회전할 때 풍압에 의해 상승력이 인가되어 상기 환기구를 닫고 있는 제1 위치로부터 상기 환기구를 개방하는 제2 위치로 상승되는 커버 케이스 유닛(211); 을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 환기용 뚜껑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커버 케이스 유닛(211)에는 상기 액슬 유닛(213)이 삽입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액슬 유닛(213)이 면접촉되는 상기 액슬 가이드 유닛(220); 을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 환기용 뚜껑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슬 가이드 유닛(220)은 상기 액슬 유닛(213)이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승하강 이동될 때 접촉되는 제1 면(221); 상기 제1 면(221)의 상방향으로 갈수록 횡단면의 직경이 점차 확장되는 제2 면(222); 상기 제1 면(221)의 하방향으로 갈수록 횡단면의 직경이 점차 확장되는 제3 면(223); 을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 환기용 뚜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간단한 구조로도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의 환기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
둘째, 커버 케이스 유닛(211)이 액슬 유닛(213)에서 안내될 때 혹시 발생될 수 있는 흔들림 현상이 제2 면(222) 및 제3 면(223)에서 접선 방향의 면접촉에 의해 완충되어짐으로써 액슬 가이드 유닛(220) 내부면의 마찰이 최소화될 수 있고, 결국 액슬 가이드 유닛(220) 및 액슬 유닛(213)의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셋째, 무게추를 갖음으로써 진동이나 회전관성 등의 영향이 최소화 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100)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100)에 벤틸레이션 유닛(200)이 설치되어 커버 케이스 유닛(211)이 환기구를 닫고 있는 제1 위치일 때의 모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100)에 벤틸레이션 유닛(200)이 설치되어 커버 케이스 유닛(211)이 환기구를 개방하고 있는 제2 위치일 때의 모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100)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100)에 벤틸레이션 유닛(200)이 설치된 모습의 부분도이다.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100)에는 환기를 위한 환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환기구는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100)의 상단에서 외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통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지지 프레임 유닛(110)은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100)의 내측 상부에서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될 수 있다.
벤틸레이션 유닛(200)은 상부 지지 프레임 유닛(110)에 설치가 가능하다.
벤틸레이션 유닛(200)은 환기구 개폐 유닛(2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커버 케이스 유닛(211)에는 액슬 가이드 유닛(220)이 형성된다.
환기구 개폐 유닛(210)은 액슬 유닛(213)에 연결된 커버 케이스 유닛(211) 및 블레이드 유닛(217)을 포함한다.
액슬 유닛(213)의 상단에는 갓 유닛(300)이 마련되며, 하단에는 구동 모터 유닛(219)에 의해 회동하는 블레이드 유닛(217)이 마련되고 있다.
갓 유닛(300)은 커버 케이스 유닛(211)이 이하에서 설명될 제2 위치로 상승되면서 환기구를 개방할 때에도 상방향으로부터 낙하나는 빗방울 등이 환기구를 통해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100) 내부로 침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갓 유닛(300)의 직경은 환기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 케이스 유닛(211)의 직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환기구 개폐 유닛(210)은 환기구를 여닫는 커버 케이스 유닛(211)를 갖는다.
커버 케이스 유닛(211)은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100)에 형성된 환기구의 통공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100)의 횡단면에서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100) 상단이 라운드진 형상이라면 커버 케이스 유닛(211)은 라운드진 형상을 갖을 수 있다.
한편,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100)의 횡단면에서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100) 상단이 각진 형상이라면 커버 케이스 유닛(211)은 각진 형상을 갖을 수 있는 것이다.
커버 케이스 유닛(211)은 블레이드 유닛(217)에 의해 발생되는 풍압에 의해 액슬 유닛(213)에서 상승되면서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100)의 환기구를 여닫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 케이스 유닛(211)은 액슬 유닛(21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액슬 유닛(213)에는 블레이드 유닛(217)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액슬 유닛(213)의 일단에는 갓 유닛(300)이 고정되고, 액슬 유닛(213)의 타단에는 블레이드 유닛(217)이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에서 독립적으로 회동된다는 것은 블레이드 유닛(217)이 회전할 때 액슬 유닛(213)은 회전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블레이드 유닛(217)은 구동 모터 유닛(219)를 포함할 수 있는데, 구동 모터 유닛(219)는 블레이드 유닛(217)에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는 것이면 족하다.
액슬 유닛(213)은 원형 봉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될 제1 위치라 함은 커버 케이스 유닛(211)이 환기구를 닫고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
제2 위치라 함은 커버 케이스 유닛(211)이 환기구를 개방한 상태를 가리킨다.
보다 엄밀하게는, 제2 위치는 블레이드 유닛(217)이 회전할 때 커버 케이스 유닛(211)에 풍압에 의한 상승력을 인가함으로써, 커버 케이스 유닛(211)이 환기구를 닫고 있는 제1 위치로부터 커버 케이스 유닛(211)이 환기구를 개방하는 상태를 가리킨다.
액슬 가이드 유닛(220)은 커버 케이스 유닛(211)에 형성되면서,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승하강할 때 액슬 유닛(213)을 가이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액슬 가이드 유닛(220)은 액슬 유닛(213)에 면접촉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액슬 가이드 유닛(220)은 원형 봉 형상의 액슬 유닛(213)의 외주면이 접촉되도록 단면이 원형인 내주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액슬 유닛(213)은 액슬 가이드 유닛(220)의 안내를 받아 승하강 이동될 때 액슬 유닛(213)의 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러나, 블레이드 유닛(217)의 회전에 의한 모멘트 발생 또는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100)의 외부 대기 환경에 따른 바람의 영향 등으로 환기구 개폐 유닛(210)이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승하강 될 때 액슬 유닛(213) 축방향에 대하여 흔들리는 현상이 방지될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액슬 가이드 유닛(220)에는 제1 면(221)의 상방향으로 갈수록 횡단면의 직경이 점차 확장되는 제2 면(222) 및 제1 면(221)의 하방향으로 갈수록 횡단면의 직경이 점차 확장되는 제3 면(22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액슬 가이드 유닛(220)의 내주면의 전체적인 단면 형상은 제1 면(221)을 기준으로 상하로 갈 수록벌어져 장구와 같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액슬 유닛(213)이 액슬 가이드 유닛(220)에서 안내될 때 혹시 발생될 수 있는 흔들림 현상이 제2 면(222) 및 제3 면(223)에서 접선 방향의 면접촉에 의해 완충되어짐으로써 액슬 가이드 유닛(220) 내부면의 마찰이 최소화될 수 있고, 결국 액슬 가이드 유닛(220) 및 액슬 유닛(213)의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환기구 개폐 유닛(210)에는 블레이드 유닛(219)가 회전할 때 회전 모멘트나 기타 풍압에 의한 진동을 최소화 하도록 무게추(215)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진 않았으나, 갓 유닛(300)을 비롯한 핵슬 유닛(213)을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100)에 위치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 유닛(217)이 회동할 때 블레이드 유닛(217) 및 액슬 유닛(213) 그리고 갓 유닛(300)은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100)에 대하여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다만 블레이드 유닛(217)에서 발생되는 풍압에 의해 커버 케이스 유닛(211)만이 상승되면서 환기구를 개방할 수 있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커버 케이스 유닛(211)이 상승되면서 환기구를 개방할 때 갓 유닛(300)이 있기 때문에 우천시라도 빗물이 환기구를 통해 비닐 하우스 내부로 침투되는 일이 방지되는 것이다.
구동 모터 유닛(219)은 블레이드 유닛(217)에 회전력을 인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동 모터 유닛(219)는 액슬 유닛(213)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블레이드 유닛(217)과 일체로 형성되어 블레이드 유닛(217)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100)에 설치된 온도 또는 습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환기가 필요한 시점을 판단한 뒤 자동으로 구동 모터 유닛(219)를 작동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한 일이다.
그러나, 구동 모터 유닛(219)는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100)에 마련된 스위치(미도시)를 수동 조작하여 동작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동을 설명한다.
제1 위치로부터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100)의 환기가 필요한 시점에서 앞서 예를 든 제어부(미도시) 또는 스위치(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구동 모터 유닛(219)에 구동 명령이 자동 혹은 수동으로 인가된다.
구동 모터 유닛(219)이 블레이드 유닛(217)을 회전시키면 상방향으로 송풍되는 풍압에 의하여 커버 케이스 유닛(211)은 상방향으로 상승력을 받게 된다.
블레이드 유닛(217)은 액슬 유닛(213)에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액슬 유닛(213)은 회전되지 아니한다.
커버 케이스 유닛(211)은 액슬 가이드 유닛(220)의 제1 면(221)에 의해 안내를 받으며 부드럽게 수직 상승 할 수 있게 된다.
커버 케이스 유닛(211)은 풍압에 의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점차 이동되면서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100)의 환기구가 외기와 소통 가능하게 개방되면서 환기가 개시된다.
이때에도 갓 유닛(300)이 마련되어 이씩 때문에 상부로부터 낙하하는 빗물 등이 환기구를 통해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100) 내부로 유입되는 일은 없게 된다.
한편, 환기구 개폐 유닛(210)에는 블레이드 유닛(219)가 회전할 때 회전 모멘트나 기타 풍압에 의한 진동을 최소화 하도록 무게추(215)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언급된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폭은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100)가 설치된 지역의 지리적 특성에 따라 조절이 가능함을 일러둔다.
예를 들어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100)가 설치된 지역의 풍속이 빠른 곳이 느린 곳 보다 좁은 폭으로 설정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제2 위치에서 환기 중에 계속하여 회전 중인 블레이드 유닛(217)에 의해 유발된 모멘트 또는강풍 등에 의해 액슬 유닛(213)에 전달되는 흔들림은 제2 면(222) 및 제3 면(223)에 의해 완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위치로부터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100)의 환기가 완료된 시점에서 제어부(미도시) 또는 스위치(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구동 모터 유닛(219)에 구동 정지 명령이 자동 혹은 수동으로 인가된다.
블레이드 유닛(217)의 회전이 멈추게 되면 커버 케이스 유닛(211)은 자중에 의하여 서서히 하강하게 되고, 결국 커버 케이스 유닛(211)은 환기구를 밀폐함으로써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100)와 외부의 공기 이동이 차단된다.
부언하면, 제1 면(221)의 직경 내지 내주면의 재질은 커버 케이스 유닛(211)이 자중에 의해 서서히 하강할 수 있도록 설정 가능할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
110 : 상부 지지 프레임 유닛
200 : 벤틸레이션 유닛
210 : 환기구 개폐 유닛
211 : 커버 케이스 유닛
213 : 액슬 유닛
215 : 무게추
217 : 블레이드 유닛
219 : 구동 모터 유닛
220 : 액슬 가이드 유닛
221 : 제1 면
222 : 제2 면
223 : 제3 면
300 : 갓 유닛

Claims (3)

  1. 비닐 하우스 시설 유닛(100)에서 환기를 위하여 형성된 환기구에 설치되며,
    상기 환기구의 상측에서 마련된 갓 유닛(300);
    상기 갓 유닛(300)에 연결된 채로 블레이드 유닛(217)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액슬 유닛(213);
    상기 갓 유닛(300)과 상기 블레이드 유닛(217)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액슬유닛(213)이 삽입된 채로 상기 블레이드 유닛(217)이 회전할 때 풍압에 의해 상승력이 인가되어 상기 환기구를 닫고 있는 제1 위치로부터 상기 환기구를 개방하는 제2 위치로 상승되는 커버 케이스 유닛(211); 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케이스 유닛(211)에는,
    상기 액슬 유닛(213)이 삽입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액슬 유닛(213)과 접촉되는 액슬 가이드 유닛(220); 을 포함하며,
    상기 액슬 가이드 유닛(220)은,
    상기 액슬 유닛(213)이 상기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승하강 이동될 때 접촉되는 제1 면(221);
    상기 제1 면(221)의 상방향으로 갈수록 횡단면의 직경이 점차 확장되는 제2 면(222);
    상기 제1 면(221)의 하방향으로 갈수록 횡단면의 직경이 점차 확장되는 제3 면(223);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 내지 제3 면(221, 222, 223)은, 연속된 곡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액슬 유닛(213)과 선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버 케이스 유닛(211)의 좌우 방향의 흔들림에 의해 발생되는 외력이 상기 액슬 유닛(213)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비닐 하우스 환기용 뚜껑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60082026A 2016-06-29 2016-06-29 비닐 하우스 환기용 뚜껑 장치 KR101834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026A KR101834772B1 (ko) 2016-06-29 2016-06-29 비닐 하우스 환기용 뚜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026A KR101834772B1 (ko) 2016-06-29 2016-06-29 비닐 하우스 환기용 뚜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451A KR20180002451A (ko) 2018-01-08
KR101834772B1 true KR101834772B1 (ko) 2018-03-07

Family

ID=61003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026A KR101834772B1 (ko) 2016-06-29 2016-06-29 비닐 하우스 환기용 뚜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7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7815A (zh) * 2018-05-14 2018-08-10 甘肃诚坤农业科技有限责任公司 具有通风缓冲功能的蔬菜大棚
CN109744027B (zh) * 2019-01-29 2024-03-01 四川农业大学 避雨大棚智能通风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301215B1 (ko) * 2019-04-08 2021-09-13 김석복 비닐하우스의 지붕형 환기장치
KR102182942B1 (ko) * 2020-04-24 2020-11-2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팜그린텍 천장용 환풍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실 환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757Y1 (ko) * 2003-01-21 2003-04-08 박용 환기공 개폐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환풍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757Y1 (ko) * 2003-01-21 2003-04-08 박용 환기공 개폐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환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451A (ko) 2018-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772B1 (ko) 비닐 하우스 환기용 뚜껑 장치
KR102182942B1 (ko) 천장용 환풍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실 환기 방법
KR101520040B1 (ko) 공기조화기의 하이브리드 디퓨저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02774A (ko) 지붕 환풍장치
JP6549888B2 (ja) 自然換気窓
JP2017036633A (ja) 建具
CN111720350A (zh) 一种粮仓用多模式通风排风机
CN106246037B (zh) 玻璃结构房屋建筑风力感应开关窗控制系统
KR102113704B1 (ko) 온실용 일체형 창호 개폐장치
CN106223770B (zh) 玻璃结构建筑风力感应通风控制系统
KR20020031017A (ko) 자동/수동으로 개폐가능한 환풍기
JP2652523B2 (ja) 軸流・輻流兼用型吹出口装置
CN206860043U (zh) 滑动式船用通风罩
KR101671930B1 (ko) 기능성 창문시스템
JP2006052927A (ja) 給気装置
KR200208293Y1 (ko) 환기구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풍기
JP4472899B2 (ja) 電動シャッター付き換気装置
KR101716286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20090049475A (ko) 에어벤트의 풍향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벤트
KR200217677Y1 (ko) 자동/수동으로 개폐가능한 환풍기
CN212677953U (zh) 一种食用菌生产房用通风装置
KR200348109Y1 (ko) 농업용 환풍기
CN211458208U (zh) 能够自动通风的花卉种植用温室大棚
CN109185512A (zh) 一种单向充气阀
JP3220317U (ja) 温室カーテン巻き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