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655B1 - 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 - Google Patents

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655B1
KR101834655B1 KR1020160101456A KR20160101456A KR101834655B1 KR 101834655 B1 KR101834655 B1 KR 101834655B1 KR 1020160101456 A KR1020160101456 A KR 1020160101456A KR 20160101456 A KR20160101456 A KR 20160101456A KR 101834655 B1 KR101834655 B1 KR 101834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induction heating
ferromagnetic
test
heigh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7521A (ko
Inventor
이종국
양성모
박기수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60101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655B1/ko
Publication of KR20180017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00Ae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wind tunnels
    • G01M9/02Wind tunnels
    • G01M9/04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00Ae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wind tunnels
    • G01M9/06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aerodynamic 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erodynamic Tests, Hydrodynamic Tests, Wind Tunnels, And Water Tanks (AREA)

Abstract

제안기술은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를 위한 지상 시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제 비행 환경 모사를 위한 충격관 풍동에서 충격파 터널 시험 구간에 자유낙하 장치와 유도가열 장치를 통합하여 장착한 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The induction heating and free flight apparatus in a shock tunnel}
제안기술은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를 위한 지상 시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제 비행 환경 모사를 위한 충격관 풍동에서 충격파 터널 시험 구간에 자유낙하 장치와 유도가열 장치를 통합하여 장착한 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발사체와 고속 비행체 등의 대기권 탈출 및 대기권 재진입에 열화학적 현상이 동반되는 실기체 비행 환경에 대한 기술경쟁이 국제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실기체 비행 환경에서의 공기/열역학적 특성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충격파 터널(shock tunnel) 등과 지상 같은 시험 장비들이 필요하다.
초음속 영역에서 운용되는 비행체의 경우 마찰이나 충격파/경계층 상호 작용으로 인해 표면의 온도가 매우 크게 상승하여 충격파 재부착 등과 같은 복잡한 유동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시험 모델의 가열 없이 지상 시험 장비에서 수행한 자유 낙하 시험으로 얻어진 데이터는 표면 온도에 따른 저항 값 등의 공력 특성이 실제 비행 환경과는 상호간에 차이가 있어 초고속비행체 및 유도무기체계의 개발에 활용 시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322406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전자석을 이용한 자유낙하장치와 비접촉식으로 시험 모델의 표면 온도를 가열하는 유도 가열 장치를 실제 비행 환경 모사를 위한 충격관 풍동에서 충격파 터널 시험 구간에 장착하여 실제 비행고도에서의 비행체의 공력 특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유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에 있어서,
시험 구간에서 시험 장치 외부에 장착되는 전자석, 전자석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장착되는 유도 가열 장치, 유도 가열 장치에 연결되어 시험 구간에서 시험 장치 내부에 구비되는 유도 코일, 시험 구간에서 시험 장치 내부에 구비되는 원형의 강자성 지그, 전자석과 강자성 지그를 이어주는 막대 형상의 중앙 지그, 강자성 지그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에는 시험 모델이 장착되는 높이 조절 지그, 시험 장치 외부에 구비되어 유도 가열 장치에 연결되는 워터 쿨링 시스템을 포함하며, 유도 코일은 유도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되고, 시험 모델은 유도 코일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유도 코일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앙 지그에 의해 전자석의 자성이 강자성 지그와 상기 높이 조절 지그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험 모델은 자성에 의해 높이 조절 지그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험 모델은 강자성 지그의 자성이 제거되면 자유 낙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험 구간은 진공으로 구성되어 시험 모델은 높이 조절 지그에 장착되어 있던 자세 그대로 낙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높이 조절 지그는 볼트형으로 형성되어 강자성 지그에 나사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높이 조절 지그는 볼트 헤드 부분이 강자성 지그와 시험 구간의 내벽면 사이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강자성 지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강자성 지그의 하면으로부터 높이 조절 지그의 하단까지의 길이를 조절하여 시험 모델의 피치(pitch)와 롤(roll)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강자성 지그가 회전하여 시험 모델의 요(yaw)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워터쿨링 시스템은 냉각수와 워터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각수는 상기 유도 코일 내부로 주입되어 유도 코일이 일정 온도 이상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높이 조절 지그는 다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높이 조절 지그는 등간격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앙 지그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앙 지그는 전자석과 강자성 지그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석과 시험 구간의 외벽면 사이에는 진공용 오링(O-ring)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험 구간 내부에 위치한 중앙 지그에 너트를 끼워 진공용 오링을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도 가열 장치에서 시험 구간의 외벽면과 내벽면을 관통하는 부분에는 외벽면과 내벽면의 두께 보다 긴 길이의 실리콘글라스튜브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험 모델은 충격파 터널에서 생성된 유동과 광학창 중앙에서 만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비행고도에서의 비행체의 공력 특성을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초고속 비행체, 유도무기체계 등의 연구 및 개발을 위한 지상 시험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응 속도가 빠른 전자석 자유 낙하 시스템을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시험 모델의 위치 변화를 즉각적으로 측정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도 가열 및 자유 낙하를 위한 지상 시험 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지상 시험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자석 제어 회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강자성 지그의 작동법.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실제 비행 환경 모사를 위한 충격관 풍동에서 충격파 터널 시험 구간에 자유낙하장치와 유도가열장치를 통합하여 장착한 지상 시험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전자석을 이용한 자유낙하장치와 비접촉식으로 시험 모델의 표면 온도를 가열하는 유도 가열 장치를 충격파 터널 시험 구간에 장착하여 실제 비행고도에서의 비행체의 공력 특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도 가열 및 자유 낙하를 위한 지상 시험 장치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본 발명의 지상 시험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본 발명의 전자석 제어 회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강자성 지그의 작동법을 도시하고 있다.
실제 비행 환경 모사를 위해 충격파 터널 시험 구간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유도 가열 및 자유 낙하를 위한 지상 시험 장치는 상기 시험 구간(2)에서 상기 시험 장치 외부에 장착되는 전자석(12), 상기 전자석(12)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장착되는 유도 가열 장치(4), 상기 유도 가열 장치(4)에 연결되어 상기 시험 구간(2)에서 상기 시험 장치 내부에 구비되는 유도 코일(10), 상기 시험 구간(2)에서 상기 시험 장치 내부에 구비되는 원형의 강자성 지그(14), 상기 전자석(12)과 상기 강자성 지그(14)를 이어주는 막대 형상의 중앙 지그(16), 상기 강자성 지그(14)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에는 시험 모델이 장착되는 높이 조절 지그(18), 상기 시험 장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도 가열 장치(4)에 연결되는 워터 쿨링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유 낙하 장치(6)에 사용된 상기 전자석(12)은 DC 24V/0.24A이며, 30kgf의 흡착력을 가지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신호(4V)가 수신되면 상기 전자석(12)의 전원을 차단하는 트랜지스터와 상기 전자석(12)을 역기전력으로부터 보호하는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제어회로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장치(4)는 DC 48V의 전원공급장치(34)에 연결되어 시험 구간(2) 내부에 구비되는 마그네틱 소재의 상기 유도 코일(10)을 가열시키게 되며, 상기 시험 모델(8)은 상기 유도 코일(10)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 유도 코일(10)에 의해 가열된다.
상기와 같이 시험 구간(2) 내부에서 시험 모델(8)의 가열이 이루어지는 구조는 시험 구간(2)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켜 유동장에 교란을 발생시킬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워터 쿨링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상기 워터쿨링 시스템은 냉각수와 워터 펌프(26)를 포함하는 것으로, 12V의 전원공급장치(32)에 연결된 워터 펌프(26)에 의해 4.5L/min의 유량의 냉각수(28)가 상기 유도 코일(10) 내부로 주입되어 순환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워터 쿨링 시스템에 의해 상기 유도 코일(10)이 일정 온도 이상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유도 코일(10) 자체의 가열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시험 구간(2) 내부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앙 지그(16)는 상기 시험 구간(2)의 외벽면과 내벽면 사이를 관통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앙 지그(16)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일측은 상기 전자석(12)의 하단에 일정 ƒˆ이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강자성 지그(14)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어진다.
상기 시험 장치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전자석(12)의 하단과 상기 시험 구간(2)의 외벽면 사이에는 진공용 오링(O-ring)(22)이 구비된다.
상기 진공용 오링(22)은 상기 중앙 지그(16)에 끼워진 너트(20)에 의해 압착되어 진다.
상기 너트(20)는 상기 시험 구간(2)의 내벽면과 상기 강자성 지그(14)의 상면 사이에 위치한 상기 중앙 지그(16) 부분에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너트(20)를 상기 시험 구간(2)의 내벽면에 밀착하여 상기 중앙 지그(16)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진공용 오링(22)을 압착하여 시험 장치 내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유도 가열 장치(4)의 구동 시 발생되는 전류 및 열이 시험 구간 내부에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유도 가열 장치(4)에서 상기 시험 구간(2)의 외벽면과 내벽면을 관통하는 부분에는 상기 외벽면과 내벽면의 두께 보다 긴 길이로 이루어지며, 높은 항온도성과 절연성을 갖는 실리콘글라스튜브(24)가 끼워지게 된다.
상기 전자석(12)의 자성은 상기 시험 모델(8)의 낙하 성능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상기 전자석(12)의 자성을 상기 시험 모델(8)에까지 손실 없이 전달하기 위해 상기 강자성 지그(14)는 강자성의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강자성 지그(14)는 원판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강자성 지그(14)를 관통하여 다수 개의 높이 조절 지그(18)가 장착되어진다.
상기 높이 조절 지그(18)는 볼트형으로 형성되어 볼트 헤드 부분이 상기 강자성 지그(14)와 상기 시험 구간(2)의 내벽면 사이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상기 강자성 지그(14)에 나사 결합되어진다.
다수 개의 상기 높이 조절 지그(18)는 상기 강자성 지그(14)의 둘레 방향에 등간격으로 장착되며, 본 발명에서는 3개의 상기 높이 조절 지그(18)가 상기 강자성 지그(14)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상기 강자성 지그(14)에 결합되는 상기 높이 조절 지그(18)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전자석(12)의 자성은 상기 중앙 지그(16)를 통하여 상기 강자성 지그(14)에 전달되며, 상기 강자성 지그(14)에 전달된 자성은 상기 높이 조절 지그(18)로 전달된다.
상기 시험 모델(8)은 상기 높이 조절 지그(18)의 자성에 의해 상기 높이 조절 지그(18)의 하단에 부착되어진다.
상기 전자석(12)으로의 전원 공급이 제어되어 상기 강자성 지그(14)의 자성이 제거되면 상기 시험 모델(8)은 상기 높이 조절 지그(18)로부터 분리되어 자유 낙하하게 된다.
상기 시험 구간(2) 내부는 진공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시험 모델(8)은 상기 높이 조절 지그(18)에 장착되어 있던 자세 그대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시험 모델(8)은 상기 강자성 지그(14)의 하면으로부터 다수 개의 상기 높이 조절 지그(18)의 하단까지의 길이를 조절하여 6자유도 제어가 가능해진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상기 높이 조절 지그(18) 각각은 상기 시험 모델(8)의 앞부분과 양 날개 부분에 부착되어진다.
먼저, 상기 시험 모델(8)의 요(yaw)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상기 강자성 지그(14)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높이 조절 지그(18)의 길이가 모든 상기 높이 조절 지그(18)에 동일하도록 설치한다. 그 후 상기 강자성 지그(14)를 회전시켜 상기 시험 모델(8)의 요(yaw)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시험 모델(8)의 피치(pitch)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상기 시험 모델(8)의 양 날개에 부착된 상기 높이 조절 지그(18) 보다 상기 시험 모델(8)의 앞부분에 부착된 상기 높이 조절 지그(18)의 길이를 짧게 설치하여 상기 시험 모델(8)의 앞부분이 상기 시험 모델(8)의 양 날개 부분 보다 상승된 상태가 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시험 모델(8)의 롤(roll)은 상기 시험 모델(8)에 부착된 세 개의 상기 높이 조절 지그(18)의 높이 모두 동일한 상태에서, 상기 시험 모델(8)의 양 날개 중 어느 한 쪽에 부착된 상기 높이 조절 지그(18)의 길이는 상기 시험 모델(8)의 앞부분에 부착된 높이 조절 지그(18)의 길이 보다 길고, 상기 시험 모델(8)의 양 날개 중 다른 한 쪽에 부착된 높이 조절 지그(18)의 길이는 상기 시험 모델(8)의 앞부분에 부착된 높이 조절 지그(18)의 길이 보다 짧게 설치하여, 상기 시험 모델(8)의 양 날개에 부착된 상기 높이 조절 지그(18)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제어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도 가열 및 자유 낙하를 위한 지상 시험 장치의 작동은, 먼저 실험하고자 하는 상기 시험 모델(8)의 6자유도를 제어하고 유도 가열 장치(4)를 작동시켜 상기 전자석(12)의 자성에 의해 상기 높이 조절 지그(18)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시험 모델(8)을 가열한 후, 상기 시험 모델(8)이 충격파 터널에서 생성된 유동과 광학창(30) 중앙에서 만나도록 시간 지연 발생기로 상기 시험 모델(8)의 낙하 시작 시간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시험 구간(2) 내부가 실제 비행환경과 유사하게 모사되어지면 상기 높이 조절 지그(18)의 자성을 제거하여 상기 시험 모델(8)을 자유 낙하하게 함으로써 시험을 진행하게 된다.
상기 광학창(30)을 통해 가시화기법(Shadowgraph)을 이용하여 관측하게 된다.
본 발명의 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를 사용하여 시험을 진행하게 되면 반응 속도가 빠른 전자석 자유 낙하 시스템을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시험 모델의 위치 변화를 즉각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제 비행환경과 유사하게 모사된 유동 내에서 시험 모델(8)에 가해지는 힘과 압력의 측정이 가능하여 실제 비행고도에서의 비행체의 공력 특성을 파악할 수 있게 됨으로써 초고속 비행체, 유도무기체계 등의 연구 및 개발을 위한 지상 시험 장비 제작과 데이터 확보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 : 시험 구간
4 : 유도 가열 장치
6 : 자유 낙하 장치
8 : 시험 모델
10 : 유도 코일
12 : 전자석
14 : 강자성 지그
16 : 중앙 지그
18 : 높이조절 지그
20 : 너트
22 : 오링
24 : 실리콘글라스튜브
26 : 워터펌프
28 : 냉각수
30 : 광학창
32 : 워터펌프 전원공급장치
34 : 유도 가열 장치 전원공급장치
36 : 자유 낙하 장치 전원공급장치

Claims (19)

  1. 실제 비행 환경 모사를 위해 충격파 터널 시험 구간에 장착되는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험 구간에서 상기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 외부에 장착되는 전자석;
    상기 전자석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장착되는 유도 가열 장치;
    상기 유도 가열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시험 구간에서 상기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 내부에 구비되는 유도 코일;
    상기 시험 구간에서 상기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 내부에 구비되는 원형의 강자성 지그;
    상기 전자석과 상기 강자성 지그를 이어주는 막대 형상의 중앙 지그;
    상기 강자성 지그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에는 시험 모델이 장착되는 높이 조절 지그;
    상기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도 가열 장치에 연결되는 워터 쿨링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유도 코일은 상기 유도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되고,
    상기 시험 모델은 상기 유도 코일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 유도 코일에 의해 가열되며,
    상기 유도 가열 장치에서 상기 시험 구간의 외벽면과 내벽면을 관통하는 부분에는 상기 외벽면과 내벽면의 두께 보다 긴 길이의 실리콘글라스튜브가 끼워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지그에 의해 상기 전자석의 자성이 상기 강자성 지그와 상기 높이 조절 지그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모델은 자성에 의해 상기 높이 조절 지그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모델은 상기 강자성 지그의 자성이 제거되면 자유 낙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구간은 진공으로 구성되어 상기 시험 모델은 상기 높이 조절 지그에 장착되어 있던 자세 그대로 낙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지그는 볼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강자성 지그에 나사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지그는 볼트 헤드 부분이 상기 강자성 지그와 상기 시험 구간의 내벽면 사이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상기 강자성 지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 지그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높이 조절 지그의 하단까지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시험 모델의 피치(pitch)와 롤(roll)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 지그가 회전하여 상기 시험 모델의 요(yaw)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쿨링 시스템은 냉각수와 워터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는 상기 유도 코일 내부로 주입되어 상기 유도 코일이 일정 온도 이상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지그는 다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지그는 등간격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지그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지그는 상기 전자석과 상기 강자성 지그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과 상기 시험 구간의 외벽면 사이에는 진공용 오링(O-ring)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구간 내부에 위치한 상기 중앙 지그에 너트를 끼워 상기 진공용 오링을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
  18. 삭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모델은 충격파 터널에서 생성된 유동과 광학창 중앙에서 만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
KR1020160101456A 2016-08-09 2016-08-09 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 KR101834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456A KR101834655B1 (ko) 2016-08-09 2016-08-09 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456A KR101834655B1 (ko) 2016-08-09 2016-08-09 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521A KR20180017521A (ko) 2018-02-21
KR101834655B1 true KR101834655B1 (ko) 2018-03-05

Family

ID=61525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456A KR101834655B1 (ko) 2016-08-09 2016-08-09 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6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759A (ko) * 2020-10-06 2022-04-13 한국과학기술원 자유 낙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격파 실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34246B (zh) * 2023-07-05 2023-09-12 中国空气动力研究与发展中心计算空气动力研究所 一种流向涡调制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4063B2 (ja) * 1994-02-04 2001-10-29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超音速風洞における模型の投入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4063B2 (ja) * 1994-02-04 2001-10-29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超音速風洞における模型の投入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759A (ko) * 2020-10-06 2022-04-13 한국과학기술원 자유 낙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격파 실험 장치
KR102441630B1 (ko) * 2020-10-06 2022-09-13 한국과학기술원 자유 낙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격파 실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521A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eng et al. Mechanism study of coupled aerodynamic and thermal effects using plasma actuation for anti-icing
CN107389296B (zh) 一种用于风洞的飞机模型
KR101834655B1 (ko) 충격파 풍동 내 유도가열 및 자유낙하 장치
CN103630313B (zh) 飞行器受热结构热模态试验激振系统及其激振方法
CN103913267B (zh) 一种小型直管电热型空速管
US9804061B2 (en) Method and device for testing water droplet shedding ability of aircraft wing
CN108680330B (zh) 带动力并联级间分离全自由飞风洞试验装置及方法
CN111537181B (zh) 一种基于电弧加热的热噪声风洞及试验方法
CN112798214B (zh) 一种可控制结冰区域的试验装置及试验方法
LU101694A1 (en) Semiconductor piezoresistive icing detector and workling method thereof
CN107228750B (zh) 自由飞模型舵面偏转装置
Kennell et al. Free flight testing in hypersonic flows: HEXAFLY-INT EFTV
CN104677662A (zh) 非稳定弹体空投开伞模拟试验装置及试验方法
CN103926048B (zh) 侧向扰动对飞行弹丸作用模拟试验台
Schnepf et al. Wave drag reduction due to a self-aligning aerodisk
CN107063565B (zh) 一种防冰柱形压力探针
Hartley et al. Experimental and Computational Investigation of Drag Reduction by Electric‐Arc Airspikes at Mach 10
CN112829949B (zh) 一种飞机结冰风险监测方法
US3392577A (en) Real time reentry simulator
CN108760325A (zh) 一种用于航空发动机测试的动态姿态转台排气引导装置
CN109211518B (zh) 一种冲量可控的水下弹射装置
CN220221139U (zh) 一种冰雹撞击试验装置
Carter et al. An investigation of ejection releases of submerged and semisubmerged dynamically scaled stores from a simulated bomb bay of a fighter-bomber airplane at supersonic speeds
EP3248882A1 (en) De-icing system
CN211059054U (zh) 涡轮风扇供气活门电门调节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