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427B1 -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 및 멀티훈련플랫폼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 및 멀티훈련플랫폼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427B1
KR101834427B1 KR1020160021191A KR20160021191A KR101834427B1 KR 101834427 B1 KR101834427 B1 KR 101834427B1 KR 1020160021191 A KR1020160021191 A KR 1020160021191A KR 20160021191 A KR20160021191 A KR 20160021191A KR 101834427 B1 KR101834427 B1 KR 101834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message structure
platform
training platform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9167A (ko
Inventor
원준희
김영은
김대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비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비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비웍스
Priority to KR1020160021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427B1/ko
Publication of KR20170099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03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military purposes and tactics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의 제어장치가 다수의 훈련플랫폼을 운용할 수 있게 하는 공통의 메시지구조체를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단일의 제어장치가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을 동시에 여러 훈련플랫폼에서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단일의 제어장치(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 및 멀티훈련플랫폼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 및 멀티훈련플랫폼 제어 방법{MULTI-TRAINING PLATFORM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MULTI-TRAINING PLATFORM}
본 발명은, 단일의 제어장치가 다수의 훈련플랫폼을 운용할 수 있게 하는 공통의 메시지구조체를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단일의 제어장치가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을 동시에 여러 훈련플랫폼에서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해군이나 공군은, 전시 상황을 대비한 훈련을 꾸준히 진행해야 하는데, 실제 장비들을 가지고 직접 해상이나 상공에서 훈련하는 것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실제 장비 또는 훈련용 장비를 이용하여 훈련장에서 가상의 훈련을 진행하고 있다.
물론, 해군이나 공군 외에, 육군도 마찬가지로 가상의 훈련을 진행할 수 있고, 군인 외에도 소방 훈련과 같이 실제 환경에서 훈련하는 것이 제한적인 기타의 경우에도 가상의 훈련을 진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가상의 가상 훈련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교관과 해군 훈련생이 육지에서 가상의 해상 훈련을 진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가상의 해상 훈련은 훈련생 측의 (실제 또는 훈련용)장비와 교관 측의 제어장치에 의해 진행된다.
이러한 가상의 해상 훈련을 통해, 훈련생은 실제로 해상에 나가기에 앞서, 담당 장비에 대한 이해도와 숙련도를 높일 수 있으며, 다양한 상황을 간접적으로 경험하여 상황대처능력을 키울 수 있다.
헌데, 기존에는, 교관 측의 제어장치(예: 훈련통제기)는, 훈련생 측의 (실제 또는 훈련용)장비가 채택하고 있는 훈련플랫폼(예:LST, MLS, PKX, FFX)을 지원해야만 한다.
즉, 서로 다른 훈련플랫폼A 및 훈련플랫폼B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기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련플랫폼A를 지원하는 훈련제어기1 및 훈련플랫폼B를 지원하는 훈련제어기2의 구조로서, 제어장치(예: 훈련통제기)는 훈련플랫폼과 1:1로 매칭되는 구조이다.
결국, 기존에는, 전술과 같은 제어장치(예: 훈련통제기) 및 훈련플랫폼의 1:1 매칭 구조 때문에, 제어장치(예: 훈련통제기)가 훈련플랫폼 별로 다수 존재해야 하며 관리의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는, 훈련플랫폼이 새롭게 개발(추가)되고 이를 적용(채택)한 장비가 추가되거나 기존 훈련플랫폼이 수정되는 경우, 기존의 제어장치(예: 훈련통제기)로는 개발(추가) 또는 수정된 훈련플랫폼을 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운용할 수 있는 1:1 매칭의 제어장치(예: 훈련통제기)를 새롭게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술의 단점들을 개선하고자, 단일의 제어장치가 다수의 훈련플랫폼을 운용할 수 있게 하는 공통의 메시지구조체를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단일의 제어장치가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을 동시에 여러 훈련플랫폼에서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단일의 제어장치가 다수의 훈련플랫폼을 운용할 수 있게 하는 공통의 메시지구조체를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단일의 제어장치가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을 동시에 여러 훈련플랫폼에서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단일의 제어장치(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 및 멀티훈련플랫폼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 방법은, 연동 대상이 되는 2 이상의 훈련플랫폼 별로, 훈련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를 획득하는 획득단계; 상기 획득한 훈련플랫폼 별 메시지구조체를 이용하여 하나의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생성하는 공통 메시지구조체 생성단계; 상기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기반으로, 훈련 시나리오를 제작하는 시나리오관리단계; 훈련을 진행할 적어도 하나의 연동 훈련플랫폼을 식별하는 식별단계;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 진행을 위한 훈련제어 메시지를, 상기 공통 메시지구조체에서 상기 연동 훈련플랫폼 각각의 메시지구조체로 재구성하는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단계; 및 상기 재구성한 훈련제어 메시지를 상기 연동 훈련플랫폼 각각으로 전송하여, 상기 연동 훈련플랫폼에서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을 동시에 진행하게 하는 훈련제어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통 메시지구조체는, 상기 2 이상의 훈련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필드를 포함하되,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메시지구조체의 개수가 많은 필드일수록 상위영역에 위치하며, 하나의 메시지구조체에만 포함되어 있는 필드는 가장 하위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 이상의 훈련플랫폼 별로 연동 내역을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통 메시지 구조체는,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메시지구조체의 개수가 동일한 필드의 경우, 상기 연동 내역에 기초하여 연동 횟수가 더 많거나 또는 연동 시점이 더 최근인 훈련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의 필드가 더 상위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단계는, 상기 연동 훈련플랫폼 별로, 상기 공통 메시지구조체의 상위영역에서 하위영역에 따라 순차적으로 스캔하여 연동 훈련플랫폼의 메시지구조체 재구성에 필요한 필드를 추출하고, 상기 연동 훈련플랫폼 별로, 상기 추출한 필드를 이용하여 연동 훈련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를 재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동 대상이 되는 훈련플랫폼이 삭제 또는 추가 등록되는 경우, 상기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재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 훈련플랫폼을 상호 동일한 훈련환경으로 설정하기 위한 환경설정 메시지를, 상기 공통 메시지구조체에서 상기 연동 훈련플랫폼 각각의 메시지구조체로 재구성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가 등록된 훈련플랫폼이 진행 중인 훈련에 참여하는 경우, 훈련 진행 중인 연동 훈련플랫폼과 동일한 훈련환경으로 설정하기 위한 환경설정 메시지를, 상기 재 생성한 공통 메시지구조체에서 상기 추가 등록된 훈련플랫폼의 메시지구조체로 재구성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는, 연동 대상이 되는 2 이상의 훈련플랫폼 별로, 훈련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획득한 훈련플랫폼 별 메시지구조체를 이용하여 하나의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생성하는 공통 메시지구조체 생성부; 상기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기반으로, 훈련 시나리오를 제작하는 시나리오관리부; 훈련을 진행할 적어도 하나의 연동 훈련플랫폼을 식별하는 연동식별부;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 진행을 위한 훈련제어 메시지를, 상기 공통 메시지구조체에서 상기 연동 훈련플랫폼 각각의 메시지구조체로 재구성하는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부; 및 상기 재구성한 훈련제어 메시지를 상기 연동 훈련플랫폼 각각으로 전송하여, 상기 연동 훈련플랫폼에서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을 동시에 진행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통 메시지구조체는, 상기 2 이상의 훈련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필드를 포함하되,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메시지구조체의 개수가 많은 필드일수록 상위영역에 위치하며, 하나의 메시지구조체에만 포함되어 있는 필드는 가장 하위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 이상의 훈련플랫폼 별로 연동 내역을 관리하는 연동내역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통 메시지 구조체는,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메시지구조체의 개수가 동일한 필드의 경우, 상기 연동 내역에 기초하여 연동 횟수가 더 많거나 또는 연동 시점이 더 최근인 훈련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의 필드가 더 상위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부는, 상기 연동 훈련플랫폼 별로, 상기 공통 메시지구조체의 상위영역에서 하위영역에 따라 순차적으로 스캔하여 연동 훈련플랫폼의 메시지구조체 재구성에 필요한 필드를 추출하고, 상기 연동 훈련플랫폼 별로, 상기 추출한 필드를 이용하여 연동 훈련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를 재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통 메시지구조체 생성부는, 연동 대상이 되는 훈련플랫폼이 삭제 또는 추가 등록되는 경우, 상기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재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부 및 제어부는, 상기 연동 훈련플랫폼을 상호 동일한 훈련환경으로 설정하기 위한 환경설정 메시지를, 상기 공통 메시지구조체에서 상기 연동 훈련플랫폼 각각의 메시지구조체로 재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부 및 제어부는, 상기 추가 등록된 훈련플랫폼이 진행 중인 훈련에 참여하는 경우, 훈련 진행 중인 연동 훈련플랫폼과 동일한 훈련환경으로 설정하기 위한 환경설정 메시지를, 상기 재 생성한 공통 메시지구조체에서 상기 추가 등록된 훈련플랫폼의 메시지구조체로 재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부는, 재구성한 훈련제어 메시지 및 환경설정 메시지에, 수신처를 지시하는 헤더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 및 멀티훈련플랫폼 제어 방법에 의하면, 단일의 제어장치(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가 다수의 훈련플랫폼을 운용할 수 있게 하는 공통의 메시지구조체를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단일의 제어장치가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을 동시에 여러 훈련플랫폼에서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기존의 가상 훈련을 위한 1:1 매칭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가 포함되는 가상 훈련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 방법의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 메시지구조체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술 분야에 대해 먼저 설명하겠다.
본 발명은, 교관 측의 제어장치(훈련제어기) 및 훈련생 측의 (실제 또는 훈련용)장비로 진행되는 가상의 훈련과 관련된 것이다.
해군이나 공군은, 전시 상황을 대비한 훈련을 꾸준히 진행해야 하는데, 실제 장비들을 가지고 직접 해상이나 상공에서 훈련하는 것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실제 장비 또는 훈련용 장비를 이용하여 훈련장에서 가상의 훈련을 진행하고 있다.
물론, 해군이나 공군 외에, 육군도 마찬가지로 가상의 훈련을 진행할 수 있고, 군인 외에도 소방 훈련과 같이 실제 환경에서 훈련하는 것이 제한적인 기타의 경우에도 가상의 훈련을 진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가상의 해상 훈련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교관과 해군 훈련생이 육지에서 가상의 해상 훈련을 진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가상의 해상 훈련은 훈련생 측의 (실제 또는 훈련용)장비와 교관 측의 제어장치(훈련제어기)에 의해 진행된다.
헌데, 기존에는, 교관 측의 제어장치(예: 훈련통제기)는, 훈련생 측의 (실제 또는 훈련용)장비가 채택하고 있는 훈련플랫폼(예:LST, MLS, PKX, FFX)을 지원해야만 한다.
즉, 서로 다른 훈련플랫폼A 및 훈련플랫폼B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기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련플랫폼A를 지원하는 훈련제어기1 및 훈련플랫폼B를 지원하는 훈련제어기2의 구조로서, 제어장치(예: 훈련통제기)는 훈련플랫폼과 1:1로 매칭되는 구조이다.
결국, 기존에는, 전술과 같은 제어장치(예: 훈련통제기) 및 훈련플랫폼의 1:1 매칭 구조 때문에, 제어장치(예: 훈련통제기)가 훈련플랫폼 별로 다수 존재해야 하며 관리의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는, 훈련플랫폼이 새롭게 개발(추가)되고 이를 적용(채택)한 장비가 추가되거나 기존 훈련플랫폼이 수정되는 경우, 기존의 제어장치(예: 훈련통제기)로는 개발(추가) 또는 수정된 훈련플랫폼을 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운용할 수 있는 1:1 매칭의 제어장치(예: 훈련통제기)를 새롭게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술의 단점들을 개선하고자, 단일의 제어장치(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가 다수의 훈련플랫폼을 운용할 수 있게 하는 공통의 메시지구조체를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단일의 제어장치가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을 동시에 여러 훈련플랫폼에서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가 포함되는 가상 훈련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제어장치(예: 훈련통제기) 및 훈련플랫폼 1:1 매칭 구조와 달리, 다수의 훈련플랫폼 A,B,C...을 운용할 수 있는 단일의 제어장치(예: 훈련통제기)로서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는, 다수의 훈련플랫폼 A,B,C... 각각의 메시지구조체를 이용하여 하나의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생성하고, 공통 메시지구조체로 작성된 훈련제어 메시지 또는 환경설정 메시지 등 다양한 메시지를 다수의 훈련플랫폼 A,B,C... 각각의 메시지구조체로 재구성하여 전송함으로써,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기반으로 다수의 훈련플랫폼 A,B,C... 을 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생략하였지만, 다수의 훈련플랫폼 A,B,C... 각각에는, 해당 훈련플랫폼을 채택하고 있는 훈련생 측의 (실제 또는 훈련용)장비가 하나 또는 다수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의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는, 연동 대상이 되는 2 이상의 훈련플랫폼 별로, 훈련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를 획득하는 획득부(110)와, 상기 획득한 훈련플랫폼 별 메시지구조체를 이용하여 하나의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생성하는 공통 메시지구조체 생성부(120)와, 상기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기반으로, 훈련 시나리오를 제작하는 시나리오관리부(130)와, 훈련을 진행할 적어도 하나의 연동 훈련플랫폼을 식별하는 연동식별부(140)와,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 진행을 위한 훈련제어 메시지를, 상기 공통 메시지구조체에서 상기 연동 훈련플랫폼 각각의 메시지구조체로 재구성하는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부(150)와, 상기 재구성한 훈련제어 메시지를 상기 연동 훈련플랫폼 각각으로 전송하여, 상기 연동 훈련플랫폼에서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을 동시에 진행하게 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획득부(110)는, 연동 대상이 되는 2 이상의 훈련플랫폼 별로, 훈련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를 획득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 대상이 되는 2 이상의 훈련플랫폼으로서, 훈련플랫폼A,B,C를 언급하겠다.
즉, 획득부(110)는, 연동 대상이 되는 2 이상의 훈련플랫폼 즉 훈련플랫폼A,B,C 별로, 훈련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획득부(110)는, 훈련플랫폼A,B,C 각각으로부터 직접 메시지구조체를 획득할 수도 있고, 또는 훈련플랫폼A,B,C 각각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를 별도의 장치(예: 훈련플랫폼 정보관리서버)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획득부(110)는, 훈련플랫폼 별 메시지구조체로서, 훈련플랫폼A의 메시지구조체, 훈련플랫폼B의 메시지구조체, 훈련플랫폼C의 메시지구조체를 획득하게 될 것이다.
공통 메시지구조체 생성부(120)는, 획득부(110)가 획득한 훈련플랫폼 별 메시지구조체를 이용하여 하나의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공통 메시지구조체는, 2 이상의 훈련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필드를 포함하되,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메시지구조체의 개수가 많은 필드일수록 상위영역에 위치하며, 하나의 메시지구조체에만 포함되어 있는 필드는 가장 하위영역에 위치한다.
더불어, 공통 메시지구조체는,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메시지구조체의 개수가 동일한 필드의 경우, 상기 연동 내역에 기초하여 연동 횟수가 더 많거나 또는 연동 시점이 더 최근인 훈련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의 필드가 더 상위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전술과 같이 2 이상의 훈련플랫폼으로서 훈련플랫폼A,B,C를 언급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통 메시지구조체 생성부(120)는, 훈련플랫폼A,B,C 각각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필드를 포함하되,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메시지구조체의 개수가 많은 필드일수록 상위영역에 위치하며, 하나의 메시지구조체에만 포함되어 있는 필드는 가장 하위영역에 위치하는 형태의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생성하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도 5의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련플랫폼A의 메시지구조체는, 필드1,2,3,A1...의 구조를 갖고, 훈련플랫폼B의 메시지구조체는 필드1,2,4,B1...의 구조를 갖고, 훈련플랫폼C의 메시지구조체는 필드1,3,4,C1...의 구조를 갖는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가정 하에서는, 도 5의 오른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메시지구조체 생성부(120)는, 훈련플랫폼A,B,C 각각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필드 즉 필드1,2,3,4,A1,B1,C1...가 포함되는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생성한다.
이때, 공통 메시지구조체 생성부(120)는,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메시지구조체의 개수가 많은 필드일수록 공통 메시지구조체 내에서 상위영역에 위치시킨다.
예컨대, 도 5의 경우라면,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메시지구조체의 개수가 가장 많은 필드는, 3개의 훈련플랫폼A,B,C 모두의 메시지구조체에 포함되어 있는 필드1이므로, 필드1이 공통 메시지구조체 내에서 가장 상위영역(a)에 위치할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메시지구조체의 개수가 많은 필드일수록 공통 메시지구조체 내에서 상대적으로 상위영역에 위치할 것이다.
이렇게 되면,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메시지구조체가 없고 하나의 메시지구조체에만 포함되어 있는 A1,B1,C1,...은, 자연스럽게 공통 메시지구조체 내에서 가장 하위영역(c)에 위치할 것이다.
한편, 도 5의 경우라면, 필드2, 필드3, 필드4는, 공통 메시지구조체 내에서 가장 상위영역(a)에 위치한 필드1 다음으로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메시지구조체의 개수가 많은 필드이기 때문에, 필드1이 위치한 가장 상위영역(a) 다음 상위영역(b)에 위치한다.
헌데, 필드2, 필드3, 필드4는,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메시지구조체의 개수가 2개로 서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는, 이처럼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메시지구조체의 개수가 동일한 필드의 공통 메시지구조체 내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연동내역관리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동내역관리부(170)는, 연동 대상이 되는 2 이상의 훈련플랫폼, 즉 전술의 언급한 훈련플랫폼A,B,C 별로 연동 내역을 관리한다.
이때의 연동 내역이란,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과 과거에 연동된 훈련플랫폼의 연동 횟수 및 연동 시각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공통 메시지구조체 생성부(120)는,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메시지구조체의 개수가 동일한 필드 즉 도 5에서 필드2, 필드3, 필드4의 경우, 연동내역관리부(170)의 연동 내역에 기초하여 연동 횟수가 더 많거나 또는 연동 시점(시각)이 더 최근인 훈련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의 필드가 더 상위영역에 위치시킨다.
이에, 연동 횟수가 더 많거나 또는 연동 시점(시각)이 더 최근인 훈련플랫폼A -> B -> C 순서로 가정할 때, 도 5에서는, 공통 메시지구조체 내에서, 훈련플랫폼A -> B -> C 순서에 따라, 필드2가 영역(b)의 가장 상위영역, 필드3이 영역(b)의 다음 상위영역, 필드4가 영역(b)의 가장 하위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5에서는,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메시지구조체가 없고 하나의 메시지구조체에만 포함되어 있는 필드A1,B1,C1,...은, 공통 메시지구조체 내에서, 훈련플랫폼A -> B -> C 순서에 따라, 필드A1이 영역(c)의 가장 상위영역, 필드B1이 영역(c)의 다음 상위영역, 필드C1가 영역(c)의 다음 상위영역, ...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공통 메시지구조체 생성부(120)는, 연동 대상이 되는 훈련플랫폼이 삭제 또는 추가 등록되는 경우, 전술과 같은 방식으로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재 생성한다.
즉, 공통 메시지구조체 생성부(120)는, 연동 대상이 되는 훈련플랫폼이 삭제 또는 추가 등록되는 경우,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재 생성하여,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업데이트하는 것이다.
물론, 공통 메시지구조체 생성부(120)는, 연동 대상이 되는 훈련플랫폼 중에서 수정 특히 메시지구조체 수정이 발생한 훈련플랫폼이 있는 경우에도,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재 구성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시나리오관리부(130)는, 공통 메시지구조체 생성부(120)에서 생성한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기반으로, 훈련 시나리오를 제작한다.
예를 들면,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를 조작하는 사용자(교관)은,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에서 훈련 시나리오 제작을 개시하고, 제작 프로세스에 따라 다양한 훈련 상황, 조건 등을 입력하여 훈련 시나리오 제작을 완료할 수 있다.
이때, 시나리오관리부(130)는, 공통 메시지구조체 생성부(120)에서 생성한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기반으로, 훈련 시나리오를 제작하게 된다.
물론 이외에도, 시나리오관리부(130)는, 기 저장되어 있는 훈련 시나리오 로딩 시 또는 외부에서 훈련 시나리오 다운로드 시 역시,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기반으로 로딩 또는 다운로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본 발명의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에는, 공통 메시지구조체 기반으로 제작 또는 로딩 또는 다운로드된 훈련 시나리오가 존재(보유)하게 된다.
연동식별부(140)는, 훈련을 진행할 적어도 하나의 연동 훈련플랫폼을 식별한다.
예를 들면,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를 조작하는 사용자(교관)은,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에서 훈련을 진행할 적어도 하나의 훈련플랫폼 또는 적어도 하나의 장비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연동식별부(140)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훈련플랫폼 또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장비가 연결된(채택한) 적어도 하나의 훈련플랫폼을, 훈련 진행할 적어도 하나의 연동 훈련플랫폼으로 식별할 수 있다.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부(150)는,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 진행을 위한 훈련제어 메시지를, 공통 메시지구조체에서 연동 훈련플랫폼 각각의 메시지구조체로 재구성한다.
이때 훈련 시나리오는,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기반의 훈련 시나리오로 한정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연동 훈련플랫폼으로서 훈련플랫폼A,B가 식별된 것으로 가정하겠다.
이에,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부(150)는, 훈련 시나리오 즉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기반의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 진행을 위한 훈련제어 메시지를, 공통 메시지구조체에서 연동 훈련플랫폼A,B 각각의 메시지구조체로 재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부(150)는, 연동 훈련플랫폼A,B 별로, 공통 메시지구조체의 상위영역에서 하위영역에 따라 순차적으로 스캔하여 연동 훈련플랫폼의 메시지구조체 재구성에 필요한 필드를 추출한다.
즉,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부(150)는, 공통 메시지구조체의 상위영역에서 하위영역에 따라 순차적으로 스캔하여, 연동 훈련플랫폼A의 메시지구조체 재구성에 필요한 필드1,2,3,A1...을 추출한다.
또한,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부(150)는, 공통 메시지구조체의 상위영역에서 하위영역에 따라 순차적으로 스캔하여, 연동 훈련플랫폼b의 메시지구조체 재구성에 필요한 필드1,2,4,B1...을 추출한다.
그리고,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부(150)는, 연동 훈련플랫폼A,B 별로, 전술의 추출한 필드를 이용하여 연동 훈련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를 재구성한다.
즉,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부(150)는, 전술의 추출한 필드1,2,3,A1...을 이용하여 연동 훈련플랫폼A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를 재구성한다.
또한,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부(150)는, 전술의 추출한 필드1,2,4,B1...을 이용하여 연동 훈련플랫폼B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를 재구성한다.
이때,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부(150)는, 연동 훈련플랫폼A,B 별로 재구성한 훈련제어 메시지에, 수신처를 지시하는 헤더정보를 삽입한다.
여기서 헤더정보는, 훈련플랫폼 ID, 장비ID, 메시지ID 및 메시지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공통 메시지구조체는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메시지구조체의 개수가 많은 필드일수록 상위영역에 위치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공통 메시지구조체의 상위영역에서 하위영역에 따라 순차적으로 스캔하여 메시지구조체 재구성에 필요한 필드를 추출하게 되면, 추출 과정의 소비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메시지구조체 재구성 속도가 빨라지고 로드가 최소화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부(150)에서 연동 훈련플랫폼A,B 별로 재구성한 훈련제어 메시지를 연동 훈련플랫폼A,B 각각으로 전송하여, 연동 훈련플랫폼A,B 에서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을 동시에 진행하게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연동 대상이 되는 훈련플랫폼의 개수가 많아지더라도, 하나의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가, 여러 훈련플랫폼 별로 훈련 시나리오를 보유하는 일 없이, 하나의 공통 메시지구조체에 따른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만 보유하면 여러 훈련플랫폼을 통해 가상의 훈련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여러 훈련플랫폼을 통해 가상의 훈련을 동시에 진행하기에 앞서, 훈련플랫폼의 훈련환경을 동시에 일관되게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훈련을 진행할 연동 훈련플랫폼A,B가 식별되면, 자동으로 또는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를 조작하는 사용자(교관)에 의해, 훈련환경 설정 기능이 선행될 수 있다.
즉,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부(150)는, 자동으로 훈련환경 설정 기능이 선행될 경우, 연동 훈련플랫폼A,B를 상호 동일한 디폴트 훈련환경으로 설정하기 위한 환경설정 메시지를, 공통 메시지구조체에서 연동 훈련플랫폼A,B 각각의 메시지구조체로 재구성할 수 있다.
또는,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부(150)는,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를 조작하는 사용자(교관)에 의해 훈련환경 설정 기능이 선행될 경우, 연동 훈련플랫폼A,B를 상호 동일한 특정 훈련환경으로 설정하기 위한 환경설정 메시지를, 공통 메시지구조체에서 연동 훈련플랫폼A,B 각각의 메시지구조체로 재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훈련환경은, 사용자(교관)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른 훈련환경일 것이다.
물론,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부(150)는, 연동 훈련플랫폼A,B 별로 재구성한 환경설정 메시지에도, 전술과 같이 수신처를 지시하는 헤더정보를 삽입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부(150)에서 연동 훈련플랫폼A,B 별로 재구성한 환경설정 메시지를 연동 훈련플랫폼A,B 각각으로 전송하여, 연동 훈련플랫폼A,B에서 훈련환경을 동시에 동일하게 설정하게 한다.
한편, 전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연동 대상이 되는 훈련플랫폼(예: 훈련플랫폼E)이 추가 등록되는 경우라면,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부(150)는, 추가 등록된 훈련플랫폼E가 현재 훈련플랫폼A,B에서 진행 중인 훈련에 참여하는 경우, 훈련 진행 중인 연동 훈련플랫폼A,B와 동일한 훈련환경으로 설정하기 위한 환경설정 메시지를, 공통 메시지구조체(전술의 훈련플랫폼E 추가 등록 후 재 생성)에서 훈련플랫폼E의 메시지구조체로 자동 재구성할 수 있다.
물론,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부(150)는, 재구성한 훈련플랫폼E의 환경설정 메시지에도, 전술과 같이 수신처를 지시하는 헤더정보를 삽입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부(150)에서 재구성한 환경설정 메시지를 훈련플랫폼E으로 전송하여, 참여할 훈련을 진행하고 있는 연동 훈련플랫폼A,B와 동일한 훈련환경으로 훈련플랫폼E를 자동 설정할 수 있다.
이후부터는,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부(150)는, 훈련 시나리오 즉 재 생성한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기반의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 진행을 위한 훈련제어 메시지를, 공통 메시지구조체에서 연동 훈련플랫폼A,B,E 각각의 메시지구조체로 재구성할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부(150)에서 연동 훈련플랫폼A,B,E 별로 재구성한 훈련제어 메시지를 연동 훈련플랫폼A,B,E 각각으로 전송하여, 연동 훈련플랫폼A,B,E에서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을 동시에 진행하게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훈련플랫폼이 새롭게 개발(추가)되고 이를 적용(채택)한 장비가 추가되거나 기존 훈련플랫폼이 수정되거나 삭제되는 경우에도, 1:1 매칭의 제어장치(예: 훈련통제기)를 새롭게 구비해야 하는 일 없이, 공통 메시지구조체만 재 생성(업데이트)하면 이 역시 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의 제어장치(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가 다수의 훈련플랫폼을 운용할 수 있게 하는 공통의 메시지구조체를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단일의 제어장치(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가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을 동시에 여러 훈련플랫폼에서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여러 훈련플랫폼의 훈련환경을 동시에 동일하게 설정하는 등, 다수의 훈련플랫폼을 운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제어장치(예: 훈련통제기)가 훈련플랫폼 별로 다수 존재해야 하며 관리의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 훈련플랫폼이 새롭게 개발(추가)되고 이를 적용(채택)한 장비가 추가되거나 기존 훈련플랫폼이 수정되는 경우 이를 운용할 수 있는 1:1 매칭의 제어장치(예: 훈련통제기)를 새롭게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모두 개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멀티훈련플랫폼 제어 방법을,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으로 명명하여 설명하겠다.
그리고 이하에서 역시, 전술과 같이 연동 대상이 되는 2 이상의 훈련플랫폼으로서, 훈련플랫폼A,B,C를 언급하겠다.
본 발명의 멀티훈련플랫폼 제어 방법 즉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연동 대상이 되는 2 이상의 훈련플랫폼 즉 훈련플랫폼A,B,C 별로, 훈련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를 획득한다(S100).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00단계에서 획득한 훈련플랫폼 별 메시지구조체를 이용하여 하나의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생성한다(S110).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도 5의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련플랫폼A의 메시지구조체는, 필드1,2,3,A1...의 구조를 갖고, 훈련플랫폼B의 메시지구조체는 필드1,2,4,B1...의 구조를 갖고, 훈련플랫폼C의 메시지구조체는 필드1,3,4,C1...의 구조를 갖는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가정 하에서는, 도 5의 오른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훈련플랫폼A,B,C 각각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필드 즉 필드1,2,3,4,A1,B1,C1...가 포함되는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생성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메시지구조체의 개수가 많은 필드일수록 공통 메시지구조체 내에서 상위영역에 위치시킨다.
예컨대, 도 5의 경우라면,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메시지구조체의 개수가 가장 많은 필드는, 3개의 훈련플랫폼A,B,C 모두의 메시지구조체에 포함되어 있는 필드1이므로, 필드1이 공통 메시지구조체 내에서 가장 상위영역(a)에 위치할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메시지구조체의 개수가 많은 필드일수록 공통 메시지구조체 내에서 상대적으로 상위영역에 위치할 것이다.
이렇게 되면,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메시지구조체가 없고 하나의 메시지구조체에만 포함되어 있는 A1,B1,C1,...은, 자연스럽게 공통 메시지구조체 내에서 가장 하위영역(c)에 위치할 것이다.
한편, 도 5의 경우라면, 필드2, 필드3, 필드4는, 공통 메시지구조체 내에서 가장 상위영역(a)에 위치한 필드1 다음으로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메시지구조체의 개수가 많은 필드이기 때문에, 필드1이 위치한 가장 상위영역(a) 다음 상위영역(b)에 위치한다.
헌데, 필드2, 필드3, 필드4는,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메시지구조체의 개수가 2개로 서로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메시지구조체의 개수가 동일한 필드의 공통 메시지구조체 내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연동 대상이 되는 2 이상의 훈련플랫폼, 즉 전술의 언급한 훈련플랫폼A,B,C 별로 연동 내역을 관리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메시지구조체의 개수가 동일한 필드 즉 도 5에서 필드2, 필드3, 필드4의 경우, 연동 내역에 기초하여 연동 횟수가 더 많거나 또는 연동 시점(시각)이 더 최근인 훈련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의 필드가 더 상위영역에 위치시킨다.
이에, 연동 횟수가 더 많거나 또는 연동 시점(시각)이 더 최근인 훈련플랫폼A -> B -> C 순서로 가정할 때, 도 5에서는, 공통 메시지구조체 내에서, 훈련플랫폼A -> B -> C 순서에 따라, 필드2가 영역(b)의 가장 상위영역, 필드3이 영역(b)의 다음 상위영역, 필드4가 영역(b)의 가장 하위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5에서는,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메시지구조체가 없고 하나의 메시지구조체에만 포함되어 있는 필드A1,B1,C1,...은, 공통 메시지구조체 내에서, 훈련플랫폼A -> B -> C 순서에 따라, 필드A1이 영역(c)의 가장 상위영역, 필드B1이 영역(c)의 다음 상위영역, 필드C1가 영역(c)의 다음 상위영역, ...에 위치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10단계에서 생성한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기반으로, 훈련 시나리오를 제작한다(S120).
예를 들면,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를 조작하는 사용자(교관)은,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에서 훈련 시나리오 제작을 개시하고, 제작 프로세스에 따라 다양한 훈련 상황, 조건 등을 입력하여 훈련 시나리오 제작을 완료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10단계에서 생성한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기반으로, 훈련 시나리오를 제작하게 된다.
물론 이외에도, S120단계에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 저장되어 있는 훈련 시나리오 로딩 시 또는 외부에서 훈련 시나리오 다운로드 시 역시,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기반으로 로딩 또는 다운로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본 발명의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에는, 공통 메시지구조체 기반으로 제작 또는 로딩 또는 다운로드된 훈련 시나리오가 존재(보유)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가상의 훈련을 진행하게 되면(S130 Yes), 훈련을 진행할 적어도 하나의 연동 훈련플랫폼을 식별한다(S140).
예를 들면,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를 조작하는 사용자(교관)은,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에서 훈련을 진행할 적어도 하나의 훈련플랫폼 또는 적어도 하나의 장비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훈련플랫폼 또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장비가 연결된(채택한) 적어도 하나의 훈련플랫폼을, 훈련 진행할 적어도 하나의 연동 훈련플랫폼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연동 훈련플랫폼으로서 훈련플랫폼A,B가 식별된 것으로 가정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40단계에서 연동 훈련플랫폼A,B가 식별되면, 훈련환경 설정 기능이 선행되는지 판단한다(S150).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자동으로 또는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를 조작하는 사용자(교관)에 의해, 훈련환경 설정 기능이 선행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자동으로 훈련환경 설정 기능이 선행될 경우(S150 Yes), 연동 훈련플랫폼A,B를 상호 동일한 디폴트 훈련환경으로 설정하기 위한 환경설정 메시지를, 공통 메시지구조체에서 연동 훈련플랫폼A,B 각각의 메시지구조체로 재구성할 수 있다(S160).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를 조작하는 사용자(교관)에 의해 훈련환경 설정 기능이 선행될 경우(S150 Yes), 연동 훈련플랫폼A,B를 상호 동일한 특정 훈련환경으로 설정하기 위한 환경설정 메시지를, 공통 메시지구조체에서 연동 훈련플랫폼A,B 각각의 메시지구조체로 재구성할 수 있다(S160).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연동 훈련플랫폼A,B 별로 재구성한 환경설정 메시지에, 전술과 같이 수신처를 지시하는 헤더정보를 삽입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60단계에서 연동 훈련플랫폼A,B 별로 재구성한 환경설정 메시지를 연동 훈련플랫폼A,B 각각으로 전송하여, 연동 훈련플랫폼A,B에서 훈련환경을 동시에 동일하게 설정하게 한다(S165).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연동 훈련플랫폼A,B의 훈련환경을 동일하게 설정한 후(S165) 또는 S150단계에서 훈련환경 설정 기능이 선행되지 않는 경우(S150 No), 훈련 시나리오 즉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기반의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 진행을 위한 훈련제어 메시지를, 공통 메시지구조체에서 연동 훈련플랫폼A,B 각각의 메시지구조체로 재구성한다(S17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연동 훈련플랫폼A,B 별로, 공통 메시지구조체의 상위영역에서 하위영역에 따라 순차적으로 스캔하여 연동 훈련플랫폼의 메시지구조체 재구성에 필요한 필드를 추출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공통 메시지구조체의 상위영역에서 하위영역에 따라 순차적으로 스캔하여, 연동 훈련플랫폼A의 메시지구조체 재구성에 필요한 필드1,2,3,A1...을 추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공통 메시지구조체의 상위영역에서 하위영역에 따라 순차적으로 스캔하여, 연동 훈련플랫폼b의 메시지구조체 재구성에 필요한 필드1,2,4,B1...을 추출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연동 훈련플랫폼A,B 별로, 전술의 추출한 필드를 이용하여 연동 훈련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를 재구성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추출한 필드1,2,3,A1...을 이용하여 연동 훈련플랫폼A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를 재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추출한 필드1,2,4,B1...을 이용하여 연동 훈련플랫폼B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를 재구성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연동 훈련플랫폼A,B 별로 재구성한 훈련제어 메시지에, 수신처를 지시하는 헤더정보를 삽입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공통 메시지구조체는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메시지구조체의 개수가 많은 필드일수록 상위영역에 위치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공통 메시지구조체의 상위영역에서 하위영역에 따라 순차적으로 스캔하여 메시지구조체 재구성에 필요한 필드를 추출하게 되면, 추출 과정의 소비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메시지구조체 재구성 속도가 빨라지고 로드가 최소화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70단계에서 연동 훈련플랫폼A,B 별로 재구성한 훈련제어 메시지를 연동 훈련플랫폼A,B 각각으로 전송하여, 연동 훈련플랫폼A,B 에서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을 동시에 진행하게 한다(S175).
이에, 본 발명에서는, 연동 대상이 되는 훈련플랫폼의 개수가 많아지더라도, 하나의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가, 여러 훈련플랫폼 별로 훈련 시나리오를 보유하는 일 없이, 하나의 공통 메시지구조체에 따른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만 보유하면 여러 훈련플랫폼을 통해 가상의 훈련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한편, 가상의 훈련이 진행되지 않으면(S130 No),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연동 대상이 되는 훈련플랫폼이 삭제 또는 추가 등록되는지 판단한다(S180).
이하에서는, 훈련플랫폼E가 추가 등록되는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연동 대상이 되는 훈련플랫폼(예: 훈련플랫폼E)이 추가 등록되는 경우(S180 Yes), 전술의 S110단계와 같은 방식으로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재 생성한다(S19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추가 등록된 훈련플랫폼E가 현재 훈련플랫폼A,B에서 진행 중인 훈련에 참여하는 경우(S200 Yes), 훈련 진행 중인 연동 훈련플랫폼A,B와 동일한 훈련환경으로 설정하기 위한 환경설정 메시지를, 공통 메시지구조체(전술의 훈련플랫폼E 추가 등록 후 재 생성)에서 훈련플랫폼E의 메시지구조체로 자동 재구성할 수 있다(S210).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재구성한 훈련플랫폼E의 환경설정 메시지에도, 전술과 같이 수신처를 지시하는 헤더정보를 삽입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210단계에서 재구성한 환경설정 메시지를 훈련플랫폼E으로 전송하여, 참여할 훈련을 진행하고 있는 연동 훈련플랫폼A,B와 동일한 훈련환경으로 훈련플랫폼E를 자동 설정할 수 있다(S220).
이후부터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훈련 시나리오 즉 재 생성한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기반의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 진행을 위한 훈련제어 메시지를, 공통 메시지구조체에서 연동 훈련플랫폼A,B,E 각각의 메시지구조체로 재구성 및 전송하여, 연동 훈련플랫폼A,B,E에서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을 동시에 진행하게 한다(②).
이에, 본 발명에서는, 훈련플랫폼이 새롭게 개발(추가)되고 이를 적용(채택)한 장비가 추가되거나 기존 훈련플랫폼이 수정되거나 삭제되는 경우에도, 1:1 매칭의 제어장치(예: 훈련통제기)를 새롭게 구비해야 하는 일 없이, 공통 메시지구조체만 재 생성(업데이트)하면 이 역시 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의 제어장치(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가 다수의 훈련플랫폼을 운용할 수 있게 하는 공통의 메시지구조체를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단일의 제어장치(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가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을 동시에 여러 훈련플랫폼에서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여러 훈련플랫폼의 훈련환경을 동시에 동일하게 설정하는 등, 다수의 훈련플랫폼을 운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제어장치(예: 훈련통제기)가 훈련플랫폼 별로 다수 존재해야 하며 관리의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 훈련플랫폼이 새롭게 개발(추가)되고 이를 적용(채택)한 장비가 추가되거나 기존 훈련플랫폼이 수정되는 경우 이를 운용할 수 있는 1:1 매칭의 제어장치(예: 훈련통제기)를 새롭게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모두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 또는 제어기능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 및 멀티훈련플랫폼 제어 방법에 따르면, 단일의 제어장치가 다수의 훈련플랫폼을 운용할 수 있게 하는 공통의 메시지구조체를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단일의 제어장치가 여러 훈련플랫폼에서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멀티훈련플랫폼
110 : 획득부 120 : 공통메시지구조체생성부
130 : 시나리오관리부 140 : 연동식별부
150 : 메시지구조체재구성부 160 : 제어부
170 : 연동내역관리부

Claims (15)

  1. 연동 대상이 되는 2 이상의 훈련플랫폼 별로, 훈련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를 획득하는 획득단계;
    상기 획득한 훈련플랫폼 별 메시지구조체를 이용하여 하나의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생성하는 공통 메시지구조체 생성단계;
    상기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기반으로, 훈련 시나리오를 제작하는 시나리오관리단계;
    훈련을 진행할 적어도 하나의 연동 훈련플랫폼을 식별하는 식별단계;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 진행을 위한 훈련제어 메시지를, 상기 공통 메시지구조체에서 상기 연동 훈련플랫폼 각각의 메시지구조체로 재구성하는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단계; 및
    상기 재구성한 훈련제어 메시지를 상기 연동 훈련플랫폼 각각으로 전송하여, 상기 연동 훈련플랫폼에서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을 동시에 진행하게 하는 훈련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통 메시지구조체는,
    상기 2 이상의 훈련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필드를 포함하되,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메시지구조체의 개수가 많은 필드일수록 상위영역에 위치하며, 하나의 메시지구조체에만 포함되어 있는 필드는 가장 하위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단계는,
    상기 연동 훈련플랫폼 별로, 상기 공통 메시지구조체의 상위영역에서 하위영역에 따라 순차적으로 스캔하여 연동 훈련플랫폼의 메시지구조체 재구성에 필요한 필드를 추출하고,
    상기 연동 훈련플랫폼 별로, 상기 추출한 필드를 이용하여 연동 훈련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를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훈련플랫폼 제어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훈련플랫폼 별로 연동 내역을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통 메시지 구조체는,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메시지구조체의 개수가 동일한 필드의 경우, 상기 연동 내역에 기초하여 연동 횟수가 더 많거나 또는 연동 시점이 더 최근인 훈련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의 필드가 더 상위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훈련플랫폼 제어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연동 대상이 되는 훈련플랫폼이 삭제 또는 추가 등록되는 경우, 상기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재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훈련플랫폼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훈련플랫폼을 상호 동일한 훈련환경으로 설정하기 위한 환경설정 메시지를, 상기 공통 메시지구조체에서 상기 연동 훈련플랫폼 각각의 메시지구조체로 재구성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훈련플랫폼 제어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등록된 훈련플랫폼이 진행 중인 훈련에 참여하는 경우, 훈련 진행 중인 연동 훈련플랫폼과 동일한 훈련환경으로 설정하기 위한 환경설정 메시지를, 상기 재 생성한 공통 메시지구조체에서 상기 추가 등록된 훈련플랫폼의 메시지구조체로 재구성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훈련플랫폼 제어 방법.
  8. 연동 대상이 되는 2 이상의 훈련플랫폼 별로, 훈련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획득한 훈련플랫폼 별 메시지구조체를 이용하여 하나의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생성하는 공통 메시지구조체 생성부;
    상기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기반으로, 훈련 시나리오를 제작하는 시나리오관리부;
    훈련을 진행할 적어도 하나의 연동 훈련플랫폼을 식별하는 연동식별부;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 진행을 위한 훈련제어 메시지를, 상기 공통 메시지구조체에서 상기 연동 훈련플랫폼 각각의 메시지구조체로 재구성하는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부; 및
    상기 재구성한 훈련제어 메시지를 상기 연동 훈련플랫폼 각각으로 전송하여, 상기 연동 훈련플랫폼에서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을 동시에 진행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통 메시지구조체는,
    상기 2 이상의 훈련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필드를 포함하되,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메시지구조체의 개수가 많은 필드일수록 상위영역에 위치하며, 하나의 메시지구조체에만 포함되어 있는 필드는 가장 하위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부는,
    상기 연동 훈련플랫폼 별로, 상기 공통 메시지구조체의 상위영역에서 하위영역에 따라 순차적으로 스캔하여 연동 훈련플랫폼의 메시지구조체 재구성에 필요한 필드를 추출하고,
    상기 연동 훈련플랫폼 별로, 상기 추출한 필드를 이용하여 연동 훈련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를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훈련플랫폼 별로 연동 내역을 관리하는 연동내역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통 메시지 구조체는,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메시지구조체의 개수가 동일한 필드의 경우, 상기 연동 내역에 기초하여 연동 횟수가 더 많거나 또는 연동 시점이 더 최근인 훈련플랫폼에서 사용하는 메시지구조체의 필드가 더 상위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
  11. 삭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메시지구조체 생성부는,
    연동 대상이 되는 훈련플랫폼이 삭제 또는 추가 등록되는 경우, 상기 공통 메시지구조체를 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부 및 제어부는,
    상기 연동 훈련플랫폼을 상호 동일한 훈련환경으로 설정하기 위한 환경설정 메시지를, 상기 공통 메시지구조체에서 상기 연동 훈련플랫폼 각각의 메시지구조체로 재구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부 및 제어부는,
    상기 추가 등록된 훈련플랫폼이 진행 중인 훈련에 참여하는 경우, 훈련 진행 중인 연동 훈련플랫폼과 동일한 훈련환경으로 설정하기 위한 환경설정 메시지를, 상기 재 생성한 공통 메시지구조체에서 상기 추가 등록된 훈련플랫폼의 메시지구조체로 재구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
  15. 제 8 항 또는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구조체 재구성부는,
    재구성한 훈련제어 메시지 및 환경설정 메시지에, 수신처를 지시하는 헤더정보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
KR1020160021191A 2016-02-23 2016-02-23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 및 멀티훈련플랫폼 제어 방법 KR101834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191A KR101834427B1 (ko) 2016-02-23 2016-02-23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 및 멀티훈련플랫폼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191A KR101834427B1 (ko) 2016-02-23 2016-02-23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 및 멀티훈련플랫폼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167A KR20170099167A (ko) 2017-08-31
KR101834427B1 true KR101834427B1 (ko) 2018-03-05

Family

ID=59761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191A KR101834427B1 (ko) 2016-02-23 2016-02-23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 및 멀티훈련플랫폼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4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668A (ko) * 2018-08-01 2020-02-11 주식회사 포멀웍스 3차원 증강현실을 이용한 합동 지휘통제 훈련 시스템 및 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966B1 (ko) * 2021-03-22 2021-09-10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연동 장치에서 연동 메시지를 분석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160B1 (ko) * 2014-11-12 2015-09-30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워게임 모델의 연동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160B1 (ko) * 2014-11-12 2015-09-30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워게임 모델의 연동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668A (ko) * 2018-08-01 2020-02-11 주식회사 포멀웍스 3차원 증강현실을 이용한 합동 지휘통제 훈련 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2169024B1 (ko) * 2018-08-01 2020-10-22 주식회사 포멀웍스 3차원 증강현실을 이용한 합동 지휘통제 훈련 시스템 및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167A (ko)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95760B (zh) 基于云端的文件画面共享方法
CN101571802B (zh) 一种嵌入式软件测试数据可视化自动生成方法及系统
KR101834427B1 (ko) 멀티훈련플랫폼 제어장치 및 멀티훈련플랫폼 제어 방법
CN104461693B (zh) 一种桌面云计算环境下的虚拟机更新方法和系统
CN110083541A (zh) 游戏测试方法、装置、计算机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06775789A (zh) 机车软件更新方法、设备及系统
CN109978290A (zh) 一种业务流程回退处理方法、流程引擎和业务系统
CN108295470B (zh) 虚拟应用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07220110A (zh) 硬件自动适应方法及系统
CN108108158A (zh) 一种面向安卓的用户个性化定制语音控制应用方法
CN103559098B (zh) 智能卡测试号码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08920725A (zh) 一种对象存储的方法及对象存储网关
KR102409370B1 (ko) 협업 기반 전술 훈련장 맵을 이용한 vr 중장비 훈련 시스템
CN112717400B (zh) 关卡画面的显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7295075A (zh) 一种基于会话保持的跨终端应用状态迁移方法
CN106383832A (zh) 一种数据挖掘训练模型的生成方法
CN113270007A (zh) 一种云环境下多模式的调度员培训仿真系统
CN109472104A (zh) 一种500kv变电站vr施工仿真方法及装置
KR102169980B1 (ko) 재난 상황 전파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N114207693A (zh) 用于支持生成用于测试自主驾驶和/或高级驾驶员辅助系统功能的场景的方法和服务器
CN108090062A (zh) 一种页面刷新方法及装置
CN108459875B (zh) 生成游戏流程的方法、装置和终端
CN106126314B (zh) 扩充指令的模拟方法和装置
CN112604298B (zh) 一种资源更新方法、装置与系统
JP2010020106A (ja) 訓練シナリオ作成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