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257B1 - 차량용 향 발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향 발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257B1
KR101834257B1 KR1020150173962A KR20150173962A KR101834257B1 KR 101834257 B1 KR101834257 B1 KR 101834257B1 KR 1020150173962 A KR1020150173962 A KR 1020150173962A KR 20150173962 A KR20150173962 A KR 20150173962A KR 101834257 B1 KR101834257 B1 KR 101834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ring cartridge
ring
wick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7369A (ko
Inventor
박용식
Original Assignee
박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식 filed Critical 박용식
Priority to KR1020150173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257B1/ko
Publication of KR20170067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B60H3/0028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on or near an air outle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의 방향물질을 링 형상의 링 카트리지에 수납하여 향 발산 심지를 통해 향을 차내로 확산시킴으로써, 향 발산장치를 사용가거나 운반하는 과정에서 본체가 넘어지거나 뒤집어지더라도 방향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향 발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후방에 집게형 클립부가 형성되고, 집게형 클립부의 전방에는 후방이 막혀 있고 전방이 개방되며 후방 둘레에 다수의 바람 유입홀이 형성된 원통관이 구비되는 그릴 장착구와; 상기 원통관에 삽입되고 전방의 하부에는 심지 관통홈이 형성된 중간관과; 후방이 상기 중간관의 외주연의 전방에 삽입되고, 내주연의 하부 중앙에는 향 발산 심지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는 개방홀이 형성되며, 액상의 방향물질이 채워지는 원형링 형상의 링 카트리지와; 후방이 상기 중간관의 전방에 삽입되고, 외주연의 전방 둘레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링 카트리지의 이탈을 방지하며, 하부에는 심지 관통홈이 형성되는 분사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향 발산장치{Perfume diffusion device of car}
본 발명은 차량용 향 발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의 방향물질을 링 형상의 링 카트리지에 수납하여 향 발산 심지를 통해 향을 차내로 확산시킴으로써, 향 발산장치를 사용가거나 운반하는 과정에서 본체가 넘어지거나 뒤집어지더라도 방향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향 발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환경, 내부환경 개선목적의 일환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향 발산장치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향을 이용한 치료, 광고목적 등으로도 여러 가지의 향 발산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에, 먼저 종래의 향 발산장치의 일예로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71215호의 "차량용 향 발산장치"(이하, "종래의 차량용 향 발산장치"라 한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차량용 향 발산장치는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방향물질을 수용시키기 위한 용기와, 상기 몸체 내에 설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야기시키기 위한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전방 중앙에는 상기 송풍팬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작동스위치와 상기 송풍팬의 작동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램프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몸체의 좌우측부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몸체의 안팎으로 자유로운 공기의 유동을 허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용 향 발산장치를 사용하거나 운반하는 과정에서, 향 발산장치가 뒤집어질 경우에는 케이스에 내장된 용기에 채워진 액체나 겔 상태의 방향물질이 용기로부터 이탈되어 케이스의 내부을 더럽히게 됨으로써, 내부에서 유출되는 방향물질로 인하여 장치가 빈번하게 손상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향 발산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하부 케이스를 전체적으로 분해한 다음, 내부 용기에 액체나 겔 상태의 방향물질을 보충해야 함으로써, 방향물질의 보충시 많은 불편함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71215호의 "차량용 향 발산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상의 방향물질을 링 형상의 링 카트리지에 수납하여 향을 발산하는 향 발산 심지를 통해 향을 차내로 확산시킴으로써, 향 발산장치를 사용가거나 운반하는 과정에서 장치가 넘어지거나 뒤집어지더라도 방향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카트리지 교환식 향 발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링 카트리지를 분리한 후 개방홀에 관통된 심지를 뽑은 다음, 개방홀을 통해 액상의 방향물질을 용이하게 채울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향 발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고 표시부가 형성된 분사관의 교체를 통해, 광고 표시부를 용이하게 교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카트리지 교환식 향 발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방의 분사관만 분리한 상태에서 링 카트리지를 바로 교체함에 따라, 링 카트리지의 교체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향 발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향 발산장치"는 후방에 집게형 클립부가 형성되고, 집게형 클립부의 전방에는 후방이 막혀 있고 전방이 개방되며 후방 둘레에 다수의 바람 유입홀이 형성된 원통관이 구비되는 그릴 장착구와; 상기 원통관에 삽입되고 전방의 하부에는 심지 관통홈이 형성된 중간관과; 후방이 상기 중간관의 외주연의 전방에 삽입되고, 내주연의 하부 중앙에는 향 발산 심지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는 개방홀이 형성되며, 액상의 방향물질이 채워지는 원형링 형상의 링 카트리지와; 후방이 상기 중간관의 전방에 삽입되고, 외주연의 전방 둘레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링 카트리지의 이탈을 방지하며, 하부에는 심지 관통홈이 형성되는 분사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향 발산장치"의 상기 분사관의 내부의 전방의 둘레에는 전방으로 가면서 직경이 확장되게 원호형 확장면이 더 형성되고, 상기 분사관의 전방에는 향 배출커버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향 배출커버부는 상기 상,하 둘레에 형성되는 다수의 향 배출홀과, 상기 전방 중앙에 형성되는 광고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향 발산장치"의 상기 링 카트리지는 원형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관의 외주연의 전방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링 카트리지의 내주연의 후방이 밀착되는 전방 원호형면이 형성되며, 상기 분사관의 외주연의 후방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링 카트리지의 내주연의 전방이 밀착되는 후방 원호형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향 발산장치"의 각각의 상기 바람 유입홀은 원통관의 둘레의 후방에서 후판까지 연장되는 장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향 발산장치"의 상기 집게형 클립부는 후방에 상,하로 벌어짐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집게판과 하부 집게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향 발산장치"의 상기 상부 집게판의 하면에는 그릴에서 그릴 장착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후 간격을 두고 다수 걸림돌기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전방에 수직 걸림단부와 수직 걸림단부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상향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액상의 방향물질을 링 형상의 링 카트리지에 수납하여 향 발산 심지를 통해 향을 차내로 확산시킴에 따라, 향 발산장치를 사용가거나 운반하는 과정에서 장치가 넘어지거나 뒤집어지더라도 방향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방향물질의 손실을 사전에 예방하고 장치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링 카트리지를 분리한 후 개방홀에 관통된 심지를 뽑은 다음, 개방홀을 통해 액상의 방향물질을 용이하게 채울 수 있게 함으로써, 액상의 방향물질의 보충시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 표시부가 형성된 분사관의 교체를 통해, 광고 표시부를 용이하게 교체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광고표시부가 형성된 분사관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의 분사관만 분리한 상태에서 링 카트리지를 바로 교체함에 따라 링 카트리지의 교체시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향 발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향 발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향 발산장치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향 발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향 발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향 발산장치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향 발산장치는 후방에 배치되어 차량에서 냉기나 온기나 분출되는 그릴에 장착되고 그릴에서 통과되는 바람이 내부로 유입되어 전방으로 이동되게 하는 그릴 장착구(1)와, 그릴 장착구(1)의 전방에 구비되는 중간관(2)과, 중간관(2)의 전방 둘레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액상의 방향물질이 채워지고 심지를 통해 향이 내측으로 발산되는 링 카트리지(3)와, 상기 중간관(2)의 전방에 삽입되어 링 카트리지(3)를 고정하면서 링 카트리지(3)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향을 전방으로 분사시키는 분사관(4)을 포함한다.
상기 그릴 장착구(1)는 후방에 차량에서 냉기나 온기나 분출되는 그릴에 장착할 수 있도록 집게형 클립부(11)가 형성되고, 집게형 클립부(11)의 전방에는 후방이 막혀 있고 전방이 개방되며 후방 둘레에 다수의 바람 유입홀(121)이 형성된 원통관(12)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집게형 클립부(11)는 후방에 상,하로 벌어짐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집게판(111)과 하부 집게판(11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 집게판(111)의 하면에는 그릴에서 그릴 장착구(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후 간격을 두고 다수 걸림돌기(113)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걸림돌기(113)는 전방에 수직 걸림단부(114)와 수직 걸림단부(114)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상향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15)을 포함하게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원통관(12)의 후방 둘레에 형성되는 각각의 상기 바람 유입홀(121)은 차량용 그릴에서 분사되는 바람이 원통관(12)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원통관(12)의 둘레의 후방에서 후판까지 연장되는 장홀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중간관(2)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관(12)에 전방에 삽입되어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링 카트리지(3)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중간관(2)의 전방의 하부에는 상기 링 카트리지(3)의 내주연의 하부 중앙에 장착되는 향 발산 심지(32)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전방과 상,하부가 개방되는 심지 관통홈(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링 카트리지(3)는 원형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관(2)의 외주연의 전방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원형관의 링 카트리지(3)의 내주연의 후방이 밀착되는 전방 원호형면(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중간관(2)의 외주연의 전방에 링 카트리지(3)의 내주연의 후방이 밀착되는 전방 원호형면(22)을 형성함에 따라, 링 카트리지(3)를 좀 더 견고하게 중간의 전방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링 카트리지(3)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이 상기 중간관(2)의 외주연의 전방에 삽입되고, 내주연의 하부 중앙에는 향 발산 심지(32)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는 개방홀(31)이 형성되며, 액상의 방향물질이 채워지는 원형링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링 카트리지(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채워진 액상의 방향물질을 전부 소진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원형관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링 카트리지(3)는 내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이나 반 투명의 합성수지재가 유리재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분사관(4)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이 상기 중간관(2)의 전방에 삽입되고, 외주연의 전방 둘레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링 카트리지(3)의 이탈을 방지하며, 하부에는 상기 링 카트리지(3)의 내주연의 하부 중앙에 장착되는 향 발산 심지(32)가 관통될 수 있도록 후방과 상,하부가 개방된 심지 관통홈(41)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사관(4)의 외주연의 후방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원형관의 링 카트리지(3)의 내주연의 전방이 밀착되는 후방 원호형면(4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분사관(4)의 외주연의 후방에 링 카트리지(3)의 내주연의 전방이 밀착되는 후방 원호형면(44)을 형성함에 따라, 링 카트리지(3)를 좀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분사관(4)의 내부의 전방의 둘레에는 분사관(4)의 내부를 통과하는 향이 차내로 확산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전방으로 가면서 직경이 확장되게 원호형 확장면(42)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사관(4)의 전방에는 향 배출커버부(4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향 배출커버부(43)는 향을 배출함과 동시에 광고 효과도 얻을 수 있도록, 상기 상,하 둘레에 형성되는 다수의 향 배출홀(431)과, 상기 전방 중앙에 형성되는 광고 표시부(432)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고 표시부(432)가 형성된 분사관(4)의 교체를 통해, 광고 표시부(432)를 용이하게 교체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광고 표시부(432)가 형성된 분사관(4)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의 분사관(4)만 분리한 상태에서 링 카트리지(3)를 바로 교체함에 따라 링 카트리지(3)의 교체시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향 발산장치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향 발산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그릴 장착구(1)의 후방에 배치되는 집게형 클립부(11)를 차량의 냉기나 온기가 배출되는 그릴에 삽입하여 장착한다.
그러면 차량의 그릴에서 배출되는 냉기나 온기의 바람이 상기 그릴 장착구(1)를 구성하는 원통관(12)의 후방에 형성된 다수의 바람 유입홀(121)을 통과하여 원통관(12)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원통관(12)의 내부로 유입된 바람은 상기 중간관(2)와 분사관(4)을 통과하여 전방으로 분사된다. 아울러, 이와 같이 바람이 전방으로 분사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링 카트리지(3)의 내측 하부에 구비된 향 발산 심지(32)에서 향이 중간관(3)과 분사관(4)의 내부로 유입됨으로서, 바람과 함께 향이 차내로 유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액상의 방향물질을 링 카트리지(3)에 수납하여 향 발산 심지(32)를 통해 향을 차내로 확산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액상의 방향물질을 링 카트리지(3)에 수납함으로써, 향 발산장치를 사용가거나 운반하는 과정에서 장치가 넘어지거나 뒤집어지더라도 방향물질이 케이스의 내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방향물질의 손실을 사전에 예방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링 카트리지(3)를 분리한 후 개방홀(31)에 관통된 향 발산 심지(32)를 뽑은 다음, 개방홀(31)을 통해 액상의 방향물질을 용이하게 채울 수 있게 함으로써 액상의 방향물질을 보충시 편리성을 제공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그릴 장착구
11 : 집게형 클립부
111 : 상부 집게판, 112 : 하부 집게판, 113 : 걸림돌기,
114 : 수직 걸림단부, 115 : 경사면
12 : 원통관
121 : 바람 유입홀
2 : 중간관
21 : 심지 관통홈
22 : 전방 원호형면
3 : 링 카트리지
31 : 개방홀
32 : 향 발산 심지
4 : 분사관
41 : 심지 관통홈
42 : 원호형 확장면
43 : 향 배출커버부
431 : 향 배출홀, 432 : 광고 표시부
44 : 후방 원호형면

Claims (6)

  1. 후방에 집게형 클립부(11)가 형성되고, 집게형 클립부(11)의 전방에는 후방이 막혀 있고 전방이 개방되며 후방 둘레에 다수의 바람 유입홀(121)이 형성된 원통관(12)이 구비되는 그릴 장착구(1)와;
    상기 원통관(12)에 삽입되고 전방의 하부에는 심지 관통홈(21)이 형성된 중간관(2)과;
    후방이 상기 중간관(2)의 외주연의 전방에 삽입되고, 내주연의 하부 중앙에는 향 발산 심지(32)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는 개방홀(31)이 형성되며, 액상의 방향물질이 채워지는 원형링 형상의 링 카트리지(3)와;
    후방이 상기 중간관(2)의 전방에 삽입되고, 외주연의 전방 둘레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링 카트리지(3)의 이탈을 방지하며, 하부에는 심지 관통홈(41)이 형성되는 분사관(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향 발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관(4)의 내부의 전방의 둘레에는 전방으로 가면서 직경이 확장되게 원호형 확장면(42)이 더 형성되고,
    상기 분사관(4)의 전방에는 향 배출커버부(43)가 더 형성되며,
    상기 향 배출커버부(43)는
    상기 상,하 둘레에 형성되는 다수의 향 배출홀(431)과,
    상기 전방 중앙에 형성되는 광고 표시부(4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향 발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 카트리지(3)는 원형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관(2)의 외주연의 전방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링 카트리지(3)의 내주연의 후방이 밀착되는 전방 원호형면(22)이 형성되며,
    상기 분사관(4)의 외주연의 후방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링 카트리지(3)의 내주연의 전방이 밀착되는 후방 원호형면(4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향 발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바람 유입홀(121)은 원통관(12)의 둘레의 후방에서 후판까지 연장되는 장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향 발산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형 클립부(11)는
    후방에 상,하로 벌어짐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집게판(111)과 하부 집게판(11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향 발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집게판(111)의 하면에는 그릴에서 그릴 장착구(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후 간격을 두고 다수 걸림돌기(113)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113)는 전방에 수직 걸림단부(114)와 수직 걸림단부(114)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상향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향 발산장치.
KR1020150173962A 2015-12-08 2015-12-08 차량용 향 발산장치 KR101834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962A KR101834257B1 (ko) 2015-12-08 2015-12-08 차량용 향 발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962A KR101834257B1 (ko) 2015-12-08 2015-12-08 차량용 향 발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369A KR20170067369A (ko) 2017-06-16
KR101834257B1 true KR101834257B1 (ko) 2018-03-05

Family

ID=59278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962A KR101834257B1 (ko) 2015-12-08 2015-12-08 차량용 향 발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2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399B1 (ko) * 2019-07-02 2020-08-20 문경환 자동차 에어컨 벤트그릴용 보조그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967Y1 (ko) * 2018-08-09 2021-07-09 이상호 방향제 케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986Y1 (ko) 2000-11-10 2001-05-15 이택규 차량용 방향제
KR200289653Y1 (ko) 2002-06-25 2002-09-16 이제후 차량용 방향제 휘산기
KR200451813Y1 (ko) 2010-05-14 2011-01-13 서희주 클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986Y1 (ko) 2000-11-10 2001-05-15 이택규 차량용 방향제
KR200289653Y1 (ko) 2002-06-25 2002-09-16 이제후 차량용 방향제 휘산기
KR200451813Y1 (ko) 2010-05-14 2011-01-13 서희주 클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399B1 (ko) * 2019-07-02 2020-08-20 문경환 자동차 에어컨 벤트그릴용 보조그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369A (ko) 2017-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46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a scent into the air
KR101834257B1 (ko) 차량용 향 발산장치
US20100187327A1 (en) Dual scent air freshener with manual combiner
KR200429528Y1 (ko) 방향제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
US10286097B2 (en) Deodorizing device for a vehicle
KR200493967Y1 (ko) 방향제 케이스
CN105188778A (zh) 空气清新剂容器的分配器
CN100426961C (zh) 用于将凝胶中的挥发性化合物分配到周围空气的装置
US7331449B2 (en) Combined contact lens case and solution storage device
CN214802991U (zh) 挥发结构及护发风嘴
CN214802992U (zh) 护发物储藏容器及护发风嘴
US6463936B1 (en) Cigarette handling system
KR101973904B1 (ko)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
KR102165341B1 (ko) 턴테이블형 차량용 방향제
KR200494152Y1 (ko) 차량 에어벤트 그릴 탈부착형 방향장치
JP2014166249A (ja) 揮散装置
US20160001925A1 (en) Cover for a bottle with a retention feature
CN115191656A (zh) 防止运输漏液的雾化弹及雾化装置
US20130168402A1 (en) Covering to extend the useful life and regulate the potency of air freshening products
JP3638705B2 (ja) 液体吐出容器
KR102551287B1 (ko) 자동차용 방향제
KR20200122561A (ko) 차량용 클립형 방향제
KR200393240Y1 (ko) 용기 착탈식 구성을 갖는 방향제용 홀더
JP2016150625A (ja) 自動車用芳香具
CN213383811U (zh) 茶炉加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