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234B1 - 안내서비스 지원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안내서비스 지원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234B1
KR101834234B1 KR1020160120839A KR20160120839A KR101834234B1 KR 101834234 B1 KR101834234 B1 KR 101834234B1 KR 1020160120839 A KR1020160120839 A KR 1020160120839A KR 20160120839 A KR20160120839 A KR 20160120839A KR 101834234 B1 KR101834234 B1 KR 101834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ata
application
service system
gui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동건
김문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0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2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04M1/7256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안내서비스 지원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음성기반 안내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 필요한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 단말장치의 키패드를 통해 일일이 정보를 입력할 필요없이 간단하게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안내서비스 지원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Method and Application Stored in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Automatic Response Service}
본 실시예는 안내서비스 시스템과 음성 호 연결된 단말장치에서 안내서비스를 위한 입력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서비스업체, 공공기관 등 다양한 기업 내지 기관에서는 음성기반의 안내서비스 즉,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서비스를 제공하는 안내서비스 시스템을 구비하여 고객에게 편의를 제공함과 동시에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운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음성기반 안내서비스는 다수의 음성안내항목을 순차적으로 제공한 후, 고객이 선택한 음성안내항목에 따라 하위 음성안내항목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고객이 여러 단계의 음성안내항목 선택과정을 거쳐 원하는 하위 음성안내항목에 도달한 후 최종적으로 음성안내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 트리(Tree) 방식의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서비스 구조로 인하여, 고객 입장에서는 음성기반 안내서비스를 이용할 때 음성안내항목을 기억해야만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원하는 서비스에 도달하기까지의 모든 음성안내항목을 들어야 하기 때문에 서비스 이용에 큰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음성기반 안내서비스 시스템에서는 때때로 고객에게 외우기 어려운 일련의 번호(예: 운송장번호, 계좌번호, 인증번호 등)를 입력하도록 요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번호를 확인하기 위해 통화 중에 메모 애플리케이션 등 단말장치 내의 타 애플리케이션을 참고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메모나 문자 등을 참고한다 하더라도 일일이 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여전히 남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음성기반 안내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 필요한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 단말장치의 키패드를 통해 일일이 정보를 입력할 필요없이 간단하게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장치에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안내서비스 시스템과 음성 호 연결된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안내서비스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요구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요구 데이터에 대한 입력요청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요청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입력요청 신호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의 입력영역에 요구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음성기반 안내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 필요한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 필요한 정보를 기억하여 단말장치의 키패드를 통해 일일이 정보를 입력할 필요없이 간단하게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기반 안내서비스를 위한 통화 중에 안내서비스에 필요한 데이터를 한번에 입력하는 구성으로 별도의 서버 도입 등 기존 안내서비스 시스템(수신부)의 변경없이 다이얼러 애플리케이션(입력부)의 변경만으로도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이 적용될 수 있는 안내서비스 지원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단말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하는 안내서비스 지원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이 적용된 시스템의 안내서비스 지원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음성기반 안내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 필요한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 단말장치의 키패드를 통해 일일이 정보를 입력할 필요없이 간단히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이 적용될 수 있는 안내서비스 지원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안내서비스 지원 시스템(100)은 안내서비스 지원서버(110), 단말장치(120) 및 안내서비스 시스템(130)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서비스 시스템(130)은 서비스업체(예: 외식업체, 배달업체 등) 및 공공기관(예: 서울시청, 기상청 등)을 포함한 다양한 기업 내지 기관에서 관련정보들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예컨대, 자동 응답 시스템(ARS)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안내서비스 시스템(130)에서 제공하는 음성 기반의 안내서비스(예: ARS 서비스)는 여러 음성안내항목을 순차적으로 들려주는 음성안내정보를 제공한 후, 음성안내정보를 기반으로 고객에 의해 선택되는 음성안내항목에 따른 하위 음성안내항목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즉, 여러 단계의 음성안내항목 선택과정을 거쳐 원하는 하위 음성안내항목에 도달한 후 원하는 최종 음성안내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 트리(Tree) 방식의 서비스 구조를 갖는다.
안내서비스 시스템(130)은 음성 안내정보 제공서버(132) 및 시각적 안내정보 제공서버(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안내정보 제공서버(132)는 음성 호 연결된 단말장치로 안내항목을 포함한 음성 안내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IVR(Interactive Voice Response) 서버 또는 ARS 서버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시각적 안내정보 제공서버(134)는 데이터 호 연결된 단말장치로 음성 안내정보 제공서버(132)가 제공하는 음성 안내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안내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음성안내항목을 시각화하여 단말장치 키패드의 각 문자와 매칭되는 항목을 나타내는 웹 페이지 등이 시각적 안내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시각적 안내정보 제공서버(134)는 도 1에서 안내서비스 시스템(13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안내서비스 지원서버(110)에 통합되어 하나의 장치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안내서비스 지원서버(110)는 안내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장치(120)에 제공되는 안내서비스 시스템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여기서, 안내서비스 시스템과 관련된 정보는 예컨대, 단말장치(120)에서 입력된 발신번호 또는 수신번호에 맵핑(mapping)된 시각적 안내정보 서버의 URL, 발신번호 또는 수신번호로 연결되는 안내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정보(예: 운송장 번호, 계좌번호 등 안내서비스에서 요구하는 정보의 특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안내서비스 지원서버(110) 내에 시각적 안내정보 제공서버(134)가 구현되는 다른 실시예에서, 안내서비스 지원서버(110)는 단말장치(120)와 안내서비스 시스템(130) 사이를 중계하여 연결된 단말장치(120)에 음성 안내와 함께 이와 관련된 별도의 시각적 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서비스 지원서버(110)는 음성 안내서비스를 이용하려는 단말장치(120)와의 연결생성 과정에서 인지된 발신번호(즉, 음성 안내서비스 전화번호)로의 발신 절차를 직접 수행함으로써 안내서비스 시스템(130)과 연결(예: 음성 호 연결)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안내서비스 지원서버(110)는 안내서비스 시스템(130)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안내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안내정보를 단말장치(1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장치(120)는 음성 안내정보에 따른 음성을 출력하고, 동시에 시각적 안내정보에 따른 안내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내서비스 시스템(130)의 변경이 없어도 효율적으로 안내서비스 시스템(130)에서 제공하는 음성 안내와 함께 별도의 시각적 안내를 단말장치(120)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단말장치(120)는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발신 단말기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이다. 단말장치(120)는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안내서비스 시스템으로 음성 호 연결 요청을 함으로써 안내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단말장치(120)는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20)는 안내서비스 시스템(130)으로 음성 호 발신을 하여 안내서비스 시스템(130)과 연결을 수행하고, 단말장치(120)의 클립보드에 복사되었던 데이터로부터 안내서비스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며, 사용자의 입력요청에 따라 추출한 데이터를 다이얼러 화면에 입력하여 DTMF 신호를 발생시키는 애플리케이션(122)을 탑재한 단말장치이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122)의 탑재 형태는 임베디드(Embedded) 형태는 물론,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단말장치(120) 내의 OS에 인스톨되는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20)는 탑재된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음성/영상 통화를 발신/착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122)은 모바일 인터넷전화(mVoIP: 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단말장치(120)가 이동통신 단말장치로 구현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단말장치의 구성도이다.
단말장치(120)는 메모리(202), 메모리 제어기(204), 프로세서(206), 주변 인터페이스(208), 통신 회로(212), 오디오 회로(214), 스피커(216), 마이크로폰(218), 입출력(I/O) 서브시스템(220), 터치 스크린(226), 기타 입력 또는 제어 장치(228) 및 외부 포트(24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210)을 통하여 통신한다. 도 2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단말장치를 나타내고 있으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한 것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 또는 상이한 구성요소의 구성(Configuration)으로 단말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여러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메모리(202)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02)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6) 및 주변 인터페이스(208)와 같은 단말장치(120)의 다른 구성요소에 의한 메모리(202)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제어기(204)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주변 인터페이스(208)는 단말장치(120)의 입출력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206) 및 메모리(202)와 연결시킨다. 프로세서(206)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메모리(202)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여 단말장치(120)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통신 회로(212)는 전자파를 송수신한다. 통신 회로(212)는 전기 신호를 전자파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하며 이 전자파를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 및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한다.
오디오 회로(214), 스피커(216) 및 마이크로폰(218)은 사용자와 단말장치(120) 사이에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I/O 서브시스템(220)은 터치 스크린(226)과 기타 입력/제어 장치(228)와 같은 단말기(120)의 입출력 주변장치와 주변 인터페이스(208)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I/O 서브시스템(220)은 터치 스크린 제어기(222)와 다른 입력 또는 제어 장치를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 제어기(224)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226)은 장치와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 및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터치 스크린 제어기(222)는 전기 신호를 터치 스크린(226)과 송수신한다. 터치 스크린(226)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표시한다.
또한, 단말장치(120)는 다양한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시스템(230)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운영 체제(232), 통신 모듈(또는 명령어 세트)(234), 그래픽 모듈(또는 명령어 세트)(240), 텍스트 입력 모듈(242) 및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명령어 세트)(250)를 포함한다.
운영 체제(232)는 일반적인 시스템 태스크(Task)(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를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또는 장치를 포함하고, 다양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통신 모듈(234)은 하나 이상의 외부 포트(248)를 통하여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며, 통신 회로(212)와 외부 포트(248)가 수신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또한 포함한다. 외부 포트(248)(예를 들어, USB, FIREWIRE 등)는 다른 장치로의 직접 연결이나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무선 LAN 등)를 통한 간접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
그래픽 모듈(240)은 터치 스크린(226)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주지의 여러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텍스트 입력 모듈(234)은 (연락처, 이메일, IM, 블로깅, 브라우저 및 텍스트 입력을 필요로 하는 임의의 다른 애플리케이션 등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소프트 키보드를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250)은 브라우저, 주소록(Address Book) 관리, 접촉 리스트, 이메일, 즉석 메시지,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키보드 에뮬레이션(Keyboard Emulation), 위젯(Widget), JAVA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 부호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음성 인식, 음성 복제, 위치 결정 기능(GPS에 의하여 제공되는 것과 같은), 음악 플레이어 기능을 제한없이 포함하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250)은 클립보드에 미리 복사된 데이터로부터 안내서비스 시스템이 요구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음성 통화 중에 애플리케이션(250) 실행화면 상에 추출한 데이터를 자동 입력(또는 붙이기)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250)은 요구 데이터 추출부(251), 입력요청 신호 획득부(252), 요구 데이터 입력부(253) 및 DTMF 신호 발생부(2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250) 실행화면은 단말장치(120)의 안내서비스 시스템(130)과의 음성 호 연결을 위한 착신 호 또는 발신 호의 전화번호와 맵핑(mapping)된 웹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웹 페이지일 수 있다. 여기서, 웹 페이지는 안내서비스 시스템(130)이 제공하는 음성 안내정보에 대응하는 시각적 안내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250) 실행화면 중 통화 화면에 웹 뷰(Web View)를 탑재하여 통화 화면을 웹 페이지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사용자는 음성 안내항목과 함께 대응되는 시각 안내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편리하게 안내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웹 서버는 시각적 안내정보 제공서버(134)로서, 도 1과 같이 안내서비스 시스템(13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안내서비스 지원서버(110) 내에 통합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요구 데이터 추출부(251)는 단말장치(120)의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안내서비스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이하, '요구 데이터')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요구 데이터는 은행이름, 계좌번호, 운송장번호, 인증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는 본 실시예의 애플리케이션(250)의 실행 전후로, 메모, 문자메시지 등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복사 이벤트에 의해 생성된 클립보드 데이터이다.
구체적으로, 요구 데이터 추출부(25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250)이 실행되면 클립보드에서 데이터를 검색하고,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요구 데이터를 추출한다. 요구 데이터는 단일 개의 데이터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데이터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요구 데이터로는 이체 은행이름 및 이체 계좌번호가 있을 수 있다.
요구 데이터 추출부(251)는 단말장치(120)의 안내서비스 시스템(130)과의 음성 호 연결을 위한 착신 호 또는 발신 호의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소정 자릿수 이상의 숫자열 및 문자열을 추출할 수 있다. 착신 호 또는 발신 호의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는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안내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업체의 업무분야(예: 금융업, 운송업 등)와 관련된 정보로서 해당 안내서비스에서 사용자(고객)에게 요구하는 정보의 특성(예: 관련번호의 종류, 번호의 자릿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서비스 시스템(130)이 금융업체의 텔레뱅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인 경우, 복수의 안내서비스 단계 중 이체하고자 하는 계좌번호를 입력하는 단계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구 데이터 추출부(251)는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해당 금융업체의 계좌번호 자릿수와 동일한 숫자열을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타 금융업체에 이체하는 경우에는 타 금융업체의 이름에 해당하는 문자열 및 이체 계좌번호에 해당하는 숫자열 모두를 추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안내서비스 이용을 위한 통화 중 본인 인증을 위해 특정번호가 포함된 문자를 수신하여 이를 복사하는 경우, 요구 데이터 추출부(251)는 수신문자로부터 인증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안내서비스 시스템(130)이 운송업체의 자동응답시스템인 경우, 사용자에 의해 운송장번호가 포함된 문자메시지 등이 복사되면, 요구 데이터 추출부(251)는 클립보드에 저장된 문자메시지 등으로부터 운송장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다양한 실시예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전술한 예들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요청 신호 획득부(252)는 추출된 요구 데이터에 대한 입력요청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애플리케이션(250)의 실행화면에 표시한다.
입력요청 신호 획득부(252)는 추출한 요구 데이터에 대한 입력요청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표시하면서 추출한 요구 데이터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클립보드에 복사된 데이터들이 다수 개인 경우에는, 각각의 복사 데이터들로부터 추출된 요구 데이터들을 애플리케이션(250) 실행화면의 소정의 영역에 나타냄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 데이터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요구 데이터에 대한 입력요청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는 애플리케이션(250)의 실행화면에 포함된 다이얼러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다이얼러 화면은 본 실시예의 애플리케이션(250)이 통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표시하는 화면으로서, 번호입력을 위한 키패드, 키패드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입력데이터 표시영역, 통화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요청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는 안내서비스 시스템이 제공하는 음성 안내정보에 대응하는 시각적 안내정보가 포함된 웹 페이지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요청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에 대한 예시는 추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요청 신호 획득부(252)는 안내서비스 시스템(130)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안내서비스 단계 중 요구 데이터의 입력이 필요한 안내서비스 단계에 진입 시, 안내서비스 시스템(130)으로부터 요구 데이터의 입력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알림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입력요청 신호 획득부(252)는 알림신호에 따라 요구 데이터 추출부(251)에 의해 추출된 요구 데이터를 표시하여 요구 데이터에 대한 입력요청을 선택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요청 신호 획득부(252)는 단말장치(120)로부터 발생한 데이터 복사 이벤트에 의해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여, 저장된 데이터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애플리케이션(250)의 실행화면에 포함된 다이얼러 화면에 요구 데이터에 대한 입력 입력요청을 선택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요구 데이터 입력부(253)는 입력요청 신호 획득부(252)에 의해 표시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요청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장치(120)의 입력 장치(228)의 적절한 키조작 또는 터치스크린(226) 상의 해당 객체를 직접 터치함으로써 요구 데이터에 대한 입력요청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요구 데이터 입력부(253)는 입력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250)의 실행화면의 입력영역에 추출한 요구 데이터를 입력한다. 구체적으로, 요구 데이터 입력부(253)는 애플리케이션(250)의 실행화면에 포함된 다이얼러 화면의 입력데이터 표시영역에 요구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즉, 통화 중 다이얼러 화면에 요구 데이터를 붙여넣음으로써 한꺼번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요구 데이터 입력부(253)는 안내서비스 시스템(130)이 제공하는 음성 안내정보에 대응하는 시각적 안내정보가 포함된 웹 페이지 상의 입력데이터 표시영역에 요구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250)은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신호 발생부(2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TMF 신호 발생부(254)는 애플리케이션(250) 실행화면의 입력영역에 입력된 요구데이터에 대응하는 DTMF 신호를 생성하여 안내서비스 시스템(1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입력된 연속 숫자를 통화 상대방인 안내서비스 시스템(130)이 인식할 수 있도록 숫자에 대응하는 DTMF 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DTMF 신호 발생부(254)는 애플리케이션(250)이 웹 서버로부터 수신한 웹 페이지를 통화 중 화면(즉,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으로 표시하는 경우에, 안내항목에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화면에서 사용자가 특정 영역을 선택(터치)하면 특정 영역에 대응하는 DTMF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장치의 제어방법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하는 안내서비스 지원 방법의 흐름도이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단말장치(120)에서 호가 착신 또는 발신되어 안내서비스 시스템(130)과 음성 호 연결이 되었고, 단말장치(120)의 클립보드에는 요구 데이터가 포함된 데이터가 복사(저장)된 것을 전제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250)은 먼저, 단말장치(120)의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안내서비스에 필요한 요구 데이터를 추출한다(S310).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250)이 실행되면 클립보드에서 데이터를 검색하고,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요구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때, 단말장치(120)의 안내서비스 시스템(130)과의 음성 호 연결을 위한 착신 호 또는 발신 호의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소정 자릿수 이상의 숫자열 및 문자열을 추출할 수 있다. 착신 호 또는 발신 호의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는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안내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업체의 업무분야(예: 금융업, 운송업 등)와 관련된 정보로서 해당 안내서비스에서 사용자(고객)에게 요구하는 정보의 특성(예: 관련번호의 종류, 번호의 자릿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애플리케이션(250)은 추출한 요구 데이터에 대한 입력요청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표시한다(S320).
이때, 추출한 요구 데이터에 대한 입력요청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표시하면서 추출한 요구 데이터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클립보드에 복사된 데이터들이 다수 개인 경우에는, 각각의 복사 데이터들로부터 추출된 요구 데이터들을 애플리케이션(250) 실행화면의 소정의 영역에 나타냄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 데이터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표시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요청 신호를 획득하면(S330), 입력요청 신호에 따라 애플리케이션(250)의 실행화면 상의 입력영역에 요구 데이터를 입력한다(S340).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단계 S330 및 단계 S34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으로서 다이얼러 화면(500)을 예시한다. 본 실시예의 입력요청 신호 획득부(252)는 단말장치(120)로부터 발생한 데이터 복사 이벤트에 의해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한다. 확인결과,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가 있으면 다이얼러 화면(500)에 요구 데이터(예: 계좌번호)에 대한 입력요청을 선택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520)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안내서비스 시스템(130)으로부터의 입금할 계좌번호를 입력하라는 안내음성(510)에 따라 '붙이기'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입금 계좌번호에 대한 입력요청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요구 데이터 입력부(253)는 다이얼러 화면(500)의 입력데이터 표시영역(610)에 입금 계좌번호를 한꺼번에 입력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으로서 웹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웹 페이지(700)를 예시한다. 웹 페이지에는 안내서비스 시스템(130)에서 제공하는 음성 안내정보와 대응되는 시각적 안내정보가 포함된다. 도 7에는 음성안내에 따른 안내항목을 표시한 웹 페이지(700)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나타나있다.
실행화면(700)에 표시된 다수의 안내항목들 중 사용자가 특정 항목(예: 2번 '다른은행 송금')에 해당하는 영역(710)을 선택하면, 본 실시예의 DTMF 신호 발생부(254)는 선택영역에 대응하는 DTMF 신호(예: 2번 키에 대응하는 DTMF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700)은 도 8과 같은 다음 안내단계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로 전환된다.
도 8과 같이 안내서비스 시스템(130)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안내서비스 단계 중 요구 데이터(예: 송금할 계좌번호 및 송금은행)의 입력이 필요한 안내서비스 단계에 진입 시, 본 실시예의 입력요청 신호 획득부(252)는 안내서비스 시스템(130)으로부터 요구 데이터의 입력이 필요하다는 알림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요청 신호 획득부(252)는 알림신호에 대응하여, 추출된 요구 데이터를 표시하여 요구 데이터에 대한 입력요청을 선택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810, 예컨대, 팝업창)를 표시한다. 여기서, 추출된 요구 데이터에는 연속된 숫자열뿐만 아니라 문자열(예: 송금은행 이름)도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810)의 '예'버튼을 입력함으로써 송금 계좌번호에 대한 입력요청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요구 데이터 입력부(253)는 웹 페이지(700) 상의 입력데이터 표시영역(820)에 송금은행 이름 및 송금 계좌번호를 한꺼번에 입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이 적용된 시스템의 안내서비스 지원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방법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할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장치(120)는 발신 호 또는 착신 호에 의해 음성 안내정보 제공서버(132)와 음성 호 연결이 될 수 있다(S410). 음성 호 연결이 되면, 단말장치(120)는 안내서비스 지원서버(110)로 발신번호(또는 착신번호)에 맵핑된 시각적 안내정보 제공서버(134)의 URL 정보를 질의한다(S412). 이에 응답한 안내서비스 지원서버(110)는 단말장치(120)로 발신번호(또는 착신번호)에 맵핑된 시각적 안내정보 제공서버(134)의 URL 정보를 제공한다(S414).
단말장치(120)는 수신한 URL 정보에 따라 시각적 안내정보 제공서버(134)에 접속을 수행한다(S416). 시각적 안내정보 제공서버(134)는 음성 호 연결에 따라 단말장치(120)에 제공되고 있는 음성 안내정보와 대응하는 시각적 안내정보를 제공한다(S418). 단말장치(120)의 애플리케이션(250) 실행화면에는 시각적 안내정보가 포함된 웹 페이지가 표시되게 된다.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250) 실행화면에 표시된 웹 페이지 상에서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고, 단말장치(120)는 시각적 안내정보 제공서버(134)로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항목선택정보를 전송하게 된다(S420). 이와 아울러 단말장치(120)는 항목선택정보에 대응하는 DTMF 신호를 생성하여 음성 안내정보 제공서버(132)로 전송한다(S422).
단말장치(120)로부터 항목선택정보를 수신한 시각적 안내정보 제공서버(134)는 다음 단계의 시각적 안내정보를 제공한다(S424). 그리고 항목선택정보에 대응하는 DTMF 신호를 수신한 음성 안내정보 제공서버(132)는 DTMF 신호에 따라 다음 단계의 음성 안내정보를 제공한다(S426).
시각적 안내정보 제공서버(134)는 다음 단계가 단말장치(120)로부터의 요구 데이터 입력이 필요한 안내서비스 단계인 경우에, 추출된 요구 데이터에 대한 입력요청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상에 표시하도록 단말장치(120)에 푸쉬한다(S428).
이에 따라, 단말장치(120)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입력요청 신호에 따라 추출된 요구 데이터에 대응하는 DTMF 신호를 생성하여 음성 안내정보 제공서버(132)로 전송한다(S430).
도 3 및 도 4에서는 각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3 및 도 4에 기재된 과정을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 및 도 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및 도 4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서비스 지원방법은 애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장치(또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서비스 지원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단말장치(또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팅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음성 안내서비스 분야에 적용되어, 필요한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 단말장치의 키패드를 통해 일일이 정보를 입력할 필요없이 간단하게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100: 안내서비스 지원 시스템 110: 안내서비스 지원서버
120: 단말장치 122, 250: 애플리케이션
130: 안내서비스 시스템 132: 음성 안내정보 제공서버
134: 시각적 안내정보 제공서버 251: 요구 데이터 추출부
252: 입력요청 신호 획득부 253: 요구 데이터 입력부
254: DTMF 신호 발생부

Claims (8)

  1. 단말장치에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안내서비스 시스템과 음성 호 연결된 상기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안내서비스 시스템과 관련된 업체의 업종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안내서비스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요구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요구 데이터에 대한 입력요청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요청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의 입력영역에 상기 요구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영역에 입력된 상기 요구 데이터에 대응하는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DTMF 신호를 상기 안내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안내서비스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안내서비스 단계 중 상기 요구 데이터의 입력이 필요한 안내서비스 단계에 진입 시, 상기 안내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요구 데이터의 입력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알림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알림신호에 따라 상기 추출된 요구 데이터를 표시하여 상기 요구 데이터에 대한 입력요청을 선택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발생한 데이터 복사 이벤트에 의해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포함된 다이얼러 화면에 상기 요구 데이터에 대한 입력요청을 선택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은,
    상기 단말장치의 상기 안내서비스 시스템과의 음성 호 연결을 위한 착신 호 또는 발신 호의 전화번호와 맵핑(mapping)된 웹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웹 페이지이고,
    상기 웹 페이지는,
    상기 안내서비스 시스템이 제공하는 음성 안내정보에 대응하는 시각적 안내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포함된 다이얼러 화면의 입력데이터 표시영역에 상기 요구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상기 안내서비스 시스템이 제공하는 음성 안내정보에 대응하는 시각적 안내정보가 포함된 웹 페이지 상의 입력데이터 표시영역에 상기 요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의 상기 안내서비스 시스템과의 음성 호 연결을 위한 착신 호 또는 발신 호의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소정 자릿수 이상의 숫자열 및 문자열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호 또는 발신 호의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전화번호에 의해 연결되는 안내서비스 시스템과 관련된 업체의 업종에 따라 요구되는 정보의 특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KR1020160120839A 2016-09-21 2016-09-21 안내서비스 지원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KR101834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839A KR101834234B1 (ko) 2016-09-21 2016-09-21 안내서비스 지원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839A KR101834234B1 (ko) 2016-09-21 2016-09-21 안내서비스 지원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4234B1 true KR101834234B1 (ko) 2018-03-05

Family

ID=61726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839A KR101834234B1 (ko) 2016-09-21 2016-09-21 안내서비스 지원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2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909B1 (ko) * 2011-01-14 2012-06-25 김교문 단축 다이얼링을 위한 서비스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1175536B1 (ko) * 2012-01-12 2012-09-13 이세용 링데이터를 이용한 ars 연동데이터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909B1 (ko) * 2011-01-14 2012-06-25 김교문 단축 다이얼링을 위한 서비스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1175536B1 (ko) * 2012-01-12 2012-09-13 이세용 링데이터를 이용한 ars 연동데이터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6381B2 (en) Method for providing message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1232409B2 (en) Presenting entity profile information to a user of a computing device
CN101682585B (zh) 便携式电子设备中使用的方法
EP284047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CN106796510A (zh) 用于呈现并安装应用的设备、方法及图形用户界面
CN106131288A (zh) 一种通话信息的记录方法及终端
JP2010175967A (ja) 音声認識サーバ、電話機、音声認識システム、および音声認識方法
CN103530039A (zh) 切换应用的方法和终端
CN106055721A (zh) 一种网页无障碍处理方法及相关设备
US20220417343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pparatus,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0257352B2 (en) End user experience via distributed option tree generation
KR101834234B1 (ko) 안내서비스 지원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CN104023138A (zh) 来电显示方法及装置、去电拨号方法及装置和通讯系统
US20140062653A1 (en) Lock releas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apparatus thereof
CN108984260B (zh) 用于处理信息的方法和装置
KR101654837B1 (ko) 통화 상대방에 대한 평판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47070B1 (ko) 단말기의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9981446A (zh) 信息生成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WO2016123758A1 (zh) 一种在通话界面上隐藏个人信息的方法和设备
CN104616133A (zh) 资源存入提醒方法及装置
KR101215242B1 (ko) 대기화면 업데이트 통지 시스템 및 방법
US20130223604A1 (en)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Presenting Incoming-Call Identifiers
CN107145286B (zh) 浏览交互处理方法及装置
JP5468660B2 (ja) 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入力支援プログラム
KR20010047975A (ko) 다기능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통신 단말기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