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086B1 -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제어밸브 - Google Patents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제어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086B1
KR101834086B1 KR1020160126027A KR20160126027A KR101834086B1 KR 101834086 B1 KR101834086 B1 KR 101834086B1 KR 1020160126027 A KR1020160126027 A KR 1020160126027A KR 20160126027 A KR20160126027 A KR 20160126027A KR 101834086 B1 KR101834086 B1 KR 101834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housing
groove
hub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호
정용주
Original Assignee
셰플러안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셰플러안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셰플러안산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6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0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16K11/08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2007/14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us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제어밸브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포트와 냉각수가 배출되는 3개 이상의 배출포트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밸브와, 상기 밸브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축 방향 외향 돌출된 자석부와, 상기 밸브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자석부와 마주하며 상기 하우징에 고정 구비된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일부의 축 방향 내측에는 오목한 제1 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된 자석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제어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제어밸브{Multi flow rate control valve using magnetic fields}
본 발명은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제어밸브에 관한 것으로, 자기장을 이용하여 엔진 냉각 시스템의 냉각수의 유량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제어밸브에 관한 것이다.
엔진은 연료의 연소에 의해서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나머지는 열에너지로 배출된다. 특히, 냉각수는 엔진, 히터, 및 라디에이터를 순환하면서 열에너지를 흡수하고, 이를 외부로 방출한다.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낮으면, 오일의 점성이 높아져서 마찰력이 증가하고, 연료소모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고, 배기가스의 온도가 천천히 상승하여 촉매가 활성화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배기가스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아울러, 히터의 기능이 정상화되는 시간이 길어져서 승객 및 운전자가 추울 수 있다.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과도하면, 노킹이 발생하고,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 점화시기를 조절하여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윤활유의 온도가 과도하면 윤활작용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엔진의 특정부위는 냉각수의 온도를 높게 유지하고, 다른 부위는 낮게 유지하는 등 하나의 밸브를 통해서 여러 개의 냉각요소를 제어하는 통합 유량 제어 밸브가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합 유량 제어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통합 유량 제어밸브는 밸브(1)와, 밸브하우징(2)과, 모터하우징(3)과, 구동기어(5)와, 종동기어(7)와, 회전축(9)과, 유입포트(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밸브(1)는 파이프 형태로 양단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길이방향 중심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밸브하우징(2)에는 중심부의 공간에서 외측면으로 통하는 유입포트(11)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포트(11)를 통해서 상기 엔진에서 공급된 냉각수는 상기 밸브(1)의 중심부로 흐른다. 그리고 상기 밸브(1)에는 중심부에서 외부로 통하는 출구(1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출구(12)와 대응하여 상기 밸브하우징(2)에는 라디에이터(미도시)와 연결되는 라디에이터배출포트(24), 히터코어(미도시)와 연결되는 히터코어배출포트(23), 및 오일쿨러(미도시)와 연결되는 오일쿨러배출포트(26)가 배치된다.
상기 모터하우징(3)에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서 회전하는 구동기어(5)와, 상기 구동기어(5)에 의해서 회전하는 종동기어(7)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하우징(3) 내부에 배치되는 모터에 의해서 상기 구동기어(5)가 회전하면 상기 종동기어(7)가 회전하고, 상기 종동기어(7)와 연결된 회전축(9)이 회전하면 상기 밸브(1)가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밸브(1)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출구(12)가 상기 히터코어배출포트(23), 라디에이터배출포트(24) 및 오일쿨러배출포트(26)와 연통되면, 냉각수가 상기 히터코어, 라디에이터, 또는 오일쿨러로 선택적으로 공급된다.
종래의 통합 유량 제어밸브에는 외부와 밸브(1) 사이에 냉각수가 누출되지 않도록 씰 등의 밀봉장치가 필요하며, 상기 밸브(1) 내로 유입된 냉각수는 밸브(1)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9)과 밸브하우징(2) 사이에 구비된 밀봉장치의 마모가 발생하여 밸브하우징(2)의 외부로 냉각수가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558394(2015.10.01)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코일과 영구자석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밸브가 회전되어 밸브 회전을 위한 구성이 단순하며, 냉각수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장치가 필요 없는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제어밸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제어밸브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포트와 냉각수가 배출되는 3개 이상의 배출포트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밸브와, 상기 밸브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축 방향 외향 돌출된 자석부와, 상기 밸브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자석부와 마주하며 상기 하우징에 고정 구비된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일부의 축 방향 내측에는 오목한 제1 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된 자석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제어밸브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자석부는 원통형의 중공체인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축 방향 내측 단부에 구비되며 단면이 원형인 판상의 플랜지부로 이루어진 장착부와, 상기 원통부와 동심이며 상기 원통부의 외면에 구비된 복수의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일부는 상기 제1 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캡과, 상기 캡의 내부에 구비되고 제1 홈의 둘레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기 영구자석을 둘러싸도록 구비된 복수의 코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일은 상기 영구자석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향 이격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코일로 전기가 공급되어 상기 자석부가 회전되고 밸브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캡의 제1 홈의 중심부에는 오목한 제2 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밸브 내부에는 상기 밸브와 결합되는 허브가 구비되며, 상기 허브의 중심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된 막대 형상의 축이 더 포함되며;
상기 축은 상기 허브와 미끄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축의 단부는 상기 제2 홈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캡의 제1 홈의 중심부에는 오목한 제2 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밸브 내부에는 상기 밸브와 결합되는 허브가 구비되며, 상기 허브의 중심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된 막대 형상의 축이 더 포함되며;
상기 축의 단부는 상기 제2 홈에 삽입되어 미끄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캡의 축 방향 내측면에는 상기 캡의 둘레를 따라 축 방향 외향 이격된 제1 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반경 방향 내측 둘레를 따라 축 방향 내향 이격된 제2 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턱부와 제2 턱부는 서로 마주하며 나란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턱부와 제2 턱부 사이에는 오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제어밸브는 별도의 밀봉장치 없이 냉각수의 누출이 방지되고, 밸브 회전을 위한 구성이 단순하여 제조가 용이하며, 그에 따른 제조 비용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합 유량 제어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제어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제어밸브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제어밸브의 영구자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제어밸브의 코일과 제어부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계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제어밸브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내용에 대한 기재는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제어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제어밸브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제어밸브의 영구자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제어밸브의 코일과 제어부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계략도이다.
이하에서 도 2의 가로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고, 세로 방향을 "반경 방향"으로 하며, 코일부(170)와 커버(133)가 마주하는 쪽을 "축 방향 내향"으로 하고, 그 반대 쪽을 "축 방향 외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조절밸브(100; 이하에서는 '통합 유량 조절밸브'라 한다.)는 하우징(110)과, 밸브(130)와, 자석부(150)와, 코일부(170)와, 제어부(C)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10)은 중공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밸브(130)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 단부는 코일부(170)와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엔진과 연결되어 엔진으로부터 냉각수가 공급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하우징(111)은 원통형의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제1 하우징(111)의 일측 단부는 코일부(170)와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엔진과 연결된다. 상기 코일부(170)와 마주하는 제1 하우징(111)의 단부에는 상기 제1 하우징(111)의 반경 방향 내측 둘레를 따라 축 방향 내향 이격되어 제2 턱부(111-3)가 형성된다. 상기 제2 턱부(111-3)에는 오링(140)이 안착 구비된다.
상기 제2 하우징(113)은 상기 제1 하우징(111)의 내면에 구비된다. 상기 제2 하우징(113)은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제2 하우징(113)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1 하우징(111)의 제2 턱부(111-3)로부터 축 방향 내향으로 이격 구비된다.
상기 제2 하우징(113)의 외경은 상기 제1 하우징(111)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하우징(113)의 외면은 상기 제1 하우징(111)의 내면에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2 하우징(113)의 내면은 제2 하우징(113)의 일측 단부로부터 축 방향 내향 이격된 위치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며 밸브(130)의 외면과 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10)에는 히터코어배출관(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되어 히터코어로 냉각수가 유동되는 제1 배출홀(도시하지 않음)과, 라디에이터배출관(130-5)과 연결되어 라디에이터로 냉각수가 유동되는 제2 배출홀(111a)과, 오일쿨러배출관(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되어 오일쿨러로 냉각수가 유동되는 제3 배출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따라서, 엔진의 실린더헤드에서 상기 밸브(130)로 냉각수가 공급되어 상기 통합 유량 제어밸브(100)는 히터코어와, 라디에이터와, 오일쿨러로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130)는 상기 하우징(110)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밸브(130)는 축 방향 양단부가 개구된다.
상기 밸브(130)는 단면이 원형이며 중공으로 형성된다. 상기 밸브(130)의 외경는 중심부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했다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밸브(130) 단면의 내경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밸브(130)에는 히터코어 배출홀(130-1)과, 라이에이터 배출홀(도시하지 않음)과, 오일쿨러 배출홀(130-3)이 측방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히터코어 배출홀(130-1)과, 라이에이터 배출홀(도시하지 않음)과, 오일쿨러 배출홀(130-3)는 서로 이격 형성된다.
상기 히터코어 배출홀(130-1)은 상기 제1 배출홀과 연통된다. 상기 히터코어 배출홀(130)은 상기 제1 배출홀(130-1)과 연통되어 개방되는 면적에 따라 히터코어로 배출되는 냉각수의 유량이 조절된다.
상기 라디에이터 배출홀은 상기 제2 배출홀(111a)과 연통된다. 상기 라디에이터 배출홀은 상기 제2 배출홀(111a)과 연통되어 개방되는 면적에 따라 라디에이터로 배출되는 냉각수의 유량이 조절된다.
상기 오일쿨러 배출홀(130-3)은 상기 제3 배출홀과 연통된다. 상기 오일쿨러 배출홀(130-3)은 상기 제3 배출홀과 연통되어 개방되는 면적에 따라 오일쿨러로 배출되는 냉각수의 유량이 조절된다.
상기 냉각수가 유입되는 상기 밸브(130)의 단부에는 커버(133)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133)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된 공급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공급홀을 통해 엔진의 실린더헤드에서 상기 밸브(130)의 내부로 냉각수가 공급된다.
상기 밸브(130)의 내측에는 허브(13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허브(131)는 상기 밸브(130)의 양단부로부터 이격 구비된다. 상기 허브(131)는 상기 밸브(130)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허브(131)는 상기 밸브(130)의 내면과 상기 밸브(130)의 중심을 연결하는 림이 구비된다. 상기 허브(131)의 중심에는 축(120)이 구비되도록 홀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허브(131)의 홀에 축(120)이 결합되어 상기 밸브(130)는 상기 축(120)과 같이 회전된다. 상기 허브(131)의 홀은 상기 축(120)과 미끄럼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ㅇ이때 축(120)의 단부는 캡(171)에 고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석부(150)는 상기 밸브(130)의 커버(133)가 구비된 반대측 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자석부(150)는 상기 밸브(130)로부터 축 방향 외향 돌출 구비된다. 상기 자석부(150)는 장착부와 영구자석(15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착부는 원통부(151)와 플랜지부(153)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부(151)는 원통형의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원통부(151)는 상기 밸브(130)로부터 축 방향 외향 돌출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부(153)는 단면이 원형인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부(153)는 상기 원통부(151)의 축 방향 내측 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부(153)의 축 방향 내측면은 상기 밸브(130)의 단부에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부(153)의 축 방향 내측면에는 상기 플랜지부(153)의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 내향 이격된 걸림턱부(153-1)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걸림턱부(153-1)가 상기 밸브(130)의 내경에 접하여 고정된다.
상기 영구자석(155)은 상기 원통부(151)와 동심이며, 상기 원통부(151)의 외면에 구비된다. 상기 영구자석(155)은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영구자석(155)은 N극(155-1)과 S극(155-3)인 자석으로 구비된다.
상기 코일부(170)는 상기 밸브(130)로부터 축 방향 외향 이격되어 상기 자석부(150)와 마주하여 구비된다. 상기 코일부(170)는 고정부재(177)가 축 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1 하우징(111)과 결합 고정된다.
상기 코일부(170)는 캡(171)과 코일(173)로 이루어진다.
상기 캡(171)은 단면이 원형인 원통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캡(171)의 축 방향 내측에는 오목한 제1 홈(171-1)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홈(171-1)에는 상기 자석부(150)의 영구자석(155)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 구비된다. 상기 영구자석(155)의 단부는 상기 제1 홈(171-1)과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캡(171)의 축 방향 내측면에는 상기 캡(171)의 둘레를 따라 축 방향 외향 이격된 제1 턱부(171-7)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턱부(171-7)는 상기 제1 하우징(111)의 제2 턱부(111-3)와 서로 마주하며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 턱부(171-7)와 제2 턱부(111-3) 사이에는 오링(140)이 구비된다. 상기 오링(140)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10)과 코일부(170) 사이를 밀봉한다.
상기 캡(171-1)의 축 방향 내측면에는 상기 제1 홈(171-1)을 따라 축 방향 내측으로 코일돌출부(171-9)가 형성된다. 상기 코일돌출부(171-9)는 상기 자석부(150)의 플랜지부(153)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격 구비된다. 상기 코일돌출부(171-9)는 상기 영구자석(155)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향 이격 구비된다.
상기 제1 홈(171-1)의 중심부에는 오목한 제2 홈(171-3)이 더 형성된다. 상기 제2 홈(171-3)에는 상기 축(120)의 단부가 삽입 구비된다. 상기 제2 홈(171-3)에 삽입된 축(120)은 고정 결합되거나 미끄럼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일(173)은 상기 코일돌출부(171-9)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코일(173)은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코일(173)은 상기 제1 홈(171-1)의 둘레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기 영구자석(155)을 둘러싸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C)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173)과 연결된 동작회로(175)와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C)의 동작회로(175)는 상기 캡(17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코일(173)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C)의 신호에 의해 상기 코일(173)로 전기가 공급되어 상기 자석부(150)가 회전되고 밸브(130)가 회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173)은 차량배터리 및 자동차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연결되어 제어부(C)의 제어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전원 레귤레이터는 전기를 변환한다. 차량배터리는 전원 레귤레이터를 통하여 상기 동작회로(175)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모듈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변환된 전압을 공급한다.
상기 자동차 ECU는 냉각수 온도 등을 측정 가능한 센서와 연결되어 측정된 신호를 CAN 통신모듈로 전달하고, CAN 통신모듈로 수신된 신호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C)인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신호에 따라 동작회로(175)로 전기를 공급하여 코일(173)을 작동시킨다. 상기 코일(173)로 공급되는 전기에 따라 상기 자석부(150)가 회전되며 밸브(130)로 유입된 냉각수를 히터코어와, 라디에이터와, 오일쿨러로 선택적으로 배출한다.
상기와 같이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제어밸브(100)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엔진 냉각 시스템의 냉각수의 유량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밸브(130)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기어가 없어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코일부(170)는 상기 밸브(130)와 분리되어 있어 밸브(130)의 회전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아 별도의 밀봉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별도의 밀봉장치가 없어도 냉각수의 유출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제어밸브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통합 유량 제어밸브
110 : 하우징 120 : 축
130 : 밸브 131 : 허브
133 : 커버 140 : 오링
150 : 자석부 151 : 원통부
153 : 플랜지부 155 : 영구자석
170 : 코일부 171 : 캡
173 : 코일 175 : 동작회로
177 : 고정부재

Claims (5)

  1.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포트와 냉각수가 배출되는 3개 이상의 배출포트가 구비된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밸브(130)와, 상기 밸브(13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축 방향 외향 돌출된 자석부(150)와, 상기 밸브(130)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자석부(150)와 마주하며 상기 하우징(110)에 고정 구비된 코일부(170)와, 상기 코일부(1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C)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일부(170)의 축 방향 내측에는 오목한 제1 홈(171-1)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된 자석부(150)가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자석부(150)는 원통형의 중공체인 원통부(151)와 상기 원통부(151)의 축 방향 내측 단부에 구비되는 판상의 플랜지부(153)로 이루어진 장착부와, 상기 원통부(151)와 동심이며 상기 원통부(151)의 외면에 구비된 복수의 영구자석(15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일부(170)는 상기 제1 홈(171-1)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된 캡(171)과, 상기 캡(171)의 내부에 구비되고 제1 홈(171-1)의 둘레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기 영구자석(155)을 둘러싸도록 구비된 복수의 코일(173)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일(173)은 상기 영구자석(155)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향 이격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C)의 신호에 의해 상기 코일(173)로 전기가 공급되어 상기 자석부(150)가 회전되고 밸브(130)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제어밸브.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캡(171)의 제1 홈(171-1)의 중심부에는 오목한 제2 홈(171-3)이 더 형성되고, 상기 밸브(130) 내부에는 상기 밸브(130)와 결합되는 허브(131)가 구비되며, 상기 허브(131)의 중심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된 막대 형상의 축(120)이 더 포함되며;
    상기 축(120)은 상기 허브(131)와 미끄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축(120)의 단부는 상기 제2 홈(171-3)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제어밸브.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캡(171)의 제1 홈(171-1)의 중심부에는 오목한 제2 홈(171-3)이 더 형성되고, 상기 밸브(130) 내부에는 상기 밸브(130)와 결합되는 허브(131)가 구비되며, 상기 허브(131)의 중심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된 막대 형상의 축(120)이 더 포함되며;
    상기 축(120)의 단부는 상기 제2 홈(171-3)에 삽입되어 미끄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제어밸브.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캡(171)의 축 방향 내측면에는 상기 캡(171)의 둘레를 따라 축 방향 외향 이격된 제1 턱부(171-7)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단부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반경 방향 내측 둘레를 따라 축 방향 내향 이격된 제2 턱부(111-3)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턱부(171-7)와 제2 턱부(111-3)는 서로 마주하며 나란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턱부(171-7)와 제2 턱부(111-3) 사이에는 오링(14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제어밸브.
KR1020160126027A 2016-09-30 2016-09-30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제어밸브 KR101834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027A KR101834086B1 (ko) 2016-09-30 2016-09-30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제어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027A KR101834086B1 (ko) 2016-09-30 2016-09-30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제어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4086B1 true KR101834086B1 (ko) 2018-03-05

Family

ID=61726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027A KR101834086B1 (ko) 2016-09-30 2016-09-30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제어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0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1126A (ja) * 2003-10-16 2005-05-12 Mikuni Corp 流体の制御バルブ
JP2005520974A (ja) 2002-03-26 2005-07-14 ヴァレオ テルミーク モツール 流体循環回路用電気制御バルブ
KR101558394B1 (ko) 2014-07-24 2015-10-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통합 유량 제어밸브를 갖는 엔진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0974A (ja) 2002-03-26 2005-07-14 ヴァレオ テルミーク モツール 流体循環回路用電気制御バルブ
JP2005121126A (ja) * 2003-10-16 2005-05-12 Mikuni Corp 流体の制御バルブ
KR101558394B1 (ko) 2014-07-24 2015-10-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통합 유량 제어밸브를 갖는 엔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92381B (zh) 流量控制阀以及冷却系统
JP6313801B2 (ja) 流量制御弁
EP2853791B1 (en) Rotary valve
KR101558377B1 (ko) 냉각수 제어 밸브를 갖는 엔진
US11333257B2 (en) Cooling water control valve device
US9587647B2 (en) Electronic water pump with cooling unit for vehicles
CA2812930C (en) Integrated viscous clutch
US20150122359A1 (en) Coolant control valve apparatus
US10914226B2 (en) Cooling water control valve device and engine cooling system using the same
US9647510B2 (en) Cooling jacket and deflection unit for cooling jackets
US20070022979A1 (en) Coolant pump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90068771A (ko) 유량제어밸브
EP2613072B1 (en) Fluid control valve
KR20160066846A (ko) 냉각수 제어밸브를 갖는 엔진시스템
KR101896376B1 (ko) 통합 유량 제어 밸브
KR20170069811A (ko) 실링구조를 갖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
KR101834086B1 (ko) 자기장을 이용한 통합 유량 제어밸브
CN104279047A (zh) 用于车辆的风扇离合器
CN112039263A (zh) 定子绕组端部冷却结构、电机
CN109312792B (zh) 流体式风扇离合器
JP7060657B2 (ja) 弁装置および自動車用熱媒体システム
KR101834667B1 (ko) 통합 유량 제어 밸브
JP7240185B2 (ja) 制御弁
CN113795654A (zh) 控制阀
KR101765619B1 (ko) 냉각수 제어밸브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엔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