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000B1 - 수준측량용 막대자 - Google Patents

수준측량용 막대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000B1
KR101834000B1 KR1020170119822A KR20170119822A KR101834000B1 KR 101834000 B1 KR101834000 B1 KR 101834000B1 KR 1020170119822 A KR1020170119822 A KR 1020170119822A KR 20170119822 A KR20170119822 A KR 20170119822A KR 101834000 B1 KR101834000 B1 KR 101834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ground
holder
ru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필정
Original Assignee
이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필정 filed Critical 이필정
Priority to KR1020170119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0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7/00Straight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준측량용 막대자에 관한 것으로, 막대자를 지면 위에 안정적으로 설치함과 아울러 주변 구조물의 벽면 등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막대자를 용이하게 레벨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준측량용 막대자는, 일측면에 눈금이 형성되는 막대자 본체(10)와; 지면 위에 세워지거나 주변 구조물의 벽면에 설치되며 상기 막대자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2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바닥부와 기둥부로 이루어진 지지대 본체(30), 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막대자 본체의 저부가 삽입 및 조임구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지지대 본체의 바닥부의 상부에 힌지를 통해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홀더(40), 상기 지지대 본체의 바닥부와 상기 홀더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홀더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본체의 바닥부와 기둥부에 걸쳐 형성되는 레일(60),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지면에 지지되거나 주변 구조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받침 다리(70), 상기 지지대 본체의 기둥부에 설치되며 상기 막대자 본체의 둘레면을 밀거나 당겨 상기 막대자 본체를 정렬하는 정렬구(80)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 다리를 상기 바닥부에 설치하여 막대자 본체를 지면 위에 설치하거나 상기 기둥부로 옮겨 막대자 본체를 주변 구조물의 벽면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설치하여 사용한다.

Description

수준측량용 막대자{LEVELING STAFF}
본 발명은 수준측량용 막대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막대자를 지면과 주변 구조물에 용이하게 설치하는 수준측량용 막대자에 관한 것이다.
토목, 건축의 설계와 공사 등을 위해서는 측량이 먼저 이루어지며, 측량은 수평의 거리와 고저차(수준 또는 레벨) 및 방향을 측정하여 점들 상호 간의 위치를 결정하며 이를 도면에 수치로 표시하는 제반 활동을 지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인 수준측량은 고도를 알고 있는 지상 기준점으로부터 시작하며 중간지점을 거쳐 목표지점까지의 수준을 연속 측량하는 방식이다.
수준측량은 수준측량장치의 전후방에 설치된 막대자(스태프, staff)의 눈금을 읽는 방식으로, 수준측량장치의 후방 기준 지점에 설치된 막대자의 눈금을 먼저 읽은 후 전방 목표 지점에 설치된 막대자의 눈금을 읽고 각각 읽은 눈금값의 차이를 연산하여 양쪽 지점의 수준을 측량하는 방식이며 이러한 과정을 최종 목표 지점
까지 반복하는 방식이다.
종래기술에 의한 막대자는 지면에 직접 설치되거나 지면에 설치되는 별도의 지지대를 통해 설치되고 있다.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1333313호)은 상하로 긴 사각 바형상으로 구성되고 전면은 눈금이 새겨진 측량면으로 구성되며 하단에는 무게추가 구비된 막대자본체와, 상기 막대자본체가 자중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하단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바닥면에 고정되는 받침대와, 상기 지지바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막대자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대가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공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내부지지부재와, 상기 내부지지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공에 결합된 막대자본체가 천천히 하강되도록 하는 속도제한수단과, 상기 내부지지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지지부재가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지지바의 상단에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부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속도제한수단은 상기 막대자본체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랙기어와, 상기 내부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랙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내부지지부재의 외측에 구비되며 증속기어를 통해 상기 피니언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막대자본체가 승강되면 고속으로 회전되어 저항을 발생시키는 팬부재를 포함하는 수준측량용 막대자로서, 지지대를 통해 지면에 세워 설치되는 것일 뿐이며, 주변 구조물 예를 들어 벽면 등에 설치될 수 없다.
등록특허 제10-133331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막대자를 지면 위에 안정적으로 설치함과 아울러 주변 구조물의 벽면 등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막대자를 용이하게 레벨링할 수 있는 수준측량용 막대자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준측량용 막대자는, 일측면에 눈금이 형성되는 막대자 본체와; 지면 위에 세워지거나 주변 구조물의 벽면에 설치되며 상기 막대자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바닥부와 기둥부로 이루어진 지지대 본체, 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막대자 본체의 저부가 삽입 및 조임구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지지대 본체의 바닥부의 상부에 힌지를 통해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홀더, 상기 지지대 본체의 바닥부와 상기 홀더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홀더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본체의 바닥부와 기둥부에 걸쳐 형성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지면에 지지되거나 주변 구조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받침 다리, 상기 지지대 본체의 기둥부에 설치되며 상기 막대자 본체의 둘레면을 밀거나 당겨 상기 막대자 본체를 정렬하는 정렬구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 다리를 상기 바닥부에 설치하여 막대자 본체를 지면 위에 설치하거나 상기 기둥부로 옮겨 막대자 본체를 주변 구조물의 벽면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준측량용 막대자에 의하면, 막대자 본체를 지지대를 통해 수용하고 지지대를 지면 위나 주변 구조물의 벽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수준측량 장소의 여건에 맞는 방식으로 선택 설치함으로써 수준측량을 할 수 있으므로 수준측량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그리고, 받침 다리를 2개로 분할하여 막대자의 지지대를 지면과 벽면이 맞닿는 모서리부에서도 안정적으로 설치하고, 벽면에서도 기울어짐없이 안정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수준측량의 신뢰성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홀더의 각도 조절을 통해 막대자 본체를 정위치에 정렬할 수 있으므로 수준측량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준측량용 막대자의 사시도.
도 2와 도 3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수준측량용 막대자의 사용 상태도로서,
도 2는 지면 위에 설치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주변 구조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에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준측량용 막대자에 적용된 받침 다리의 다른 예시도.
도 5와 도 6은 각각 도 4에 의한 받침 다리의 사용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5는 제1,2받침 다리를 지지대의 바닥부와 기둥부에 각각 배치한 것이며,
도 6은 제1,2받침 다리를 지지대의 기둥부에서 서로 이격시켜 배치한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준측량용 막대자는, 일측면에 눈금(11)이 형성되는 막대자 본체(10), 막대자 본체(10)를 지면 위에 설치하거나 주변 구조물의 벽면(여기서 벽면은 지면 위에 설치되는 구조물이나 나무 등의 벽면이나 기둥의 면을 말함)에 설치하는 지지대(20)를 포함한다.
막대자 본체(10)는 수준측량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성품이 가능하다.
지지대(20)는 지지대 본체(30), 막대자 본체(10)를 수용하는 홀더(40), 홀더(40)를 통해 막대자 본체(10)를 정렬하는 제1,2탄성부재(50-1,50-2), 지지대 본체(30)에 형성되는 레일(60), 지지대 본체(30)를 저부에서 받쳐 지지하거나 옆에서 지지하는 받침 다리(70), 막대자 본체(10)를 수직으로 정렬하는 정렬구(80)로 구성된다.
지지대 본체(30)는 바닥부(31)와 기둥부(32)로 구성된다.
바닥부(31)는 받침 다리(70)를 통해 지면 위에 지지되며, 기둥부(32)는 받침 다리(70)를 통해 주변 구조물의 벽면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지지대 본체(30)는 사각형 단면, 원형 단면, 관형 단면 등이 가능하다.
바닥부(31)와 기둥부(32)는 상호 간에 직각을 유지하는 고정형도 가능하고, 서로 힌지 연결되는 각도 조정형도 가능하다.
바닥부(31)와 기둥부(32)는 레일(60)이 형성되며 받침 다리(70)가 직각을 유지하는 바닥부(31)와 기둥부(32)를 왕복 이동하도록 라운드 형태로 연결된다. 물론, 받침 다리(70)를 바닥부(31)에서 분리한 후 기둥부(32)로 옮겨 고정하는 경우 라운드 형태가 없는 직각형도 가능하다.
홀더(40)는 막대자 본체(10)의 저부가 삽입 수납되는 컵 형태이며, 막대자 본체(10)의 수직도를 맞추기 위하여 지지대 본체(30)의 바닥부(31)의 상부에 힌지(41)를 통해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홀더(40)는 막대자 본체(10)가 움직이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조임 볼트(42)가 함께 구성될 수 있다. 조임 볼트(42)는 홀더(40)에 나사 체결되면서 막대자 본체(10)를 누르거나 관통하여 막대자 본체(10)를 고정한다.
제1,2탄성부재(50-1,50-2)는 홀더(40)의 좌우 양쪽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탄성력을 통해 홀더(40)를 탄력 지지하며, 정렬구(80)에 의한 정렬 작업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제1,2탄성부재(50-1,50-2)는 각각 예를 들어 코일스프링이며, 길이방향의 양측이 바닥부(31)와 홀더(40)에 각각 고정된다.
레일(60)은 지지대 본체(30)의 바닥부(31)의 저면에서부터 기둥부(32)의 배면에 걸쳐 길게 형성되며, 받침 다리(70)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더브테일(dovetail)로 형성될 수 있다.
받침 다리(70)는 레일(60)과 동일한 형태의 더브테일 홈을 갖는 구조로서 레일(6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막대자 본체(10)를 지면 위에 세워 설치할 때 바닥부(31)의 저부에 설치되고 막대자 본체(10)를 주변 구조물의 벽면에 설치할 때 기둥부(32)의 옆에 설치된다.
받침 다리(70)는 예를 들어 육면체 형태의 블록이며 둘레부에 보스(71)가 형성된다. 이 보스(71)는 바람직하게 다수개가 설치되며 지면이나 주변 구조물에 설치되는 앵커(72)를 수용한다.
받침 다리(70)는 레일(60)에 고정되도록 볼트형의 조임구(73)가 2개 이상 적용된다.
조임구(73)는 레일(60)의 면을 눌러 받침 다리(70)를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보다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레일(60)에는 다수의 홈이나 구멍이 받침 다리(70)의 이동 경로를 따라 형성되어 조임구(73)가 끼워지거나 나사 체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받침 다리(70)는 바닥부(31)와 기둥부(32)의 각도를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재질의 레일블록(74)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일블록(74)은 바닥부(31)와 기둥부(32)의 각도 변화에 따른 탄성 변형을 통해 양방향으로 이동하며 아울러, 받침 다리(70)보다 적은 단면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에서처럼 2개가 서로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정렬구(80)는 기둥부(32)에 설치되어 막대자 본체(10)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막대자 본체(10)의 수직도를 정렬한다.
정렬구(80)는 상하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하면서 막대자 본체(10)를 밀거나 당기는 방식으로, 기둥부(32)에는 막대자 본체(10)를 향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경사로 형성되는 정렬안내 레일(33)이 형성되고, 정렬구(80)는 정렬안내 레일(33)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정렬안내 레일(33)을 따라 이동하면서 막대자 본체(10)를 밀거나 당기며,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홀더(40)가 힌지(41)를 통해 회동하여 막대자 본체(10)의 기울기가 변경되고 결국 막대자 본체(10)를 정위치에 정렬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렬구(80)는 예를 들어 정렬안내 레일(33)의 양쪽을 덮는 2개의 정렬편으로 구성되어 볼트형의 조임구(81)를 통해 정렬안내 레일(33)에 고정되어 막대자 본체(10)의 기울기가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정렬구(80)는 막대자 본체(10)의 연결링(11)을 양쪽에 덮으면서 연결핀(82)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정렬구(80)는 막대자 본체(10)와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승과 하강시 모두 막대자 본체(10)를 양방향으로 회동시켜 측량 현장의 조건에 맞는 설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수준측량용 막대자에 의하면, 수준측량 현장에서 막대자의 설치 위치를 결정하며, 도 2는 지면 위에 설치하는 예이고, 도 3은 주변 구조물의 벽면에 설치하는 예이다.
<지면 위 설치>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받침 다리(70)를 바닥부(31)의 저부에 배치하고 지면 위에 거치한다. 지면을 레벨링 작업으로 평평하게 다짐할 수 있고 앵커(1)를 지중에 정착하여 지지대 본체(20)를 설치한다.
막대자 본체(10)를 홀더(40) 안에 삽입 수납하여 설치하고, 연결핀(82)을 통해 정렬구(80)와 연결한다. 이 과정까지는 정렬구(80)의 조임구(81)는 느슨하게 체결되어 정렬구(80)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이다.
막대자 본체(10)의 기울기를 확인하고 정렬구(80)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막대자 본체(10)의 각도를 조절하고, 막대자 본체(10)의 각도가 결정되면 조임구(81)를 체결하여 정렬구(80)를 고정한다.
<벽면 설치>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받침 다리(70)를 기둥부(32)의 옆으로 옮겨 고정한다. 도 2의 상태에서 받침 다리(70)를 기둥부(32)쪽으로 밀면 받침 다리(70)는 레일(60)을 따라 이동하고, 받침 다리(70)의 위치가 결정되면 조임구(73)를 이용하여 받침 다리(70)를 고정한다.
지지대 본체(20)의 설치를 완료한 후 막대자 본체(10)를 홀더(40)에 수납 및 정렬구(80)와 연결하며, 이 작업은 지면 위 설치와 동일하다.
벽면 설치의 경우 별도의 앵커(1)를 사용하지 않고 보스(71)의 구멍을 벽면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핀 등이 끼워짐으로써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적용된 받침 다리(70)는 제1,2받침 다리(70-1,70-2)로 분할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2받침 다리(70-1,70-2)는 전술한 받침 다리(70)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단, 서로 조립되는 구성이 부가된다.
예를 들어, 제1,2받침 다리(70-1,70-2)의 마주하는 면에는 제1,2조인트 홈(75-1,75-2)이 형성되고 제1,2조인트 홈(75-1,75-2)에는 하나의 조인트(76)가 끼워진다.
제1,2조인트 홈(75-1,75-2)은 상부와 서로 마주하는 면이 개방된 형태이다.
조인트(76)는 제1,2조인트 홈(75-1,75-2)에 각각 삽입되는 제1,2삽입부 및 상기 제1,2삽입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H 형태이며, 제1,2받침 다리(70-1,70-2)가 조립된 상태에서 바닥부(31)와 기둥부(32)를 이동할 때 부드러운 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조인트 홈(75-1,75-2)은 제1,2받침 다리(70-1,70-2)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분할형 받침 다리(70)의 경우 도 5와 같이, 제1받침 다리(70-1)는 바닥부(31)에 배치하고 제2받침 다리(70-2)는 기둥부(32)에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지면과 벽(기둥)의 모서리부에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도 6과 같이, 제1,2받침 다리(70-1,70-2)를 기둥부(32)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제1,2받침 다리(70-1,70-2)가 서로 이격되어 넓은 면적의 지지력을 확보함으로써 지지대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2받침 다리(70-1,70-2)를 바닥부(31)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제1,2받침 다리(70-1,70-2)가 서로 이격되어 넓은 면적의 지지력을 확보함으로써 지지대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10 : 막대자 본체, 20 : 지지대
30 : 지지대 본체, 31 : 바닥부
32 : 기둥부, 33 : 정렬안내 레일
40 : 홀더, 50-1,50-2 : 제1,2탄성부재
60 : 레일, 70 : 받침 다리

Claims (3)

  1. 일측면에 눈금이 형성되는 막대자 본체(10)와;
    지면 위에 세워지거나 주변 구조물의 벽면에 설치되며 상기 막대자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2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바닥부와 기둥부로 이루어진 지지대 본체(30),
    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막대자 본체의 저부가 삽입 및 조임구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지지대 본체의 바닥부의 상부에 힌지를 통해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홀더(40),
    상기 지지대 본체의 바닥부와 상기 홀더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홀더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본체의 바닥부와 기둥부에 걸쳐 형성되는 레일(60),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지면에 지지되거나 주변 구조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받침 다리(70),
    상기 지지대 본체의 기둥부에 설치되며 상기 막대자 본체의 둘레면을 밀거나 당겨 상기 막대자 본체를 정렬하는 정렬구(80)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 다리를 상기 바닥부에 배치하여 막대자 본체를 지면 위에 설치하거나 상기 기둥부로 옮겨 막대자 본체를 주변 구조물의 벽면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측량용 막대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 다리는 제1,2받침 다리(70-1,70-2)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제1,2받침 다리는 조인트를 통해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사용되거나 서로 분리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측량용 막대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렬구는 상기 지지대 본체의 기둥부에 상기 막대자 본체를 향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경사로 형성되는 정렬안내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정렬안내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막대자 본체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측량용 막대자.
KR1020170119822A 2017-09-18 2017-09-18 수준측량용 막대자 KR101834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822A KR101834000B1 (ko) 2017-09-18 2017-09-18 수준측량용 막대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822A KR101834000B1 (ko) 2017-09-18 2017-09-18 수준측량용 막대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4000B1 true KR101834000B1 (ko) 2018-03-02

Family

ID=61729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822A KR101834000B1 (ko) 2017-09-18 2017-09-18 수준측량용 막대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0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9399A (zh) * 2021-08-26 2022-01-21 中铁三局集团有限公司 一种不影响道路通行的观测点
CN117073627A (zh) * 2023-10-17 2023-11-17 广东工业大学 一种便携式高程测量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326B1 (ko) 2006-03-16 2007-08-14 한진정보통신(주) 수준측량용 막대자 고정장치
KR100792685B1 (ko) 2007-02-13 2008-01-09 정용업 목공용 각도 금긋기자
KR101351564B1 (ko) 2013-09-12 2014-01-16 주식회사대경지에스엠 수준측량용 막대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326B1 (ko) 2006-03-16 2007-08-14 한진정보통신(주) 수준측량용 막대자 고정장치
KR100792685B1 (ko) 2007-02-13 2008-01-09 정용업 목공용 각도 금긋기자
KR101351564B1 (ko) 2013-09-12 2014-01-16 주식회사대경지에스엠 수준측량용 막대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9399A (zh) * 2021-08-26 2022-01-21 中铁三局集团有限公司 一种不影响道路通行的观测点
CN113959399B (zh) * 2021-08-26 2024-05-24 中铁三局集团有限公司 一种不影响道路通行的观测点
CN117073627A (zh) * 2023-10-17 2023-11-17 广东工业大学 一种便携式高程测量设备
CN117073627B (zh) * 2023-10-17 2023-12-08 广东工业大学 一种便携式高程测量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8304B2 (en) Laser level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building construction
KR101834000B1 (ko) 수준측량용 막대자
KR101087683B1 (ko) 다용도 측량기
CN112539737A (zh) 一种建筑工程地砖铺设用平整度测量装置及实施方法
KR100928662B1 (ko) 다용도 측량기
CN210441865U (zh) 一种城市道路桥梁路基工程测量设备
CN112304279B (zh) 塔尺竖直度调整装置及调整方法
KR101211880B1 (ko) 경사 규준틀
KR20160000462U (ko) 선박 건조용 경사시험 장치
CN109470224A (zh) 一种工程测量用自稳定三脚架
CN211954127U (zh) 一种建筑施工用水平度检测装置
CN213236646U (zh) 一种可调式工程测量标杆
CN210860494U (zh) 一种工程测量仪器校验装置
CN211779967U (zh) 一种土木工程测量装置
KR100854134B1 (ko) 경사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변위측정장치
CN109853581A (zh) 一种提高明挖隧道基坑钢格构柱垂直度合格率的机构及其使用方法
CN111366318B (zh) 用于土木工程桥梁安全检测的测试装置
CN217951742U (zh) 一种激光测距仪用支撑架
CN211928210U (zh) 一种野外勘探的重力仪用固定座
CN212871186U (zh) 一种建筑工程施工用水平测量装置
KR102635222B1 (ko) 측지측량용 표척을 멀티로 고정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CN219550134U (zh) 一种全站仪测量支架
CN214143083U (zh) 槽轨轨道测量仪
CN210321712U (zh) 坡脚角度和走向测量装置
CN210950631U (zh) 人造草皮冲击变形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