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831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831B1
KR101833831B1 KR1020160048209A KR20160048209A KR101833831B1 KR 101833831 B1 KR101833831 B1 KR 101833831B1 KR 1020160048209 A KR1020160048209 A KR 1020160048209A KR 20160048209 A KR20160048209 A KR 20160048209A KR 101833831 B1 KR101833831 B1 KR 101833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ub
contact portion
sub door
h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923A (ko
Inventor
임기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8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831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45Silencing devices; Noise red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42For refrigerators or cold 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30Insulation with respect to s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서브 도어의 개폐 시 발생되는 소음을 개선하여 보다 감성적인 소리를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의 식품출입구를 개폐하며, 후방에 서브 저장실이 구비되는 메인 도어; 상기 서브 저장실의 식품출입구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메인 도어에 구비되는 걸림부재; 상기 서브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서브 도어의 개방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위를 갖는 조작부재; 상기 조작부재에서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걸림부재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구비되는 걸림부와 접촉부를 갖는 걸이부재; 상기 조작부재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접촉부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조작부재의 변위를 상기 걸림부와 접촉부의 변위로 전환시키는 연장부재; 그리고 상기 연장부재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서브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연장부재와 상기 접촉부 사이의 충격음을 감소시키는 튜닝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서브 도어의 개폐 시 발생되는 소음을 개선하여 보다 감성적인 소리를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내부에 단열재로 충진된 캐비닛과 도어에 의해, 외부에서 침투하는 열을 차단 가능한 식품 저장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식품저장공간 내부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와 상기 식품저장공간 외부로 수집된 열을 배출하는 방열장치로 구성된 냉동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식품저장공간을 미생물의 생존 및 증식이 어려운 저온의 온도영역으로 유지하여, 저장된 식품을 장기간 변질 없이 보관하는 장치이다.
상기 냉장고는 영상의 온도영역으로 식품을 저장하는 냉장실과 영하의 온도영역으로 식품을 저장하는 냉동실로  분리하여 형성되고,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의 배치에 따라, 상부 냉동실과 하부 냉장실을 배치한  탑프리즈(Top Freezer)냉장고와 하부 냉동실과 상부 냉장실을 배치한 바텀프리즈(Bottom Freezer)냉장고, 그리고 좌측 냉동실과 우측 냉장실로 배치한 사이드바이사이드(Side by side)냉장고등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식품저장공간에 저장된 식품을 편리하게 적치하거나, 인출하기 위해, 다수개의  선반과 서랍 등을 상기 식품저장공간 내부에 구비한다.
최근에는 냉장고의 도어 배면에 홈 바(home-bar), 아이스 메이커, 선반 또는 바스켓 등이 장착되어, 도어 배면을 별도의 저장 공간으로 활용하거나 별도의 기능 공간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많아지고 있다. 즉, 도어의 기능이 단순히 냉동실이나 냉장실을 개폐하는 것을 넘어서, 도어가 별도의 저장 공간을 형성하거나 얼음이나 냉수의 생성 및 공급 등과 같은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저장실을 개폐하는 메인도어에 보조도어를 장착한 이중 냉장고가 제공되고 있다. 이를 도어 인 도어 냉장고, DID 냉장고라고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메인도어를 개방하여 저장실을 사용할 수 있고, 메인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서브도어만 개방하여 서브저장실을 사용할 수 있는 DID냉장고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 서브저장실은 메인도어의 후방에 구비되며 저장실과는 일부 칸막이(홈바 케이스)를 통해 구획되는 저장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서브저장실 영역이 메인도어의 일부분에만 형성되지 않고 실질적으로 메인도어 전 영역에 형성되는 추세에 있다.
일반적인 DID 냉장고에서는 메인도어와 서브도어 사이에 잠금장치가 구비된다.
서브도어가 메인도어에 닫힌 상태에서는 잠금장치가 기구적으로 잠금 설정된다. 따라서, 잠금장치의 잠금 설정 시에는 메인도어 개폐 시 서브도어는 항상 메인도어와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사용자가 서브도어만을 개방할 때에는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을 먼저 해제해야 한다. 즉, 잠금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면 서브도어가 메인도어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는 후크 형태의 걸이부재에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조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걸이부재는 서브도어에서 메인도어를 향해 돌출되어 메인도어에 걸린 상태가 잠금 설정 상태가 된다. 즉, 서브도어가 메인도어에 대해서 닫힘으로서 기구적으로 자동적으로 잠금이 설정된다. 잠금 설정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재를 조작하면 걸이부재가 메인도어와 분리되어 잠금 해제 상태가 된다.
상기 걸이부재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걸이부재를 강제적으로 회전시켜 잠금 해제를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DID 냉장고에서 상기 메인도어와 서브도어 사이에 구비되는 잠금장치에 의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인도어와 상기 걸이부재 사이의 충격음 그리고 상기 걸이부재와 조작부재 사이의 충격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소음 데시벨은 상대적으로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날카로운 소음이 발생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DID 도어 즉 서브도어 개폐 시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튜닝하여 사용자에게 감성적인 소리를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에 따라 소음 튜닝 사양을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용이하게 소음 튜닝 사양을 변경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소음 튜닝을 통하여 보다 부드러운 제품 이미지와 감성 품질이 향상된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기능성 및 디자인 성능뿐만 아니라 소리와 연관된 감성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이종 금속 재질 간의 부식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날카로운 금속 충격음을 튜닝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걸림부재와 조작부재 사이가 이격되면서도 조작부재와 걸림부재 사이의 기구적 연동이 신뢰성 있게 수행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의 식품출입구를 개폐하며, 후방에 서브 저장실이 구비되는 메인 도어; 상기 서브 저장실의 식품출입구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메인 도어에 구비되는 걸림부재; 상기 서브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서브 도어의 개방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위를 갖는 조작부재; 상기 조작부재에서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걸림부재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구비되는 걸림부와 접촉부를 갖는 걸이부재; 상기 조작부재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접촉부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조작부재의 변위를 상기 걸림부와 접촉부의 변위로 전환시키는 연장부재; 그리고 상기 연장부재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서브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연장부재와 상기 접촉부 사이의 충격음을 감소시키는 튜닝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재와 상기 접촉부 사이의 접촉은 간접적으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튜닝부재를 매개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부재와 상기 걸이부재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튜닝부재는 금속 충격음을 튜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금속재질의 구성들이 직접 접촉되지 않고 충격음을 감소시키는 튜닝부재를 매개로 양자가 부딪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부재는 스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재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튜닝부재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재의 말단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닝부재는 상기 접촉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접촉부에는 튜닝부재 안착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서브 도어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조작부재와 상기 걸림부재 사이의 상하 이격 거리에 대응되어 수직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서브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재가 서브도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바라보는 서브도어의 전면에서 벗어나 상기 조작부재가 위치되기 때문이다.
상기 메인도어에는 상기 서브 도어가 닫힐 때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에는 상기 걸림부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도록 상기 삽입구의 둘레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삽입 스토퍼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 스토퍼는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 스토퍼는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삽입구의 상부 둘레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 스토퍼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서브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삽입구의 상부 둘레와 상기 삽입 스토퍼 사이의 충격음을 감소시키는 제2튜닝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 스토퍼는 상기 제2튜닝부재를 매개로 상기 삽입구의 둘레와 간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 스토퍼가 상기 삽입구의 둘레와 부딪히는 소음을 상기 제2튜닝부재에 의해서 튜닝할 수 있다.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접촉부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걸이부재의 상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걸이부재는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한 상기 걸이부재의 회전 변위 발생 후, 탄성 복원되어 상기 걸이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비되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한 상기 연장부재의 변위 발행 후, 탄성 복원되어 상기 연장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비되는 제2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재는 걸이부재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재의 회전 중심 즉 회전축은 상기 걸이부재 하우징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이부재의 일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일부는 하우징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서브도어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과 서브도어의 결합에 의해 상기 걸이부재는 서브도어에 장착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튜닝부재들은 모두 상기 걸이부재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튜닝부재를 배제하거나 튜닝부재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서브도어에서 상기 하우징이 쉽게 착탈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후방에 서브 저장실이 구비되는 메인 도어; 상기 서브 저장실을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메인 도어에 형성되는 삽입구의 내부에 구비되는 걸림부재;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개방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위를 갖는 조작부재;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재에 걸리도록 구비되는 걸림부, 접촉부 그리고 상기 걸림부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도록 상기 삽입구의 둘레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삽입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재에서 이격되어 위치되는 걸이부재; 상기 조작부재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재의 변위를 상기 걸림부와 접촉부의 변위로 전환시키는 연장부재; 그리고 상기 삽입 스토퍼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서브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삽입구의 둘레와 상기 접촉부 사이의 충격음을 감소시키는 튜닝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삽입 스토퍼는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 스토퍼는 상방으로 둘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삽입구의 상부 둘레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삽입 스토퍼에 의해서 걸림부재가 하방으로 쳐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삽입 스토퍼에 의해서 걸림부재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길이가 제한되게 된다.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접촉부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걸이부재의 상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축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한 상기 걸이부재의 회전 변위 발생 후, 탄성 복원되어 상기 걸이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한 상기 연장부재의 변위 발행 후, 탄성 복원되어 상기 연장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비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걸이부재의 원위치 복귀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의 원위치 복귀를 위하여 탄성부재, 일례로 스프링이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걸이부재의 원위치 복귀는 잠금장치의 잠금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시점에서 잠금장치의 잠금 설정이 가능하도록 탄성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걸이부재에 직접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탄성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걸이부재의 원위치 복귀는 서브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다시 서브도어가 닫힐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걸이부재가 삽입구에 삽입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걸이부재가 원위치로 복귀되지 않는다면 걸이부재가 삽입구로 삽입될 수 없다. 즉, 서브도어가 닫힐 수 없다.
따라서, 서브도어가 개방되면 신속히 걸이부재가 원위치로 복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도 걸이부재에 직접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탄성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조작부재의 원위치 복귀는 조작부재를 재조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조작부재의 조작은 잠금장치의 잠금 해제를 위해서 필요하다. 따라서, 서브도어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조작부재가 원위치로 복귀되지 않으면 잠금장치의 잠금 해제 즉 서브도어의 개방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조작부재 또한 신속히 원위치로 복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조작부재에 직접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탄성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구와 삽입구 둘레는 사출에 의한 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재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딱딱한 구성들 사이의 동작 마찰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마찰음을 튜닝하기 위하여 튜닝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도어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조작부재와 상기 걸림부재 사이의 상하 이격 거리에 대응되어 수직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DID 도어 즉 서브도어 개폐 시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튜닝하여 사용자에게 감성적인 소리를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에 따라 소음 튜닝 사양을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용이하게 소음 튜닝 사양을 변경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소음 튜닝을 통하여 보다 부드러운 제품 이미지와 감성 품질이 향상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기능성 및 디자인 성능뿐만 아니라 소리와 연관된 감성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이종 금속 재질 간의 부식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날카로운 금속 충격음을 튜닝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걸림부재와 조작부재 사이가 이격되면서도 조작부재와 걸림부재 사이의 기구적 연동이 신뢰성 있게 수행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냉장고에서 메인도어와 서브도어가 열려 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에서 메인도어에 서브도어가 닫혀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 단면으로 메인도어와 서브도어 사이에서 잠금장치의 잠금이 설정된 부분의 단면을 도시하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잠금장치를 도시하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잠금장치의 분해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6는 도 4에 도시된 잠금장치에서 발생되는 소음 그래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도시하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도시하고,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냉장고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시된 냉장고는 캐비닛(10)의 상부에 냉장실이 마련되고, 하부에 냉동실이 마련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이다.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은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는 저장실 또는 메인저장실(11)의 일부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타입의 냉장고에 한정되지 않으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냉장고의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라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로서 좌측 냉장실도어(20)와 우측 냉장실도어(25)가 상기 캐비닛(10)의 좌우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물론, 이와 달리 냉장실도어는 하나의 도어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의 아래에 마련되는 냉동실 도어도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하부 양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좌측 냉동실 도어(30)와 우측 냉동실 도어(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냉동실 도어는 하나의 도어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고, 전후방향으로 인출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랍식 도어가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좌측 냉동실 도어(30)의 상면에는 손잡이홈(32)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우측 냉동실 도어(40)의 상면에도 손잡이홈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측 냉장실도어(25)는 상기 캐비닛(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도어(100)와 상기 메인도어(100) 또는 캐비닛(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브도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200)를 함께 열면 냉장실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메인도어(100)의 중앙부 내측에는 개구부(120)가 마련되고, 상기 메인도어(100)의 배면측에는 서브저장실이나 도어 바스켓(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도어(100)에 구비되는 개구부(120)는 서브 저장실의 식품출입구라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서브 저장실의 식품출입구(120)를 통하여 서브 저장실에서 식품을 꺼내거나 상기 서브 저장실에 식품을 넣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도어(200)는 상기 식품출입구(120)를 개폐하도록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메인도어(100)를 열지 않고도 서브도어(200)만 열어서 상기 서브저장실이나 도어 바스켓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저장실(11), 예를 들어 냉장실에도 개구부(12)가 형성된다. 즉, 저장실의 식품출입구(12)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저장실의 식품출입구(12)를 통하여 저장실에서 식품을 꺼내거나 상기 저장실에 식품을 넣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도어(100)는 상기 저장실의 식품출입구(12)를 개폐하도록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200)는 메인도어(100)에서 분리되어 개방되거나 상기 메인도어(100)와 일체로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즉, 저장실(11) 사용을 위해서 사용자가 메인도어(100)를 열면, 상기 서브도어(200)는 메인도어(100)와 일체로 회전하여야 한다. 그리고 서브저장실 사용을 위해서 사용자가 서브도어(200)를 열면, 메인도어(100)는 닫혀있는 상태에서 서브도어(200)만 회전해야 한다.
즉, 상기 서브도어(200)는 메인도어(100)에 선택적으로 잠겨있게 된다. 즉, 서브도어(200)와 메인도어(100) 사이에는 잠금장치(300)가 구비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서브도어(200)만 개방할 때 잠금장치를 통해 잠금을 해제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메인도어(100)만 개방할 때 잠금장치의 잠금이 유지되게 된다. 이러한 잠금 유지는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메인도어(100)를 잡고 강하게 메인도어를 개방한 후 메인도어의 이동을 정지시키면, 관성으로 인해 서브도어(200)는 더욱 더 회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장치(300)는 조작부재(310), 걸이부재(320) 그리고 걸림부재(340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이부재(320)에는 걸림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330)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걸이부재(320)에 삽입되어 잠금이 수행된다.
상기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재(310)를 조작해야 하며, 이때 걸이부재(320)와 걸림부재(340) 사이의 걸림이 해제되어 걸림부재(340)가 삽입구(330)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잠금이 해제된다.
상기 걸이부재(320)는 메인도어(100)에 구비되고 걸림부재(340)는 서브도어(200)에 구비된다. 물론, 양자의 위치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그러나 조작부재(310)가 서브도어(200)에 구비되기 위해서는 걸이부재(320)와 걸림부재(340)는 각각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200)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재(310)는 서브도어(200)의 하단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도어(200) 전면은 미니멀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왜냐하면, 조작부재(310)가 냉장고 전면에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서브도어(200)가 메인도어(100)에 포개져서 서브도어(200) 자체가 냉장고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걸림부재(340)와 걸이부재(320)의 위치는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200) 사이의 결합 유지 및 해제를 위해 대략적으로는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200)의 상하 중심에 위치함과 동시에 서브도어의 회전 중심에서 멀리 떨어져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걸림부재 및 걸이부재의 위치와 조작부재(310)의 상하 위치는 이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조작부재(310)는 서브도어(200)의 하단에 위치되고 상기 걸림부재(340)는 도어의 상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일반적인 냉장고의 도어의 크기를 고려하면 이러한 조작부재(310)와 걸림부재(340) 사이의 상하 이격 거리는 상당히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부재에 의한 조작이 상기 걸림부재의 변위로 신뢰성이 있게 전달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잠금장치에 의해 서브도어(200)의 잠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해칭된 부분은 메인도어와 마주보는 서브도어의 후면이라 할 수 있다.
서브도어(200)는 메인도어(100)에 밀착되어 닫힌다. 서브도어(2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이 없이는 서브도어(200)가 개방되지 않는다. 이를 잠금 상태라 할 수 있다.
서브도어(200)에서 돌출되는 걸림부재(340)는 서브도어(200)가 닫힐 때 메인도어(100)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메인도어(100) 내부에서 삽입된 걸림부재(340)가 메인도어(100)에 구비되는 걸이부재(330)와 연결된다. 따라서, 이러한 연결이 유지되어 걸림부재(340)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서브도어(200)가 개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서브도어(200)에는 걸림부재(340)의 장착을 위한 리세스 형태의 걸림부재 장착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메인도어(100)에는 걸이부재(320)의 장착을 위한 리세스 형태의 걸이부재 장착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이부재(330)는 걸이부재 바디(321)를 포함하고 상기 걸이부재 바디(321)에는 삽입구(330)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구를 통해 1차적으로 걸림부재(340)가 메인도어(100)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걸이부재(330)는 제2걸이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부(325)는 상기 걸이부재 바디(321)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부(325)에는 제2삽입구(3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340) 특히 걸림부(341)는 상기 삽입구(330)와 제2삽입구(326)에 순차적으로 삽입된다.
상기 제2삽입구(326)에는 걸림턱(32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327)은 상기 걸림부(341)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부(341)가 상기 걸림턱(327)에 걸리면 잠금이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걸림부재(340)가 도 4에 도시된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에 의해서 상기 걸림부(341)는 걸림턱(327)과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341)가 걸림턱(327)에서 분리되는 순간 상기 서브도어(200)는 메인도어(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브도어(200)와 메인도어(100)는 가스켓을 통해 서로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서브도어(200)를 닫을 때 이러한 가스켓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서브도어를 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341)가 걸림턱(327)에서 분리되는 순간 서브도어(200)와 메인도어(100) 사이에는 가스켓에 의한 반발력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도어(200)는 가스켓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메인도어(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물론, 잠금장치(300)의 잠금이 해제될 때 상기 가스켓에 의한 탄성 복원력 외에 별도의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에서 미설명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통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잠금장치(3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4에서는 잠금장치(300)의 조작부재는 생략되어 있다.
먼저, 걸림부재(34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걸림부재(340)는 후크 형상을 갖는 구성으로 회전 중심(345)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재(340)는 후단에 구비되는 걸림부(341)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341)가 걸이부재(320)의 삽입구(330)에 삽입되어 잠금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341)가 일례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걸이부재(320)에 걸리게 되며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걸이부재(3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부(341)가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하여 잠금이 수행되고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하여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341)는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부재(34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힘은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일 수 있으며 탄성부재에 의한 탄성 복원력일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340)를 잠금 해제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가해질 수 있다. 즉, 외력이 상기 걸림부재(34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걸림부재(340)는 외력을 받기 위한 접촉부(3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344)는 걸림부재(340)의 회전 중심(345)에서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걸림부(341)는 상기 회전 중심(345)에서 더욱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340) 전체가 상기 회전 중심(345)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접촉부(344)와 걸림부(341)의 회전 방향과 상하 이동 방향은 서로 동일하게 된다. 즉, 접촉부(344)가 상승하면 일체로 걸림부(341)도 상승하게 된다.
조작부재(340)를 통한 외력은 연장부재(350)를 통해서 상기 걸림부재(340)에 가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연장부재(350)가 상기 걸림부재(340)의 접촉부(344)와 접촉하면서 상기 걸림부재(340)를 밀어내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연장부재(350)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접촉부(344)와 접촉하면서 접촉부(344)를 상승시킨다. 따라서, 걸림부재(340) 전체가 회전 중심(345)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걸림부(341)도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재(350)는 상승 및 하강하는 구성으로 상하 선형 변위를 갖도록 구비된다. 반면에 상기 접촉부(334)는 회전 변위를 갖도록 구비된다. 회전 각도가 매우 작은 경우, 상기 접촉부(334) 자체도 상하 선형 변위를 갖는다고도 볼 수 있다. 그러나 미시적으로 보면 상기 접촉부(334)는 상하 선형 변위와 전후 선형 변위를 복합적으로 갖는 회전 변위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접촉부(334)와 연장부재(350)는 항상 결합되지 않고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조작부재(310)와 걸림부재(340) 사이의 이격 거리를 보상하기 위한 연장부재(350)는 상기 걸림부재(340)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재(310)를 조작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연장부재(350)와 상기 걸림부재(340)는 비접촉되고,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재(310)를 조작하면 비로서 양자가 접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선택적 접촉으로 인해 양자가 접촉될 때 마찰음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장부재(350)와 걸림부재(340)는 내구성 향상을 위해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금속 간의 마찰음 또는 충격음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매우 높고 날카롭게 된다.
일례로, 상기 연장부재(350)는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걸림부재(340)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구성들 사이의 마찰 동작음은 감성적으로 불쾌한 소음을 유발할 수 있다. 아울러, 이종 금속 재질 간의 접촉으로 인한 부식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 걸림부재(340)는 삽입 스토퍼(3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 스토퍼(343)는 상기 걸림부재(340)가 삽입구(330)에 삽입되는 거리를 제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부재(340)는 회전 중심(36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바디(3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바디(342)의 말단에 걸림부(34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341)와 접촉부(344) 사이에 상기 삽입 스토퍼(34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340)의 바디(342) 일부는 상기 삽입구(330)에 삽입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걸림부(341)는 가장 먼저 상기 삽입구(33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바디(342)가 상기 삽입구(330)에 삽입되는 길이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삽입 스토퍼(343)는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삽입 스토퍼(343)는 삽입구(330)의 둘레면(331)과 면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삽입 스토퍼(343)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둘레면(331)과 접촉하여 더 이상 걸림부재(340)가 삽입구(330)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삽입 스토퍼(343)는 상기 걸림부재(340)가 하방으로 쳐지는 문제를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즉, 삽입 스토퍼(343)가 상기 걸림부(341)의 후방에 위치되므로, 삽입 스토퍼(343)가 삽입구(330)에 접촉되면 걸림부재(340)가 더욱 회전되어 하방으로 쳐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걸림부재(340)가 상기 삽입구(3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342)의 높이보다는 상기 삽입구(330)의 높이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즉, 삽입구(330)와 바디(342) 하부 사이에는 갭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갭에 의해서 상기 바디(342)는 하방으로 쳐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 스토퍼(343)가 상기 삽입구(330)의 둘레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바디(342)가 하방으로 쳐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이부재(320)는 걸이부재 바디(321)를 포함하고 상기 걸이부재 바디(321)가 메인도어(100)에 적어도 일부분이 매립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이부재의 바디(321)에 삽입구(330)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330)의 둘레면(331)은 메인도어(100)에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재(340)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이부재(320)는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양자가 접촉될 때 충격음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충격음은 사용자에게 감성적으로 불쾌감을 줄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3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걸림부재 하우징(3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 하우징(360)은 서브도어(200)에 매립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340)의 일부는 상기 걸림부재 하우징(360)에 수용될 수 있으며, 일부는 상기 서브도어(200)에서 상기 메인도어(10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걸림부재(340)의 회전중심(345)은 상기 걸림부재 하우징(36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340)의 회전중심(345)은 걸림부재의 축공(346)과 하우징(360)의 축공(361)을 샤프트(371)가 삽입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340)의 접촉부(344)는 상기 하우징(360)의 외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재(350)도 상기 하우징(360)의 외부에 위치된다. 그러나, 상기 접촉부(344)와 연장부재(350)는 서브도어(200) 내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걸림부재(340) 중 걸림부(341)와 스토퍼(343)은 서브도어(200) 외부에 위치되며, 걸림부재의 나머지 부분들은 서브도어(200) 내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360)에는 장착 플렌지(36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 플렌지(362)에는 체결홀(36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 플렌지(362)의 후면은 서브도어(200)의 후면과 동일 평면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 플렌지(362)의 후면을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되는 부분들은 모두 서브도어(20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부재(310)를 조작하면 걸림부재(340)은 회전 변위를 갖는다. 그리고, 사용자가 조작부재(310)에서 손을 떼면 상기 걸림부재(340)는 원위치로 복귀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잠금장치(340)는 탄성부재(37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370)는 상기 걸림부재(340)의 변위 발생 시 탄성 변형되며,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걸림부재(34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70) 상기 걸림부재(340)에 탄성 복원력을 직접 제공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부재(340)의 전단에는 탄성부재 장착부(34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347)에는 탄성부재(370)의 일단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70)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360) 내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360)에 걸림부재(340)와 탄성부재(370)를 장착하고 이들 전체를 상기 서브도어(200)에 삽입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장착 플렌지(362)에 형성된 체결홀(363)을 통해서 이들 구성을 서브도어(20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조작부재(31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잠금장치(30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재(310)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조작부재(310)의 가압에 의해서 연장부재(350)가 걸림부재(340)를 변위를 발생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작부재(310)는 서브도어(200)의 하단면에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조작부재(310)의 레버(311)는 서브도어(200)의 하단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레버(311)의 노출 위치는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시야에서 노출되는 레버(311)의 크기가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조작부재(310)는 사용자가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레버(311)와 상기 레버(311)의 가압에 의해서 조작부재(310)가 회전하도록 회전 중심(3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중심(312)은 축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재(310)는 조작부재 하우징(380)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재 하우징(380)은 서브도어(200)에 매립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310)는 상기 조작부재 하우징(380)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80)에는 체결홀(382)이 구비되며, 상기 체결홀(382)을 통해 상기 하우징(380)이 서브도어(200)의 하단면 또는 서브도어의 하부 데코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서브도어(20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재(310)의 레버는 상기 하우징(380) 외부에 위치되므로, 상기 조작부재(310) 중 레버(311)는 상기 서브도어(200)의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조작부재 하우징(380)에는 축공(38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공(381)은 상기 조작부재(310)의 축공 형태의 회전 중심(312)에 대응된다. 따라서, 샤프트(313)가 이들 축공(381)과 회전 중심(312)에 삽입됨으로써 비로소 조작부재의 회전 중심(3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재(310)는 가압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15)는 레버(311)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버(311)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가압부(315)도 이동하게 되어 상기 연장부재(350)를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재(310)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회전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315)도 회전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연장부재(350)는 상하 선형 변위만을 갖는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재(310)의 가압부(315)도 상기 연장부재(350)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왜냐하면, 회전 변위를 선형 변위로 보다 신뢰성이 있게 전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대부분의 경우 상기 연장부재(350)는 자중에 의해서 최대한 하방에 위치될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조작부재(310)를 조작하기 전에는 항상 상기 연장부재(350)가 상기 가압부(315)와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그러나 조작부재(310)가 조작된 후 원위치로 복귀될 때 순간적으로 양자의 접촉이 해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조작부재(310)의 원위치 복귀를 위해서 탄성부재(383)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레버(311)를 누르면 상기 조작부재(310)는 일례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가 레버(311)에서 손을 떼면 상기 조작부재(310)는 상기 탄성부재(38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83)는 상기 하우징(38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브도어(200)를 기준으로, 상기 걸림부재(340)의 일부는 서브도어(20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310)의 일부는 서브도어(20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340)와 조작부재(310)는 상하 위치 이격뿐만 아니라 전후 위치 이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이격 위치 및 이격 거리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연장부재(350)는 수평 연장부(352)와 수직 연장부(351, 353)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 연장부(352)는 전후 이격 거리를 보상하고 수직 연장부(351, 353)은 상하 이격 거리를 보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연장부는 적어도 두 개의 구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수직 연장부 사이에서 수평 연장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먼저, 조작부재 하우징 내에 위치하도록 제1수직 연장부(3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 연장부(353)의 높이는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재(350)의 상하 이동 시에 항상 상기 하우징(380) 내부에서 이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수직 연장부(353)의 말단 수평 연장부(3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장부(352)도 상기 연장부재(350)의 상하 이동 시에 항상 상기 하우징(380) 내부에서 이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 연장부(352)의 말단에 제2수직 연장부(35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직 연장부(351)는 상기 하우징(380) 외부에서 상기 걸림부재(340)의 위치까지 수직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재(350)의 형상으로 인해 서브도어(200)의 단열 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제2수직 연장부(351)의 단순한 형상으로 인해 서브도어의 단열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상기 조작부재의 레버(311)는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그립 감을 좋게 하고 질량 감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레버(311)의 부피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레버 커버(314)가 상기 레버(3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재(350)와 가압부(315) 사이에는 완충부재(35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354)는 상기 연장부재(350)의 말단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재(350)와 가압부(315)가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된다. 즉, 완충부재(354)를 매개로 접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서브도어(200)의 잠금장치에서 발생되는 소음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잠금장치(300)의 잠금이 해제되어 서브도어(200)가 열리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서브도어(200)를 열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조작부재(310)의 레버(311)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조작부재(310)의 가압부(315)는 위로 회전하면서 연장부재(350)를 상승시킨다. 상승된 연장부재(350)는 걸림부재(340)의 접촉부(344)를 때리면서 상기 걸림부재(34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걸림부재(340)의 회전에 의해 잠금장치(300)의 잠금이 해제되어 서브도어(200)가 개방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P1 점은 상기 연장부재(350)가 상기 접촉부(344)를 때리는 순간을 의미하게, 이때 가장 큰 소음이 발생됨을 알 수 있다. 일례로, 이때의 소음 세기는 71.3 dB로 사용자의 감성에 불쾌감을 일으킬 수 있는 소음이라 할 수 있다.
서브도어(200)가 개방될 때에는 하나의 소음 피크점이 발생됨을 알 수 있다. 즉, 서브도어(200)가 개방될 때에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한 상기 걸림부재(340)와 연장부재(350) 사이의 동작 소음이 매우 큰 소음 원인임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서브도어(200)가 닫히면서 잠금이 설정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서브도어(200)가 닫힐 때 걸림부재(340)는 걸이부재(320)의 삽입구(330)에 삽입된다. 이때, 걸림부재(340)의 걸이부(341)는 후크 형상이므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삽입구(330)에 삽입된다. 즉, 삽입되면서 상기 탄성부재(370)는 탄성변형되게 된다.
상기 걸림부재(340)의 삽입이 완료될 때 상기 탄성부재(37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340)에는 탄성부재(370)의 탄성복원력이 가해져 상기 걸림부재(340)의 스토퍼(343)는 삽입구(330)의 둘레면을 때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340)의 접촉부(344)는 연장부재(350)를 때리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걸림부재(340)가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될 때 상기 걸림부재는 순차적으로 삽입구(330)의 둘레면과 연장부재(350)를 때리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P2는 걸림부재(340)의 스토퍼(343)가 삽입구(330)의 둘레면을 때리는 시점이며 P3는 걸림부재(340)의 접촉부(344)가 연장부재(350)를 때리는 시점이다. 따라서, 이때에는 상대적으로 큰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340)가 상기 둘레면과 연장부재를 때린 후 반발력에 의해 걸림부재가 상기 둘레면 및 연장부재와 접촉의 해제된다. 이후, 다시 접촉이 발생되며 이때에도 소음이 발생된다. 도 5에 도시된 P4와 P5는 걸림부재(340)가 삽입구(330)의 둘레면과 재접촉하는 시점과 걸림부재(340)가 연장부재(350)와 재접촉하는 시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도어(200)가 개방될 때와는 달리 서브도어(200)가 닫힐 때 소음 피크 지점이 순차적으로 복수 회 발생될 수 있다. 이때의 소음은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피크점을 갖고 발생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감성에 매우 큰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서브도어(200)의 열고 닫는 과정에서 잠금장치(300)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크기와 소음 패턴을 사용자의 감성에 따라 튜닝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소음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소음 피크 시점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서브도어(200)의 열고 닫는 과정에서 잠금장치(300)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발생 원인에 주목하여 사용자의 감성에 따라 소음을 튜닝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걸림부재(340)의 스토퍼(343)과 삽입구(330)의 둘레면(331) 사이에 발생되는 동작 소음에 주목하여, 상기 동작 소음을 튜닝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잠금장치(300)는 튜닝부재(41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튜닝부재(410)는 상기 삽입 스토퍼(343)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서브도어가 닫힐 때 상기 삽입구의 둘레와 상기 스토퍼(343)의 충격음을 감소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튜닝부재(410)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튜닝부재(41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튜닝부재(410)는 소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가장 기본적으로 상기 튜닝부재(410)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튜닝부재(410)는 상기 스토퍼(343)의 후면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343)가 직접 삽입구(330)의 둘레면(331)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양자 사이에서 완충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소음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튜닝부재(410)를 통해서, 도 5에 도시된 P2 시점과 P4 시점에서의 소음 크기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걸림부재(340)의 접촉부(344)과 연장부재(350) 사이에 발생되는 동작 소음에 주목하여, 상기 동작 소음을 튜닝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잠금장치(300)는 튜닝부재(42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튜닝부재(420)는 상기 접촉부(344)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서브도어가 닫힐 때 상기 연장부재(350) 상기 접촉부(344)의 충격음을 감소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튜닝부재(420)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튜닝부재(42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튜닝부재(420)는 소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가장 기본적으로 상기 튜닝부재(420)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튜닝부재(420)는 상기 접촉부(344)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부(344)가 직접 연장부재(350)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양자 사이에서 완충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소음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튜닝부재(420)를 통해서, 도 5에 도시된 P3 시점과 P5 시점에서의 소음 크기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P1 시점에서의 소음 크기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튜닝부재(420)는 접촉부(344)가 아닌 상기 접촉부(344)에 대응되는 연장부재의 말단에 구비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나 상기 튜닝부재(420)에 의해서 상기 접촉부(344)와 연장부재(350)가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튜닝부재(420)는 사용자의 감성에 따라 튜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접촉부(344)에 장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두 개의 실시예를 복합한 실시예라 할 수 있다. 즉, 두 개의 개소에 각각 튜닝부재(410, 420)를 장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서, 도 6에 도시된 5개의 시점에서의 소음 세기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피크 시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에 따라 기계적인 동작음을 선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설정이나 잠금해제와 같은 변화시점을 동작음을 통해서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음을 통해서 서브도어가 열리거나 제대로 닫혀있음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동작음 자체를 소음이라고 생각하는 사용자도 있을 것이다. 즉, 동작음에 의한 직관적이 판단이 아닌 시각적으로 및/또는 손에서 느껴지는 감촉 등을 통해서 서브도어가 열리거나 제대로 닫혀있음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마다 우선하는 감각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의 취향을 용이하게 만족시킬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심야에 서브도어의 개폐 시 발생되는 소음이 불편하다고 느끼거나 정숙이 요구되는 실내 환경에서 서브도어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는 이러한 소음이 큰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왜냐하면, 서브도어를 개폐할 때마다 매우 조심해야 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들은 이러한 사용자의 취향과 감성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튜닝부재가 포함된 서브도어의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잠금장치를 포함한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아울러, 사용자 맞춤 소리를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튜닝부재(410, 420)는 걸림부재(430)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양자 모두를 배제하거나 어느 하나만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양자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상기 튜닝부재(410, 420)가 잠금장치(300)의 여러 구성들 중에서 걸림부재(430)에 장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부재(430)를 하우징(360)과 결합시킬 후 하우징(360) 자체를 서브도어(200)에 쉽게 결합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걸림부재(430)와 함께 하우징(360)을 서브도어(200)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매우 용이하게 각각의 튜닝부재(410, 420)를 원하는 위치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일례로,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네 가지의 옵션이 가능하게 된다. 튜닝부재가 배제된 옵션, 튜닝부재가 걸림부재 스토퍼에 구비된 옵션, 튜닝부재가 걸림부재 접촉부에 구비된 옵션 그리고 튜닝부재가 걸림부재의 스토퍼와 접촉부에 모두 구비된 옵션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각의 옵션들을 미리 접해볼 수 있고 저마다 선호하는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옵션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복잡하지 않고 아울러 구성의 추가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제품 제조시가 아닌 제품 설치시에 서비스 기사에 의해서 쉽게 사용자가 원하는 소리를 튜닝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능적이고 디자인적으로 만족감을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소리와 연관된 사용자의 감성에 대한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100 : 메인도어 200 : 서브도어
300 : 잠금장치 310 : 조작부재
320 : 걸이부재 330 : 삽입구
340 : 걸림부재 410, 420 : 튜닝부재

Claims (20)

  1.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의 식품출입구를 개폐하며, 후방에 서브 저장실이 구비되는 메인 도어;
    상기 서브 저장실의 식품출입구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메인 도어에 구비되는 걸림부재;
    상기 서브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서브 도어의 개방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위를 갖는 조작부재;
    상기 조작부재에서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걸림부재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구비되는 걸림부와 접촉부를 갖는 걸이부재;
    상기 조작부재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접촉부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조작부재의 변위를 상기 걸림부와 접촉부의 변위로 전환시키는 연장부재; 그리고
    상기 연장부재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서브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연장부재와 상기 접촉부 사이의 충격음에 의한 소음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소음 피크 시점의 개수를 줄이도록 구비되는 튜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접촉부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걸이부재의 상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한 상기 걸이부재의 회전 변위 발생 후, 탄성 복원되어 상기 걸이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와 상기 걸이부재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튜닝부재는 금속 충격음을 튜닝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스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재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부재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재의 말단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서브 도어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조작부재와 상기 걸림부재 사이의 상하 이격 거리에 대응되어 수직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도어에는 상기 서브 도어가 닫힐 때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에는 상기 걸림부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도록 상기 삽입구의 둘레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삽입 스토퍼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스토퍼는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스토퍼는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삽입구의 상부 둘레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스토퍼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서브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삽입구의 상부 둘레와 상기 삽입 스토퍼 사이의 충격음에 의한 소음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소음 피크 시점의 개수를 줄이도록 구비되는 제2튜닝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한 상기 연장부재의 변위 발행 후, 탄성 복원되어 상기 조작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비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후방에 서브 저장실이 구비되는 메인 도어;
    상기 서브 저장실을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메인 도어에 형성되는 삽입구의 내부에 구비되는 걸림부재;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개방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위를 갖는 조작부재;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재에 걸리도록 구비되는 걸림부, 접촉부 그리고 상기 걸림부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도록 상기 삽입구의 둘레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삽입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재에서 이격되어 위치되는 걸이부재;
    상기 조작부재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재의 변위를 상기 걸림부와 접촉부의 변위로 전환시키는 연장부재; 그리고
    상기 삽입 스토퍼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서브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삽입구의 둘레와 상기 접촉부 사이의 충격음에 의한 소음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소음 피크 시점의 개수를 줄이도록 구비되는 튜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접촉부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걸이부재의 상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한 상기 걸이부재의 회전 변위 발생 후, 탄성 복원되어 상기 걸이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스토퍼는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스토퍼는 상방으로 둘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삽입구의 상부 둘레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삭제
  17. 삭제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한 상기 연장부재의 변위 발행 후, 탄성 복원되어 상기 조작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비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와 삽입구 둘레는 사출에 의한 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재는 금속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도어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조작부재와 상기 걸림부재 사이의 상하 이격 거리에 대응되어 수직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60048209A 2016-04-20 2016-04-20 냉장고 KR101833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209A KR101833831B1 (ko) 2016-04-20 2016-04-20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209A KR101833831B1 (ko) 2016-04-20 2016-04-20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923A KR20170119923A (ko) 2017-10-30
KR101833831B1 true KR101833831B1 (ko) 2018-03-02

Family

ID=60301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209A KR101833831B1 (ko) 2016-04-20 2016-04-20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8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5747A (zh) * 2018-07-06 2018-11-27 许春燕 一种家用冰箱
US12044462B2 (en) 2019-11-08 2024-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05983B1 (ko) * 2019-04-26 2024-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148686A (ko) * 2020-06-01 2021-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20053918A (ko) 2020-10-23 2022-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24196062A1 (ko) * 2023-03-22 2024-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5747A (zh) * 2018-07-06 2018-11-27 许春燕 一种家用冰箱
US12044462B2 (en) 2019-11-08 2024-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923A (ko) 2017-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3831B1 (ko) 냉장고
KR102118047B1 (ko) 냉장고
AU2014277716B2 (en) Refrigerator
EP3150946B1 (en) Refrigerator hav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and method for install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KR101618129B1 (ko) 냉장고
EP2990745B1 (en) Refrigerator
KR101618128B1 (ko) 냉장고
EP2910879B1 (en) Refrigerator
KR101860718B1 (ko)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
KR102245371B1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391682B1 (ko) 냉장고
KR101942416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KR102396040B1 (ko) 냉장고
JP4654277B2 (ja) 冷蔵庫
KR20150106279A (ko) 냉장고
KR20150106311A (ko) 냉장고
TWI316597B (ko)
KR101737846B1 (ko) 냉장고
US20240191933A1 (en) Refrigerator
CN102338541B (zh) 储藏单元以及具有储藏单元的制冷器具
US10041727B2 (en) Refrigerator hav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and method for install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CN102338540B (zh) 储藏单元以及具有储藏单元的制冷器具
JP6145696B2 (ja) 冷蔵庫
CN106196809B (zh) 冰箱
KR101788064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