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580B1 - 위치 안내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및 휴대통신 단말 - Google Patents

위치 안내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및 휴대통신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580B1
KR101833580B1 KR1020137018233A KR20137018233A KR101833580B1 KR 101833580 B1 KR101833580 B1 KR 101833580B1 KR 1020137018233 A KR1020137018233 A KR 1020137018233A KR 20137018233 A KR20137018233 A KR 20137018233A KR 101833580 B1 KR101833580 B1 KR 101833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user
location information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8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1852A (ko
Inventor
박찬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31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38Rendez-vous, i.e. searching a destination where several users can meet, and the routes to this destination for these users; Ride sharing, i.e. searching a route such that at least two users can share a vehicle for at least part of the rou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or application, e.g. PDA, mobile phone or calendar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안내 방법은,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통화가 개시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에게 위치정보 수집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가 표시된 지리정보맵을 상기 제1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지리정보맵에 표시한 길안내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일방 통화자의 위치정보를 타방 통화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일반 통화자의 위치 안내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보다 직관적이고도 편리한 위치 안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위치 안내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및 휴대통신 단말기{METHOD FOR GUIDING LOCATION, MACHINE-READABLE SAVING MEDIU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위치 안내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전화, PDA,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안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디바이스는 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모바일 다바이스의 대표적인 예인 휴대폰이 없는 하루는 생각하기도 힘든 실정이다. 더욱이 최근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통신 기술 발전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 멀티미디어 녹음/재생 기능,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기능, 금융 결제 기능, 인터넷 검색 기능, 전자 수첩 기능, 무선 데이터 통신 기능 등과 같은 부가 기능들을 지원한다.
또한, 최근에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네비게이션(Navigation) 기능을 지원하는 것이 점점 더 일반화되어 있고, 수많은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소위 “스마트 폰”에 탑재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네비게이션 장치는 도로교통법상의 ‘도로’에 국한되어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인도에서의 가이드는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네비게이션 장치는 정보에 대한 반응속도가 빠른 일반인의 경우에는 유용하게 쓰일 수 있으나, 시각 장애인이나 노인 혹은 시각 또는 청각 반응 속도가 느린 일반인의 경우에는 보다 직관적인 위치 안내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나아가 위치 안내 시 타인의 도움을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직관적으로 얻는 방법도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제문제의 근본적 해결책은 아직 제시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전화를 이용한 보다 직관적인 위치 안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위치 안내 방법은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통화가 개시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에게 위치정보 수집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가 표시된 지리정보맵을 상기 제1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지리정보맵에 표시한 길안내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제2 단말기의 위치정보는 실시간으로 제1 단말기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는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서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통화가 개시되는 경우 화면부에 위치정보 수집메뉴가 활성화될 수 있고, 제1 단말기의 사용자가 위치정보 수집을 요청하는 단계에서는 제2 단말기의 화면부에 요청메뉴화면이 생성될 수 있는데, 요청메뉴화면은 “허용”메뉴와 “거부”메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단말기 사용자가 “허용”메뉴를 선택하면 제2 단말기의 GPS센서가 턴온되고, 제2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위치 정보를 제1 단말기가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수집된 제2단말기 사용자의 현재위치는 제1 단말기 또는 제2 단말기의 화면부 상에 표시될 수 있고, 이러한 화면부에는 지리정보맵이 표시될 수 있으므로, 제2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위치는 지리정보맵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화면부 상에 형성된 터치패널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제1 단말기 사용자는 화면부의 지리정보맵이 표시된 부분을 터치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의 터치입력은 전방향, 후방향, 좌방향 및 우방향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터치입력은 방향데이터로 전환되어 상기 제2단말기로 실시간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방향데이터는 제2 단말기의 화면부에서 화살표를 포함하는 도형으로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 방향데이터는 제1 단말기에서 터치입력 시 터치가 유지되는 길이에 비례하는 거리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지리정보맵은 축척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거리정보는 축척정보에 따라 실제 거리로 환산되어 제2 단말기의 화면부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센서부는 나침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제2 단말기가 제2 단말기 사용자의 앞쪽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2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제2 단말기가 위치한 방향을 전방방향으로 판단하고, 제2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제1 단말기에 표시되는 단계에서는 전방방향 정보가 제2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방 통화자의 위치정보를 타방 통화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일반 통화자의 위치 안내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보다 직관적이고도 편리한 위치 안내가 가능하다. 또한, 위치 안내를 시각적으로 수행하므로 보다 편리한 단말기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일방 통화자의 시선방향도 확인이 가능하므로 보다 정확한 위치 안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안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안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안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화상이 표시되는 화면부, 지리정보맵이 저장된 저장부, GPS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중앙처리장치인 제어부 및 무선통신모듈(즉, 무선 통신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0)는 화면부(100), 터치패널(200), 제어부(300), 센서부(400), 저장부(500) 및 무선통신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화면부(100)는 화상을 표시하며, 상기 화면부(10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및 CRT(cathod ray tub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200)은 화면부(100) 상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상기 화면부(100)에 표시된 다양한 메뉴화면을 터치하여 특정 명령 수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터치패널(200)은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초음파 방식, 적외선 방식, 광학방식 또는 굽힘파 방식 중 어느 것이나 무방하다. 상기 터치패널(200)은 상기 단말기(1000)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화면부(100)는 상기 터치패널(200)의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화면부(100)에 의해 표시된 유저인터페이스는 상기 투명한 터치패널(200)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진다.
상기 제어부(300)는 중앙처리장치로서 단말기(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0)에서는 위치 안내 방법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부(400)는 단말기(1000)의 위치, 방위,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가속도 센서, 중력센서, 충격센서, GPS, 나침반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500)는 지리정보맵, 상기 단말기(1000)의 운영 시스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 상기 단말기(1000)로 입력되는 정보 및 그 내부에서 생성되는 정보 등을 저장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600)는 상기 제어부(300)로부터의 데이터를 무선 송신하거나 대기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단말기의 보다 상세한 구조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 가능하므로 생략한다.
도 2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안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안내 방법은 제1 단계(S110) 내지 제6 단계(S160)를 포함한다.
제1 단계(S110)에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통화가 개시된다. 이러한 통화의 개시를 위한 호 메시지의 전송은 제1 및 제2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제1 및 제2 단말기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2 단계(S120)에서,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에게 위치정보 수집을 요청한다. 이러한 위치정보 수집 요청은 제1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이전 설정 또는 현재 실행 중인 통화 애플리케이션 또는 별도의 길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디폴트 설정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3 단계(S130)에서, 제2 단말기 또는 그 사용자는 상기 위치정보 수집 요청에 따라 위치정보 수집을 승낙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승낙인 경우에 제4 단계(S140)를 수행하고, 거절인 경우에 제2 단계(S120)를 반복하여 수행하거나, 본 위치 안내 방법을 종료하고, 제1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위치정보 수집 실패를 통지할 수 있다.
제4 단계(S140)에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위치정보 수집의 승낙에 따라 제2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제5 단계(S150)에서, 제1 단말기의 사용자는 전송된 제2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목적지를 향한 길안내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와 통화한다. 제4 단계(S140) 및 제5 단계(S150)에서, 위치정보의 수집 및 길안내 정보의 전송은 비주기적(예를 들어, 길안내 정보의 입력시),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6 단계(S160)에서, 제2 단말기의 사용자의 사용자가 목적지에 도착하면, 위치정보의 수집 및 길안내 정보의 전송이 종료된다. 이러한 종료는 사용자의 요청(예를 들어, 길안내 애플리케이션의 종료 명령 등)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방법에 따르면 위치정보를 양자가 확인하면서 위치를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위 단계들에 대해 세부적으로 살펴 보면 아래와 같다.
이때, 제4 단계(S140)에서, 제2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제1 단말기에 표시되는 것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진다. 즉, 위치정보가 실시간으로 공유되므로 보다 직관적인 길 안내가 가능하고, 길안내의 오차범위를 극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기의 위치정보는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 비록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사용하는 지리정보맵이 서로 다른 경우에도 동일한 좌표 값을 지리정보맵에 로딩하여 제2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표시해 주기 때문에 위치정보는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말기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제2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고, 제1 및 제2 단말기의 현재 위치들이 하나의 지리정보맵에 동시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단말기가 서버로부터 지리정보맵을 수신함으로써, 각각 동일한 지리정보맵을 공유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및 제1 단말기)의 현재 위치 및 길안내 정보가 표시된 지리정보맵을 제2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S110 단계에서, 제1 단말기에는 통화가 개시되는 경우에 위치정보 수집메뉴가 활성화되어 화면부에 표시된다. S120 단계에서, 이 위치정보 수집메뉴를 제1 단말기 사용자가 터치패널 등을 이용하여 선택하면, 제1 단말기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위치정보 수집 요청 메시지를 제2 단말기로 전송한다. S130 단계에서, 제2 단말기의 화면부에는 위치정보 수집의 승낙을 요구하는 요청메뉴화면이 생성된다. 제2 단말기의 사용자가 요청메뉴화면에서 허용 메뉴를 선택하면, 제2 단말기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위치정보 수집 승낙 메시지를 제1 단말기로 전송한다. 한편, 요청메뉴화면에는 “허용”메뉴와 “거부”메뉴가 표시될 수 있는데, 이는 부당한 위치정보의 전송과 관련된 개인정보의 유출을 막기 위함이다.
이때, 제2 단말기 사용자가 “허용”메뉴를 선택하면, 비로서 제2단말기의 GPS센서가 턴온되어 제2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는 상시 GPS센서가 가동되는 것을 막아 전력 소모를 최적화하기 위함이다. S120 단계 및 S130 단계는 각각 단말기 사용자의 이전 설정 또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디폴트 설정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위치정보의 승낙이 완료된 경우에는, S140 단계에서 제1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위치가 제1 단말기 또는 제2 단말기에, 바람직하게는 양자의 화면부에 표시된다. 따라서, 제1 단말기 사용자는 화면부를 보면서 제2 단말기 사용자의 이동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이 경우 통화를 병행하여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 경우에는 전술한 지리정보맵을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의 화면부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기 사용자는 제2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지도를 통해 함께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안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에서와 다른 방법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나머지 구성은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안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화면부(100), 화면부 상에 배치된 터치패널(200)을 포함하는 제1 단말기(1000)를 제1 단말기의 사용자가,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가락(F)이 조작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부(100)에는 제2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위치(P)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목적지(D)는 도면에서 이 현재위치(P)에서 우측 상단에 위치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화면부(100)에는 제1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위치가 더 도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목적지(D)가 상기 제1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위치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기 사용자는 손가락(F)을 이용하여 지리정보맵(M) 상에서 참조부호 T 방향을 따라서 터치패널(200)을 터치할 수 있는데, 이러한 터치입력은 방향 데이터(즉, 길안내 정보)로 전환되어 제2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고, 제2 단말기의 화면부에 동일한 방향의 화살표를 포함하는 도형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의 전송은 전술한 무선통신부(600)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이러한 터치입력은 전방향, 우방향, 좌방향 및 우방향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모든 방향으로의 입력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2 단말기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할 방향에 대하여 시각적으로 가이드 받을 수 있다.
한편, 제1 단말기 사용자가 터치입력하는 경우에는 일정 길이를 형성하도록 터치입력할 수 있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 사용자는 터치입력 시 터치패널(200)과 터치를 유지하면서 일정한 길이(L)를 형성하도록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지리정보맵(M)은 축척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일정한 길이(L)는 제어부가 연산하여 실제 거리정보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거리정보(DR)가 구체적으로 제2 단말기의 화면부에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단말기(1000)의 화면부(100)에 이 거리정보(DR)가 표시된 것으로 도시되었는데, 제2 단말기의 사용자가 이 거리정보에 따라 가이드되면 족하고 제1 단말기에는 상기 거리정보가 표시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안내 방법은 가이드하는 사람이 실제로 터치하는 방향이 가이드받는 사람에게 전송될 뿐만 아니라 그 경우의 실제 거리정보도 함께 전송될 수 있으므로 보다 직관적인 길 안내가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안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들에서와 다른 방법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나머지 구성은 이전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안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제1 단말기의 사용자가 제2 단말기 사용자의 전방 응시 방향을 확인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전술했던 단말기의 센서부에는 나침반 센서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나침반 센서는 정북, 정남, 정동, 정서 방향을 판단하므로, 단말기가 사용자의 대략 정면을 향하여 위치한다고 했을 때 사용자의 전방 응시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제2 단말기 사용자가 참조부호 a방향, b방향 또는 c방향의 전방을 응시하는 경우에 제1 단말기 사용자도 도시된 바와 같이 a방향, b방향 또는 c방향을 시각적으로 확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기 사용자의 응시방향이 a방향인 경우에는 제1 단말기 사용자는 제2 단말기 사용자에게 오른쪽으로 45도 정도 회전하라고 가이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단말기 사용자의 응시방향이 c방향인 경우에는 제1 단말기 사용자는 제2 단말기 사용자에게 왼쪽으로 45도 정도 회전하고 직진하여 목적지(D)에 도달하라고 가이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 유닛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휴대전화, PDA,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등과 같은와 같은 휴대통신 단말기의 위치 안내 방법에 적용된다.

Claims (14)

  1. 위치 안내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통화가 개시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에게 위치정보 수집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가 표시된 지리정보맵을 상기 제1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의 터치 패널을 통해 상기 지리정보 맵 상의 한 방향에서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을 길안내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길안내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의 위치정보는 실시간으로 상기 제1 단말기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에서 동일하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가 개시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의 화면부에 위치정보 수집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안내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할 때 터치를 유지하는 길이에 비례하는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의 위치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의 현재 응시 방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길안내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가 응시할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위치 안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14. 제13항의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휴대통신 단말기.
KR1020137018233A 2010-12-15 2011-12-15 위치 안내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및 휴대통신 단말 KR1018335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133A KR20120066842A (ko) 2010-12-15 2010-12-15 위치 안내 방법
KR1020100128133 2010-12-15
PCT/KR2011/009682 WO2012081919A2 (ko) 2010-12-15 2011-12-15 위치 안내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및 휴대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852A KR20140031852A (ko) 2014-03-13
KR101833580B1 true KR101833580B1 (ko) 2018-02-28

Family

ID=462452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133A KR20120066842A (ko) 2010-12-15 2010-12-15 위치 안내 방법
KR1020137018233A KR101833580B1 (ko) 2010-12-15 2011-12-15 위치 안내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및 휴대통신 단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133A KR20120066842A (ko) 2010-12-15 2010-12-15 위치 안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30008B2 (ko)
EP (1) EP2654324B1 (ko)
KR (2) KR20120066842A (ko)
CN (1) CN103339966B (ko)
AU (1) AU2011341894B2 (ko)
WO (1) WO201208191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1907A1 (ko) * 2014-08-04 2016-02-11 넥시스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9906917B2 (en) * 2016-05-31 2018-02-2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Generating an indoor map for a structure using data gathered by a user device
DE102017006849A1 (de) * 2017-07-21 2019-01-24 Lukas HEINDL Verfahren zum Bestimmen der relativen Positionen mindestens zweier mobiler Endgeräte zueinander
US10675205B1 (en) 2018-11-20 2020-06-09 Toyota Mobility Foundation Transportation support for a user having chronic or acute mobility need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1158B1 (en) * 1994-06-24 2001-11-20 Delorme Publishing Company Integrated routing/mapping information
US6816734B2 (en) * 2002-09-17 2004-11-0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location determination in a private radio network using a public network system
US7751826B2 (en) * 2002-10-24 2010-07-06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E911 location privacy protection
KR100807180B1 (ko) 2006-05-23 2008-02-27 한국과학기술원 시각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79663B1 (ko) 2006-09-28 2009-01-21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90005018A1 (en) * 2007-06-28 2009-01-01 Apple Inc. Route Sharing and Location
US8160812B1 (en) * 2007-09-06 2012-04-17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Tracking and guidance architecture and method
KR101402806B1 (ko) * 2007-12-04 2014-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통화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길 안내 방법
US8090389B2 (en) 2008-01-16 2012-01-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of displaying a map on a phone screen
US8565780B2 (en) * 2008-01-17 2013-10-22 At&T Mobility Ii Llc Caller identification with caller geographical location
US8369867B2 (en) * 2008-06-30 2013-02-05 Apple Inc. Location sharing
US9456298B2 (en) * 2008-08-04 2016-09-27 Apple Inc. Device-to-device location awaren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54324A2 (en) 2013-10-23
CN103339966B (zh) 2017-02-15
CN103339966A (zh) 2013-10-02
AU2011341894A9 (en) 2016-02-25
KR20140031852A (ko) 2014-03-13
AU2011341894B2 (en) 2016-02-25
EP2654324B1 (en) 2016-06-15
US20130273940A1 (en) 2013-10-17
WO2012081919A3 (ko) 2012-10-04
AU2011341894A2 (en) 2013-08-08
KR20120066842A (ko) 2012-06-25
WO2012081919A2 (ko) 2012-06-21
EP2654324A4 (en) 2014-05-07
US9730008B2 (en) 201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2263516B2 (en) Method for displaying current geographical location on emergency call screen and terminal
US20200356265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817243B2 (en)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based on change in output destination of an application
KR101667715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ES2901927T3 (es) Terminal móvil y procedimiento de soporte de cambio de objeto para el mismo
US10198489B2 (en) Collaborative location-based search results
WO2017120107A2 (en)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enabling display management of participant devices
JP2009517762A (ja) 測位情報を用いた仲間リストの視覚化
CN105740291A (zh) 地图界面显示方法及装置
KR101833580B1 (ko) 위치 안내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및 휴대통신 단말
US20200409534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 prompting message,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10203069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검색방법
KR20110089689A (ko) 컨텐츠 이용 방법, 컨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