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186B1 - 고주파 대역 무선 액세스 기술 아키텍처에서의 시스템 검출 - Google Patents

고주파 대역 무선 액세스 기술 아키텍처에서의 시스템 검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186B1
KR101833186B1 KR1020177001787A KR20177001787A KR101833186B1 KR 101833186 B1 KR101833186 B1 KR 101833186B1 KR 1020177001787 A KR1020177001787 A KR 1020177001787A KR 20177001787 A KR20177001787 A KR 20177001787A KR 101833186 B1 KR101833186 B1 KR 101833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ling
signal
synchronization signal
received
poll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1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9463A (ko
Inventor
혜정 정
큉후아 리
핑핑 종
Original Assignee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70019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 내에서의 사용자 장비("UE")에 의한 소형 셀의 빠르고 효율적인 발견을 위한 기법이 본 문서에 기술된다. 소형 셀은 고주파 대역("HFB")에서 동작할 수 있는데, 이는 네트워크의 다른 셀(가령, 기지국, 예를 들어 진화된 노드 B("eNB"))보다 더 높은 주파수에 대응할 수 있다. UE는 보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데, 이는 폴링 채널 구성, 빔포밍 가중치, 캐리어 주파수, 소형 셀의 셀 식별자, 그리고/또는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UE는 소형 셀을 검출하기 위해서, 폴링 시퀀스를 (전방향으로든, 의사 전방향으로든, 또는 지향성으로든) 출력하는 경우 보조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주파 대역 무선 액세스 기술 아키텍처에서의 시스템 검출{SYSTEM DETECTION IN A HIGH FREQUENCY BAND RADIO ACCESS TECHNOLOGY ARCHITECTURE}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14년 8월 11일에 출원된 미국 임시 특허 출원 제62/035,807호의 이익을 주장하는데, 그 내용은 이로써 참조에 의해 본 문서 내에 온전히 개진된 것과 같이 포함된다.
데이터 집약적(data-intensive) 서비스(예를 들어 음악 및 영화 스트리밍(streaming), 3차원 콘텐트(content) 스트리밍,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경험 등등)이 점점 더 사회의 일부가 됨에 따라, 고대역폭(high-bandwidth), 저지연(low-latency) 데이터 송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다. 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셀룰러 전기통신 네트워크(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는 여러 가지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RAT")을 이용할 수 있는데, 그 각각은 상이한 이해득실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5세대(fifth generation)("5G") RAT는 고주파 대역(high frequency band)("HFB") RAT로 간주될 수 있다(가령, 4세대(fourth generation)("4G") RAT보다 더 높은 주파수 대역(higher frequency band)에 대응할 수 있다). 5G RAT는 4G RAT보다 더 높은 수준의 성능(가령, 더 낮은 지연(latency) 및/또는 더 높은 쓰루풋(throughput))을 제공할 수 있으나, 4G RAT보다 더 작은 커버리지 영역(coverage area)을 가질 수 있다.
HFB RAT의 전술된 손해에 대한 하나의 잠재적인 해결안은 여러 HFB RAT "소형 셀"을 배치하여, HFB RAT의 향상된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HFB RAT를 활용하기 위해서, 사용자 장비(user equipoment)(("UE") 가령, 셀룰러 전화)는 통상 하나 이상의 소형 셀(small cell)을 검출할 필요가 있다. 소형 셀의 검출은 UE 전력 소모, 무선 리소스(radio resource) 활용 및/또는 지연의 측면에서 잠재적으로 비효율적인 프로세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이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비슷한 참조 번호는 비슷한 구조적 요소를 가리킬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의 그림 내에 한정으로서가 아니라 예로서 보여진다.
도 1a, 도 1b 및 도 2 내지 도 4는 본 문서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구현의 개관을 개념적으로 보여주고,
도 5는 본 문서에 기술된 시스템 및/또는 방법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 환경의 도해이며,
도 6은 본 문서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구현에 따라, 하나 이상의 소형 셀을 검출하기 위한 예시적 프로세스를 보여주고,
도 7은 본 문서에 기술된 몇몇 구현에 따라, 소형 셀에 대해 폴링하는(polling) 경우 UE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 폴링 채널 포맷(polling channel format)을 보여주며,
도 8은 본 문서에 기술된 몇몇 구현에 따라, 소형 셀 및/또는 송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의 클러스터(cluster)에 의한 시간-주파수 리소스의 효율적인 사용을 보여주고,
도 9는 본 문서에 기술된 몇몇 구현에 따라, 동기화 신호(synchronization signal)을 UE에 제공하는 경우 시간-주파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FDM")를 보여주며,
도 10은 디바이스의 예시적 컴포넌트의 도해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다. 상이한 도면 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를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구조적 또는 논리적 변경이 행해질 수 있고 다른 실시예가 활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 취해져서는 안 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범주는 부기된 청구항 및 그것의 균등물에 의해 정의된다.
하나의 구현에서, UE 장치는,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에 연결되는 무선 컴포넌트(radio component)와, 프로세서 실행가능(processor-executable) 명령어의 세트를 저장하는 메모리 디바이스(memory device)와,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어의 위 세트를 실행하는 처리 회로(processing circuitry)를 포함할 수 있되,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어의 위 세트를 실행하는 것은 위 UE로 하여금, 위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와 연관된 캐리어 주파수(carrier frequency) 및 하나 이상의 셀 식별자(cell identifier), 폴링 채널 구성(polling channel configuration), 또는 폴링 응답 채널 구성(polling response channel configur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 정보(assistance information)를 수신하고, 위 보조 정보에 기반하여 폴링 신호(polling signal)를 생성하며, 위 무선 컴포넌트를 통하여 위 생성된 폴링 신호를 출력하고, 위 폴링 신호에 응답하여 동기화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를 수신하며(위 동기화 신호는 위 무선 컴포넌트를 통하여 그리고 위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셀(cell)로부터 수신됨), 위 동기화 신호 내에 포함된 정보를 사용하여, 위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위 하나 이상의 셀 중 특정한 셀을 검출하(고 결국 이에 연결되)게 한다.
위 보조 정보는 위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와 연관된 위 캐리어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고, 위 폴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위 캐리어 주파수에 기반하여 위 폴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위 보조 정보는 위 폴링 채널 구성을 포함하고, 위 폴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위 폴링 채널 구성에 따라 위 폴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위 폴링 응답 채널 구성은 시간-주파수 리소스 할당(time-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또는 동기화 신호 시퀀스의 세트(set of synchronization signal sequences)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indic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위 UE는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이를 통하여 위 보조 정보가 수신되었음)에 기반하여, 위 폴링 신호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parameter)를 판정할 수 있다. 위 무선 액세스 기술(이를 통하여 위 보조 신호가 수신되었음)에 기반하여 판정된 위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는, 위 폴링 신호와 연관된 보호 시간 지속기(guard time duration), 또는 위 폴링 신호와 연관된 순환 전치 지속기(cyclic prefix dur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위 무선 컴포넌트가 제1 무선 액세스 기술과 연관된 제1 무선 컴포넌트라고 가정하고, 위 UE는 위 제1 무선 액세스 기술과 상이한 제2 무선 액세스 기술과 연관된 제2 무선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되, 위 보조 정보는 위 제1 무선 컴포넌트를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위 보조 정보는 위 제2 무선 컴포넌트를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위 폴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전방향(omnidirectional), 의사 전방향(pseudo-omnidirectional), 또는 지향성(directional) 패턴으로 위 폴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위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는 롱텀 에볼루션(Long-Term Evolution) 표준과 연관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base station)과, 위 롱텀 에볼루션 표준과 연관된 위 주파수 대역보다 더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소형 셀(small cell)을 포함할 수 있고, 위 하나 이상의 기지국은 위 하나 이상의 소형 셀과 동기화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위 보조 정보는 공간 정보(spatial information)를 포함할 수 있고, 위 폴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위 공간 정보에 기반하여 위 폴링 신호를 빔포밍하는 것(beamforming)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위 폴링 신호의 송신 타이밍(transmit timing)은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타이밍에 기반할 수 있다. 위 폴링 신호의 위 송신 타이밍은 위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타이밍에 기반하여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를 적용함으로써 판정될 수 있고, 위 타이밍 어드밴스는 위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값에 기반하여 판정될 수 있다.
위 수신된 동기화 신호와 연관된 송신 빔포밍 가중치의 세트는 위 폴링 신호와 연관된 수신 빔포밍 가중치의 세트에 기반할 수 있다. 위 폴링 채널 구성은 선택된 폴링 채널 포맷(polling channel format), 시간-주파수 리소스 할당, 송신 전력 제어(transmit power control)를 위한 파라미터, 또는 프리앰블 시퀀스(preamble sequen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전력 제어를 위한 위 파라미터는 초기 송신 전력, 전력 램핑(power ramping)의 양, 구성된 최대 출력 전력(configured maximum output power)을 설정하는 데 관련된 파라미터, 또는 위 최대의 구성된 출력 전력으로 송신하기 전의 송신의 요구되는 횟수(required numb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 UE는 다수의 상이한 안테나 패턴을 사용하여 다수의 폴링 시퀀스를 순차적으로 송신할 수 있되, 제1 폴링 시퀀스는 보호 시간(guard time)만큼 제2 폴링 시퀀스로부터 분리된다.
다른 구현에서,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셀 디바이스(cell device)는, UE와 통신하는 무선 컴포넌트와,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어의 세트를 저장하는 메모리 디바이스와,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어의 위 세트를 실행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되,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어의 위 세트를 실행하는 것은 위 셀 디바이스로 하여금, 위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와 연관된 캐리어 주파수, 폴링 채널 구성, 또는 폴링 응답 채널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보조 정보를 위 UE에 출력하고, 위 보조 정보에 기반하여 위 UE에 의해 생성된 폴링 신호를 위 UE로부터 수신하며, 위 UE를 위한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고(위 생성하는 것은 위 수신된 폴링 신호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빔포밍 가중치(beamforming weight)를 판정하는 것을 포함함), 위 폴링 신호에 응답하여, 위 UE에, 폴링 응답 채널을 통하여 위 생성된 동기화 신호를 출력하게 하되, 위 폴링 응답 채널은 위 폴링 응답 채널 구성에 대응한다.
위 셀 디바이스는 LTE 기지국 네트워크가 동작하는 주파수 대역보다 더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위 셀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LTE 기지국과 동기화될 수 있다. 보조 정보는 위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와 연관된 위 캐리어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고, 위 폴링 신호는 위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와 연관된 위 캐리어 주파수에서 수신될 수 있다. 위 셀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송신 포인트(이로부터 위 폴링 응답 채널을 통하여 위 동기화 신호를 출력할 것임)를 판정할 수 있되, 위 판정하는 것은 위 수신된 폴링 신호의 신호 세기(signal strength), 위 수신된 폴링 신호가 위 UE에 의해 송신된 신호 전력(signal power), 위 수신된 폴링 신호의 수신 타이밍 오프셋(receive timing offset), 또는 위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부하 조건(load condition)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한다. 위 보조 정보는 위 셀 디바이스의 셀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위 빔포밍 가중치는 위 수신된 폴링 신호와 연관된 빔포밍 가중치, 또는 빔포밍 가중치의 세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판정될 수 있다. 위 폴링 채널 구성은 폴링 채널 포맷, 시간-주파수 리소스 할당, 송신 전력 제어를 위한 파라미터, 또는 프리앰블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전력 제어를 위한 위 파라미터는 초기 송신 전력, 전력 램핑의 양, 구성된 최대 출력 전력을 설정하는 데 관련된 파라미터, 또는 위 최대의 구성된 출력 전력으로 송신하기 전의 송신의 요구되는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방법은, UE로부터 폴링 신호를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와, 위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복수의 송신 포인트로부터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복수의 UE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1 송신 포인트로부터의, 제1 UE를 위한 제1 동기화 신호는, 빔포밍 가중치의 제1 세트와 연관되고, 제2 송신 포인트로부터의, 위 제1 UE를 위한 제2 동기화 신호는, 빔포밍 가중치의 위 제1 세트와 상이한 빔포밍 가중치의 제2 세트와 연관되며, 위 제1 UE를 위한 위 제1 및 제2 동기화 신호는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 상에서 송신되고, 위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주파수 도메인(frequency domain) 상에서 상이한 아날로그 빔포밍 가중치와 연관된 위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다중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 제1 UE를 위한 동기화 신호는, 아날로그 빔포밍 가중치의 제1 세트와 연관되어, 제1 주파수 서브-도메인(sub-domain) 상에서 특정한 송신 포인트로부터 출력될 수 있고, 제2 UE를 위한 동기화 신호는, 아날로그 빔포밍 가중치의 제2 세트와 연관되어, 제2 주파수 서브-도메인 상에서 다른 송신 포인트로부터 출력될 수 있되, 위 제1 및 제2 서브도메인은 상이하다.
위 송신 포인트는 롱텀 에볼루션(Long-Term Evolution) 기지국이 동작하는 주파수 대역보다 더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위 제1 및 제2 동기화 신호는 각각 위 제1 및 제2 송신 포인트에 의해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UE는,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와 연관된 캐리어 주파수, 또는 폴링 채널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보조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과, 위 보조 정보에 기반하여 폴링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과, 위 생성된 폴링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과, 위 폴링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위 응답은 위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셀로부터 수신됨)과, 위 동기화 신호 내에 포함된 정보를 사용하여, 위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위 하나 이상의 셀 중 특정한 셀을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위 보조 정보는 위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와 연관된 위 캐리어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고, 위 폴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위 캐리어 주파수에서 위 폴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위 보조 정보는 위 폴링 채널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위 폴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위 폴링 채널 구성에 따라 위 폴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위 폴링 채널 구성은 순환 전치 지속기, 또는 보호 시간 지속기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위 UE는 무선 액세스 기술(이를 통하여 위 보조 정보가 수신되었음)에 기반하여, 위 폴링 신호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판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 무선 액세스 기술(이를 통하여 위 보조 신호가 수신되었음)에 기반하여 판정된 위 파라미터는, 위 폴링 신호와 연관된 보호 시간 지속기, 또는 위 폴링 신호와 연관된 순환 전치 지속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 UE는 제1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여 위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제1 무선 수단(radio means)과, 위 제1 무선 액세스 기술과 상이한 제2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여 위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제2 무선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위 보조 정보는 위 제1 무선 수단을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위 보조 정보는 위 제2 무선 수단을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위 보조 정보는 공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위 폴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위 공간 정보에 기반하여 위 폴링 신호를 빔포밍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위 폴링 신호의 송신 타이밍은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타이밍에 기반할 수 있다. 위 폴링 신호의 위 송신 타이밍은 위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위 타이밍에 기반하여 타이밍 어드밴스를 적용함으로써 판정될 수 있되, 위 타이밍 어드밴스는 위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값에 기반하여 판정된다.
위 수신된 동기화 신호와 연관된 송신 빔포밍 가중치의 세트는 위 폴링 신호와 연관된 수신 빔포밍 가중치의 세트에 기반할 수 있다. 위 폴링 채널 구성은 선택된 폴링 채널 포맷, 시간-주파수 리소스 할당, 송신 전력 제어를 위한 파라미터, 그리고/또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전력 제어를 위한 위 파라미터는 초기 송신 전력, 전력 램핑의 양, 구성된 최대 출력 전력을 설정하는 데 관련된 파라미터, 그리고/또는 위 최대의 구성된 출력 전력으로 송신하기 전의 송신의 요구되는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위 UE는 복수의 상이한 안테나 패턴을 사용하여 다수의 폴링 시퀀스를 순차적으로 송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되, 제1 폴링 시퀀스는 보호 시간만큼 제2 폴링 시퀀스로부터 분리된다.
다른 구현에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사용자 장비(UE)로부터 폴링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복수의 송신 포인트로부터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복수의 UE에 출력하게 하는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어의 세트를 저장하되, 제1 송신 포인트로부터의, 제1 UE를 위한 제1 동기화 신호는, 빔포밍 가중치의 제1 세트와 연관되고, 제2 송신 포인트로부터의, 위 제1 UE를 위한 제2 동기화 신호는, 빔포밍 가중치의 위 제1 세트와 상이한 빔포밍 가중치의 제2 세트와 연관되며, 위 제1 UE를 위한 위 제1 및 제2 동기화 신호는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 상에서 송신되고, 위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상이한 아날로그 빔포밍 가중치와 연관된 위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다중화하는 것을 포함하되, 아날로그 빔포밍 가중치의 제1 세트와 연관된 위 제1 UE를 위한 동기화 신호는 제1 주파수 서브-도메인 상에서 하나의 송신 포인트로부터 출력되고, 아날로그 빔포밍 가중치의 제2 세트와 연관된 제2 UE를 위한 동기화 신호는 제2 주파수 서브-도메인 상에서 다른 송신 포인트로부터 출력되되, 위 제1 및 제2 서브도메인은 상이하다.
도 1 내지 도 4는 UE에 의한 소형 셀 검출의 예시적 구현의 개관을 보여준다. 예를 들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는 무선 소형 셀의 세트 및 기지국(base station)의 대략 근처에 있을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기지국은, 예컨대,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LTE")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진화된 노드 B(evolved Node B)("eNB")일 수 있고, 소형 셀은 마이크로셀(microcell), 펨토셀(femtocell), 그리고/또는 다른 유형의 디바이스(이를 통하여 UE는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음)일 수 있다. 그러므로 기지국은 소형 셀에 대해서 "매크로셀"(macrocell)이라고 간주될 수 있다. 소형 셀은 기지국과는 상이한 RAT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형 셀은 HFB RAT(가령, 기지국이 동작하는 주파수 대역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RAT)에 대응할 수 있고, 기지국은 저주파 대역(low frequency band)("LFB") RAT(가령, 소형 셀이 동작하는 주파수 대역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RAT)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HFB" 및 "LFB"는 각각 더 높은 또는 더 낮은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기 위해 상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UE는 (가령, 기지국과의 수립된 연결(established connection)을 통하여) 기지국으로부터 보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보조 정보는 UE에 의한, 소형 셀 중 하나 이상의 검출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아래에서 추가로 논의될 바와 같이, 보조 정보는 소형 셀의 캐리어 주파수 및 셀 식별자, 폴링 채널 구성 파라미터(가령, 폴링 채널 포맷, 시간-주파수 리소스, 주기성(periodicity), 송신 전력 제어를 위한 파라미터 등등), 프리앰블 시퀀스, 그리고/또는 폴링 응답 채널을 위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기지국과의 초기 접속(initial attachment) 시에, 기지국이 UE가 하나 이상의 소형 셀 가까이에 있음을 검출하는 경우, 기지국이 보조 정보에 대한 UE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그리고/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이벤트(event)에 기반하여 보조 정보를 발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는 소형 셀로부터 보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UE가 현재 소형 셀(이로부터 보조 정보가 수신됨)에 접속된(attached)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의 범위 내에 있는 소형 셀을 검출하기 위해서, UE는 폴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폴링 신호는 (도 1a 및/또는 도 1b에서 제공된) 보조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래에서 추가로 기술되는 바와 같이, 폴링 신호는 보조 정보 내에 지정된 프리앰블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고, 보조 정보 내에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될 수 있고, 기타 등등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그리고 또한 아래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UE는 폴링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보조 정보 내에 지정된 바와 같은 특정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UE에 출력되는 폴링 신호의 송신의 타이밍은 보조 정보에 기반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UE는 전방향 방식으로 폴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UE는 상이한 방식, 예를 들어 의사 전방향 방식 및/또는 한정된 지향성 방식으로 폴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몇몇 구현에서, 보조 정보는 UE가 폴링 신호를 출력하여야 할 방향을 지정할 수 있고/있거나,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셀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이에 기반하여 UE는 폴링 신호의 지향성(directionality)을 판정할 수 있음).
도 3을 참조하여, 세 개의 예시된 소형 셀 중 두 개가 UE로부터 폴링 신호를 수신하였다고 가정하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들 두 소형 셀은 동기화 신호를 UE에 제공할 수 있다. 특정한 소형 셀로부터의 동기화 신호는 UE를 향한 방향으로 빔포밍될 수 있다. 소형 셀은 UE로부터 수신된 폴링 신호에 기반하여 동기화 신호를 빔포밍할 방향을 판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동기화 신호를 사용하여, UE는 특정한 소형 셀을 검출할 수 있다(가령, 타이밍 및 주파수 동기화, UE 수신/송신 빔 방향, 셀 식별자 등등을 획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문서에 기술된 시스템 및/또는 방법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 환경(500)을 보여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500)은 UE(505), 기지국(510), 소형 셀(515), 소형 셀 게이트웨이(small cell gateway)(520),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SGW")(530),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PDN") gateway)("PGW")(535), 이동성 관리 개체 디바이스(mobility management entity device)("MME")(540), 정책 및 과금 규칙 기능(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PCRF")(545) 및 PDN(560)을 포함할 수 있다.
환경(500)은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 무선 통신 표준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LTE 네트워크 및/또는 진화된 패킷 코어(evolved packet core)("EPC")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진화된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EPS")을 포함할 수 있다. LTE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510)(그 중 일부 또는 전부는 eNB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하여 UE(505)는 EPC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음)을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RAN")를 포함할 수 있거나, 이의 일부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RAN은 하나 이상의 소형 셀(515)을 또한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기지국(510)과는 상이한 RAT에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형 셀(515)은 HFB RAT에서 동작할 수 있는 반면, 기지국(510)은 LFB RAT에서 동작할 수 있다. EPC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SGW(530), PGW(535) 및/또는 MME(540)를 포함할 수 있고, UE(505)로 하여금 PDN(560) 및/또는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시스템(Internet protocol ("IP") multimedia subsystem)("IMS") 코어 네트워크(묘사되지 않음)와 통신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IMS 코어 네트워크는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HSS"), 인증, 인가 및 정산(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AAA") 서버, 호 세션 제어 기능(Call Session Control Function)("CSCF")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IMS 코어 네트워크는 UE(505)와 연관된 인증, 세션 개시, 계정 정보, 사용자 프로파일(user profile) 등등을 관리할 수 있다.
UE(505)는 기지국(510), 소형 셀(515) 및/또는 PDN(560)과 통신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와 같은 계산 및 통신 디바이스(comput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UE(505)는 무선전화기(radiotelephone), 개인 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PCS") 단말(가령, 셀룰러 무선전화기를 데이터 처리 및 데이터 통신 능력과 조합하는 디바이스),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가령, 무선전화기, 페이저(pager), 인터넷/인트라넷 액세스 등등을 포함할 수 있음), 스마트폰(smart phone),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카메라, 개인용 게이밍 시스템(personal gaming system), 또는 다른 유형의 모바일 계산 및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UE(505)는 기지국(510), 소형 셀(515), 소형 셀 게이트웨이(520), SGW(530) 및/또는 PGW(535)를 통하여 PDN(560)에 트래픽을 발신하고/하거나 PDN(560)으로부터 트래픽을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510)은 UE(505)로 향하도록 정해진 그리고/또는 UE(505)로부터 수신된, 호(call),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텍스트(text) 및/또는 다른 데이터와 같은 트래픽을 수신, 처리 및/또는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기지국(510)은 eNB 디바이스일 수 있고 LTE 네트워크의 일부일 수 있다. 기지국(510)은 SGW(530), PGW(535) 및/또는 PDN(560)을 통하여 UE(505)로부터 트래픽을 수신하고/하거나 UE(505)에 트래픽을 발신할 수 있다. 기지국(510)은, 예컨대 공중 인터페이스(air interface)(가령, 셀룰러 공중 인터페이스(cellular air interface))를 통하여, UE(505)에 트래픽을 발신하고/하거나 UE(505)로부터 트래픽을 수신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기지국(510)은 LFB RAT(가령, 소형 셀(515)과 연관된 HFB RAT보다 더 낮은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RAT)에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510)은 LTE RAT, 3GPP 3세대(third generation)("3G") RAT, 3GPP 2세대(second generation)("2G") RAT,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2000(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CDMA2000") 1X RAT 등등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지국(510)은 "매크로셀"이라고 간주될 수 있는 반면, 소형 셀(515)은 "마이크로셀"로 간주될 수 있다.
소형 셀(515)은 UE(505)를 향하도록 정해진 그리고/또는 UE(505)로부터 수신된, 호, 오디오, 비디오, 텍스트 및/또는 다른 데이터와 같은 트래픽을 수신, 처리 및/또는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소형 셀(515)은 최종 사용자(end user)(가령, 기지국(510)을 소유하거/하거나 운영하는 개체와 별개인 개인 또는 사업체)에 의해 배치될(가령, 물리적으로 놓이고/거나 설치될) 수 있는 포터블 디바이스(portabl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소형 셀(515)은 기지국(510)의 소유자 및/또는 운영자에 의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몇몇 구현에서, 특정한 소형 셀(515)은 기지국(510)과 코로케이팅될(co-located) 수 있다. 소형 셀(515)은 MME(540)에 직접적으로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coupled) 수 있고/있거나, SGW(530) 및/또는 MME(540)에 (가령, 소형 셀 게이트웨이(520)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소형 셀(515)(그리고/또는 소형 셀 게이트웨이(520))는, 몇몇 구현에서, PDN(560)을 통하여 SGW(530) 및/또는 MME(540)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소형 셀(515)은 일반적으로, 기지국(510)에 의해 제공되는 것보다, 향상된 연결성(connectivity)을 RAN에 제공할 수 있다(가령, 기지국(510)보다 더 넓은 대역폭 및/또는 더 낮은 지연과 함께 더 높은 데이터율을 제공할 수 있다). 향상된 연결성은 소형 셀(515)이 동작하는 더 높은 주파수 대역의 결과일 수 있다. 예컨대, 몇몇 구현에서, 6 기가헤르츠(gigahertz)("GHz") 또는 더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이다. 3GPP 용어에서, 소형 셀은 때때로 홈 노드 B(Home Node B)("HNB") 또는 홈 eNB(Home eNB)("HeNB")로 지칭될 수 있다.
소형 셀 게이트웨이(520)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소형 셀(515)이 MME(540) 및/또는 SGW(530)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예컨대, 소형 셀 게이트웨이(520)는 SGW(530) 및/또는 MME(540)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의 하나의 세트와, 하나 이상의 소형 셀(515)과 통신하는 인터페이스(가령, 상이한 유형의 인터페이스)의 다른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소형 셀 게이트웨이(520)는 여러 소형 셀(515)로부터 제어 정보(가령, UE(505)가 연결된 소형 셀(515)의 식별자, 소형 셀(515)에 연결된 UE(505)의 식별자, 핸드오버(handover)/핸드인(hand-in)/핸드아웃(hand-out) 명령 등등)를 집성할(aggregate) 수 있고, 그 정보를 MME(540)에 보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소형 셀 게이트웨이(520)는 사용자 평면 데이터(user plane data)(가령, 실질적 트래픽, 예를 들어, 호 트래픽(call traffic), 오디오/비디오 스트리밍 트래픽(audio/video streaming traffic), 웹 트래픽(web traffic) 등등)를 여러 소형 셀(515)로 그리고/또는 여러 소형 셀(515)로부터 집성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소형 셀(515)은 개입하는(intervening) 소형 셀 게이트웨이(520) 없이 MME(540)와 통신할 수 있다.
SGW(530)는 본 문서에 기술된 방식으로 정보를 수집, 처리, 검색, 저장 및/또는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SGW(530)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기지국(510), 소형 셀(515) 및/또는 소형 셀 게이트웨이(520)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을 집성할 수 있고, 집성된 트래픽을 PGW(535)를 통하여 PDN(560)에 발신할 수 있다.
PGW(535)는 본 문서에 기술된 방식으로 정보를 수집, 처리, 검색, 저장 및/또는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PGW(535)는 하나 이상의 SWG(530) 등등으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을 집성할 수 있고, 집성된 트래픽을 PDN(560)에 발신할 수 있다. PGW(535)는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PDN(560)으로부터 트래픽을 수신할 수 있고 기지국(510), 소형 셀(515), 소형 셀 게이트웨이(520) 및/또는 SGW(530)를 통하여 UE(505)를 향해 트래픽을 발신할 수 있다.
MME(540)는 UE(505)를 EPS에 등록하고/하거나, UE(505)와의 세션과 연관된 베어러 채널(bearer channel)을 수립하고/하거나, EPS로부터 다른 네트워크로 UE(505)를 핸드오프(hand off)하고/하거나, 다른 네트워크로부터 EPS로 UE(505)를 핸드오프하고/하거나, 다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계산 및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MME(540)는 UE(505)를 향하도록 정해진 그리고/또는 UE(505)로부터 수신된 트래픽에 대한 감시(policing)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PCRF(545)는 EPC 네트워크 및/또는 다른 소스(source)에 그리고 이로부터 정보를 집성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PCRF(545)는 하나 이상의 소스, 예를 들어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그리고/또는 (예컨대, PCRF(545)와 연관된 관리자와 같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정책 및/또는 가입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PDN(560)은 하나 이상의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PDN(560)은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IP") 기반 PDN,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WAN")(예를 들어 인터넷), 전기통신 제공자의 코어 네트워크, 사기업 네트워크(private enterprise network)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UE(505)는, PGW(535)를 통해, 데이터 서버, 애플리케이션 서버, 다른 UE(505), 그리고/또는 다른 서버 또는 애플리케이션(PDN(560)에 커플링됨)에 연결될 수 있다. PDN(560)은 하나 이상의 다른 네트워크, 예를 들어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PSTN"),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PLMN")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직접적" 연결이 도 5에서 어떤 디바이스 간에 도시되나, 몇몇 디바이스는 PDN(560)(그리고/또는 다른 네트워크)을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도 6은 UE(505)에 의한, 특정한 소형 셀(515)로의 접속을 위한 예시적 프로세스(600)를 보여준다. 몇몇 구현에서, 프로세스(600)는 UE(50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600)는 소형 셀 보조 정보를 (605에서)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a 및 도 1b에 관해서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UE(505)는 기지국(510)(가령, eNB)로부터 소형 셀 보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만일 UE(505)가 이미 특정한 소형 셀(515)에 접속된 경우, UE(505)는 기지국(510) 및/또는 특정한 소형 셀(515)로부터 보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보조 정보는 어느 UE(505)가 하나 이상의 소형 셀(515)을 검출할 수 있는지에 기반하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조 정보는 하나 이상의 소형 셀(515)과 연관된 셀 식별자 및/또는 캐리어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캐리어 주파수 정보는 폴링 시퀀스를 출력하는 경우 UE(505)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보조 정보는 UE(505)에 할당된 시간-주파수 리소스를 나타낼 수 있는데, 이를 통하여 UE(505)는 동기화 신호를 비롯하여 하나 이상의 폴링 응답 채널을 수신한다. 예컨대,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고 잠재적으로 소형 셀(515)에 연결될 수 있는 UE(505)의 수를 최대화하기 위해서, 소형 셀(515)은 시간-주파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시간-주파수 리소스는, 예컨대, 슬롯 번호(slot number), OFDM 심볼 번호(OFDM symbol number), 시작 물리적 리소스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PRB") 번호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보조 정보는 (가령, 아래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은) UE 폴링 채널 포맷, 주기성, 그리고/또는 송신 전력을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전력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초기 송신 전력, 전력 램핑의 양, 최대 출력 전력, 최대 전력으로 송신하기 전의 송신의 수량(quantity)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보조 정보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비경쟁(contention-free) 송신을 가능케 할 수 있는) 폴링 시퀀스를 출력하는 경우 UE(505)가 사용할 수 있다.
프로세스(600)는 보조 정보의 소스에 기반하여, 그리고/또는 보조 정보와 연관된 다른 인자에 기반하여 폴링 파라미터를 (610에서) 판정하는 것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UE(505)는 보조 정보가 HFB RAT를 통하여 (가령, 소형 셀(515)로부터) 또는 LFB RAT를 통하여 (가령, 기지국(510)으로부터) 수신되었는지에 기반하여 폴링 파라미터를 판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폴링 신호의 순환 전치 지속기(cyclic prefix ("CP") duration)("TCP")는 보조 정보가 HFB RAT를 통하여 또는 LFB RAT를 통하여 수신되었는지에 기반하여 상이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보조 정보가 LFB RAT를 통하여 수신된 경우, TCP는 만일 보조 정보가 HFB RAT를 통하여 수신된 경우보다 더 긴 지속기일 수 있다. 상이한 TCP는 상이한 RAT와 연관된 각각의 잠재적인 타이밍 오차를 다루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하는 LFB RAT(가령, LTE RAT) 및 HFB RAT 간의 예시적 타이밍 관계에 관련된다. UE 폴링 채널의 초기 송신 타이밍은 LTE 업링크(uplink)("UL") 타이밍 어드밴스 값을 LTE 다운링크(downlink)("DL") 수신 타이밍에 적용함으로써 판정된다고 가정하자. LTE에서, UL/DL 프레임(frame) 타이밍 간의 고정된 타이밍 오프셋(offset)
Figure 112017006936770-pct00001
은 주파수 분할 이중화(frequency division duplex)("FDD")에 대해 0으로 설정되고 시분할 이중화(time division duplex)("TDD")에 대해
Figure 112017006936770-pct00002
로 설정될 수 있다. LTE eNB에서의 송신 프레임 타이밍에 대한 추정된 LTE DL 수신 프레임 타이밍은 식 1에 의해 주어진다:
Figure 112017006936770-pct00003
여기서
Figure 112017006936770-pct00004
는 LTE eNB 및 UE 간의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이고,
Figure 112017006936770-pct00005
은 UE에서의 DL 타이밍 추정 오차이다.
LTE eNB의 송신 타이밍에 대한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PRACH") 송신 타이밍은 식 2에 의해 주어질 수 있다:
Figure 112017006936770-pct00006
여기서
Figure 112017006936770-pct00007
는 초기 UE 송신 타이밍 오차이며, 몇몇 3GPP 표준(가령, 3GPP 기술 사양(Technical Specification)("TS") 36.133 버전(version) 12.6.0,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Requirements for support of radio resource management (Release 12)"를 보시오)에 따라,
Figure 112017006936770-pct00008
보다 작아야 한다.
LTE eNB의 송신 타이밍에 대한 추정된 PRACH 수신 타이밍은 식 3에 의해 주어질 수 있다:
Figure 112017006936770-pct00009
여기서
Figure 112017006936770-pct00010
는 LTE eNB에서의 타이밍 추정 오차이다.
따라서, LTE eNB로의 송신을 위한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스는 식 4에 의해 주어질 수 있다:
Figure 112017006936770-pct00011
UE가 위의 TA 값을 참조 타이밍(reference timing)
Figure 112017006936770-pct00012
에 적용하는 경우, LTE eNB의 송신 타이밍에 대한 LTE eNB에서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PUSCH") 수신 타이밍은 식 5에 의해 주어질 수 있다:
Figure 112017006936770-pct00013
여기서
Figure 112017006936770-pct00014
는 UE에서의 PUSCH 송신 타이밍 오차이다.
이하의 정보는 HFB RAT에서의 타이밍에 관련된다. (가령, 3GPP TS 36.133에 따른) LTE TDD 셀 위상(phase) 동기화 요구사항과 유사하게,
Figure 112017006936770-pct00015
, 곧 LTE eNB에서의 LTE 서브프레임(subframe) 시작 타이밍에 대한 소형 셀 eNB의 상대적 프레임 시작 타이밍 오차는
Figure 112017006936770-pct00016
이하인 것으로 가정될 수 있다.
소형 셀에서의 송신 타이밍에 대한 HFB 내에서의 초기 UE 송신 타이밍은 식 6에 의해 주어질 수 있다:
Figure 112017006936770-pct00017
여기서
Figure 112017006936770-pct00018
은 고주파 대역 내의 UL/DL 프레임 타이밍 간의 고정된 타이밍 오프셋이다.
소형 셀의 송신 타이밍에 대한 추정된 UE 폴링 신호 수신 타이밍은 식 7에 의해 주어질 수 있다:
Figure 112017006936770-pct00019
여기서
Figure 112017006936770-pct00020
는 UE로부터 소형 셀 eNB로의 전파 지연이고,
Figure 112017006936770-pct00021
는 HFB 내에서의 초기 UE 송신 타이밍 오차이며,
Figure 112017006936770-pct00022
는 소형 셀 eNB에서의 타이밍 추정 오차이다.
소형 셀 eNB로의 송신을 위해 요구되는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스는 식 8에 보여진 바와 같이, 상한이 주어진다:
Figure 112017006936770-pct00023
여기서 LTE 내에서의 DL 및 UL 타이밍 추정 오차는 1
Figure 112017006936770-pct00024
로 상한이 주어진다고 가정되고, HFB RAT 내에서의 UL 송신 타이밍 오차 및 UL 타이밍 추정 오차는 10ns로 상한이 주어진다고 가정된다. 소형 셀에서 관측되는 타이밍 오프셋의 범위는 식 9에 의해 주어질 수 있다:
Figure 112017006936770-pct00025
예컨대, 만일
Figure 112017006936770-pct00026
이고 소형 셀 반경이 200m이면, 수신된 폴링 신호의 타이밍 오프셋은
Figure 112017006936770-pct00027
이도록 주어질 수 있다.
소형 셀 eNB에서의 송신 타이밍에 대한 소형 셀에서의 PUSCH 수신 타이밍은 식 10에 의해 주어질 수 있다:
Figure 112017006936770-pct00028
아래의 표 1은 몇몇 구현에 따라, HFB 소형 셀을 위한 예시적 파라미터를 제공한다.
Figure 112017006936770-pct00029
아래의 표 2는 HFB 소형 셀을 위한 예시적 폴링 채널 파라미터를 제공한다.
Figure 112017006936770-pct00030
몇몇 구현에서, LFB(가령, LTE) 타이밍 정보가 사용되는 경우, 순환 전치 지속기 TCP는 최대 라운드 트립 지연(round trip delay), 최대 지연 확산(delay spread), 그리고 LTE 및 고주파 대역 내에서의 총 최대 허용 타이밍 오차(가령, 4.215μs)의 합과 같을 수 있다. 200m 셀 반경에 대해, TCP는 1.333μs + 0.150μs + 4.215μs = 5.698μs와 같을 수 있다.
LTE eNB 및 HFB 소형 셀 간의 주어진 타이밍 오프셋(± 3μs 내)에 대해, 상이한 UE의 폴링 신호 간의 상대적 수신 타이밍 오프셋은 ±3.097μs 내일 수 있다(식 9를 보시오). 그러므로, 5.698μs의 CP 길이는 소형 셀 수신기에서 상이한 UE의 폴링 채널 간의 직교성(orthogonality)을 유지하게끔 한다.
안테나 섹터 스위칭(antenna sector switching)을 위한 시간 예산(time budget)(가령, 100 ns)을 제공하는, 상이한 섹터의 폴링 신호 간의 보호 시간 지속기 TGT,1가 사용될 수 있다. 연접된(concatenated) 폴링 신호의 종단에서의 보호 시간 지속기 TGT,2는 최대 라운드 트립 지연, LTE 및 고주파 대역 내에서의 총 최대 허용 타이밍 추정 오차(가령, 4.215μs)의 합과 같을 수 있다. 요컨대, 200m 셀 반경에 대해,
Figure 112017006936770-pct00031
이고,
Figure 112017006936770-pct00032
이며,
Figure 112017006936770-pct00033
이다.
UE가 HFB 소형 셀에 이미 연결된 상황에서, HFB RAT 내에서의 잠재적인 타이밍 오차는 최대 라운드 트립 지연에 비해 무시할 만하다고 간주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순환 전치 지속기 TCP는 최대 라운드 트립 지연 및 최대 지연 확산(가령, 150ns)의 합과 같을 수 있고, 연접된 폴링 신호의 종단에서의 보호 시간 지속기 TGT,2는 최대 라운드 트립 지연과 같을 수 있다. 요컨대, 200m 셀 반경에 대해,
Figure 112017006936770-pct00034
이고,
Figure 112017006936770-pct00035
이며,
Figure 112017006936770-pct00036
이다.
프로세스(600)는 폴링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전방향 또는 한정된 지향성 소형 셀 폴링을 (615에서)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소형 셀(515)의 위치를 파악하기(locate) 위해서, UE(505)는 하나 이상의 폴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폴링 신호는, 예를 들어 보조 정보 내에 나타내어진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위에서 언급된 인자에 기반할 수 있고, 보조 정보 내에 나타내어진 방향(또는 방향들)으로 형성될 수 있고, 소형 셀(515)의 위치에 기반한 방향(또는 방향들)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보조 정보 내에 나타내어진 포맷으로 될 수 있고, 보조 정보의 소스에 기반하여 판정된 포맷으로 될 수 있고, 기타 등등이다. 폴링 신호의 상이한 포맷의 예가 아래에서 더 상세히 기술된다.
몇몇 구현에서, UE(505)는 전방향 방식(가령, 3차원 공간 내에서 및/또는 2차원 평면 상에서 360도로 균등한, 또는 거의 균등한 세기의 신호), 의사 전방향 방식(가령, 360도 미만인 호(arc), 예를 들어 120도 호), 또는 지향성 방식으로 폴링 신호(들)를 출력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UE(505)에 의해 출력된 폴링 신호의 방향성은 보조 정보 내에 포함된 정보에 기반하여 판정될 수 있다.
폴링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UE(505)의 타이밍을 소형 셀(515)의 타이밍과 동기화하기 위해서, UE(505)는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값을 사용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보조 정보는 타이밍 어드밴스 값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기지국(510) 및 UE(505) 간의 전파 지연일 수 있(거나 그것으로부터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도출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이 전파 지연은 측정되거나 추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몇몇 구현에서, 기지국(510)의 송신 타이밍에 대한, 소형 셀(515)에서의 수신된 폴링 신호의 타이밍 오프셋(
Figure 112017006936770-pct00037
)은, 기지국(510) 및 UE(505) 간의 전파 지연(
Figure 112017006936770-pct00038
) 및 소형 셀(515) 및 UE(505) 간의 전파 지연(
Figure 112017006936770-pct00039
)에 기반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UE(505)에서의 폴링 신호의 송신 타이밍은 기지국(510)으로부터의 UE(505) 수신 타이밍과 동일할 수 있고, 따라서,
Figure 112017006936770-pct00040
Figure 112017006936770-pct00041
Figure 112017006936770-pct00042
의 합과 같을 수 있다. 소형 셀(515)에서의 폴링 신호 검출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 기지국(510)은 소형 셀(515)에
Figure 112017006936770-pct00043
의 추정된 값을 제공할 수 있다. 이들 타이밍 오프셋 중 하나 이상은 기지국(510) 및/또는 어떤 다른 디바이스 또는 개체에 의해 계산될 수 있고, 소형 셀(515)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UE(505)에 의해 사용되는 타이밍 어드밴스는 하나 이상의 다른 값에 기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몇몇 구현에서, 타이밍 어드밴스는 기지국(510) 및 UE(505) 간의 라운드 트립 지연에 기반할 수 있다(가령, 라운드 트립 지연과 같을 수 있음, 라운드 트립 지연의 절반과 같을 수 있음, 기타 등등). UE(505)가 특정한 소형 셀(515)에 이미 연결된 상황에서, UE(505)는 UE(505) 및 소형 셀(515) 간의 전파 지연(단방향(one way)이든 또는 라운드 트립(round trip)이든)에 기반하는 타이밍 어드밴스를 적용할 수 있다.
LTE PRACH 송신과 대조적으로, UE 폴링 신호는 HFB RAT 내에서의 임의의 DL 신호의 수신 전에 여러 후보 서빙 셀로 송신될 수 있고, 따라서, 특정한 소형 셀에 대한 DL 경로손실(pathloss) 추정치는 UE(505)가 폴링 신호를 송신할 때 이용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초기 송신 전력 및 전력 램핑의 양은 LTE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용의 더 높은 계층의 보조 정보의 일부로서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배치(가령, LTE 및 HFB RAT의 코로케이팅된 또는 비-코로케이팅된(non-co-located) 배치), LTE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획득될 수 있는 대략적인 UE 위치 및 UE 송신 전력 상태(전력 제한됨(power-limited) 또는 그렇지 않음), 그리고/또는 폴링 리소스(polling resource)에 대한 다중사용자 스케줄링 정보(multi-user scheduling information)의 인식에 기반하여, UE(505)를 위한 초기 송신 전력 및 전력 램핑의 양을 판정할 수 있다. 만일 UE(505)가 폴링 신호의 어떤 구성된 수의 송신 후에 어떤 후보 소형 셀로부터도 폴링 응답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 UE(505)는 구성된 최대 송신 전력으로써 송신할 수 있다.
수신된 폴링 신호에 기반하여, 소형 셀(515)은 UE(505)로의 동기화 신호의 송신을 최적화하기 위해, 송신 빔포밍 가중치(그리고/또는 빔포밍 패턴(beamforming pattern))를 판정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소형 셀(515)은 UE(505)로부터의 폴링 신호의 수신 동안에 계산된 수신기 빔포밍 가중치를 사용할 수 있다. 즉, 그러한 시나리오에서, 동기화 신호는 각각의 UE(505)에 대해 최적으로 빔포밍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소형 셀(515)은 사전정의된 빔 패턴(beam pattern)을 (가령, 소형 셀 클러스터 내의 하나 이상의 다른 소형 셀(515)과 협력함(coordinating)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 동일한 동기화 신호가 여러 UE(505)에 의해 공유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으니, 따라서 동기화 신호를 제공하는 것과 연관된 오버헤드(overhead)를 감소시킨다. 송신 빔포밍 가중치(또는 패턴)을 판정하는 두 예가 여기에 기술되나, 실제로는, 다양한 동작 조건(가령, 기지국(510)에 연결된 UE(505)의 수량, 하나 이상의 소형 셀(515)에 연결된 UE(505)의 수량, 그리고/또는 UE(505)가 소형 셀(515)에 연결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두 예 모두 사용될 수 있고/있거나, 이 예들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와 함께 다른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스(600)는 하나 이상의 소형 셀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620에서) 수신하는 것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동기화 신호는 하나 이상의 동기화 시퀀스(synchronization sequence)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특정한 소형 셀(515)과 연관된 타이밍, 주파수 및/또는 셀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UE(505)가 사용할 수 있다.
프로세스(600)는 특정한 소형 셀(이로부터 동기화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625에서) 선택하고 이에 접속하는 것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UE(505)는 특정한 소형 셀(515)을 하나 이상의 인자, 예를 들어 소형 셀(515)로부터의 동기화 신호의 신호 세기, 소형 셀(515)로부터의 거리, 그리고/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인자에 기반하여 선택할 수 있다. UE(505)는 특정한 소형 셀(515)과의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고, 이어서 소형 셀(515)과의 통신을 수행할(가령, 데이터, 음성 트래픽 등등을 발신하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가령, 블록(615)에 관해서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예시적 폴링 채널 포맷을 보여준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폴링 포맷은 CP, 프리앰블 시퀀스 및 보호 시간(guard time)("GT")를 포함할 수 있다. CP의 지속기는 TCP로 표현될 수 있고, 프리앰블 시퀀스의 지속기는 TSEQ로 표현될 수 있으며, GT의 지속기는 TGT로 표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안테나 패턴과 연관된 여러 프리앰블 시퀀스(동일한 프리앰블 시퀀스이든 또는 상이한 프리앰블 시퀀스이든)는 연접될 수 있고, 특정한 프리앰블 시퀀스가 GT만큼 후속 CP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연접된 프리앰블 시퀀스 간에 하나의 GT("GT1")가 사용될 수 있고, 연접된 프리앰블 시퀀스의 종단에서 상이한 GT("GT2")가 사용될 수 있다. GT1의 지속기("TGT1")는 GT2의 지속기("TGT2")와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TGT1은, 안테나 패턴을 변경하기 위한 시간 예산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서, 몇몇 구현에서 TGT2보다 훨씬 더 짧을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보조 정보의 소스(가령, HFB RAT 또는 LFB RAT)에 기반하여, TGT1 및/또는 TGT2는 상이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TGT2는 UE별로 및/또는 셀별로 판정될 수 있고, UE(505) 및 특정한 소형 셀(515) 간의 최대 라운드 트립 지연, UE(505)에 대한 지연 확산, 그리고/또는 최대 타이밍 추정 오차 값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타이밍 추정 오차 값은, 예컨대, LFB RAT 내에서의 동작 동안의 집성된 타이밍 오차, HFB RAT 내에서의 동작 동안의 집성된 타이밍 오차, 그리고/또는 LFB RAT 및 HFB RAT 간의 상대적 타이밍 오프셋에 기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UE 폴링 채널의 포맷은 이하의 인자 중 하나 이상에서 판정될 수 있다: 시스템 검출에서의 저지연 및 낮은 UE 전력 소모, UE 송신 안테나 공간적 동기화(spatial synchronization) 없이 낮은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SNR")에서의 높은 검출 확률, 업링크 협력적 멀티포인트(coordinated multipoint)("CoMP") 공동 수신(joint reception) 시나리오 하에서의 단방향 전파 지연 추정, 고속 UE에 대한 지원, 그리고/또는 동일한 폴링 무선 리소스 내에서 수신된 상이한 프리앰블 간의 셀내(intra-cell) 또는 셀간(inter-cell) 간섭. 몇몇 구현에서, 폴링 포맷은 위에 열거된 인자에 추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하나 이상의 인자에 기반하여 판정될 수 있다.
도 8은 UE(505)에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소형 셀(515)의 클러스터의 일례를 보여준다. 각각의 클러스터는 (가령, 특정한 지리적 구역 내에서) 거의 코로케이팅된, 그리고 때때로 "이상적인 백홀"(ideal backhaul)로 칭해지는 (가령, 2.5 마이크로초보다 적은 단방향 지연을 가지는) 극히 낮은 지연 백홀로써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소형 셀(515)에 대응할 수 있다. 상이한 소형 셀 클러스터의 지리적으로 분리된 배치로 인해, 각각의 소형 셀 클러스터는 특유한 최적의 빔 방향(beam direction)을 가지는 UE 특정적 동기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예컨대, 소형 셀 클러스터 1로부터의 빔의 방향은 소형 셀 클러스터 2로부터의 빔의 방향과 구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동기화 신호를 발신하는 경우, 하나의 클러스터의 소형 셀(515)은 다른 클러스터의 소형 셀(515)과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으니, 동기화 신호가 발신된 공간적 도메인(spatial domain)에 기반하여 UE(505)가 상이한 소형 셀(515)(또는 소형 셀 클러스터)를 구별 지을 수 있기 때문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몇몇 구현에서, 고유한 시퀀스가 특정한 UE 특정적 동기화 신호를 위해 각각의 소형 셀 클러스터에 맵핑될(mapped) 수 있다. 그러므로, UE(505)는 고유한 시퀀스에 기반하여, 코드 도메인(code domain) 내에 기반을 둔 상이한 소형 셀(515)(또는 소형 셀 클러스터)을 구별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특정한 소형 셀(515) 및/또는 소형 셀 클러스터와 연관된 고유한 시퀀스는 UE(505)에 제공되는 보조 정보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9는 FDM의 일례를 보여주는데, 이는 동기화 신호를 UE(505)에 출력하기 위한 시간-주파수 리소스 효율적 기법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 개의 UE(505)("UE1" 내지 "UE4"로 도시됨)는 여러 송신 포인트("TP1" 내지 "TP4"로 도시된 "TP")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TP는 (가령, 소형 셀(515)이 여러 TP를 포함하는 시나리오에서) 특정한 소형 셀(515)의 TP일 수 있거나, 단일 소형 셀(515)에 대응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도 9에 도시된 모든 TP는 도 8 내의 하나의 소형 셀 클러스터로부터의 것일 수 있어서, 모든 TP가 특정한 지리적 구역 내에 위치되고 극히 낮은 지연 백홀로써 서로 연결된다. 동기화 신호는 CoMP 송신 방안, 예를 들어 공동 송신 방안, 협력 빔포밍(coordianted beamforming) 방안 등등을 사용하여 발신될 수 있다. 예컨대, UE1을 위한 동기화 신호가 협력 빔포밍의 방식으로, TP1 및 TP3으로부터 송신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UE 특정적 방식으로 시간-주파수 리소스가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UE1은 주파수 대역의 제1 서브 대역("서브 대역 1"(Sub-band 1)) 상에서 동기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UE2는 제2 서브 대역("서브 대역 2"(Sub-band 2)) 상에서 동기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기타 등등이다. 하나의 소형 셀 클러스터 내의 공간 및 다중사용자 다이버시티(diversity) 차수는 상이한 소형 셀 클러스터 중의 것보다 작다고 기대된다. 그러므로, 상이한 UE 간의 직교 시간-주파수 리소스 할당이 동기화 신호의 신뢰성 있는 검출을 위해 요망될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복합 빔포밍에서, 아날로그 빔포밍 가중치가 전체 주파수 대역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만일 다수의 동기화 신호가 특정한 TP에서 안테나의 하나의 세트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하나의 OFDM 심볼 내의 다수의 UE 특정적 동기화 신호의 FDM이 제한된다. 이 시나리오에서, 동일한 아날로그 빔포밍 가중치를 갖는 동기화 신호만이 동일한 OFDM 심볼 상에서 주파수 다중화될(frequency multiplexed) 수 있다.
여러 UE 특정적 동기화 신호의 융통성 있는(flexible) FDM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소형 셀 클러스터 내의 여러 TP가 협력할 수 있어서, 동일한 OFDM 심볼 상에서 스케줄링되나 상이한 최적의 아날로그 빔포밍 가중치와 연관된 여러 UE 특정적 동기화 신호가 동일한 TP의 안테나의 상이한 세트로부터든 또는 상이한 TP로부터든 송신된다. 예컨대, 상이한 아날로그 빔포밍 가중치와 연관된 UE1 및 UE2의 동기화 신호는, TP1이 UE1에 송신하고 TP2가 UE2에 송신함으로써, 하나의 OFDM 심볼 내에 주파수 다중화된다. UE2 및 UE4의 FDM은, TP2가 안테나의 두 세트, 곧 UE2를 위한 하나의 세트 및 UE4를 위한 다른 세트를 사용함으로써 행해진다. 몇몇 구현에서, UE(505)는 어느 서브 대역이 특정한 UE(505)와 연관되는지에 대해 (가령, 보조 정보 내에서) 미리 시그널링될(signaled)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여러 TP를 통하여, 하나의 OFDM 심볼 내에서 상이한 송신 아날로그 빔포밍 가중치로써 여러 UE(505)에 동기화 신호가 발신될 수 있다.
도 10은 디바이스(1000)의 예시적 컴포넌트의 도해이다. 도 1 및/또는 도 2에 예시된 디바이스 중 일부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10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버스(bus)(1010), 프로세서(processor)(1020), 메모리(memory)(1030), 입력 컴포넌트(input component)(1040), 출력 컴포넌트(output component)(1050) 및 통신 인터페이스(communication interface)(10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디바이스(1000)는 추가적인, 더 적은 수의, 상이한, 또는 상이하게 마련된(arranged)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1010)는 디바이스(1000)의 컴포넌트 간의 통신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0)는 처리 회로(processing circuitry), 예를 들어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또는 처리 로직(processing logic)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30)는 프로세서(1020)에 의한 실행을 위한 정보 및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동적(dynamic) 저장 디바이스, 그리고/또는 프로세서(1020)에 의한 사용을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비휘발성(non-volatile)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컴포넌트(1040)는 운영자가 디바이스(1000)에 정보를 입력하도록 허용하는 메커니즘, 예를 들어 키보드(keyboard), 키패드(keypad), 버튼(button), 스위치(switch)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컴포넌트(1050)는 운영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메커니즘,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display), 스피커(speaker),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LED")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060)는 디바이스(1000)로 하여금 다른 디바이스 및/또는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송수신기류의(transceiver-like)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인터페이스(1060)는 이더넷(Ethernet) 인터페이스, 광학 인터페이스, 동축(coaxial) 인터페이스, 또는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060)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예를 들어 적외선(infrared)(IR) 수신기, 블루투스(Bluetooth®) 무선기기(radio), 와이파이(WiFi) 무선기기, 셀룰러 무선기기, 또는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외부 디바이스, 예를 들어 리모콘(remote control), 무선 키보드(wireless keyboard), 모바일 전화(mobile telephone) 등등에 커플링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00)는 하나보다 많은 통신 인터페이스(10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000)는 광학 인터페이스 및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위에 기술된 어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프로세서(1020)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computer-readable medium), 예를 들어 메모리(1030) 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실행하는 것에 응답하여 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메모리 디바이스로서 정의될 수 있다. 메모리 디바이스는 단일 물리적 메모리 디바이스 내의 또는 여러 물리적 메모리 디바이스에 걸쳐 분산된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명령어는 다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부터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메모리(1030) 내로 판독될 수 있다. 메모리(1030) 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명령어는 프로세서(1020)로 하여금 본 문서에 기술된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고정배선된 회로(hardwired circuitry)가 본 문서에 기술된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명령어 대신에 또는 이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문서에 기술된 구현은 하드웨어 회로 및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특정 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명세서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가 기술되었다. 그러나, 이어지는 청구항 내에 개진된 바와 같은 발명의 더 넓은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에 대해 행해질 수 있음, 그리고 추가적인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은 제한적인 의미가 아니라 예시적인 의미로 간주되어야 한다.
예컨대, 도 6에 관하여 일련의 블록이 기술되었으나, 다른 구현에서 블록의 순서는 수정될 수 있다. 또한, 비의존적인(non-dependent) 블록은 병렬로 수행될 수 있다.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예시적 양상은 도면에 예시된 구현에서 많은 상이한 형태의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음이 분명할 것이다. 이들 양상을 구현하는 데에 사용되는 실제의 소프트웨어 코드 또는 특수화된 제어 하드웨어는 한정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양상의 동작 및 거동은 특정 소프트웨어 코드에 대한 참조 없이 기술되었는데--본 문서 내의 설명에 기반하여 양상을 구현하도록 소프트웨어 및 제어 하드웨어가 설계될 수가 있다고 이해되는 것이다.
또한, 발명의 어떤 부분은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로직"(logic)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 로직은 하드웨어,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 또는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특징의 특정한 조합이 청구항 내에 서술되고/되거나 명세서 내에 개시되더라도, 이 조합은 발명을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사실, 이들 특징 중 많은 특징은 청구항 내에 구체적으로 서술되고/되거나 명세서 내에 개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어떤 요소, 행위 또는 명령어도 중대하거나 필수적인 것으로 명시적으로 기술되지 않는 한 이와 같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and)의 사용의 사례는 그 사례에서 문구 "및/또는"(and/or)이 의도되었다는 해석을 반드시 배제하지는 않는다. 유사하게, 본 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또는"(or)의 사용의 사례는 그 사례에서 문구 "및/또는"이 의도되었다는 해석을 반드시 배제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관사 "한"(a)은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며, 문구 "하나 이상"(one or more)과 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오직 하나의 항목이 의도되는 경우에, 용어 "하나"(one), "단일"(single), "오직"(only) 또는 유사한 말이 사용된다. 또한, 문구 "기반하여"(based on)는 달리 명시적으로 진술되지 않는 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based, at least in part, on)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5)

  1.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서,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에 연결되는 무선 컴포넌트(radio component)와,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어의 세트를 저장하는 메모리 디바이스(memory device)와,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어의 상기 세트를 실행하는 처리 회로(processing circuitry)를 포함하되,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어의 상기 세트를 실행하는 것은 상기 UE로 하여금,
    상기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와 연관된 캐리어 주파수(carrier frequency) 및 하나 이상의 셀 식별자(cell identifier),
    폴링 채널 구성(polling channel configuration), 또는
    폴링 응답 채널 구성(polling response channel configur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 정보(assistance information)를 수신하고,
    상기 보조 정보에 기반하여 폴링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무선 컴포넌트를 통하여 상기 생성된 폴링 신호를 셀 디바이스(cell device)로 출력 - 상기 셀 디바이스는,
    상기 UE에 대한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고,
    폴링 응답 채널을 통하여 상기 동기화 신호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송신 포인트를 판정하되,
    상기 생성하는 것은, 상기 UE에 의해 출력된 상기 폴링 신호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빔포밍 가중치를 판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송신 포인트를 판정하는 것은, 상기 수신된 폴링 신호의 신호 강도, 상기 수신된 폴링 신호가 상기 UE에 의해 송신된 신호 전력, 상기 수신된 폴링 신호의 수신 타이밍 오프셋(receive timing offset), 또는 상기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부하 조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함 - 하고,
    상기 폴링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수신 - 상기 동기화 신호는 상기 무선 컴포넌트를 통하여 상기 판정된 하나 이상의 송신 포인트로부터 수신됨 - 하며,
    상기 수신된 동기화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상기 하나 이상의 셀 중 특정한 셀을 검출하게 하는
    UE.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와 연관된 상기 캐리어 주파수를 포함하되,
    상기 폴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캐리어 주파수에 기반하여 상기 폴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UE.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폴링 채널 구성을 포함하되,
    상기 폴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폴링 채널 구성에 따라 상기 폴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UE.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동기화 신호를 위한 시간-주파수 리소스 할당(time-frequency resource allocation)의 표시(indication)를 더 포함하는
    UE.
  5. 제1항에 있어서,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어의 상기 세트를 실행하는 것은 상기 UE로 하여금,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 상기 무선 액세스 기술을 통하여 상기 보조 정보가 수신되었음 - 에 기반하여, 상기 폴링 신호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판정하게 하는
    UE.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기술 - 상기 무선 액세스 기술을 통하여 상기 보조 정보가 수신되었음 - 에 기반하여 판정된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는,
    상기 폴링 신호와 연관된 보호 시간 지속기(guard time duration), 또는
    상기 폴링 신호와 연관된 순환 전치 지속기(cyclic prefix dur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E.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정보는 공간 정보(spatial information)를 포함하되, 상기 폴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공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폴링 신호를 빔포밍하는 것(beamforming)을 포함하는
    UE.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링 신호의 송신 타이밍(transmit timing)은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타이밍에 기반하여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를 적용함으로써 판정되고, 상기 타이밍 어드밴스는 상기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값에 기반하여 판정되는
    UE.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동기화 신호와 연관된 송신 빔포밍 가중치의 세트는 상기 폴링 신호와 연관된 수신 빔포밍 가중치의 세트에 기반하는
    UE.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링 채널 구성은,
    선택된 폴링 채널 포맷(polling channel format),
    시간-주파수 리소스 할당,
    초기 송신 전력, 또는
    송신 전력 제어(transmit power control)를 위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전력 제어를 위한 파라미터는
    초기 송신 전력,
    전력 램핑(power ramping)의 양,
    구성된 최대 출력 전력을 설정하는 데 관련된 파라미터, 또는
    상기 구성된 최대 출력 전력으로 송신하기 전의 송신의 요구되는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E.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하는 것은 또한 UE로 하여금,
    복수의 상이한 안테나 패턴을 사용하여 다수의 폴링 시퀀스를 순차적으로 송신하게 하되, 제1 폴링 시퀀스는 보호 시간만큼 제2 폴링 시퀀스로부터 분리된
    UE.
  12.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셀 디바이스(cell device)로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와 통신하는 무선 컴포넌트와,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어의 세트를 저장하는 메모리 디바이스와,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어의 상기 세트를 실행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하되,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어의 상기 세트를 실행하는 것은 상기 셀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와 연관된 캐리어 주파수,
    폴링 채널 구성, 또는
    폴링 응답 채널 구성(polling response channel configur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 정보를 상기 UE에 출력하고,
    상기 보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UE에 의해 생성된 폴링 신호를 상기 UE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UE를 위한 동기화 신호를 생성 - 상기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수신된 폴링 신호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빔포밍 가중치를 판정하는 것을 포함함 - 하고,
    하나 이상의 송신 포인트 - 상기 하나 이상의 송신 포인트로부터 폴링 응답 채널을 통하여 상기 동기화 신호가 출력됨 - 를 판정하며,
    상기 폴링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UE에, 상기 판정된 하나 이상의 송신 포인트를 거쳐, 상기 폴링 응답 채널을 통하여 상기 생성된 동기화 신호를 출력 - 상기 폴링 응답 채널은 상기 폴링 응답 채널 구성에 대응함 - 하게 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송신 포인트를 판정하는 것은
    상기 수신된 폴링 신호의 신호 세기(signal strength),
    상기 수신된 폴링 신호가 상기 UE에 의해 송신된 신호 전력,
    상기 수신된 폴링 신호의 수신 타이밍 오프셋(receive timing offset), 또는
    상기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부하 조건(load condition)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는
    셀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셀 디바이스는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기지국 네트워크가 동작하는 주파수 대역보다 더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고,
    상기 셀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LTE 기지국과 동기화되는
    셀 디바이스.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와 연관된 상기 캐리어 주파수를 포함하되,
    상기 폴링 신호는 상기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와 연관된 상기 캐리어 주파수에서 수신되는
    셀 디바이스.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셀 디바이스의 셀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UE.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셀 디바이스의 셀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셀 디바이스.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빔포밍 가중치는
    상기 수신된 폴링 신호에 연관된 빔포밍 가중치, 또는
    빔포밍 가중치의 세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판정되는
    셀 디바이스.
  18.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부터 폴링 신호를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복수의 송신 포인트로부터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복수의 UE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1 송신 포인트로부터의, 제1 UE를 위한 제1 동기화 신호는, 빔포밍 가중치의 제1 세트와 연관되고,
    제2 송신 포인트로부터의, 상기 제1 UE를 위한 제2 동기화 신호는, 빔포밍 가중치의 상기 제1 세트와 상이한 빔포밍 가중치의 제2 세트와 연관되며,
    상기 제1 UE를 위한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및 상기 제2 동기화 신호는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 상에서 송신되고,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주파수 도메인(frequency domain) 상에서 상이한 아날로그 빔포밍 가중치와 연관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다중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UE를 위한 동기화 신호는, 아날로그 빔포밍 가중치의 제1 세트와 연관되어, 제1 주파수 서브-도메인(sub-domain) 상에서 특정한 송신 포인트로부터 출력되고,
    제2 UE를 위한 동기화 신호는, 아날로그 빔포밍 가중치의 제2 세트와 연관되어, 제2 주파수 서브-도메인 상에서 다른 송신 포인트로부터 출력되되, 상기 제1 주파수 서브-도메인 및 상기 제2 주파수 서브-도메인은 상이한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포인트는 롱텀 에볼루션(Long-Term Evolution) 기지국이 동작하는 주파수 대역보다 더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및 상기 제2 동기화 신호는 각각 상기 제1 송신 포인트 및 상기 제2 송신 포인트에 의해 동시에 출력되는
    방법.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177001787A 2014-08-11 2015-06-17 고주파 대역 무선 액세스 기술 아키텍처에서의 시스템 검출 KR1018331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35807P 2014-08-11 2014-08-11
US62/035,807 2014-08-11
US14/671,840 2015-03-27
US14/671,840 US9871568B2 (en) 2014-08-11 2015-03-27 System detection in a high frequency band radio access technology architecture
PCT/US2015/036251 WO2016025075A1 (en) 2014-08-11 2015-06-17 System detection in a high frequency band radio access technology archite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463A KR20170019463A (ko) 2017-02-21
KR101833186B1 true KR101833186B1 (ko) 2018-02-27

Family

ID=55268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1787A KR101833186B1 (ko) 2014-08-11 2015-06-17 고주파 대역 무선 액세스 기술 아키텍처에서의 시스템 검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71568B2 (ko)
EP (1) EP3180946B1 (ko)
JP (1) JP6490796B2 (ko)
KR (1) KR101833186B1 (ko)
CN (1) CN106489286B (ko)
TW (1) TWI565343B (ko)
WO (1) WO20160250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00383B1 (en) * 2014-10-27 2020-03-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Reliable signa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0340988B2 (en) * 2015-08-06 2019-07-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channel information, and device therefor
WO2017052687A1 (en) * 2015-09-24 2017-03-30 Intel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cellular synchronization references
WO2017155238A1 (ko) * 2016-03-11 2017-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정보 신호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시스템 정보 신호 전송 방법 및 기지국
US10021597B2 (en) * 2016-04-04 2018-07-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low control in multi-RAT 5G wireless networks
CN107634924B (zh) * 2016-07-18 2020-08-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同步信号的发送、接收方法及装置、传输系统
US10057743B2 (en) * 2016-08-17 2018-08-21 Mobilitie, Llc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small cell operation
WO2018056149A1 (ja) * 2016-09-23 2018-03-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位置推定用システム及び位置推定方法
CN107888237B (zh) * 2016-09-30 2022-06-2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初始接入和随机接入的方法、基站设备及用户设备
US11102777B2 (en) 2017-11-10 2021-08-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iming advance offset for uplink-downlink switching in new radio
EP3711387A1 (en) * 2017-11-17 2020-09-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ignaling ta-offset in nr
US10965654B2 (en) 2017-11-28 2021-03-30 Viavi Solutions Inc. Cross-interface correlation of traffic
US10560206B2 (en) * 2017-12-12 2020-02-11 Viavi Solutions Inc. Processing a beamformed radio frequency (RF) signal
US10979326B2 (en) 2018-05-11 2021-04-13 Viavi Solutions Inc. Detecting interference of a beam
US10924164B2 (en) 2018-05-29 2021-02-16 Skyworks Solutions, Inc.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ems with power control based on antenna pattern configuration
US10631263B2 (en) 2018-09-14 2020-04-21 Viavi Solutions Inc. Geolocating a user equipment
CN109347699A (zh) * 2018-10-26 2019-02-15 武汉虹旭信息技术有限责任公司 基于openwrt路由器的无线终端采集系统及其方法
TWI680653B (zh) * 2018-11-29 2019-12-21 中磊電子股份有限公司 多基地台協調系統及其通道校正方法
US11057782B2 (en) 2018-12-18 2021-07-06 Sercomm Corporation Multi-cell coordination system and channel calibration method thereof
US11463980B2 (en) 2019-02-22 2022-10-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es using sensing system in cooperation with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910421B2 (en) * 2019-04-25 2024-02-20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Steering data among serving cells in carrier aggregation
CN110267356B (zh) * 2019-05-16 2021-03-30 北京邮电大学 一种基于5g网络的数字电影发行放映系统
CN113660708B (zh) * 2021-10-19 2022-02-08 荣耀终端有限公司 网络搜索方法和电子设备
US11632271B1 (en) 2022-02-24 2023-04-18 T-Mobile Usa, Inc. Location-based channel esti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230292175A1 (en) * 2022-03-14 2023-09-14 Casa Systems, Inc. Systems, apparatus, articles of manufacture, and methods for processing wireless data using baseband gateway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16488A1 (en) 2012-07-12 2014-01-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in broadcasting carrier information
US20140038598A1 (en) 2012-07-31 2014-02-0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mall cell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es using the same
WO2014109478A1 (ko) 2013-01-14 2014-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탐색 신호에 기반한 소규모 셀 검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3333B2 (en) * 2003-10-16 2006-01-31 Flari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of improving inter-sector and/or inter-cell handoffs in a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EP1530316A1 (en) * 2003-11-10 2005-05-11 Go Networks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 wireless packet data communication system
CN1852609B (zh) * 2006-01-09 2010-04-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物理随机接入信道接入资源分配方法
MY163396A (en) * 2006-03-24 2017-09-15 Interdigital Tech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uplink synchronization and reducing battery power consumption
US7825856B2 (en) * 2007-08-21 2010-11-02 Cisco Technology, Inc. Low complexity blind beamforming weight estimation
US8660062B2 (en) * 2008-02-01 2014-02-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quality of service-based uplink polling schemes
TWI369099B (en) * 2008-05-08 2012-07-21 Inst Information Industry Relay station, access point, transmission method, and tangible machine-readable medium thereof for use in a wireless mesh network
US7907557B2 (en) * 2008-06-13 2011-03-15 Conexant Systems, Inc. Low power receiving
US8644273B2 (en) * 2009-07-01 2014-02-04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optimization of femtocell network management
EP2536232A4 (en) * 2010-02-12 2016-11-23 Mitsubishi Electric Corp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357565B2 (en) * 2010-03-09 2016-05-31 Qualcomm Incorporated Multi-user uplink communication using EDCA with polling
CN102215557B (zh) * 2010-04-02 2014-04-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长期演进下行系统的小区间干扰协调方法及装置
JP5404919B2 (ja) * 2010-04-02 2014-02-05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
US8862169B2 (en) 2010-12-21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Beacon transmission for a set of femtocells
US8965443B2 (en) * 2011-07-28 2015-02-24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access and uplink power control for a wireless system having multiple transmit points
JP5902817B2 (ja) * 2011-09-30 2016-04-13 京セラ株式会社 小セルの上りリンクの干渉を緩和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CN102655655B (zh) * 2012-04-29 2014-10-22 黄林果 一种无线mesh网络的链路质量测量方法
EP2915382B1 (en) * 2012-11-02 2017-05-3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Power control methods and procedure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9468022B2 (en) * 2012-12-26 2016-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in communication system with large number of antennas
KR102008467B1 (ko) * 2012-12-27 2019-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 기반 무선 통신시스템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JP5809660B2 (ja) * 2013-01-09 2015-11-11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20150319754A1 (en) * 2013-01-16 2015-11-05 Hitachi, Lt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50023191A1 (en) * 2013-07-18 2015-01-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ell and mobile terminal discoverly method
US9332465B2 (en) * 2013-10-15 2016-05-03 Qualcomm Incorporated Long term evolution interference management in unlicensed bands for wi-fi operation
KR20160083868A (ko) * 2013-11-07 2016-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에서 멀티 유저 상향링크 수신 방법 및 장치
US9698944B2 (en) * 2013-12-04 2017-07-0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s for communicating simultaneously on multiple frequencies
US20150311923A1 (en) * 2014-04-25 2015-10-2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differentiating between signals of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US10813068B2 (en) * 2014-05-08 2020-10-20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synchronization source selection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9451536B2 (en) * 2014-06-18 2016-09-20 Qualcomm Incorporated UE initiated discovery in assisted millimeter wavelength wireless access networks
BR112017003647A2 (pt) * 2014-10-01 2017-12-05 Intel Ip Corp comunicação móvel em redes de pequena célula assistidas por macrocélul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16488A1 (en) 2012-07-12 2014-01-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in broadcasting carrier information
US20140038598A1 (en) 2012-07-31 2014-02-0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mall cell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es using the same
WO2014109478A1 (ko) 2013-01-14 2014-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탐색 신호에 기반한 소규모 셀 검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71568B2 (en) 2018-01-16
US20160044584A1 (en) 2016-02-11
CN106489286B (zh) 2019-12-20
JP6490796B2 (ja) 2019-03-27
WO2016025075A1 (en) 2016-02-18
CN106489286A (zh) 2017-03-08
JP2017530595A (ja) 2017-10-12
TWI565343B (zh) 2017-01-01
EP3180946A4 (en) 2018-05-02
EP3180946A1 (en) 2017-06-21
TW201613391A (en) 2016-04-01
EP3180946B1 (en) 2022-02-16
KR20170019463A (ko) 201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3186B1 (ko) 고주파 대역 무선 액세스 기술 아키텍처에서의 시스템 검출
CN109964419B (zh) Iab无线网络的初始接入和无线电资源管理
CA3014029C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pping dmrs configuration to phase noise tracking pilot for improved receiver performance
JP7102148B2 (ja) 端末、プリアンブル送信方法、基地局、及び通信システム
KR102272681B1 (ko) 경로 손실 추정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KR101761086B1 (ko) 지향성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접속 포인트 발견 및 연관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88390B1 (ko) 빔을 복원하기 위한 프로세싱 방법 및 장치
US10893544B2 (en) Beam refinement in two-step random access channel (RACH) procedure
KR20190119582A (ko) 업링크 빔 관리
TW202005433A (zh) 用於干擾管理的增強型rrm/csi 量測
KR102477166B1 (ko)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디바이스 간 포지셔닝을 위한 동기화
WO2019113766A1 (zh)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KR20170039664A (ko) Mm-파 액세스 시스템들에서의 경합-기반 랜덤 액세스를 위한 비대칭 능력들의 이용 방법들
EP2666330A1 (en) Providing mobile-guided downlink interference management
JP2022543974A (ja) データを伝送するための方法及び端末装置
CN106464396A (zh) 设备到设备同步源选择
KR20210028179A (ko) 조정된 멀티포인트 통신을 위한 사운딩 참조 신호 및 채널 상태 참조 신호 강화
US10218489B2 (en) Wireless backhaul configuration
US91674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ow size selection to optimize inter rat handover
JP7187314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CN116783840A (zh) 对多trp场景中波束组报告的增强
CN113473491B (zh)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及其中的方法
KR20240016266A (ko) 빔 호핑을 이용한 무선 디바이스들에서의 다이버시티 개선
CN111133787A (zh)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WO2023159167A1 (en) User equipment mobility with specific uplink bandwidth p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