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963B1 - 전자 기기 및 그것의 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및 그것의 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963B1
KR101832963B1 KR1020120003551A KR20120003551A KR101832963B1 KR 101832963 B1 KR101832963 B1 KR 101832963B1 KR 1020120003551 A KR1020120003551 A KR 1020120003551A KR 20120003551 A KR20120003551 A KR 20120003551A KR 101832963 B1 KR101832963 B1 KR 101832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ing rate
audio
stream
media content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2366A (ko
Inventor
정법기
최원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3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963B1/ko
Priority to US13/685,395 priority patent/US8737819B2/en
Publication of KR20130082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5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field- or frame-skip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전자 기기 및 그것의 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부; 및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속도에 대한 조절 명령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재생부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오디오 스트림(audio stream)을 파싱(parsing)하여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를 검출하는 오디오 파서(audio parser);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검출된 샘플링 레이트에 대응하는 역 샘플링 레이트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역 샘플링 레이트에 근거하여 상기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audio decoder)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및 그것의 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DIA CONTENTS REPRODUC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전자 기기 및 그것의 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는, TV, PC, 노트북 컴퓨터, 휴대형 단말기 등과 같이, 여러 전자 소자를 구비하여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 입력, 출력 및 저장 기능 등을 두루 갖춘 기기이다.
이와 같은 전자 기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전자 기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전자 기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개량에 힘입어, 전자 기기에서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시에 재생 속도를 제어하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방식을 이용하여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기능 블록에 대한 복잡한 제어가 요구되고, 원치않는 잡음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전자 기기 및 그것의 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부; 및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속도에 대한 조절 명령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재생부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오디오 스트림(audio stream)을 파싱(parsing)하여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를 검출하는 오디오 파서(audio parser);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검출된 샘플링 레이트에 대응하는 역 샘플링 레이트(inverse sampling rate)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역 샘플링 레이트에 근거하여 상기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audio decoder)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비디오 스트림(video stream)을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 및 상기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을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스트림에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모듈(synchronization modul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에 대응하는 비디오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디오 영상이 확대 또는 축소되는 경우, 상기 조절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디코더는, 상기 비디오 영상이 확대되는 경우, 상기 검출된 샘플링 레이트에 대응하는 역 샘플링 레이트를 감소시키고, 상기 비디오 영상이 축소되는 경우, 상기 검출된 샘플링 레이트에 대응하는 역 샘플링 레이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비디오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시에, 재생 속도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상기 오디오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스트림을 버퍼링(buffering)하여 상기 동기화 모듈에 전달하는 오디오 버퍼; 및 상기 비디오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을 버퍼링하여 상기 동기화 모듈에 전달하는 비디오 버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스트림의 버퍼링 타이밍에 따라 상기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의 버퍼링 타이밍이 제어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상기 동기화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스트림을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 Digital to Analog Conver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변경된 역 샘플링 레이트에 대응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하여 상기 오디오 스트림 및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출력하는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은,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시에,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오디오 스트림을 파싱하여 샘플링 레이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속도에 대한 조절 명령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검출된 샘플링 레이트에 대응하는 역 샘플링 레이트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역 샘플링 레이트에 근거하여 상기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은,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을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스트림에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은, 상기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에 대응하는 비디오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영상이 확대 또는 축소되는 경우, 상기 조절 명령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역 샘플링 레이트를 변경하는 단계에서, 상기 비디오 영상이 확대되는 경우, 상기 역 샘플링 레이트가 감소하고, 상기 비디오 영상이 축소되는 경우, 상기 역 샘플링 레이트가 증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은,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스트림 및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스트림을 각각 버퍼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의 버퍼링 타이밍은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스트림의 버퍼링 타이밍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은,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스트림을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변경된 역 샘플링 레이트에 대응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은,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디멀티플렉싱하여 상기 오디오 스트림 및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에 의하면, 오디오 스트림의 디코딩 동작시 샘플링 레이트에 대응하는 역 샘플링 레이트를 변경함으로써,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역 샘플링 레이트의 변경은 비교적 간단한 작업에 의해 처리되고, 버퍼링 동작 및 동기화 동작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으므로,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플랫폼(platform)을 구현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과 노력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에 의하면,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도중 재생 속도가 제어되더라도 오디오 스트림에 대한 버퍼링 제어가 수반되지 않으므로 버퍼링 제어로 인한 주기적인 잡음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결국,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품질이 유지된 상태로 재생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기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기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생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제어 방법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샘플링 레이트 및 역 샘플링 레이트를 비교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제어 방법을 적용한 전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해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 기기에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터(navigato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전자 기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기기(100)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감지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전자 기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전자 기기(100)의 구성요소들(110~190)에 대해 차례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 기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전자 기기(100)와 전자 기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기,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문자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전자 기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전자 기기(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것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카메라(121)에 의해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선택 모드 등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통화 모드에서 마이크(122)에 의해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가 입력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전자 기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 및 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140)는 사용자 접촉 유무, 전자 기기(100)의 개폐 상태, 위치, 방위, 가속, 감속 등과 같은 전자 기기(10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전자 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감지부(140)는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감지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와 디스플레이부(151)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스크린’으로 호칭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것에 대응하는 신호들은 터치 제어기(미도시됨)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터치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처리된 신호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감지 대상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감지 대상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근접 센서(141)로 분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는 감지 대상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감지 대상이 터치 스크린상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터치 스크린 상에 감지 대상이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의 유무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이러한 근접 터치 유무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에 출력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킨다.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 기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가 통화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전자 기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촬영된 영상, 수신된 영상, UI 또는 GUI 등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또는 디스플레이 소자)는 그것을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할 수 있는데, 이러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본체에서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본체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 기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위치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위치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선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전자 기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전자 기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전자 기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성 출력 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진동의 세기,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전자 기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터치 스크린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전자 기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 기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전자 기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에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전자 기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라고 칭함)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전자 기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전원은, 상기 전자 기기(100)가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전자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상에서의 필기 입력 및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선택하는 패턴 선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들(processors), 제어기들(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들(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전자 기기(1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전자 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촉각을 이용하여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각 정보는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3차원 입체영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고 호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과 입력창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출력창과 입력창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에는 전화 번호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가 출력될 수 있다. 소프트키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가 출력창에 표시된다. 조작 유닛이 조작되면 출력창에 표시된 전화 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되거나 출력창에 표시된 텍스트가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롤(scroll)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 및 터치 패드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전자 기기(100)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100)의 본체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실행되는 전자 기기(100)의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일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기기(100)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에서는 전자 기기(100)의 전면 및 일 측면이 도시되고, 도 2b에서는 전자 기기(100)의 후면 및 타 측면이 도시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본체를 구비한다. 다만, 전자 기기(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본체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위치할 수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본체,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 도 1 참조),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된 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 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위치하고, 타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 1 사용자 입력부(131) 및 마이크(122)가 위치한다. 제 2 사용자 입력부(132) 및 인터페이스(170)는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전자 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조작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또는 제 2 조작 유닛들(131, 132)은 다양한 명령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 2 조작 유닛(132)은 음향 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선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의 후면, 즉, 리어 케이스(102)에는 후면 카메라(121´)가 추가 장착될 수 있다. 후면 카메라(121´)는 전면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갖고, 전면 카메라(121)와 다른 화소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121)는 저 화소를 갖도록 구성되고, 후면 카메라(121´)는 고 화소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 통화 시에 전면 카메라(121)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상대방에 전송하는 경우 전송 데이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반면, 후면 카메라(121´)는 고 화질의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들(121, 121´)은 회전 또는 팝업(pop-up) 되도록 단말기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 및 거울(124) 후면 카메라(121´)에 인접하는 곳에 추가 위치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사용자가 후면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낸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후면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는 경우, 사용자의 얼굴을 비춘다.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후면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 위치할 수 있다. 후면 음향 출력부(152´)는 전면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화 시에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는 통화를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 위치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구성하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본체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에는 전자 기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본체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 도 2a 참조)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드(135)에도 시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후면 디스플레이부가 추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전면 디스플레이부(151) 및 후면 디스플레이부 양면에서 출력되는 정보는 터치 패드(13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전자 기기(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생부(200)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100)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앞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는 재생부(reproducing unit, 200)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재생부(200)는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 210), 오디오 파서(audio parser, 212a), 비디오 파서(video parser, 212b), 오디오 디코더(audio decoder, 214a),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 214b), 오디오 버퍼(audio buffer, 216a), 비디오 버퍼(video buffer, 216b), 동기화 모듈(synchronization module, 218) 및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 Digital-Analog Converter, 220)를 포함한다.
재생부(200)는 통신 서버에 의해 제공되거나 메모리(160, 도 1 참조)에 저장된 미디어 콘텐츠(CONT)를 재생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CONT)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또는 디지털 콘텐츠라고도 칭할 수 있으며,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 처리, 유통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미디어 콘텐츠(CONT)는 오디오 스트림(audio stream) 및 비디오 스트림(video stream)이 혼합된 데이터 비트 스트림(data bit stream)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 스트림 및 비디오 스트림은 다양한 포맷(format)으로 인코딩(encoding) 및 디코딩(decoding)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스트림은 MP3, AAC, OGG 등의 포맷으로 인코딩 및 디코딩될 수 있다. 그리고, 비디오 스트림은 MP4, AVI, ASF, MPG, MOV 등의 포맷으로 인코딩 및 디코딩될 수 있다.
디멀티플렉서(210)는 재생부(200)에 입력된 미디어 콘텐츠(CONT)를 디멀티플렉싱하여 오디오 스트림 및 비디오 스트림을 분리하고, 각각의 스트림을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파서(212a) 및 비디오 파서(212b)는 각각 오디오 스트림 및 비디오 스트림을 파싱(parsing)한다. 이러한 파싱에 의해, 오디오 스트림 및 비디오 스트림에서 메타 데이터 및 재생 데이터가 구분되고, 메타 데이터로부터 각각의 스트림의 속성 정보, 동기 정보 등이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파서(212a)는 오디오 스트림을 파싱하여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를 검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샘플링 레이트는 샘플링 주파수라고도 칭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 초당 몇 번의 샘플링이 수행되는가를 나타내는 수치를 말한다.
오디오 디코더(214a) 및 비디오 디코더(214b)는 각각 오디오 스트림 및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한다. 이때, 오디오 스트림 및 비디오 스트림 각각의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오디오 디코더(214a)는 제어 신호(CTRL)에 따라 오디오 스트림의 검출된 샘플링 레이트에 대응하는 역 샘플링 레이트(inverse sampling rate)를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미디어 콘텐츠(CONT)의 재생 속도에 대한 조절 명령을 인식하고, 이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CTRL)를 생성할 수 있다. 조절 명령의 인식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역 샘플링(inverse sampling)은 인코딩 측면에서의 샘플링과 반대되는 동작으로 디코딩 측면에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샘플들을 읽어내는 동작을 말하고, 역 샘플링 레이트는 초당 몇 번의 역 샘플링이 수행되는가를 나타내는 수치를 말한다.
오디오 디코더(214a)는 오디오 스트림의 변경된 역 샘플링 레이트에 근거하여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디오 스트림의 디코딩을 위해 참조되는 역 샘플링 레이트가 변경됨은, 오디오 스트림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샘플들의 간격이 타임 도메인(time domain)에서 변경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역 샘플링 레이트의 변경에 의해 오디오 스트림의 재생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이는, 이하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오디오 버퍼(216a)는 오디오 디코더(214a)로부터 출력되는 디코딩된 오디오 스트림을 버퍼링(buffering)하여 동기화 모듈(218)에 전달하고, 비디오 버퍼(216b)는 비디오 디코더(214b)로부터 출력되는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을 버퍼링하여 동기화 모듈(218)에 전달한다. 이때, 디코딩된 오디오 스트림의 버퍼링 타이밍에 따라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의 버퍼링 타이밍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디코딩된 오디오 스트림의 버퍼링 사이즈(size)에 따라 비디오 스트림의 버퍼링 사이즈가 제어될 수 있다.
동기화 모듈(218)은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된 오디오 스트림에 동기화시킨다. 동기화 모듈(218)은 각각의 스트림의 파싱을 통해 얻어진 동기 정보를 이용하여 동기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스트림의 재생 속도가 제어되는 경우,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 속도도 제어될 수 있다. 요약건대,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시에, 오디오 스트림의 역 샘플링 레이트가 변경되고, 오디오 스트림과 비디오 스트림의 동기화가 수행되면,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속도가 변경될 수 있다.
동기화 모듈(218)은 제어부(180)의 제어에 응답하여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과 디코딩된 오디오 스트림의 동기를 맞출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의 제어는 사용자 입력에 따를 수 있다. 다시 말해, 각각의 스트림의 동기화는 미리 정해진 동기화 알고리즘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되거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동기화 모듈(218)은 동기화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하, ‘동기화 정보’라고 칭함)를 제어부(18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동기화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220)는 동기화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디코딩된 오디오 스트림을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음향 출력 모듈(152), 예를 들어, 스피커에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동기화 모듈(218)로부터 출력되는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에 대응하는 비디오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 재생 상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디코딩된 오디오 스트림으로부터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오디오 스트림의 디코딩 동작시 샘플링 레이트에 대응하는 역 샘플링 레이트를 변경함으로써,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역 샘플링 레이트의 변경은 비교적 간단한 작업에 의해 처리되고, 버퍼링 동작 및 동기화 동작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으므로,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플랫폼(platform)을 구현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과 노력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도중 재생 속도가 제어되더라도 오디오 스트림에 대한 버퍼링 제어가 수반되지 않으므로 버퍼링 제어로 인한 주기적인 잡음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결국,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품질이 유지된 상태로 재생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시에, 미디어 콘텐츠를 디멀티플렉싱하여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출력하는 단계(S110)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오디오 스트림을 파싱하여 샘플링 레이트를 검출하는 단계(S120)가 수행된다.
이후,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속도에 대한 조절 명령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30) 및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오디오 스트림의 검출된 샘플링 레이트에 대응하는 역 샘플링 레이트를 변경하는 단계(S140)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오디오 스트림의 변경된 역 샘플링 레이트에 근거하여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단계(S150)가 수행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 단위의 디코딩된 오디오 스트림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시간, 즉, 오디오 재생 속도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비디오 스트림이 출력되는 경우(S110),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단계(S160)가 수행된다. 이를 위해, 오디오 스트림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비디오 스트림에 대한 파싱이 우선 수행될 수 있다.
오디오 스트림 및 비디오 스트림이 디코딩된 경우(S150, S160),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된 오디오 스트림에 동기화하는 단계(S170)가 수행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 단위의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에 대응하는 비디오 영상이 출력되는 시간, 즉, 비디오 재생 속도가 오디오 재생 속도에 동기화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제어 방법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샘플링 레이트 및 역 샘플링 레이트를 비교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오디오 신호에 대한 샘플링이 수행됨에 따라 일정 주기(T, 이하, ‘기준 주기’라고 칭함)에서 복수의 샘플들(S1~S10)이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샘플들(S1~S10)에 대한 양자화(quantization) 및 무손실 압축(noiseless coding) 과정이 수행됨에 따라 인코딩된 오디오 스트림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때, 인코딩된 오디오 스트림에는 기준 주기(T) 및 주파수에 대응하는 샘플링 레이트가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오디오 스트림에 대응하는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검출된 샘플링 레이트에 대응하는 역 샘플링 레이트가 변경되고, 인코딩된 오디오 스트림이 변경된 역 샘플링 레이트에 근거하여 디코딩될 수 있다. 그 결과, 디지털 형태의 오디오 스트림을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샘플들(S1'~S10' 또는 S1"~S2")의 주기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스트림이 증가한 역 샘플링 레이트에 근거하여 디코딩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임 도메인에서 복원된 샘플들(S1'~S10')의 간격이 감소한다. 이는, 오디오 스트림으로부터 변환된 오디오 신호가 기준 주기(T)보다 줄어든 주기(T')를 가질 뿐만 아니라 오디오 스트림의 재생 속도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반면, 오디오 스트림이 감소한 역 샘플링 레이트에 근거하여 디코딩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임 도메인에서 복원된 샘플들(S1"~S10")의 간격이 증가한다. 이는, 오디오 스트림으로부터 변환된 오디오 신호가 기준 주기(T)보다 늘어난 주기(T")를 가질 뿐만 아니라 오디오 스트림의 재생 속도가 감소함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디오 스트림의 디코딩 동작시 변경된 역 샘플링 레이트는 오디오 스트림으로부터 변환된 오디오 신호의 주기 및 주파수, 즉, 오디오 스트림의 재생 속도에 대응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의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우선,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시에,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에 대응하는 비디오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S210)가 수행된다.
이후, 비디오 영상이 확대 또는 축소되는지 아니면 그렇지 않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20)가 수행된다. 여기서, 비디오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51, 도 3 참조)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영상은, 멀티 터치 입력으로 핀치-인 제스처(pinch-in gesture) 입력 또는 핀치-아웃 제스처(pinch-out gesture) 입력에 응답하여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핀치-인 제스처는 두 손가락을 화면에 대고 벌리는 제스처를 의미하고, 핀치-아웃 제스처는 핀치-인 제스처와 반대되는 제스처로서 두 손가락을 화면에 대고 좁히는 제스처를 의미한다.
또한, 비디오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확대 또는 축소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 버튼은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되는 소프트웨어 키 버튼일 수도 있고, 단말기 본체에 배치되는 하드웨어 키 버튼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비디오 영상이 확대 또는 축소되는 경우,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속도에 대한 조절 명령을 인식하는 단계(S230)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비디오 영상이 확대되는 경우,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조절 명령이 인식되고, 반면, 비디오 영상이 축소되는 경우,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조절 명령이 인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절 명령이 인식됨에 따라 제어 신호가 생성되고, 이에 근거하여 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오디오 스트림의 역 샘플링 레이트가 변경될 수 있다. 이는,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시에, 비디오 영상의 확대 또는 축소에 따라 오디오 스트림의 역 샘플링 레이트가 변경되고, 그 결과,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속도가 제어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제어 방법을 적용한 전자 기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시에, 디스플레이부(151)는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에 대응하는 비디오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1)는 재생 속도, 재생 시간 등과 같은 재생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되는 멀티 터치 입력으로, 핀치-인 제스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 도 3참조)는 비디오 영상을 확대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비디오 영상이 확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조절 명령을 인식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디코더(214a, 도 3 참조)는 제어 신호에 따라 오디오 스트림의 역 샘플링 레이트를 감소시키며, 오디오 스트림의 감소한 역 샘플링 레이트에 근거하여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할 수 있다.
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되는 멀티 터치 입력으로, 핀치-아웃 제스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비디오 영상을 축소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비디오 영상이 축소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조절 명령을 인식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디코더(214a)는 제어 신호에 따라 오디오 스트림의 역 샘플링 레이트를 증가시키며, 오디오 스트림의 증가한 역 샘플링 레이트에 근거하여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비디오 영상의 확대 또는 축소 시에, 재생 상태 정보로서, 오디오 스트림의 역 샘플링 레이트 변경에 따라 갱신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8)

  1.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부;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속도에 대한 조절 명령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비디오 스트림에 대응되는 비디오 영상의 표시가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부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오디오 스트림(audio stream)을 파싱(parsing)하여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를 검출하는 오디오 파서(audio parser);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검출된 샘플링 레이트에 대응하는 역 샘플링 레이트(inverse sampling rate)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역 샘플링 레이트에 근거하여 상기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audio decoder);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비디오 스트림(video stream)을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 및
    상기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을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스트림에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모듈(synchronization module)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에 대응하는 비디오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비디오 영상이 확대 또는 축소되는 경우, 상기 조절 명령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디코더는,
    상기 비디오 영상이 확대되는 경우, 상기 검출된 샘플링 레이트에 대응하는 역 샘플링 레이트를 감소시키고,
    상기 비디오 영상이 축소되는 경우, 상기 검출된 샘플링 레이트에 대응하는 역 샘플링 레이트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비디오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시에, 재생 속도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상기 오디오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스트림을 버퍼링(buffering)하여 상기 동기화 모듈에 전달하는 오디오 버퍼; 및
    상기 비디오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을 버퍼링하여 상기 동기화 모듈에 전달하는 비디오 버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스트림의 버퍼링 타이밍에 따라 상기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의 버퍼링 타이밍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상기 동기화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스트림을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 Digital to Analog Convert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변경된 역 샘플링 레이트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하여 상기 오디오 스트림 및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출력하는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 오디오 스트림 및 비디오 스트림을 포함하는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시,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오디오 스트림을 파싱하여 샘플링 레이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속도에 대한 조절 명령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검출된 샘플링 레이트에 대응하는 역 샘플링 레이트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역 샘플링 레이트에 근거하여 상기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단계 ;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을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스트림에 동기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에 대응하는 비디오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비디오 영상이 확대 또는 축소되는 경우, 상기 조절 명령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20003551A 2012-01-11 2012-01-11 전자 기기 및 그것의 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 KR101832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551A KR101832963B1 (ko) 2012-01-11 2012-01-11 전자 기기 및 그것의 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
US13/685,395 US8737819B2 (en) 2012-01-11 2012-11-26 Electronic device and media contents reproduc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551A KR101832963B1 (ko) 2012-01-11 2012-01-11 전자 기기 및 그것의 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366A KR20130082366A (ko) 2013-07-19
KR101832963B1 true KR101832963B1 (ko) 2018-02-28

Family

ID=48743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551A KR101832963B1 (ko) 2012-01-11 2012-01-11 전자 기기 및 그것의 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37819B2 (ko)
KR (1) KR1018329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3865A1 (ko) * 2021-08-05 2023-02-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멀티미디어 재생 방법
US11843818B2 (en) 2021-08-05 2023-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ultimedia playback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5140A (ko) * 2014-03-07 2015-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컨텐츠 확대 표시 방법
WO2016066123A1 (en) * 2014-10-29 2016-05-06 Mediatek Inc. Audio sample rate control method applied to audio front-end and related non-transitory machine readable medium
US10261582B2 (en) * 2015-04-28 2019-04-16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playback adjustment system
CN107239253B (zh) * 2016-03-29 2020-05-12 扬智科技股份有限公司 同步播放速度的无线局域网播放器、系统及其方法
KR102660576B1 (ko) * 2020-02-13 2024-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8136A (en) 1996-06-06 2000-11-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apparatus, reproducing apparatus, and conversion apparatus
US6658197B1 (en) 1998-09-04 2003-12-02 Sony Corporation Audio signal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8136A (en) 1996-06-06 2000-11-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apparatus, reproducing apparatus, and conversion apparatus
US6658197B1 (en) 1998-09-04 2003-12-02 Sony Corporation Audio signal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3865A1 (ko) * 2021-08-05 2023-02-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멀티미디어 재생 방법
US11843818B2 (en) 2021-08-05 2023-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ultimedia playback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37819B2 (en) 2014-05-27
KR20130082366A (ko) 2013-07-19
US20130177290A1 (en) 201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6576B2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haptic effec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KR10188675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1768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8207832B2 (en) Haptic effect provisioning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85163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영상 변환 방법
KR10160853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27153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32963B1 (ko) 전자 기기 및 그것의 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
KR101688145B1 (ko)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81046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5176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4006288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12784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6113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2532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60062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300911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17692B1 (ko) 이동 단말기
KR2014000806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176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0620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0895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13945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87694B1 (ko) 이동 단말기
KR101811607B1 (ko)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