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695B1 - Single serve capsule for producing coffee beverages with and without crema - Google Patents

Single serve capsule for producing coffee beverages with and without crem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695B1
KR101832695B1 KR1020157017279A KR20157017279A KR101832695B1 KR 101832695 B1 KR101832695 B1 KR 101832695B1 KR 1020157017279 A KR1020157017279 A KR 1020157017279A KR 20157017279 A KR20157017279 A KR 20157017279A KR 101832695 B1 KR101832695 B1 KR 101832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fabric
coffee
beverag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72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95716A (en
Inventor
귄터 엠플
볼프강 에플러
안드레 트롬
Original Assignee
카-페 시스템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68101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83269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카-페 시스템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카-페 시스템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95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7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695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8Methods of grinding coff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6Applications of disintegrable, dissolvable or edible materials
    • B65D65/466Bio- or photodegradable packag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음료를 생산하기 위한 1인용 캡슐에 관한 것이다. 1인용 캡슐은 직물 및 음료 물질이 배열된 캡슐 기부 본체를 갖는데, 상기 음료 물질은 저장되고 가압된 온수에 의해 직물을 통하여 캡슐로부터 추출되도록 1인용 캡슐에 제공된다. 음료 물질은 실질적으로 분말 형태이고 로스팅된 분말 커피를 포함하는데, 로스팅된 커피는 50 내지 150의 색상값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gle capsule for producing a coffee beverage. The single capsule has a capsule base body in which fabric and beverage materials are arranged, and the beverage material is provided in a single capsule for storage and extraction from the capsule through the fabric by pressurized hot water. The beverage material is substantially powdery and comprises roasted powdered coffee, wherein the roasted coffee has a color value of 50 to 150.

Description

크레마 함유 및 비함유 커피 음료를 생산하기 위한 일인용 캡슐{SINGLE SERVE CAPSULE FOR PRODUCING COFFEE BEVERAGES WITH AND WITHOUT CREMA}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gle capsule for producing crema-containing and non-containing coffee beverages.

본 발명은 커피 음료를 생산하기 위한 1인용 캡슐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서 1인용 캡슐은 직물 및 음료 물질이 배열된 캡슐 기부 본체를 갖고, 음료 물질은 1인용 캡슐에 저장을 위해, 그리고 가압된 온수에 의해 직물을 통한 추출을 위해 1인용 캡슐에 제공되고, 음료 물질은 실질적으로 분체이고 로스팅된 분말 커피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로스팅된 분말 커피는 50 내지 150 범위의 색상값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gle-person capsule for producing a coffee beverage, wherein the single-person capsule has a capsule base body with arranged fabric and beverage material, the beverage material is stored for storage in a single person capsule, Wherein the beverage material comprises substantially powdered and roasted powdered coffee wherein the roasted powdered coffee has a color value in the range of from 50 to 150. < RTI ID = 0.0 > A < / RTI >

캡슐 또는 패드 시스템에서 부분으로 나누어지는 음료 제제는 일반적으로 선행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커피 및 에스프레소 제제를 위한 일반적인 1인용 캡슐은 문헌 EP1792850 B1, EP1344722A1 및 US2003/0172813A1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문헌 DE102010034206, WO2012/010317, WO2012/038063 및 DE102011010534을 참고한다.Beverage preparations which are subdivided into capsules or pad systems are generally known from the prior art. For example, common single-use capsules for coffee and espresso preparations are disclosed in documents EP1792850 B1, EP1344722A1 and US2003 / 0172813A1. See also DE102010034206, WO2012 / 010317, WO2012 / 038063 and DE102011010534.

음료의 생산을 위한 1인용 캡슐은 바람직하게는 절단된 원뿔형 또는 원통형이고, 예를 들어 심교(deep-drawn) 플라스틱 필름으로부터, 또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공정에서 생산된다. 이들은 관습적으로 플랜지를 갖는 개방된 충전재 측을 갖는데, 그 위에 멤브레인(커버 필름)이 밀봉 또는 접착되고, 밀폐 또는 개방된 캡슐 기부에는 음료 물질과 캡슐 기부 사이에, 예를 들어 입자체, 액체 분배기, 플리스(fleece), 펠트, 차단 필름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조립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Single capsules for the production of beverages are preferably cut conical or cylindrical and are produced, for example, from deep-drawn plastic films or in a plastic injection molding process. These have a closed filler side customarily having a flange on which a membrane (cover film) is sealed or glued, and the sealed or open capsule base is provided with a seal between the beverage substance and the capsule base, for example a mouthpiece, , Fleece, felt, barrier film, and / or the like.

커피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1인용 캡슐을 제조 장치의 조제실(brewing chamber)에 도입한다. 조제실의 폐쇄 공정 이후 또는 도중에, 1인용 캡슐은 바람직하게는 조제실에 배열된 배출구 스파이크에 의해 이의 밀폐된 기부 측에서 개방된다. 부분적으로 개방된 캡슐 기부를 갖는 1인용 캡슐은 그의 기부 측에 이미 하나의 개구부를 갖는다. 조제실이 밀봉된 후, 멤브레인 또는 커버 필름에 의해 밀폐된 1인용 캡슐의 충전재 측이 관통 수단에 의해 관통된다. 계속해서, 제조 액체, 바람직하게는 온수가 가압 하에 1인용 캡슐로 이동된다. 제조 액체는 음료 물질을 통하여 흘러 음료 물질로부터 음료 생산에 필요한 물질을 추출 및/또는 용해한다.To prepare the coffee beverage, a single capsule is introduced into the brewing chamber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fter or during the closing process of the dispensing chamber, the single capsule is preferably opened on its sealed base side by an outlet spike arranged in the dispensing chamber. A single-person capsule with a partially opened capsule base already has one opening on its base side. After the dispensing chamber is sealed, the filler side of the single capsule sealed by the membrane or the cover film is penetrated by the penetrating means. Subsequently, the manufacturing liquid, preferably hot water, is transferred under pressure into the single-use capsule. The manufacturing liquid flows through the beverage material to extract and / or dissolve the beverage material from the beverage material as needed for beverage production.

에스프레소의 제조에서는 정유를 추출하기 위해, 예를 들어 20 bar까지의 조제 수압이 커피 분말에 작용한다. 이 압력은 또한 커피 분말과 캡슐 기부의 관통된 캡슐 출구 사이에 위치한 필터 매체에도 작용한다. 필터 매체의 바닥 측에서의 갑작스러운 압력 강하는, 예를 들어 커피 음료의 크레마 형태로 음료에서 거품 생성을 유도한다.In the production of espresso, a preparation water pressure of, for example, up to 20 bar acts on the coffee powder to extract the essential oil. This pressure also acts on the filter media located between the coffee powder and the perforated capsule exit of the capsule base. The sudden pressure drop on the bottom side of the filter medium induces foam formation in the beverage,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crema of coffee beverage.

크레마는 입자의 미세도, 필터 시스템 및 추출 용량에서의 고압을 통해 얻어진다. 시스템이 가압되지 않으면 크레마가 형성되지 않는다.Crema is obtained through the fineness of the particles, the high pressure in the filter system and the extraction capacity. Crema is not formed if the system is not pressurized.

그러나, 어떤 음료, 예를 들어 특히 미국과 스칸디나비아에서 소비되는 크레마가 없는 클래식 필터 커피에서는, 거품 형성을 원하지 않는다.However, in classical filter coffees, which do not have crema consumed in certain beverages, for example in the United States and Scandinavia in particular, bubble formation is not desired.

1인용 캡슐에 존재하는, 원하는 음료 용량을 얻기 위해 요구되는 분말 커피의 양은, 로스팅 정도 및 분쇄 정도와 같은 추가 충전 재료 특성이 표준에 상응할 때에는 음료 용량에 따라 사실상 선형으로 증가한다.The amount of powdered coffee required to obtain the desired beverage volume, present in a single capsule, increases substantially linearly with beverage capacity when additional filler material properties such as degree of roasting and degree of crushing correspond to the standard.

특히 150 mL 보다 많은 음료 양의 경우, 커피 분말의 추가 추출은 최종 산물에 쓰고 산성의 퀴퀴한 풍미를 주는 원치 않는 풍미 성분이 씻겨나가는 것을 유도한다. 명백한 교정 조치는 칭량 부분을 증가시키거나 커피 콩을 더 미세하게 분쇄하는 것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칭량 부분을 증가시키는 것은, 추출 매질이 더 이상 입자 주위를 균일하게 세척할 수 없기 때문에, 보다 불량한 추출을 유도한다. 중간 입자 크기의 감소는 추출 공간에서 압력을 증가시킨다. 이는 원치 않는 성분의 추가적 추출을 유도한다.Especially for beverage quantities greater than 150 mL, further extraction of the coffee powder induces unwanted flavor ingredients to be worn on the final product and impart an acidic, spicy flavor. The obvious corrective action could be to increase the weighing part or to grind coffee beans more finely. However, increasing the weighing portion leads to poorer extraction, since the extraction medium can no longer clean uniformly around the particle. Decreasing the median particle size increases the pressure in the extraction space. This leads to the additional extraction of unwanted components.

선행기술에서는 이미 1인용 포장의 변경 불가능한 고정된 용량에서 전혀 다른 음료 생산성을 제안하는 시스템 해법이 있다. 그러나, 이들 시스템은 1인용 포장의 불균형적인 용량 저장을 제공한다.The prior art already has a system solution that suggests completely different beverage productivity at an unalterable fixed capacity of a single package. These systems, however, provide for unbalanced capacity storage of a single package.

균일한 크기를 갖고, 따라서 시스템 해법의 일부가 될 수 있는 커피 음료를 생산하기 위한 1인용 캡슐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1인용 캡슐은 감각적 품질에서 결함이 없는 다른 용량의 커피 음료를 위한 높은 생산성을 가져야 한다.There is a need for a single capsule for producing a coffee beverage having a uniform size and thus being part of a system solution. Capsules for single use should have high productivity for other doses of coffee beverages without defects in sensory quality.

특히, 개개의 정의된 매개변수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양호한 감각적 품질의 다른 커피 음료의 생산을 허용하는 1인용 캡슐에 대한 요구가 있다.In particular, there is a need for a single capsule that allows the production of different coffee beverages of good sensory quality by varying the individual defined parameters.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기술의 1인용 캡슐에 대하여 장점을 갖는 커피 음료를 생산하기 위한 1인용 캡슐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ngle capsule for producing a coffee beverage having advantages over the prior art single capsule.

특히, 가변적이고 시장-특이적인 음료 생산성을 갖는 부분으로 나누어지는 음료 제제는 예정된 소량의 변경 불가능한 포장 또는 저장 용량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달성되는 가변적이고 시장-특이적인 음료 생산성은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20 mL 내지 170 mL 사이에 있어야 한다. 또한, 얻어지는 음료 제제는 이전의 관례적 제조 장치에서 제조되는 음료와 비교하여 감각적 품질에서 동등하거나 증진된 것이어야 한다.In particular, beverage preparations which are divided into parts with variable and market-specific beverage yields should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mall amount of unalterable packaging or storage capacity. The variable and market-specific beverage productivity achieved should preferably be between 20 mL and 170 mL. In addition, the resulting beverage preparation should be equivalent or enhanced in sensory quality compared to beverages prepared in previous customary manufacturing equipment.

특히, 양호한 감각적 품질의 커피 음료는 중간 용량 범위로(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70 mL) 다른 로스팅 정도를 갖고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이들 커피 음료는 임의로 크레마 함유, 또는 크레마-비함유로 생산될 수 있어야 하는데, 여기에서 크레마-비함유 커피 음료는 비가압된 여과 장치로 제조된 음료에 상응하여야 한다.In particular, coffee drinks of good sensory quality should be provided with different degrees of roasting in the medium capacity range (preferably 20 to 170 mL). In addition, these coffee beverages should optionally be capable of producing crema-containing, or crema-free, wherein the crema-free coffee beverage should correspond to a beverage made from a non-pressurized filtration device.

이들 목적은 본 발명, 즉 커피 음료를 생산하기 위한 1인용 캡슐에 의해 달성되는데,These objects are achieved by the invention, i. E. A single capsule for producing coffee beverages,

여기에서 1인용 캡슐은 직물 및 음료 물질이 배열되는 캡슐 기부 본체를 갖고,Wherein the one-person capsule has a capsule base body in which the fabric and the beverage substance are arranged,

여기에서 음료 물질은 1인용 캡슐에 저장을 위해, 그리고 가압된 온수에 의해 직물을 통한 추출을 위해 1인용 캡슐에 제공되고,Wherein the beverage material is provided in a single capsule for storage in a single capsule and for extraction through a fabric by pressurized hot water,

여기에서 음료 물질은 1 내지 20 g 범위의 양으로 1인용 캡슐에 존재하고,Wherein the beverage material is present in a single person capsule in an amount ranging from 1 to 20 g,

여기에서 음료 물질은 실질적으로 분체이고, 건조 상태에서 150 내지 550 ㎛ 범위의 D[4,3] 값을 갖는 로스팅된 분말 커피를 포함하고,Wherein the beverage material is substantially powder and comprises roasted powdered coffee having a D [4,3] value in the range of 150 to 550 [mu] m in the dry state,

여기에서 로스팅된 분말 커피는 50 내지 150 범위의 색상값을 갖는다.Wherein the roasted powdered coffee has a color value in the range of 50 to 150.

D[4,3] 값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측정된 매개변수이고 중간 입자 크기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중간값 용량 D[4.3]이다.The value of D [4,3] is the median value capacity D [4.3], which can be used to account for the median particle size and is a measured parameter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놀랍게도, 1인용 캡슐 구성, 필터 매체, 로스팅된 커피의 로스팅 곡선, 로스팅된 분말 커피의 중간값 입자 크기 및 추출 용량에 위치하는 커피 양의 특정 조합에 의해, 각각 달성되는 음료 및 원하는 음료 용량이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Surprisingly, by the specific combination of the capsule composition for one person, the filter medium, the roasting curve of the roasted coffee, the median particle size of the roasted powdered coffee and the amount of coffee placed in the extraction volume, It can be done.

본 발명에 따르면, 로스팅 정도, 분쇄 정도 및 추출 용량에 위치하는 커피 양(칭량된 부분)의 특징은 가변적이고, 매우 낮은 칭량된 부분에서도 높은 음료 용량이 달성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서로 맞추어지고, 이는 감각적 품질에서 설명서에 상응한다. 추출 용량에 위치한 커피의 함량 당 음료 용량의 수율은 따라서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mount of coffee (weighed portion) located in the degree of roasting, the degree of grinding and the extraction capacity are variable and are matched in such a way that a high beverage capacity can be achieved even at very low weighed portions, The sensory quality corresponds to the manual. The yield of beverage capacity per content of coffee located in the extraction capacity can thus be improved.

또한, 놀랍게도 더 높은 정도의 분쇄 및 더 낮은 정도의 로스팅의 조합뿐 아니라, 더 작은 정도의 분쇄 및 더 높은 정도의 로스팅의 조합에서도 양호한 감각적 품질의 음료를 산출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또한, 직물의 표적화된 변형에 의해, 임의로 크레마 함유 또는 비함유 커피 음료가 얻어질 수 있다.It has also been found that, surprisingly, not only a combination of a higher degree of grinding and a lower degree of roasting but also a combination of a smaller degree of grinding and a higher degree of roasting produces a good sensory quality drink. In addition, by targeted modification of the fabric, a crema-containing or free coffee drink may optionally be obtained.

본 발명에 따른 1인용 캡슐의 용량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 mL 범위에 있다.The capacity of the single caps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to 35 mL.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1인용 캡슐의 용량은 25 ± 1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8 mL,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25 ± 6 mL,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 4 mL, 그리고 특히 25 ± 2 mL이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apacity of the single capsu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25 ± 10 mL, more preferably 25 ± 8 mL, even more preferably 25 ± 6 mL, most preferably 25 ± 4 mL, 25 ± 2 mL.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1인용 캡슐의 용량은 30 ± 1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8 mL,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30 ± 6 mL,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 4 mL, 그리고 특히 30 ± 2 mL이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capacity of the single capsu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30 ± 10 mL, more preferably 30 ± 8 mL, even more preferably 30 ± 6 mL, most preferably 30 ± 4 mL, and Especially 30 ± 2 mL.

본 발명에 따른 1인용 캡슐에 존재하는 음료 물질은 실질적으로 분체이고 로스팅된 분말 커피를 포함한다.The beverage material present in the single caps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substantially powdered and roasted powdered coffee.

커피는 단일 품종의 것이거나, 또는 임의의 원하는 커피 품종의 2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ffee may be of a single breed, or may be composed of a mixture of two or more of any desired coffee varieties.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1인용 캡슐에 존재하는 음료 물질은 아라비카(Arabica), 로부스타(Robusta) 및 리베리카(Liberica)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커피 품종을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everage material present in a single capsule comprises one or more coffee varieties selected from Arabica, Robusta and Liberica.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1인용 캡슐에 존재하는 음료 물질은 로스팅된 분말 커피를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커피는 커피 품종 아라비카 및 로부스타의 혼합물이다.In a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the beverage material present in the single capsule comprises roasted powdered coffee, wherein the coffee is a mixture of coffee varieties Arabica and Robusta.

또 다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1인용 캡슐에 존재하는 음료 물질은 로스팅된 분말 커피로 구성되는데, 여기에서 커피는 커피 품종 아라비카 및 로부스타의 혼합물이다.In another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the beverage material present in the single capsule consists of roasted powdered coffee, wherein the coffee is a mixture of coffee varieties Arabica and Robusta.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1인용 캡슐에 존재하는 음료 물질은 로스팅된 분말 커피를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커피는 아라비카 커피 단독이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everage material present in the single capsule comprises roasted powdered coffee, wherein the coffee is arabica coffee alone.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1인용 캡슐에 존재하는 음료 물질은 로스팅된 분말 커피를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커피는 로부스타 커피 단독이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beverage material present in the single capsule comprises roasted powdered coffee, wherein the coffee is Robusta coffee solely.

커피는 카페인이 제거된 것일 수 있다.Coffee can be caffeine-free.

커피는 가향된 것일 수 있다. 가향 커피는 바람직하게는 커피 콩을 로스팅한 후 천연 또는 합성 향료 또는 오일로 처리하여 얻어진다.The coffee may be a delicacy. The flavored coffee is preferably obtained by roasting coffee beans and then treating them with natural or synthetic flavors or oils.

로스팅된 분말 커피의 벌크 중량은, 품종 및 분쇄 정도에 따라, 250 g/L 내지 400 g/L이다. 벌크 중량은 해그 인스트루먼트(Hag instrument)에 의해 측정된다. 이 목적을 위해, 충전 전에 무게를 측정한 알려진 용량(250 mL)의 용기에 분말 커피를 넣는다. 커피를 넘쳐흐르도록 용기에 채우고 평탄한 물품을 사용하여 상부 용기 가장자리에서 평탄하게 훑는다. 용기 무게에 대하여 채워진 용기를 칭량하고 당업자에게 알려진 인자에 의해 g/L로 변환한다.The bulk weight of roasted powdered coffee is from 250 g / L to 400 g / L, depending on the variety and degree of grinding. The bulk weight is measured by a Hag instrument. For this purpose, put powdered coffee in a container of known capacity (250 mL), which weighs before charging. Fill the container with overflowing coffee and use a flat item to flush the edge of the upper container evenly. The filled container for the container weight is weighed and converted to g / L by factor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로스팅된 분말 커피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0 ㎡/㎏ 범위의 비표면적을 갖는다.The roasted powdered coffee preferably has a specific surface area in the range of 5 to 90 m 2 / kg.

바람직하게는, 커피의 비표면적은 5 ± 3 ㎡/㎏, 10 ± 5 ㎡/㎏, 15 ± 1 ㎡/㎏, 32 ± 1 ㎡/㎏, 45 ± 1 ㎡/㎏, 55 ± 1 ㎡/㎏, 58 ± 1 ㎡/㎏ 또는 60 ± 5 ㎡/㎏이다.Preferably,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coffee is 5 ± 3 m 2 / kg, 10 ± 5 m 2 / kg, 15 ± 1 m 2 / kg, 32 ± 1 m 2 / kg, 45 ± 1 m 2 / , 58 ± 1 m 2 / kg or 60 ± 5 m 2 / kg.

로스팅된 분말 커피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범위의 수분 함량을 갖는다.The roasted powdered coffee preferably has a moisture content in the range of 1 to 5%.

다른 음료 용량을 갖는 음료-크레마 함유 또는 비함유-를 달성하기 위하여, 개별 품종의 로스팅은 중요한 요소이다. 이 작업에서, 풍미와 색상이 영향을 받는다.In order to achieve beverage-crema containing or non-containing beverage with different beverage capacity, roasting of the individual varieties is an important factor. In this work, flavor and color are affected.

로스팅의 정도는 색상 측정 기구(예를 들어, Probat, Emmerich, Germany의 Colorette 3b)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degree of roasting can be determined using a color measurement instrument (e.g., Colorette 3b from Probat, Emmerich, Germany).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음료 물질에 존재하는 분쇄된 커피의 총량은 로스팅된다.In a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the total amount of ground coffee present in the beverage material is roasted.

음료 물질은 로스팅된 분말 커피를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로스팅된 분말 커피는 50 내지 150 범위의 색상값(color value)을 갖는다.The beverage material comprises roasted powdered coffee, wherein the roasted powdered coffee has a color value in the range of 50 to 150.

로스팅된 분말 커피의 색상값은 로스팅의 정도를 계량화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인자이다. 색상값은 본 발명에 따라 Colorette 3b 타입(Probat; 2011 구성)의 색상 측정 기구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측정의 원리는 반사 측정에 기초한다. 이 경우, 측정할 커피 샘플에 2 파장의 광(적색광 및 적외선)이 비추어진다. 반사된 광의 합이 전자적으로 평가되고 색상 값으로 표시된다.The color value of roasted powdered coffee is a commonly recognized factor for quantifying the degree of roasting. The color value is determined using the color measurement instrument of the Colorette 3b type (Probat; 2011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ciple of measurement is based on reflection measurements. In this case, two wavelengths of light (red light and infrared light) are projected onto the coffee sample to be measured. The sum of the reflected light is electronically evaluated and displayed as a color value.

로스팅된 분말 커피는 색상 값(Colorette 3b(Probat; 2011 구성)로 측정됨)을 통해 표현된 5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30,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0 범위의 로스팅 정도를 갖는다.The roasted powdered coffee has a roasting degree ranging from 50 to 150, preferably from 50 to 130, and more preferably from 50 to 120, expressed through the color value (measured by Colorette 3b (Probat; 2011 composition)).

또 다른 실시예에서, 로스팅된 분말 커피는 색상 값(Colorette 3b(Probat; 2011 구성)로 측정됨)을 통해 표현된 5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또는 50 내지 80,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5 또는 50 내지 75, 그리고 특히 50 내지 90 또는 50 내지 70 범위의 로스팅 정도를 갖는다.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roasted powdered coffee has a viscosity of 50 to 150, preferably 50 to 120, more preferably 50 to 100 or 50, expressed in terms of color value (measured by Colorette 3b (Probat; 2011 composition) To 80, most preferably from 50 to 95 or 50 to 75, and especially from 50 to 90 or 50 to 70.

로스팅된 분말 커피는 색상 값(Colorette 3b(Probat; 2011 구성)로 측정됨)을 통해 표현된 5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30,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135, 그리고 특히 70 내지 120 범위의 로스팅 정도를 갖는다.The roasted powdered coffee has a density of from 50 to 150, preferably from 60 to 130, more preferably from 65 to 135, and especially from 70 to 120, expressed through the color value (measured by Colorette 3b (Probat; Roasting degree.

특히 바람직한 로스팅 정도의 색상 값(Colorette 3b(Probat; 2011 구성)로 측정됨) A1 내지 A6는 아래 표에 수록된다:Particularly desirable color values of roasting degree (measured by Colorette 3b (Probat; 2011 composition)) A 1 to A 6 are listed in the table below:

Figure 112015062459668-pct00001
Figure 112015062459668-pct00001

실시예 A6가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Example 6 A is very particularly preferred.

음료 물질은 실질적으로 분체이고 건조 상태에서 150 내지 550 ㎛ 범위의 D[4,3] 값을 갖는 로스팅된 분말 커피를 포함한다.The beverage material comprises roasted powdered coffee having a D [4,3] value in the range of 150 to 550 [mu] m in a substantially powdery, dry state.

D[4,3] 값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측정된 변수이고 중간 입자 크기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중간값 용적 D[4,3]이다.The value of D [4,3] is the measured variabl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s the median volume D [4,3] that can be used to describe the median particle size.

바람직하게는, 음료 물질은 1인용 캡슐의 내용물 전체를 구성한다. 음료 물질이 로스팅된 분말 커피에 더하여 다른 고형 성분, 특히 추가의 분체 성분을 함유한다면, 본 발명에 따라 D[4,3] 값은 모든 입자 전체에 관련된다. 이는 또한 그 성분이 독립적인, 즉 분리된 상태에서 다른 D[4,3] 값을 갖는 로스팅된 분말 커피의 혼합물에도 적용되어;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라 D[4,3] 값은 마찬가지로 존재하는 임의의 추가 분체 성분을 포함하는 모든 커피 입자의 전체에 관련된다.Preferably, the beverage material constitutes the entire contents of the single capsule. If the beverage substance contains other solid components, in particular additional powd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roasted powdered coffee, the D [4,3] valu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related to all the particles. This also applies to a mixture of roasted powdered coffee whose constituents are independent, i.e. in a separate state, with different D [4,3] values; In this case, the value D [4,3] according to the invention likewise relates to the whole of all the coffee particles, including any additional powder components present.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음료 물질은 실질적으로 분체이고, 건조 상태에서 200 내지 500 ㎛ 범위의 D[4,3] 값을 갖는 로스팅된 분말 커피를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everage material is substantially powdery and comprises roasted powdered coffee having a D [4,3] value in the range of 200 to 500 [mu] m in the dry state.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음료 물질은 실질적으로 분체이고, 건조 상태에서 300 내지 400 ㎛, 또는 350 내지 550 ㎛ 범위의 D[4,3] 값을 갖는 로스팅된 분말 커피를 포함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beverage material is substantially powdery and comprises roasted powdered coffee having a D [4,3] value in the range of 300 to 400 [mu] m, or 350 to 550 [mu] m in the dry state.

직물 및 칭량 부분의 양과 조합하여, 정의된 분쇄의 정도(D[4,3] 값으로 표현된)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해당 음료는 원하는 감각적 품질로 제조될 수 있다. 입자 크기 분포 및 중간 입자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D[4,3] 값은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측정에 의해, 예를 들어 Malvern Mastersizer 3000 및 분산 유닛 Malvern AeroS 를 사용하여 결정되는 중간값 용량을 부여한다. 이 경우, 건조 측정에서, 바람직하게는 약 7 g의 로스팅된 분말 커피가 분산 압력 4 bar 에서 측정 셀로 전달된다. 레이저 회절로, 입자 크기 분포 및 D[4,3] 값이 프라운호퍼 이론(Fraunhofer theory)에 따라 산란광 및 그 결과로 생기는 회절 각도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By selecting the degree of grinding defined (expressed in terms of the D [4,3] value) in combination with the amount of fabric and weigh part, the beverage can be made with the desired sensory qualities. Methods for measuring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median particle size ar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value of D [4,3] is prefer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by laser measurement, for example, Malvern Mastersizer 3000 and the dispersing unit Malvern AeroS . In this case, in the drying measurement, preferably about 7 g of roasted powdered coffee is delivered to the measuring cell at a dispersion pressure of 4 bar. With laser diffractio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D [4,3] values can be determined by measuring scattered light and the resulting diffraction angle according to the Fraunhofer theory.

분말 커피의 입자 크기, 또는 입자 크기 분포는 조제 압력, 크레마의 형성 및 커피 음료의 풍미에 영향을 미친다.Particle size, or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powdered coffee affects the preparation pressure, the formation of crema and the flavor of the coffee beverage.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분말 커피는 건조 상태에서 215 내지 365 ㎛, 더욱 바람직하게는 240 내지 340 ㎛, 가장 바람직하게는 265 내지 315 ㎛ 범위, 그리고 특히 290 ㎛의 D[4,3] 값을 갖는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분말 커피는 건조 상태에서 235 내지 385 ㎛, 더욱 바람직하게는 260 내지 360 ㎛, 가장 바람직하게는 285 내지 335 ㎛ 범위, 그리고 특히 310 ㎛의 D[4,3] 값을 갖는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분말 커피는 건조 상태에서 255 내지 405 ㎛, 더욱 바람직하게는 280 내지 380 ㎛, 가장 바람직하게는 305 내지 355 ㎛ 범위, 그리고 특히 330 ㎛의 D[4,3] 값을 갖는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분말 커피는 건조 상태에서 275 내지 425 ㎛,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400 ㎛, 가장 바람직하게는 325 내지 375 ㎛ 범위, 그리고 특히 350 ㎛의 D[4,3] 값을 갖는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분말 커피는 건조 상태에서 325 내지 475 ㎛,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450 ㎛, 가장 바람직하게는 375 내지 425 ㎛ 범위, 그리고 특히 400 ㎛의 D[4,3] 값을 갖는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분말 커피는 건조 상태에서 375 내지 525 ㎛,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500 ㎛, 가장 바람직하게는 425 내지 475 ㎛ 범위, 그리고 특히 450 ㎛의 D[4,3] 값을 갖는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분말 커피는 건조 상태에서 425 내지 575 ㎛, 더욱 바람직하게는 450 내지 550 ㎛, 가장 바람직하게는 475 내지 525 ㎛ 범위, 그리고 특히 500 ㎛의 D[4,3] 값을 갖는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owdered coffee has a D [4,3] value in the dry state in the range of 215 to 365 [mu] 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40 to 340 [mu] m, most preferably in the range of 265 to 315 [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powdered coffee has a D [4,3] value in the dry state in the range of 235 to 385 [mu] 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60 to 360 [mu] m, most preferably in the range of 285 to 335 [ .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powdered coffee has a D [4,3] value in the range of 255 to 405 [mu] m, more preferably 280 to 380 [mu] m, most preferably in the range of 305 to 355 [ .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powdered coffee has a D [4,3] value in the dry state of 275 to 425 [mu] 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300 to 400 [mu] m, most preferably in the range of 325 to 375 [ .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powdered coffee has a D [4,3] value in the range of 325 to 475 [mu] 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350 to 450 [mu] m, most preferably in the range of 375 to 425 [ .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powdered coffee has a D [4,3] value in the dry state in the range of 375 to 525 [mu] 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400 to 500 [mu] m, most preferably in the range of 425 to 475 [ .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powdered coffee has a D [4,3] value in the range of 425 to 575 [mu] m, more preferably 450 to 550 [mu] m, most preferably 475 to 525 [ .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의 B1 내지 B8은 아래 표에 수록된다:B 1 to B 8 of a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are listed in the table below:

Figure 112015062459668-pct00002
Figure 112015062459668-pct00002

실시예 B1 내지 B4가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Examples B 1 to B 4 are very particularly preferred.

D[4,3] 값을 기준으로 하여, 추출 효율과 일차적으로 추출율, 그리고 이차적으로 여과율 사이의 최적 비율이 설정될 수 있다.Based on the value of D [4,3], the optimum ratio between the extraction efficiency and the extraction rate, and secondly, the filtration rate can be set.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건조 상태에서의 분말 커피의 전체량은 동일한 입자 크기를 갖는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total amount of powdered coffee in the dry state has the same particle size.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분말 커피는 다른 입자 크기의 정의된 혼합물을 갖는다.In a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the powdered coffee has a defined mixture of different particle sizes.

바람직한 입자 크기 분포는 아래 표에 요약된다(실시예 C1 내지 C7):Preferred particle size distributions are summarized in the table below (Examples C 1 to C 7 ):

Figure 112015062459668-pct00003
Figure 112015062459668-pct00003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C2 내지 C4이다.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s are C 2 to C 4 .

음료 물질은 1인용 캡슐에서 1 내지 20 g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The beverage material is present in an amount ranging from 1 to 20 g in a single capsule.

바람직하게는, 음료 물질은 1인용 캡슐에서 2 내지 11 g,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 g 또는 4 내지 11 g,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4 내지 7 g 또는 5 내지 11 g, 가장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5 g 또는 6 내지 10 g, 그리고 특히 5 내지 6 g 또는 7 내지 10 g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Preferably, the beverage material is present in the capsule for 2 to 11 g, more preferably 3 to 8 g or 4 to 11 g, even more preferably 4 to 7 g or 5 to 11 g, most preferably 4.5 To 6.5 g or 6 to 10 g, and especially 5 to 6 g or 7 to 10 g.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음료 물질은 1인용 캡슐에서 4 내지 11 g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everage material is present in an amount ranging from 4 to 11 g in a single capsule.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음료 물질은 1인용 캡슐에서 6 ± 2 g, 더욱 바람직하게는 6 ± 1.5 g,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6 ± 1 g, 가장 바람직하게는 6 ± 0.5 g, 그리고 특히 6 ± 0.3 g의 양으로 존재한다.In a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the beverage substance is contained in a capsule for a person of 6 ± 2 g, more preferably 6 ± 1.5 g, still more preferably 6 ± 1 g, most preferably 6 ± 0.5 g, 0.3 g.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음료 물질은 1인용 캡슐에서 7.7 ± 4 g, 더욱 바람직하게는 7.7±3 g,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7.7±2 g, 가장 바람직하게는 7.7±1 g, 그리고 특히 7.7±0.5 g의 양으로 존재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beverage material is 7.7 + - 4 g, more preferably 7.7 + - 3 g, even more preferably 7.7 + - 2 g, most preferably 7.7 + - 1 g, and most preferably 7.7 + 0.5 g.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음료 물질은 1인용 캡슐에서 8±4 g, 더욱 바람직하게는 8±3 g,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8±2 g, 가장 바람직하게는 8±1 g, 그리고 특히 8±0.5 g의 양으로 존재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beverage material is 8 ± 4 g, more preferably 8 ± 3 g, even more preferably 8 ± 2 g, most preferably 8 ± 1 g, and most preferably 8 ± 4 g in a single capsule. 0.5 g.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음료 물질은 1인용 캡슐에서 9±4 g, 더욱 바람직하게는 9±3 g,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9±2 g, 가장 바람직하게는 9±1 g, 그리고 특히 9±0.5 g의 양으로 존재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beverage substance is present in the capsule for 9 ± 4 g, more preferably 9 ± 3 g, even more preferably 9 ± 2 g, most preferably 9 ± 1 g, and especially 9 Lt; / RTI >

음료 물질은 임의로 초콜릿 분말, 우유 분말, 차 분말, 당 또는 당 대체재와 같은 감미제, 향신료 등과 같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The beverage material may optionally include additives such as sweeteners such as chocolate powder, milk powder, tea powder, sugar or sugar substitute, spices and the like.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음료 물질은 임의의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고 부분 로스팅되고 또한 분쇄된 커피만으로 구성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everage material does not contain any additive, but consists of only partially roasted and ground coffee.

커피 음료를 생산하기 위한 1인용 캡슐은 직물 및 음료 물질이 배열되는 캡슐 기부 본체를 갖는데, 여기에서 음료 물질은 1인용 캡슐에 저장을 위해, 그리고 가압된 온수에 의해 직물을 통한 추출을 위해 1인용 캡슐에 제공된다.A single capsule for producing a coffee beverage has a capsule base body in which fabric and beverage materials are arranged, wherein the beverage material is used for storage in a single capsule and for extraction through a fabric by pressurized hot water Lt; / RTI >

캡슐 기부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심교(deep-drawn) 캡슐 기부 본체로, 바람직하게는 절단된 원뿔형 또는 원통형이다.The capsule base body is preferably a deep-drawn capsule base body, preferably a truncated cone or cylinder.

캡슐 기부 본체는 추가로 벽 영역을 갖는데, 여기에서 벽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홈을 갖고, 홈은 개방된 충전재 측을 폐쇄하는 멤브레인과 벽 영역의 높이 연장의 적어도 일부 위의 기부 영역 사이를 따라 제공된다. 이들 홈은 조제실에서 1인용 캡슐을 통해 추출 액체가 흐르는 동안 1인용 캡슐이 더 높은 기계적 안정성과 개선된 거동을 갖고, 이에 의해 추출 공정의 개선이 유도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capillary base body further has a wall region wherein the wall region preferably has a plurality of grooves and the grooves define a gap between the membrane closing the open filler side and the base region 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height extension of the wall region . These grooves have the effect that the single-person capsule has higher mechanical stability and improved behavior during the flow of the extract liquid through the single-person capsule in the dispenser chamber, thereby improving the extraction process.

바람직하게는, 캡슐 기부 본체는 리세스와 기부 영역 사이의 벽 영역에서 보다 리세스 영역에서 더 큰 직경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이는 유리하게도 1인용 캡슐의 적층성 및/또는 1인용 캡슐의 캡슐 기부 본체의 적층성을 유도하기 위한 특히 간단하고도 양호한 가능성을 준다.Preferably, the capsule base body has a larger diameter in the recessed region than in the wall region between the recess and the base region. As a result, this advantageously provides a particularly simple and good possibility for inducing the lamination properties of capsules for single persons and / or the lamination properties of the capsule base bodies of single capsules.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일차적으로 플랜지/림 영역과 인접한 벽 영역의 직경과, 이차적으로 플랜지의 직경의 비율은 0.85 내지 0.89 사이,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87이다. 또한, 플랜지와 인접한 벽 영역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39 mm이고/이거나 플랜지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45 mm이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ratio of the diameter of the flange / rim region and the wall region adjacent to the flange / rim region secondarily to the diameter of the flange is between 0.85 and 0.89, and more preferably, 0.87. Also, the diameter of the wall region adjacent to the flange is preferably 39 mm and / or the diameter of the flange is preferably 45 mm.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 영역과 플랜지 사이의 벽 영역에서 캡슐 기부 본체는 리세스의 영역에서 보다 낮은 벽 두께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1인용 캡슐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벽 영역에 홈을 갖고, 그 결과 개선된 안정성이 달성된다. 이에 의해 상당량의 재료 절약이 가능하고, 그 결과 1인용 캡슐을 생산하기 위한 비용과 에너지 지출이 감축될 수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capsule base body in the wall region between the base region and the flange has a lower wall thickness in the region of the reces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ingle capsule also preferably has a groove in the wall area, resulting in improved stability. This allows a significant amount of material savings, and as a result, the cost and energy expenditure to produce a single capsule can be reduced.

기부 영역으로부터 플랜지까지의 캡슐 기부 본체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2 mm,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29 mm,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7 mm이다.The height of the capsule base body from the base region to the flange is preferably 20 to 35 mm, more preferably 22 to 32 mm, even more preferably 25 to 29 mm, and most preferably 27 mm.

1인용 캡슐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천연 재료 및/또는 생분해성 재료로 구성된다.The single capsule is made of, for example, plastic, natural materials and / or biodegradable materials.

바람직하게는, 1인용 캡슐은 폴리에틸렌; 가교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비닐 에스테르 및 불포화된 지방족 산, 그리고 이의 염 및 에스테르의 코폴리머; 염화비닐리덴 코폴리머; 아세틸 수지; 아크릴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폴리머 및 이의 코폴리머; 폴리이소부틸렌; 이소부틸렌 코폴리머; 폴리테레프탈산 디올 에스테르; 폴리비닐 에테르; 실리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의 혼합물; 폴리아마이드; 폴리스티렌, 스티렌 코폴리머 및 그라프트 폴리머; 염화폴리비닐; 폴리부텐; 폴리우레탄; 폴리-(4-메틸-1-펜텐); 가교된 폴리우레아; 아크릴로니트릴 코폴리머 및 그라프트 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 열가소성 전분과 같은 전분 플라스틱; 폴리락타이드 코폴리머 또는 폴리하이드록시 지방산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한다.Preferably, the single capsule is made of polyethylene; Cross-linked polyethylene; Polypropylene; Copolymers of ethylene, propylene, butylene, vinyl esters and unsaturated aliphatic acids and their salts and esters; Vinylidene chloride copolymer; Acetyl resin; Acrylic and methacrylic acid ester polymers and copolymers thereof; Polyisobutylene; Isobutylene copolymers; Polyterephthalic acid diol esters; Polyvinyl ether; silicon; Unsaturated polyester resins; Polycarbonate and a mixture of polycarbonate and polymer or copolymer; Polyamide; Polystyrene, styrene copolymers and graft polymers; Polyvinyl chloride; Polybutene; Polyurethane; Poly- (4-methyl-1-pentene); Crosslinked polyurea; Acrylonitrile copolymers and graft polymers; Polyacrylates; Starch plastic, such as thermoplastic starch; Polylactide copolymers or thermoplastic polyesters of polyhydroxy fatty acids.

캡슐 기부 본체는 무색이거나 임의의 원하는 색상으로 착색될 수 있다. 또한, 캡슐 기부 본체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일 수 있다.The capsule base body may be colorless or may be tinted to any desired color. In addition, the capsule base body may be transparent, translucent or opaque.

바람직하게는, 캡슐 기부 본체는 착색되고 불투명하다.Preferably, the capsule base body is colored and opaque.

캡슐 기부 본체의 외부는 인쇄될 수 있다.The outside of the capsule base body can be printed.

1인용 캡슐의 캡슐 기부는 부분적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The capsule base of the single-person capsule may be partially open or closed.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1인용 캡슐의 캡슐 기부는 폐쇄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apsule base of the single capsule is closed.

본 실시예에 따라, 캡슐 기부는 출구 개구부를 형성시키기 위해 외부로부터 1인용 캡슐 기부로 작동하는 천공 수단에 의해 조제실에서 일차적으로 천공된다.In accordance with this embodiment, the capsule base is primarily perforated in the dispensing chamber by a perforating means that operates from the outside with a capsule base for a single person to form an exit opening.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1인용 캡슐의 캡슐 기부는 부분적으로 개방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capsule base of the single capsule is partially open.

부분적으로 개방된 캡슐 기부를 갖는 1인용 캡슐의 경우, 개구부는 제품 보호를 위해, 예를 들어 천공 수단에 의해 천공 가능하거나, 캡슐 기부로부터 수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밀봉부에 의해 폐쇄된다. 이러한 1인용 캡슐은 선행기술에 알려져 있다.In the case of a single-person capsule with a partially opened capsule base, the opening is closed by a seal, which can be perforated, for example by perforation means, or manually removed from the capsule base, for product protection. Such single capsules are known in the prior art.

이 실시예에 따르면, 캡슐 기부의 개구부는 바람직하게는 중앙에 배열되고 바람직하게는 원형 구조를 갖는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opening of the capsule base is preferably centered and preferably has a circular configuration.

캡슐 기부에 있는 개구부의 면적과 전체 캡슐 기부의 면적 사이의 상대적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08 내지 0.13; 더욱 바람직하게는 0.09 내지 0.12;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0.09 내지 0.11 범위에 있고,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10이다.The relative ratio between the area of the opening in the capsule base and the area of the entire capsule base is preferably 0.08 to 0.13; More preferably 0.09 to 0.12; Even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09 to 0.11, and most preferably 0.10.

1인용 캡슐은 바람직하게는 기밀하게 차단 밀봉, 즉 1인용 캡슐에 위치한 음료 물질이 추출 공정 전에는 외기로부터 실질적으로 방향-차단(aroma-tightly) 밀봉된다.The single capsule is preferably airtightly sealed, that is, the beverage material located in the single-person capsule is substantially aroma-tightly sealed from the ambient air prior to the extraction process.

캡슐 기부 본체의 개방된 충전재 측은 멤브레인 또는 덮개 필름에 의해 폐쇄된다.The open filler side of the capsule base body is closed by a membrane or cover film.

멤브레인 또는 덮개 필름은 캡슐 기부 본체와 동일한 재료로부터, 또는 다른 재료로부터 제작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밀봉 및/또는 접착에 의해 캡슐 기부 본체에 고정된다.The membrane or cover film can be made from the same material as the capsule base body, or from other materials, and is preferably secured to the capsule base body by sealing and / or gluing.

바람직하게는, 멤브레인은 제품 보호에 필요한 장벽을 갖는 다른 플라스틱; 그 중에서도 임의로 알루미늄 호일의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필요한 조성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Preferably, the membrane is made of other plastics having barriers necessary for product protection; And optionally one or more layers of aluminum foil. The composition required for this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바람직하게는, 멤브레인의 외부, 즉 충전재로부터 반대쪽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인쇄된다.Preferably, the outside of the membrane, i.e. the opposite side from the filler, is partially or fully printed.

1인용 캡슐의 캡슐 기부 본체에는, 필터로 작용하는 직물이 배열된다. 직물은 본 발명의 의미에서 섬유를 포함하는 평탄한, 즉 2-차원적으로 연장된 구조를 포함한다. 섬유는 자체로서 임의 타입의 직물, 특히 직조된 섬유, 플리스, 펠트, 스폰지 등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capsule base body of the single-person capsule, a fabric serving as a filter is arranged. The fabric includes a flat, i.e. two-dimensionally extended, structure comprising fibers in the sen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bers themselves can form any type of fabric, in particular woven fibers, fleece, felt, sponge and the like.

음료 생산을 위한 1인용 캡슐에서는, 다른 직물이 필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평탄하고 신축성 내지 뻣뻣한 3-차원 직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캐스케이드-타입(porous-cascade-type) 직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공성-캐스케이드-타입 직물로는, 결함 없는 감각적 품질의 음료를 전달하는 추출 용량에서 충분히 높은 조제 압력이 달성된다. 동시에, 음료 물질이 추출 공간에서 원하는 정도로 보존되고 음료 위에 크레마를 달성하기 위한 거품 형성이 방지될 수 있다.In a single capsule for beverage production, other fabrics may be used as filters. Other embodiments include flat, stretchy or stiff three-dimensional fabrics. Porous-cascade-type fabric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particularly preferred. With a porous-cascade-type fabric, a sufficiently high dispensing pressure is achieved at an extraction volume delivering a sensible quality beverage of defective quality. At the same time, the beverage material can be preserved to a desired extent in the extraction space and foam formation to achieve crema on the beverage can be prevented.

다공성-캐스케이드-타입 직물은 기공-유사 공동을 함유하는 현저한 3-차원 구조를 갖는데, 여기에서 이를 통한 액체 흐름은 기공에서 기공 수준으로의 폭포에서와 같이 여과된 흐름이 된다. 존재하는 어떠한 거품도 깨지고 크레마를 형성하지 않는다.Porous-cascade-type fabrics have a remarkable three-dimensional structure containing pore-like cavities wherein the liquid flow therethrough becomes a filtered flow as in a cascade to pore level. Any bubbles present are broken and do not form a crema.

평탄-투과성 직물은 평탄한 종이-박막 형태를 갖는다. 다른 것 위에 배열된 층이 거의 없는 무작위로 배열된 섬유로 인해, 낮은 메쉬 폭의 직물이 야기된다. 꼭 맞는 필터 피드는 크레마-형성 물질을 추출하기 위해 충분한 압력을 발생시킨다.The flat-transparent fabric has a flat paper-thin film form. Due to randomly arranged fibers with few layers arranged on top of one another, a low mesh width fabric is produced. A tight filter feed generates sufficient pressure to extract the crema-forming material.

필터로서 직물의 사용은 플라스틱 체를 생산하기 위한 복잡한 플라스틱 사출 공정 또는 심교 또는 엠보싱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의해 제품 비용이 상당히 감축된다. 또한, 직물이 캡슐 기부에서 직접 지지되기 때문에 지지 구조가 필요하지 않다. 선행 기술로부터 알려진 플라스틱 필터와 비교하여, 직물은 또한 현저하게 더 큰 액체 흡입 표면적을 갖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액체 교차흐름이 허용되어(필터 면 연장의 주요 면과 평행으로), 이에 의해 개선된 혼합 및 배출 거동이 달성된다. 더욱이, 직물이 사용될 때 체 막힘의 위험이 현저하게 감소되거나 실질적으로 제거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직물은 비교적 낮은 압력 하에서 제조 액체를 갖는 음료 제제의 경우뿐 아니라 비교적 높은 압력에서 제조 액체를 갖는 음료 제제의 경우에도 막힘-저항성이다. 또한, 액체 교차흐름은 직물에서 항상 확실하게 유지되고, 직물로 들어오는 액체의 배출 개구부로의 배출이 확보된다. 직물은 바람직하게는 파열-저항성 방식으로 제작된다.The use of a fabric as a filter has the advantage that a complex plastic injection process or a carding or embossing process for producing a plastic body can be omitted. This significantly reduces product costs. Also, no support structure is required because the fabric is supported directly at the base of the capsule. Compared to plastic filters known from the prior art, fabrics also have the advantage that they have a significantly larger liquid intake surface area. Also, liquid crossflow is allowed (parallel to the major surface of the filter face extension), thereby achieving improved mixing and venting behavior. Moreover, it has been found that the risk of clogging when fabric is used is significantly reduced or substantially eliminated. The fabric is clog-resistant not only in the case of beverage preparations having a production liquid at relatively low pressures but also in beverage preparations having a production liquid at relatively high pressures. In addition, the liquid crossflow is always reliably maintained in the fabric and the discharge of the liquid entering the fabric into the discharge opening is ensured. The fabric is preferably manufactured in a burst-resistant manner.

직물은 바람직하게는 플리스, 펠트 및 개방-기공 스폰지, 개방-기공 거품,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이 기공과 채널을 갖는 다른 직물 또는 구조를 포함한다.The fabric preferably includes other fabrics or structures having pores and channels, such as fleece, felt and open-pore sponges, open-pore foam,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예를 들어 미세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같은 미세 플라스틱 섬유로부터 생산된 플리스 재료를 포함하고, 특히 임의-섬유 및/또는 섬유-배향의 플리스 재료인 플리스이다. 플리스는 바람직하게는 평탄-투과성이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bric is a fleece, which comprises a fleece material produced, for example, from micro-plastic fibers, such as fine polyester fibers, and in particular a random-fiber and / or fiber-oriented fleece material. The fleece is preferably flat-transparent.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펠트 구조를 갖는다. 직물은 하나가 다른 것 위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펠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펠트는 바람직하게는 다공성-캐스케이드 타입이고, 예를 들어 비스코스,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마이드,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플리스 및/또는 펠트가 교대로 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펠트는 니들 펠트(needle felt) 구조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펠트 구조 및 하나의 지지 구조, 특히 직조된 섬유 구조로 구성되고, 여기에서 펠트 구조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용적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지지 구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직물이 지지 구조에 의해 서로 분리된 2 개의 펠트 구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2 개의 펠트 구조가 1인용 캡슐에서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배열되고 서로 결합된다. 2 개의 펠트 구조의 두께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음료 물질에 접하는 펠트 구조가 캡슐 기부에 접하는 펠트 구조 보다 더 얇거나, 그 반대이기도 하다.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느슨한 섬유를 고정시키기 위해, 펠트 구조의 표면이 처리, 예를 들어 열-처리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bric has a felt structure. The fabric may have one or more felt structures arranged on top of one another. The felt is preferably porous-cascade type and may include, for example, viscose, polyester, polyamide, polypropylene or combinations thereof. A plurality of fleeces and / or felts may be alternately combined. Particularly preferably, the felt has a needle felt structu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abric is preferably composed of at least one felt structure and one supporting structure, in particular a woven fabric structure, wherein the felt structure particularly preferably comprises a supporting structure in at least a part of the volume do. Preferably, the fabric has two felt structures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supporting structure. Preferably, the two felt structures are arranged on one another and joined together in a single capsule. The thickness of the two felt structure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Preferably, the felt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beverage material is thinner than the felt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capsule base, or vice versa. Preferably, for example to fix loose fibers, the surface of the felt structure is treated, for example heat-treated.

지지 구조, 특히 직조된 섬유 구조, 및 펠트 구조를 갖는 직물이 생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여기에는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 실로 구성되는 직조된 섬유 구조가 제공된다. 펠트, 특히 니들 펠트의 제작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7 dtex의 섬유 단위가 선택된다. 펠트 및/또는 지지 구조에서 이의 고정을 형성하기 위한 개별 섬유 서로간의 조합은 바람직하게는 바느질(needling)의 생산 공정을 통해 일어난다. 이 경우, 역 미늘을 갖는 바늘이 제시된 섬유 패키지를 고속으로 찌르고 다시 빠져 나온다. 미늘로 인해, 섬유는 다수의 형성된 루프를 통해 서로간 및/또는 지지하는 직조 섬유와 엮이게 된다.A fabric having a supporting structure, in particular a woven fiber structure, and a felt structure, can be produced, for example, provided with a woven fiber structure consisting of longitudinal and transverse yarns. For the production of felt, especially needle felt, a fiber unit of 0.8 to 7 dtex is preferably selected. The combination of the individual fibers to form their fixation in the felt and / or supporting structure takes place preferably through the production process of needling. In this case, the needle having the reverse barb strikes the presented fiber package at a high speed and exits again. Due to the barb, the fibers are interwoven with the woven fibers interlaced and / or supporting each other through a plurality of formed loops.

직물이 펠트 및 플리스 둘 다를 포함할 때,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결합된다. 펠트 및/또는 플리스는 다층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 층은 사용된 출발 재료 및/또는 이의 처리 공정의 종류가 다를 수 있다.When the fabric includes both a felt and a fleece, they are preferably bonded together. Felt and / or fleece can be used as multiple layers, where the layers can be of different starting materials used and / or the type of treatment process thereof.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캡슐 기부의 영역에 배열되는 필터 직조 섬유, 예를 들어 개방-기공 스폰지 및/또는 개방-기공 거품이다. 스폰지는, 예를 들어 망상의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bric is filter woven fibers, such as open-pore sponges and / or open-pore bubbles, arranged in the region of the capsule base. Sponges include, for example, reticulated polyurethane foams.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평탄-투과성이고, 바람직하게는 평탄-투과성 플리스이다.In a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the fabric is flat-transparent, preferably flat-transparent fleece.

직물이 평탄-투과성 플리스일 때, 1인용 캡슐의 캡슐 기부는 바람직하게는 폐쇄된다.When the fabric is a flat-transparent fleece, the capsule base of the single-person capsule is preferably closed.

또 다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다공성-캐스케이드 타입이고, 바람직하게는 다공성-캐스케이드-타입 펠트이다.In another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the fabric is a porous-cascade type, preferably a porous-cascade-type felt.

직물이 다공성-캐스케이드-타입 펠트일 때, 1인용 캡슐의 캡슐 기부는 바람직하게는 부분적으로 개방된다.When the fabric is a porous-cascade-type felt, the capsule base of the capsule for one person is preferably partially open.

직물은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 어느 정도 신축성을 갖는다. 재료 두께 및 재료의 조성 및/또는 구조에 따라, 예를 들어 ISO 9073에서 명시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ISO 13934에서 명시되는 바와 같이 신축성이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라, 직물의 신축성은 바람직하게는 ISO 9073에서 명시되거나 ISO 13934에서 명시되는 바와 같이 결정된다.The fabric has some degree of stretchability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Depending on the material thickness and the composition and / or structure of the material, for example, the elasticity is specified in ISO 9073, or, for example, as specified in ISO 13934.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tretchability of the fabric is preferably determined as specified in ISO 9073 or as specified in ISO 13934.

직물이 플리스이고 재료 두께가 1 밀리미터 보다 작을 때, 최대 인장력은 세로 방향에서 바람직하게는 5 cm 당 50 N 내지 150 N이고 가로 방향에서 바람직하게는 5 cm 당 30 N 내지 90 N으로, 여기에서 가로 및 세로 방향에서 최대 인장력 연장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를 포함한다.When the fabric is fleece and the material thickness is less than 1 millimeter, the maximum tensile force is preferably 50 N to 150 N per 5 c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eferably 30 N to 90 N per 5 cm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maximum tensile force ext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eferably comprises 20% to 40%.

직물이 플리스이고 재료 두께가 1 밀리미터 보다 작을 때, 최대 인장력은 세로 방향에서 바람직하게는 5 cm 당 50 N 내지 150 N이고 가로 방향에서 바람직하게는 5 cm 당 30 N 내지 90 N으로, 여기에서 가로 및 세로 방향에서 최대 인장력 연장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를 포함한다.When the fabric is fleece and the material thickness is less than 1 millimeter, the maximum tensile force is preferably 50 N to 150 N per 5 c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eferably 30 N to 90 N per 5 cm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maximum tensile force ext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eferably comprises 20% to 40%.

재료 두께가 1 밀리미터 보다 크다면, 최대 인장력은 세로 및 가로 방향에서 바람직하게는 40 daN 내지 120 daN이고, 여기에서 가로 및 세로 방향에서 최대 인장력 연장은 20% 내지 40%이다.If the material thickness is greater than 1 millimeter, the maximum tensile force is preferably 40 daN to 120 daN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wherein the maximum tensile force extension in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is 20% to 40%.

직물은 복수의 필터 개구부를 갖고, 여기에서 필터 개구부는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700 ㎛, 가장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550 ㎛, 그리고 특히 300 내지 500 ㎛ 범위의 중간 직경을 갖는다. 필터 개구부의 중간 직경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The fabric has a plurality of filter openings wherein the filter openings preferably have a median diameter in the range of from 100 to 1000 占 퐉, more preferably from 200 to 700 占 퐉, most preferably from 250 to 550 占 퐉, and especially from 300 to 500 占 퐉 Respectively. Methods for determining the median diameter of the filter openings ar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필터 개구부의 횡단면 합이 직물의 총 횡단면의 0.1 내지 10% 사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사이,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4%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복수의 필터 개구부를 갖는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abric is made from a plurality of fibers which are made in such a way that the cross-sectional sum of the filter openings comprises between 0.1% and 10%, more preferably between 1% and 3%, and most preferably 1.4% of the total cross- Filter openings.

필터 개구부의 중간 직경 및 D[4,3] 값은, 음료 물질의 입자가 커피 음료로 통과하지 않고 동시에 가능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음료 물질의 추출이 달성되는 방식으로 서로 맞추어진다.The median diameter and D [4,3] value of the filter openings are matched in such a way that the particles of beverage material do not pass through the coffee beverage and simultaneously the extraction of the beverage material as quickly and efficiently as possible is achieved.

직물의 공기 투과성은 DIN ISO 9237에 명시되는 것과 같이 측정된다. 이 목적을 위해, 샘플 재료의 정의된 면적이 인장된다. 공기는 표면에 수직으로 샘플을 통해 흐른다. 측정은 진공 또는 차압 측정으로서 진행될 수 있다. 공기 투과성은 바람직하게는 100 파스칼의 압력에서 측정된다.The air permeability of the fabric is measured as specified in DIN ISO 9237. For this purpose, the defined area of the sample material is stretched. Air flows through the sample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The measurement may proceed as a vacuum or differential pressure measurement. The air permeability is preferably measured at a pressure of 100 pascals.

직물은 50 내지 4000 L/(㎡s) 범위의 공기 투과성을 갖는다.The fabric has an air permeability in the range of 50 to 4000 L / (m2s).

직물의 특히 바람직한 공기 투과성이 아래 표에 실시예 D1 내지 D43으로 요약된다:A particularly preferred air permeability of the fabric is characterized by embodiments D 1 to D 43 in the following table:

Figure 112015062459668-pct00004
Figure 112015062459668-pct00004

Figure 112015062459668-pct00005
Figure 112015062459668-pct00005

Figure 112015062459668-pct00006
Figure 112015062459668-pct00006

Figure 112015062459668-pct00007
Figure 112015062459668-pct00007

Figure 112015062459668-pct00008
Figure 112015062459668-pct00008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1800 내지 2200 L/(㎡s) 범위의 공기 투과성을 갖는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abric has an air permeability in the range of 1800 to 2200 L / (m2s).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100 내지 600 L/(㎡s) 범위의 공기 투과성을 갖는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fabric has an air permeability in the range of 100 to 600 L / (m2s).

직물이 플리스를 포함하거나 플리스로 구성될 때, 실시예 D24 내지 D26이 바람직하고, D41이 특히 바람직하다.When the fabric comprises fleece or consists of a fleece, examples D 24 to D 26 are preferred, and D 41 is particularly preferred.

직물이 펠트를 포함하거나 펠트로 구성될 때, 실시예 D2 내지 D5, D7 내지 D9 및 D11 내지 D13이 바람직하고, D35이 특히 바람직하다.When the fabric comprises felt or comprises felt, Examples D 2 to D 5 , D 7 to D 9 and D 11 to D 13 are preferred, and D 35 is particularly preferred.

바람직하게, 직물은 10 내지 2500 g/㎡ 범위의 단위 면적 당 중량을 갖는다. 단위 면적 당 중량의 다른 명칭은 면적 밀도 또는 평량(grammage)이다.Preferably, the fabric has a weight per unit area in the range of 10 to 2500 g / m < 2 >. Another name for weight per unit area is area density or grammage.

직물의 단위 면적 당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단위 면적 당 중량은 바람직하게는 DIN EN 12127에 명시된 것과 같이 측정된다.Methods for measuring the weight per unit area of a fabric ar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weight per unit area is preferably measured as specified in DIN EN 12127.

바람직한 실시예 E1 내지 E24가 아래 표에 요약된다:Preferred examples E 1 to E 24 are summarized in the table below:

Figure 112015062459668-pct00009
Figure 112015062459668-pct00009

Figure 112015062459668-pct00010
Figure 112015062459668-pct00010

Figure 112015062459668-pct00011
Figure 112015062459668-pct00011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20 내지 120 g/㎡ 범위의 단위 면적 당 중량을 갖는다.In a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the fabric has a weight per unit area in the range of 20 to 120 g / m < 2 >.

다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400 내지 1500 g/㎡ 범위의 단위 면적 당 중량을 갖는다.In another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the fabric has a weight per unit area in the range of 400 to 1500 g / m < 2 >.

직물이 플리스를 포함하거나 플리스로 구성될 때, 실시예 E3 및 E4가 바람직하고, E18이 특히 바람직하다.When the fabric comprises a fleece or consists of a fleece, examples E 3 and E 4 are preferred, and E 18 is particularly preferred.

직물이 펠트를 포함하거나 펠트로 구성될 때, 실시예 E8, E10, E11, E15 및 E17이 바람직하고, E19이 특히 바람직하다.When the fabric comprises felt or comprises felt, examples E 8 , E 10 , E 11 , E 15 and E 17 are preferred, and E 19 is particularly preferred.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1150±1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1150±8 g/㎡,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150±6 g/㎡, 가장 바람직하게는 1150±4 g/㎡, 그리고 특히 1150±2 g/㎡의 단위 면적 당 중량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은 바람직하게는 펠트를 포함하거나, 바람직하게는 펠트로 구성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fabric has a density of 1150 + - 10 g / m2, more preferably 1150 + 8 g / m2, even more preferably 1150 + - 6 g / And especially a weight per unit area of 1150 + - 2 g / m < 2 >.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abric preferably comprises a felt, or preferably a felt.

바람직한 특징의 조합은 D2E11, D11E8, D4E14, D24E3, D26E4, D32E23, D35E19 및 D41E18이다.Preferred combinations of features are D 2 E 11 , D 11 E 8 , D 4 E 14 , D 24 E 3 , D 26 E 4 , D 32 E 23 , D 35 E 19 and D 41 E 18 .

바람직하게는, 직물의 g/㎡로 나타낸 단위 면적 당 중량과 L/(㎡s)로 나타낸 공기 투과성의 비율은 0.01 내지 10 (gs)/L 범위에 있다.Preferably, the ratio of the weight per unit area expressed in g / m < 2 > of fabric to the air permeability in L / (m2s) is in the range of 0.01 to 10 (gs) / L.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의 g/㎡로 나타낸 단위 면적 당 중량과 L/(㎡s)로 나타낸 공기 투과성의 비율은 0.01 내지 1,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5,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0.025 내지 0.1, 가장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06, 그리고 특히 0.03 내지 0.04(gs)/L 범위에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ratio of the weight per unit area expressed in g / m 2 of fabric to the air permeability in L / (m 2 s) is from 0.01 to 1, more preferably from 0.02 to 0.5, even more preferably from 0.025 to 0.1 , Most preferably 0.03 to 0.06, and especially 0.03 to 0.04 (gs) / L.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의 g/㎡로 나타낸 단위 면적 당 중량과 L/(㎡s)로 나타낸 공기 투과성의 비율은 적어도 1(gs)/L,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gs)/L,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gs)/L, 또는 4(gs)/L,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gs)/L, 그리고 특히 적어도 6(gs)/L이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ratio of weight per unit area expressed in g / m 2 of fabric to air permeability in L / (m 2 s) is at least 1 (gs) / L, more preferably at least 2 (gs) / L L, and even more preferably at least 3 (gs) / L, or 4 (gs) / L, most preferably at least 5 (gs) / L and especially at least 6 (gs) / L.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의 g/㎡로 나타낸 단위 면적 당 중량과 L/(㎡s)로 나타낸 공기 투과성의 비율은 6.76 ± 0.2(gs)/L이다.In a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the ratio of weight per unit area expressed in g / m 2 of fabric to air permeability in L / (m 2 s) is 6.76 ± 0.2 (gs) / L.

다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의 g/㎡로 나타낸 단위 면적 당 중량과 L/(㎡s)로 나타낸 공기 투과성의 비율은 1.63 ± 0.2(gs)/L이다.In another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the ratio of weight per unit area expressed in g / m 2 of fabric to air permeability in L / (m 2 s) is 1.63 ± 0.2 (gs) / L.

또 다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의 g/㎡로 나타낸 단위 면적 당 중량과 L/(㎡s)로 나타낸 공기 투과성의 비율은 0.035 ± 0.01(gs)/L이다.In another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the ratio of the weight per unit area expressed in g / m 2 of fabric to the air permeability in L / (m 2 s) is 0.035 ± 0.01 (gs) / L.

직물은 바람직하게는 0.20 내지 5 mm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The fabric preferably has a thickness in the range of 0.20 to 5 mm.

직물이 플리스를 포함하거나 플리스로 구성될 때, 이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20 내지 0.8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0.39 mm 범위에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32 mm이다.When the fabric comprises a fleece or consists of a fleece, its thickness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20 to 0.8 m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25 to 0.39 mm, and most preferably 0.32 mm.

직물이 펠트를 포함하거나 펠트로 구성될 때, 이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20 내지 5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 mm 범위에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2 mm이다.When the fabric comprises felt or comprises felt, its thickness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20 to 5 m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5 to 3.5 mm, and most preferably 3.2 mm.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이 펠트를 포함하거나 펠트로 구성될 때, 이의 두께는 2 내지 6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3.8 내지 4.2 mm 범위에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은 바람직하게는 1150± 10 g/㎡의 단위 면적 당 중량을 갖는다.In a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when the fabric comprises felt or comprises felt, the thickness thereof is in the range of 2 to 6 mm, more preferably 3 to 5 mm, and most preferably 3.8 to 4.2 m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abric preferably has a weight per unit area of 1150 +/- 10 g / m < 2 >.

직물의 직경은 캡슐 기부의 내부 직경에 상응할 수 있지만, 더 크거나 더 작을 수도 있다.The diameter of the fabric may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capsule base, but may be larger or smaller.

직물의 직경이 캡슐 기부의 내부 직경 보다 더 클 때, 1인용 캡슐이 음료 물질로 충전될 때 직물은 바닥 영역으로 가압되는데, 여기에서 돌출 림 영역은 1인용 캡슐의 측벽 영역에 달라붙게 되고 충전재 측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충전재 측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이는 직물의 중앙 영역이 외부로부터 바닥 영역으로 관통되는 천공 수단과의 기계적 접촉으로 인해 바닥으로부터 들려질 때, 음료 물질이 배출 개구의 방향으로 직물의 림을 지나 여과되지 않고 흐르는 일이 없게 되는 방식으로, 림 영역이 캡슐 기부의 방향과 중앙 영역의 방향으로 함께 미끄러진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는 특히, 비탄성 직물의 경우에도 필터 작용의 손상 없이 캡슐 기부로부터 직물이 들려지는 것을 허용한다. 탄성 직물의 경우에는, 연장과 함께 미끄러짐의 조합이 캡슐 기부 천공의 경우에도 가능하기 때문에, 필터 작용의 손상 없이 중앙 영역이 들려지는 것이 직물의 함께 미끄러지는 림 영역에 의해 적어도 촉진된다.When the diameter of the fabric is greater than the internal diameter of the capsule base, the fabric is pressed into the bottom area when the single capsule is filled with the beverage material, where the protruding rim area sticks to the side wall area of the single- Or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filler. This is done in such a way that when the central region of the fabric is lifted from the bottom due to mechanical contact with the perforating means penetrating from the outside to the bottom region, the beverage material does not flow unfiltered past the rim of the fabric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opening , The rim area slides together in the direction of the capsule base an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region. This in particular allows the fabric to be lifted from the capsule base without damaging the filter action even in the case of inelastic fabrics. In the case of elastic fabrics, it is at least facilitated by the rim area of the fabric that slides together, because the combination of slides with extension is also possible in the case of capsular base perforations, so that the central region is heard without compromising the filter action.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의 직경은 캡슐 기부의 내부 직경 보다 1 내지 15% 크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diameter of the fabric is 1 to 15% grea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apsule base.

직물은 캡슐 기부 위에 고정되거나, 캡슐 기부 위에 단순히 놓일 수 있다.The fabric may be fixed on the base of the capsule, or may simply rest on the base of the capsule.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캡슐 기부 본체에 간단히 놓이고, 따라서 가능한 넓은 영역에 인접하는 방식으로 1인용 캡슐의 기부에 배열된다. 다음에, 음료 물질이 캡슐 기부 본체로 충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경우 직물이 그 위에 놓이는 음료 물질에 의해 캡슐 기부로 고정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abric is simply placed on the capsule base body, and thus arranged in the base of the single-person capsule in a manner as close as possible to a large area. Next, the beverage material may be filled into the capsule base body. Preferably, in this case, the fabric is secured to the capsule base by the beverage material on which it is placed.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예를 들어 접착 또는 밀봉에 의해 캡슐 기부에 연결된다. 밀봉은 바람직하게는 초음파에 의해 시행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fabric is connected to the capsule base by, for example, gluing or sealing. Sealing is preferably carried out by ultrasonic waves.

특히 바람직하게는, 펠트 구조를 갖는 직물이 캡슐 기부로, 특히 초음파에 의해 밀봉된다.Particularly preferably, the fabric having a felt structure is sealed to the capsule base, in particular by ultrasonic waves.

직물이 하나 이상의 펠트 구조 및 지지 구조를 갖는다면, 이들 구조는 1인용 캡슐에서 하나 위에 다른 것이 배열되고 임의로 서로 연결된다.If the fabric has more than one felt structure and supporting structure, these structures are arranged one above the other and optionally connected to one another in a single capsule.

직물이 플리스를 포함하거나 플리스로 구성된다면, 플리스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캡슐 기부에, 특히 초음파에 의해 밀봉된다.If the fabric comprises or consists of a fleece, the fleece is particularly preferably sealed to the base of the capsule, in particular by ultrasonic waves.

추가적으로 바람직하게, 플리스는 기부에서의 배열을 개선시키기 위해 캡슐, 특히 캡슐 기부로 고정되기 전에 인장된다.Additionally and preferably, the fleece is stretched before it is secured to the capsule, especially the capsule base, to improve the arrangement at the base.

직물을 포함하는 빈 캡슐 기부 본체의 중량은 1.00 내지 2.50 g이다.The weight of the empty capsule base body containing the fabric is 1.00 to 2.50 g.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을 포함하는 빈 캡슐 기부 본체의 중량은 1.00 내지 1.8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70 g,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60 g, 가장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50, 그리고 특히 1.35 내지 1.41 g 범위에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weight of the empty capsule base body comprising the fabric is from 1.00 to 1.80 g, more preferably from 1.10 to 1.70 g, still more preferably from 1.20 to 1.60 g, most preferably from 1.30 to 1.50, 1.35 to 1.41 g.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을 포함하는 빈 캡슐 기부 본체의 중량은 1.70 내지 2.5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 내지 2.40 g,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90 내지 2.30 g,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20, 그리고 특히 2.08 내지 2.14 g 범위에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weight of the empty capsule base body comprising the fabric is from 1.70 to 2.50 g, more preferably from 1.80 to 2.40 g, even more preferably from 1.90 to 2.30 g, most preferably from 2.00 to 2.20, Especially in the range of 2.08 to 2.14 g.

습기와 산소로부터 음료 물질을 보호하고 1인용 캡슐의 저장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1인용 캡슐은 캡슐 내부에 약간의 초과압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불활성 가스로 충전된다.To protect the beverage material from moisture and oxygen and to increase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single capsule, the single capsule is preferably filled with an inert gas in such a way that some excess pressure is formed inside the capsule.

불활성 가스는 바람직하게는 질소이다.The inert gas is preferably nitrogen.

1인용 캡슐에는 식별자(identifier)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커피 음료를 생산하기 위한 기구의 연결 요소를 갖는 1인용 캡슐의 기계적 연결 또는 기계적 식별자가 캡슐 기부 본체의 벽 영역에 있는 위에 언급한 홈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전기적 전도성 또는 자성에 기초한 식별자가 사용될 수도 있다.An identifier may be provided for a single capsule. Thus, for example, a mechanical connection or mechanical identifier of a single capsule having a connection element of a device for producing a coffee beverage can be achiev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groove in the wall region of the capsule base body. An identifier based on electrical conductivity or magnetism may also be used.

조제 압력은 분말 커피의 D[4,3] 값에 의해, 그리고 또한 1인용 캡슐에 존재하는 음료 물질의 양에 의해 표준화된 조건 하에서 영향을 받는다.The preparation pressure is influenced by the D [4,3] value of the powdered coffee and also under the conditions normalized by the amount of beverage substance present in the single capsule.

조제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8 bar,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1 bar의 범위에 있다.The preparation pressur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18 bar, more preferably 3 to 11 bar.

조제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조제실에 놓인 1인용 캡슐 안으로, 및 이를 통하여 물을 퍼올리기 위해 펌프가 가해야 하는 측정된 압력을 지칭한다.The dispensing pressure preferably refers to the measured pressure within the single capsule placed in the dispensing chamber and through which the pump must be pumped to raise the water.

바람직한 실시예 F1 내지 F10은 아래 표에 요약된다:Preferred Embodiments F 1 to F 10 are summarized in the table below:

Figure 112015062459668-pct00012
Figure 112015062459668-pct00012

특히 바람직한 것은 실시예 F2 내지 F10 및 특히 F2 및 F9에 주어진다.Particularly preferred are given in Examples F 2 to F 10 and especially F 2 and F 9 .

본 발명에 따른 1인용 캡슐을 사용하여, 다양한 커피 음료를 생산할 수 있다.By using the single caps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various coffee beverages.

바람직한 커피 음료는 에스프레소 및 필터 커피이다.Preferred coffee beverages are espresso and filter coffee.

바람직하게, "필터 커피"라는 표현은 비가압된 여과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 커피 음료에 상응하는 80 mL 보다 큰 용량을 갖는 커피 음료를 지칭한다.Preferably, the expression "filter coffee" refers to a coffee beverage having a capacity greater than 80 mL, corresponding to a coffee beverage that can be produced using a non-pressurized filtration device.

달성 가능한 음료 용량은 20 내지 400 mL 범위에 있다.The achievable beverage volume is in the range of 20 to 400 mL.

달성 가능한 음료 용량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70 mL 범위에 있다.The achievable beverage volum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to 170 mL.

특히 바람직하게는, 달성 가능한 음료 용량은 30 내지 50 mL, 30 내지 120 mL, 100 내지 150 mL, 또는 180 내지 300 mL 사이에 있다.Particularly preferably, the achievable beverage volume is between 30 and 50 mL, between 30 and 120 mL, between 100 and 150 mL, or between 180 and 300 mL.

커피 음료가 에스프레소라면, 달성 가능한 음료 용량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 mL, 그리고 특히 30 내지 50 mL 사이에 있다.If the coffee beverage is espresso, the achievable beverage volume is preferably between 20 and 70 mL, and especially between 30 and 50 mL.

커피 음료가 필터 커피라면, 달성 가능한 음료 용량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50 mL, 80 내지 180 mL, 또는 150 내지 330 mL 사이에 있다.If the coffee beverage is filter coffee, the achievable beverage volume is preferably between 20 and 150 mL, between 80 and 180 mL, or between 150 and 330 mL.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달성 가능한 음료 용량은 150 내지 330 mL, 그리고 특히 180 내지 300 mL 사이에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achievable beverage volume is between 150 and 330 mL, and especially between 180 and 300 mL.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달성 가능한 음료 용량은 80 내지 180 mL, 그리고 특히 100 내지 150 mL 사이에 있다.In a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the achievable beverage volume is between 80 and 180 mL, and especially between 100 and 150 mL.

또 다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달성 가능한 음료 용량은 20 내지 150 mL, 그리고 특히 30 내지 120 mL 사이에 있다.In another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the achievable beverage volume is between 20 and 150 mL, and especially between 30 and 120 mL.

생산되는 커피 음료는 크레마를 가질 수 있다.Produced coffee beverages can have crema.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커피 음료는 크레마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커피 음료는 바람직하게는 에스프레소 또는 커피이고, 여기에서 커피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20 mL 사이의 용량을 갖는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ffee beverage has a crema.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offee beverage is preferably espresso or coffee, wherein the coffee preferably has a capacity between 30 and 120 mL.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커피 음료는 크레마를 갖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커피 음료는 바람직하게는 필터 커피이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coffee beverage does not have a crema.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offee beverage is preferably filter coffee.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커피 음료는 크레마를 갖는데, 여기에서 직물은 1800 내지 2200 L/(㎡s) 범위의 공기 투과성을 갖고/갖거나 직물은 20 내지 120 g/㎡ 범위의 단위 면적 당 중량을 갖고/갖거나 캡슐 기부는 폐쇄된다.In a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the coffee beverage has a crema wherein the fabric has an air permeability in the range of 1800 to 2200 L / (m 2 s), or the fabric has a weight per unit area in the range of 20 to 120 g / m 2 And the capsule base is closed.

다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커피 음료는 크레마를 갖지 않는데, 여기에서 직물은 100 내지 600 L/(㎡s) 범위의 공기 투과성을 갖고/갖거나 직물은 400 내지 1500 g/㎡ 범위의 단위 면적 당 중량을 갖고/갖거나 캡슐 기부는 부분적으로 개방된다.In another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the coffee beverage does not have a crema, wherein the fabric has an air permeability in the range of 100 to 600 L / (m2s) and / or the fabric has a per unit area in the range of 400 to 1500 g / And / or the capsule base is partially open.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의 바람직한 조합은 다음 표에 요약된다:Preferred combinations of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s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able:

Figure 112015062459668-pct00013
Figure 112015062459668-pct00013

예시적 Illustrative 실시예Example

로스팅의 정도는 색상 측정 기구 Colorette 3b(Probat; 2011 구성)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원리는 반사 측정에 기초한다. 이 경우 측정될 커피 샘플은 2파장의 광(적색광 및 적외선)으로 비추어진다. 반사된 광의 합은 전자적으로 평가하여 색상 값으로 표시된다. 매우 어두운 로스팅된 비가공(raw) 커피는 50 내지 70 사이의 측정 값을 준다. 중간-강도에서 가벼운 방식으로 로스팅된 커피 콩은 70 보다 큰 값을 갖는다.The degree of roasting was measured using Colorette 3b (Probat; 2011 composition). The measurement principle is based on reflection measurements. In this case, the coffee sample to be measured is illuminated with two wavelengths of light (red light and infrared light). The sum of the reflected light is electronically evaluated and displayed as a color value. A very dark roasted raw coffee gives a measurement between 50 and 70. Coffee beans roasted in moderate-intensity to light-weight have a value greater than 70.

입자 크기 분포 및 D[4,3] 값은 Malvern Mastersizer 3000 측정 기구 및 Malvern AeroS 분산 유닛을 사용하여 건식 측정으로 결정하였다. 이 목적을 위해, 약 7 g의 분말 로스팅된 커피를 4 bar의 분산 압력에서 측정 셀로 옮겼다. 입자 크기 분포는 레이저 회절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고, D[4,3] 값은 프라운호퍼 이론에 따라 산란된 광 및 이로부터 얻어지는 회절 각도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D [4,3] values were determined by dry measurements using a Malvern Mastersizer 3000 instrument and a Malvern AeroS dispersing unit. For this purpose, about 7 g of powdered roasted coffee was transferred to the measuring cell at a dispersion pressure of 4 bar.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can be measured using laser diffraction, and the D [4,3] value can be measured by detecting scattered light according to the Fraunhofer theory and the diffraction angle obtained therefrom.

직물의 공기 투과성은 DIN ISO 9237에 명시된 것과 같이 측정하였다. 이 목적을 위해, 샘플 재료의 정의된 면적을 인장시켰다. 공기는 표면에 수직으로 샘플을 통해 흘렀다. 측정은 진공 또는 차압 측정으로서 진행될 수 있다. 공기 투과성은 100 파스칼의 압력에서 측정하였다.The air permeability of the fabric was measured as specified in DIN ISO 9237. For this purpose, a defined area of the sample material was stretched. The air flowed through the sample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The measurement may proceed as a vacuum or differential pressure measurement. Air permeability was measured at a pressure of 100 pascals.

직물의 단위 면적 당 중량은 DIN EN 12127에 명시된 것과 같이 측정하였다.The weight per unit area of the fabric was measured as specified in DIN EN 12127.

조제 압력은 조제실에 놓인 1인용 캡슐 안으로, 그리고 이를 통해 물을 퍼올리기 위해 펌프가 가해야 하는 측정된 압력으로 지칭된다.The dispensing pressure is referred to as the measured pressure that must be applied by the pump to lift the water through the single capsule placed in the dispensing chamber.

평가 기준으로서, 크레마가 없는 것에 기초한 시각적 특성과 관련하여, 그리고 또한 풍미 특성과 관련하여, 음료의 감각적 평가가 사용되었다. 개방된 캡슐 기부로는 거의 또는 전혀 크레마가 형성되지 않는다. 소량의 거품 또는 기포가 10 초 이내에 사라질 때, 샘플은 크레마-비함유로 지칭되었다. 풍미 시험에서는, 0 내지 6 점 척도에서 5.0 내지 6.0 사이의 값이 달성되어야 했다(0=불만족, 3=만족하지도 불만족하지도 않음, 6=극히 만족).As an evaluation criterion, a sensory evaluation of the drink was used, in relation to the visu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absence of crema, and also in relation to the flavor characteristics. There is little or no crema formation in the open capsule bases. When a small amount of foam or bubbles disappeared within 10 seconds, the sample was referred to as crema-free. In the flavor test, a value between 5.0 and 6.0 had to be achieved on the scale of 0 to 6 points (0 = unsatisfactory, 3 = unsatisfied or not satisfactory, 6 = extremely satisfied).

실질적으로 로스팅도(roastiness), 쓴맛, 산도, 당도 및 바디감(body) 기준이 사용되었다. 시험은 훈련된 감각 시험자에 의해 시행되었다.Substantial roastiness, bitter taste, acidity, sugar and body standards were used. The test was conducted by trained sensory testers.

예시적 Illustrative 실시예Example 1 One

다공성-캐스케이드-유사 직물을 사용하여, 커피의 로스팅 값과 D[4,3] 값을 달리하여 다양한 커피 음료를 생산하였다(표 1).Using a porous-cascade-like fabric, various coffee beverages were produced with different roasting values and D [4,3] values of coffee (Table 1).

시험 시리즈 1((D[4,3] 값 550 ㎛, 색상 값 50~90)로부터 진행하여, 로스팅 정도(색상 값을 통해 표시)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감각적 특성이 가능하게는 개선된 다른 커피 음료를 생산하였다.By proceeding from Test Series 1 ((D [4,3] value of 550 [mu] m, hue value of 50-90) and changing the degree of roasting (indicated by color value) Beverage.

그러나, D[4,3] 값을 350 ㎛로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감각적 특성에 결함이 없고 70~120의 색상 값을 갖는 크레마-비함유 커피 음료를 달성할 수 있었다(시험 시리즈 2). 350 ㎛의 D[4,3] 값에서는, 낮은 색상 값(50~70)과 조합하여, 양호한 감각적 특성을 갖는 커피 음료가 얻어질 수 없었다(시험 시리즈 3).However, by reducing the D [4,3] value to 350 占 퐉, a crema-free coffee beverage having no defect in sensory properties and having a color value of 70 to 120 could be achieved (Test Series 2 ). At a D [4,3] value of 350 [mu] m, coffee beverages with good sensory characteristics could not be obtained in combination with low color values (50-70) (test series 3 ).

표 1에 요약된 결과는 더 큰 D[4,3] 값(550 ㎛)을 갖는 입자 분포와 더 낮은 색상 값(50~90)의 조합(시험 시리즈 1) 및 더 작은 D[4,3] 값(350 ㎛)과 더 높은 색상 값(70~120)의 조합(시험 시리즈 2)이 양호한 감각적 품질의 크레마-비함유 음료를 야기한다는 것을 보여준다.The results summarized in Table 1 show that the combination of particle distribution with a larger D [4,3] value (550 μm) and lower color values (50-90) (Test Series 1 ) and smaller D [4,3] The combination of the value (350 占 퐉) and the higher color value (70-120) (test series 2 ) results in a creamic-free drink of good sensory quality.

더 큰 D[4,3] 값(400~550 ㎛)과 더 높은 색상 값(70~120)의 조합 또는 더 작은 D[4,3] 값(350 ㎛)과 더 낮은 색상 값(50~70)의 다른 조합은 대조적으로 양호한 음료를 얻지 못한다.A combination of a larger D [4,3] value (400 to 550 탆) and a higher color value (70 to 120) or a smaller D [4,3] value (350 탆) ≪ / RTI > does not obtain a good drink in contrast.

예시적 Illustrative 실시예Example 2 2

평탄-투과성 직물을 사용하여, 커피의 로스팅 값과 D[4,3] 값을 달리하여 다양한 커피 음료를 생산하였다(표 2).Using a flat-transparent fabric, various coffee beverages were produced with different roasting values and D [4,3] values of coffee (Table 2).

350 ㎛ 및 310 ㎛의 D[4,3] 값의 경우, 70~120의 색상 값과 조합하여, 양호한 감각적 특성을 갖는 커피 음료가 얻어질 수 있었다(시험 시리즈 45).For D [4,3] values of 350 [mu] m and 310 [mu] m, coffee beverages with good sensory characteristics could be obtained in combination with color values of 70-120 (test series 4 and 5 ).

시험 시리즈 5, 67은 분쇄의 정도(D[4,3] 값을 통해 표현됨) 및 로스팅 정도(색상 값을 통해 표현됨)를 변화시키는 것이 일정한 추출 압력에서 - 시험 시리즈 57 - 보다 양호한 감각적 결과를 야기한 것을 보여준다. 거친 입자 분률을 증가시키는 것 - 시험 시리즈 6 - 은 이를 제공할 수 없는데, 추출 압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분쇄의 정도(D[4,3] 값을 통해 표현됨)를 변화시키는 것, 그리고 로스팅 정도(색상 값을 통해 표현됨)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또한 달성 가능한 음료 수율이 증가될 수 있었고 필요로 하는 칭량 부분이 감소되었다 - 시험 시리즈 5.Test series 5, 6 and 7 is approximately (D [4,3] by a value represented) and the roasting degree of extraction at a constant pressure to vary the (represented by the color value) of the crushed-test series of 5 to 7-preferred than Showing sensory results. Increasing the coarse fraction of particles - test series 6 - can not provide this, because the extraction pressure drops. By varying the degree of grinding (expressed in terms of D [4,3]) and varying the degree of roasting (expressed through color values), the achievable beverage yield could also be increased and the required weighing Parts have been reduced - Test series 5 .

시험 시리즈 67에서 로스팅 정도를 50~70까지 변화시키는 것은, 대조적으로 시험 시리즈 45의 것에 비해 만족스럽고 비교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Changing the degree of roasting in test series 6 and 7 from 50 to 70, on the contrary, did not yield satisfactory and comparable results compared to the test series 4 and 5 .

표 2에 요약된 결과는 표 1로부터의 결과와 동일한 경향을 보여준다. 더 작은 D[4,3] 값(350 ㎛, 310 ㎛)과 더 높은 색상 값(70~120)의 결합(시험 시리즈 45)에 의해, 양호한 감각적 특성과 크레마를 갖는 음료가 달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The results summarized in Table 2 show the same tendency as the results from Table 1. By combining a smaller D [4,3] value (350 μm, 310 μm) and a higher color value (70-120) (test series 4 and 5 ), a drink with good sensory characteristics and a crema is achieved can see.

대조적으로, 더 작은 D[4,3] 값(330 ㎛, 290 ㎛)과 더 낮은 색상 값(50~70)의 조합은 양호한 음료를 얻지 못한다(시험 시리즈 67).In contrast, the combination of the smaller D [4,3] values (330 μm, 290 μm) and the lower color values (50-70) does not yield good beverages (test series 6 and 7 ).

Figure 112015062459668-pct00014
Figure 112015062459668-pct00014

Figure 112015062459668-pct00015
Figure 112015062459668-pct00015

Claims (15)

커피 음료를 생산하기 위한 1인용(single serve) 캡슐에 있어서,
상기 1인용 캡슐은 직물 및 음료 물질이 배열되는 캡슐 기부 본체를 갖고,
상기 음료 물질은 1인용 캡슐에 저장을 위해, 그리고 가압된 온수에 의해 상기 직물을 통한 추출을 위해 1인용 캡슐에 제공되고,
상기 음료 물질은 1 내지 20 g 범위의 양으로 1인용 캡슐에 존재하고,
상기 음료 물질은 분체이고, 건조 상태에서 425 내지 575 ㎛ 범위의 D[4,3] 값을 갖는 로스팅된 분말 커피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로스팅된 분말 커피는 50 내지 130 범위의 색상 값을 갖고,
상기 직물은 미세 플라스틱 섬유로부터 생산된 플리스(fleece) 재료를 포함하는 플리스이고,
상기 직물은 100 파스칼의 압력에서 측정시 100 내지 600 L/(㎡s)의 공기 투과성을 갖는, 1인용 캡슐.
A single serve capsule for producing a coffee drink,
Wherein the single-person capsule has a capsule base body on which fabric and beverage materials are arranged,
Said beverage material being provided in a single capsule for storage in a single capsule and for extraction through said fabric by pressurized hot water,
Wherein the beverage material is present in a single person capsule in an amount ranging from 1 to 20 g,
Wherein the beverage material is powder and comprises roasted powdered coffee having a D [4,3] value in the range of 425 to 575 [mu] m in a dry state; And
The roasted powdered coffee has a color value in the range of 50 to 130,
The fabric is a fleece comprising a fleece material produced from micro-plastic fibers,
Wherein the fabric has an air permeability of 100 to 600 L / (m < 2 > s) as measured at a pressure of 100 pascal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7017279A 2012-11-30 2013-11-25 Single serve capsule for producing coffee beverages with and without crema KR10183269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111685.7 2012-11-30
DE102012111685.7A DE102012111685A1 (en) 2012-11-30 2012-11-30 Portion capsule for making coffee drinks with and without crema
PCT/EP2013/074652 WO2014082976A1 (en) 2012-11-30 2013-11-25 Single serve capsule for producing coffee beverages with and without crem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716A KR20150095716A (en) 2015-08-21
KR101832695B1 true KR101832695B1 (en) 2018-02-28

Family

ID=49681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7279A KR101832695B1 (en) 2012-11-30 2013-11-25 Single serve capsule for producing coffee beverages with and without crema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20150314952A1 (en)
EP (1) EP2925640A1 (en)
JP (1) JP6117371B2 (en)
KR (1) KR101832695B1 (en)
CN (1) CN104822605A (en)
AU (2) AU2013351262B2 (en)
BR (1) BR112015012456A2 (en)
CA (1) CA2892746C (en)
DE (1) DE102012111685A1 (en)
DO (1) DOP2015000125A (en)
IL (1) IL238872A0 (en)
MX (1) MX2015006709A (en)
PH (1) PH12015501213A1 (en)
RU (1) RU2660000C2 (en)
SG (1) SG11201503841RA (en)
TN (1) TN2015000234A1 (en)
WO (1) WO2014082976A1 (en)
ZA (1) ZA201504193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914A (en) 2018-03-13 2019-09-23 정태년 Method for manufacturing air coffe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39643B (en) * 2014-01-23 2020-02-18 皇家飞利浦有限公司 Method and apparatus for roasting partially roasted coffee beans
NL2017283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System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 beverage
NL2017285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System, apparatus, method, capsule and kit of capsules for preparing a beverage
NL2017279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NL2019218B1 (en) 2016-08-03 2018-07-06 Douwe Egberts Bv Capsule, system and use of the system for preparing double beverages like a double espresso, a double lungo and a double ristretto
NL2017281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NL2017278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System, apparatus, method, capsule and kit of capsules for preparing a beverage
NL2017277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and system comprising the apparatus and an exchangeable capsule
NL2017284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field and background
NL2019220B1 (en) * 2017-07-10 2019-01-16 Douwe Egberts Bv Capsule and system for preparing a crema-free coffee beverage
CH714423A2 (en) 2017-12-12 2019-06-14 Pacovis Ag Capsule.
EP3511266A1 (en) * 2018-01-15 2019-07-17 Axel Nickel Capsule containing beverage powder and filler, particularly for preparing brewed coffee
WO2019204914A1 (en) * 2018-04-23 2019-10-31 2266170 Ontario Inc. Capsules, beverage brewing systems and fabrics with optimum filtration characteristics
US20200087057A1 (en) * 2018-09-13 2020-03-19 Brett C. Richardson Biodegradable coffee filter system
NL2022190B1 (en) 2018-12-12 2020-07-03 Douwe Egberts Bv Air purge groov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72813A1 (en) 2002-03-14 2003-09-18 Rene Schifferle Cartridge containing a single serving of a particulate substance for preparing a beverage
JP2006528497A (en) * 2003-07-23 2006-12-21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beverages of different foam content from capsules
US20120070543A1 (en) * 2010-09-20 2012-03-22 Gotthard Mahlich Portion capsule and method for producing a beverage using a portion capsul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22567A (en) * 1968-06-21 1971-02-17 Hugo Bednartz A device for infusing a drink in a pot
WO1987004598A1 (en) * 1986-02-06 1987-08-13 Code Kaffee-Handelsgesellschaft Mbh Coffee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US4867993A (en) * 1988-02-08 1989-09-19 Nordskog Robert A Disposable beverage brewing chamber
DE19723761A1 (en) * 1996-06-26 1998-01-02 Buehler Gmbh Compacting of grainy or powdered goods e.g. in coffee mill
DE10206924B4 (en) * 2002-02-19 2005-12-15 Papierfabrik Schoeller & Hoesch Gmbh & Co. Kg Heat-sealable filter materials
US20040045443A1 (en) * 2002-06-19 2004-03-11 Lazaris Nicholas G. Disposable beverage filter package
DE20217411U1 (en) * 2002-11-08 2004-06-03 Melitta Haushaltsprodukte Gmbh & Co. Kg Portion pack and device for producing an aroma drink
ITBO20030062A1 (en) * 2003-02-13 2004-08-14 Ima Spa CAPSULE USED FOR THE PREPARATION OF AN INFUSED BEVERAGE.
US8505440B2 (en) * 2003-07-22 2013-08-13 The Coca-Cola Company System for varying coffee intensity
DE102004002005A1 (en) * 2004-01-14 2005-08-11 Schifferle, René Portion capsule with ground coffee for making a coffee beverage
EP1586447A1 (en) * 2004-04-15 2005-10-19 Sihl GmbH New laminating process and laminates resulting thereof
DE102005058336A1 (en) 2005-12-02 2007-06-06 Tchibo Gmbh portion capsule
US8431175B2 (en) * 2007-06-05 2013-04-30 Nestec S.A.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or food liquid and system using brewing centrifugal force
DE602008001614D1 (en) * 2008-01-29 2010-08-05 Sara Lee De Nv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BEVERAGE
US20120070542A1 (en) * 2010-09-16 2012-03-22 Starbucks Corporation D/B/A Starbucks Coffee Company Instant beverage cartridges and methods
EP2364930B1 (en) * 2009-03-19 2018-12-05 Nestec S.A. Capsule for preparing coffee in a device comprising a cartridge holder with relief and recessed elements
CN104757223B (en) * 2009-04-09 2019-12-10 福尔杰咖啡公司 Coffee table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171931B1 (en) * 2009-06-17 2020-11-02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Capsule,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DE102009041633A1 (en) * 2009-09-17 2011-06-01 Krüger Gmbh & Co. Kg Portion capsule and use of a portion capsule
DE102009058646A1 (en) * 2009-12-16 2011-06-22 Krüger GmbH & Co. KG, 51469 Portion capsule and use of a portion capsule
DE102011010534A1 (en) 2011-02-07 2012-08-09 K-Fee System Gmbh Portion capsule for producing hot coffee in coffee vending machine, has cavity closed by membrane, and identifier e.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ode, is provided in membrane for individualizing respective portion capsule
KR20190100427A (en) 2010-07-22 2019-08-28 카-페 시스템 게엠베하 Single-serve capsule for making a beverage
DE102010034206A1 (en) 2010-08-12 2012-02-16 Krüger Gmbh & Co. Kg Beverage substance, useful for producing coffee beverage, storing in one portion capsule and for extraction in portion capsule, comprises at least partially roasted and ground coffee
DE102011012881A1 (en) 2010-09-22 2012-03-22 Krüger Gmbh & Co. Kg Portion capsule and method of making a beverage with a portion capsule
US9469471B2 (en) * 2011-02-03 2016-10-18 2266170 Ontario Inc. Beverage capsule
EP2912948B1 (en) * 2011-03-14 2017-05-10 K-fee System GmbH Portion capsule for producing a bever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72813A1 (en) 2002-03-14 2003-09-18 Rene Schifferle Cartridge containing a single serving of a particulate substance for preparing a beverage
JP2006528497A (en) * 2003-07-23 2006-12-21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beverages of different foam content from capsules
US20120070543A1 (en) * 2010-09-20 2012-03-22 Gotthard Mahlich Portion capsule and method for producing a beverage using a portion capsu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914A (en) 2018-03-13 2019-09-23 정태년 Method for manufacturing air coffe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5006709A (en) 2015-08-14
CN104822605A (en) 2015-08-05
TN2015000234A1 (en) 2016-10-03
BR112015012456A2 (en) 2017-07-11
WO2014082976A1 (en) 2014-06-05
SG11201503841RA (en) 2015-06-29
AU2016219705B2 (en) 2017-12-14
AU2016219705A1 (en) 2016-09-15
AU2013351262A1 (en) 2015-06-11
IL238872A0 (en) 2015-07-30
EP2925640A1 (en) 2015-10-07
ZA201504193B (en) 2016-11-30
JP6117371B2 (en) 2017-04-19
KR20150095716A (en) 2015-08-21
RU2660000C2 (en) 2018-07-04
DE102012111685A1 (en) 2014-06-05
DOP2015000125A (en) 2015-07-31
JP2016505296A (en) 2016-02-25
CA2892746A1 (en) 2014-06-05
RU2015125636A (en) 2017-01-10
PH12015501213A1 (en) 2015-08-10
AU2013351262B2 (en) 2016-09-22
US20150314952A1 (en) 2015-11-05
CA2892746C (en) 201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695B1 (en) Single serve capsule for producing coffee beverages with and without crema
KR101824920B1 (en) Single serve capsule for producing a coffee beverages without crema
JP5800714B2 (en) Capsule with flow conditioning and filtering member
AU2010293055B2 (en) Beverage cartridge and method for beverage formation using filter aid
US20130216663A1 (en) Capsule for preparation of a beverage
US20190322447A1 (en) Capsule With Steeping Chamber
CN109588041A (en) It is used to prepare the purposes of the double quantity of beverage such as capsule of the super espresso of double concentrated coffee, double big coffee and double Italy, system and system
CN114206174A (en) Container for beverage prepa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