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484B1 - 국소 조성물을 위한 전달 제품 - Google Patents

국소 조성물을 위한 전달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484B1
KR101832484B1 KR1020107029485A KR20107029485A KR101832484B1 KR 101832484 B1 KR101832484 B1 KR 101832484B1 KR 1020107029485 A KR1020107029485 A KR 1020107029485A KR 20107029485 A KR20107029485 A KR 20107029485A KR 101832484 B1 KR101832484 B1 KR 101832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thermally reactive
film
article
polymeric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8466A (ko
Inventor
사라 앤 렘케
크로이 도널드 존슨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110028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34Oils, fats, waxes or natural res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64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specially adapted to be resorbable inside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4Biocides, antimicrobial agents, antisep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6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 A61L2300/602Type of release, e.g. controlled, sustained, s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전달 제품은 사용자의 피부로 피부 조성물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달 제품은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을 포함한다. 중합체 필름은 실온에서 고체이나, 피부와 접촉 시 온도가 증가하여 분해된다. 피부 조성물은 중합체 필름과 회합된다. 피부 조성물은 필름의 표면에 도포될 수 있거나, 필름에 혼입될 수 있다. 피부 조성물은 사용자의 피부의 치료를 위해 중합체 필름에 의해 방출된다.

Description

국소 조성물을 위한 전달 제품 {DELIVERY PRODUCT FOR TOPICAL COMPOSITIONS}
피부에 국소로 도포되는 다양한 제품이 존재한다. 몇몇 제품은 예를 들어, 미용 목적으로 또는 다르게는 피부에 이점을 제공하기 위해 피부에 도포된다. 다른 국소 피부 조성물은 질병 또는 피부 상태의 치료를 위해 피부에 도포된다. 예를 들어, 기저귀 발진을 치료하도록 또는 다르게는 기저귀 발진에 의해 유발된 증상을 완화시키도록 설계된 다양한 기저귀 발진 크림이 이용가능하다.
많은 국소 피부 조성물은 크림, 로션 또는 겔 형태로 피부에 도포된다. 예를 들어, 이들 제품은 전형적으로 손 또는 도포기(applicator)에 도포된 후, 국소 조성물이 필요한 피부의 구역에 도포된다. 그러나, 많은 예에서, 치료될 피부는 연약하거나 접촉 시 쉽게 자극된다. 또한, 국소 조성물을 손으로 도포하는 것은 몇몇 환경에서 더러울 수 있고 조성물의 일부가 사용자의 손 또는 도포기 상에 남기 때문에 폐기물을 만들 수 있다.
상기를 고려하여, 크림 및 로션과 흔히 관련된 더러움 및 비효율을 회피하는, 피부에 국소 조성물을 도포할 수 있는 전달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현재 존재한다. 또한, 국소 조성물이 도포되는 구역을 자극하지 않는, 조심스럽고 제어되는 방식으로 피부에 국소 조성물을 도포할 수 있는 전달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요약>
일반적으로, 본 개시물은 국소 피부 조성물을 위한 전달 제품에 관한 것이다. 전달 제품은 피부에 임의의 스킨 케어 활성제 또는 의약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조성물을 도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장점 중에서, 국소 조성물은 손으로 피부를 만지거나 문지르지 않고 피부에 도포될 수 있다. 전달 제품은 또한 국소 조성물에 함유된 임의의 활성 성분을 원하는 기간에 걸쳐 방출하도록 맞추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양태에서, 전달 제품은 열반응성(thermo-responsive) 중합체 필름을 포함한다.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은 주변 온도에서, 예컨대 23℃의 온도에서 고체이다. 그러나,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은 온도가 증가하는 경우 특성이 변화되는 물질을 함유한다. 예를 들어, 한 실시양태에서, 필름은 23℃ 초과 및 개인의 정상적인 체온, 예컨대 약 37℃ 미만의 온도에서 특성이 변화되는 중합체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양태에서, 약 30℃ 내지 약 37℃의 온도에서 특성이 변화되는 중합체와 같은 물질이 필름에 존재할 수 있다. 물질의 특성이 변화되는 경우,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이 분해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분해"는 중합체 필름이 그의 구조적 일체성을 손실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중합체 필름은 더 작은 조각으로 붕괴되고 액체로 변하여, 피부에 의해 흡수되거나 인접한 가먼트로 흡수될 수 있다.
본 개시물에 따라, 전달 제품은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과 회합된 국소 피부 조성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국소 조성물은 중합체 필름에 혼입되거나, 중합체 필름의 표면에 도포되거나, 또는 다르게는 필름에 부착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국소 피부 조성물은 예를 들어, 스킨 케어 활성제, 의약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전달 제품은 사용자의 피부에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을 도포함으로써 사용된다. 예를 들어, 필름은 피부에 직접적으로 도포될 수 있거나, 별법으로, 용품을 입는 경우 피부와의 접촉을 위해 흡수 용품 내에 위치될 수 있다. 피부와 접촉 시,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은 체열을 흡수하여 온도가 증가된다. 그 결과로서,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이 분해되어 국소 피부 조성물을 방출하거나 또는 다르게는 국소 피부 조성물로부터 해리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은 실온에서 고체이고 그 뒤에 온도 증가에 대해 민감성이어서 사람의 피부와 접촉되는 경우 전달 제품의 분해를 야기시키는 임의의 적합한 중합체 또는 중합체들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중합체의 예로는 예를 들어, 키토산, 폴리아크릴산 또는 유도체, N,N-디알킬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왁스, 예컨대 파라핀 왁스,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은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이다. 그러므로, 국소 조성물의 전달은 오로지 온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수불용성인 경우, 전달 제품은 심지어 습윤화된 후에도 국소 조성물을 계속 방출할 수 있다.
중합체 필름에 함유되는 국소 피부 조성물은 특정 적용에 의존하여 극적으로 변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에 도포되는 임의의 적합한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 제한 없이, 예를 들어, 국소 피부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는 스킨 케어 활성제 및 의약의 예로는 항박테리아제, 데오도란트, 스킨 모이스처라이저, 클렌저, 항소양제, 냉각제, 기저귀 발진 약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국소 피부 조성물이 상이한 스킨 케어 활성제 및 의약의 혼합물을 또한 함유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항소양제는 피부를 치료하는 활성제로서 기능하는 다른 의약과 조합될 수 있다.
전달 제품 그 자체 이외에, 본 개시물은 또한 국소 피부 조성물의 전달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은 예를 들어 착용자의 피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된 흡수 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흡수 용품은 피부에 인접하게 위치된 내부 표면 및 반대측 외부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흡수 용품과는 독립적이지만 원하는 구역에서 착용자의 피부와의 접촉을 위해 흡수 용품의 내부 표면 상에 수동으로 배치될 수 있는 삽입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삽입물은 예를 들어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전달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적합한 흡수 용품이 삽입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흡수 용품은 예를 들어, 기저귀, 배변연습용 팬츠, 흡수성 수영복, 여성 위생 패드, 성인 실금자용 제품 또는 창상치유용 드레싱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흡수 용품과 함께 사용되는 삽입물은 박리가능한(releasable) 배면층에 적층된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박리가능한 배면층은 중합체 필름이 흡수 용품에 도포되는 경우 중합체 필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장점 중에서, 전달 제품은 피부에 접착되도록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중합체 필름과 사용자의 피부 사이의 접촉의 유지를 위해 접착제, 예컨대 신체 접착제가 필요하지 않도록 흡수 용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은 또한 원하는 기간에 걸쳐 분해되도록 맞추어질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예를 들어,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은 필름이 주변 환경에서 34℃의 온도에서 표면 상에 위치된 경우, 필름이 완전히 분해되는 데 30분 이상 걸리도록 제작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최선 방식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완전하고 충분한 개시는 하기 첨부된 도면에 대한 언급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의 나머지에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도 1은 본 개시물에 따라 제조된 전달 제품의 한 실시양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물의 전달 제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흡수 용품의 한 실시양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예시된 흡수 용품의 다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예시된 흡수 가먼트의 외부 표면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예시된 흡수 용품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개시물의 전달 제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여성 위생 제품의 한 실시양태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참고 기호의 반복 사용은 본 발명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부 또는 요소를 나타내려고 한 것이다.
<상세한 설명>
당업자는 본 논의가 오직 예시적 실시양태의 기재일 뿐이고 본 발명의 더 넓은 측면을 제한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물은 국소 피부 조성물을 위한 전달 제품에 관한 것이다. 전달 제품은 주변 온도에서, 예컨대 23℃의 온도에서 고체인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을 포함한다. 열반응성 필름은 몇몇 이점을 제공하기 위해 피부와 접촉하려고 의도된 국소 피부 조성물과 회합하여 위치된다. 본 개시물에 따라, 열반응성 필름은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 시 체열의 전달로 인해 필름의 온도가 증가하고 이어서 특정 온도로 가열되는 경우 분해되도록 제작된다. 중합체 필름이 분해될 때 또는 분해되기 전에, 국소 피부 조성물은 피부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방출된다.
본 개시물의 피부 전달 제품은 다양한 장점 및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달 제품은 접촉에 대해 민감하거나 쉽게 찢어지거나 멍드는, 연약하거나 면역기능이 떨어졌거나 손상된 피부에 피부 조성물을 도포하는 온화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달 제품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한 실시양태에서, 전달 제품은 흡수 용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달 제품은 피부로 국소 조성물을 전달하기 위해서 흡수 용품 내에 위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회음 영역과 같은 도달하기 힘든 구역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 용품에 전달 장치를 위치시킴으로써, 용품을 입음으로써 피부 조성물이 도포되며, 이는 전달 제품을 특히 손으로 쉽게 접근할 수 없는 구역에 피부 조성물을 도포하는 경우, 민첩성 또는 체력이 떨어진 사람에 의해 사용되기에 특히 매우 적합하게 만든다. 흡수 용품과 함께 전달 제품을 도포하는 것은 또한 노인과 같은 연약한 피부를 갖는 사람 및 당뇨병과 같은 상태와 관련된 피부 문제를 갖는 사람에게 피부 조성물을 전달하기 위한 매우 섬세하고 온화한 방법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전달 제품은 흡수 용품과 독립적으로 유지되고 원하는 경우 삽입물로서 사용된다. 그러므로, 돌보는 사람 또는 흡수 용품의 착용자는 전달 제품을 도포하는 시기 및 필요한 경우 단지 전달 제품을 사용하는 시기를 선택할 수 있다.
전달 제품이 어떠한 관련된 더러움 없이 피부 조성물로 사용자의 피부를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장점이다. 예를 들어, 겔, 페이스트 및 크림 형태의 피부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먼저 조성물을 손에 도포함으로써 피부에 도포된다. 도포 후, 조성물 중 일부는 손에 남아 손을 세정할 필요가 있게 할 뿐만 아니라 폐기 물질이 된다. 분무 도포기는 또한 원하는 구역 이상을 덮어서 폐기물을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본 개시물의 전달 제품은 상기 문제점들을 회피한다.
하기 더 자세히 기재된 바와 같이, 본 개시물의 전달 제품은 또한 원하는 지속시간에 걸쳐 피부 조성물을 전달하도록 맞추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열반응성 필름은 필름 화학을 기초로 하여 신속하게 또는 상대적으로 천천히 분해되도록 조성되고 제작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국소 조성물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주기적 간격으로 재도포되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개시물에 따라 제조된 전달 제품 (10)의 한 실시양태가 표시되어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전달 제품 (10)은 국소 피부 조성물과 회합된 열반응성 필름 (12)를 포함한다. 임의로, 열반응성 필름 (12)는 하나 이상의 박리가능한 배면층, 예컨대 배면층 (14)와 회합될 수 있다. 배면층 (14)는 필름이 피부 또는 흡수 용품에 도포되는 경우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 (12)로부터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예시된 실시양태에서, 단일 배면층 (14)가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별법의 실시양태에서, 열반응성 필름 (12)는 2개의 대향하는 배면층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면층 (14)는 필름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으나 열반응성 필름을 보호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면층 (14)는 탈착 물질, 예컨대 실리콘 또는 왁스로 코팅된 중합체 필름 또는 종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 (12)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중합체로 제조된다. 필름에 함유된 하나 이상의 물질은 가열되는 경우 필름의 특성이 변화되도록 온도 민감성이다. 물질은 필름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중합체 또는 중합체 매트릭스에 존재하는 다른 물질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물에 따라 제조된 열반응성 필름 (12)는 필름이 주변 온도 (전형적으로 약 23℃임)에서 고체가 되도록 제작된다. 그러나, 열반응성 필름은 또한 필름이 체온과 인접한 온도에서 분해되기 시작하도록 제작된다. 용어 "체온"은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서의 온도이다. 인간의 경우, 체온은 전형적으로 약 34℃ ± 3℃이다. 그러므로, 체온은 약 31℃ 내지 약 37℃일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은 필름이 23℃ 초과 및 약 34℃ 미만의 온도에서 분해되기 시작하도록 제작된다. 예를 들어, 한 실시양태에서,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은 필름이 약 27℃ 내지 약 34℃, 및 특히 약 29℃ 내지 약 31℃의 온도에서 분해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 방식에서,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이 피부에 도포되면, 필름은 피부에 의해 발산되는 열을 흡수하고, 대략 사용자의 체온으로 온도가 증가된다. 특정 역치 온도로 가열되면 필름이 분해된다. 필름과 회합된 국소 피부 조성물은 피부와 접촉 시 필름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거나, 또는 필름이 분해될 때 필름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은 다양한 방법으로 분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양태에서,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은 주변 온도 이상으로 가열시 액체로 전환될 수 있다. 별법의 실시양태에서, 필름은 단순히 더 작은 입자로 붕괴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필름은 분해되어 피부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필름은 분해되어 사용자의 옷으로 또는 제품과 회합된 흡수 용품으로 흡수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도 민감성 중합체를 함유한다. 일반적으로, 주변 온도에서 고체이나 상기 기재된 온도 범위에서 물리적 특성이 변화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온도 민감성 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필름을 제작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몇몇 중합체의 예로는 예를 들어 임의의 적합한 왁스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왁스는 주변 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시 고체로부터 액체로 변화하는 파라핀 왁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 물질에는 키토산, 폴리아크릴산 또는 유도체, N,N-디알킬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또는 블렌드 등이 포함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은 상호침투 중합체 망상구조인 열반응성 중합체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상호침투 중합체 망상구조는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 및 블록 공중합체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에틸렌 옥시드/폴리프로필렌 옥시드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호침투 중합체 망상구조의 다른 실시양태는 메틸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및 공단량체의 랜덤 공중합체로부터 형성될 수 있으며, 실온에서 열적으로 가역적인 고체를 형성한다. 랜덤 공중합체는 최소 겔화 분자량 컷오프 이상의 다수의 분자량을 갖는 다수의 선형 사슬 형태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NiPAAM을 기재로 하는 가역적 고체 및 희석시 반전되지 않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상호침투 중합체 망상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는 예를 들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제5,262,055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호침투 중합체 망상구조의 다른 예는 폴리메틸비닐 에테르 부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망상구조는 염, 예컨대 폴리올 염 (β-글리세로포스페이트)의 첨가에 의해 열적으로 민감성으로 제조된 양이온성 키토산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은 상변화 성분을 단독으로, 또는 대략 체온으로 가열시 필름이 분해되도록 야기하는 다른 물질과 조합하여 함유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상변화 성분에는 루라프레트(LURAPRET)® 상변화 분말, 정제된 캡슐화된 파라핀 (뉴저지의 바스프 코포레이션(BASF Corporation)으로부터 이용가능함), 탄화수소 (예를 들어, 직쇄 알칸 또는 파라핀성 탄화수소, 분지쇄 알칸, 불포화 탄화수소, 할로겐화된 탄화수소 및 지환족 탄화수소), 왁스, 오일,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이염기성 산, 이염기성 에스테르, 1-할라이드, 일차 알코올, 방향족 화합물, 무수물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 무수물),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다가 알코올 (예를 들어,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2-히드록시메틸-2-메틸-1,3-프로판디올, 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글리세린, 테트라메틸올 에탄, 네오펜틸 글리콜, 테트라메틸올 프로판, 모노아미노펜타에리트리톨, 디아미노펜타에리트리톨 및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세트산),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및 알킬 탄화수소 측쇄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측쇄를 갖는 공중합체, 예컨대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의 사용은 특정 적용에서 다양한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된 많은 물질들은 온도 민감성이나, 필름은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이 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필름은 오직 온도 상승시 분해될 것이고, 수분과 접촉 시 분해에 대해 저항성일 것이다. 필름은 수분, 예를 들어, 피부 표면으로부터의 수분 또는 필름이 사용되는 환경으로부터의 수분과 접촉할 수 있다. 흡수 용품에서 사용되는 경우, 전달 제품은 분해되지 않고 체액과 접촉할 수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부 조성물을 전달할 수 있다. 이 특징은 전달 제품을 피부 질병, 예컨대 기저귀 발진의 치료를 위해 기저귀 및 성인 실금자용 제품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매우 적합하게 만든다.
또한,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은 수불용성인 것 이외에 성분들 및 그들의 상대량의 변화 또는 변형에 의해 원하는 기간에 걸쳐 분해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양태에서,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은 온도 상승시 매우 신속히 (예컨대, 약 10분 미만) 분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별법으로, 필름이 상대적으로 천천히 분해되도록 하는 중합체 및 다른 물질을 선택하여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양태에서, 열반응성 중합체는 필름 형성에서 온도 민감성이 아닌 중합체와 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예를 들어,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은 제품이 주변 환경에서 34℃의 온도에서 표면 상에 위치되는 경우 필름이 완전히 분해되는 데 30분 이상, 예컨대 40분 이상, 예컨대 60분 이상, 예컨대 약 30분 내지 약 120분 걸리도록 제작될 수 있다.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 이외에, 본 개시물의 전달 제품은 필름과 회합된 국소 피부 조성물을 포함한다. 국소 피부 조성물은 다양한 상이한 방법으로 필름과 회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양태에서, 피부 조성물은 필름에 혼입될 수 있다. 이 방식에서, 피부 조성물은 필름에 매립되고 필름이 분해될 때 방출된다.
별법으로, 피부 조성물은 필름 상에 코팅될 수 있다. 이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필름이 분해될 때 피부로 즉시 방출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한 피부 조성물은 필름에 혼입될 수 있는 반면, 제2 피부 조성물은 코팅으로서 필름에 도포될 수 있다.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은 특정 적용 및 원하는 결과에 따라 임의의 적합한 피부 조성물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피부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물질 또는 성분의 특정 예로는 임의의 적합한 스킨 케어 활성제, 의약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조성물에 함유되는 특정 성분에는 예를 들어, 항박테리아제, 데오도란트, 스킨 모이스처라이저, 피부 클렌저, 항소양제, 냉각제, 기저귀 발진 약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전달 제품 내에 또한 함유될 수 있는 다른 성분 또는 성분에는 항산화제 (제품 일체성); 항발적제, 예컨대 알로에 추출물; 수렴제-미용 (피부 상에 팽팽한 또는 얼얼한 감각을 유도함); 수렴제-약물 (피부 또는 점막에 도포시 삼출, 유출 또는 출혈을 저지하고 단백질 응고에 의해 작용하는 약물 제품); 생물학적 첨가제, 예를 들어 식물성 화학물질 및 단백질 (제품의 성능 또는 소비자 선호도를 향상시킴); 외부 진통제 (피부 감각 수용체를 억제하여 국소 진통제, 마취제, 통증 완화제 또는 항소양 효과를 갖거나 피부 감각 수용체를 자극하여 국소 반대자극 효과를 갖는, 국소로 도포되는 약물); 하이드로트로프 (몇몇 항미생물제를 용해시키는데 도움이 됨); 불투명화제 (제품의 투명성 또는 투명한 외관을 감소시킴); 피부 컨디셔닝제; 피부 탈락제 (피부 세포의 턴오버 속도를 증가시키는 성분, 예컨대 알파 히드록시산 및 베타 히드록시산); 피부 보호제 (유해하거나 괴로운 자극으로부터 손상되거나 노출된 피부 또는 점막 표면을 보호하는 약물 제품); 천연 보습화 인자, 아미노산, 소염제, 선스크린, 곤충 기피제, 발한억제제, 비타민 (예를 들어, 비타민 B, C 또는 E) 등이 포함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국소 피부 조성물은 피부 보습화를 위한 것일 수 있고 보습제(humectant)를 함유할 수 있다. 보습제는 전형적으로 제품, 피부 및 대기 사이의 수분 교환을 제어하는 것을 보조함으로써 피부 또는 점막의 상단 층의 물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미용 성분이다. 보습제는 주로 흡습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보습제에는 우로칸산, N-아세틸 에탄올아민, 알로에 베라 겔, 아르기닌 PCA, 키토산 PCA, 구리 PCA, 옥수수 글리세리드, 디메틸 이미다졸리디논, 프룩토스, 글루카민, 글루코스, 글루코스 글루타메이트, 글루쿠론산, 글루탐산, 글리세레트-7, 글리세레트-12, 글리세레트-20, 글리세레트-26, 글리세린, 벌꿀, 수소화된 벌꿀, 수소화된 전분 가수분해물, 가수분해된 옥수수 전분, 락트아미드 MEA, 락트산, 락토스 리신 PCA, 만니톨, 메틸 글루세트-10, 메틸 글루세트-20, PCA, PEG-2 락트아미드, PEG-10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아미노산, 다당류, 폴리아미노 당 응축물, 칼륨 PCA, 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시트레이트, 사카라이드 가수분해물, 사카라이드 이소머레이트, 아스파르트산나트륨, 락트산나트륨, 나트륨 PCA, 소르비톨, TEA-락테이트, TEA-PCA, 우레아, 크실리톨 등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보습제에는 폴리올, 글리세린, 에톡실화된 글리세린, 폴리에틸렌 글리콜, 수소화된 전분 가수분해물, 프로필렌 글리콜, 실리콘 글리콜,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국소 피부 조성물은 유화 활성을 촉진하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물의 표면 장력을 저하시켜 2종의 불혼화성 물질들 사이의 계면 장력을 감소시키는 능력을 갖는다. 계면활성제는 또한 피부로부터 먼지, 땀 및/또는 피지의 세정 또는 제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몇몇 계면활성제는 또한 다른 성분의 흡수를 촉진하는 습윤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예로서, 계면활성제는 소르비탄 지방산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등),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20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4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등), 폴리옥시에틸렌 산 (폴리옥시에틸렌 8 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20 스테아레이트 등)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4 라우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10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10 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5.5 데실 에테르 등)의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계면활성제(들)는 임의의 적합한 계면활성제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한 실시양태에서, 냉각제가 피부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다. 냉각제는 다양한 기술, 예컨대 증발에 의해 피부를 냉각시킨다. 예를 들어, 물이 냉각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냉각제에는 물; 탄화수소 예컨대 이소도데칸 및 이소에이코산; 단쇄 알코올, 예컨대 에탄올 및 n-프로판올; 작은 분지쇄 알코올, 예컨대 이소프로필 알코올; 불소화된 탄화수소, 예컨대 퍼플루오로데칼린, 퍼플루오로헵탄, 퍼플루오로헥산 및 퍼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산; 불소화된 알코올, 예컨대 C6-C12 퍼플루오로알킬에탄올 및 퍼플루오로시클로헥실메탄올; 불소화된 에테르, 예컨대 에틸 퍼플루오로부틸 에테르, 에틸 퍼플루오로이소부틸 에테르, 메틸 퍼플루오로부틸 에테르, 메틸 퍼플루오로이소부틸 에테르 및 퍼플루오로헥실에틸 디메틸부틸 에테르; 저분자량 등급의 디메티콘, 특히 다우 코닝(DOW CORNING)® 200 디메티콘 유체 0.65 cst; 휘발성 시클로메티콘, 예컨대 옥타메틸 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 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 시클로헥사실록산 및 테트라데카메틸 시클로헵타실록산이 포함된다.
피부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는 다른 특정 성분은 액상 분말이다. 액상 분말은 피부 상에 부드럽고 가루같은 느낌을 생성시킨다. 한 실시양태에서, 예를 들어, 액상 분말은 휘발성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휘발성"은 주변 조건하에 측정가능한 압력을 갖는 물질을 지칭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휘발성 실리콘은 저분자량을 갖는다. 본원에서 유용한 휘발성 폴리유기실록산은 환형 또는 선형일 수 있다. 적합한 환형 실리콘에는 고리 내에 약 4 내지 약 8개의 규소 원자 및 동등한 개수의 산소 원자를 함유하는 폴리디메틸실록산 (즉 D4 내지 D8)이 포함된다. 조성물에 적합한 직쇄 실리콘에는 약 5 센티스토크 이하의 점도를 갖는 것이 포함된다.
사용하기에 적합한 환형 실리콘은 일반적으로 시클로메티콘이라고 공지되어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휘발성 실리콘은 시클로메티콘, 보다 구체적으로 시클로펜타실록산, 다우 코닝(DOW CORNING) 245라는 명칭으로 시판되는 화합물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Dow Corning Corp.)에서 공급함)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저점도 디메티콘, 예를 들어, 선형 폴리실록산을 포함한다. 시판되는 저점도 디메티콘의 한 예는 예를 들어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시판되는 다우 코닝 200 디메티콘이다. 다우 코닝 200 디메티콘은 약 5 센티스토크의 점도를 갖는다.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휘발성 실리콘에는 예를 들어, 다양한 점도의 시클로메티콘, 예를 들어, 다우 코닝 244, 다우 코닝 344 및 다우 코닝 345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시판됨); SF-1204 및 SF-1202 실리콘 유체 (지.이. 실리콘스(G.E. Silicones)로부터 시판됨), 실리콘 7207 및 실리콘 7158 (유니온 카르바이드 코포레이션(Union Carbide Corp.)으로부터 시판됨); 및 SWS-03314 (SWS 실리콘스 코포레이션(SWS Silicones Corp.)으로부터 시판됨)가 포함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특히 전달 제품이 흡수 용품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 피부 조성물은 적어도 부분적인 피부 장벽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기저귀 발진 약제를 함유할 수 있다. 기저귀 발진 약제로서 작용하는 적합한 화합물에는 산화아연, 비휘발성 디메티콘, 알란토인, 대구 간유, 콜로이드성 오트밀, 카올린, 라놀린, 바셀린, 국소 전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피부 조성물은 선스크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는 선스크린제의 몇몇 예는 아미노벤조산 (PABA), 아보벤존, 시녹세이트, 디옥시벤존, 호모살레이트, 멘틸 안트라닐레이트, 옥토크릴렌,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 살리실레이트, 벤조페논-3, 에틸헥시 디메틸 PABA, 페닐벤즈이미돌 술폰산, 벤조페논-4 및 트롤라민 살리실레이트이다. 조성물은 또한 모든 현재 보고된(monographed) 유기 선스크린 (지용성 및 수용성 양자 모두)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 실시양태에서, 피부 조성물은 필름 그 자체 이외에 필름으로부터 1종 이상의 성분의 방출을 조절하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필름에 함유된 1종 이상의 성분의 장기간 전달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적절한 양은 방출의 원하는 속도 및 지속시간에 의존적일 것이다. 이러한 첨가제의 예로는 수불용성 중합체, 예컨대 에틸셀룰로스, 아크릴성 수지, 메타크릴산 및 아크릴산 에틸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폴리락트산, 폴리락트산-코-글리콜산,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폴리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피부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는 다른 첨가제에는 윤활제, 가소제, 보존제, 증점제, 에멀젼 안정화제, 막대 형성제(stick former), 좌약 형성제, 착색제, 킬레이트화제, 향료, 점도 제어제 및 pH-조절제가 포함된다.
피부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증점제에는 다양한 변형된 셀룰로스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증점제는 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메틸 셀룰로스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연 실리카가 증점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전달 제품에 존재하는 국소 피부 조성물의 상대적인 양은 특정 적용 및 제품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물질에 따라 극적으로 다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 조성물은 제품에 약 0.5 중량% 내지 약 8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국소 피부 조성물이 필름에 국소로 도포되는 경우, 훨씬 더 많은 양이 존재할 수 있다.
오직 예시적 목적을 위해, 전달 제품에 존재할 수 있는 특정 스킨 케어 활성제 또는 의약 및 예시적 중량%의 목록은 아래와 같다: 알란토인, 0.5 내지 2%; 수산화알루미늄 겔, 0.15 내지 5%; 칼라민, 1 내지 25%; 코코아 버터, 50 내지 80%; 대구 간유, 5 내지 13.56%; 디메티콘, 1 내지 30%; 글리세린, 20 내지 45%; 카올린, 4 내지 20%; 라놀린, 12.5 내지 50%; 바셀린, 30 내지 80%; 국소 전분, 10 내지 80%; 아세트산아연, 0.1 내지 2%; 탄산아연, 0.2 내지 2%; 산화아연, 1 내지 25%.
피부에 전달 제품을 도포하기 위해, 원하는 구역 내의 피부와 전달 제품 사이의 접촉을 유지하기 위해 오직 표면 장력만이 사용될 수 있다. 피부 접착제가 특정 실시양태에서 사용될 수 있으나, 한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접착제가 제품에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피부 접착제는 제품이 흡수 용품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 전형적으로 필요하지 않다. 특히, 흡수 용품은 전달 제품과 피부 사이의 접촉을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한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물의 전달 제품은 흡수 용품과 회합된 삽입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예시 목적을 위해, 전달 제품 (10)과 회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흡수 용품 (20)이 표시되어 있다. 흡수 용품 (20)은 일회용일 수 있거나 일회용이 아닐 수 있다. 도면에서, 기저귀가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달 제품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배변연습용 팬츠, 수영 팬츠, 여성 위생 제품, 실금자용 제품, 의료용 가먼트, 수술용 패드 및 수술용 붕대, 다른 개인 위생 가먼트 또는 보건 위생 가먼트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개인 착용으로 의도된 다양한 다른 흡수 용품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오직 예시를 목적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의 용품 (20)과 같은 흡수 용품의 제작을 위한 다양한 물질 및 방법은 2000년 6월 29일에 공개된 PCT 특허 출원 제WO 00/37009호 (A. Fletcher et al.); 1990년 7월 10일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4,940,464호 (Van Gompel et al.); 1998년 6월 16일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5,766,389호 (Brandon et al.) 및 2003년 11월 11일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6,645,190호 (Olson et al.)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문헌들은 본원과 일치하는 (즉,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흡수 용품 (20)은 부분적으로 체결된 상태로 도 2에 대표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도 2 및 3에 나타낸 흡수 용품 (20)이 또한 열린 상태 및 펼친 상태로 도 4 및 5에 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는 흡수 용품 (20)의 외부측을 예시하는 평면도인 반면, 도 5는 흡수 용품 (20)의 내부측을 예시한다. 도 4 및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 용품 (20)은 착용시 용품의 전방으로부터 용품의 배면으로 이어지는 종방향 (48)을 한정한다. 종방향 (48)의 반대는 횡방향 (49)이다.
흡수 용품 (20)은 한 쌍의 종방향 단부 영역 (본원에서 다르게는 전방 영역 (22) 및 배면 영역 (24)이라고 지칭됨), 및 전방 영역 (22)와 배면 영역 (24)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방 영역 (22)와 배면 영역 (24)을 상호연결하는 중심 영역 (본원에서 다르게는 가랑이 영역 (26)이라고 지칭됨)을 한정한다. 흡수 용품 (20)은 또한 사용시 착용자를 향해 배치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용품 (20)의 다른 성분에 대해 상대적으로 위치된) 내부 표면 (28), 및 내부 표면과 대향하는 외부 표면 (30)을 한정한다. 전방 영역 (22) 및 배면 영역 (24)는 착용시 착용자의 허리 또는 몸통 중간-하부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덮거나 둘러싸는 흡수 용품 (20)의 부분이다. 가랑이 영역 (26)은 일반적으로 착용시 착용자의 다리 사이에 위치되고 착용자의 몸통 하부 및 가랑이를 덮는 흡수 용품 (20)의 부분이다. 흡수 용품 (20)은 한 쌍의 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연부 (36) 및 한 쌍의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허리 연부 (전방 허리 연부 (38) 및 배면 허리 연부 (39)라고 각각 지칭됨)를 갖는다.
예시된 흡수 용품 (20)은 이 실시양태에서 전방 영역 (22), 배면 영역 (24) 및 가랑이 영역 (26)을 포함하는 새시(chassis) (32)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새시 (32)는 외부 커버 (40), 및 접착제, 초음파 결합, 열 결합 또는 다른 통상적인 기술에 의해 외부 커버 (40)에 중첩 관계로 연결될 수 있는 신체측 라이너 (42) (도 2 및 5)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라이너 (42)는 새시 (32)의 주변을 따라 외부 커버 (40)에 적합하게 연결되어, 전방 허리 이음새 (62) 및 배면 허리 이음새 (64)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이너 (42)는 외부 커버 (40)에 적합하게 연결되어, 전방 영역 (22) 및 배면 영역 (24)에서 한 쌍의 측부 이음새 (61)을 형성할 수 있다. 라이너 (42)는 일반적으로 흡수 용품의 착용 도중 착용자의 피부를 향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용품 (20)의 다른 성분에 대해 상대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새시 (32)는 착용자에 의해 분비되는 액체 신체 분비물을 흡수하기 위한, 외부 커버 (40)과 신체측 라이너 (42) 사이에 배치된 흡수 구조체 (44) (특히 도 5에 나타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신체 분비물의 횡방향 유동을 억제하기 위한, 신체측 라이너 (42)에 고정된 한 쌍의 보유 플랩 (46)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탄성화 보유 플랩 (46)은 적어도 흡수 용품 (20)의 가랑이 영역 (26)에서 직립 형태를 가지는 부분적으로 부착되지 않은 연부를 한정하여, 착용자의 신체에 대항하는 밀봉부를 형성한다. 보유 플랩 (46)은 새시 (32)의 전체 길이를 따라 종방향으로 연신할 수 있거나, 또는 새시의 길이를 따라 오직 부분적으로 연신할 수 있다. 보유 플랩 (46)의 적합한 제작 및 배열은 일반적으로 당업자에게 익히 공지되어 있고, 1987년 11월 3일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4,704,116호(Enloe)에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특허는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신체 분비물의 보유 및/또는 흡수를 추가로 향상시키기 위해, 흡수 용품 (20)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은 다리 탄성 부재 (58) (도 5)을 또한 적합하게 포함할 수 있다. 다리 탄성 부재 (58)은 외부 커버 (40) 및/또는 신체측 라이너 (42)에 기능적으로(operatively) 연결되고 흡수 용품 (20)의 가랑이 영역 (26)에 위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흡수 용품 (20)은 임의로 흡수 구조체 (44)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당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예컨대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용품 (20) 내의 다양한 성분, 예컨대 흡수 구조체 (44) 또는 신체측 라이너 (42)에 부착될 수 있는 서지 조절층 (나타내지 않음)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서지 조절층은 용품의 흡수 구조체에 신속하게 도입될 수 있는 액체의 서지 또는 분출을 감속시키고 확산시키는 것을 돕는다.
도 2 내지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 용품 (20)은 새시 (32)의 배면 영역에 부착된 한 쌍의 대향하는 탄성 측면 패널 (34)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2 및 3에 구체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 패널 (34)는 가먼트를 적소에 고정시키기 위해 착용자의 허리 및/또는 둔부 주위에서 신장될 수 있다. 도 4 및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측면 패널은 한 쌍의 대향하는 종방향 연부 (37)을 따라 새시에 부착된다. 측면 패널 (34)는 임의의 적합한 결합 기술을 이용하여 새시 (32)에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패널 (34)는 접착제, 초음파 결합, 열 결합 또는 다른 통상적인 기술에 의해 새시에 연결될 수 있다.
별법의 실시양태에서, 탄성 측면 패널은 또한 새시 (32)와 일체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패널 (34)는 신체측 라이너 (42)의 연장부, 외부 커버 (40)의 연장부, 또는 신체측 라이너 (42) 및 외부 커버 (40) 양자 모두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실시양태에서, 측면 패널 (34)는 흡수 용품 (20)의 배면 영역에 연결되고, 용품을 사용자 상의 적소에 고정시키는 경우 용품의 전방 영역 위로 연장된다. 그러나, 별법으로 측면 패널 (34)가 용품 (20)의 전방 영역에 연결되고 용품을 입는 경우 배면 영역 위로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2 및 3에 부분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흡수 용품 (20)이 체결된 위치에 있는 경우, 탄성 측면 패널 (34)는 체결 시스템 (80)에 의해 연결되어, 허리 개구부 (50) 및 한 쌍의 다리 개구부 (52)를 갖는 3차원 기저귀 형태를 한정할 수 있다. 용품 (20)의 허리 개구부 (50)은 착용자의 허리를 둘러싸는 허리 연부 (38) 및 (39)에 의해 한정된다.
도면에 나타낸 실시양태에서, 측면 패널은 체결 시스템에 의해 용품 (20)의 전방 영역 (22)에 박리가능하게 부착가능하다. 그러나, 다른 실시양태에서 측면 패널이 각 단부에서 새시 (32)에 영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측면 패널은 예를 들어, 배변연습용 팬츠 또는 흡수성 수영복을 형성시 영구적으로 함께 결합될 수 있다.
탄성 측면 패널 (34)는 각각 종방향 외부 연부 (68), 흡수 용품 (20)의 종방향 중심을 향해 배치된 다리 단부 연부 (70), 및 흡수 용품의 종방향 단부를 향해 배치된 허리 단부 연부 (72)를 갖는다. 흡수 용품 (20)의 다리 단부 연부 (70)은 횡방향 (49)에 대해 적합하게 만곡되고/거나 굽어져서, 착용자의 다리 주위에서 더 양호한 맞음새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리 단부 연부 (70)의 오직 하나, 예컨대 배면 영역 (24)의 다리 단부 연부가 만곡되고/거나 굽어질 수 있거나, 또는 별법으로, 다리 단부 연부 둘 중 어느 것도 만곡되고/거나 굽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연부 (68)은 종방향 (48)과 일반적으로 평행하나, 허리 단부 연부 (72)는 횡축 (49)과 일반적으로 평행하다. 그러나, 다른 실시양태에서 외부 연부 (68) 및/또는 허리 연부 (72)가 필요에 따라 경사지거나 만곡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궁극적으로, 측면 패널 (34)는 일반적으로 새시의 허리 영역 (90)과 일렬로 정렬된다.
체결 시스템 (80)은 상응하는 제2 체결 성분 (84)에 재체결가능하게 결착되도록 구성된 횡방향으로 대향하는 제1 체결 성분 (82)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실시양태에서, 제1 체결 성분 (82)는 탄성 측면 패널 (34) 상에 위치되는 반면, 제2 체결 성분 (84)는 새시 (32)의 전방 영역 (22) 상에 위치된다. 한 측면에서, 체결 성분 (82) 및 (84) 각각의 전방 표면 또는 외부 표면은 다수의 결착 요소들을 포함한다. 제1 체결 성분 (82)의 결착 요소들은 제2 체결 성분 (84)의 상응하는 결착 요소들에 반복적으로 결착하고 탈착하여 용품 (20)을 그의 3차원 형태로 박리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체결 성분 (82) 및 (84)는 흡수 용품에 적합한 임의의 재체결가능한 체결구, 예컨대 접착성 체결구, 점착성(cohesive) 체결구, 기계적 체결구 등일 수 있다. 특정 측면에서, 체결 성분은 성능 개선을 위해 기계적 체결 요소를 포함한다. 적합한 기계적 체결 요소는 연동 기하학적 형상 물질, 예컨대 후크, 루프, 벌브, 머쉬룸, 화살촉, 스템상 볼, 수형 및 암형 교합 성분, 버클, 스냅 등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실시양태에서, 체결 성분 (82)는 연부 (68)을 따라 측면 패널 (34)에 부착된다. 이 실시양태에서, 체결 성분 (82)는 탄성 또는 연신성이 아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그러나, 체결 성분은 측면 패널 (34)와 일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성분은 측면 패널 (34)의 표면 상에 직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탄성 측면 패널을 가능하게 갖는 것 이외에, 흡수 용품 (20)은 허리 개구부 주변에 탄성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허리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 용품 (20)은 전방 허리 탄성 부재 (54) 및/또는 배면 허리 탄성 부재 (5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 용품 (20)은 본 개시물에 따라 제조된 전달 장치 (10)과 회합하여 위치된다. 예를 들어, 전달 장치 (10)은 사용자가 흡수 용품 내에 원하는 위치에 수동으로 위치시키는 독립적인 삽입물일 수 있다. 전달 제품 (10)이 삽입물로서 작용하도록 하는 것은 또한 전달 제품을 사용할 때 및 전달 제품을 포함하지 않는 유사한 흡수 용품을 사용할 때에 대해 사용자에게 결정권을 제공한다.
전달 제품 (10)이 용품에 수동으로 삽입되는 삽입물을 포함하게 하는 것은 또한 제조자에게 장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전달 제품 (10)이 비처방전(over-the-counter) 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흡수 용품이 이미 적소에 전달 제품을 포함한 채로 시판되는 경우, 다양한 미국 연방법 및 주법은 특별한 제조 조건에 따라 용품을 제조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특히, 제조 설비는 비처방전 제조 설비로서 공인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소비자에게 흡수 용품으로부터 독립적인 전달 제품 (10)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요구사항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도 2 내지 5에서, 가랑이 영역 (26)과 전방 영역 (22) 사이에 위치된 전달 제품 (10)이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양태에서, 전달 제품은 좀 더 배면 영역 (24)를 향해 위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전달 제품 (10)은 허리 개구부 주위에 또는 피부 치료가 필요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전달 제품 (10)이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달 제품 (10)이 임의의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사실, 전달 제품 (10)은 치료가 필요한 신체의 특정 구역에 일치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 내지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저귀와 함께 사용되는 것 이외에, 전달 제품 (10)은 임의의 다른 적합한 흡수 용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여, 여성 위생 패드 (100)이 표시되어 있다. 전달 제품 (10)은 패드 (100)의 내부 표면 상에 위치된다.
첨부된 청구항에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이들 및 다른 변형 및 변화가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양태의 측면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상호교환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당업자는 상기 기재가 오직 예시할 목적이고, 이러한 첨부된 청구항에 보다 상세히 기재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4)

  1. 23℃의 온도에서 고체인 열반응성(thermo-responsive) 중합체 필름;
    스킨 케어 활성제, 의약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과 회합된 국소 피부 조성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은 전달 제품이 사람의 피부와 접촉하게 위치된 경우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의 온도가 증가하고 필름이 분해되도록, 23℃ 초과 및 37℃ 미만의 온도에서 특성이 변화되어 고체 필름의 분해를 야기시키는 것이고, 키토산 또는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N,N-디알킬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또는 캡슐화된 파라핀 왁스를 포함하고,
    스킨 케어 활성제 또는 의약은 항박테리아제, 데오도란트, 스킨 모이스처라이저, 클렌저, 항소양제, 냉각제, 기저귀 발진 약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국소 피부 조성물을 위한 전달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의 특성이 30℃ 내지 34℃의 온도에서 변화되는 전달 제품.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이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인 전달 제품.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이,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이 사람의 피부에 도포되는 경우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된 박리가능한(releasable) 배면층에 적층된 전달 제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이 주변 환경에서 34℃의 온도에서 표면 상에 위치된 경우,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이 완전히 분해되는 데 30분 내지 120분 걸리는 전달 제품.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이 그의 표면 상의 어디에도 피부 접착제를 함유하지 않는 전달 제품.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이 상호침투 중합체 망상구조로 구성된 전달 제품.
  10. 착용자의 피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된 내부 표면 및 반대측 외부 표면을 포함하는, 착용자의 피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된 흡수 용품; 및
    제1항 또는 제2항에 정의된 전달 제품을 포함하는, 착용자의 피부와의 접촉을 위해 흡수 용품의 내부 표면 상에 수동으로 배치되는 삽입물
    을 포함하는, 국소 피부 조성물의 전달을 위한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흡수 용품이 기저귀 또는 팬츠 또는 여성 위생 패드 또는 성인 실금자용 가먼트 또는 창상치유용 드레싱을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국소 피부 조성물에 함유된 스킨 케어 활성제 또는 의약이 기저귀 발진 약제를 포함하는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이 박리가능한 배면층에 적층되고, 박리가능한 배면층은 삽입물이 흡수 용품의 내부 표면 상에 수동으로 배치되는 경우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으로부터 제거되는 시스템.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국소 피부 조성물이 열반응성 중합체 필름에 혼입된 전달 제품.
KR1020107029485A 2008-06-30 2009-05-14 국소 조성물을 위한 전달 제품 KR1018324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64,872 US20090324693A1 (en) 2008-06-30 2008-06-30 Delivery Product for Topical Compositions
US12/164,872 2008-06-30
PCT/IB2009/052013 WO2010001267A2 (en) 2008-06-30 2009-05-14 Delivery product for topical compos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466A KR20110028466A (ko) 2011-03-18
KR101832484B1 true KR101832484B1 (ko) 2018-02-26

Family

ID=41447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485A KR101832484B1 (ko) 2008-06-30 2009-05-14 국소 조성물을 위한 전달 제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090324693A1 (ko)
EP (1) EP2309969B1 (ko)
KR (1) KR101832484B1 (ko)
AU (1) AU2009265208B2 (ko)
MX (1) MX2010013822A (ko)
WO (1) WO201000126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02799C (en) * 2010-08-11 2015-03-03 University Of Kansas Delayed gelling agents
US10433700B2 (en) 2013-11-27 2019-10-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ulti-purpose tough stain removal articles
MX2018005884A (es) 2015-11-30 2018-08-15 Kimberly Clark Co Estructuras que contienen geles termosensibles.
US10793813B2 (en) * 2016-05-06 2020-10-06 Gpcp Ip Holdings Llc Dispersible packaging for toilet paper moistener produc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1833A1 (en) 2000-02-15 2001-09-13 Mattias Schmidt Absorbent article with phase change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31800C (ko) 1965-05-17
US3419594A (en) * 1966-04-08 1968-12-31 Du Pont Continuous process for the halogenation of tolylene diisocyanate
US3814730A (en) * 1970-08-06 1974-06-04 Gen Electric Platinum complexes of unsaturated siloxanes and platinum containing organopolysiloxanes
US3715334A (en) * 1970-11-27 1973-02-06 Gen Electric Platinum-vinylsiloxanes
US4100324A (en) * 1974-03-26 1978-07-11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fabric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3923705A (en) * 1974-10-30 1975-12-02 Dow Corning Method of preparing fire retardant siloxane foams and foams prepared therefrom
US4323534A (en) * 1979-12-17 1982-04-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xtrusion process for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fabric fibers with exceptional strength and good elasticity
CA1341430C (en) * 1984-07-02 2003-06-03 Kenneth Maynard Enloe Diapers with elasticized side pockets
US4663220A (en) * 1985-07-30 1987-05-05 Kimberly-Clark Corporation Polyolefin-containing extrudabl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formation into elastomeric products including microfibers
US4834738A (en) * 1986-12-31 1989-05-30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garment having elastic outer cover and integrated absorbent insert structure
US4940464A (en) * 1987-12-16 1990-07-10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incontinence garment or training pant
US5093422A (en) * 1990-04-23 1992-03-03 Shell Oil Company Low stress relaxation extrudable elastomeric composition
CA2048905C (en) * 1990-12-21 1998-08-11 Cherie H. Everhart High pulp content nonwoven composite fabric
US5350624A (en) * 1992-10-05 1994-09-27 Kimberly-Clark Corporation Abrasion resistant fibrous nonwoven composite structure
US5262055A (en) * 1992-10-19 1993-11-16 The University Of Utah Implantable and refillable biohybrid artificial pancreas
US5332613A (en) * 1993-06-09 1994-07-26 Kimberly-Clark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elastomeric nonwoven fibrous webs
ATE206441T1 (de) * 1994-03-04 2001-10-15 Univ Washington Block- und pfropfcopolymere und dazu gehöriges verfahren
US6486140B2 (en) * 1994-07-19 2002-11-26 Medicarb Ab Agents, and methods employing them, for the prevention or reduction of tissue adhesion at a wound site
AU1466597A (en) * 1995-12-29 1997-07-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emperature-responsive materials
US5766389A (en) * 1995-12-29 1998-06-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registered graphic and process for making
US6498284B1 (en) * 1997-11-14 2002-12-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a skin care composition on an apertured top sheet
CA2322878C (en) * 1998-03-16 2008-05-06 Somerset Pharmaceuticals, Inc. Use of selegiline or desmethylselegiline for treating wounds, burns and dermatological damage
TR200100587T2 (tr) * 1998-08-25 2002-04-22 Kimberly Clark Worldwide, Inc. Cilt sağlığını koruyan ya da geliştiren emici malzeme.
US6645190B1 (en) * 1999-11-22 2003-11-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non-irritating refastenable seams
US6761711B1 (en) 1998-12-18 2004-07-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refastenable side seams
JP3805159B2 (ja) * 2000-01-25 2006-08-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皮膚保護成分を含んだ吸収性物品
US6756520B1 (en) * 2000-10-20 2004-06-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ydrophilic compositions for use on absorbent articles to enhance skin barrier
US6749860B2 (en) * 2000-12-22 2004-06-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non-aqueous compositions containing botanicals
US20020128615A1 (en) * 2000-12-22 2002-09-12 Tyrrell David John Absorbent articles with non-aqueous compositions containing anionic polymers
US7264615B2 (en) * 2001-04-03 2007-09-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insert for use with an outer absorbent garment
US7005557B2 (en) * 2001-07-03 2006-0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ilm-forming compositions for protecting skin from body fluid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20030204180A1 (en) * 2002-04-30 2003-10-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emperature responsive delivery systems
ATE426417T1 (de) * 2002-06-12 2009-04-15 Sca Hygiene Prod Ab Absorbierender artikel mit einer hautpflegezusammensetzung
US7060867B2 (en) * 2002-11-27 2006-06-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 body facing liner having discretely placed lotion deposits
US7491863B2 (en) * 2002-12-31 2009-02-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econdary lotioned article
US20050124957A1 (en) * 2003-11-18 2005-06-09 Tamicare Ltd. Means to secure and align absorbent products and maintain fresh feeling for users
AU2005265249A1 (en) * 2004-06-22 2006-01-26 E-L Management Corp. Dissolvable film composition
WO2006066117A1 (en) * 2004-12-17 2006-06-22 Alza Corporation Temperature modulation of transdermal drug delivery
CN1883438A (zh) * 2005-06-21 2006-12-27 香港理工大学 温度响应性智能面膜及其制备方法
US20070042023A1 (en) 2005-08-22 2007-02-22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Dissolvable film
CN101277727B (zh) * 2005-10-05 2014-04-16 Sca卫生用品公司 包括含活化剂薄膜的吸收性制品
AU2005339299A1 (en) * 2005-12-20 2007-06-28 Sca Hygiene Products Ab New article
JP2010508886A (ja) * 2006-11-02 2010-03-25 エスセーアー・ハイジーン・プロダクツ・アーベー 供給デバイス
FR2915388B1 (fr) * 2007-04-27 2010-12-24 Oreal Film hydrosoluble cosmetiqu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1833A1 (en) 2000-02-15 2001-09-13 Mattias Schmidt Absorbent article with phase change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9265208A1 (en) 2010-01-07
EP2309969A4 (en) 2011-08-03
WO2010001267A2 (en) 2010-01-07
MX2010013822A (es) 2011-01-14
EP2309969A2 (en) 2011-04-20
AU2009265208B2 (en) 2013-12-19
WO2010001267A3 (en) 2010-03-11
US20090324693A1 (en) 2009-12-31
US8603054B2 (en) 2013-12-10
KR20110028466A (ko) 2011-03-18
US20120130323A1 (en) 2012-05-24
EP2309969B1 (en) 201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66005B1 (en) Liquid surfactant compositions that adhere to surfaces and solidify and swell in the presence of water and articles using the same
KR101643779B1 (ko) 피부 청결 및 건강 향상용 배합물 및 제품
KR100909142B1 (ko) 피부 건강관리 첨가제의 분리 영역을 갖는 여성 위생 용품
TWI233364B (en) Skin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low concentrations of skin treatment agents
KR100598199B1 (ko) 체액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필름 형성 조성물 및그로부터 제조된 제품
US6932976B2 (en) Enzyme blocking skin protectant cream
US8663665B2 (en) Anti-chafing compositions comprising boron nitride
JP2005532837A (ja) 吸収性物品着用者の肌の健康のためのシステム
JP2001521994A (ja) 2以上のスキンケア組成物が配置されたウエブ材料およびそれから作られた製品
JP2002505918A (ja) 吸収製品のプロトン供与性活性成分
KR101832484B1 (ko) 국소 조성물을 위한 전달 제품
MX2015005710A (es) Composiciones activables para la liberacion controlada en dos etapas de sustancias quimicas activas.
CA2725662C (en) Compositions for repelling fluid and uses thereof
EP2356971B1 (en) Compositions for repelling fluid and uses thereof
EP2356972B1 (en) Method and kits for improving comfort of the intimate ar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261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502

Effective date: 2017121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