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190B1 - 보정 기능을 가지는 부분 방전 진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보정 기능을 가지는 부분 방전 진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190B1
KR101832190B1 KR1020160098845A KR20160098845A KR101832190B1 KR 101832190 B1 KR101832190 B1 KR 101832190B1 KR 1020160098845 A KR1020160098845 A KR 1020160098845A KR 20160098845 A KR20160098845 A KR 20160098845A KR 101832190 B1 KR101832190 B1 KR 101832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al discharge
filter
pulse
correction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5385A (ko
Inventor
정재기
장훈기
최우용
김동균
박용훈
Original Assignee
한빛이디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빛이디에스(주) filed Critical 한빛이디에스(주)
Priority to KR1020160098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190B1/ko
Publication of KR20180015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01R31/1263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solid or fluid materials, e.g. insulation films, bulk material; of semiconductors or LV electronic components or parts;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 G01R31/127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solid or fluid materials, e.g. insulation films, bulk material; of semiconductors or LV electronic components or parts;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e.g.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16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 G01R23/165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using fil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ulses, e.g. deviation from pulse flatness, rise time or du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sting Relating To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분 방전 진단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정 기능을 가지는 부분 방전 진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방전 진단 장치는 부분방전에 대응한 신호를 센싱하고 원 센싱 펄스를 출력하는 부분 방전 센서; 설정 정보에 따라 통과 범위를 가변하면서 상기 원 센싱 펄스를 필터링하는 필터; 상기 필터에서 출력되는 원 센싱 펄스의 크기를 계측하는 부분 방전 신호 검출부; 상기 부분 방전 신호 검출부가 계측한 원 센싱 펄스의 크기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필터를 통해 출력되는 다양한 부분 방전 펄스 주파수에 대응해 자동 보정(Calibration)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환경에서 범용적으로 정밀한 부분 방전 진단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정 기능을 가지는 부분 방전 진단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A PARTIAL DISCHARGING HAVING A CALIBRATION FUNTIALITY}
본 발명은 부분 방전 진단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정 기능을 가지는 부분 방전 진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분방전은 절연체의 전체적인 절연파괴가 아니라, 코로나와 같은 국부적인 대기중 방전과 내부적으로 장기간 운전되는 고압설비에서 절연체 내에 존재하는 보이드(void) 공간에서 발생하는 열화의 마지막 단계에 해당하는 현상으로, 부분방전의 측정을 통한 절연체의 진단은 다른 방법에 비해 정확하다고 볼 수 있다.
부분방전은 절연체 내의 결함의 형태, 인가전압의 종류 및 크기, 절연체의 종류 등에 따라 상당히 다른 특성을 보인다. 즉, 부분 방전은 열화 상태에 대한 수많은 정보를 갖고 있다.
또한, 부분 방전은 어느 정도 고전압이 인가될 때 개시되고, 부분 방전 발생시 전류나 음향과 같은 부분 방전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부분방전신호는 상당히 미약하기 때문에 높은 정밀도를 갖는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게 된다. 즉, 극단적으로 큰 스트레스(고전압)가 인가될 때 극단적으로 작은 신호를 측정해야 하므로 상당한 어려움이 뒤따른다. 측정의 곤란함은 노이즈에 의해 가중된다.
부분 방전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원 센싱 펄스는 노이즈에 의한 노이즈 펄스와 부분 방전에 의한 부분 방전 펄스를 포함한다.
이에 부분 방전 진단시 노이즈 제거를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있다. 대표적으로, 노이즈 펄스와 부분 방전 펄스는 주파수 특성이 다른 점에 착안하여 필터를 사용해 부분 방전 펄스 만을 추출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에 더 나아가, 주파수 가변 필터를 사용해 진단 환경에 따라 상이한 노이즈 펄스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다만, 주파수 가변 필터를 사용하게 되면, 필터링된 부분 방전 펄스의 원 파형 정보를 알 수 없어 정밀한 부분 방전 진단이 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751230000호(공고일: 2014.03.25)
본 발명은 부분 방전 펄스의 원 파형 정보를 알 수 있게 하여 정밀한 부분 방전 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부분 방전 펄스 측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방전 진단 장치는 부분방전에 대응한 신호를 센싱하고 원 센싱 펄스를 출력하는 부분 방전 센서; 설정 정보에 따라 통과 범위를 가변하면서 상기 원 센싱 펄스를 필터링하는 필터; 상기 필터에서 출력되는 원 센싱 펄스의 크기를 계측하는 부분 방전 신호 검출부; 상기 부분 방전 신호 검출부가 계측한 원 센싱 펄스의 크기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에 대응한 미러 필터를 생성하고 상기 미러 필터를 사용해 기준 펄스를 필터링 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보정에 사용되는 보정 기준값을 생성하는 보정값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준 펄스를 시간 영역 또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정보로써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정부는 다음의 수학식
"원 센싱 펄스의 크기 보정값=기준 펄스의 크기*(필터에서 출력되는 원 센싱 펄스의 크기/보정 기준값)”
에 따라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방전 진단 방법은 부분 방전 센서가 출력하는 원 센싱 펄스가 필터링 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원 센싱 펄스의 크기가 계측되는 단계; 상기 계측된 원 센싱 펄스의 크기가 보정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필터를 통해 출력되는 다양한 부분 방전 펄스 주파수에 대응해 자동 보정(Calibration)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환경에서 범용적으로 정밀한 부분 방전 진단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방전 진단 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보정 기준값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3은 보정 기준값이 생성되는 과정 및 부분 방전 진단 과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방전 진단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방전 진단 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보정 기준값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3은 보정 기준값이 생성되는 과정 및 부분 방전 진단 과정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부분 방전 진단 장치(1)는 부분방전 센서(100), 신호 처리부(200), 필터(310), 필터 설정부(320), 부분방전 신호 검출부(400), 보정부(500), 부분방전 분석부(600), 저장부(700), 보정값 생성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부분 방전 센서(100)는 HF센서, HF CT센서 등일 수 있고, 측정 범위는 예를 들어, 1 ~ 300 MHz 또는 1 ~ 50 MHz일 수 있다. 부분 방전 센서(100)는 부분방전에 대응한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이하, 부분 방전 센서(100)가 부분 방전에 대응한 신호를 검출하는 것에 대응해 출력하는 신호를 "원 센싱 펄스"라고 칭하기로 한다. 앞서 본 바와 같이, 원 센싱 펄스는 노이즈에 의한 노이즈 펄스와 부분 방전에 의한 부분 방전 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200)는 원 센싱 펄스를 필터(310)가 처리 가능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310)는 디지털 필터 이며, 신호 처리부(200)는 부분방전 센서(100)가 출력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Analog-to-digital 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310)는 디지털 필터일 수 있다. 필터(310)는 필터 설정부(320)의 설정에 따라, LPF(Low Pass Filter), BPF(Band Pass Filter), HPF(High Pass Filter), BSF(Band Stop Filter 달리 표현하면, Band Reject Filter), APF(All Pass Filter)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필터(310)는 아날로그 필터일 수 있다. 이 경우, 필터(310)는 협대역 필터(미도시), 가변하는 로컬 주파수 신호 생성을 위한 오실레이터(미도시), 로컬 주파수 신호와 입력 신호를 믹싱하는 믹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310)가 아날로그 필터인 경우, 신호 처리부(200)가 생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필터(310)가 아날로그 필터인 경우, 신호 처리부(200)는 부분방전 센서(100)의 출력 신호를 증폭 또는 필터링하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필터(310)는 아날로그 필터 및 디지털 필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는, 필터(310)는 아날로그 필터 및 디지털 필터의 혼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필터 설정부(320)는 외부 입력 또는 자동 설정 방식으로 필터(310)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필터 설정부(320)의 설정에 따라 필터(310)는 특정 통과 범위를 가지는 LPF(Low Pass Filter), BPF(Band Pass Filter), HPF(High Pass Filter), BSF(Band Stop Filter 달리 표현하면, Band Reject Filter), APF(All Pass Filter)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필터 설정부(320)의 설정에 따라,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타입의 필터(310)는 필터링 특성이 가변될 수 있다.
부분 방전 신호 검출부(400)는 필터(310)를 통과한 원 센싱 펄스의 신호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부분 방전 신호 검출부(400)는 신호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검출 단위는 dbm일 수 있다. 또는, 피크 전압값(mv)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부분 방전 신호 검출부(400)가 검출하는 원 센싱 펄스의 크기 단위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부분 방전 분석부(600)는 원 센싱 펄스의 크기를 사용해 부분 방전 패턴(PRPD 패턴 등 주지된 다양한 패턴)을 생성하고 그 패턴을 사용해 부분 방전을 진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분 방전 분석부(600)는 위상-크기 좌표에 원 센싱 펄스를 기록하는 것에 의해 패턴을 형성하고 이를 기 저장된 다양한 부분 방전 유형 별 패턴과 대비하는 것에 의해 부분 방전 유형 및 부분 방전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필터(310)를 통과하는 원 센싱 펄스는 원 파형 정보(특히, 크기)를 유지할 수 없다. 그리고, 주파수 가변 필터의 경우 원 센싱 펄스의 통과 대역이 가변됨에 따라 주파수 가변 필터의 출력값으로부터 원 파형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또한, 필터가 LPF(Low Pass Filter), BPF(Band Pass Filter), HPF(High Pass Filter), BSF(Band Stop Filter 달리 표현하면, Band Reject Filter), APF(All Pass Filter)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고 그 동작 유형에서 통과 범위가 가변됨에 따라 원 센싱 펄스의 필터(310)에서의 출력 파형은 상이할 수 있다. 다만, 정밀한 부분 방전 진단을 위해서는 원 센싱 펄스에서 부분 방전 펄스 만을 잘 추출하여 진단함과 동시에 그 부분 방전 펄스의 원 파형 정보를 사용하여 부분 방전을 진단하여야 한다. 따라서, 필터(310)를 통과한 원 센싱 펄스로부터 원 파형 정보를 추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보정부(500)는 필터(310)가 출력하는 원 센싱 펄스로부터 검출한 원 센싱 펄스의 크기를 원 파형 정보로 보정을 한다. 이때, 도 2의 보정 기준값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의 보정 기준값이 생성되는 과정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보정값 생성부(800)는 기준 펄스를 사용해 필터(310)를 통과한 원 센싱 펄스의 크기를 원 센싱 펄스의 원 파형 상에서의 크기로 변환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한다. 저장부(700)는 기준 펄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펄스 정보는 디지털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준 펄스의 세부 사항을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기준 펄스는 피크값, 상승시간, 감쇄시간, 전하량 등에 제한이 없을 수 있다. 보정값 생성부(800)는 부분 방전 진단 장치(1)가 보정값 생성 모드 인 경우, 도 3에서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저장부(700)는 기준 펄스를 부분 방전 진단 장치의 초기 세팅시 저장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부분 방전 진단 장치 외부에서 기준 펄스를 인가 받고 그 인가 받은 기준 펄스 정보가 저장부(70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저장부(700)에 저장되는 기준 펄스 정보는 시간 영역에서의 정보일 수도 있고 주파수 영역에서의 정보일 수도 있다. 기준 펄스가 주파수 영역에서의 정보로 저장된 경우, 후술하는 미러 필터를 사용한 필터링 후 필터링 된 신호를 시간 영역으로 변환한 후 그 변환된 신호를 사용해 펄스 크기를 계측할 수 있다. 상기 시간 영역으로의 변환시 역 푸리에 변환이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보정값 생성 모드일 때, 필터 설정 정보에 따라 필터 설정부(320)에 의해 필터(310)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310)는 LPF(Low Pass Filter), BPF(Band Pass Filter), HPF(High Pass Filter), BSF(Band Stop Filter 달리 표현하면, Band Reject Filter), APF(All Pass Filter)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S31). 이하, 필터(310)가 BPF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310)는 아날로그 필터 및 디지털 필터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된 형태일 수 있다.
필터가 설정되면, 보정값 생성부(800)에서 미러 필터가 생성될 수 있다(S32). 여기서, 미러 필터는 필터(310)와 동일한 필터 설정 정보를 가지는 필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310)가 w1을 중심주파수로 하고 대역폭을 wd로 하는 BPF로 설정된 경우, 미러 필터는 w1을 중심주파수로 하고 대역폭을 wd로 하는 BPF일 수 있다.
미러 필터가 생성되면 보정값 생성부(800)는 미러 필터에서 저장부(700)에 저장된 기준 펄스를 필터링 할 수 있다(S33). 여기서, 기 저장된 기준 펄스의 단위는 제한이 없을 수 있다. 기준 펄스의 단위가 부분 방전 신호 검출부(400)의 검출 단위와 동일할 수 있고 이와 다를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준 펄스의 단위가 부분 방전 신호 검출부(400)의 단위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보정부(500)는 정량적인 크기 보정과 더불어 단위 보정도 할 수 있다.
보정값 생성부(800)는 S33의 필터링 결과에 기초해 미러 필터의 출력 신호의 크기를 계측할 수 있다. 그 크기는 예를 들어, dbm 단위일 수 있다. 보정값 생성부(800)에서 미러 필터의 출력 신호의 계측 단위는 부분 방전 신호 검출부(400)의 검출 단위와 동일할 수 있다. 보정값 생성부(800)는 미러 필터의 출력 신호의 크기를 보정 기준값으로 할 수 있다(S34).
도 2는 보정 기준값을 예시한다. 도 2는 기준 펄스의 크기가 10 dbm이고 미러 필터에서 출력되는 기준 펄스의 크기가 9 dbm인 것을 예시한다. 여기서, 도 2의 테이블은 보정 기준값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준 펄스가 주파수 영역의 정보 형태인 경우, 보정값 생성부(800)는 미러 필터를 사용한 필터링 후 그 필터링된 기준 펄스를 시간 영역으로 변환한 후 그 시간 영역에서의 펄스 크기를 보정 기준값으로 할 수 있다. 필터(310)가 BPF이고, 주파수 가변 필터인 경우, 보정값 생성부(800)는 필터(310)의 설정 정보와 무관하게 미러 필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310)의 전 통과대역을 미러 필터를 통해 스캐닝하면서 각각의 통과대역에서의 보정 기준값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보정 기준값은 통과대역(또는, 중심주파수)별 필터에서 출력되는 기준 펄스의 크기일 수 있다. 이때, 기준 펄스가 주파수 영역에서의 정보인 경우 앞서 본 바와 같이 시간 영역에서의 크기 계측을 위해, 필터링된 기준 펄스를 주파수 영역에서 시간 영역으로 변환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S34에서 보정 기준값이 생성된 후 부분 방전 진단 장치(1)가 부분 방전 진단 모드로 진입하면, 부분 방전 진단 장치(1)는 보정 기준값을 사용해 부분 방전을 진단할 수 있다(S35), 이때, 보정부(500)는 다음의 수학식에 따라 부분 방전 신호 검출부(400)가 계측한 필터(310)에서 출력되는 원 센싱 펄스의 크기를 원 펄스 상에서의 크기로 보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6075490624-pat00001
여기서, 필터(310)의 출력값에서 노이즈 펄스가 완전 제거된 것이라 가정한다면, 원 센싱 펄스의 크기는 부분 방전 센서(100)의 출력값인 원 센싱 펄스에 포함된 부분 방전 펄스의 크기일 수 있다. 이때, 기준 펄스의 단위가 부분 방전 신호 검출부(400)의 단위와 동일한 경우이면 상기 수식에 의해 정량적인 크기에 대한 보정 만이 진행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기준 펄스의 단위가 부분 방전 신호 검출부(400)의 검출 단위가 상이한 경우 정량적인 크기에 대한 보정과 더불어 단위 보정(또는 변환)까지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정 기준값을 생성하는데 사용된 기준 펄스의 크기가 10 dbm이고 보정 기준값의 크기가 9 dbm이고 필터(310)로 출력되는 원 센싱 펄스의 크기가 18 dbm인 경우, 보정부(400)는 원 센싱 펄스의 크기를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다음과 같은 계산에 의해
20 dbm = 10 dbm*(18 dbm/9dbm)
부분 방전 신호 검출부(400)의 계측값인 18 dbm을 20 dbm을 보정할 수 있고, 이 보정값을 사용해 부분 방전 분석부(600)는 부분 방전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보정된 값에 기초하여 부분 방전 분석부는 부분 방전 신호의 패턴을 생성하고 그 패턴을 기 설정된 패턴과 비교하는 것에 의해 부분 방전 유형 및 부분 방전 정도를 판정할 수 있다.
1: 부분 방전 진단 장치
100: 부분방전 센서
200: 신호 처리부
310: 필터
320: 필터 설정부
400: 부분방전 신호 검출부
500: 보정부
600: 부분방전 분석부
700: 저장부
800: 보정값 생성부

Claims (5)

  1. 부분방전에 대응한 신호를 센싱하고 원 센싱 펄스를 출력하는 부분 방전 센서;
    설정 정보에 따라 통과 범위를 가변하면서 상기 원 센싱 펄스를 필터링하는 필터;
    상기 필터에서 출력되는 원 센싱 펄스의 크기를 계측하는 부분 방전 신호 검출부;
    상기 부분 방전 신호 검출부가 계측한 원 센싱 펄스의 크기를 보정하는 보정부; 및
    상기 필터에 대응한 미러 필터를 생성하고 상기 미러 필터를 사용해 기준 펄스를 필터링 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보정에 사용되는 보정 기준값을 생성하는 보정값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방전 진단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펄스를 시간 영역 또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정보로써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방전 진단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하기 수학식에 따라 보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방전 진단 장치.
    [수학식]
    원 센싱 펄스의 크기 보정값=기준 펄스의 크기*(필터에서 출력되는 원 센싱 펄스의 크기/보정 기준값)
  5. 제1항의 부분 방전 진단 장치를 이용한 부분 방전 진단 방법에 있어서,
    부분 방전 센서가 출력하는 원 센싱 펄스가 필터링 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원 센싱 펄스의 크기가 계측되는 단계;
    상기 계측된 원 센싱 펄스의 크기가 보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방전 진단 방법.
KR1020160098845A 2016-08-03 2016-08-03 보정 기능을 가지는 부분 방전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1832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845A KR101832190B1 (ko) 2016-08-03 2016-08-03 보정 기능을 가지는 부분 방전 진단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845A KR101832190B1 (ko) 2016-08-03 2016-08-03 보정 기능을 가지는 부분 방전 진단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385A KR20180015385A (ko) 2018-02-13
KR101832190B1 true KR101832190B1 (ko) 2018-02-26

Family

ID=61231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845A KR101832190B1 (ko) 2016-08-03 2016-08-03 보정 기능을 가지는 부분 방전 진단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1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05135B (zh) * 2021-08-23 2023-07-21 深圳供电局有限公司 校正局部放电输出信号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385A (ko) 201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2504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frequency span in a spectrum analyzer
JP4879646B2 (ja) 測定機器及び自己相関トリガ発生方法
US8255179B2 (en) Time qualified frequency mask trigger
JPH0237542B2 (ko)
US20100312515A1 (en) Test apparatus, performance board and calibration board
KR101820040B1 (ko) 부분 방전 펄스 측정 장치 및 방법
US20190025344A1 (en) Monitoring device under test waveform on signal generator
US20020075951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measure jitter
KR101832190B1 (ko) 보정 기능을 가지는 부분 방전 진단 장치 및 방법
US10509064B2 (en) Impedance measurement through waveform monitoring
KR100772840B1 (ko)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선형특성 테스트장치 및 그 방법
US11885839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time domain measurements of periodic radio frequency (RF) signal using measurement instrument operating in frequency domain
CN117434426A (zh) 一种开关电容滤波器的测试方法、系统及装置
US20110274150A1 (en) Logical triggering in the frequency domain
JP3311464B2 (ja) 信号測定装置
JP2014010073A (ja) 劣化検査装置および劣化検査方法
JP2013544369A (ja) 継続的掃引周波数を用いるシステム周波数応答テスト
CN110208588B (zh) 数字示波器和测量波特图的方法、可读存储介质
US7424406B2 (en) Filter characteristic measuring method and system
US7672804B2 (en) Analog signal test using a-priori information
CN115219971B (zh) 一种示波器波形检查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
US11693046B2 (en) Monitoring waveforms from waveform generator at device under test
CN103217575B (zh) 信号敏感数据压缩
US11719663B2 (en) Measuring apparatus
Chytil et al. Detector for Nuclear Quadrupole Resonance Spectrosco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