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187B1 - 하수처리장 슬러지 저류조 상등수 자동배출장치 - Google Patents

하수처리장 슬러지 저류조 상등수 자동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187B1
KR101832187B1 KR1020170084918A KR20170084918A KR101832187B1 KR 101832187 B1 KR101832187 B1 KR 101832187B1 KR 1020170084918 A KR1020170084918 A KR 1020170084918A KR 20170084918 A KR20170084918 A KR 20170084918A KR 101832187 B1 KR101832187 B1 KR 101832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supernatant
connection pipe
water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진길
Original Assignee
(주)한국환경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환경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국환경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084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1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44Discharge mechanisms for the classified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슬러지 저류조 상등수 자동배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하수처리장 슬러지 저류조 상등수 자동배출장치는, 슬러지를 포함하는 하수가 저장되는 저수부와; 상기 저수부의 측부에 배치되며, 상등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상등수 저장부; 및 상기 저수부에 저장되는 상기 슬러지의 침전 수위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슬러지의 상부에 층을 이루는 상등수를 상기 상등수 저장부로 강제 유입시키는 상등수 회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수처리장 슬러지 저류조 상등수 자동배출장치{DISCHARGE APPARATUS OF SUPERIORITY WATER}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 슬러지 저류조 상등수 자동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러지 저류조의 침전 슬러지를 중심처리장으로 이송하여 탈수, 처리하는 중소규모의 하수처리장에서 슬러지 운반비 및 슬러지의 수분함유량을 줄이는 동시에 TS(Total Solid)농도를 높여 효율적인 탈수효과에 기여 할 수 있도록 슬러지 저류조에 설치되며, 슬러지의 무단월류 및 하수처리장의 농도부하를 차단하기 위하여 다중의 안전 제어 기능을 구비하여 운전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상등수를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하수처리장의 하수처리 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상등수만을 자동으로 배출하기 위한 하수처리장 슬러지 저류조 상등수 자동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중소규모의 하수처리장의 경우 대부분 하수처리장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는 저류조에 일정기간 동안 저류된 후, 소정량을 이루면, 탈수시설을 갖추고 있는 중심처리장으로 운반되어 탈수 처리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여기서, 중소규모의 하수처리장에 슬러지 처리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이에 따르는 설치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사유로, 대부분의 하수 처리장에서는 상기와 같은 탈수시설이 미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중소규모의 하수처리장에서 잉여슬러지를 중심처리장으로 이송하여 처리할 경우 슬러지 저류조에 저류되어 있는 상등수와 슬러지를 함께 반출하여 운반횟수가 빈번하여 운송비가 과다해지고, 아울러, 슬러지의 수분함수율이 높아 탈수효율에도 악영향을 미티는 문제점이 있다.
통상, 슬러지 저류조에는 상등수 드레인 배관이 설치되나, 저류조의 수위가 드레인 배관에 이르기까지 상등수의 주기적인 인발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상등수의 관리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상등수의 인발이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에, 저류조가 만수위가 되었을 경우 교반을 위한 송풍기 가동시 슬러지가 무단으로 월류되고, 월류되는 슬러지가 하수처리공정의 전단부로 흘러들어가 반류 유입수에 의한 농도부하로 인해 처리수질의 악화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에는, 500톤 이하의 소규모 하수처리장의 경우 운영인력에 비해 관리해야 하는 처리장의 수가 과다하여 슬러지 저류조의 상등수 관리가 쉽지 않은 실정이고, 상등수의 월류부하로 인해 처리수질이 악화되는 악순환이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종래에는 슬러지 반출시기에 상등수를 포함한 잉여슬러지가 반출되기 때문에, 슬러지 반출횟수가 빈번해져 운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0-0011622호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슬러지 저류조의 침전 슬러지를 중심처리장으로 이송하여 탈수.처리하는 중소규모의 하수처리장에서 슬러지 운반비 및 슬러지의 수분함유량을 줄이는 동시에 TS(Total Solid)농도를 높여 효율적인 탈수효과에 기여 할 수 있도록 슬러지 저류조에 설치되며, 슬러지의 무단월류 및 하수처리장의 농도부하를 차단하기 위하여 다중의 안전 제어 기능을 구비하여 운전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상등수를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하수처리장의 하수처리 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상등수만을 자동으로 배출하기 위한 하수처리장 슬러지 저류조 상등수 자동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슬러지 저류조 상등수 자동배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하수처리장 슬러지 저류조 상등수 자동배출장치는, 슬러지를 포함하는 하수가 저장되는 저수부와; 상기 저수부의 측부에 배치되며, 상등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상등수 저장부; 및 상기 저수부에 저장되는 상기 슬러지의 침전 수위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슬러지의 상부에 층을 이루는 상등수를 상기 상등수 저장부로 강제 유입시키는 상등수 회수부를 포함한다.
상기 저수부의 상부에는, 상기 하수에 포함되는 상기 슬러지의 침전 수위를 측정하는 초음파 슬러지 계도계가 배치된다.
상기 상등수 회수부는, 상기 저수부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는 유입단과, 상기 상등수 저장부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는 유출단과, 상기 유입단과, 상기 유출단을 연결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단을 승강시키는 승강기와,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슬러지의 상부에 층을 이루는 상등수를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유출 유량을 조절하는 전동 밸브와, 상기 초음파 슬러지 계도계로부터 측정한 상기 슬러지의 침전 수위를 전달 받고, 측정한 상기 슬러지의 침전 수위가 설정된 기준 침전 수위에 이르도록 상기 승강기를 사용하여, 상기 유출단을 승강시켜, 상기 슬러지의 상부에 층을 이루는 상등수를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시키고, 상기 전동 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연결관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상등수를 상기 유출구를 통해 상기 상등수 저장부의 내부로 유출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단은, 상기 저수부 및 상기 상등수 저장부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기 유출단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관 상에는, 상기 연결관을 따라 유동되는 상기 상등수의 수질을 측정하고, 측정한 상기 수질을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수질 센서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기는, 측정한 상기 수질이 기설정된 기준 수질과 동일 또는 이상을 이루는 경우, 상기 전동 밸브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연결관을 통해 유동되는 상등수를 상기 상등수 저장부로 유출시키도록 하고, 측정한 상기 수질이 기설정된 기준 수질과 동일 또는 이상을 이하를 이루는 경우, 상기 전동 밸브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연결관에서의 상기 상등수의 유로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등수 저장부에는, 회수관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수관의 일단은,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저수부의 내부 공간의 상부측으로 연결되고, 상기 저수부의 내부 공간에서의 상등수의 수위가 상승되면, 상승되는 상기 상등수는 상기 회수관을 통해 상기 연결관으로 유동되어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관은, 상기 유입단과 연결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1연결관과, 상기 유출단과 연결되어 상기 상등수 저장부의 바닥을 따라 배치되는 제 2연결관과, 상기 저수부와 상기 상등수 저장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격벽을 관통하여 상기 제 1연결관과 상기 제 2연결관을 연결하는 제 3연결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질 센서와 상기 전동 밸브는, 상기 제 3연결관 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단은, 상기 제 1연결관에 끼워져 상하를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승강관과, 상기 승강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상등수가 유입되도록 벌어져 형성되는 유입구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기는, 상기 승강관과 연결되며, 상기 저수부의 상부로 관통되도록 배치되는 승강바와, 상기 승강바를 설정된 승강 범위 내에서 승강시키는 승강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수부는, 폭기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폭기 장치는, 외기를 공급하는 브로워와, 상기 브로워와 연결되어, 상기 저수부의 내부 공간 바닥에 배치되어, 상기 브로워를 통해 공급되는 외기를 상기 슬러지로 배출하여 폭기시키는 폭기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브로워를 사용하여, 상기 폭기를 이루는 경우, 상기 슬러지의 상부에 층을 이루는 상등수를 상기 상등수 저장부로 강제 유입을 중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기에는, 상기 브로워를 기설정된 간헐적 작동시간을 통해, 간헐적으로 구동시켜, 간헐 폭기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폭기관은, 상기 저수부의 내부 공간의 바닥에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폭기관에는, 상기 제어기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설정된 진동을 형성하는 진동 발생기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폭기관은, 상기 폭기관의 중심축을 회전축선으로 하여, 상기 제어기의 제어 신호에 구동되는 회전기의 구동에 따라, 정역방향을 따라 상하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슬러지 저류조의 침전 슬러지를 중심처리장으로 이송하여 탈수.처리하는 중소규모의 하수처리장에서 슬러지 운반비 및 슬러지의 수분함유량을 줄이는 동시에 TS(Total Solid)농도를 높여 효율적인 탈수효과에 기여 할 수 있도록 슬러지 저류조에 설치되며, 슬러지의 무단월류 및 하수처리장의 농도부하를 차단하기 위하여 다중의 안전 제어 기능을 구비하여 운전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상등수를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하수처리장의 하수처리 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상등수만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슬러지 저류조 상등수 자동배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슬러지 저류조 상등수 자동배출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상등수 회수부의 유입단 및 연결관의 결합 상태 및, 승강 가능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슬러지 저류조 상등수 자동배출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슬러지 저류조 상등수 자동배출장치에서의 수질에 따른 상등수 배출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슬러지 저류조 상등수 자동배출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슬러지 저류조 상등수 자동배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슬러지 저류조 상등수 자동배출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상등수 회수부의 유입단 및 연결관의 결합 상태 및, 승강 가능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슬러지 저류조 상등수 자동배출장치는, 크게 저수부(100)와, 상등수 저장부(200)와, 상등수 회수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각 구성을 설명한다.
저수부(100)
본 발명에 따르는 저수부(100)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하수가 저장되는 내부 공간(100a)이 형성된다. 상기 하수는 슬러지를 포함한다.
상기 저수부(100)의 상부에는, 상기 하수에 포함되는 상기 슬러지의 침전 수위를 측정하는 초음파 슬러지 계도계(110)가 배치된다.
상기 초음파 슬러지 계도계(110)는 측정된 슬러지의 침전 수위를 후술되는 제어기(360)로 전송한다.
상등수 저장부(200)
본 발명에 따르는 상등수 저장부(100)는 상기 저수조(100)의 측부에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되, 격벽(210)을 통해 서로 구획되는 내부 공간(200a)을 형성한다.
상기 상등수 저장부(200)의 내부 공간(200a)에는, 저수조(100)로부터 상등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공간이다.
상등수 회수부(300)
본 발명에 따르는 상등수 회수부(300)는 상기 저수부(100)에 저장되는 상기 슬러지의 침전 수위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슬러지의 상부에 층을 이루는 상등수를 상기 상등수 저장부(200)로 강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등수 회수부(300)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상등수 회수부(300)는 상기 저수부(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는 유입단(310)과, 상기 상등수 저장부(200)의 내부 공간(200a)에 위치되는 유출단(320)과, 상기 유입단(310)과, 상기 유출단(320)을 연결하는 연결관(330)과, 상기 연결관(330)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단(310)을 승강시키는 승강기(340)와, 상기 연결관(330)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단(310)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슬러지의 상부에 층을 이루는 상등수를 상기 연결관(330)을 통해 상기 유출구(320)를 통해 유출되는 유출 유량을 조절하는 전동 밸브(350)와, 상기 초음파 슬러지 계도계(110)로부터 측정한 상기 슬러지의 침전 수위를 전달 받고, 측정한 상기 슬러지의 침전 수위가 설정된 기준 침전 수위에 이르도록 상기 승강기(340)를 사용하여, 상기 유출단(310)을 승강시켜, 상기 슬러지의 상부에 층을 이루는 상등수를 상기 유입단(310)을 통해 유입시키고, 상기 전동 밸브(350)를 구동시켜, 상기 연결관(330)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상등수를 상기 유출단(320)을 통해 상기 상등수 저장부(200)의 내부(200a)로 유출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기(36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단(310)은, 상기 저수부(100) 및 상기 상등수 저장부(200)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기 유출단(320)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연결관(330) 상에는, 상기 연결관(330)을 따라 유동되는 상기 상등수의 수질을 측정하고, 측정한 상기 수질을 상기 제어기(360)로 전송하는 수질 센서(37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360)는, 측정한 상기 수질이 기설정된 기준 수질과 동일 또는 이상을 이루는 경우, 상기 전동 밸브(350)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연결관(330)을 통해 유동되는 상등수를 상기 상등수 저장부(200)로 유출시키도록 하고, 측정한 상기 수질이 기설정된 기준 수질과 동일 또는 이상을 이하를 이루는 경우, 상기 전동 밸브(350)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연결관(330)에서의 상기 상등수의 유로를 폐쇄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상등수 저장부(300)에는, 회수관(380)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회수관(380)의 일단은, 상기 연결관(330)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저수부(100)의 내부 공간(100a)의 상부측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수관(380)의 일단은, 상기 전동 밸브(350)의 전단에 배치되어, 저수부(100)에서 상등수의 수위가 상승되면, 상기 상등수를 유입시켜, 상기 연결관(330)으로 유동되도록 하여 상등수 저장부(200)로 배출시킨다.
한편, 상술한 연결관(330)은, 상기 유입단(310)과 연결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1연결관(331)과, 상기 유출단(320)과 연결되어 상기 상등수 저장부(200)의 바닥을 따라 배치되는 제 2연결관(332)과, 상기 저수부(100)와 상기 상등수 저장부(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격벽(210)을 관통하여 상기 제 1연결관(331)과 상기 제 2연결관(332)을 연결하는 제 3연결관(333)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질 센서(370)와 상기 전동 밸브(350)는, 상기 제 3연결관(333) 상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도 3을 참조 하면, 상기 유입단(310)은, 상기 제 1연결관(331)에 끼워져 상하를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승강관(311)과, 상기 승강관(311)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상등수가 유입되도록 벌어져 형성되는 유입구(312)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승강기(34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면, 상기 승강관(311)과 연결되며, 상기 저수부(100)의 상부로 관통되도록 배치되는 승강바(341)와, 상기 승강바(341)를 설정된 승강 범위 내에서 승강시키는 승강 실린더(342)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슬러지 저류조 상등수 자동배출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 하면, 슬러지를 포함하는 하수는 외부로부터 저수조(100)의 내부 공간(100a)으로 유입된다.
이와 동시에, 저수조(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초음파 슬러지 계도계(110)는 저수부(100)의 내부 공간(100a)에 저장되는 하수의 슬러지의 침전 수위를 측정하고, 이를 제어기(36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기(360)는 측정되는 슬러지의 침전 수위가 설정된 기준 침전 수위와 비교하고, 슬러지의 침전 수위가 설정된 기준 침전 수위 이상을 이루는 경우, 승강기(340)를 사용하여 유입단(310)을 승강시킴과 아울러, 전동 밸브(350)를 개방시킨다.
이에 따라, 저수부(100)의 내부 공간(100a)에 저장된 상등수는 유입단(310)을 통해 유입되어, 연결관(330)을 따라 유동되어 상등수 저장부(200)에 노출되는 유출단(320)을 통해, 상등수 저장부(200)의 내부 공간(200a)으로 유출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360)는, 측정되는 슬러지의 침전 수위가 설정된 기준 침전 수위와 동일해 질 때 까지 상기 과정을 반복시키도록 한다.
반면에, 상기 제어기(360)는 측정되는 슬러지의 침전 수위가 설정된 기준 침전 수위 이하를 이루는 경우, 상등수 회수부(300)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슬러지 저류조 상등수 자동배출장치에서의 수질에 따른 상등수 배출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수질 센서(370)는 연결관(330)을 따라 유동되는 상기 상등수의 수질을 측정하고, 측정한 상기 수질을 상기 제어기(360)로 전송한다.
이어, 상기 제어기(360)는, 측정한 상기 수질이 기설정된 기준 수질과 동일 또는 이상을 이루는 경우, 상기 전동 밸브(350)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연결관(330)을 통해 유동되는 상등수를 상기 상등수 저장부(200)로 유출시키도록 하고, 측정한 상기 수질이 기설정된 기준 수질 이하를 이루는 경우, 상기 전동 밸브(350)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연결관(330)에서의 상기 상등수의 유로를 폐쇄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330)에서의 상기 상등수의 유로를 폐쇄되어, 저수부에서의 상등수의 수위가 상승되면, 이 상등수는 회수관(380)을 통해 연결관으로 유동되고, 이 상등수는 유출단(320)을 통해 상등수 저장부(200)로 배출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회수관(380)에는, 이물질을 거를 수 있는 필터가 더 설치될 수 있음과 아울러, 살균을 위한 광촉매 층이 더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저수부(100)는, 폭기 장치(400)를 구비한다.
상기 폭기 장치(400)는, 외기를 공급하는 브로워(blower, 410)와, 상기 브로워(410)와 연결되어, 상기 저수부(100)의 내부 공간(100a) 바닥에 배치되어, 상기 브로워(410)를 통해 공급되는 외기를 상기 슬러지로 배출하여 폭기시키는 폭기관(4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폭기관(420)에는, 공기가 배출되어 폭기를 유도하는 다수의 폭기구들(4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폭기관(420)은, 브로워(410)와 연결되는 수직관(421)과, 상기 수직관(421)과 연결되어 저수부(100)의 내부 공간(100a)에 배치되는 수평관(422)를 갖고, 상기 수평관(422)에는 폭기구들(422a)이 형성된다.
상기 제어기(360)는, 상기 브로워(410)를 사용하여, 상기 폭기를 이루는 경우, 상기 슬러지의 상부에 층을 이루는 상등수를 상기 상등수 저장부(200)로 강제 유입을 중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360)에는, 상기 브로워(410)를 기설정된 간헐적 작동시간을 통해, 간헐적으로 구동시켜, 간헐 폭기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슬러지 저류조의 침전 슬러지를 중심처리장으로 이송하여 탈수.처리하는 중소규모의 하수처리장에서 슬러지 운반비 및 슬러지의 수분함유량을 줄이는 동시에 TS(Total Solid)농도를 높여 효율적인 탈수효과에 기여 할 수 있도록 슬러지 저류조에 설치되며, 슬러지의 무단월류 및 하수처리장의 농도부하를 차단하기 위하여 다중의 안전 제어 기능을 구비하여 운전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상등수를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하수처리장의 하수처리 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상등수만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다.
특히,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는 폭기관(420)은, 상기 저수부(100)의 내부 공간(100a)의 바닥에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폭기관(420)은, 브로워(410)와 연결되는 수직관(421)과, 상기 수직관(421)과 연결되어 저수부(100)의 내부 공간(100a)에 배치되는 수평관(422)과, 상기 수직관(421)과 수평관(422)을 연결하는 주름관(미도시)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관(422)에는 폭기구들(42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부(100)의 내부 공간(100a) 바닥에는 승강 실린더가 설치되고, 승강 실린더의 승강축은, 수평관(422)에 연결된다.
제어기는 승강 실린더를 구동시켜 승강축의 승강을 조절하고, 이에 따라, 수평관(422)의 상승 위치가 조절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폭기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폭기관(420)에는, 상기 제어기(36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설정된 진동을 형성하는 진동 발생기(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술한 수질 센서(370)로부터 측정되는 수질에 반비례되도록 설정되는 진동값을 통해, 진동 발생기를 구동시킨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수질에 따라 진동을 제공하여 폭기시 폭기 효율을 상승시키고, 슬러지의 고착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폭기관(420)의 수평관(422)은 상기 수평관(422)의 중심축을 회전축선으로 하여, 상기 제어기(360)의 제어 신호에 구동되는 회전기의 구동에 따라, 정역방향을 따라 상하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수평관(422)의 일단은, 주름관의 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저수부(100)의 내부 공간(100a)의 바닥에는 회전 기어가 설치되는 회전 장치들이 간격을 이루어 설치된다.
상기 회전 장치들 각각의 회전 기어는 수평관(422)의 외주와 기어 연결된다.
상기 회전 장치들은 제어기(360)의 제어에 의해 회전 속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360)는 상술한 수질 센서(370)로부터 측정되는 수질에 반비례되도록 설정되는 회전수를 이루도록 회전 장치들을 구동시킨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수질에 따라 폭기를 이루는 수평관의 회전 속도를 사변적으로 조절하여 폭기시 폭기 효율을 상승시키고, 슬러지의 고착을 방지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브로워는 기류를 불어 내는 장치로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브로워는 외기를 설정된 온도 범위 내에서 히팅시키는 히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제 1,2온도 센서와 연결된다. 상기 제 1온도 센서는 블로워에서 공급되는 외기의 제 1온도를 측정하여 제어기로 전송하고, 제 2온도 센서는 하수의 제 2온도를 측정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기는 제 2온도가 기설정된 폭기 안정 온도에 이르도록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외기의 제 2온도를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폭기 공정을 안정화 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슬러지 저류조 상등수 자동배출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저수부
200 : 상등수 저장부
300 : 상등수 회수부
400 : 폭기 장치

Claims (8)

  1. 슬러지를 포함하는 하수가 저장되는 저수부;
    상기 저수부의 측부에 배치되며, 상등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상등수 저장부; 및
    상기 저수부에 저장되는 상기 슬러지의 침전 수위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슬러지의 상부에 층을 이루는 상등수를 상기 상등수 저장부로 강제 유입시키는 상등수 회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저수부의 상부에는, 상기 하수에 포함되는 상기 슬러지의 침전 수위를 측정하는 초음파 슬러지 계도계가 배치되고,
    상기 상등수 회수부는, 상기 저수부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는 유입단과, 상기 상등수 저장부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는 유출단과, 상기 유입단과, 상기 유출단을 연결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단을 승강시키는 승강기와,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슬러지의 상부에 층을 이루는 상등수를 상기 연결관을 통해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유출 유량을 조절하는 전동 밸브와, 상기 초음파 슬러지 계도계로부터 측정한 상기 슬러지의 침전 수위를 전달 받고, 측정한 상기 슬러지의 침전 수위가 설정된 기준 침전 수위에 이르도록 상기 승강기를 사용하여, 상기 유출단을 승강시켜, 상기 슬러지의 상부에 층을 이루는 상등수를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시키고, 상기 전동 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연결관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상등수를 상기 유출구를 통해 상기 상등수 저장부의 내부로 유출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 상에는, 상기 연결관을 따라 유동되는 상기 상등수의 수질을 측정하고, 측정한 상기 수질을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수질 센서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측정한 상기 수질이 기설정된 기준 수질과 이상을 이루는 경우, 상기 전동 밸브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연결관을 통해 유동되는 상등수를 상기 상등수 저장부로 유출시키도록 하고, 측정한 상기 수질이 기설정된 기준 수질과 미만을 이루는 경우, 상기 전동 밸브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연결관에서의 상기 상등수의 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상등수 저장부에는, 회수관이 배치되되,
    상기 회수관의 일단은,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저수부의 내부 공간의 상부측으로 연결되고,
    상기 저수부의 내부 공간에서의 상등수의 수위가 상승되면, 상승되는 상기 상등수는 상기 회수관을 통해 상기 연결관으로 유동되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슬러지 저류조 상등수 자동배출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단은,
    상기 저수부 및 상기 상등수 저장부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기 유출단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슬러지 저류조 상등수 자동배출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유입단과 연결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1연결관과,
    상기 유출단과 연결되어 상기 상등수 저장부의 바닥을 따라 배치되는 제 2연결관과,
    상기 저수부와 상기 상등수 저장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격벽을 관통하여 상기 제 1연결관과 상기 제 2연결관을 연결하는 제 3연결관을 구비하되,
    상기 수질 센서와 상기 전동 밸브는, 상기 제 3연결관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슬러지 저류조 상등수 자동배출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단은,
    상기 제 1연결관에 끼워져 상하를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승강관과,
    상기 승강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상등수가 유입되도록 벌어져 형성되는 유입구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기는,
    상기 승강관과 연결되며, 상기 저수부의 상부로 관통되도록 배치되는 승강바와,
    상기 승강바를 설정된 승강 범위 내에서 승강시키는 승강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슬러지 저류조 상등수 자동배출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는, 폭기 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폭기 장치는,
    외기를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저수부의 내부 공간 바닥에 배치되어, 상기 펌프를 통해 공급되는 외기를 상기 슬러지로 배출하여 폭기시키는 폭기관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펌프를 사용하여, 상기 폭기를 이루는 경우, 상기 슬러지의 상부에 층을 이루는 상등수를 상기 상등수 저장부로 강제 유입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슬러지 저류조 상등수 자동배출장치.
KR1020170084918A 2017-07-04 2017-07-04 하수처리장 슬러지 저류조 상등수 자동배출장치 KR101832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918A KR101832187B1 (ko) 2017-07-04 2017-07-04 하수처리장 슬러지 저류조 상등수 자동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918A KR101832187B1 (ko) 2017-07-04 2017-07-04 하수처리장 슬러지 저류조 상등수 자동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2187B1 true KR101832187B1 (ko) 2018-04-16

Family

ID=62082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918A KR101832187B1 (ko) 2017-07-04 2017-07-04 하수처리장 슬러지 저류조 상등수 자동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1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127B1 (ko) * 2018-07-03 2019-11-08 (주)태림이엔티 가변적 상징수 배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설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022Y1 (ko) * 2001-07-30 2002-01-18 세림제지주식회사 하수처리시스템의 배수장치
KR100464568B1 (ko) * 2004-06-08 2005-01-03 장한정 하수처리장치 및 방법
KR100523314B1 (ko) * 2005-04-19 2005-10-25 강성환 유량 및 수질을 자동제어하는 오폐수처리장치 및오폐수처리방법
KR101637212B1 (ko) * 2015-08-12 2016-07-20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하폐수 고도 처리장치
KR101709269B1 (ko) * 2016-09-09 2017-02-22 주식회사 한일이엔지 연속회분식 반응조의 상등수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022Y1 (ko) * 2001-07-30 2002-01-18 세림제지주식회사 하수처리시스템의 배수장치
KR100464568B1 (ko) * 2004-06-08 2005-01-03 장한정 하수처리장치 및 방법
KR100523314B1 (ko) * 2005-04-19 2005-10-25 강성환 유량 및 수질을 자동제어하는 오폐수처리장치 및오폐수처리방법
KR101637212B1 (ko) * 2015-08-12 2016-07-20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하폐수 고도 처리장치
KR101709269B1 (ko) * 2016-09-09 2017-02-22 주식회사 한일이엔지 연속회분식 반응조의 상등수 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127B1 (ko) * 2018-07-03 2019-11-08 (주)태림이엔티 가변적 상징수 배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0533A (en) Apparatus and system for treating waste water and sludge
US96828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wastewater
KR101238726B1 (ko) 슬러지 농도 연속 측정장치를 이용한 상·하수 원방원격 자동감시제어시스템
DE03758276T1 (de)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produkten wie insbesondere kläranlagenschlamm
KR101832187B1 (ko) 하수처리장 슬러지 저류조 상등수 자동배출장치
KR101034651B1 (ko) 호소용 물순환장치
CN109293158A (zh) 一种水利发电工程的污水废气净化处理系统
US9422181B1 (en) Vehicle wash water reclaim system
CN107376456B (zh) 一种污水处理滤布滤池自动控制方法
US9975784B2 (en) System for controlling waste water treatment in a waste water treatment plant
US3528549A (en)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waste water
RU2322283C2 (ru)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правления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м процессом очистки воды на скорых фильтрах
KR100811013B1 (ko) 달팽이관 노즐을 이용한 침사세정장치
RU2330817C1 (ru) Малая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комплексн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или комплексной обработки их осадков
CN109293157A (zh) 一种用于水利水电工程的污水废气净化处理系统
KR101868975B1 (ko) 하수처리장 처리수 자동배출장치
US10907339B2 (en) Sewage system agitator
US5770059A (en)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CN111547988A (zh) 一种淤泥处理系统
KR100707490B1 (ko) 상징수 배출장치
KR100630446B1 (ko) 탁도에 따른 수영장 담수의 순환량 조절장치
KR100914883B1 (ko) 소규모 수도 시설의 라돈 제거 시스템
KR101221100B1 (ko) 하수처리장치
US3244285A (en) Enforced operation treatment tank
KR102663362B1 (ko) 자동제어로 슬러지를 소멸시키는 미생물 반응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