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163B1 - 닥 섬유의 혼용을 식별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닥 섬유의 혼용을 식별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163B1
KR101832163B1 KR1020160013222A KR20160013222A KR101832163B1 KR 101832163 B1 KR101832163 B1 KR 101832163B1 KR 1020160013222 A KR1020160013222 A KR 1020160013222A KR 20160013222 A KR20160013222 A KR 20160013222A KR 101832163 B1 KR101832163 B1 KR 101832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papermaking
fibers
paper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2199A (ko
Inventor
조석현
이지은
Original Assignee
한국실크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실크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실크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13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163B1/ko
Publication of KR20170092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6Textiles
    • G01N33/367Fabric or woven texti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9/00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 G01N9/36Analysing materials by measuring the density or specific gravity, e.g. determining quantity of mois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닥 섬유의 혼용을 식별하는 방법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닥 섬유의 혼용을 식별하는 방법은 지사용 원지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지사용 원지를 아스트라 블루 및 사프라닌을 포함하는 지시약으로 이중염색하는 단계; 및 상기 염색된 지사용 원지의 정색반응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닥 섬유의 혼용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닥 섬유의 혼용을 식별하는 방법{Method for discrimination of mixing mulberry fiber}
본 발명은 닥 섬유의 혼용을 식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이중염색법에 의하여 현미경 관찰법으로 닥 섬유의 혼용을 식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초지가 가능한 지사용 섬유는 아바카(펄프화된 시이트만 대상)섬유, 인조섬유(레이온 섬유), 목재섬유이다. 화본과 식물을 제외한 비목질 인피섬유는 섬유의 길이가 길어 현재 우리나라 중소제지공장 설비로 초지해 내기가 어려워 국내의 지사섬유의 분석 대상은 주로 상기 3가지 섬유에 한정되고 있다.
최근에는 한지사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국내산 닥섬유 50%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한자사라고 명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닥섬유를 단섬유화하여 20~30%정도 혼합했다고 주장하거나 닥섬유를 5%정도 혼합해서 지사를 제조했다고 해서 한지사라는 명칭을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최근 한지사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는 것은 대부분 아바카를 주원료로 이용해 만든 아바카 지사라고 판단된다. 아바카 지사는 아바카 70%에 무광 레이온 펄프(약 20%), 활엽수 목재펄프(약 10%)를 넣어 초지하는 것이 보통이며, 아바카의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무광 레이온의 함량이 높아지고 있어, 본래 아바카 지사가 가지고 있던 특징마저도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요즘 수입산 물닥(정상적인 명칭은 펄프화 할 수 있도록 표백처리해서 수입되고 있는 수분함유 71% 정도의 닥나무 습윤 인피부)을 이용하여 단섬유 처리한 후 아바카 펄프와 혼합해 닥섬유가 혼합된 지사용 종이를 만들기 위한 시도가 있으나, 현재 기계초지 시스템에 적합하지 않아 분말처럼 갈아 넣을 수밖에 없다. 이렇게하면, 오히려 닥섬유 분말 함량이 높아질수록 강도가 떨어져 함량을 높일 수 없다.즉, 현재 우리나라의 기계초지 시설로는 닥 섬유의 함량이 높은 한지사를 제조하기 어려운 실정으로, 닥 섬유의 함량을 구별하기 위한 방법들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섬유의 혼용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은 거의 개발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63711호는 보안용지를 제조함에 있어 셀룰로오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섬유조성에 실크섬유를 일부 포함시켜 종이를 제조하여 현미경적 관찰에 의하여 그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실크 섬유를 포함하는 보안용지 및 이의 진위식별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형태의 목적은 이중염색법에 의하여 현미경 관찰법으로 닥 섬유의 혼용을 식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지사용 원지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지사용 원지를 아스트라 블루 및 사프라닌을 포함하는 지시약으로 이중염색하는 단계; 및 상기 염색된 지사용 원지의 정색반응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닥 섬유의 혼용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 섬유의 혼용을 식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지시약은 사프라닌 및 아스트라 블루가 1:0.8 내지 1.2의 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시약은 사프라닌과 아스트라블루의 총 함량은 1.8 내지 2.4%이고, 나머지는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사용 원지는 닥 섬유, 아바카 엽맥 섬유, 또는 일반 목재 섬유가 혼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사용 원지는 상기 이중 염색 단계 전에 습강제로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사용 원지는 섬유속을 마련하고, 물리적 충격 및 강한 알카리 처리를 하고, 펄프화 공정을 거친 후, 펄프와 양이온성 에폭시 수지 및 망초를 물에서 교반하여 마련된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사용 원지는 준비공정, 펄프화 공정, 정선공정, 표백, 제지 공정 및 가공공정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식별단계 이후에 섬유의 평균 단면적, 비중, 및 평균 직경을 측정하여 닥 섬유의 혼용율을 측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스트라 블루 및 사프라닌을 포함하는 지시약으로 이중염색하여 닥 섬유의 혼용 여부를 식별할 수 있었다.
아스트라 블루는 셀룰로오스가 존재하는 경우 청색으로 염색되며, 세포가 성숙할수록 진하게 염색될 수 있다. 사프라닌은 목화된 세포벽의 리그닌이 존재하는 경우, 적색으로 염색되며 셀룰로오스 이외의 성분이 많을수록 진하게 염색될 수 있다.
또한, 이중염색에 의한 식별이 비교적 뚜렷하므로, 이중염색을 한 후 현미경으로 단면을 관찰하여 혼용율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은 각각 습강제 처리된 닥 섬유 부직포(시료 4), 아바카 엽맥 섬유 부직포(시료 5), 일반 목재 섬유 부직포(시료 6)의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각각 습강제 처리된 닥 섬유 부직포(시료 4), 아바카 엽맥 섬유 부직포(시료 5), 일반 목재 섬유 부직포(시료 6)의 전자 현미경사진이다.
도 3은 그라프 C(Graff C) 지시약으로 시료 1 내지 6을 염색한 후의 정색 반응을 나타내는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윌슨(Wilson) 지시약으로 시료 1 내지 6을 염색한 후의 정색 반응을 나타내는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헤르츠베르그(Herzberg) 지시약으로 시료 1 내지 6을 염색한 후의 정색 반응을 나타내는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은 닥 섬유, 아바카 엽맥 섬유, 일반 목재 섬유가 혼용된 부직포를 아스트라 블루 및 사프리닌을 포함하는 지시약으로 염색 한 후의 정색 반응을 나타내는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본원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상에”또는 “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닥 섬유의 혼용을 식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닥 섬유의 혼용을 식별하는 방법은 지사용 원지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지사용 원지를 아스트라 블루 및 사프라닌을 포함하는 지시약으로 이중염색하는 단계; 및 상기 염색된 지사용 원지의 정색반응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닥 섬유의 혼용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닥 섬유의 혼용을 식별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지사용 원지를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지사용 원지에 닥섬유가 혼용되어 있는지, 혼합된 경우 그 혼용율을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혼용 여부를 검사하고자 하는 지사용 원지를 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지사용 원지에는 닥 섬유, 아바카 엽맥 섬유, 또는 일반 목재 섬유 중 하나 이상이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일반 목재 섬유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침엽수재 또는 활엽수재일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침엽수재로는 전나무, 소나무, 가문비나무, 삼나무 등일 수 있고, 활엽수재로는 자작나무,상수리 나무, 느티나무, 오동나무일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닥섬유의 혼용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지사용 원지를 부직포 형태로 마련하여 수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섬유속을 마련하고, 물리적 충격 및 강한 알카리 처리를 하고, 펄프화 공정을 거친 후, 펄프와 양이온성 에폭시 수지 및 망초(각각 고형분 중량 대비 3%)를 물에서 교반하여 부직포를 마련하였다.
또한, 지사용 원지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준비공정, 펄프화 공정, 정선공정, 표백, 제지 공정 및 가공공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준비공정은 목재원료를 절단, 박피, 선별을 원료 종류에 따라 적절히 행하는 단계이다.
펄프(pulp)는 식물 원료를 기계적,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얻어지는 섬유이다. 일반적으로, 펄프는 침엽수, 활엽수, 고지, 비목질계 등을 원료로 할 수 있다. 펄프화 공정은 섬유를 얻는 공정으로 목재의 복합세포간층(compound middle lamella, 두 세포의 1차벽과 세포간층으로 구성됨) 제거, 세포간층과 세포벽의 리그닌 및 헤미셀룰로오스 대부분이 제거되며, 셀룰로오스도 약간 분해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펄프화 공정은 예를 들면, 아황산법, 소다법, 황산염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정선공정은 펄프의 정제공정으로, 펄프화 공정에서 얻어진 섬유를 세척하고, 잔류하는 펄프화되지 않은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다. 정선공정 후 필요에 따라 표백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지공정 및 가공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데, 제지공정 및 가공공정은 고해, 사이징, 충전, 선별, 초지 등 각종 가공처리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이징은 종이의 잉크, 물의 침투저항성 향상, 사이즈제(sizer)로 처리할 수 있고, 충전은 종이의 불투명도, 인쇄적성, 평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백토, 탄산칼슘 등의 광물질을 첨가할 수 있다. 초지는 펄프, 각종 첨가제(지강제, 습강제, 충전제, 사이즈제, 보류향상제)가 혼합된 지료에서 종이를 제조하는 공정이다.
다음으로, 지사용 원지에 사프라닌 및 아스트라 블루를 포함하는 지시약으로 이중염색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프라닌(Safranine) 및 아스트라 블루(Astra Blue)를 포함하는 지시약을 사용하였다.
아스트라 블루는 셀룰로오스가 존재하는 경우 청색으로 염색되며, 세포가 성숙할수록 진하게 염색될 수 있다. 사프라닌은 목화된 세포벽의 리그닌이 존재하는 경우, 적색으로 염색되며 셀룰로오스 이외의 성분이 많을수록 진하게 염색될 수 있다.
상기 지시약은 사프라닌 및 아스트라 블루가 1:0.8 내지 1.2의 비율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사프라닌과 아스트라블루의 총 함량은 1.8 내지 2.4%일 수 있고, 나머지는 알코올일 수 있다.
목재의 조직을 구성하는 요소 중에 세포(섬유)와 관련된 요소들은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 추출성분으로 나뉘며, 셀룰로오스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들은 대부분 펄프공정에서 분리된다.
목재의 섬유는 각종의 지시약에 특정한 색상을 나타내는데, 정색 반응은 지시약과 피염체에 존재하는 분자들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염색되는 색상 및 정도가 다를 수 있다. 한 가지의 동일한 섬종일지라도 셀룰로오스 이외의 목재 구성성분, 제지공정 필수 물질 또는 기능성 향상을 위한 각종 부가적인 물질들이 피염체에 존재하는 경우 정색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사프라닌 및 아스트라 블루를 포함하는 지시약으로 염색하여, 닥섬유는 짙은 청색(dark blue)을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다른 지시약에 비하여 비교적 식별이 뚜렷하게 나는 것으로 닥 섬유의 혼용 여부 및 혼용율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이중염색 단계전에 상기 지사용 원지에 습강제를 처리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습강제는 양이온성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중염색으로 염색한 후 정색 반응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닥 섬유의 혼용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닥 섬유의 혼용 여부를 검사하여, 혼용율을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염색 후 현미경으로 단면을 관찰한 후 KS K 4900의 지사의 혼용율 시험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지사를 전처리하여 해섬한 후 KS K 210의 섬유 제품의 혼용율 시험방법-섬유 혼용율 중 현미경법(7)에 의한 혼용율 산출법을 사용할 수 있다. 150 내지 500배의 광학 현미경 또는 투영 현미경으로 마이크로톰으로 0.4, 0.5, 0.8mm의 섬유 길이로 재단한 후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놓고 유동 파라핀으로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여 섬유 종류마다 100개 또는 그 이상의 직경을 측정한다. 다면이 비원형인 경우 투영 현미경으로 확대시킨 영상을 그래프 용지 위 에 그려 각각의 단면적을 구하되, 긴 지름으로 단면적을 구할 수 있는 경우에는 긴 지름만을 측정하여 이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혼용율은 각 섬종의 비중을 포함하여 계산한 중량의 비이다.
2종 혼용인 경우 다음의 식에 의하여 계산할 수 있다.
[식]
Figure 112016011478024-pat00001
상기 식에서, XA는 A섬유의 혼용율, XB는 B섬유의 혼용율, NA는 A섬유의 개수, NB는 B섬유의 개수, AA는 A섬유의 평균 단면적, AB는 B섬유의 평균 단면적, DA는 A섬유의 평균 직경, DB는 B섬유의 평균 직경, SA는 A섬유의 비중, SB는 B섬유의 비중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시료제작
닥 섬유(시료 1), 아바카 엽맥 섬유 펄프(시료 2), 및 일반 목재 섬유 펄프(시료 3)를 시료로 제작하였다. 또한, 각각 습강제를 처리한 닥 섬유 부직포(시료 4), 아바카 엽맥섬유 부직포(시료 5), 일반목재 섬유 부직포(시료 6)를 마련하였고, 각각 습강제를 처리한 닥 섬유 및 아바카 엽맥 섬유를 혼용한 부직포(시료 7), 닥 섬유 및 일반목재 섬유를 혼용한 부직포(시료 8), 및 닥 섬유, 아바카 엽맥 섬유, 및 일반목재 섬유를 혼용한 부직포(시료 9)를 마련하였다.
도 1은 각각 습강제 처리된 닥 섬유 부직포(시료 4), 아바카 엽맥 섬유 부직포(시료 5), 일반 목재 섬유 부직포(시료 6)의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각각 습강제 처리된 닥 섬유 부직포(시료 4), 아바카 엽맥 섬유 부직포(시료 5), 일반 목재 섬유 부직포(시료 6)의 전자 현미경사진이다.
비교예 1
상기 시료 1 내지 6을 그라프 C(Graff C) 지시약으로 염색하였다. 염색 후 이들의 정색반응을 관찰하였으며, 도 3은 이들의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비교예2
상기 시료 1 내지 6을 윌슨(Wilson) 지시약으로 염색하였다. 염색 후 이들의 정색반응을 관찰하였으며, 도 4는 이들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비교예 3
상기 시료 1 내지 6을 헤르츠베르그(Herzberg) 지시약으로 염색하였다. 염색 후 이들의 정색반응을 관찰하였으며, 도 5는 이들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실시예
상기 시료 9를 아스트라 블루 및 사프리닌을 포함하는 지시약으로 염색하였다. 염색 후 정색 반응을 관찰하였으며, 도 6은 이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평가
1. 혼용여부
전자현미경사진에서 국내산 섬유의 둘레에 얇은 막(transparent membrane)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단면의 모양은 일정하지 않고, 중공(lumen)은 관찰되지 않거나 크지 않았다. 아바카 섬유의 단면 또한 단면의 모양은 일정하지 않고, 중공은 비교적 뚜렷하였다. 일반목재 섬유의 단면은 판형(plate)이 많았고, 일부 다각형의 일정하지 않은 단면도 관찰되었다. 중공은 관찰되지 않거나, 드물게 나타났다.
꾸지나무 섬유는 뽕나무 섬유, 닥나무 섬유처럼 투명막이 세포(섬유) 둘레에 있으며, 본 실험에 사용된 국산닥 섬유에서도 투명막이 관찰되었다. 또한, 닥나무 섬유처럼 왜곡, 횡문 등이 관찰되었다. 섬유 끝은 뭉툭한 것이 많고, 일부는 뾰족한 형태도 관찰되기도 하였다. 아바카 섬유는 닥나무 섬유, 꾸지나무 섬유처럼 왜곡, 횡문이 관찰되지만, 닥나무 섬유, 꾸지나무 섬유에 비하여 뚜렷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특징이며, 본 분석에서 사용된 아바카는 비교적 횡문의 폭이 두껍고 뚜렷하였다. 섬유 끝은 점차적으로 가늘어지는 뾰족한(tapered) 형태가 많고, 간혹 포크형도 관찰되었다. 드물게 벽공이 관찰되기도 하였다.
일반목재 섬유는 벽공이 많은 섬유와 벽공이 없는 섬유가 섞여 있고, 섬유 끝은 뭉툭, 뾰족, 가리비형들이 혼재하였다.
하기 표 1은 상기 지시약에 따른 시료의 정색반응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Figure 112016011478024-pat00002
정색반응 색상은 관찰자의 상태(시각능력, 관찰각도, 관찰거리 등), 측정환경(실내외 광원, 조사각도 등), 지시약 적하 후 경과시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위의 측정결과는 지시약 적하 후 5분 이내의 시간에 광학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을, 모니터 화면에 나타낸 상태에서 관찰되는 색상을 뜻함.
정색 반응에서 습윤지력증강제(습강제)로서 양이온성 에폭시 수지를 처리한 닥 섬유, 아바카, 일반목재 섬유들은 처리하지 않은 섬유들에 비하여 색상 차이가 적거나, 확연히 나타나기도 하였다. 그라프 C(Graff C) 시약에 의해서는 대체적으로 그 차이가 크지 않았다. 헤르츠베르그(Herzberg) 시약에 의해서, 닥 섬유는 습강제 미처리시에는 옅은 갈색을 띄는 군청색(dark Navy)이고, 처리 후에는 짙은 갈색(dark Brown)을 나타내었다. 아바카 엽맥섬유는 습강제 미처리시 남보라(navy blueish Purple)이고, 습강제 처리 후 옅은 보라색을 띄는 갈색(purplishBrown)을 나타내었다.
윌슨(Wilson) 시약에 의해서 습강제 미처리시 보라색을 띄는 갈색(purplish Brown)조 색상들에서, 처리 후 흑색(Black), 옅은 흑색(light Black), 매우 옅은 흑색(slight Black)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아스트라 블루 및 사프라닌 지시약에 의해 닥 섬유는 짙은 청색(dark Blue), 아바카 엽맥섬유는 짙은 갈색(dark Brown), 일반목재 섬유는 옅은 갈색(light Brown)을 나타내었다. 이를 볼 때, 닥 섬유는 대체적으로 셀룰로오스가 많은 상태로 볼 수 있고, 아바카 엽맥섬유와 일반목재 섬유는 세포간층과 세포벽에 존재하는 리그닌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일부 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하여 볼 수 있다.
2. 혼용율 측정
Figure 112016011478024-pat00003
닥 섬유, 아바카의 비중은 1.50을 적용하였으며, 평균 직경은 닥 섬유 97개, 아바카 1200개의 평균값임.
혼용율은 각 섬종의 비중을 포함하여 계산한 중량의 비이며, 2회 측정한 혼용율 값들이 3%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추가적인 측정을 실시하였다.
혼용율의 경우, 닥 10% 아바카 90%으로 제조한 부직포는 KS K 4900에 정해진 비중 1.5를 적용하였을 때, 8.5%, 91.5%으로 측정되었다.
상기 결과를 참조하면, 그라프 C, 윌슨, 헤르츠베르그 염색법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염색법에 의하여 3종의 섬유들을 보다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었다. 또한, 이중염색에 의한 식별이 비교적 뚜렷하므로, 이중염색을 한 후 현미경으로 단면을 관찰하여 혼용율 산출과 섬종식별에 도움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구현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구현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또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닥 섬유를 포함하면서 아바카 엽맥섬유 또는 일반 목재섬유가 혼용되어 있는 지사용 원지를 마련하는 제1단계;
    상기 지사용 원지를 습강제로서의 양이온성 에폭시 수지로 처리한 후, 아스트라 블루 및 사프라닌을 포함하는 지시약으로 이중염색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염색된 지사용 원지의 정색반응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닥 섬유의 혼용 여부를 식별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지시약은 사프라닌과 아스트라블루의 총 함량이 1.8 내지 2.4중량%이고 나머지는 알코올로 이루어지되, 상기 사프라닌 및 아스트라 블루가 1:0.8 내지 1.2의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3단계에서의 현미경 관찰은 상기 제2단계에서 지시약 적하 5분 이내의 시간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단계에서 준비되는 지사용 원지는 섬유속을 마련하고, 물리적 충격 및 강한 알카리 처리를 하고, 펄프화 공정을 거친 후, 펄프와 양이온성 에폭시 수지 및 망초를 물에서 교반하여 마련된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 섬유의 혼용을 식별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사용 원지는 준비공정, 펄프화 공정, 정선공정, 표백, 제지 공정 및 가공공정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 섬유의 혼용을 식별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이후에 섬유의 평균 단면적, 비중, 및 평균 직경을 측정하여 닥 섬유의 혼용율을 측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 섬유의 혼용을 식별하는 방법.
KR1020160013222A 2016-02-03 2016-02-03 닥 섬유의 혼용을 식별하는 방법 KR101832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222A KR101832163B1 (ko) 2016-02-03 2016-02-03 닥 섬유의 혼용을 식별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222A KR101832163B1 (ko) 2016-02-03 2016-02-03 닥 섬유의 혼용을 식별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199A KR20170092199A (ko) 2017-08-11
KR101832163B1 true KR101832163B1 (ko) 2018-02-26

Family

ID=59651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222A KR101832163B1 (ko) 2016-02-03 2016-02-03 닥 섬유의 혼용을 식별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1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1397B (zh) * 2017-09-30 2020-10-16 中南林业科技大学 一种应拉木胶质层显微切片的染色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043B1 (ko) * 2006-04-26 2006-12-27 이권혁 제지용 대나무 펄프의 제조방법과 그 펄프 및 그 지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043B1 (ko) * 2006-04-26 2006-12-27 이권혁 제지용 대나무 펄프의 제조방법과 그 펄프 및 그 지류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Biotechnic & Histochemistry, 82(4), 209-216 ,2007*
Wood Structure and Environment, Chapter 2, 20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199A (ko) 2017-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nt'Anna et al. Sugarcane cell wall structure and lignin distribution investigated by confocal and electron microscopy
Castanet et al. 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s of elementary bamboo fibers
CN101963491B (zh) 造纸纤维图像测量方法
Khan et al. A review paper on textile fiber identification
Ma et al. Characterization of anatomy, ultrastructure and lignin microdistribution in Forsythia suspensa
Sulaiman et al. Bambusa vulgaris: chemical composition and cell wall structure
KR101832163B1 (ko) 닥 섬유의 혼용을 식별하는 방법
Harwood et al. Testing of natural textile fibres
Benazir et al. PROPERTIES OF FIBRES/CULM STRANDS FROM MAT SEDGE–CYPERUS PANGOREI ROTTB.
Cerchiara et al. Chemical composition, morphology and tensile properties of Spanish broom (Spartium junceum L.) fibres in comparison with flax (Linum usitatissimum L.)
CA3091963C (en) Lyocell fiber with viscose like properties
Elamin et al. Fungal biodeterioration of artificial aged linen textile: Evaluation by microscopic, spectroscopic and viscometric methods
Ma et al. Ultrastructural topochemistry of cell wall polymers in Populus nigra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Raman imaging
Abdel-Kareem et al. Non-destructive methods to investigate the deterioration extent of Coptic Egyptian textiles
de Queiroz et al. New Brazilian pineapple leaf fibers for textile application: cottonization and dyeing performance
JP2013186034A (ja) 未解繊セルロース繊維量を測定する方法
Ma et al. Structural insight into cell wall architecture of Micanthus sinensis cv. using correlative microscopy approaches
Bhattacharya et al. Screening of superior fiber-quality-traits among wild accessions of Bambusa balcooa: efficient and non-invasive evaluation of fiber developmental stages
BR112017021449B1 (pt) Produto ou material à base de celulose que incorpora um agente biocida à base de cobre e seu método de fabricação
CN106018086B (zh) 一种造纸法再造烟叶纤维性能指标的评价方法
Wilson Investigation into non-aqueous remedial conservation treatments for iron-tannate dyed organic materials
Li et al. Nature cellulose fibre extracted from different cotton stalk sections by degumming
Zidan et al. The effectiveness of aqueous and nonaqueous magnesium hydroxide nanopowder on the color stability of dyed cotton paper pulp
Mohie et al. CHEMICAL ANALYSIS FOR ASSESSING THE AUTHENTICITY OF ARCHAEOLOGICAL TEXTILES: A COMPREHENSIVE COMPARATIVE STUDY BETWEEN EXPERIMENTAL AND ANTIQUE SAMPLES
Wei et al. Chemical constituent distribution within multilayered cell walls of moso bamboo fiber tested by confocal raman microsco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