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531B1 - 철강제품의 운송 로트 편성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철강제품의 운송 로트 편성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531B1
KR101830531B1 KR1020160132784A KR20160132784A KR101830531B1 KR 101830531 B1 KR101830531 B1 KR 101830531B1 KR 1020160132784 A KR1020160132784 A KR 1020160132784A KR 20160132784 A KR20160132784 A KR 20160132784A KR 101830531 B1 KR101830531 B1 KR 101830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t
weight
steel product
steel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2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우
강석은
김광수
윤정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32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송 수단의 최대 적재 중량에 근접하도록 운송 로트가 편성되는 철강제품의 운송 로트 편성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가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철강제품의 운송 로트 편성 방법은 고객의 요청 사항에 따라 철강 제품의 로트(Lot) 편성 대상을 분류하는 로트 편성 대상 분류 단계, 분류된 철강 제품이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 로트를 편성하는 로트 편성 단계, 편성된 로트별 패널티를 체크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우선 순위 설정 단계, 우선 순위가 설정된 로트가 중량 조건을 만족하는지 체크하는 중량 조건 체크 단계와, 중량 조건이 체크된 로트의 출하 순서를 결정하는 로트 출하 순서 결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상술한 철강제품의 운송 로트 편성 방법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철강제품의 운송 로트 편성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METHOD OF GROUPING TRANSPORTATION LOT OF STEEL PRODUCT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철강제품의 운송 로트 편성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된 철강 제품은 열연/냉연 스틸코일, 스틸플레이트, 스틸파이프, 형강, 와이어로드 등 그 형상과 재질이 매우 다양하며 특히 금속 중량물로서 단순 접촉에 의해서도 쉽게 파손될 수 있어, 운송에 특히 신경써야 하는 제품이다.
이러한 철강 제품은 운송 효율을 위해 제품간의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는 범위에서 운송 수단별 최대 적재 중량에 근접하도록 운송 로트를 편성할 필요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02185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020807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송 수단의 최대 적재 중량에 근접하도록 운송 로트가 편성되는 철강제품의 운송 로트 편성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강제품의 운송 로트 편성 방법은 고객의 요청 사항에 따라 철강 제품의 로트(Lot) 편성 대상을 분류하는 로트 편성 대상 분류 단계, 분류된 철강 제품이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 로트를 편성하는 로트 편성 단계, 편성된 로트별 패널티를 체크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우선 순위 설정 단계, 우선 순위가 설정된 로트가 중량 조건을 만족하는지 체크하는 중량 조건 체크 단계와, 중량 조건이 체크된 로트의 출하 순서를 결정하는 로트 출하 순서 결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상술한 철강제품의 운송 로트 편성 방법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송 수단의 적재 중량을 향상시키고 로트수 저감에 의해 운송비가 절감될 수 있으며, 운송 지시부터 출하까지 소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강제품 운송 로트 편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a 내지 도 2o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강제품 운송 로트 편성 방법에 따른 철강 제품의 적재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강제품 운송 로트 편성 방법에 의한 철강 제품의 적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강제품 운송 로트 편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강제품 운송 로트 편성 방법은 로트 편성 대상 분류 단계(S1), 로트 편성 단계(S2,S3), 우선 순위 설정 단계(S4,S5), 중량 조건 체크 단계(S6,S7,S8,S9), 로트 출하 순서 결정 단계(S10)를 포함할 수 있다.
로트 편성 대상 분류 단계(S1)는 고객의 요청 사항에 따라 철강 제품의 로트(Lot) 편성 대상을 분류할 수 있다.
상기 고객의 요청 사항으로는 운송 수단, 운송사, 출발지, 도착지, , 크레인 작업 반경, 동일 로트내 대상 제품 조건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운송 수단에 의해 상차 조건 또는 선박 조건 등이 결정될 수 있다.
로트 편성 단계(S2,S3)는 분류된 철강 제품이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 로트를 편성할 수 있다.
상기 제약 조건은 상기 철강 제품의 외경/폭 간격, 적재 면적, 철강 제품이 저장된 저장 위치 간의 인접성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분류된 철강 제품이 제약 조건을 만족하면(S2), 분류된 철강 제품들을 로트(Lot)로 편성할 수 있다(S3). 여기서 로트는 그룹핑된 철강 제품의 운송 최소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분류된 철강 제품이 제약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로트 편성 대상 분류 단계(S1)로 진행되어 재분류될 수 있다.
우선 순위 설정 단계(S4,S5)는 편성된 로트별 패널티를 체크하여(S4)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S5).
즉, 우선 순위 설정 단계(S4,S5)는 편성된 로트의 철강 제품의 중량이 로트의 최대적재중량 이상인지 판단하고(S4), 편성된 로트의 철강 제품의 중량이 로트의 최대적재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제약 조건을 완화하여 완화된 제약 조건을 만족하면(S2), 분류된 철강 제품을 로트로 편성할 수 있다(S3).
다음으로, 우선 순위 설정 단계(S4,S5)는 편성된 로트의 철강 제품의 중량이 로트의 최대적재중량 이상인 로트들 중 로트의 최대적재중량 대비 편성 중량 간의 편차를 최소화하여 로트수를 저감시키기 위해 우선 순위를 변경 설정할 수 있다(S5). 예를 들어, 상기 우선 순위는 철강 제품들이 저장된 저장 창고가 동일한지, 철감 제품들이 창고내 동일 크레인으로 작어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지, 적재된 위치가 인접한 지 등의 순위가 설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우선 순위는 변경 설정되어 해당 로트가 변경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재편성되어 로트수가 저감될 수 있다. 만일, 로트수가 저감되지 않는다면 변경전 우선 순위에 따라 편성된 로트를 유지할 수도 있다.
중량 조건 체크 단계(S6,S7,S8,S9)는 변경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중량 편차가 소화되도록 편성된 로트가 중량 조건을 만족하는지 체크할 수 있다.
중량 조건 체크 단계(S6,S7,S8,S9)는 적재된 로트의 철강 제품들 간의 중량 밸런스를 만족하는지 체크하는 중량 밸런스 체크 단계(S6)와, 중량 밸런스를 만족하는 로트의 중량이 최소 기준 중량을 만족하는지 체크하는 최소 기준 중량 체크 단계(S8)를 포함할 수 있고, 적재된 로트의 철강 제품들 간의 중량 밸런스가 만족되지 않으면, 적재된 철강 제품들간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제품 위치 가변 단계(S7)와, 중량 밸런스를 만족하는 로트의 중량이 최소 기준 중량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우선 순위의 기준을 완화하여 로트를 재편성하는 로트 재편성 단계(S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o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강제품 운송 로트 편성 방법에 따른 철강 제품의 적재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함께, 도 2a 내지 도 2o를 참조하면, 중량 밸런스 체크 단계(S6) 및 제품 위치 가변 단계(S7)에 의해 적재된 로트는 하나의 철강 제품이 차상에 적재되는 경우 정중앙에 적재 위치를 설정할 수 있고(도 2a의 B및 5번 위치), 두개의 철강 제품이 차상에 적재되는 경우 도 2b의 식별부호 B의 3번 및 7번 위치에 적재 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세개의 철강 제품이 차상에 적재되는 경우 도 2c의 식별부호 B의 3번, 5번 및 7번 위치에 적재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적재되는 순서도 1번 철강 제품의 경우 식별부호 B의 3번 위치, 2번 철강 제품의 경우 식별부호 B의 7번 위치, 그리고 3번 철강 제품의 경우 식별부호 B의 5번 위치 순으로 적재되어 중량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d에는 네개의 철강 제품의 적재 위치 및 적재 순서를 도시하였고, 도 2e 내지 도 2j에는 다섯개의 철강 제품의 적재 위치 및 적재 순서의 예를 도시하였으며, 도 2k 내지 도 2m에는 여섯개의 철강 제품의 적재 위치 및 적재 순서의 예를 도시하였고, 도 2n에는 일곱개의 철강 제품의 적재 위치 및 적재 순서, 도 2o에는 여덟개의 철강 제품의 적재 위치 및 적재 순서를 도시하였다.
도 2d 내지 도 2o의 적재 위치 및 적재 순서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도 2a 내지 도 2c에서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로트 출하 순서 결정 단계(S10)는 중량 밸런스를 만족하는 로트의 중량이 최소 기준 중량을 만족하면 로트의 출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종래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강제품 운송 로트 편성 방법에 의한 철강 제품의 적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면의 좌측에 도시된 종래의 철강 제품의 적재에 대비하여, 도면의 우측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강제품 운송 로트 편성 방법에 의한 철강 제품이 보다 효율적으로 적재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철강제품 운송 로트 편성 방법은, 이를 구성하는 각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프로그램이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유통될 수 있다.
도 4는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가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1200)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로컬화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운송 수단의 적재 중량을 향상시키고 로트수 저감에 의해 운송비가 절감될 수 있으며, 운송 지시부터 출하까지 소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100: 컴퓨팅 디바이스
1110: 프로세싱 유닛
1120: 메모리
1130: 스토리지
1140: 입력 디바이스
1150: 출력 디바이스
1160: 통신 접속
1200: 네트워크

Claims (10)

  1. 컴퓨팅 디바이스가 고객사의 철강제품 주문을 처리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철강제품의 운송 로트를 편성하는 철강제품의 운송 로트 편성 방법에 있어서,
    고객의 요청 사항에 따라 철강 제품의 로트(Lot) 편성 대상을 분류하는 로트 편성 대상 분류 단계;
    분류된 철강 제품이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 로트를 편성하는 로트 편성 단계;
    편성된 로트별 패널티를 체크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우선 순위 설정 단계;
    변경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편성된 로트가 중량 조건을 만족하는지 체크하는 중량 조건 체크 단계; 및
    중량 조건이 체크된 로트의 출하 순서를 결정하는 로트 출하 순서 결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 조건 체크 단계는
    적재된 로트의 철강 제품들 간의 중량 밸런스를 만족하는지 체크하는 중량 밸런스 체크 단계;
    중량 밸런스를 만족하는 로트의 중량이 최소 기준 중량을 만족하는지 체크하는 최소 기준 중량 체크 단계; 및
    적재된 로트의 철강 제품들 간의 중량 밸런스가 만족되지 않으면, 적재된 철강 제품들간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제품 위치 가변 단계를 포함하는 철강제품의 운송 로트 편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트 편성 대상 분류 단계는 운송 수단, 운송사, 출발지, 도착지, 크레인 작업 반경, 동일 로트내 대상 제품 조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로트 편성 대상을 분류하는 철강제품의 운송 로트 편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트 편성 대상 분류 단계는 상기 운송 수단에 의해 결정되는 상차 조건 또는 선박 조건 중 하나에 따라 로트 편성 대상을 분류하는 철강제품의 운송 로트 편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트 편성 단계는 상기 철강 제품의 외경/폭 간격, 적재 면적, 철강 제품이 저장된 저장 위치 간의 인접성 중 적어도 하나의 제약 조건에 따라 로트를 편성하는 철강제품의 운송 로트 편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 설정 단계는 편성된 로트의 철강 제품의 중량이 로트의 최대적재중량 이상인지 판단하는 철강제품의 운송 로트 편성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 설정 단계는 편성된 로트의 철강 제품의 중량이 로트의 최대적재중량 이상이면, 상기 제약 조건의 우선 순위를 변경 설정하여 로트의 최대적재중량과 편성 중량 간의 편차를 조절하는 철강제품의 운송 로트 편성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조건 체크 단계는 중량 밸런스를 만족하는 로트의 중량이 최소 기준 중량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우선 순위 기준을 완화하여 로트를 재편성하는 로트 재편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철강제품의 운송 로트 편성 방법.
  10. 컴퓨팅 디바이스가 고객사의 철강제품 주문을 처리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철강제품의 운송 로트를 편성하는 철강제품의 운송 로트 편성 방법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에 있어서,
    고객의 요청 사항에 따라 철강 제품의 로트(Lot) 편성 대상을 분류하는 로트 편성 대상 분류 단계;
    분류된 철강 제품이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 로트를 편성하는 로트 편성 단계;
    편성된 로트별 패널티를 체크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우선 순위 설정 단계;
    변경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편성된 로트가 중량 조건을 만족하는지 체크하는 중량 조건 체크 단계; 및
    중량 조건이 체크된 로트의 출하 순서를 결정하는 로트 출하 순서 결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 조건 체크 단계는
    적재된 로트의 철강 제품들 간의 중량 밸런스를 만족하는지 체크하는 중량 밸런스 체크 단계;
    중량 밸런스를 만족하는 로트의 중량이 최소 기준 중량을 만족하는지 체크하는 최소 기준 중량 체크 단계; 및
    적재된 로트의 철강 제품들 간의 중량 밸런스가 만족되지 않으면, 적재된 철강 제품들간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제품 위치 가변 단계를 포함하는 철강제품의 운송 로트 편성 방법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KR1020160132784A 2016-10-13 2016-10-13 철강제품의 운송 로트 편성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1830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784A KR101830531B1 (ko) 2016-10-13 2016-10-13 철강제품의 운송 로트 편성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784A KR101830531B1 (ko) 2016-10-13 2016-10-13 철강제품의 운송 로트 편성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0531B1 true KR101830531B1 (ko) 2018-02-21

Family

ID=61524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784A KR101830531B1 (ko) 2016-10-13 2016-10-13 철강제품의 운송 로트 편성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5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8003A (zh) * 2018-08-14 2019-01-01 心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配载平衡的智能优化算法
CN113959541A (zh) * 2021-10-29 2022-01-21 联峰钢铁(张家港)有限公司 一种螺纹钢捆件重量自动计量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7354A (ja) * 2008-03-19 2009-10-08 Jfe Steel Corp 出荷ロット作成方法及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7354A (ja) * 2008-03-19 2009-10-08 Jfe Steel Corp 出荷ロット作成方法及びその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8003A (zh) * 2018-08-14 2019-01-01 心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配载平衡的智能优化算法
CN113959541A (zh) * 2021-10-29 2022-01-21 联峰钢铁(张家港)有限公司 一种螺纹钢捆件重量自动计量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887B1 (ko) 팔레트 적재를 위한 가이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Ha et al. An online packing heuristic for the three-dimensional container loading problem in dynamic environments and the Physical Internet
Sha et al. A multi-objective PSO for job-shop scheduling problems
Jarboui et al. A combinatorial particle swarm optimisation for solving permutation flowshop problems
Jovanovic et al. A chain heuristic for the blocks relocation problem
Chen et al. Minimizing the makespan in a two-machine cross-docking flow shop problem
Shouwen et al. Integrated scheduling in automated container terminals considering AGV conflict-free routing
JP7062561B2 (ja) 在庫配置設計装置および在庫配置設計方法
Bellanger et al. Three-stage hybrid-flowshop model for cross-docking
US106361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lanning yard crane work
KR101830531B1 (ko) 철강제품의 운송 로트 편성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Gast The power of two choices on graphs: the pair-approximation is accurate?
Žilinskas On the worst-case optimal multi-objective global optimization
Ventura et al. Finding optimal dwell points for automated guided vehicles in general guide-path layouts
Véras et al. Rapidly exploring Random Tree* with a sampling method based on Sukharev grids and convex vertices of safety hulls of obstacles
Zhao et al. Integrated facility layout design and flow assignment problem under uncertainty
CN112926808A (zh) 物流路径规划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Dao et al. An improved structure of genetic algorithms for global optimisation
EP3786816A1 (en) Local search with global view for large scale combinatorial optimization
CN114781841B (zh) 数字孪生的生产调度优化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Öztürkoğlu Effects of varying input and output points on new aisle designs in warehouses
Chan et al. Operation allocation in automated manufacturing system using GA-based approach with multifidelity models
Kung et al. Motion planning of two stacker cranes in a large-scale automated storage/retrieval system
CN116280512B (zh) 物品摆放方式生成方法和装置
Kazakovtsev Algorithm for approximate solution of the generalized Weber problem with an arbitrary metr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