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699B1 - Wireless controller system for generator - Google Patents

Wireless controller system for gen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699B1
KR101829699B1 KR1020170072330A KR20170072330A KR101829699B1 KR 101829699 B1 KR101829699 B1 KR 101829699B1 KR 1020170072330 A KR1020170072330 A KR 1020170072330A KR 20170072330 A KR20170072330 A KR 20170072330A KR 101829699 B1 KR101829699 B1 KR 101829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generation
voltage
battery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3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Priority to KR1020170072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969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6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276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controlling rotor speed, e.g. variabl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4Automatic control; Regulation
    • F03D7/042Automatic control; Regulation by means of an electrical or electronic control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1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cluding a supplementary source of electric power, e.g. hybrid diesel-PV energy systems
    • H02S10/12Hybrid wind-PV energy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60Thermal-PV hybr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ntroller system of a gen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controller system of a generator which is wirelessly connected to a controller of a generator generating electricity by using natural energy and allows a manager to monitor and control the generator by using a portable wireless device in which a control application is installed.

Description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 { Wireless controller system for generator }[0001] Wireless controller system for generator [0002]

본 발명은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자연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장치에 있어서, 발전장치의 컨트롤러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컨트롤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무선기기를 이용하여 관리자가 상기 발전장치를 모니터링하고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ntroller system of a power genera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generating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natural energy, comprising: a portable wireless device To a power supply controller of a power generation system capable of monitoring and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device by an administrator.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 장치는 태양전지판이 햇빛을 받으면 광전자효과를 일으켜 전기가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고, 풍력 발전 장치는 바람의 힘으로 블레이드 등을 회전시키고 그 회전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전기에너지를 생성한다. 그런데, 태양광 발전 장치는 밤이나 우천시 등에 일조량이 부족하면 발전이 불가능하고, 풍력 발전 장치는 풍속이 낮은 기상환경에서 발전이 불가능한 단점을 각각 지니고 있으므로, 태양광 발전과 풍력 발전의 장치를 연계하여 안정적인 전기의 발전과 공급이 가능한 태양광-풍력 하이브리드 발전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a photovoltaic device generates electric energy by using a principle that a solar panel generates sunlight and generates electricity to generate electricity, and a wind power generator rotates a blade and the like by the force of wind, To generate electric energy. However,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s can not be developed if the amount of sunshine is insufficient at night or rainy days, and wind power generation devices have disadvantages that they can not be developed in a weather environment with low wind speed. Therefore, A solar-wind power hybrid power generation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nd supplying stable electric power has been developed and used.

한편, 태양광, 풍력, 태양광-풍력 하이브리드 발전장치에 있어서, 발전장치 및 그 제어장치가 가로등이나 건물의 지붕 등 사람의 키보다 높은 장소에 설치되었을 때, 발전장치 관리자의 조작과 수리 등에 불편함이 있으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원격에서 발전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들이 개시된다. 이와 관련된 첫 번째 예시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 등록특허 제 10-1525884호 '태양광 발전 통합 관제시스템 및 방법'은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하는 복수 개의 발전부재를 모니터링하는 관제부재로부터 모니터링 데이타를 수신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부재는 설정된 영역내에 위치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해당 발전부재의 모니터링 데이타를 송신하는 근거리 무선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원격지에서 상기 관제부재로부터 상기 발전부재의 모니터링 데이타 및 경보를 수신하고, 현장에서 상기 발전부재의 근거리 무선 컨트롤 유닛과 개별 무선통신연결되어 해당 발전부재의 모니터링 데이타를 직접 수신할 수 있어 발전부재별 모니터링과 발전부재의 모듈별 모니터링 데이타를 직접 획득할 수 있어 관리 및 유지를 위한 데이타분석이 용이한 태양광 발전 통합 관제시스템을 제안한다.On the other hand, in a solar power, a wind power, and a solar-wind power hybrid power generation device, when the power generation device and its control device are installed at a place higher than a person's height such as a streetlight or a roof of a building, A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to solve this problem is disclosed. As a first example related to this, as shown in FIG.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25884 'Integrated Photovoltaic Powe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includes a controller member for monitoring a plurality of generating members for converting sunlight into electricity, Wherein the power generating unit includes a short range wireless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monitoring data of the power generation member to the portable terminal located in the predetermined area, And monitoring data and an alarm of the power generating member are received from the member, and the monitoring data of the power generating member can be directly received by being connected to the near-field radio control unit of the power generating member by individual radio communication in the field, Monitoring data for each module can be acquired directly. We propose an integrated PV system for data analysis.

그리고 두 번째 예시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 등록특허 제 10-1550880호 '모바일 연계형 컨트롤러'는 충전효율을 높이기 위해 최대전력점을 기준으로 제어하는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알고리즘과 입력된 전력의 전압을 시스템 상황에 맞게 승압/강압하여 안정성을 높여주는 Buck-Boost 알고리즘을 구비한 컨버터부; 배터리와 부하의 상태에 맞게 충전/방전을 제어하는 충전제어부와 PWM 드라이버; 태양광 및 풍력발전 모니터링 데이터, 배터리 충전 상태, 부하 사용 전력량 모니터링 데이터 및 컨트롤러의 동작상태를 저장하는 메모리; 원격지의 모바일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제어명령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 및 각 구성부분의 동작을 제어하고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되는 주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계형 컨트롤러를 제공한다.As a second example, as shown in FIG. 2, Korean Patent No. 10-1550880 entitled 'Mobile-connected controller' has a MPPT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algorithm A converter unit having a Buck-Boost algorithm for boosting / reducing the voltage of the input power according to system conditions to improve stability; A charge controller and a PWM driver for controlling charging / discharging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battery and the load; A memory for storing solar and wind power monitoring data, battery charging status, load usage monitoring data, and operating status of the controlle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commands and data through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at a remote location; And a main control unit having a program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each component and for processing a request.

그런데 종래의 태양광, 풍력, 태양광-풍력 하이브리드 발전장치의 원격 제어방식에 있어서, 스마트폰 등 휴대용 무선기기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발전장치를 모니터링하는 경우가 한국 등록특허 제 10-1044264호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서 식별 코드가 부착된 다수의 태양광 발전 설비; 상기 식별 코드를 촬영하여 관리 서버에 접속을 요청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다수의 태양광 발전 설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된 스마트폰; 및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을 요청한 스마트폰에 대하여 접속 허여 여부를 판단하는 보안기능과, 접속이 허여된 스마트폰에게 상기 다수의 태양광 발전 설비의 위치, 종합현황, 및 경보현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기능과, 접속이 허여된 스마트폰에게 상기 다수의 태양광 발전 설비의 종합진단, 자가진단, 계측진단, 발전효율진단, 모듈진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진단 기능을 포함한 관리 시스템으로 제안된 바 있으나, 발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은 제공하지 않고 발전장치 정보의 수신과 모니터링만이 가능하였기에 불편함과 한계점이 있었다.However, in a conventional remote control method of a solar power, a wind power, and a solar-wind power hybrid power generation device, a case where an application is installed in a portable wireless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to monitor a power generation devic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044264 Photovoltaic power pla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A smartphone provided with a dedicated application for photographing the identification code to request a connection to a management server and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plurality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provid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a security funct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connection request is made to the smartphone requesting connec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a security function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location, comprehensive status, and alarm status of the plurality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to the connected smartphone And a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diagnosis function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comprehensive diagnosis, self diagnosis, measurement diagnosis, power generation efficiency diagnosis, and module diagnosis of the above-mentione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to the smartphone to which the connection is granted However, there is an inconvenience and limitations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but only the reception and monitoring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information is possible.

한국 등록특허 제 10-1525884호Korean Patent No. 10-1525884 한국 등록특허 제 10-1550880호Korean Patent No. 10-1550880 한국 등록특허 제 10-1044264호Korean Patent No. 10-104426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전장치의 설정 및 작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관리자가 모니터링하며 발전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은 발전장치의 제어부와 통신부로 전달되는 발전장치의 정보를 무선송수신부를 통하여 관리자의 스마트폰 등 휴대용 무선기기로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통신 기술로 전송하고, 휴대용 무선기기를 통해 발전장치의 정보를 모니터링하며 발전장치의 작동을 관리자가 손쉽게 조작하여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여서 발전장치의 관리자가 휴대용 무선기기로 발전장치를 편리하게 제어하는 효과가 있는,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setting and operating information of a power generation device in real time, Controller system. The wireless controller system of the power generation device transmits inform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device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ction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and the power generation section to a portable wireless device such as a manager's smart phon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Bluetooth or the like via a wireless transmission / A control application that can monitor the inform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device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device with an easy operation by the administrator so that the manager of the power generation device can conveniently control the power generation device with the portable wireless device, Controller system.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발전장치와 연결되고 발전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가로등, 전광판 등의 저항부(resistance)가 있을 경우에, 저항부의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 휴대용 무선기기의 컨트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가능하고, 발전장치 배터리부의 과방전과 과충전을 방지하거나 태풍과 강풍으로 풍력 발전장치의 회전속도가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브레이킹 기능 등 발전장치 구조와 기능의 전반적인 모니터링 및 설정과 동작에 관한 제어가 휴대용 무선기기의 컨트롤 애플리케이션으로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onitor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esistance unit when there is a resistance of a street lamp, an electric signboard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or and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generator, It is possible through the control application of the device, and it provides overall monitoring and setting of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the power generation system, such as preventing over discharge and overcharging of the generator battery section or preventing excessive increase i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ind power generator due to typhoon and strong wi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controller system of a power generation apparatus, in which the control concerning the operation becomes possible as a control application of a portable wireless dev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을 태양광 발전장치, 풍력 발전장치, 태양력-풍력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등에 연결하고, 본 발명의 구성으로서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발전부; 풍력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풍력발전부; 전기에너지를 충전부의 작동에 적합한 범위의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부; 발전부에서 생성되는 전기의 전압과 전류 및 정류부에서 방출되는 전압과 전류의 수치를 감지(Sensing)하고,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충전 전류량을 제어하며 정류부에서 충전부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프로그램되는 제어부; 정류부에서 공급되는 직류가 충전부를 거쳐서 배터리부로 입력되도록 하고, 충전부로 유입된 전력이 제어부에서 설정되는 조건에 따른 적정 전압 또는 적정 전류를 유지하며 배터리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에 의해서 충전되고, 저항부의 작동에 필요한 일정 범위의 전류를 저항부로 공급하는 배터리부; 풍력발전부의 회전 속도를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이 포함되어 과풍속에 의한 풍력발전부 과회전 감지로 풍력발전부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고 이에 따라 정류부에서 충전부로 공급되는 전력과 충전부에서 저항부로 공급되는 전력을 적정 범위 내로 유지하는 풍력제어부; 상기 태양광발전부 및 풍력발전부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가로등, 전광판 등 전력을 소비하며 작동되는 전기장치로써, 상기 충전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기설정된 조건의 충족 시 작동되거나 작동이 정지되는 저항부; 제어부에서 감지한 각 부의 송출전압과 전류의 수치 정보와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컨트롤러 표시부에 제공하고, 컨트롤러 조작부에 관리자가 입력하는 동작 제어신호 및 설정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로 명령을 전달하며, 각 부의 측정된 전압 등 수치 정보, 설정 정보, 동작 제어신호, 설정 제어신호를 무선송수신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통신부; 통신부를 통해 제공되는 각 부의 정보 및 제어신호를 표시하는 컨트롤러 표시부; 컨트롤러 표시부에 표시되는 각 부의 정보의 종류를 선택하고, 각 부의 설정과 동작 상태를 관리자가 조작하여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인 컨트롤러 조작부;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휴대용 무선기기와 연결되고 각 부의 정보를 휴대용 무선기기로 송신하며, 휴대용 무선기기에 입력되는 조작 명령을 수신하여 통신부에 전달하는 무선송수신부; 관리자가 개인적으로 소유하여 소지하는 스마트폰이나 별도로 마련되는 무선통신장비 등에 컨트롤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무선송수신부와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스마트폰이나 무선통신장비 자체의 터치스크린 등을 통해 발전장치의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자체의 입력부를 통해 발전장치의 설정 변경과 동작 제어명령을 입력하여 조작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기기; 휴대용 무선기기의 소프트웨어로 설치되어 관리자가 각 부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정보를 표시하고, 설정 및 동작 제어 명령의 입력이 가능한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컨트롤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controller system of a power generation device is connected to a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a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a solar power-wind power hybrid power generation device, and the like, Solar power generation part; A wind power generator for converting wind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 rectifying unit for converting electrical energy into a direct current in a range suitable for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unit; A control unit for sensing a voltage and a current value of electricity generated in the power generation unit and a voltage and a current value emitted from the rectification unit, controlling the amount of charge current using the switching device, and supplying power from the rectification unit to the charger unit; A charging unit for allowing direct current supplied from the rectifying unit to be inputted to the battery unit through the charging unit and for allow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charging unit to be delivered to the battery unit while maintaining an appropriate voltage or an appropriate current according to the condition set by the control unit; A battery unit which is charged by the charging unit and supplies a current of a certain range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resistance unit to the resistance unit; A control system for stably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unit is included so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unit is reduced by the wind power generation unit and the rotation detection by the wind speed and the power supplied from the rectification unit to the charger unit, A wind power control unit for maintaining the power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 electric device that is operated by consuming electric power such as a street light or an electric light plate connected to the solar power generation unit and the wind power generation unit and is operated or stopped when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charging unit; And receives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and the setting control signal input by the administrator to the controller operation unit and delivers the command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and the setting control signal, A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a function of transmitting numerical information such as a measured voltage of each unit, setting information, an operation control signal, and a setting control signal to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A controller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control signals of each unit provid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 controller operation unit which is an input unit for selecting a type of each piece of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controller display unit and allowing the administrator to change the setting and operation state of each part; A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connected to the portable wireless devic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transmitting information of each unit to the portable wireless device, receiving the operation command input to the portable wireless devic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operation command to the communication unit; A control application can be installed and used in a smart phone owned by a manager 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rovided separately and connected to the wireless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or the like, A portable radio device capable of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device through a touch screen or the like and inputting and changing operations of the power generation device and an operation control command through its own input unit; And a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as software of the portable wireless device to display information enabling an administrator to monitor status information of each part and to provide a visual interface capable of inputting setting and operation control commands, And provides a wireless controller system of the device.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은, 첫째,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발전장치의 상태 및 설정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설정 변경 및 동작 제어 명령을 입력하여 무선으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관리자가 발전장치의 컨트롤러가 설치된 위치로 이동하여 발전장치를 모니터링 및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였다.The wireless controller system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irstly monitor the status and setting inform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device at a remote location by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or the like and input the setting change and operation control command and operate it wirelessly, The conventional inconvenience that the manager moves to the position where the controller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is installed and monitors and manages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is solved.

둘째, 본 발명은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발전장치의 컨트롤러 및 휴대용 무선기기를 연결하므로, 인터넷 등에 접속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게 되고 비용이 저렴하게 관리자가 휴대용 무선기기를 이용하여 발전장치의 모니터링과 조작을 무선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Second, since the controller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and the portable wireless apparatu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a separate apparatus for connecting to the Internet or the like is not required and the manager can use the portable wireless apparatu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onitoring and operation of the generator can be performed wirelessly.

셋째, 본 발명은 컨트롤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각 개인이 소지한 스마트폰 등으로 발전장치의 모니터링과 조작이 가능하여 휴대용 무선기기의 제조나 구입에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ous effect that no additional cost is incurred in manufacturing or purchasing a portable radio device because a power application can be monitored and operated by a smart phone owned by each individual using a control application.

넷째, 본 발명은 컨트롤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종래에는 휴대용 무선기기를 통하여 발전장치의 모니터링만이 가능하거나 설정 및 동작을 조작하더라도 일부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었던 점을 개선하여, 발전장치의 컨트롤러에 포함되는 다수의 정보 모니터링, 설정 변경, 동작 제어 기능들을 휴대용 무선기기를 통해 인지하거나 조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Fourth,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point that only the monitoring of the power generation device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portable radio device using the control application, or only a part of the functions can be used even if the setting and operation are operated, The information monitoring, setting change, and operation control functions of the portable wireless device can be recognized or operated through the portable wireless device.

다섯째, 본 발명은 컨트롤러 표시부와 컨트롤러 조작부를 포함하여서, 만약 무선 통신을 이용한 제어가 불가능한 경우에 관리자가 발전장치의 컨트롤러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하여 컨트롤러 표시창과 조작 버튼을 이용하여 발전장치의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버튼을 조작하여 설정을 변경하거나 동작을 제어하는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Fifth,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ler display unit and a controller operation unit, and when the control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is impossible, the manager moves to the place where the controller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is located and monitors the inform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by using the controller display window and the operation button And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etting by operating the button or to control the operation.

여섯째, 본 발명은 기설정된 조건에 따른 저항부의 자동 온/오프 기능 및 수동 온/오프 기능을 포함하여서, 저항부가 가로등인 경우에 주변 태양광의 밝기에 따라서 점등과 소등 여부가 결정되고, 점등이 장시간 유지될 경우 타이머의 설정에 따라 소등하며, 태양광 전압의 일시적인 상승에 따른 소등을 방지하는 시퀀스를 포함하여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불빛 등에 의해 가로등이 소등되는 오작동을 방지하고, 수동으로 점등 및 소등하는 조작 기능을 제공하므로, 저항부의 불필요한 전력 사용을 사용자가 원거리에서 감시 및 조작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Sixth,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tomatic on / off function and a manual on / off function of the resistance part according to predetermined conditions,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ighting is on and off according to the brightness of surrounding sunlight when the resistance part is a street light, If it is maintained, it is turned off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timer. It prevents a malfunction that the street light is turned off by the headlight light of the vehicle including a sequence for preventing the light from being turned off due to a temporary rise of the solar voltage,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ous effect that the user can monitor and manipulate th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of the resistance portion from a remote place.

도 1은 종래의 태양광 발전 통합 관제시스템 및 방법의 개요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모바일 연계형 컨트롤러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3은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이다.
도 4a 내지 4m은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애플리케이션의 동작화면이다.
도 5는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부의 LED 가로등의 자동점등 및 소등 기능의 실시그래프이다.
도 6은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부의 LED 가로등의 자동소등 기능의 실시그래프이다.
도 7a 내지 7e는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 조작부의 실행순서 및 컨트롤러 표시부의 표시예이다.
도 8은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의 실물 사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ventional solar power generation integrated control system and method.
2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mobile-linked controller.
3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a wireless controller system of a power generation device.
4A to 4M are operation screens of a control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wireless controller system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5 is an implementation graph of the automatic lighting and lighting function of the LED street lamp of the resistance par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wireless controller system of the power generation device.
Fig. 6 is an implementation graph of the automatic light-off function of the LED street lamp of the resistanc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wireless controller system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Figs. 7A to 7E show an example of a controller operation unit and a controller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wireless controller system of the power generation system. Fig.
8 is a photograph of a wireless controller of a power ge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wireless controller system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되거나 부품과 기술의 치환이 가능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constructed in various forms, or capable of substituting parts and techniques, and thu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가 특정 실시예에 전부 포함되어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되는 기술구성 및 그 기술구성에 의해 발휘되는 기능 중에서 널리 공지되어 적용되는 기술구성 및 기능은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ls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as it is not intended to be exhaustive or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In the meantime, detailed descriptions of technical structures and functions that are widely known and applied among the functions shown by the technical structures and technical structure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wireless controller system of a power ge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wireless controller system of a power ge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A)의 일 실시예의 대략적인 구성은 자연에너지로부터 전기를 생성하는 태양광발전부(11)와 풍력발전부(12) 등으로 이루어지는 발전부(10)와, 발전부(10)에서 생성된 전류를 충전부(40)에 적합한 범위의 직류전류로 변환하는 태양광정류부(21)와 풍력정류부(22) 등으로 이루어지는 정류부(20)와,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30)와, 풍력발전부(12)를 제어하는 풍력제어부(31)와, 배터리부(41)를 충전하거나 저항부(50)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40)와, 충전부(40)를 통해 전달되는 전력을 저장하거나 충전부(40)를 통해 저항부(50)로 전력을 출력하는 배터리부(41)와, 충전부(40)와 배터리부(4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저항부(50)와, 각 부의 정보와 제어신호를 무선송수신부로 전달하는 통신부(60)와, 통신부를 통해 제공되는 각 부의 정보 및 제어신호를 표시하는 컨트롤러 표시부(70)와, 각 부의 설정과 동작 상태를 조작하는 입력부인 컨트롤러 조작부(71)와, 통신부(60)와 휴대용 무선기기(80)의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송수신부(61)와, 무선송수신부(61)와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휴대용 무선기기(80)와, 휴대용 무선기기(80)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인 컨트롤 애플리케이션(9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A)은 발전 컨트롤부(B)과 무선 통신부(C)로 구성되고, 발전 컨트롤부(B)는 정류부(20), 태양광정류부(21), 풍력정류부(22), 제어부(30), 풍력제어부(31), 충전부(40), 배터리부(41)를 포함하며, 무선 통신부(C)는 통신부(60), 무선송수신부(61), 컨트롤러 표시부(70), 컨트롤러 조작부(71)를 포함한다.3,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wireless controller system (A) of a power ge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lar power generation unit 11 and a wind power generation unit 12 that generate electricity from natural energy, And a rectifying section (not shown) including a solar light rectifying section 21 and a wind rectifying section 22 for converting a current generated in the power generating section 10 into a DC current in a range suitable for the charging section 40 A wind power control unit 31 for controlling the wind power generation unit 12 and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battery unit 41 or supplying power to the resistance unit 50 A battery unit 41 that stores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charger unit 40 or outputs power to the resistor unit 50 through the charger unit 40; A resistance unit 50 that is operated by receiving power, a communication unit 50 that transmits information and control signals of each unit to the wireless transmitting / A controller 60, a controller display unit 70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control signals of the respective units provid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 controller operation unit 71 serving as an input unit for operating the setting and operation states of the respective units, A wireless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61 that enables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of the portable wireless device 80, a portable wireless device 80 that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61 by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And a control application 90, which is software installed in the computer 80. The power generation control unit B includes a rectifying unit 20, a solar light rectifying unit 21, a wind power rectifying unit (not shown) And a battery unit 41.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60, a wireless transceiver unit 61, a controller display unit 70, a control unit 30, a wind force control unit 31, ), And a controller operation unit 71.

발전부(10)는 태양광이나 풍력 등 자연적인 에너지원으로부터 전기를 생성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면 태양광집열판 등을 이용하여 태양광으로부터 직류전류를 생성하는 태양광발전부(11)와 바람에 의해 돌아가도록 설치되는 블레이드 회전체가 풍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교류전류로 변환하는 풍력발전부(12)가 발전에 적합한 실외 환경에 발전 컨트롤부(B)와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발전부(10)는 공지된 기술로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발전부(10)는 도로의 가로등이나 전광판과 같은 저항부(50)와 연결되어 함께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 자체적인 전기의 생산과 소비가 이루어지며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지 않아도 저항부(50)가 작동하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The power generation unit 10 generates electricity from a natural energy source such as sunlight or wind power. The power generation unit 10 includes, for example, a solar power generation unit 11 that generates a direct current from sunlight using a solar light collection plate, The wind power generation section 12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blade rotor by the wind force into the alternating current i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power generation control section B in an outdoor environment suitable for power generation. The power generation unit 10 may be connected to the resistance unit 50 such as a street lamp or an electric signboard of the road and may be installed together. In such a case, Electricity is produced and consumed, and there is a convenient effect that the resistance portion 50 is operated without supplying a separate power source.

정류부(20)는 다이오드 회로를 이용하여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하거나 입력된 전류의 크기를 필요한 범위로 조절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하며, 태양광발전부(11)에서 생성되는 직류를 충전부(40)에서 활용가능한 범위의 전류로 변환시키는 태양광정류부(21)가 설치되고, 풍력발전부(12)에서 생성되는 교류를 충전부(40)에서 활용할 수 있는 범위 이내의 직류로 변환시키는 풍력정류부(22)가 발전 컨트롤부(B)의 내부에 설치된다.The rectifying unit 20 has a function of converting an alternating current into a direct current by using a diode circuit or adjusting the magnitude of an inputted current to a necessary range and outputting the direct current generated by the solar light generating unit 11 to a charging unit 40 A wind rectification unit 22 for converting an AC generated by the wind power generation unit 12 into a DC within a range that can be utilized by the charger unit 40, Is provided inside the power generation control section (B).

충전부(40)는 태양광정류부(21) 및 풍력정류부(22) 등과 같은 정류부(20)와 연결되어서, 정류부(20)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충전부(40)를 거쳐서 배터리부(41)로 입력되도록 하고, 충전부(40)로 유입된 전력이 제어부(30)에서 설정되는 조건에 따른 적정 전압 또는 적정 전류를 유지하며 배터리부(41)로 전달되도록 발전 컨트롤부(B)의 내부에 설치된다.The charging unit 40 is connected to the rectifying unit 20 such as the solar light rectifying unit 21 and the wind power rectifying unit 22 so that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rectifying unit 20 is inputted to the battery unit 41 through the charging unit 40. [ And the power supplied to the charger 40 is installed inside the power generation control unit B so as to be transmitted to the battery unit 41 while maintaining an appropriate voltage or an appropriate current according to the conditions set in the control unit 30. [

제어부(30)는 발전부(10), 정류부(20), 충전부(40), 풍력제어부(31), 통신부(60)를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할 수 있도록 각 부와 연결되어 발전 컨트롤부(B)의 내부에 설치되며, 발전부(10)에서 생산되는 전기의 전압과 전류 및 정류부(20)에서 방출되는 전압과 전류의 수치를 감지(Sensing)하고,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충전 전류량을 제어하며 정류부(20)에서 충전부(40)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30 is connected to each unit so as to monitor or control the power generation unit 10, the rectification unit 20, the charging unit 40, the wind power control unit 31 and the communication unit 60, And senses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on unit 10 and the voltage and current emitted from the rectification unit 20 and controls the amount of charge current using the switching device, 20 to supply power to the charger 40.

풍력제어부(31)는 제어부(30)와 풍력발전부(12)와 충전부(40) 풍력발전부(12)의 블레이드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판단과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태풍이나 강풍 등 과풍속의 환경에서 풍력발전부(12)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풍력발전부(12)에서 생성되는 전압의 수치를 측정하여 풍력발전부(12)의 과회전 여부를 감지하고 판단하여 풍력발전부(12)의 블레이드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설치되며, 또한, 배터리부(41)의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전부(40)에서 배터리부(41)로 공급되는 전력을 적정 범위 내로 유지하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발전 컨트롤부(B)의 내부에 설치된다.The wind power control unit 31 includes a determination and control program for stably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ade rotors of the control unit 30, the wind power generation unit 12, the charger unit 40, and the wind power generation unit 12,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wind power generating unit 12 in an environment of strong wind or strong wind or the like,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value of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wind power generating unit 12 to detect whether the wind power generating unit 12 is over- The power supplied from the charging unit 40 to the battery unit 41 is supplied to the battery unit 41 in order to reduc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ade rotator of the wind power generator unit 12 and to prevent the battery unit 41 from overcharging. And is provided inside the power generation control section B to provide a function of keeping the power generation control section B within an appropriate range.

충전부(40)는 정류부(20)에서 공급되는 직류전류를 충전부(40)를 거쳐 배터리부(41) 또는 저항부(50)로 그대로 혹은 크기를 변환하여 송전하거나, 배터리부(41)에서 충전부(40)로 송전되는 직류전류를 그대로 혹은 변환하여 저항부(50)로 송전함에 있어서, 제어부(30)에 기설정된 조건에 따른 적정 전압 또는 적정 전류가 유지되는 상태로 충전부(40)에서 배터리부(41) 또는 저항부(50)로 직류전류가 안정되게 송전되도록 발전 컨트롤부(B)의 내부에 설치된다.The charging unit 40 converts the DC current supplied from the rectifying unit 20 to the battery unit 41 or the resistance unit 50 through the charging unit 40 and converts the DC current to the charging unit 40 The charging unit 4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30 such that an appropriate voltage or an appropriate current according to a preset condition is maintained in the battery unit 40 41 or the resistance portion 50 so that the direct current can be stably transmitted.

배터리부(41)는 전력을 저장하고 출력할 수 있는 배터리로 형성되며 충전부(40)에 의해서 충전되고, 저항부(50)의 작동에 필요한 전류를 충전부(40)로 공급하도록 발전 컨트롤부(B)의 내부에 설치된다.The battery section 41 is formed of a battery capable of storing and outputting electric power and is charged by the charging section 40 and supplied to the power generation control section B to supply the current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resistance section 50 to the charging section 40 As shown in Fig.

저항부(50)는 상기 태양광발전부(11) 및 풍력발전부(12)와 동일한 지지물에 설치될 수 있는 도로의 가로등, 전광판 등과 같이 전력을 소비하면서 작동되는 전기장치로써, 상기 충전부(40)에서 전력을 공급받으며, 기설정된 조건의 충족 시, 예를 들어, 가로등의 경우 태양광의 일사량에 따른 태양광발전부(11)의 직류전류 생성량의 변화에 따라 작동이 자동으로 시작되거나 정지되도록 설정되거나, 관리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The resistance unit 50 is an electric device that operates while consuming electric power such as street lamps and electric signboards of a road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same support as the solar power generation unit 11 and the wind power generation unit 12, And the operation is automatically started or stopp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irect current generation amount of the solar power generation unit 11 according to the solar radiation amount in the case of the streetlight, for example, Or manually controlled by an administrator.

통신부(60)는 제어부(30)에서 감지한 각 부의 송출전압 및 전류의 수치 정보와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컨트롤러 표시부(70)에 제공하고, 컨트롤러 조작부(71)에 관리자가 입력하는 동작 제어신호 및 설정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로 명령을 전달하며, 각 부의 측정된 전압 등 수치 정보, 설정 정보, 동작 제어신호, 설정 제어신호를 무선송수신부(61)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하도록 무선 통신부(C)의 내부에 설치된다.The communication unit 60 receives numerical information and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voltage and current of each unit sensed by the control unit 30 and provides the numerical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display unit 70. The communication unit 60 transmits an operation control signal And a setting control signal to transmit the command to the control unit, and to transmit the numerical information such as the measured voltage of each unit, the setting information,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and the setting control signal to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61 C).

컨트롤러 표시부(70)는 관리자가 각 부의 정보와 설정 상태 등을 인지할 수 있도록 LCD 창 등에 통신부(60)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용도로써, 무선 통신부(C)의 외측 표면에 설치된다.The controller display unit 7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 as an application for displaying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60 to an LCD window or the like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recognize the information of each unit and the setting state.

컨트롤러 조작부(71)는 관리자가 조작하는 버튼 등과 같은 입력부로써, 조작을 통하여 컨트롤러 표시부(70)에 표시되는 정보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고, 각 부의 설정과 동작 상태를 관리자가 변경할 수 있도록 하며 무선 통신부(C)의 외부 표면에 설치된다.The controller operation unit 71 is an input unit such as a button operated by an administrator and can select the type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controller display unit 70 through an operation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change settings and operation states of the respective units, (C).

무선송수신부(61)는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휴대용 무선기기(80)와 연결되고 각 부의 정보를 휴대용 무선기기(80)로 송신하며, 휴대용 무선기기(80)에 관리자가 입력하는 발전 컨트롤부(B)의 설정 변경 또는 작동 명령을 수신하여 통신부(6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무선 통신부(C)의 내부에 설치된다.The wireless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61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wireless device 80 by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or the like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respective units to the portable wireless device 80, And transmits the setting change or operation command of the control unit B to the communication unit 60 and is installed insid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 [

휴대용 무선기기(80)는 관리자가 개인적으로 소유하여 소지하는 스마트폰이나 별도로 마련되는 무선통신장비 등에 컨트롤 애플리케이션(90)을 설치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무선송수신부(61)와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스마트폰이나 무선통신장비 자체의 스크린 등 표시부를 통해 발전 컨트롤부(B)의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휴대용 무선기기(80)에 구비된 입력부를 조작함으로써 관리자가 모니터링하려는 발전 컨트롤부(B) 및 무선 통신부(C)의 정보의 종류를 선택하거나, 설정을 변경하고 동작의 제어를 명령할 수 있다.The portable wireless device 80 can be used by installing a control application 90 on a smart phone 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eparately owned by an administrator and can be used. And can monitor the inform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control section B through a display section such as a screen of a smartphone or 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itself and can operate the input section provided in the portable radio apparatus 80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type of information of the control unit B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 change the setting, and instruct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컨트롤 애플리케이션(90)은 휴대용 무선기기(80)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로써, 관리자가 각 부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정보를 휴대용 무선기기(80)의 표시부에 표시하고, 무선으로 연결된 무선송수신부(61)의 고유아이디를 휴대용 무선기기(80)의 화면에 제공하며, 표시되는 정보의 선택, 설정의 변경 및 동작 제어 명령이 가능한 시각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관리자가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최소 약 5m 이상의 거리에서 발전장치의 상태 및 설정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설정 변경 및 동작 제어 명령을 입력하여 무선으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관리자가 발전장치의 컨트롤러가 설치된 위치로 이동하여 발전장치를 모니터링 및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The control application 90 is software installed in the portable wireless device 80. The control application 90 displays information enabling the manager to monitor the status information of each unit on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wireless device 8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wireless transmitting / 61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wireless device 80 and provides a visual interface that allows selection of displayed information, change of setting, and operation control command. Therefore, the manager can monitor the state and setting inform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device at a distance of at least about 5 m or mor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and can operate the power generation device by wirelessly inputting the setting change and operation control comman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mov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controller of the generator is installed and monitoring and operating the generator.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컨트롤 애플리케이션(90)의 구조 및 사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4a 내지 4m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Bellsion'이라는 이름의 애플리케이션이 휴대용 무선기기(80)인 관리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되고(도 4a 참고), 발전 컨트롤부(B)의 전원이 인가되고,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연결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관리자가 소지한 휴대용 무선기기(80)와 발전 컨트롤부(B) 및 무선 통신부(C)의 거리가 약 5m 이내가 되도록 하고, 휴대용 무선기기(80)의 무선 통신 기능에서, 발전 컨트롤부(B) 및 무선 통신부(C)가 'FB755v1.2.6'으로 검색되며(도 4b 참고), 상기 'FB755v1.2.6'을 선택하여 휴대용 무선기기(80)와 발전 컨트롤부(B)가 연결되면 발전 컨트롤부(B)의 동작현황으로 '풍력-회전속도', '풍력-발전 전압', '풍력 - 발전량', '태양광 - 발전 전압', '태양광 - 발전량', '총 발전량'이 표시되어 각 수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기기상태가 '에러코드', '상태비트', '배터리 완충 브레이크', 'dump 브레이크', 'short 브레이크', '강풍모드', '30분 브레이크' 등의 설정 현황이 요약 화면으로 도시되고(도 4c 참고), 휴대용 무선기기(80) 화면 좌측 상단의 3개의 수평선이 정사각형의 형태를 이루어 표시되는 메뉴 버튼을 눌러 '요약', '태양광', '풍력', '배터리', 'LED조명', '기기설정'의 메뉴를 각각 선택할 수 있고(도 4d 참고), 태양광 메뉴를 선택하면 동작현황으로 '발전 전압', '발전 전류', '발전량', '동작상태' 등의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도 4e 참고), 풍력 메뉴를 선택하면 동작현형으로 '회전속도', '발전 전압', '발전 전류', '발전량'과 풍력 정보로 '발전기 극수', '정지 전압(Dump)', '정지해제 전압(Dump)', '정지 회전속도(Dump)', '정지해제 회전속도(Dump)', '정지 전압(Short)', '정지해제 전압(Short)', '정지 회전속도(Short)', '정지해제 회전속도(Short)' 등의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도 4f 참고), 배터리 메뉴를 선택하면 동작현황으로 '현재 전압', '현지 전류'와 배터리 정보로 '배터리 전압', '배터리 용량', '만충전 해제 기준전압', '과방전 기준전압'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도 4g 참고), LED 조명 메뉴를 선택하면 동작현황으로 'Lamp 출력전압', 'Lamp 출력전류', 'Lamp 지속작동시간'과 LED 조명 정보로 'Lamp 동작모드', 'Lamp 소등 기준전압', 'Lamp 점등 기준전압' 등의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도 4h 참고), 상기 LED 조명 메뉴에서 설정값을 변경하고자 시도하면 '설정 값 변경 시 기기가 오작동 할 수 있습니다'라는 내용의 경고창이 발생하고(도 4i 참고), 기기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배터리', 'LED조명', '풍력' 등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선택창이 표시되고(도 4j 참고), 설정값을 변경하고자 하면 해당 정보를 눌러서, 가령 배터리 전압을 눌러서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배터리 전압을 숫자로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고(도 4k 참고), 설정의 변경을 가령 배터리 전압을 24에서 25로 변경하도록 배터리 전압 기재창에 25를 입력하여 완료 명령하면 '배터리 전압 값을 24에서 25로 변경합니다'라는 확인요청창이 발생하고(도 4l 참고), 저항부(50)인 Lamp의 동작모드를 변경함에 있어서 기존에 수동으로 Lamp를 조정하던 것을 중단하려면 'manual off'의 선택버튼을 눌러서 체크하고 확인을 눌러 작동 방식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도 4m 참고) The structure and usage of the control application 90 of the embodiment of the wireless controller system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S. 4A to 4M, for example, The power generation control unit B is installed in the smartphone of the manager who is the portable wireless device 80 and the power of the power generation control unit B is applied to the portable wireless device 80. In order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wireless connection such as Bluetooth, The electric power generation control section B and the radio communication section C are controlled by the radio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portable radio device 80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power generation control section B and the radio communication section C is within about 5 m, FB755v1.2.6 'is selected and the portable radio device 80 and the power generation control unit 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s' FB755v1.2.6' (see FIG. 4b) 'Wind power - Rotation speed', 'Wind power - ',' Wind power generation amount ',' solar power generation voltage ','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 total power generation amount 'are displayed and each value can be monitored. (See FIG. 4C), and the screen of the portable wireless device 80 (see FIG. 4C)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wireless device 80 You can select 'Summary', 'Solar light', 'Wind power', 'Battery', 'LED lighting', and 'Device setting' menu by pressing the menu button which is shaped like a square with 3 horizontal lines on the upper left. (See FIG. 4D), the user can monitor information such as 'generation voltage', 'generation current', 'power generation amount', 'operation state' , 'Generator', 'Generator', 'Generator', 'Generator', and 'Wind Speed' Dump ',' Stop Dump ',' Stop Dump ',' Stop Dump ',' Stop ',' Stop ' (See FIG. 4F). When the battery menu is selected, the current state of 'current voltage', 'local current', and ' (Refer to FIG. 4g), and when the LED lighting menu is selected, the operation status is changed to ' Lamp operation mode ',' Lamp off reference voltage 'and' Lamp on lamp reference voltage 'can be monitored by the lamp output voltage, lamp output current, 4h), when an attempt is made to change the setting value in the LED illumination menu, an alarm window is displayed indicating that the device may malfunction upon changing the setting value (See FIG. 4I), a selection window for changing settings such as 'battery', 'LED illumination', and 'wind force' is displayed (see FIG. 4J) (See FIG. 4K), and set 25 in the battery voltage display window to change the setting of the battery voltage from 24 to 25, for example, by pressing the battery voltage, (Refer to FIG. 4L).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lamp unit 50, which is the resistance unit 50, is changed, it is necessary to manually adjust the lamp If you want to stop what you are doing, you can press the "manual off" selection button to check and press OK to change the mode of operation (see Figure 4).

참고로,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휴대용 무선기기(80)의 컨트롤 애플리케이션(90)의 일 실시예 중 일부로써, 발전 컨트롤부(B)의 각 정보에 대한 관리자의 모니터링이나 설정 정보의 변경이나 동작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 애플리케이션(90)의 세부적인 구성은 발전부(10) 등 각 부의 스펙이 변경됨에 따라서 그 내용이 수정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For the sake of reference, the above-described contents are, as a part of one embodiment of the control application 90 of the portable radio apparatus 80, the monitoring of the manager, the change of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control unit B, The details of the control application 90 for control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10 can be modified or added as the specification of each unit such as the power generation unit 10 is changed.

도 5는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부의 LED 가로등의 점등 및 소등 기능의 실시그래프이다.5 is an implementation graph of the lighting and lighting functions of the LED street lamps of the resistive par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wireless controller system of the power generation device.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A)의 일 실시예의 저항부의 LED 가로등의 자동점등 및 소등 기능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가로등은 태양광 전압이 점등 설정전압, 가령 8V 미만인 상태가 되면 자동으로 점등하고, 태양광 전압이 소등 설정전압, 가령 10V 이상인 상태로 3분간 지속되면 자동으로 소등하는데, 지속 시간이 설정되는 이유는 태양광 전압의 상승이나 하강이 일시적인 현상인지 판별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점등/소등 설정전압의 기준 수치는 태양광량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발전장치의 무서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LED streetlight has a function in which the solar light voltage becomes equal to the lighting set voltage, for example, 8V , And it is automatically turned off when the solar light voltage is maintained for 3 minutes in a state where the solar light voltag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unlit set voltage, for example, 10 V. The reason why the sustain time is set is that the rise or fall of the solar light voltage is a temporary phenomenon . The reference value of the turn-on / turn-off set voltage can be arbitrarily changed by the user using the scale controller of the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amount of sunlight.

도 6은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부의 LED 가로등의 자동소등 기능의 실시그래프이며, 배터리의 절약을 위해 상기 LED 가로등의 점등이 기준 설정시간 이상으로, 가령 8시간 이상 지속되면 LED 가로등이 자동으로 소등된다.Fig. 6 is an implementation graph of the automatic light-off function of the LED street lamp of the resistance pa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wireless controller system of the electric power generating apparatus. In order to conserve the battery, the LED street light is turned on for more than 8 hours, The LED streetlight will automatically turn off.

도 7a 내지 8e는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 조작부(71)의 실행순서 및 컨트롤러 표시부의 표시예이다.Figs. 7A to 8E show an example of the execution sequence of the controller operation unit 71 and the display of the controller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wireless controller system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A)의 일 실시예의 컨트롤러 조작부(71)의 실행순서와 컨트롤러 표시부(70)의 표시 방법은, 도 7a를 참고하여 일례로 설명하면, 4개의 버튼을 포함하는 컨트롤러 조작부(71)의 가장 좌측의 붉은색 버튼을 1회 누르면 전체 발전장치의 정보가 표시되고, 좌측에서 두 번째 초록색 버튼을 1회 누르면 배터리 정보가 표시되고, 초록색 버튼을 1회 누르고, 가장 우측의 흰색 버튼을 1회 누르면 배터리 과방전 기준값이 표시되고, 좌측에서 세 번째 노란색 버튼을 누르거나 흰색 버튼을 누름으로써 수치를 조정하고, 녹색 버튼을 누르고 빨간색 버튼을 누르면 배터리 과방전 기준값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에 포함되는 다양한 기능들의 설정이 가능하며, 이제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고하여 파악할 수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7A, the execution sequence of the controller operation unit 71 and the display method of the controller display unit 70 in the embodiment of the wireless controller system A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formation of the entire power generation apparatus is displayed once by pressing the leftmost red button of the controller operation section 71. When the second green button is pressed once from the left, battery information is displayed, green button is pressed once, Press the rightmost white button once to display the battery over discharge reference value, press the third yellow button on the left or press the white button to adjust the value, press the green button and press the red button to set the battery over discharge reference value Can be changed. In the similar manner, various functions included in the wireless controller system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can be se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cause it can be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8은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의 실물 사진이다.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의 케이스 전면 중앙에 외부로 드러나도록 컨트롤러 표시부(70) 및 컨트롤러 조작부(71)가 설치되고, 케이스의 내부에 태양광정류부(21), 풍력정류부(22), 제어부(30), 풍력제어부(31), 충전부(40), 배터리부(41), 통신부(60), 무선송수신부(61)를 포함한다.8 is a photograph of a wireless controller of a power ge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wireless controller system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A solar control unit 21, a wind power rectification unit 22, a control unit 30, and a control unit 30 are provided in the case, and a controller display unit 70 and a controller operation unit 71 are provided so as to be exposed outside, A wind power control unit 31, a charging unit 40, a battery unit 41, a communication unit 60, and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61.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은, 일반적인 발전장치 및 그 컨트롤러 및 그 시스템의 제조산업에서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라고 할 것이다.The wireless controller system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invention that is industrially applicable since it will be possible to repeatedly manufacture the same product in a general power generation apparatus and its controller and its manufacturing industry.

A: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
B: 발전 컨트롤부 C: 무선 통신부
10: 발전부 11: 태양광발전부
12: 풍력발전부 20: 정류부
21: 태양광정류부 22: 풍력정류부
30: 제어부 31: 풍력제어부
40: 충전부 41: 배터리부
50: 저항부 60: 통신부
61: 무선송수신부 70: 컨트롤러표시부
71: 컨트롤러조작부 80: 휴대용 무선기기
90: 컨트롤 애플리케이션
A: Wireless controller system of generator
B: power generation control section C: wireless communication section
10: power generation section 11: solar power generation section
12: wind power generation section 20: rectifying section
21: Solar light rectifying part 22: Wind power rectifying part
30: control unit 31: wind power control unit
40: charger unit 41: battery unit
50: Resistor section 60:
61: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70: controller display unit
71: Controller control unit 80: Portable wireless device
90: Control Application

Claims (5)

자연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에 있어서,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은,
태양광이나 풍력 등 자연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부(10)와,
전기에너지를 충전부(40)의 작동에 적합한 범위의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부(20)와,
발전부(10)에서 생성되는 전기의 전압과 전류, 정류부(20)에서 방출되는 전압과 전류의 수치를 감지(Sensing)하고,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충전 전류량을 제어하며 정류부(20)에서 충전부(40)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프로그램되는 제어부(30)와,
정류부(20)에서 공급되는 직류가 충전부(40)를 거쳐서 배터리부(41)로 입력되도록 하고, 충전부(40)로 유입된 전력이 제어부(30)에서 설정되는 조건에 따른 적정 전압 또는 적정 전류를 유지하며 배터리부(41)로 전달되도록 하는 충전부(40)와,
상기 충전부(40)에 의해서 충전되고, 하기 저항부(50)의 작동에 필요한 일정 범위의 전류를 저항부(50)로 공급하는 배터리부(41)와,
상기 발전부(10)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가로등 또는 전광판이면서, 상기 충전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기설정된 조건의 충족 시 작동되거나 작동이 정지되는 저항부(50)와,
상기 발전부(10), 제어부(30), 배터리부(41) 또는 저항부(40)의 현황과 설정 기준값의 수치 정보와 동작 및 기준값 설정의 제어명령을 무선송수신부(61)를 통해 휴대용 무선기기와 송수신하는 통신부(60)와,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휴대용 무선기기와 연결되고 각 부의 정보를 휴대용 무선기기로 송신하며, 휴대용 무선기기에 입력되는 조작 명령을 수신하여 통신부(60)에 전달하는 무선송수신부(61);
관리자가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버튼형 입력부로써, 조작을 통하여 컨트롤러 표시부(70)에 표시되는 정보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고, 발전부(10), 배터리부(41) 또는 저항부(50)에서 측정되거나 기설정된 배터리 전압, 배터리 용량, 만충전 해제 기준전압, 과방전 기준전압, LED 소등 기준전압, 풍력발전기의 정지 전압, 정지해제 전압, 정지 회전속도 또는 정지해제 회전속도 등의 현황과 설정 기준값의 수치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기준값 설정을 관리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무선 통신부(C)의 외부 표면에 설치되는 컨트롤러 조작부(71)와,
관리자가 개인적으로 소유하여 소지하는 스마트폰이나 별도로 마련되는 무선통신장비 등에 컨트롤 애플리케이션(90)을 설치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무선송수신부(61)와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스마트폰이나 무선통신장비 자체의 터치스크린 등을 통해 발전부(10), 배터리부(41) 또는 저항부(50)의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고, 휴대용 무선기기 자체의 입력부를 통해 발전장치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기기(80)와,
상기 휴대용 무선기기의 소프트웨어로 설치되어 관리자가 발전부(10), 배터리부(41) 또는 저항부(50)에서 측정되거나 기설정된 배터리 전압, 배터리 용량, 만충전 해제 기준전압, 과방전 기준전압, LED 소등 기준전압, 풍력발전기의 정지 전압, 정지해제 전압, 정지 회전속도 또는 정지해제 회전속도 등의 현황과 설정 기준값의 수치 정보를 휴대용 무선기기(80)의 화면에 시각적으로 제공하고, 배터리 전압, 배터리 용량, 만충전 해제 기준전압, 과방전 기준전압, LED 소등 기준전압, 풍력발전기의 정지 전압, 정지해제 전압, 정지 회전속도, 정지해제 회전속도 등의 기준값 설정 제어 명령의 입력이 가능한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휴대용 무선기기(80)의 화면에 제공하며, 무선으로 연결된 무선송수신부의 고유아이디가 휴대용 무선기기(80)의 화면에 제공되는 컨트롤 애플리케이션(9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는 충전부(40)를 제어하여 배터리부(41)의 전압이 일정 기준 이상으로 감소하였을 경우에 과방전 보호 기능을 하고, 제어부(30)는 배터리부(41)의 완충 시에 완충모드를 작동하여 과충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추고,
태양광의 일조량에 따른 발전부(10)의 생산 전압을 제어부(30)가 측정하여 일정 수치 이하 또는 이상임에 따라 저항부(50)의 점등/소등 여부를 자동으로 조절하거나, 점등/소등 여부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컨트롤 애플리케이션(90)의 메뉴에서 선택할 수 있고,
외부 환경의 일시적인 변화로 인해 저항부(50)의 소등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 이상 동안 태양광에 의한 발전부(10)의 생산 전압이 일정 수치 이하 또는 이상으로 유지될 경우에 저항부(50)의 점등 또는 소등 여부가 결정되는 점등 오류 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발전장치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
1. A wireless controller system of a power generation apparatus that generates electricity using natural energy,
In the wireless controller system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A power generation unit 10 that generates electricity using natural energy such as sunlight or wind power,
A rectifying section 20 for converting electrical energy into a direct current in a range suitable for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section 40,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electricity generated in the power generation unit 10 and the voltage and current values emitted from the rectification unit 20 are sensed and the amount of charge current is controlled using the switching device. 40), and a control unit
The direct current supplied from the rectifying unit 20 is input to the battery unit 41 via the charging unit 40 and the power supplied to the charging unit 40 is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30 through the appropriate voltage or the appropriate current A charging unit 40 for transferring the electric power to the battery unit 41,
A battery unit 41 which is charged by the charging unit 40 and supplies a current of a predetermined range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resistance unit 50 to the resistance unit 50,
A resistance unit 50 which is a street light or an electric light plate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ion unit 10 and is operated or stopped when a preset condition is satisfi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charging unit,
The control unit 30 transmits numerical information of the current status and setting reference value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10, the control unit 30, the battery unit 41 or the resistance unit 40, A communication unit 60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o / from the device,
A wireless transceiving unit 61 connected to the portable wireless devic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transmitting information of each unit to the portable wireless device,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input to the portable wireless devic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operation command to the communication unit 60;
A type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controller display unit 70 can be selected through an operation so that it can be measured by the power generation unit 10, the battery unit 41, or the resistance unit 50 Current status and set values of preset battery voltage, battery capacity, full charge release reference voltage, over discharge reference voltage, LED off reference voltage, wind power generator stoppage voltage, stop release voltage, A controller operating section 71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ction C so that the manager can control the information and set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application 90 can be installed in a smart phone 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eparately owned by an administrator and can be used. The control application 90 can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61 by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or the like, The battery unit 41 or the resistance unit 50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portable radio device itself or through the touch scree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tself, A portable wireless device 80 capable of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The portable wireless device is installed with software to allow the manager to measure the battery voltage, the battery capacity, the full charge release reference voltage, the over discharge reference voltage, and the battery charge, which are measured by the power generation section 10, the battery section 41 or the resistance section 50, The numerical information of the LED off-off reference voltage, the stoppage voltage of the wind power generator, the stop release voltage, the stop rotation speed or the stop release rotation speed and the setting reference value is visually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radio device 80, Set reference values such as battery capacity, full release reference voltage, over discharge reference voltage, LED off reference voltage, wind turbine stop voltage, stop release voltage, stop rotation speed, stop release rotation speed, etc. Visual interface And a unique ID of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wirelessly connected is provided to the screen of the portable wireless device 80, And it includes an application 90,
Th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charging unit 40 to perform an over-discharge protection function when the voltage of the battery unit 41 is reduced to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Th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battery unit 41 when the battery unit 41 is fully charged It has the function to prevent the overcharge by activating the buffer mode,
The control unit 30 measures the production voltage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10 according to the amount of sunlight of the sunlight and automatically determines whether the resistance unit 50 is on or off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value or less, The control application 90 can be selected from a menu of the control application 90,
In order to prevent the resistance portion 50 from being turned off due to a temporary change of the external environment, when the produced voltage of the power generation portion 10 due to the sunlight is kept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longer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50) is determined to be turned on or off,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72330A 2017-06-09 2017-06-09 Wireless controller system for generator KR1018296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330A KR101829699B1 (en) 2017-06-09 2017-06-09 Wireless controller system for gen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330A KR101829699B1 (en) 2017-06-09 2017-06-09 Wireless controller system for gen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9699B1 true KR101829699B1 (en) 2018-02-19

Family

ID=61387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330A KR101829699B1 (en) 2017-06-09 2017-06-09 Wireless controller system for gen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969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611B1 (en) * 2021-12-07 2022-05-16 김홍섭 Small Wind Power Generation And Monitoring System Using Piezoelectric El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435B1 (en) * 2010-01-13 2010-06-16 이규옥 Lighting controlling system using solar battery
KR101550880B1 (en) * 2014-04-08 2015-09-07 주식회사 아프로스 Controller being connected mobi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435B1 (en) * 2010-01-13 2010-06-16 이규옥 Lighting controlling system using solar battery
KR101550880B1 (en) * 2014-04-08 2015-09-07 주식회사 아프로스 Controller being connected mobi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611B1 (en) * 2021-12-07 2022-05-16 김홍섭 Small Wind Power Generation And Monitoring System Using Piezoelectric El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36463B (en) Light-emitting diode (LED) lamp with intelligently-controlled brightness
KR101003072B1 (en) Photovoltaic illumination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701261A1 (en) Control device, power control system, and power control method
CN101908844B (en) Solar power supply apparatus
KR20130142609A (en) Led street lamp controlling apparatus having functions of detecting and transfering complex information
CN103167695A (en) Intelligent solar street lamp system with lithium batteries
KR20110136471A (en) Led street ligh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29699B1 (en) Wireless controller system for generator
CN201475859U (en) Intelligent remote control system of solar LED light
CN106960585A (en) Trackside display device and system
KR20120058794A (en) Optimal Landscape Light System and Method
KR101275701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solar power generation predictable power generation and use the power
EP3001777B1 (en) Luminous intensity regulating device for led light towers
CN105072779B (en) A kind of solar street lamp controller of the commercial power charged function of band
CN111163574A (en) All-weather state detection control system of intelligent street lamp controller
CN205812455U (en) A kind of solar LED intelligent road-lamp of adaptive environment light luminance
CN203039963U (en) PIC 18 F6720 based wind-solar hybrid street-lamp controller
CN209267250U (en) A kind of solar powered control device and its lighting control system
KR101133774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elf generating device
KR100728392B1 (en) The hybrid controller attached indicator
KR101793853B1 (en) Autonomous remote control device
CN113513728B (en) Street lamp control method and system
KR20110050006A (en) Streetlight using a solar energy
CN214381526U (en) Solar street lamp remote control system
CN217928571U (en)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