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513B1 - 미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미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513B1
KR101828513B1 KR1020150176702A KR20150176702A KR101828513B1 KR 101828513 B1 KR101828513 B1 KR 101828513B1 KR 1020150176702 A KR1020150176702 A KR 1020150176702A KR 20150176702 A KR20150176702 A KR 20150176702A KR 101828513 B1 KR101828513 B1 KR 101828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luid
nozzle
inner space
pol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6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9472A (ko
Inventor
김성태
이근규
카타오카 케이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노
Priority to KR1020150176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513B1/ko
Publication of KR20170069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8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separate outlet orifices, e.g. to form parallel jets, i.e. the axis of the jets being parallel, to form intersecting jets, i.e. the axis of the jets converging but not necessarily intersecting at a poi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08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two or mor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6Apparatus in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different sources are brought together before entering the discharge device
    • B05B7/28Apparatus in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different sources are brought together before entering the discharge device in which on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fed or drawn through an orifice into a stream of a carrying fluid
    • B05B7/30Apparatus in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different sources are brought together before entering the discharge device in which on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fed or drawn through an orifice into a stream of a carrying fluid the first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fed by gravity, or sucked into the carrying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smetic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수 미스트 장치는, 제1유체가 수용되는 제1내부공간을 갖는 제1용기; 제2유체가 수용되는 제2내부공간을 갖는 제2용기; 상기 제1내부공간 또는 제2내부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제1유체 또는 제2유체를 토출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로부터 상기 제1유체 또는 제2유체를 분사시키기 위해 작동유체를 토출하는 작동부; 및 상기 제1용기 또는 상기 제2용기의 일측에 배치되는 전기분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미용수 뿐만 아니라 수소 또는 산소 또는 오존이 용존하는 유체를 사용자의 피부에 분사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기분해유닛을 포함하여, 언제 어디서든 물 또는 전해질을 통해 수소 또는 산소 또는 오존을 생성가능하다.

Description

미스트 장치{Mist Device}
본 발명은 미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스트(mist) 장치라 함은 보습, 미백효과, 영양분 공급 등을 위해 사용자의 피부에 화장수나 미용수를 미스트 상태로 분출하여 사용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와 같은 미스트 장치는 대부분 유체의 속력이 빨라지거나 느려짐에 따라 압력이 높아지거나 낮아지게 되는 베르누이(Bernoulli)의 원리를 이용한 유체분사장치이다. 이러한 유체분사장치는 주로 화장수가 노즐의 중앙부분으로 공급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화장수를 미스트화 시키면서 분사되게 하는 에어(Air)는 노즐의 가장자리 부분으로 공급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화장수와 에어는 노즐의 끝단부에 형성된 분사구에서 상호간 만나도록 형성된다.
한편, 수소는 항염증 효과와 항알레르기 효과는 물론이고 항노화 효과와 미백효과, 보습효과 등이 있다. 그리고 수소는 자연에서 항산화력이 높아 항산화제로 널리 알려진 비타민 C보다 약 176배나 분자량이 작아서 신체 구석구석 통과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소는 각종 피부 트러블을 극복할 수 있으므로, 미용 소재로도 그 역할을 인정받고 있다. 수소는 의료분야에서만 2013년 말 기준으로 300여편 이상의 연구논문이 발표되고 있으므로, 수소는 의료 또는 미용 등의 중요한 소재로 각광받고 있으며 활발하게 응용되고 있다.
또한 오존은 살균력이 매우 강해 광범위한 분야에 살균제로 적용이 가능하다. 오존은 수소와 마찬가지로 의약 또는 미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응용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특개2014-39916A)에는 분무기 및 분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특개2014-39916A)는 화장수에 담겨진 공급관으로부터 화자이수가 유출 가능하도록 연결된 화장수 노즐과, 기체의 분출에 의해 상기 화장수 노즐로부터 액체를 분무시키는 가스 노즐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일본공개특허공보(특개2014-39916A)에 따른 분무기 및 분무 장치는 단일의 화장수만을 분사할 수 있고, 복합적인 기능수를 분사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일본공개특허공보(특개2014-39916A)는 수소 또는 산소 또는 오존 등의 물질을 미용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JPP2014-39916 A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2 이상의 미용수를 사용자의 피부에 동시에 분사가능한 미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용수 뿐만 아니라 수소 또는 산소 또는 오존이 용존하는 유체를 사용자의 피부에 분사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미용 또는 살균효과를 꾀하는 미용수 미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소 또는 산소 또는 오존을 생성하기 위한 전기분해유닛을 포함하는 미용수 미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수 미스트 장치는, 제1유체가 수용되는 제1내부공간을 갖는 제1용기; 제2유체가 수용되는 제2내부공간을 갖는 제2용기; 상기 제1내부공간 또는 제2내부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제1유체 또는 제2유체를 토출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로부터 상기 제1유체 또는 제2유체를 분사시키기 위해 작동유체를 토출하는 작동부; 및 상기 제1용기 또는 상기 제2용기의 일측에 배치되는 전기분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수 미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유닛은, 상기 제1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복수 개의 극체; 상기 복수 개의 극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수 미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극체는, 캐소드(Cathode)가 형성되는 제1극체; 애노드(Anode)가 형성되는 제2극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수 미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극체는 세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수 미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극체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수 미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유체는 물 또는 전해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유체는 미용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수 미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용기는 상기 제1용기의 제1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수 미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와 제2용기는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수 미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의 내부공간은 상기 복수 개의 극체를 격리수용시키도록 분리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수 미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제1일단은 상기 제1내부공간에 위치하며, 제1타단은 상기 제1용기 외부에 위치하는 제1노즐; 및 제2일단은 상기 제2내부공간에 위치하며, 제2타단은 상기 제2용기 외부에 위치하는 제2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미용수 뿐만 아니라 수소 또는 산소 또는 오존이 용존하는 유체를 사용자의 피부에 분사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기분해유닛을 포함하여, 언제 어디서든 물 또는 전해질을 통해 수소 또는 산소 또는 오존을 생성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수 미스트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수 미스트 장치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수 미스트 장치의 작동부와 용기 및 노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A-A'에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수 미스트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수 미스트 장치의 제1및 제2용기 배치상태별로 배치된 극체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용수 미스트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용수 미스트 장치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용수 미스트 장치의 작동부(300)와 용기(100) 및 노즐부(2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A-A'에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용수 미스트 장치는 용기(100)와 노즐부(200), 작동부(300), 봄베(400)와 레귤레이터(500) 및 케이스(60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100)는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고, 일례로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는 중공형의 용기로써, 각각 제1내부공간(111)과 제2내부공간(121)이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제1용기(110)는 제1내부공간(111)에 제1유체(10)를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용기(120)는 제2내부공간(121)에 제2유체(20)를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제1유체(10)는 물 또는 전해질을 포함하고, 제2유체(20)는 미용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수 미스트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용기(100)의 일측에는 전기분해유닛(130)이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용기(110)의 일측 또는 제2용기(120)의 일측에 전기분해유닛(130)이 마련될 수 있다. 전기분해유닛(130)은 제1용기(110)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분해유닛(130)은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 중에서 전기분해대상 물질이 포함된 용기(100)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용기(110)에 물 또는 전해질을 포함하는 제1유체(10)가 수용된다고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전기분해유닛(130)은 복수 개의 극체(131, 132)와 인쇄회로기판(611) 및 전원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극체는 제1극체(131)와 제2극체(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극체(131)는 캐소드(Cathode)가 형성되고, 제2극체(132)는 애노드(Anode)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극체(131)와 제2극체(132)는 제1용기(110)의 제1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극체(131)와 제2극체(132)는 막대형상 또는 판체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제1유체(10)와의 접촉면적을 보다 넓히기 위해 판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극체(131)와 제2극체(132)는 일측에 단자(134)가 마련될 수 있다. 단자(134)는 제1용기(110)으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된다. 단자(134)는 제1극체(131) 또는 제2극체(132)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하다.
전기분해유닛(130)은 인쇄회로기판(611)과 전원부(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611)은 복수 개의 극체(131, 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부(610)는 인쇄회로기판(6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610)는 후술하는 케이스(60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전원부(610)는 버튼(620)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620)을 가압하면, 전원이 제1극체(131) 또는 제2극체(132)에 인가된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인쇄회로기판(611)은 전원부(610)와 마찬가지로 케이스(60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611)은 일측에 단자(612)가 마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단자(612)가 인쇄회로기판(611)의 상측에서 상방을 향하여 마련된다. 다시 말하면, 단자(612)는 제1극체(131) 또는 제2극체(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134)의 위치와 대응되게 마련된다. 그리고 단자(134)와 단자(612)가 접촉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사용자가 버튼(620)을 누르면 제1극체(131)와 제2극체(132)에 전원이 인가된다. 즉,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수 미스트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용기(100)를 케이스(600)에 거치시킴으로써 단자(134, 612)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버튼(620)을 눌러 전원을 제1극체(131)와 제2극체(132)에 인가한다. 이로 인해 제1용기(110) 내부에 수용된 제1유체(10)는 전기분해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사용자가 버튼(620)을 누른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전원공급이 중단되어 전기분해를 종료하거나,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만 전기분해를 실시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유체(10)의 전기분해 시작 이후 가스 발생으로 인한 압력을 감지하여 전기분해가 종료되도록 압력센서(미도시) 등을 제1용기(110)에 설치할 수 있고, 자동종료에 대한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극체(131)는 음(-)극이 인가되고, 제2극체(132)는 양(+)극이 인가되어, 제1극체(131)는 환원반응이 발생하는 캐소드(Cathode)로 형성될 수 있고, 제2극체(132)는 산화반응이 발생하는 애노드(Anode)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용기(110)에 수용된 제1유체(10)는 물 또는 전해질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제1유체(10)의 전기분해를 통해 수소(H2), 산소(O2), 오존(O3) 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수소(H2)는 상기 제1극체(131) 주변에 모이게 되고, 산소(O2), 오존(O3) 등은 상기 제2극체(132) 주변에 모이게 된다.
<캐소드(제1극체)에서의 환원반응>
H2O + 2e + 2H+ → H2 + 2OH-
<애노드(제2극체)에서의 산환반응>
2H2O → O2 + 4H+ + 4e
이때 제2극체(132)에서 발생한 산소의 일부가 다시 물분자로부터 해리된 산소와 결합하여 다음과 같이 오존이 발생하게 된다.
H2O + O2 → O3 +2H+ +2e-
그러나 다음과 같이 직접 물분자가 해리되어 오존이 생성되기도 한다.
3H2O → O3 + 6H+ + 6e-
그리고 상기 수소(H2), 산소(O2), 오존(O3) 등의 일부는 제1유체(10)에 용존하게 되며, 나머지 일부는 제1유체(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2용기(120)에 수용된 미용수 뿐만 아니라, 제1용기(110)에 수용된 수소(H2), 산소(O2), 오존(O3) 등까지 사용자의 피부에 복합적으로 분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피부에 수소와 산소를 공급하거나, 오존에 의한 살균 등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1유체(10)를 오존에 의해 살균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제1극체(131)와 제2극체(132)는 세로로 배치될 수 있다. 만약 제1극체(131)와 제2극체(132)가 가로로 배치된다고 가정하면, 각 극체(131, 132)의 하측에서 발생된 기체들은 극체(131, 132)에 가로막혀 용기의 외부로 토출되기가 어렵다. 또한, 제1유체(10)가 소모되어 수위가 낮아져 어느 한 극체(131, 132)가 제1유체(10)의 외부로 노출되면, 전기분해는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않을 것이다.
아울러, 제1극체(131)와 제2극체(13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극체(131, 132)는 제1유체(10)와 접촉면적이 늘어나므로, 보다 많은 기체들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제1극체(131)와 제2극체(132)가 일체로 형성된다면, 제1유체(10)와의 접촉면적에 의해 기체의 발생은 보다 줄어들게 될 것이다.
도면에는 복수 개의 극체를 제1극체(131)와 제2극체(132) 두 개로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 또는 개수를 제한하지 않고,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실시가 가능하다.
도 6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수 미스트 장치 중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의 배치형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제1용기(110)는 제2용기(120)를 수용할 수 있다. 또는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는 병렬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도 6의 (b) 참조). 이때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는 요동이 방지되도록 별도의 프레임(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가능하며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는 개구부에 각각 덮개(미부호)를 배치하여 제1및 제2내부공간(111, 121)을 밀폐시킬 수 있다.
노즐부(200)는 제1노즐(210)과 제2노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노즐(210)은 제1일단과 제1타단을 갖는다. 제1일단은 제1용기(110)의 제1내부공간(111)에 위치하여 제1유체(10)와 만날 수 있다. 제1타단은 제1용기(110) 외부에 노출되게 위치한다. 제2노즐(220) 역시 제2일단과 제2타단을 갖는다. 제2일단은 제2용기(120)의 제2내부공간(121)에 위치하여 제2유체(20)와 만날 수 있다. 제2타단은 제2용기(120) 외부에 노출되게 위치한다.
작동부(300)는 제1작동노즐(310)과 제2작동노즐(320)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부(300)는 노즐부(200)의 타단을 향하여 배치되어 작동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작동노즐(310)은 제1노즐(210)의 타단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제2작동노즐(320)은 제2노즐(220)의 타단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후술하는 봄베(400) 내부에 수용된 작동유체(예컨대, 탄산가스 또는 탄산수 등)의 가스가 분사될 때, 제1노즐(210) 또는 제2노즐(220)을 통해 제1유체 또는 제2유체가 토출될 수 있다. 만약, 이때 봄베(400) 내부에 수용된 작동유체가 액체상태이더라도, 봄베(400)를 빠져나온 후 연결관(330)에서는 대기압 및 온도에 의해 가스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용기(100)가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 외에 제3용기(100)가 존재하고, 노즐부(200) 또한 제1노즐(210)과 제2노즐(220) 외에 제3노즐(미도시)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부(300) 역시 제1작동노즐(310)과 제2작동노즐(320) 외에 제3작동노즐(미도시)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부(300)는 노즐부(200)로부터 제1유체(10) 또는 제2유체(20)를 각각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로부터 토출시키도록 위치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작동부(300)는 제1내지 제2작동노즐(310, 320)을 포함하고, 제1작동노즐(310)은 제1노즐(210)의 제1타단에 위치하며, 제2작동노즐(320)은 제2노즐(220)의 제2타단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케이스(600)에 수용되어 있는 봄베(400)는 작동유체가 기체 또는 액체 상태로 수용되고, 상기 작동유체가 작동부(300)를 통해 분출되면서, 베르누이(Bernoulli)의 원리에 의해 제1및 제2용기(110, 120)로부터 각각 제1및 제2유체(10, 20)가 토출된다. 즉, 봄베(400)가 수용하는 작동유체는 탄산가스 또는 탄산수 등일 수 있고, 상기 작동유체는 봄베(400) 내부에서 대기압보다 상당한 고압으로 기체 또는 액체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유체가 작동부(300)를 통해 분사되며, 분사되는 과정에서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 즉, 음(-)압이 제1노즐(210)과 제2노즐(220)에 발생하여 제1및 제2유체(10, 20)는 토출된다. 그리고 제1및 제2유체(10, 20)는 용기(100) 외부에서 혼합되며, 작동유체와 함께 사용자의 피부에 분사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용기(110)의 내부공간은 제1극체(131)와 제2극체(132)에 의해 발생되는 기체를 서로 분리시키도록 분리막(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분리막은 멤브레인(Membran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수 미스트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사용자는 케이스(600)로부터 용기(100) 및 작동부(300)를 분리시킨다.
그리고 작동부(300)를 손에 파지하고 노즐부(200)가 사용자의 피부를 향하도록 위치시킨 후, 버튼(340)을 누른다. 이때, 케이스(600) 내부의 봄베(400)와 작동부(300)는 연결관(330)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버튼(340)을 누름으로써 밸브(미도시)가 열리게 되고, 봄베(400) 내부에 수용된 유체가 빠려나오게 된다. 상기 유체는 액체 또는 기체일 수 있으나, 밸브가 열려 대기압과 주변의 온도에 의해 가스 형태로 연결관을 지나게 되고, 제1및 제2작동노즐(310, 32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상기 분사된 가스에 의해 제1및 제2노즐(210, 220)에는 음(-)압이 발생하게 되며, 제1용기(110) 및 제2용기에 각각 수용된 제1유체(10)와 제2유체(20)는 외부로 토출되고, 상기 분사된 가스와 함께 사용자의 피부에 도달하게 된다.
사용자는 미용수 미스트 장치 사용을 그만두고자 할 때, 용기(100) 및 작동부(300)를 케이스(600)에 장착시킨다. 만약, 수소 또는 산소 또는 오존과 같은 가스를 더 생성시키고자 하면, 케이스(600)의 외부에 마련된 버튼(620)을 눌러 제1용기(110)에 수용된 제1유체(10)(예컨대, 물 또는 전해질)을 전기분해시킨다. 이때, 전기분해유닛(130)을 구동시키는 시간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설정 유닛(미도시)을 마련할 수도 있고,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전기분해유닛(130)이 구동을 멈추도록 설정될 수도 있으며, 이는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미용수 미스트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제1유체 20 : 제2유체
100 : 용기 110 : 제1용기
111 : 제1내부공간 120 : 제2용기
121 : 제2내부공간 130 : 전기분해유닛
131 : 제1극체 132 : 제2극체
134 : 단자 200 : 노즐
210 : 제1노즐 220 : 제2노즐
300 : 작동부 310 : 제1작동노즐
320 : 제2작동노즐 330 : 연결관
340 : 버튼 400 : 봄베
500 : 레귤레이터 600 : 케이스
610 : 전원부 611 : 인쇄회로기판
612 : 단자 620 : 버튼

Claims (10)

  1. 제1유체가 수용되는 제1내부공간을 갖는 제1용기;
    제2유체가 수용되는 제2내부공간을 갖는 제2용기;
    상기 제1용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기분해유닛;
    제1일단은 상기 제1내부공간에 위치하며, 제1타단은 상기 제1용기 외부에 위치하는 제1노즐;
    제2일단은 상기 제2내부공간에 위치하며, 제2타단은 상기 제2용기 외부에 위치하는 제2노즐; 및
    작동가스를 토출하여 상기 제1노즐에 음압을 발생시키는 제1작동노즐과 작동가스를 토출하여 상기 제2노즐에 음압을 발생시키는 제2작동노즐을 포함하는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타단과 상기 제1작동노즐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타단과 상기 제2작동노즐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유체는 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유체는 미용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유닛은,
    상기 제1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복수 개의 극체;
    상기 복수 개의 극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미스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극체는,
    캐소드(Cathode)가 형성되는 제1극체;
    애노드(Anode)가 형성되는 제2극체를 포함하는 미스트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극체는 세로로 배치된 미스트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극체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미스트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기는 상기 제1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미스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와 제2용기는 병렬로 배치된 미스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부공간은 상기 전기분해유닛에 의해 발생되는 기체를 격리시키는 분리막을 더 포함하는 미스트 장치.
  10. 삭제
KR1020150176702A 2015-12-11 2015-12-11 미스트 장치 KR101828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702A KR101828513B1 (ko) 2015-12-11 2015-12-11 미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702A KR101828513B1 (ko) 2015-12-11 2015-12-11 미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472A KR20170069472A (ko) 2017-06-21
KR101828513B1 true KR101828513B1 (ko) 2018-02-19

Family

ID=59281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6702A KR101828513B1 (ko) 2015-12-11 2015-12-11 미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5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2746B (zh) * 2018-03-13 2024-05-03 深圳市纬安共创生物科技有限公司 美容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3497A (ja) 2011-03-07 2012-09-27 Kyoritsu Gokin Co Ltd 噴射ノズル及びデスケーリング又は洗浄方法
KR101200952B1 (ko) 2012-05-25 2012-11-13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2액형 도료 스프레이 건
KR101347635B1 (ko) * 2013-07-26 2014-02-03 강기창 피부미용개선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3497A (ja) 2011-03-07 2012-09-27 Kyoritsu Gokin Co Ltd 噴射ノズル及びデスケーリング又は洗浄方法
KR101200952B1 (ko) 2012-05-25 2012-11-13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2액형 도료 스프레이 건
KR101347635B1 (ko) * 2013-07-26 2014-02-03 강기창 피부미용개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472A (ko) 201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3147B (zh) 具有双喷嘴的过氧化氢等离子体电离生成装置
KR101244629B1 (ko) 산소 또는 수소 화장품 제조장치
WO2005097350A1 (ja) 噴霧装置及び噴霧方法
JP2020110570A (ja) 携帯用美容水素殺菌水ミスト装置
KR101728010B1 (ko) 초음파 수소수 미스트 발생장치
KR101875023B1 (ko) 휴대용 수소수 분무기
KR20160133621A (ko) 수소수 분무기
JP3206025U (ja) 霧化機能を有する水素装置
KR101347635B1 (ko) 피부미용개선장치
KR200469698Y1 (ko) 피부미용개선장치
KR101828513B1 (ko) 미스트 장치
JP3203575U7 (ko)
KR200437058Y1 (ko) 가정용 피부 미용기
KR102104374B1 (ko) 봉타입 전극이 구비된 휴대용 수소수 미스트기
US20100089419A1 (en) Electrochemically-activated liquid for cosmetic removal
KR101828561B1 (ko) 미스트 장치
JP2012223688A (ja) ドライミスト噴霧方法および装置
JP7266905B2 (ja) 水素殺菌水の噴霧機能と温度刺激機能を併せ持つ美容装置
KR102057886B1 (ko) 살균수 생성장치
KR20180065616A (ko) 수소미스트 분사장치
KR101678293B1 (ko) 수소수 무화장치
KR101988429B1 (ko) 휴대용 유격막 수소수 분사장치
JP2009011521A (ja) 酸素富化ミスト生成装置
CN212596708U (zh) 雾化组件和便携式消毒器
CN217448631U (zh) 一种雾化喷头及电子口腔喷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