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166B1 - 에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보온과 보강 및 눈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보온과 보강 및 눈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166B1
KR101828166B1 KR1020160103852A KR20160103852A KR101828166B1 KR 101828166 B1 KR101828166 B1 KR 101828166B1 KR 1020160103852 A KR1020160103852 A KR 1020160103852A KR 20160103852 A KR20160103852 A KR 20160103852A KR 101828166 B1 KR101828166 B1 KR 101828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witch
error signal
circui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치재
Original Assignee
소치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치재 filed Critical 소치재
Priority to KR1020160103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1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6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adverse conditions, e.g. extreme climate, pe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40Ice detection; De-ic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0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4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stationary objects or on stationary man-mad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30Wind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보온 및 보강 장치에 있어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풍과 폭설로 인한 비닐하우스의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닐하우스에 대하여 종전보다 뛰어난 보온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보온과 보강 및 눈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에어 주입구와 에어 배출구를 구비하며, 비닐하우스의 외측에 덧씌워진 상태에서 에어 주입 시 상기 비닐하우스를 외부로부터 보온시키면서 보강시키는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 및 상기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의 주변에 상기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와 독립적으로 배치되며, 에어의 주입과 배출이 반복되면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눈을 털어내는 진동 에어튜브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에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보온과 보강 및 눈제거 장치{the sweep away snow a safety device of plastic tunnel}
본 발명은 에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보온 및 보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풍과 폭설로 인한 비닐하우스의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닐하우스에 대하여 종전보다 뛰어난 보온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보온과 보강 및 눈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닐 온실이라고도 불리는 비닐하우스(Vinyl House)는 농작물과 다른 식물을 재배하는 장소이다.
영어권 직역에서 비닐하우스는 그린하우스(Greenhouse) 또는 글라스하우스(glasshouse)로 불리기도 한다.
비닐하우스의 외벽은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태양열을 모은다. 바깥 공기가 안으로 못 들어오기 때문에 일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비닐하우스는 특히, 겨울철에 난방과 보온을 하여 과채류와 옆채류, 화훼류와 같은 작물을 재배할 수 있으며, 이로써 현재 가장 중요한 원예 시설로 전국에서 이용되고 있다.
한편, 근래에는 기후변화로 인하여 겨울에 강풍과 폭설이 잦기 때문에 비닐하우스의 피해가 크다.
이때, 강풍과 폭설로 인한 피해가 단순히 비닐하우스에 국한되지 않으며, 수개월동안 비닐하우스에서 키운 농작물 역시 함께 피해를 당하기 마련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비가 시급하다.
뿐만 아니라 비닐하우스의 야간 보온을 위해 비닐하우스의 외벽에 직물천을 덮어두는 경우가 잦은데, 이러한 직물천이 눈이나 비에 젖으면 물을 흡수하기 때문에 비닐하우스를 지탱하는 골조에 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사항 역시 함께 구조 보완 되어야 할 것인데, 아직까지는 별도의 비닐하우스 보온 및 보강장치가 개발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감안할 때, 비닐하우스 보온 및 보강 장치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0009] 제10-2010-007991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5-000756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6-001184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2-0000120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강풍과 폭설로 인한 비닐하우스의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닐하우스에 대하여 종전보다 뛰어난 보온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에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보온 및 보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에어 주입구와 에어 배출구를 구비하며, 비닐하우스의 외측에 덧씌워진 상태에서 에어 주입 시 상기 비닐하우스를 외부로부터 보온시키면서 보강시키는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와; 상기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의 주변에 상기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와 독립적으로 배치되며, 에어의 주입과 배출이 반복되면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눈을 털어내는 진동 에어튜브와; 상기 비닐하우스와 상기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의 하중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에어 기둥; 및 상기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 상기 진동 에어튜브 및 상기 에어 기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컴프레서와; 상기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의 일측에 마련되어 눈 쌓임을 감지하는 눈 쌓임 감지센서와; 상기 눈 쌓임 감지센서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컴프레서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감지센서 에러이면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에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와; 상기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의 주변에 설치되며 바람의 흐름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여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충전수단에 전기를 충전시키기 위한 발전기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발전기(2000)는,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외부 하우징(2021)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측 상하부에 설치되어 자체 구름에 의해서 회전 운동을 유지시키는 볼베어링 구조체(2022)와;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측 중앙부에 설치하되 상하쪽에 볼베어링 구조체가 삽입 결합되며, 볼베어링 구조체를 고정시키는 간격제(2023)와; 상기 볼베어링 구조체에 결합되며 내측으로 나선형 날개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냉각수의 흐름이 나선형 날개(2024a)에 제공되어 그 흐름이 날개에 가해지면 볼베어링 구조체의 구름작용에 의해 자연스럽게 자체 회전 현상을 일으키는 내부 하우징(2024)과; 상기 날개에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날개의 회전에 따라 충돌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소자(2025)와; 상기 발전소자를 외부 하우징에 결합시켜 발전소자를 고정시키며, 이에 따라 날개의 회전력에 의해서 발전소자가 충격을 받아 전기가 생성되도록 유도하는 중심축(2026)과; 상기 중심축의 상부에 설치되며 십자형 지지체(2027a)와 더불어서 중심축을 고정시키는 상부 지지부재(2027)와; 상기 중심축의 하부에 설치되며 십자형 지지체(2028a)와 더불어서 중심축을 고정시키는 하부 지지부재(2028)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볼베어링 구조체(2022)는, 상기 외부 하우징에 결합되는 외부 링형 구조체(2022a)와; 상기 외부 링형 구조체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내부 링형 구조체(2022c)와; 상기 외부 링형 구조체 및 내부 링형 구조체의 사이에 삽입되며 내부 링형 구조체가 자유롭게 자체 회전하도록 구름운동을 제공하는 볼베어링(2022b)으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발전소자(2025)는, 하부 패드(2025a)와 상부 패드(2025b)가 평행하게 마주하도록 위치하고, 하부 전극(2025c)와 상부 전극(2025d)이 그 상부면에 각각 위치하며, 하부 패드(2025a)위의 하부 전극 상에 다수의 미세 압전 진동자(2025e)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신호를 인가시키는 전원부(1101)와;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키는 에러신호 출력부(1102)와; 상기 전원부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 트랜스(1103)와; 상기 발진 트랜스(1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와;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1107)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에 접점되어 전원 유지용 스위치부를 온 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이 온 되면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1107)가 작동한 것을 중단키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하는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 사이에 설치되어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탄발 스프링(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일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이 끌어당겨져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회로 작동용 철편을 부착시켜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의 온 상태를 지속시키는 영구자석(1134)과;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에러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풍과 폭설로 인한 비닐하우스의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닐하우스에 대하여 종전보다 뛰어난 보온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휴대가 간편하기 때문에 비닐하우스의 크기에 무관하게 널리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보온 및 보강 장치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영역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전개도이다.
도 6은 에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보온 및 보강 장치의 제어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발전기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발전기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발전기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발전기 제 1 동작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발전기 제 2 동작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발전소자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 구성도.
도 14는 도 13의 상세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보온 및 보강 장치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영역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전개도이다.
도 6은 에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보온 및 보강 장치의 제어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발전기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발전기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발전기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발전기 제 1 동작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발전기 제 2 동작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발전소자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 구성도.
도 14는 도 13의 상세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에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보온 및 보강 장치는 강풍과 폭설로 인한 비닐하우스의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닐하우스에 대하여 종전보다 뛰어난 보온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크게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와 진동 에어튜브(120)를 포함한다.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는 비닐하우스의 외측에 덧씌워진 상태에서 에어 주입 시 비닐하우스를 외부로부터 보온시키면서 보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의 내부로 에어를 주입시키면 팽팽하게 팽창되면서 자체 하중을 지탱할 수 있으며, 또한 압력을 받아낼 수 있어 비닐하우스를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강풍과 폭설로 인한 비닐하우스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를 비닐하우스의 내부에 설치할 때는 이중 보온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내부에 에어가 주입되지 않은 평상 시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는 접혀 보관된 상태를 취하나, 내부에 에어가 주입되면 도 1처럼 비닐하우스의 외측에 덧씌워질 수 있도록 부풀어 오른다.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는 에어 주입구(111)와 에어 배출구(112)가 형성된다.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 상에 에어 주입구(111)와 에어 배출구(112)가 여러 개 형성될 경우, 펑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한 쪽이 펑크나면 그 쪽을 메우고 다른 쪽을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에어 주입구(111)를 통해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고, 에어 배출구(112)를 통해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 내의 에어를 배출시킬 수 있다.
겨울철 밤에는 에어를 주입하여 단열 효과 및 보온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주간에는 에어 배출구(112)를 통해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 내의 에어를 배출시켜 부피와 보관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는 도 2처럼 내부에 다수의 공기층(A1,A2)이 형성되도록 이중 피복(113a,113b)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중 피복(113a,113b)은 모두가 단열과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처럼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가 내부에 다수의 공기층(A1,A2)이 형성되도록 이중 피복(113a,113b)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단열을 비롯하여 보온에 뛰어나며, 또한 강도 역시 높아질 수 있다. 특히, 한 쪽의 공기층(A1,A2)이 터지더라도 다른 쪽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좋아진다.
한편, 비닐하우스의 크기가 거대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렇게 거대한 비닐하우스 전체를 씌우기 위한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를 일체로 제작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는 다수의 단위튜브(110a~110c)로 만들어져 상호간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의 보관과 사용이 편리하도록 일정한 크기의 단위튜브(110a~110c)들을 제작한 다음 비닐하우스 크기에 맞게 이들을 이어 결합시켜서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를 만들 수 있다.
단위튜브(110a~110c)들의 결합 구조는 후술한다.
이처럼 다수의 단위튜브(110a~110c)를 연결하여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를 제작할 경우, 에어 주입구(111)와 에어 배출구(112)는 단위튜브(110a~110c)들마다 개별적으로 1개씩 혹은 그 이상씩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의 일측에는 에어 주입구(111)를 통해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 내로 유입된 수분을 모아 저장하는 수분 저장부(160)가 더 연결된다.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는 주로 겨울철에 사용될 수 있는데, 공기 중의 수분이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 내로 딸려 들어가 기온이 내려가면 얼게 되어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 내의 에어 통로 등을 차폐할 수 있으므로 에어 주입구(111)의 하부 영역으로 물이 따로 모일 수 있는 수분 저장부(160)를 두어 물이 흘러 내려 저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태풍이나 강한 바람이 불면 비닐하우스와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 사이로 바람이 유입되어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가 날아갈 위험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덮개(170)가 마련된다.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H)이 형성되는데, 덮개(170)는 통공(H) 영역에 마련되어 통공(H)을 개폐한다. 이때, 덮개(170)에는 덮개(170)가 통공(H)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탄성부재(171)가 결합된다.
이에, 평상 시 덮개(170)에 장착된 탄성부재(171)의 힘으로 덮개(170)가 통공(H)을 덮어 비닐하우스를 보온할 수 있으나 강한 바람이 유입되면 바람의 힘에 의해 덮개(170)가 열리면서 통공(H)을 통해 바람, 즉 압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는 덮개(170)의 개수와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는데, 덮개(170)의 개수와 위치는 도시된 것과 얼마든지 달리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진동 에어튜브(120)는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의 주변에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와 독립적으로 배치되며, 에어의 주입과 배출이 반복되면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눈을 털어내는 역할을 한다.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와 진동 에어튜브(120)에는 컴프레서(130)가 연결된다.
낮 동안에는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와 진동 에어튜브(120) 내의 에어를 빼서 말아 보관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와 진동 에어튜브(120)에 컴프레서(130)가 연결된다.
컴프레서(130)의 흡입 기능을 통해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와 진동 에어튜브(120) 내의 에어를 빼낼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의 일측에 마련되어 눈 쌓임을 감지하는 눈 쌓임 감지센서(140)와, 눈 쌓임 감지센서(140)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컴프레서(13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150)를 더 포함한다.
예컨대, 눈 쌓임 감지센서(140)가 눈 쌓임을 감지하면 컨트롤러(150)가 컴프레서(130)를 구동시켜 컴프레서(130)에 의해 진동 에어튜브(120) 내에 에어가 주입되도록 하거나 진동 에어튜브(120) 내의 에어가 빠지도록 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그러면, 이와 같이 에어를 넣거나 빼는 반복 동작에 의해 진동 에어튜브(120)에는 진동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렇게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쌓인 눈은 외부로 낙하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진동 에어튜브(120)는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110)의 중앙 영역에 1개 혹은 다수 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150)는 눈 쌓임 감지센서(140)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컴프레서(13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151, CPU), 메모리(152, MEMORY), 서포트 회로(15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51)는 본 실시예에서 눈 쌓임 감지센서(140)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컴프레서(130)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5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51)와 연결된다. 메모리(15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15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5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5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50)는 눈 쌓임 감지센서(140)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컴프레서(130)의 동작을 컨트롤 한다. 이때, 컨트롤러(150)가 눈 쌓임 감지센서(140)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컴프레서(13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5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5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강풍과 폭설로 인한 비닐하우스의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닐하우스에 대하여 종전보다 뛰어난 보온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휴대가 간편하기 때문에 비닐하우스의 크기에 무관하게 널리 적용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의 주변에 설치되며 바람의 흐름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여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충전수단에 전기를 충전시키기 위한 발전기를 더 설치하는바, 전자기기의 운용에 필요한 전기를 비닐하우스 상부로 흐르는 바람을 이용하여 직접 생산할 수 있다.
즉, 비닐하우스 상부에 설치하는 발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후 충전하여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운용에 필요한 전기를 별도의 베터리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발전기(2000)의 구성요소는 크게 외부 하우징(2021)과, 볼베어링 구조체(2022)와, 간격제(2023)와, 내부 하우징(2024)과, 발전소자(2025)와, 중심축(2026)과, 상부 지지부재(2027)와, 하부 지지부재(2028)로 이루어지다.
상기 외부 하우징(2021)은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베어링 구조체(2022)는 외부 하우징의 내측 상하부에 설치되어 외부 링형 구조체(2022a)와 볼베어링(2022b)과 내부 링형 구조체(2022c)로 이루어지며 볼베어링의 자체 구름 운동에 의해서 내부 링형 구조체가 회전운동을 한다.
상기 간격제(2023)는 외부 하우징의 내측 중앙부에 설치하되 상하쪽에 볼베어링 구조체가 삽입 결합되며, 볼베어링 구조체의 외부 링형 구조체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부 하우징(2024)은 볼베어링 구조체의 내부 링형 구조체에 결합되며 내측으로 나선형 날개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냉각수의 흐름이 나선형 날개(2024a)에 제공되어 그 흐름이 날개에 가해지면 볼베어링의 구름작용에 의한 내부 링형 구조체의 작용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자체 회전 현상을 일으킨다.
상기 발전소자(2025)는 날개에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날개의 회전에 따라 충돌하여 전기를 발생시킨다.
상기 중심축(2026)은 발전소자를 외부 하우징에 결합시켜 발전소자를 고정시키며, 이에 따라 날개의 회전력에 의해서 발전소자가 충격을 받아 전기가 생성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상부 지지부재(2027)는 중심축의 상부에 설치되며 십자형 지지체(2027a)와 더불어서 중심축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 지지부재(2028)는 중심축의 하부에 설치되며 십자형 지지체(2028a)와 더불어서 중심축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발전소자(2025)는 하부 패드(2025a)와 상부 패드(2025b)가 평행하게 마주하도록 위치하고, 하부 전극(2025c)와 상부 전극(2025d)이 그 상부면에 각각 위치하며, 하부 패드(2025a)위의 하부 전극 상에 다수의 미세 압전 진동자(2025e)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미세 압전 진동자(2025e)는 산화아연(ZnO) 또는 PZT 중 어느 하나를 압전 재료로 이용할 수 있다. 산화물 반도체인 산화아연(ZnO)은 압전성과 반도성의 특성을 동시에 가지면서 나노선 구조의 성장 제어가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에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을 위한 미세 압전 진동자의 재료로 적합하다.
미세 압전 진동자(2025e)가 휘어지게 되면, 미세 압전 진동자(2025e) 내부에서 양이온과 음이온의 상대적 변위가 발생하면서 상부 전극(2025d)과 미세 압전 진동자(2025e)의 위치에 따라 바이어스의 방향이 바뀌게 되어 전압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발생된 전압은 DC형태를 띠게 된다. 상기 미세 압전 진동자는 압력을 가함에 따라 전기를 충전하며 이는 충전수단(200)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의 발전기(2000)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외부에서 바람이 불면 내부 하우징(2024)의 날개(2024a)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날개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바람의 유입에 따라 자연스럽게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날개는 내부 하우징(2024)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내부 하우징(2024)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내부 하우징(2024)은 볼베어링 구조체(2022)의 지지에 따라 자연스럽게 회전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볼베어링 구조체(2022)는 외부 링형 구조체(2022a)와 볼베어링(2022b)과 내부 링형 구조체(2022c)로 이루어지는바, 외부 링형 구조체는 외부 하우징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내부 링형 구조체(2022)가 볼베어링(2022b)의 구름작용에 따라 자연스럽게 회전작용을 일으킨다.
그리고, 상기 중심축(2026)에는 발전소자(2025)가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발전소자(2025)를 날개(2024)가 타격하게 된다.
그러면, 중심축(2026)에 설치되는 발전소자(2025)의 전기발생으로 인하여 폐루프를 형성하는 전기적 회로에 의해서 전기 생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컨트롤러(150)는 눈 쌓임 감지센서(140)의 센싱 신호를 분석하여 센서가 고장으로 판단되면 경보신호를 출력한다.
즉, 센서에 에러가 발생하면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여 에러상황의 치유를 유도하는 것이다.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회로 전원부(1101)와, 에러신호 출력부(1102)와, 발진 트랜스(1103)와,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와, 릴레이 스위치(1107)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통신 단말기 전원 스위치(sw2)와,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신호를 인가시키는 전원부(1101)와;
상기 제어부에서 경보신호를 출력하면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키는 경보신호 출력부(1102)와;
상기 발진 트랜스(1103)는 전원 스위치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한다.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는 발진 트랜스(1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된다.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는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1107)가 작동한 것을 중단시킨다. 그리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경보신호 작동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탄발 스프링(1133)과, 영구자석(1134)과,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에 접점되어 전원 유지용 스위치부를 온 시킨다.
상기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은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이 온 되면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탄발 스프링(1133)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 사이에 설치되어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영구자석(1134)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일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이 끌어당겨져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회로 작동용 철편을 부착시켜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의 온 상태를 지속시킨다.
상기 수동 작동 스위치(1135)는 회로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에러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한다.
이하에서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에러신호 출력부(1102)가 온 되면 직류 전원이 연결되어 발진 트랜스에 전원이 인가되고, 발진 트랜스의 2차측에 높은 전압이 인가된다.
2차측에 유기된 전원은 정류다이오드를 통해 반파의 직류 전원이 되고, 이 반파 직류전원은 콘덴서의 충방전 작용으로 인하여 보다 안정된 직류 전원이 된다.
이 직류 전원은 릴레이 스위치(1107)의 코일을 거쳐 사이리스터의 애노드단에 인가되고, 한편 이 직류 전원은 저항을 통해 콘덴서에 충전작용을 하게 된다. 상승된 전압은 다이악을 통과하면서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를 트리거하여 에노드단과 케소드단이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하고, 이에 따라 릴레이 스위치(1107)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베이스단을 활성화시키면서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에 폐회로를 유도하여 트랜스로 향하는 전원을 오프시키게 된다.
즉, 저항(1109)과 콘덴서(1110) 사이의 전압이 다이오드(1120)를 통해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에미터 단자 및 콜렉터 단자 사이로 흘러 바이패스되며 이 바이패스에 의한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고, 이렇게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면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로 향하는 트리거 신호를 멈추게 되어 에노드단과 케스단이 오프되면서 릴레이 스위치(1107)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서 스위칭을 위해 계속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멈추게 된다.
한편, 만약 작업자가 에러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의 전류 흐름이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의 에미터단과 베이스단 사이에 흐르는 바이어스 전압이 사라져서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가 오프된다.
상기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가 오프되면서 다이오드(1120)를 통한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바이패스 전압이 없어지고 이 전압은 콘덴서(1110)에 충전된다.
이 충전된 전압이 다이악(1111)의 브레이크 오버 현상을 이르키게 되고 다이악에서 트리거 신호를 보조 스위치 작동용 스위칭부(1108)로 출력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에러신호 제어부(1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에러요인을 치유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경고음을 출력시키도록하여 반드시 에러요인을 치유하도록 유도한다.
즉, 에러신호 출력부(1102)가 온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수동 스위치(1135)를 작동시켜 경보신호를 오프시키게 되더라도, 다시 전원을 복귀시켜 경보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며, 이에 따라 에러상황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경보신호를 차단하더라도 다시 재작동되므로 에러신호를 완전히 차단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만약에 에러신호 출력부가 오프되면 이때에는 수동 스위치(1135)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경보신호를 수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110: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 120: 진동 에어튜브
130: 컴프레서 140: 눈 쌓임 감지센서
150: 컨트롤러 200: 충전수단
1000: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 2000: 발전기

Claims (6)

  1. 에어 주입구와 에어 배출구를 구비하며, 비닐하우스의 외측에 덧씌워진 상태에서 에어 주입 시 상기 비닐하우스를 외부로부터 보온시키면서 보강시키는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와;
    상기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의 주변에 상기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와 독립적으로 배치되며, 에어의 주입과 배출이 반복되면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눈을 털어내는 진동 에어튜브와;
    상기 비닐하우스와 상기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의 하중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에어 기둥; 및
    상기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 상기 진동 에어튜브 및 상기 에어 기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컴프레서와;
    상기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의 일측에 마련되어 눈 쌓임을 감지하는 눈 쌓임 감지센서와;
    상기 눈 쌓임 감지센서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컴프레서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감지센서 에러이면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에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와;
    상기 보온 겸용 보강 에어튜브의 주변에 설치되며 바람의 흐름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여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충전수단에 전기를 충전시키기 위한 발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기(2000)는,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외부 하우징(2021)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측 상하부에 설치되어 자체 구름에 의해서 회전 운동을 유지시키는 볼베어링 구조체(2022)와;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측 중앙부에 설치하되 상하쪽에 볼베어링 구조체가 삽입 결합되며, 볼베어링 구조체를 고정시키는 간격제(2023)와;
    상기 볼베어링 구조체에 결합되며 내측으로 나선형 날개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냉각수의 흐름이 나선형 날개(2024a)에 제공되어 그 흐름이 날개에 가해지면 볼베어링 구조체의 구름작용에 의해 자연스럽게 자체 회전 현상을 일으키는 내부 하우징(2024)과;
    상기 날개에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날개의 회전에 따라 충돌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소자(2025)와;
    상기 발전소자를 외부 하우징에 결합시켜 발전소자를 고정시키며, 이에 따라 날개의 회전력에 의해서 발전소자가 충격을 받아 전기가 생성되도록 유도하는 중심축(2026)과;
    상기 중심축의 상부에 설치되며 십자형 지지체(2027a)와 더불어서 중심축을 고정시키는 상부 지지부재(2027)와;
    상기 중심축의 하부에 설치되며 십자형 지지체(2028a)와 더불어서 중심축을 고정시키는 하부 지지부재(2028)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볼베어링 구조체(2022)는,
    상기 외부 하우징에 결합되는 외부 링형 구조체(2022a)와;
    상기 외부 링형 구조체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내부 링형 구조체(2022c)와;
    상기 외부 링형 구조체 및 내부 링형 구조체의 사이에 삽입되며 내부 링형 구조체가 자유롭게 자체 회전하도록 구름운동을 제공하는 볼베어링(2022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전소자(2025)는,
    하부 패드(2025a)와 상부 패드(2025b)가 평행하게 마주하도록 위치하고, 하부 전극(2025c)와 상부 전극(2025d)이 그 상부면에 각각 위치하며, 하부 패드(2025a)위의 하부 전극 상에 다수의 미세 압전 진동자(2025e)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신호를 인가시키는 전원부(1101)와;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키는 에러신호 출력부(1102)와;
    상기 전원부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 트랜스(1103)와;
    상기 발진 트랜스(1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와;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1107)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에 접점되어 전원 유지용 스위치부를 온 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이 온 되면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1107)가 작동한 것을 중단키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하는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보온과 보강 및 눈제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 사이에 설치되어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탄발 스프링(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일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이 끌어당겨져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회로 작동용 철편을 부착시켜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의 온 상태를 지속시키는 영구자석(1134)과;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에러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보온과 보강 및 눈제거 장치.
KR1020160103852A 2016-08-16 2016-08-16 에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보온과 보강 및 눈제거 장치 KR101828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852A KR101828166B1 (ko) 2016-08-16 2016-08-16 에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보온과 보강 및 눈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852A KR101828166B1 (ko) 2016-08-16 2016-08-16 에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보온과 보강 및 눈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166B1 true KR101828166B1 (ko) 2018-02-12

Family

ID=61224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852A KR101828166B1 (ko) 2016-08-16 2016-08-16 에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보온과 보강 및 눈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1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48000A (zh) * 2020-02-28 2020-06-09 王声林 一种具有自动除尘功能的农业大棚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161B1 (ko) * 2009-06-26 2010-01-15 남종우 발전장치
KR20150015675A (ko) * 2013-08-01 2015-02-11 박창열 에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보온 및 보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161B1 (ko) * 2009-06-26 2010-01-15 남종우 발전장치
KR20150015675A (ko) * 2013-08-01 2015-02-11 박창열 에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보온 및 보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48000A (zh) * 2020-02-28 2020-06-09 王声林 一种具有自动除尘功能的农业大棚
CN111248000B (zh) * 2020-02-28 2021-12-10 德清凌凯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除尘功能的农业大棚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1480B1 (ko) 태양열 및 지열을 이용한 농업용 하우스의 난방시스템
CN206467740U (zh) 一种太阳能驱动型公厕除臭装置
KR101828166B1 (ko) 에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보온과 보강 및 눈제거 장치
KR101152322B1 (ko) 조류 퇴치장치
CA2566020A1 (en) Central vacuum cleaning system control subsystems
JP2011139688A (ja) 鳥類退治装置
KR101715609B1 (ko) 블랙박스용 보조 배터리장치
CN106614507B (zh) 驱鸟装置
US10744510B1 (en) Gutter debris-grinding device
WO2018096555A1 (en) Device for tapping sap from inflorescence and method thereof
KR20120017307A (ko) 흡입식 해충 포획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7484633B (zh) 一种农业灌溉系统
KR20150015675A (ko) 에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보온 및 보강 장치
CN210866920U (zh) 开关柜
CN208402749U (zh) 一种绿化带浇灌系统
CN208353962U (zh) 一种吸取切断式草莓采收移动设备
CN208468536U (zh) 一种吸尘高速切纸机
CN113107049A (zh) 一种岛礁光伏制水系统及其制水方法
KR101866666B1 (ko) 무인비행로봇을 이용한 유해 조수 퇴치 장치
JP5554600B2 (ja) 冷却塔の薬剤注入装置
KR101791969B1 (ko) 엔진 발전기 제어장치
CN111685041A (zh) 一种自通风式农业养殖大棚
CN216567197U (zh) 一种高大平方仓储粮的精准通风降温系统
CN216254891U (zh) 风吸式黄曲条跳甲诱捕器
CN114837946B (zh) 一种节能型双级螺旋式空气压缩机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