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944B1 - Flame holder system having re-igni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Flame holder system having re-ignition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944B1
KR101827944B1 KR1020170064990A KR20170064990A KR101827944B1 KR 101827944 B1 KR101827944 B1 KR 101827944B1 KR 1020170064990 A KR1020170064990 A KR 1020170064990A KR 20170064990 A KR20170064990 A KR 20170064990A KR 101827944 B1 KR101827944 B1 KR 101827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burner
mixed gas
gas
fl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9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디자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9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7/00Ignition devices associated with bur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9/00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burner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 carrier gas
    • F23D2900/21Burner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meholder which illuminates a stadium during the periods of various sporting events such as the Olympics or the National Sports Festivals. The flameholder comprises: a support body part (10) provided in the stadium; a flame forming part (20) provided on an upper end portion of the support body part (10) and having main and auxiliary burners (22, 24); an ignition source supply part (30) supplying a mixture gas to the main and auxiliary burners (22, 24); a burner ignition part (40) igniting the mixture gas supplied to the main and auxiliary burners (22, 24); and a flame maintaining part (60) maintaining the flame ignited by the burner ignition part (40), and delivering an ignition source to reignite the flame when the flame is extinguished. Even when the flame formed by the flame forming part is suddenly extinguished by natural disasters such as the elements, the flame is rapidly reignited to enable a quick response to an abnormal operation of the flameholder, thereby improving operational reliability.

Description

재점화기능을 갖는 성화대 시스템{Flame holder system having re-ignition function} {Flame holder system having a re-ignition function}

본 발명은 올림픽이나 전국체전과 같은 체육행사기간 중에 경기장을 밝혀주는 성화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성화대의 성화가 비바람 등에 의해 소화되는 경우 신속하게 재점화함은 물론 혼합가스의 공급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재점화기능을 갖는 성화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rchlight that illuminates an arena during a sports event such as the Olympic Games or national sports events. In particular, when the torchlight of the torchbearer is extinguished by rainstorm or the like, it can quickly re- To a recharging system having a re-ignition function.

일반적으로, 성화대는 올림픽 경기나 월드컵이나 전국체전과 같은 각종 체육행사 기간 중에 주경기장의 한쪽에 설치되어 성화를 밝혀주는 구조물로서, 이 성화대는 주경기장에 설치되는 구조물의 상단부에 화반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화반에 버너의 성화를 분출하는 노즐이 구비되어 있다.Generally, a torpedo is a structure tha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arena during various athletic events such as the Olympic Games, the World Cup, and the national championships. This torch is a state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structure A nozzle for spraying the burning of the burner is provided in the burner.

예컨대, 도 1에서와 같이, 성화대는 주경기장에 설치되는 구조물(30)과, 상기 구조물(3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열원을 집적하는 화반(20), 상기 화반(20)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면서 다수개의 노즐(11)을 갖는 버너(10), 및 상기 버너(10)에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관(12)를 포함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shaking table includes a structure 30 installed in a main stadium, a firing bin 20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firing structure 30 for accumulating heat sources, A burner 10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11 and a gas supply pipe 12 for supplying a mixed gas to the burner 10.

그리고, 상기 화반(20)에는 상기 버너(10)의 노즐(11)을 통해 분사되는 혼합가스를 점화하는 점화기구(13)가 구비된다.The igniter 20 is provided with an ignition mechanism 13 for igniting the gas mixture injected through the nozzle 11 of the burner 10. [

따라서, 상기 버너(10)에 공급되는 혼합가스를 상기 노즐(11)의 분사공으로 분출함과 동시에 상기 점화기구(13)로 점화하면, 상기 노즐(11)의 분사공으로 분출되는 혼합가스가 연소되면서 성화를 형성하고, 이 과정에서 상기 화반(20)에 일정한 형상 및 모양을 갖는 성화가 표현된다.Therefore, when the mixed gas supplied to the burner 10 is ejected to the ejection holes of the nozzle 11 and ignited by the ignition mechanism 13, the mixed gas ejected to the ejection holes of the nozzle 11 is burned And in this process, the flame 20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shape is expressed.

그런데, 상기한 성화대는 적어도 다음과 같은 단점을 포함한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striction includes at least the following disadvantages.

첫째, 상기 성화대는 상기 노즐(11)이 노출된 상태로서 상기 노즐(11)에 빗물이 침투하거나 강한 바람이 부는 경우 성화가 꺼질 우려가 있다.First, in the state where the nozzle 11 is exposed, when the rainwater infiltrates into the nozzle 11 or a strong wind blows, the torch is likely to be turned off.

둘째, 상기 성화대는 상기 혼합가스의 분사량 및 분사압을 임으로 조절할 수 없어 상기 성화의 형상을 다양하게 표현하기가 어렵다.Second,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injection amount and the injection pressure of the mixed gas, and thus it is difficult to express the shape of the torch in various ways.

즉, 상기 가스공급관(12)에 의해 공급되는 혼합가스의 성화 색깔이나 성화 세기나 성화 높이 등을 임의로 조절하기가 어려웠다.That is, it is difficult to arbitrarily adjust the color of the gas mixture supplied by the gas supply pipe 12, the intensity of the gasification, the height of the gasification, and the like.

셋째, 상기 성화대는 상기 점화기구(13)의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 상기 성화의 점화가 불안정하여 상기 점화에 따른 신뢰성이 저하된다.Thirdly, when the performance of the ignition mechanism 13 is lowered, the ignition of the ignition is unstable and the reliability of the ignition is lowered.

따라서, 상기 성화대의 점화구조를 변경하여 상기 성화의 점화에 따른 신뢰성을 향상하면서도 상기 성화가 불시에 꺼지더라도 신속하게 점화함은 물론 상기 성화의 형상이나 크기를 조절하는 연구가 절실하다.Therefore, even if the ignition is temporarily turned off by changing the ignition structure of the above-mentioned bulb to improve the reliability according to ignition of the above-mentioned ignition, it is urgently required to control not only the ignition but also the shape and size of the torch.

[참고문헌][references]

* 참고문헌 1 :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5680호(등록일 : 2007.02.08.)* Reference 1: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435680 (Registered on Feb. 8, 2007)

* 참고문헌 2 :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6650호(공개일 : 2010.08.02.)* Reference 2: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86650 (Published on Aug. 2, 2010)

* 참고문헌 3 :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7753호(공개일 : 2008.05.02.)* Reference 3: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10-2008-0037753 (Published on May 2, 2008)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상기 성화대의 성화가 비바람 등에 의해 소화되는 경우 신속하게 재점화함은 물론 혼합가스의 공급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재점화기능을 갖는 성화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ignition function capable of selectively re-ignition when the torch of the torch is extinguished by wind and rain, The purpose of this system is to provide a torpedo system.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경기장에 설치되어 외관을 이루는 지지몸체부와, 상기 지지몸체부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메인버너와 보조버너를 갖는 성화형성부, 상기 메인/보조버너에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점화원공급부, 상기 점화원공급부의 혼합가스를 점화하여 성화를 형성하는 버너점화부, 및 상기 버너점화부에 의해 점화되는 성화를 유지하고 있다가 상기 성화가 소화하는 경우 점화원을 전달하여 재점화하는 성화유지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urner comprising: a support body part installed at an athletic field to form an appearance; a burning forming part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body part and including a main burner and an auxiliary burner; A burner ignition part for igniting the mixed gas of the ignition source supply part to form a torch; and an ignition source for igniting the burner ignition part when the ignition is ignited, And the lik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를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성화대에 상기 성화유지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성화대의 성화가 비바람과 같은 자연재해에 의해 갑자기 소화되더라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 상기 성화대의 작동에 따른 신뢰성이 향상된다.First, by constituting the above-mentioned torch holding portion in the above-mentioned torso block, even if the torso of the torso block is suddenly extinguished by a natural disaster such as wind and rain, it can respond quickly and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orso block is improved.

둘째, 상기 성화대에 상기 메인버너와 상기 보조버너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메인버너와 보조버너에 의해 성화의 형상이나 세기를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어 상기 성화에 의한 심미감이 향상된다.Secondly, by configuring the main burner and the auxiliary burner on the shaking table, the shape and strength of the burning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by the main burner and the auxiliary burner, thereby improving the aesthetics due to the burning.

셋째, 상기 성화대에 상기 버너점화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혼합가스의 색깔이나 세기나 높이 등을 임의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상기 성화대의 고급화가 가능해짐은 물론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Thirdly, by providing the burner ignition part in the above-mentioned torso block, it is possible to arbitrarily adjust the color, strength, height, etc. of the mixed gas, and thus the bulging can be advanced, and the sights can be provided.

넷째, 상기 성화형성부의 내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격벽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성화형성부에 비바람과 같은 자연재해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성화의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성화의 소화가 방지된다.Fourthly, by forming the partition walls regularly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bulge forming portion, even if a natural disaster such as wind and rain occurs in the bulge forming portion, the movement of the bulge is restricted, and the extinguishing of the bulge is prevent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성화대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성화대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성화대의 버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성화대의 파일럿버너를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에 따른 성화대의 성화유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성화대의 성화형성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stric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tor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burner of a torchb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pilot burner of a shak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5A to 5C are views showing a torch holding portion of a tor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views showing a sanitizing part of a shak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 내지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성화대(1)는 경기장에 설치되어 외관을 이루는 지지몸체부(10)와, 상기 지지몸체부(10)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메인버너(22)와 보조버너(24)를 갖는 성화형성부(20), 상기 메인/보조버너(22,24)에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점화원공급부(30), 상기 점화원공급부(30)의 혼합가스를 점화하여 성화를 형성하는 버너점화부(40), 및 상기 버너점화부(40)에 의해 점화되는 성화를 유지하고 있다가 상기 성화가 소화하는 경우 점화원을 전달하여 재점화하는 성화유지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2 to 6, the lifting bas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body 10 installed at an athletic field to form an outer appearance, a main body 22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body 10, An ignition source supply unit 30 for supplying a mixed gas to the main / sub-burners 22 and 24 and a gas supply unit 30 for igniting a mixture gas of the ignition source supply unit 30, A burner ignition part 40 which forms a burner ignition part 40 and a burning holding part 60 which retains the burning ignition by the burner ignition part 40 and transfers the ignition source when the burning is extinguished to re- .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성화대(1)는 지지몸체부(10)와 성화형성부(20)와 점화원공급부(30)와 버너점화부(40)와 성화유지부(60)가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며, 특히 상기 성화형성부(20)의 성화가 외부환경에 의해 소화되더라도 상기 성화유지부(60)의 점화원을 이용하여 재점화한다.The toroidal suppor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body 10, a torch forming portion 20, an ignition source supply portion 30, a burner ignition portion 40, and a torch retaining portion 60, In particular, even if the burning of the burning forming portion 20 is extinguish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burning of the burning holding portion 60 is used to reignit.

그리고, 상기 지지몸체부(10)는 상기 성화대(1)의 외관을 이룸은 물론 전체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경기장의 규모나 경기 형식에 맞추어서 다양한 형상이 다양한 크기로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지지몸체부(10)의 외관은 창작물에 해당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support body 10 supports the entire load as well as the appearance of the lifting frame 1. Various shapes can be formed in various siz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tadium and the game format, Since the outer appearance of the support body 10 corresponds to an artwork,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성화형성부(20)는 상기 지지몸체부(1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성화를 집적하는 것으로서, 상기 성화의 집적을 위해 가능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메인버너(22)와 보조버너(24)는 물론 상기 버너점화부(40)와 성화유지부(60)가 구성된다.As shown in FIG. 6, the bulge forming portion 20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ing body portion 10 to integrate the bulge, and is preferably formed in a round shape as possible for the accumulation of the bulge The main burner 22 and the auxiliary burner 24 as well as the burner ignition part 40 and the burning holding part 60 are constituted.

즉, 상기 성화형성부(20)는, 라운드형상의 방출판(26) 및 상기 방출판(26)의 외주면에 부착된 단열재(28)를 포함하며, 특히 상기 방출판(26)의 내주면에 상기 성화의 이동을 제한하는 다수개의 격벽(26-5)이 형성된다.That is, the above-described sanitizing and forming unit 20 includes a round-shaped tabletting plate 26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28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bletting plate 26. Particularly, A plurality of barrier ribs 26-5 are formed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burning.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버너(22)는 상기 혼합가스가 공급되는 라운드 형상의 가스분배관(22-2) 및 상기 가스분배관(22-2)의 상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노즐(22-4)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22-4)는 외부노즐(A)과 내부노즐(B)이 상호 결합되어 구성된 노즐(22-4)가 결합되어 구성된다.3, the main burner 22 has a round-shaped gas distribution pipe 22-2 to which the mixed gas is supplied, and a nozzle (not shown)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as distribution pipe 22-2. And the nozzle 22-4 includes a nozzle 22-4 formed by coupling the outer nozzle A and the inner nozzle B to each other.

상기 보조버너(24)는 상기 메인버너(22)과 크기만 상이할 뿐 구조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auxiliary burner 24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main burner 22 except for the size of the main burner 22,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기 점화원공급부(30)는 상기 메인버너(22) 및 보조버너(24)의 연소에 필요한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기 메인버너(22)에 생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라인(32)과, 상기 메인버너(22)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라인(34), 및 상기 가스공급라인(32)과 상기 공기공급라인(34)을 연결하여 혼합가스를 생성하는 다수개의 혼합가스공급라인(36)을 포함한다.The ignition source supply unit 30 supplies a mixed gas required for combustion of the main burner 22 and the auxiliary burner 24 and is provided with a gas supply line 32 for supplying the raw gas to the main burner 22, An air supply line 34 for supplying air to the main burner 22 and a plurality of mixed gas supply lines 34 for connecting the gas supply line 32 and the air supply line 34 to generate a mixed gas, (36).

상기 가스공급라인(32)의 구성과정에서 상기 생가스의 누출을 감지하는 누출감지센서(32-2)를 구비한다.And a leakage detection sensor 32-2 for detecting leakage of the biogas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gas supply line 32.

이때, 상기 가스공급라인(32)은 상기 누출감지센서(32-2)의 신호에 따라 상기 가스공급라인을 자동으로 차단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스공급라인(32)의 구성과정에서 상기 생가스의 압력을 감지하는 가스압검출센서(32-4)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gas supply line 32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hut off the gas supply line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32-2.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gas pressure detecting sensor 32-4 for sensing the pressure of the raw gas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gas supply line 32 is provided.

도 2에 도시된 미설명부호 32-6와 32-8 및 32-9는 가스압감시게이지와 가스조절밸브와 가스압조정기를 의미한다.Reference numerals 32-6 and 32-8 and 32-9 shown in FIG. 2 denote a gas pressure monitoring gauge, a gas control valve, and a gas pressure regulator.

상기 공기공급라인(34)에는 상기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34-1)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공급라인(34)에는 상기 공기압이 규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공기를 배기하는 공기배출밸브(34-2)를 구비한다.The air supply line 34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check valve 34-1 for preventing the back flow of the air. The air supply line 34 is provided with an air discharge valve 34-2 for discharging the air when the air press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상기 공기공급라인(34)은 상기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공기압검출센서(34-4)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라인(34)에 상기 생가스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압송하는 송풍기(34-6)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The air supply line 34 preferably includes an air pressure detection sensor 34-4 for sensing the pressure of the air.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supply line 34 is provided with a blower 34-6 for feeding air required for combustion of the raw gas.

도 2에 도시된 미설명부호 "34-3" 및 "34-5"는 공기압감시게이지 및 공기조절밸브를 의미한다. Reference numerals 34-3 and 34-5 shown in Fig. 2 denote an air pressure monitoring gauge and an air control valve.

상기 가스공급라인(32)과 상기 공기공급라인(34)의 사이에 상기 생가스와 상기 공기를 혼합하는 다수개의 혼합기(38)가 구비된다.A plurality of mixers (38) for mixing the raw gas and the air are provided between the gas supply line (32) and the air supply line (34).

그리고, 상기 버너점화부(40)는 상기 성화형성부(20)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버너(22) 및 상기 보조버너(24)로 공급되는 혼합가스를 점화하는 것으로서, 상기 메인/보조버너(22,24)의 노즐에 접근되게 설치되며 상기 혼합가스의 점화수단으로서 파일럿버너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The burner ignition unit 40 ignites the mixed gas supplied to the main burner 22 and the auxiliary burner 24 and is provided in the burning forming unit 20. The main burner 22 , 24), and a pilot burner is preferably used as the ignition means for the mixed gas.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버너점화부(40)는, 상기 성화형성부(20)에 장착되어 혼합가스를 수용하는 몸체(42)와, 상기 몸체(42)의 하부측에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고압선(44), 상기 몸체(42)의 상부측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버너(22)를 점화하는 고압트랜스로드(46), 상기 고압선(44) 및 상기 고압트랜스로드(46)에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48), 및 상기 몸체부(42)의 측부에 장착되어 지지기능을 수행하는 지지구(4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4, the burner ignition part 40 includes a body 42 mounted to the torch forming part 20 and adapted to receive a mixed gas, A high voltage line 44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body 42 to ignite the main burner 22 and an operation signal to the high voltage line 44 and the high voltage transformer 46 And a support 49 mounted on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42 and performing a support function.

상기 제어기(48)는 상기 점화원공급부(30)의 작동에 필요한 각종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roller 48 functions to output various signals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ignition source supplying unit 30.

그리고, 상기 성화유지부(60)는 상기 성화형성부(20)의 성화가 소화하는 경우 상기 성화의 재점화에 필요한 점화원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상기 성화유지부(60)는 가스공급관(62)의 둘레면에 각각 내부관(64)과 외부관(66)과 밀폐판(68)을 결합하여 구성하며, 특히 상기 내부관(64) 및 외부관(66)의 내부에 상기 성화형성부(20)의 재점화에 필요한 성화를 머금고 있다.When the burning of the burning forming portion 20 is extinguished, the burning holding portion 60 transfers the ignition source necessary for re-ignition of the burning. The inner tube 64 and the outer tube 66 and the sealing plate 68 are coupl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64 and the outer tube 66. Particularly, The sanctification required for re-ignition is faded.

상기 가스공급관(62)은 상기 성화형성부(20)의 내부공간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화원공급부(30)의 배출관로에 장착되어 혼합가스를 공급하며, 상기 가스공급관의 외관을 이루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둘레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가스공급공(62-2), 및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장착된 막음판(62-4)을 포함한다.The gas supply pipe 62 is install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above-mentioned bulge forming part 20, preferably the discharge pipe of the ignition source supply part 30, to supply the mixed gas, and a body constitut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gas supply pipe, A plurality of gas supply holes 62-2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and a blocking plate 62-4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상기 내부관(64)은 상기 가스공급관(62)의 둘레면에 장착되어 상기 혼합가스에 의해 점화되는 성화의 점화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내부관(64)의 둘레면에 다수개의 공기유입공(64-2)이 형성된다.The inner tube 64 is mount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s supply tube 62 to maintain the ignition state of the ignition ignited by the mixed gas and a plurality of air inflow holes 64-2 are formed.

상기 외부관(66)은 상기 내부관(64)의 둘레면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관(64)과 함께 상기 성화의 점화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외부관(66)의 둘레면에 다수개의 공기유입공(66-2)이 형성된다.The outer tube 66 is mount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64 to maintain the ignition state of the torch with the inner tube 64 and a plurality of air inflows A hole 66-2 is formed.

상기 밀폐판(68)은 상기 가스공급관(62)의 둘레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관(64) 및 상기 외부관(66)의 하단부를 밀폐하는 것으로서, 상기 밀폐판(68)의 둘레면에 다수개의 공기유입공(68-2)이 형성된다.The sealing plate 68 seals the lower end of the inner pipe 64 and the outer pipe 66 while being mount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s supply pipe 62, A plurality of air inflow holes 68-2 are form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성화대(1)를 작동하려는 경우, 일단 상기 성화대(1)의 작동스위치(미도시)를 "온"한 상태에서, 상기 점화원공급부(30)를 포함한 기구들의 전원스위치를 "온"하는 과정이 필요하다.First, in order to operate the bulb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witch of the apparatuses including the ignition source supply unit 30 is first turned on with the operation switch (not shown) of the bulb 1 turned on The process of "coming" is necessary.

이렇게 하면, 상기 점화원공급부(30)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혼합가스가 상기 혼합가스공급라인(36)을 통해 상기 메인/보조버너(22,24)로 공급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버너점화부(40)에 의해 점화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mixed gas supplied by the ignition source supplying unit 30 is supplied to the main / auxiliary burners 22 and 24 through the mixed gas supply line 36, and the burner ignition unit 40 ). ≪ / RTI >

즉, 상기 메인/보조버너(22,24)의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혼합가스가 연소되어 상기 성화형성부(20)에 성화가 형성되고, 이에 의해 상기 메인버너(22) 및 상기 보조버너(24)의 노즐이 순차적으로 점화된다.That is, the mixed gas injected through the nozzles of the main / auxiliary burners 22 and 24 is burned to form a burning in the burning forming part 20, whereby the main burner 22 and the auxiliary burner 24 ) Are sequentially ignited.

이 과정에서, 상기 성화형성부(20)의 성화가 형성됨은 물론 상기 성화유지부(60)의 성화도 형성되며, 상기 성화형성부(20)의 성화는 육안으로 관찰되고 상기 성화유지부(60)의 성화는 관찰되지 않는다.In this process, not only the burning of the burning forming portion 20 but also the burning of the burning holding portion 60 are performed and the burning of the burning forming portion 20 is observed visually and the burning holding portion 60 ) Is not observed.

이때, 상기 점화원공급부(30)에 의해 공급되는 혼합가스는 상기 혼합기(38)를 거쳐 혼합량이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보조버너(22,24)로 공급되므로, 상기 성화를 원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ixed gas supplied by the ignition source supplying unit 30 is supplied to the main / sub-burners 22 and 24 in a mixed state through the mixer 38. Therefore, Can be expressed.

즉, 상기 점화원공급부(30)는 상기 가스조절밸브(32-8) 및 공기조절밸브(34-5)를 통해 가스혼합량을 조절함은 물론 상기 가스압감시게이지(32-6) 및 공기압감시게이지(34-3)를 통해 가스압을 감시한다.That is, the ignition source supply unit 30 adjusts the gas mixture amount through the gas control valve 32-8 and the air control valve 34-5, and controls the gas pressure monitoring gauge 32-6 and the air pressure monitoring gauge 34-3) to monitor the gas pressure.

특히, 상기 성화대(1)의 취급자는 상기 누출감지센서(32-2)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생가스의 유출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송풍기(34-6)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의 송풍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handler of the above-mentioned lifting table 1 can receive the signal of the leakage sensor 32-2 to check whether the raw gas is leaked or not, and can also detect the blowing amount of the air using the blower 34-6 Can be adjusted appropriately.

또한, 상기 메인/보조버너(22,24)의 노즐이 외부노즐(A)과 내부노즐(B)이 상호 결합되어 구성된 상태로서 상기 노즐의 틈새로 빗물이나 바람이 유입되지 않아 상기 성화의 소화현상이 최소화되는 것이다.The nozzles of the main / auxiliary burners 22 and 24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outer nozzle A and the inner nozzle B are coupled to each other. No rain or wind flows into the gap between the nozzles, Is minimized.

한편, 상기 메인버너(22)나 상기 보조버너(24)에 비바람이 몰아쳐 성화가 소화하더라도, 상기 성화유지부(60)에 머금고 있던 성화가 상기 성화형성부(20)로 전달되므로 상기 성화가 신속하게 재점화된다.In the meantime, even if the main burner 22 and the auxiliary burner 24 are subjected to wind and light extinguishment, the burning of the burning holding portion 60 is transmitted to the burning forming portion 20, Is rapidly re-ignited.

즉, 상기 점화원공급부(30)에 의해 공급되는 혼합가스가 상기 메인버너(22) 및 상기 보조버너(24)로 공급되는 상태이므로, 상기 성화유지부(60)에 유지되어 있던 성화가 상기 성화형성부(20)로 전달되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mixed gas supplied by the ignition source supplying unit 30 is supplied to the main burner 22 and the auxiliary burner 24, (20).

또한, 상기 성화형성부(20)의 격벽(26-5)에 의해 상기 성화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상기 성화의 갑작스런 소화가 방지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movement of the above-mentioned burning is restricted by the partition 26-5 of the above-mentioned burning forming portion 20, the sudden extinguishment of the burning can be prevented.

따라서, 본 장치에 의한 성화는 상기 격벽(26-5)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갑작스런 소등이 방지됨은 물론 상기 성화형성부(20)의 성화가 갑자기 소등되더라도 상기 성화유지부(60)에 의해 신속하게 재점화된다.Therefore, the lifting by the apparatus is restricted by the partition 26-5, so that sudden turn-off is prevented, and even if the torch of the torch forming portion 20 suddenly goes out, the torch holding portion 60 quickly Lt; / RTI >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성화대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re is a technical spirit to the extent that various changes can be made.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성화대 10 : 지지몸체부
20 : 성화형성부 22 : 메인버너
24 : 보조버너 26 : 방출판
26-5 : 격벽 28 : 단열재
30 : 점화원공급부 32 : 가스공급라인
34 : 공기공급라인 36 : 혼합가스공급라인
38 : 혼합기 40 : 버너점화부
42 : 몸체 44 : 고압선
46 : 고압트랜스로드 48 : 제어기
49 : 지지구 60 : 성화유지부
62 : 가스공급관 62-2 : 가스공급공
62-4 : 막음판 64 : 내부관
64-2 : 공기유입공 66 : 외부관
66-2 : 공기유입공 68 : 밀폐판
68-2 : 공기유입공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 Lifting frame 10: Support body part
20: Burning forming part 22: Main burner
24: Auxiliary Burner 26: Room Publishing
26-5: partition wall 28: insulation
30: source of ignition source 32: gas supply line
34: air supply line 36: mixed gas supply line
38: mixer 40: burner ignition part
42: body 44: power cable
46: high voltage transformer 48:
49: District 60:
62: gas supply pipe 62-2: gas supply pipe
62-4: blocking plate 64: inner tube
64-2: air inflow hole 66: outer tube
66-2: air inflow hole 68: sealing plate
68-2: Air inflow ball

Claims (5)

경기장에 설치되어 외관을 이루는 지지몸체부(10)와,
상기 지지몸체부(10)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메인버너(22)와 보조버너(24)를 갖는 성화형성부(20),
상기 메인/보조버너(22,24)에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점화원공급부(30),
상기 점화원공급부(30)의 혼합가스를 점화하여 성화를 형성하는 버너점화부(40), 및
상기 버너점화부(40)에 의해 점화되는 성화를 유지하고 있다가 상기 성화가 소화하는 경우 점화원을 전달하여 재점화하는 성화유지부(60)를 포함하며,
상기 성화형성부(20)의 내주면에 상기 성화의 이동을 제한하는 다수개의 격벽(26-5)이 형성되고,
상기 성화유지부(60)는;
상기 점화원공급부(30)의 배출관로에 장착되어 상기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관(62)과,
상기 가스공급관(62)의 둘레면에 장착되어 상기 혼합가스에 의해 점화되는 성화의 점화상태를 유지하는 내부관(64),
상기 내부관(64)의 둘레면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관(64)과 함께 상기 성화의 점화상태를 유지하는 외부관(66), 및
상기 가스공급관(62)의 둘레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관(64) 및 상기 외부관(66)의 하단부를 밀폐하는 밀폐판(68)을 포함하며,
상기 가스공급관(62)의 둘레면에 가스공급공(62-2)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관(64)과 상기 외부관(66)과 상기 밀폐판(68)은 각각의 공기유입공(64-2, 66-2, 68-2)이 형성된 재점화기능을 갖는 성화대 시스템.
A support body 10 installed in the stadium and having an outer appearance,
A burning forming part 20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ing body part 10 and having a main burner 22 and an auxiliary burner 24,
An ignition source supply unit 30 for supplying a mixed gas to the main / auxiliary burners 22 and 24,
A burner ignition part 40 for igniting the mixed gas of the ignition source supplying part 30 to form a torch,
(60) for maintaining the burned state by the burner ignition part (40) and transferring the ignition source to re-ignite when the burn-out is extinguished,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26-5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sacrificial portion 20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above-
The holding unit 60 includes:
A gas supply pipe 62 mounted on a discharge pipe of the ignition source supply unit 30 to supply the mixed gas,
An inner tube 64 mount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s supply pipe 62 to maintain an ignited state of ignition ignited by the mixed gas,
An outer tube 66 mount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64 to maintain the ignited state of the torch with the inner tube 64,
And a sealing plate (68) for sealing the inner tube (64) and the lower end of the outer tube (66) while mount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s supply tube (62)
A gas supply hole 62-2 is formed o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gas supply pipe 62,
Wherein the inner pipe (64), the outer pipe (66), and the sealing plate (68) have a re-ignition function in which respective air inflow holes (64-2, 66-2, 68-2) are forme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버너(22) 및 상기 보조버너(24)에는 외부노즐(A)과 내부노즐(B)이 상호 결합되어 구성된 다수개의 노즐이 규칙적으로 장착된 재점화기능을 갖는 성화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urner 22 and the auxiliary burner 24 have a re-ignition function in which a plurality of nozzles configured by coupling the outer nozzle A and the inner nozzle B are regularly moun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점화부(40)는,
상기 혼합가스를 수용하는 몸체(42)와,
상기 몸체(42)에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고압선(44),
상기 몸체(42)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버너(22) 및 상기 보조버너(24)를 점화하는 고압트랜스로드(46), 및
상기 몸체(42)의 측부에 장착되는 지지구(49)를 포함하는 재점화기능을 갖는 성화대 시스템.
The bur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rner ignition part (40)
A body 42 for containing the mixed gas,
A high voltage line 44 coupled to the body 42 to supply power,
A high pressure transformer 46 coupled to the body 42 to ignite the main burner 22 and the auxiliary burner 24,
And a support (49) mounted on a side of the body (4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원공급부(30)는,
상기 메인버너(22)에 생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라인(32)과,
상기 메인버너(22)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라인(34), 및
상기 가스공급라인(32)과 상기 공기공급라인(34)을 연결하여 혼합가스를 생성하는 혼합가스공급라인(36)을 포함하는 재점화기능을 갖는 성화대 시스템.
The igni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gnition source supply unit (30)
A gas supply line 32 for supplying a raw gas to the main burner 22,
An air supply line 34 for supplying air to the main burner 22, and
And a mixed gas supply line (36) for connecting the gas supply line (32) and the air supply line (34) to generate a mixed gas.
KR1020170064990A 2016-11-11 2017-05-26 Flame holder system having re-ignition function KR10182794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265 2016-11-11
KR20160150265 2016-1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7944B1 true KR101827944B1 (en) 2018-03-22

Family

ID=61901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990A KR101827944B1 (en) 2016-11-11 2017-05-26 Flame holder system having re-ignition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94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0250A (en) * 2019-07-29 2019-11-12 华帝股份有限公司 Windproof holy fire plate
CN110440249A (en) * 2019-07-29 2019-11-12 华帝股份有限公司 Burner assembly for holy fire pla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0250A (en) * 2019-07-29 2019-11-12 华帝股份有限公司 Windproof holy fire plate
CN110440249A (en) * 2019-07-29 2019-11-12 华帝股份有限公司 Burner assembly for holy fire pl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944B1 (en) Flame holder system having re-ignition function
RU2473298C2 (en) Burning system and burner for restroom
KR20070041799A (en) A stove
CN209876997U (en) Gas stove with temperature control and anti-scald functions
KR200207157Y1 (en) Ceramic burner
JPH10232019A (en) Combustion device for hot water supply
JPH087416Y2 (en) Volcano simulator
KR101800339B1 (en) Sacred fire torch
KR200406457Y1 (en) A stove
KR20080037753A (en) Combustion system of flame
CA2863693C (en) Gas fired infrared burner with auxiliary flame arrangement
JPH09112840A (en) Low nox gas combustion device
KR200433290Y1 (en) Igniting apparatus of flame
US20110104621A1 (en) Draught-resistant fireplace pilot
KR200233314Y1 (en) Charcoal fire igniter
JP3776387B2 (en) Fluidized incinerator apparatus and gas gun combustion control method
CN218721463U (en) Combustor device of combustion dummy system under condition of bombing
JP2003097808A (en) Extinction control device for pot type oil burner
KR200325374Y1 (en) Heating stove with coke fuel
CN104990077B (en) A kind of premix cooking stove without air duct connecting structure
RU5011U1 (en) GAS-BURNER
CN104235877A (en) Gas burner for pulverized coal boi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S5755314A (en) High-temperature air blowing type chaff incinerator
KR200233205Y1 (en) Gas flame guard for charcoal roaster having ignition gas torch
JPH0582254U (en) House cultivation war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