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727B1 - 각종 전기전자제품 본체와 조작장치 간 기종 및 호환 가능성 식별방법 - Google Patents

각종 전기전자제품 본체와 조작장치 간 기종 및 호환 가능성 식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727B1
KR101827727B1 KR1020160093908A KR20160093908A KR101827727B1 KR 101827727 B1 KR101827727 B1 KR 101827727B1 KR 1020160093908 A KR1020160093908 A KR 1020160093908A KR 20160093908 A KR20160093908 A KR 20160093908A KR 101827727 B1 KR101827727 B1 KR 101827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de
identification code
compatible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1509A (ko
Inventor
손선국
이상희
권기출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3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7727B1/ko
Publication of KR20180011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전기전자제품 본체와 조작장치 간 기종 및 호환 가능성 식별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해진 식별코드(A-1)를 기억시킨 제 1 본체와 식별코드(B-1)를 기억시킨 제 1 조작장치를 선 개발하여 출시할 때 제 1 본체 내에 식별코드(A-1)와 동일한 코드를 호환코드(A-1)로 더 입력하고, 제 1 조작장치 내에는 식별코드(B-1)와 동일한 코드를 호환코드(B-1)로 더 입력하며, 이후 상기 제 1 본체 및 제 1 조작장치를 베이스로 하여 정해진 식별코드(A-2)를 기억시킨 제 2 본체와 식별코드(B-2)를 기억시킨 제 2 조작장치를 후 개발 출시할 때 제 2 본체 내에 상기 제 1 본체의 식별코드(A-1)를 호환코드(A-1)로 더 입력하고, 제 2 조작장치 내에는 제 1 조작장치의 식별코드(B-1)를 호환코드(B-1)로 더 입력하여, 제 1 또는 제 2 본체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 1 또는 제 2 본체와 제 1 또는 제 2 조작장치 사이에서 제품코드인 식별코드 및 호환코드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상호 자동으로 송,수신받아 동일 또는 호환 제품코드인지 상호 판단하여 동일 또는 호환 제품코드일 경우 코드에 대응하는 기종명을 서로 확정하고 동일 또는 호환 제품코드를 이용하여 상호 유,무선 통신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품의 식별코드를 이용해 각각의 제품을 식별해야 하는 사양에 대비할 수 있고, 특히 호환코드를 사용하여 이전 출시 제품의 설계변경 없이 각종 전기전자제품의 본체와 조작장치 사이의 제어에 따른 호환성을 대폭 높일 수 있으며, 또한 두 장치 간 통신에 따른 안정성 및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각종 전기전자제품 본체와 조작장치 간 기종 및 호환 가능성 식별방법{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between the main unit and the control device type and compatibility How to identify}
본 발명은 각종 전기전자제품 본체와 조작장치 간 기종 및 호환 가능성 식별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호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가 가능한 각종 전기전자제품(예를 들어 보일러 등)의 본체와 조작장치(예를 들어 리모컨 등) 사이에서 각 제품의 기종식별 및 호환성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여 양자 간 호환성을 높일 수 있도록 발명한 각종 전기전자제품 본체와 조작장치 간 기종 및 호환 가능성 식별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호 제어가 가능하도록 제조되는 각종 전기전자제품 중 예를 들어 보일러(Boiler)는 난방과 온수의 공급을 위하여 설치되는 장치로, 각종 연료를 연소시키면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물을 데우고, 데워진 물을 직접 이용하거나, 가정 또는 각종 건물들의 난방에 이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크기에 따라 가정용으로 이용되는 소형 보일러에서부터 산업용으로 이용되는 대형 보일러까지 널리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연료에 따라서 기름 보일러 및 가스 보일러 등으로 구분되며 다양한 종류의 보일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보일러(Boiler)는, 조작장치(예를 들어 리모컨 또는 온도조절기 등)을 통해 본체를 가동시켜 석유나 석탄 및 가스 등을 연료로 사용하여 이를 연소시키거나 히터에 전기를 공급시켜 발생되는 연소열 및 전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여 각종 난방시설 등에 더운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을 끓이는 시설을 말하며, 주택용 보일러의 경우에는 실내의 바닥 등에 설치된 배관에 더운물을 공급하여 난방을 하거나, 급수관을 통해 온수를 공급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어 지고 있다.
한편, 여관이나, 고시원, 원룸과 같이 수개의 방을 구비한 건물에서는 각방마다 별도의 실내조절기를 설치하여 각 방의 실내온도를 따로따로 조절하는 에너지 절약 자동 난방시스템으로 경제성과 편리성이 구비된 각방제어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각방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살펴 보면, 열원 또는 개별 보일러와; 각방 제어기 그리고 각방에 설치되는 조작장치(즉, 리모컨 또는 각방 온도조절기)과; 거실 등에 설치되어 각방의 난방상태를 포함하여 온수사용 상태 등을 모니터링해 줌과 동시에 해당 리모컨이 설치된 방(예를 들어 거실)에 대한 난방 제어를 실시하는 중앙 조작장치(즉, 중앙 리모컨 또는 중앙 온도조절기) 및 각방마다 난방 수를 제어해주는 난방밸브 및 상기 난방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 구동기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보일러들은 각각의 제품 개발시 본체와 조작장치의 내부에 상호 유선 통신 또는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제품에 대한 식별코드를 입력시켜 두고, 사용자가 조작장치(유선 또는 무선 리모컨 또는 온도조절기)를 통해 본체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은 물론 난방 또는 온수 설정온도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대부분의 전기전자제품과 조작장치 사이에서 채택하고 있는 기종구별 방법으로는 각 제품의 기종식별이 가능하게 하면 여러 제품 간의 호환성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그렇다고 호환성을 높이기 위해 제품을 기능별로 구분하면 각 제품의 기종식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종래 보일러 본체와 온도조절기인 조작장치 간의 제품 구분 방법 중 각 제품의 기종식별이 가능하도록 제품코드가 적용된 본체와 조장장치 간 제품 구분방법을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만약, 최초 제 1 본체(식별코드; A-1)와 제 1 조작장치(식별코드; B-1)가 개발되어 출시된 후, 상기 제 1 조작장치(식별코드; B-1)와 별개로 제 2 조작장치(식별코드; B-2)가 개발되어 출시될 경우, 기능상으로 제 1 본체와 제 2 조작장치가 호환가능 하지만, 제 1 본체에서 제 2 조작장치의 기종에 대한 식별코드(B-2)를 인식하지 못하므로 호환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종래 기능별로 구분이 가능하도록 제품코드를 적용한 경우의 예로써, 기본 기능(예: 난방/온수단계 동일)이 같은 제 1 본체(식별코드; A-1)와 제 2 본체(식별코드; A-2)를 동일 제품코드로 개발하여 출시한 후, 조작장치로는 제 1 조작장치(식별코드; B-1)만 개발하였을 경우, 상기 제 1 조작장치(B-1)는 제 1 본체(A-1) 연동시와 제 2 본체(A-2) 연동시 각각 서로 다르게 조작장치의 기능을 두개로 설계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 경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의 기종에 대한 식별코드(A-1)가 동일하기 때문에, 제 1 조작장치에서 제 2 본체와 연동 시와 제 2 본체 연동 시 각각 다른 사양으로 동작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즉, 종래 각종 전기전자제품과 조작장치 사이에서 적용하고 있는 기종구분방법은 제품 간 호환 문제 또는 각 제품별 기종 식별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97357호(2016년 02월 18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상호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가 가능한 각종 전기전자제품의 본체와 조작장치 사이에서 제품의 식별코드와 호환코드를 복합하여 제품코드(식별코드 + 호환코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식별코드를 이용해 각각의 제품을 식별해야 하는 사양에 대비할 수 있고, 특히 호환코드를 사용하여 이전 출시 제품의 설계변경 없이 각종 전기전자제품의 본체와 조작장치 사이의 제어에 따른 호환성을 대폭 높일 수 있는 각종 전기전자제품 본체와 조작장치 간 기종 및 호환 가능성 식별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제어부를 구비한 본체와 조작장치 사이에서 양방향 통신 및 각종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는 각종 전기전자제품 본체와 조작장치 간 기종 및 호환 가능성 식별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정해진 식별코드(A-1)를 기억시킨 제 1 본체와 식별코드(B-1)를 기억시킨 제 1 조작장치를 선 개발하여 출시할 때 제 1 본체 내에 자체의 식별코드(A-1)와 동일한 코드를 호환코드(A-1)로 더 입력하고, 제 1 조작장치 내에는 자체의 식별코드(B-1)와 동일한 코드를 호환코드(B-1)로 더 입력하며, 이후 상기 제 1 본체 및 제 1 조작장치를 베이스로 하여 정해진 식별코드(A-2)를 기억시킨 제 2 본체와 식별코드(B-2)를 기억시킨 제 2 조작장치를 후 개발 출시할 때 제 2 본체 내에 상기 제 1 본체의 식별코드(A-1)를 호환코드(A-1)로 더 입력하고, 제 2 조작장치 내에는 제 1 조작장치의 식별코드(B-1)를 호환코드(B-1)로 더 입력하여, 제 1 또는 제 2 본체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 1 또는 제 2 본체와 제 1 또는 제 2 조작장치 사이에서 제품코드인 식별코드 및 호환코드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상호 자동으로 송,수신받아 동일 또는 호환 제품코드인지 상호 판단하여 동일 또는 호환 제품코드일 경우 코드에 대응하는 기종명을 서로 확정하고 동일 또는 호환 제품코드를 이용하여 상호 유,무선 통신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또는 제 2 본체와 제 1 또는 제 2 조작장치 사이에서는 자체 내에 각각 입력된 제품코드(식별코드 + 호환코드) 중 식별코드가 상호 동일한지 먼저 비교 판단한 후, 식별코드가 상호 다른 경우 호환코드들이 동일한지 비교 판단하여 호환코드라도 동일하면 상호 유,무선 통신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 1 본체와 제 2 조작장치 또는 제 1 조작장치와 제 2 본체는 서로 동일한 호환코드를 통해 기종명을 확정함은 물론 상호 정상으로 인식하고 유,무선 통신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또는 제 2 본체와 제 1 또는 제 2 조작장치 사이에서 자체 내에 각각 입력되어 있는 제품코드(식별코드 + 호환코드)를 상호 비교한 결과 호환코드마저 상호 다를 경우에는 인식불가로 판단하고 각각의 표시부에 조작장치 또는 본체 미인식 상태임을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 1 또는 제 2 본체와 제 1 또는 제 2 조작장치 사이에서는 자체 내에 각각 입력된 제품코드(식별코드 + 호환코드)를 상호 송,수신 받아 동일 여부를 판단할 때, 통신잡음에 의한 오판단을 방지하기 위해 2~3회 연속 송신하고, 연속 수신된 제품코드가 모두 동일할 때에 한하여 상호 유,무선 통신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종 전기전자제품 본체와 조작장치 간 기종 및 호환 가능성 식별방법에 의하면, 상호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가 가능한 각종 전기전자제품의 본체와 조작장치 사이에서 제품의 식별코드와 호환코드를 복합하여 제품코드(식별코드 + 호환코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식별코드를 이용해 각각의 제품을 식별해야 하는 사양에 대비할 수 있고, 특히 호환코드를 사용하여 이전 출시 제품의 설계변경 없이 각종 전기전자제품의 본체와 조작장치 사이의 제어에 따른 호환성을 대폭 높일 수 있으며, 또한 두 장치 간 통신에 따른 안정성 및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의 (a)(b)는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본체와 조작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제 1 또는 제 2 본체와 제 1 또는 제 2 조작장치 간 통신상태를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의 (a)(b)는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본체와 조작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제 1 또는 제 2 본체와 제 1 또는 제 2 조작장치 간 통신상태를 보인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방법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제어부(11)를 구비한 본체(1)와 조작장치(2) 사이에서 양방향 통신 및 각종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는 각종 전기전자제품 본체와 조작장치 간 기종 및 호환 가능성 식별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정해진 식별코드(A-1)를 기억시킨 제 1 본체(1')와 식별코드(B-1)를 기억시킨 제 1 조작장치(2')를 선 개발하여 출시할 때, 제 1 본체(1') 내에 자체의 식별코드(A-1)와 동일한 코드를 호환코드(A-1)로 더 입력하고, 제 1 조작장치(2') 내에는 자체의 식별코드(B-1)와 동일한 코드를 호환코드(B-1)로 더 입력하며,
이후 상기 제 1 본체(1') 및 제 1 조작장치(2')를 베이스로 하여 정해진 식별코드(A-2)를 기억시킨 제 2 본체(1")와 식별코드(B-2)를 기억시킨 제 2 조작장치(2")를 후 개발 출시할 때 제 2 본체(1") 내에 상기 제 1 본체(1')의 식별코드(A-1)를 호환코드(A-1)로 더 입력하고, 제 2 조작장치(2") 내에는 제 1 조작장치(2')의 식별코드(B-1)를 호환코드(B-1)로 더 입력하여,
제 1 또는 제 2 본체(1')(1")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 1 또는 제 2 본체(1')(1")와 제 1 또는 제 2 조작장치(2')(2") 사이에서 제품코드인 식별코드 및 호환코드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상호 자동으로 송,수신받아 동일 또는 호환 제품코드인지 상호 판단하여 동일 또는 호환 제품코드일 경우 코드에 대응하는 기종명을 서로 확정하고 동일 또는 호환 제품코드를 이용하여 상호 유,무선 통신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또는 제 2 본체(1')(1")와 제 1 또는 제 2 조작장치(2')(2") 사이에서는 자체 내에 각각 입력된 제품코드(식별코드 + 호환코드) 중 식별코드가 상호 동일한지 먼저 비교 판단한 후, 식별코드가 상호 다른 경우 호환코드들이 동일한지 비교 판단하여 호환코드라도 동일하면 상호 유,무선 통신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 1 본체(1')와 제 2 조작장치(2") 또는 제 1 조작장치(2')와 제 2 본체(1")는 서로 동일한 호환코드를 통해 기종명을 확정함은 물론 상호 정상으로 인식하고 유,무선 통신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또는 제 2 본체(1')(1")와 제 1 또는 제 2 조작장치(2')(2") 사이에서 자체 내에 각각 입력되어 있는 제품코드(식별코드 + 호환코드)를 상호 비교한 결과 호환코드마저 상호 다를 경우에는 인식불가로 판단하고 각각의 표시부에 조작장치 또는 본체 미인식 상태임을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 1 또는 제 2 본체(1')(1")와 제 1 또는 제 2 조작장치(2')(2") 사이에서는 자체 내에 각각 입력된 제품코드(식별코드 + 호환코드)를 상호 송,수신 받아 동일 여부를 판단할 때,
통신잡음에 의한 오판단을 방지하기 위해 2~3회 연속 송신하고, 연속 수신된 제품코드가 모두 동일할 때에 한하여 상호 유,무선 통신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상호 양방향 통신 및 각종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어부(11)를 구비한 본체(1)와 조작장치(2)들을 개발하여 출시할 때, 각각의 내부에는 상호 간 제품을 식별하기 위하여 제품코드인 식별코드를 기억시켜 주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종 전기전자제품 본체(1)와 조작장치(2)를 개발함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정해진 식별코드(A-1)를 기억시킨 제 1 본체(1')와 식별코드(B-1)를 기억시킨 제 1 조작장치(2')를 선 개발하여 출시하고자 할 때, 도 2와 같이 제 1 본체(1') 내에는 자체의 식별코드(A-1)와 동일한 코드를 호환코드(A-1)로 더 입력하고, 제 1 조작장치(2') 내에는 자체의 식별코드(B-1)와 동일한 코드를 호환코드(B-1)로 더 입력시켜 준다.
이와 같이 제품코드로써 식별코드(A-1) 및 호환코드(A-1)가 동시에 입력된 선 개발 제품인 제 1 본체(1')와 식별코드(B-1) 및 호환코드(B-1)가 동시에 입력된 제 1 조작장치(2')가 특정 댁내에 설치된 후 제 1 본체(1')에 전원전압이 공급되면, 상기 제 1 본체(1')에서 직접 도 1 의 (a)와 같이 전원전압을 제 1 조작장치(2')에 공급하거나 또는 도 1의 (b)와 같이 조작장치(2)에 전원공급신호를 출력시켜 조작장치(2) 내에 구비된 배터리 등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전원전압으로 공급한다.
이와 같이 초기 전원전압이 공급되면 제 1 본체(1') 및 제 1 조작장치(2') 내에서는 도 3과 같이 초기화를 진행한 후, 제품코드인 식별코드 및 호환코드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상호 자동으로 송,수신받아 동일 또는 호환 제품코드인지 상호 판단하게 되는데, 상기한 제 1 조작장치(2')와 제 1 본체(1')는 개발시부터 상호 서로 인식할 수 있는 식별코드(B-1, A-1)를 이미 기억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각각 입력된 제품코드(식별코드 + 호환코드) 중 식별코드가 상호 동일한지 비교 판단하는 과정에서 동일함을 인식하고 상호 유,무선 통신제어가 가능한 정상상태로 인식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본체(1')와 제 1 조작장치(2')의 선 출시 이후, 상기 제 1 본체(1') 및 제 1 조작장치(2')를 베이스로 하여 정해진 식별코드(A-2)를 기억시킨 제 2 본체(1")와 식별코드(B-2)를 기억시킨 제 2 조작장치(2")를 또 다시 개발하여 출시할 때, 도 2와 같이 제 2 본체(1") 내에는 상기 제 1 본체(1')의 식별코드(A-1)를 호환코드(A-1)로 더 입력하고, 제 2 조작장치(2") 내에는 제 1 조작장치(2')의 식별코드(B-1)를 호환코드(B-1)로 더 입력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선 출시된 제품과 후 출시된 제품 중 어느 한 제품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특정 댁내에 설치한 후 제 1 또는 제 2 본체(1')(1")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 1 또는 제 2 본체(1')(1")에서 제 1 또는 제 2 조작장치(2')(2")에 전원전압을 직,간접적으로 공급시킨 다음 각각 초기화를 실시한 후, 제 1 또는 제 2 본체(1')(1")와 제 1 또는 제 2 조작장치(2')(2") 사이에서 제품코드인 식별코드 및 호환코드들을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상호 자동으로 송,수신받아 동일 또는 호환 제품코드인지 상호 판단하여 동일 또는 호환 제품코드일 경우 코드에 대응하는 기종명을 서로 확정함은 물론 상호 정상 장치임을 인식하고 동일 또는 호환 제품코드를 이용하여 상호 유,무선 통신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1 또는 제 2 본체(1')(1")와 제 1 또는 제 2 조작장치(2')(2") 사이에서는 자체 내에 각각 입력된 제품코드(식별코드 + 호환코드)를 상호 비교 판단할 때에는, 먼저 식별코드가 상호 동일한지 비교 판단하여 식별코드가 동일할 경우(즉, A-1의 식별코드를 갖는 제 1 본체(1')와 B-1의 식별코드를 갖는 제 1 조작장치(2')가 연결된 경우 또는 A-2의 식별코드를 갖는 제 2 본체(1")와 B-2의 식별코드를 갖는 제 2 조작장치(2")가 연결된 경우)로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또는 제 2 본체(1')(1")와 제 1 또는 제 2 조작장치(2')(2") 사이에서 상호 송수신 받은 제품코드 중 식별코드가 동일한지 먼저 비교 판단한 결과, 식별코드가 동일하지 않으면, 제 1 본체(1')와 제 1 조작장치(2') 또는 제 2 본체(1")와 제 2 조작장치(2")가 상호 연결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이어서 호환코드들이 동일한지 비교 판단하여 호환코드라도 동일하면 코드에 대응하는 기종명을 서로 확정함은 물론 상호 정상 장치임을 인식하고 동일 또는 호환 제품코드를 이용하여 상호 유,무선 통신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제 1 또는 제 2 본체(1')(1")와 제 1 또는 제 2 조작장치(2')(2") 사이에서 자체 내에 각각 입력되어 있는 제품코드(식별코드 + 호환코드)를 상호 비교한 결과 호환코드가 동일할 경우(즉, A-1의 호환코드를 갖는 제 1 본체(1')와 B-1의 호환코드를 갖는 제 2 조작장치(2") 또는 A-1의 호환코드를 갖는 제 1 조작장치(2')와 B-1의 호환코드를 갖는 제 2 본체(1")가 연결된 경우), 상기 제 1 본체(1')와 제 2 조작장치(2") 또는 제 1 조작장치(2')와 제 2 본체(1")는 서로 동일한 호환코드를 통해 기종명을 확정함은 물론 상호 정상으로 인식하고 유,무선 통신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제 1 또는 제 2 본체(1')(1")와 제 1 또는 제 2 조작장치(2')(2") 사이에서 자체 내에 각각 입력되어 있는 제품코드(식별코드 + 호환코드)를 상호 비교한 결과 호환코드마저 상호 다를 경우에는 인식불가로 판단하고 각각에 구비된 표시부에 조작장치 또는 본체 미인식 상태임을 표시해 주어 제품의 설치자 또는 사용자 등이 이를 인식하고 필요한 조치를 조속히 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1 또는 제 2 본체(1')(1")와 제 1 또는 제 2 조작장치(2')(2") 사이에서는 제품코드(식별코드 + 호환코드)를 상호 송,수신받는 과정에서 주변의 잡음신호 등이 유입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잡음신호 등이 유입된 상태의 제품코드(식별코드 + 호환코드)를 상기 제 1 또는 제 2 본체(1')(1")와 제 1 또는 제 2 조작장치(2')(2")으로부터 수신받은 다음 자체 내에 각각 입력된 제품코드(식별코드 + 호환코드)와 상호 동일한지 비교하다 보면 상호 간 정상의 제품코드(식별코드 + 호환코드)를 송신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송,수신 과정중 유입된 잡음신호 등에 의해 각 제품코드에 대한 동일성 판단에 있어서 오판단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제 1 또는 제 2 본체(1')(1")와 제 1 또는 제 2 조작장치(2')(2") 사이에서 제품코드인 식별코드 및 호환코드들을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상호 송신할 때, 자동으로 송,수신받아 동일한 제품코드(식별코드 + 호환코드)를 2~3회 연속 송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또는 제 2 본체(1')(1")와 제 1 또는 제 2 조작장치(2')(2") 사이에서 각각 2~3회 송신받은 제품코드(식별코드 + 호환코드)와 자체 내에 각각 입력되어 있는 제품코드(식별코드 + 호환코드)를 상호 비교할 때 연속 수신된 제품코드가 모두 동일할 때에 한하여 상호 유,무선 통신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통신잡음 등에 의한 오판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제 1 본체 및 제 1 조작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본체 및 제 2 조작장치를 베이스로 하여 정해진 식별코드(A-3)를 기억시킨 제 3 본체와 식별코드(B-3)를 기억시킨 제 3 조작장치를 또 다시 개발하여 출시하고자 한다면, 제 3 본체 내에 상기 제 1 본체의 식별코드(A-1) 및 제 1 본체의 식별코드(A-2)를 호환코드(A-1)(A-2)로 더 입력하고, 제 3 조작장치 내에는 제 1 조작장치의 식별코드(B-1) 및 제 2 조작장치의 식별코드(B-2)를 호환코드(B-1)(B-2)로 더 입력하여, 제 1 또는 제 2 또는 제 3 본체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 1 또는 제 2 또는 제 3 본체와 제 1 또는 제 2 또는 제 3 조작장치 사이에서 각각 제품코드인 식별코드 및 호환코드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상호 자동으로 송,수신받아 동일 또는 호환 제품코드인지 상호 판단하고, 동일 또는 호환 제품코드일 경우 각각의 코드에 대응하는 기종명을 서로 확정하고 동일 또는 호환 제품코드를 이용하여 상호 유,무선 통신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본체 11 : 제어부
1' : 제 1 본체 1" : 제 2 본체
2 : 조작부
2' : 제 1 조작장치 2" : 제 2 조작장치

Claims (5)

  1. 제어부를 구비한 본체와 조작장치 사이에서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양방향 통신 및 각종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는 각종 전기전자제품 본체와 조작장치 간 기종 및 호환 가능성 식별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정해진 식별코드(A-1)를 기억시킨 제 1 본체와 식별코드(B-1)를 기억시킨 제 1 조작장치를 선 개발하여 출시할 때 제 1 본체 내에 식별코드(A-1)와 동일한 코드를 호환코드(A-1)로 더 입력하고, 제 1 조작장치 내에는 식별코드(B-1)와 동일한 코드를 호환코드(B-1)로 더 입력하며,
    이후 상기 제 1 본체 및 제 1 조작장치를 베이스로 하여 정해진 식별코드(A-2)를 기억시킨 제 2 본체와 식별코드(B-2)를 기억시킨 제 2 조작장치를 후 개발 출시할 때 제 2 본체 내에 상기 제 1 본체의 식별코드(A-1)를 호환코드(A-1)로 더 입력하고, 제 2 조작장치 내에는 제 1 조작장치의 식별코드(B-1)를 호환코드(B-1)로 더 입력하여, 제 1 또는 제 2 본체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 1 또는 제 2 본체와 제 1 또는 제 2 조작장치 사이에서 제품코드인 식별코드 및 호환코드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상호 자동으로 송,수신받아 동일 또는 호환 제품코드인지 상호 판단하여 동일 또는 호환 제품코드일 경우 코드에 대응하는 기종명을 서로 확정하고 동일 또는 호환 제품코드를 이용하여 상호 유,무선 통신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제 1 또는 제 2 본체와 제 1 또는 제 2 조작장치 사이에서는 자체 내에 각각 입력된 제품코드(식별코드 + 호환코드) 중 식별코드가 상호 동일한지 먼저 비교 판단한 후, 식별코드가 상호 다른 경우 호환코드들이 동일한지 비교 판단하여 호환코드라도 동일하면 상호 유,무선 통신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종 전기전자제품 본체와 조작장치 간 기종 및 호환 가능성 식별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와 제 2 조작장치 또는 제 1 조작장치와 제 2 본체는 서로 동일한 호환코드를 통해 기종명을 확정함은 물론 상호 정상으로 인식하고 유,무선 통신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종 전기전자제품 본체와 조작장치 간 기종 및 호환 가능성 식별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본체와 제 1 또는 제 2 조작장치 사이에서 자체 내에 각각 입력되어 있는 제품코드(식별코드 + 호환코드)를 상호 비교한 결과 호환코드마저 상호 다를 경우에는 인식불가로 판단하고 각각의 표시부에 조작장치 또는 본체 미인식 상태임을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종 전기전자제품 본체와 조작장치 간 기종 및 호환 가능성 식별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본체와 제 1 또는 제 2 조작장치 사이에서는 자체 내에 각각 입력된 제품코드(식별코드 + 호환코드)를 상호 송,수신 받아 동일 여부를 판단할 때, 통신잡음에 의한 오판단을 방지하기 위해 2~3회 연속 송신하고, 연속 수신된 제품코드가 모두 동일할 때에 한하여 상호 유,무선 통신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종 전기전자제품 본체와 조작장치 간 기종 및 호환 가능성 식별방법.
KR1020160093908A 2016-07-25 2016-07-25 각종 전기전자제품 본체와 조작장치 간 기종 및 호환 가능성 식별방법 KR101827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908A KR101827727B1 (ko) 2016-07-25 2016-07-25 각종 전기전자제품 본체와 조작장치 간 기종 및 호환 가능성 식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908A KR101827727B1 (ko) 2016-07-25 2016-07-25 각종 전기전자제품 본체와 조작장치 간 기종 및 호환 가능성 식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509A KR20180011509A (ko) 2018-02-02
KR101827727B1 true KR101827727B1 (ko) 2018-02-09

Family

ID=61199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908A KR101827727B1 (ko) 2016-07-25 2016-07-25 각종 전기전자제품 본체와 조작장치 간 기종 및 호환 가능성 식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7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4778A (ko) * 2021-08-12 2023-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509A (ko) 2018-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68580B (zh) 智能开关及应用该智能开关的智能家居系统
US20140244043A1 (en) Combination controller
JP2017529653A (ja) 通信リレーを有する多機能貫通壁面電力プラグ及び関連する方法
US11599177B1 (en) Power adapter arrangement having a power adapter and a control attachment
KR101826630B1 (ko)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US8774947B2 (en) Controller for a climate control system
RU2628929C2 (ru)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TW201308087A (zh) 家用電器控制方法及系統
TWI540906B (zh) Coordinated Method of Near - end and Remote Control for Wireless System
CN105022275A (zh) 基于云平台的智能家电联动控制系统
EP3507546A1 (en) Remote flame-producing appliance control
KR101827727B1 (ko) 각종 전기전자제품 본체와 조작장치 간 기종 및 호환 가능성 식별방법
JP4850090B2 (ja) 電源タップおよび機器制御システム
TWM455973U (zh) 智慧開關及應用該智慧開關的智慧家居系統
KR101582082B1 (ko) 스마트폰의 gps 기능을 이용한 보일러 제어방법
JP4368293B2 (ja) Ha遠隔操作システムの異常検知方法及び異常検知装置
KR101078085B1 (ko) 각방제어 시스템과 보일러 또는 열원의 연동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11356290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issioning a smart home appliance
KR101762698B1 (ko) 본체와 리모컨 간 통신 노이즈에 의한 오동작 방지방법
KR101549431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일러 제어중 에러발생시 알림방법
KR20120023267A (ko) 가스 자동 공급차단장치
CN104898442A (zh) 室内电气控制系统及其方法
US9898927B2 (en) Wi-Fi/radio frequency converting device
US20130325186A1 (en) Method of setting exclusive controller for water heater
US20150070141A1 (en) Wirel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setting the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