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350B1 - 조립식 욕실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욕실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350B1
KR101827350B1 KR1020150143523A KR20150143523A KR101827350B1 KR 101827350 B1 KR101827350 B1 KR 101827350B1 KR 1020150143523 A KR1020150143523 A KR 1020150143523A KR 20150143523 A KR20150143523 A KR 20150143523A KR 101827350 B1 KR101827350 B1 KR 101827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sh
floor
drain pipe
bathroom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3886A (ko
Inventor
김원대
Original Assignee
김원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대 filed Critical 김원대
Priority to KR1020150143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7350B1/ko
Publication of KR20170043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4Floors composed of stones, mortar, and reinforc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8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use in wet roo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 설치 구조는, 측벽(1)에 둘러쌓인 바닥(2) 일측에 배수구(3)가 형성되어 있는 조립식 욕실 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욕실 바닥(2)에 적층되어 있되, 둘레는 상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욕실 측벽(1) 하부에 측벽방수층(11)을 형성하며, 바닥면 일측은 상기 배수구(3) 내부로 삽입된 채 외주면이 배수구(3)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배수구(3) 내주면에 배수구방수층(12)을 형성하는 연질의 방수 시트로 이루어진 바닥방수재(10)와; 상기 욕실 바닥(2)의 코너 부분에 기둥부재(21)에 의해 바닥방수재(10)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지지부재(20)와; 다수 개의 형강(31)들이 상호 수평을 유지하면서 연결된 채 상기 프레임지지부재(20)에 고정되되, 저면이 상기 프레임지지부재(20) 상면과 이격되어 메쉬삽입공간(32)을 형성하는 패널지지프레임(30)과; 하부가 상기 패널지지프레임(30)에 안착되어 욕실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벽체패널(40)과; 외주면이 상기 메쉬삽입공간(32)에 삽입된 채 상기 바닥방수재(10)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와이어메쉬(50)와; 외주면이 상기 배수구방수층(12)과 밀착된 채 상기 배수구(3)에 삽입되어 있되, 상부는 상기 바닥방수재(10)가 적층된 욕실 바닥(2)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배수파이프(60)와; 상기 배수파이프(60)의 상부 또는 내부에 착탈식으로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배수파이프(60)와 평면상에서 동일 위치에 위치한 와이어메쉬(50)와 연결된 채 와이어메쉬(50)를 하방으로 끌어당겨 와이어메쉬(50)에 배수파이프(60)를 향해 하방 경사진 구배를 형성하는 구배형성장치(70)와; 상기 와이어메쉬(50) 하부 공간으로 유동성의 몰탈이 주입 및 양생되어 형성되어 저부는 바닥방수재(10)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측은 구배형성장치(70)에 의해 구배가 형성된 와이어메쉬(50)와 일체로 연결되어 구배가 형성되는 마감콘크리트층(80)과; 상기 마감콘크리트층(80) 상부에 다수의 타일이 고정되어 형성된 타일층(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욕실의 조립식 벽체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바닥면의 방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연질의 바닥방수재를 이용하여 현장 변수에 따른 설계와 다른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현장에서의 시공이 용이하고, 배수파이프와 배수구 사이로 바닥방수재 일부가 끼워져 배수관과 배수구 사이의 방수 성능을 높여줄 수 있고, 특히, 벽체패널이 안착되는 패널지지프레임과, 패널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지지부재 사이에 메쉬삽입공간을 형성하여 메쉬삽입공간으로 와이어메쉬를 삽입하여 바닥 타일의 시공시 접착이 원할히 이루어지고, 크랙이 방지되고 바닥 타일의 강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배수파이프와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구배형성장치를 이용하여 배수파이프 위치의 와이어메쉬를 하측으로 끌어당겨 자연스럽게 구배가 형성되도록 하여 마감몰탈 시공시 구배가 형성된 와이어메쉬를 따라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욕실 바닥면 구배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욕실 설치 구조{Structure of prefabricated bathroom}
본 발명은 조립식 욕실의 설치 구조 및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바닥은 습식으로 시공되고 벽체는 건식으로 조립식으로 시공되되, 연질 시트 재질의 바닥방수재를 이용하여 조립식 벽체 시공에도 불구하고 바닥 방수 성능을 높이고, 프리사이즈 시공이 용이하며, 특히 배수구를 향한 구배 형성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진, 조립식 욕실 설치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주택의 욕실 및 화장실 내부는 타일로서 미장처리되는데, 이런 타일은 직사각형 판의 형상을 가지며 고온에서 재벌하여 제조된다.
매끈한 정면이 건물이나 주택의 바깥쪽을 향하도록 위치시키고 정면보다 덜 매끈한 배면을 콘크리트 벽체에 부착한다.
이와 같이 양생된 콘크리트 벽체에 타일을 부착하는 시공방법을 일반적으로 '습식시공'이라 한다. 이런 습식시공방식으로 타일을 콘크리트 벽체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부착되는 타일들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또한 타일의 정면이 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건이다.
이와 같이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로 타일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먹줄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체에 수평선을 긋고 그 수평선에 맞춰서 타일을 부착한다.
그리고, 타일의 사이에 줄눈을 넣어 콘크리트 벽체를 부착된 타일이 안전하게 콘크리트 벽체에 부착되도록 한다.
아울러, 부착된 타일들의 정면이 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벽체와 타일의 사이에 도포되는 접착재들의 도포 두께 또한 일정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습식시공방식으로 타일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타일들의 수평 및 일평면 상태에 대하여 각각의 타일의 위치를 확인하고 부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잡할 뿐만 아니라,
또, 많은 인력이 소요되며, 작업효율 또한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복잡하고 많은 인력이 소요되는 종래 습식방식의 타일 미장작업을 단순하고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 타일패널, 인조대리석 패널, 기타 무기재 패널 및 강판패널이 개발되었다.
이런 패널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방식을 '건식시공'이라 한다.
이런 여러 종류의 패널 중에서 타일 패널의 제작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사각형상의 타일틀 내부에 다수 개의 타일을 그 측면이 밀착된 상태로 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이때, 타일의 배면이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하고 정면은 바닥을 향하도록 한다. 그리고, 타일틀의 상면에 종이를 부착하고, 종이의 중심부에 구멍을 형성한 후에 그 구멍을 통해 발포성 수지 또는 우레탄을 충진한다.
그러면, 발포성 수지 및 우레탄이 충진된 상태로 경화되면서, 타일들은 일평면상에 위치한 상태로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발포성 수지 및 우레탄에 의해 고정된 타일들을 타일틀로부터 인출하면 타일 패널이 제작된다.
이와 같이, 타일 패널이 제작되는 과정 중에, 배치된 타일들은 모두 수평이 조절된 상태로 배치되며, 또한, 타일틀이 안착되는 지면에 의해 배치된 타일들의 정면 또한 일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타일 패널은 공장에서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며, 제작된 타일 패널은 시공현장으로 이송된 후에 시공현장의 콘크리트 벽체에 설치함으로써, 미장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습식방식에 의한 타일 미장처리보다 쉽고 간편히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타일의 수평조절 및 일평면 조절작업이 필요치 않으며, 타일 사이에 넣는 줄눈이 필요치 않아 시공이 훨씬 빠르다.
그러나, 이런 타일 패널을 콘크리트 벽체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시공현장의 벽체의 크기와 공장에서 제작된 타일 패널의 크기가 일치하여야 정확한 미장처리 작업이 쉽고 빠르게 시행될 수 있으나, 타일 패널은 제작공장에서 일정한 크기로 제작되며, 콘크리트는 그 양생과정 중에 수축현상이 발생하므로, 타일 패널 면적과 타일 패널이 부착될 벽체의 면적이 동일하게 제작되었다 하더라도, 타일 패널을 벽체에 설치하려고 하면 갭이 발생하게 되며, 작업자는 발생한 갭만큼 받침부재를 설치하여 타일 패널의 수평을 조절한 상태에서 타일 패널을 콘크리트 벽체에 부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조립식 패널 설치 시스템"(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14677호, 특허문헌 1)을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별도로 제조되는 내장벽체패널이 안착될 수 있는 격자 구조의 받침틀을 높이 조절 수단을 이용하여 욕실 내부에 설치토록 함으로써 높이조절수단을 이용하여 내장벽체패널의 수평을 원할하게 유지하여 시공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한 특허문헌 1의 설치에서 바닥 타일은 통상의 욕실 바닥 시공 방법과 마찬가지로 진행되는데, 특허문헌 1의 구조를 욕실에 설치한 상태에서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마감 몰탈을 시공한 후, 여기에 바닥 타일을 붙여 시공하게 된다.
그런데, 특허문헌 1과 같은 구조의 경우 내장벽체패널의 하부, 바닥타일, 내장벽체패널과 바닥타일의 경계 부분에서 부재 손상이나 실리콘 마감 처리 이상, 내구년한을 지나는 등의 요인이 발생할 경우 욕실 바닥으로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소와 관련된 기술로 "티피알 방수판을 이용한 욕실의 건식 습식 병용 방수구조"(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9839호, 특허문헌 2)가 공개된 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2에는 경질의 TPR 방수판을 욕실 바닥면 및 그 외측 둘레에 미리 설치한 후 경량벽체의 시공 및 바닥 타일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건습식 욕실 패널 설치 구조에서의 방수 성능이 향상되도록 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와 같은 구조는 경질의 패널을 이용하기 때문에 욕실 벽체 구조를 시공하기에 앞서 TPR 방수판의 사이즈를 미리 실측해야 하고, 경량벽체 역시 이러한 TPR 방수판의 사이즈에 대응되어 설계되어야 하기 때문에 검측, 실시설계 부분에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종래의 경질 방수판을 이용할 경우 최초 설계와 다른 약간의 오차에 대해서도 다른 현장 실태를 반드시 점검해야 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특히,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의 경우 바닥 타일 시공시 욕실에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배수구를 향해 구배를 형성해야 하는데, 이 구배를 형성하는 작업은 오로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마감 몰탈 상부 일측은 경량벽체 설치를 위한 프레임과 연결되어 구배를 잘못 잡을 경우 경량벽체와의 연결 부분의 보수 작업을 해야 하는 어려움을 겪게 된다.
한편, 욕실 바닥의 구배를 형성과 관련된 기술로 "건물 바닥의 방수구조"(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0566호, 특허문헌 3)에는 바닥 타일을 위치별로 두께를 달리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현장 상황이 감안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설치가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KR 10-0414677 (2003.12.26) KR 10-1029839 (2011.04.11) KR 20-0350566 (2004.05.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선등록받은 특허문헌 1의 구조를 보다 개량하여 욕실의 벽체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바닥면의 방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연질의 바닥방수재를 이용하여 현장 변수에 따른 설계와 다른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현장에서의 시공이 용이하고, 배수파이프와 배수구 사이로 바닥방수재 일부가 끼워져 배수관과 배수구 사이의 방수 성능을 높여줄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벽체패널이 안착되는 패널지지프레임과, 패널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지지부재 사이에 메쉬삽입공간을 형성하여 메쉬삽입공간으로 와이어메쉬를 삽입하여 바닥 타일의 시공시 접착이 원할히 이루어지고, 크랙이 방지되고 바닥 타일의 강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배수파이프와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구배형성장치를 이용하여 배수파이프 위치의 와이어메쉬를 하측으로 끌어당겨 자연스럽게 구배가 형성되도록 하여 마감몰탈 시공시 구배가 형성된 와이어메쉬를 따라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욕실 바닥면 구배를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즉, 와이어메쉬로 하여금 종래의 습식 타일 시공시 사용되는 메쉬와 같이 접착력 강화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는 것에 더해 구배형성장치와의 연결을 통해 자연스럽게 구배가 형성되도록 하여 마감몰탈 타설시 작업자가 용이하게 구배를 잡을 수 있게 함으로써 습식으로 이루어지는 바닥 타일 시공의 시공 오차나 시공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함으로써 조립식 욕실 벽체 패널 시공의 신뢰성을 가일층 높이려는 것이다.
특히, 구배형성장치는 배수파이프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마감몰탈의 타설시 마감몰탈과 비접촉되는 상태가 되므로 마감몰탈의 양생이 끝난 후에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있어 구배 형성을 위한 원가 증가를 최소화하고 오히려 시간당 작업 속도를 높여 전체적인 공사비가 절감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구배형성장치는 사용자의 핸들 조작에 의해 미세한 높이까지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 섬세한 구배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패널지지프레임에 홀이 타공되고, 이 홀을 통해 와이어메쉬의 둘레 부분을 고정시키는 걸림핀이 삽입됨으로써 구배형성장치를 통한 하부 가압, 몰탈 타설시 몰탈의 주입 압력 등으로 인해 와이어메쉬가 이동하거나 비틀리는 등의 현상을 최소화하여 구배 시공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 설치 구조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측벽(1)에 둘러쌓인 바닥(2) 일측에 배수구(3)가 형성되어 있는 조립식 욕실 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욕실 바닥(2)에 적층되어 있되, 둘레는 상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욕실 측벽(1) 하부에 측벽방수층(11)을 형성하며, 바닥면 일측은 상기 배수구(3) 내부로 삽입된 채 외주면이 배수구(3)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배수구(3) 내주면에 배수구방수층(12)을 형성하는 연질의 방수 시트로 이루어진 바닥방수재(10)와; 상기 욕실 바닥(2)의 코너 부분에 기둥부재(21)에 의해 바닥방수재(10)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지지부재(20)와; 다수 개의 형강(31)들이 상호 수평을 유지하면서 연결된 채 상기 프레임지지부재(20)에 고정되되, 저면이 상기 프레임지지부재(20) 상면과 이격되어 메쉬삽입공간(32)을 형성하는 패널지지프레임(30)과; 하부가 상기 패널지지프레임(30)에 안착되어 욕실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벽체패널(40)과; 외주면이 상기 메쉬삽입공간(32)에 삽입된 채 상기 바닥방수재(10)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와이어메쉬(50)와; 외주면이 상기 배수구방수층(12)과 밀착된 채 상기 배수구(3)에 삽입되어 있되, 상부는 상기 바닥방수재(10)가 적층된 욕실 바닥(2)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배수파이프(60)와; 상기 배수파이프(60)의 상부 또는 내부에 착탈식으로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배수파이프(60)와 평면상에서 동일 위치에 위치한 와이어메쉬(50)와 연결된 채 와이어메쉬(50)를 하방으로 끌어당겨 와이어메쉬(50)에 배수파이프(60)를 향해 하방 경사진 구배를 형성하는 구배형성장치(70)와; 상기 와이어메쉬(50) 하부 공간으로 유동성의 몰탈이 주입 및 양생되어 형성되어 저부는 바닥방수재(10)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측은 구배형성장치(70)에 의해 구배가 형성된 와이어메쉬(50)와 일체로 연결되어 구배가 형성되는 마감콘크리트층(80)과; 상기 마감콘크리트층(80) 상부에 다수의 타일이 고정되어 형성된 타일층(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구배형성장치(70)는 배수파이프(60) 상단에 끼워지는 캡(71)으로 이루어져 와이어메쉬(50)가 배수파이프(60)와 캡(71)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구배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구배형성장치(70)는, 상기 배수파이프(60) 상단 내주면에 모서리가 안착되는 "┑" 단면 형상을 갖는 안착부(72)와; 상기 배수파이프(60) 내부에 삽입되고,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연결부재(73a)에 의해 상기 안착부(72)와 연결되는 베이스판(73)과; 하부가 상기 베이스판(7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 핸들(74a)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핸들(74a) 조작에 의해 회전하도록 이루어진 회전축(74)과; 내주면이 상기 회전축(74) 외주면과 나사결합되어 회전축(74)의 회전에 상하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단에 와이어메쉬(50)가 걸리는 후크부(75a)가 형성되어 상하 이동에 의해 후크부(75a)가 와이어메쉬(50)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 상하이동부재(7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패널지지프레임(30)에는 걸림핀삽입홀(33)이 형성되어 있되, 걸림핀삽입홀(33)은 상부에 하부보다 내경이 큰 확경부(3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핀삽입홀(33) 형상에 대응되어 확경부(33a)에 삽입되는 머리부(34a)와, 머리부(34a)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34b)로 이루어진 걸림핀(34)이 삽입되되, 몸체부(34b)는 걸림핀삽입홀(33) 하부로 돌출되어 메쉬삽입공간(32)에 삽입된 와이어메쉬(50) 일측을 걸거나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의 방수 방법은, 측벽(1)에 둘러쌓인 바닥(2) 일측에 배수구(3)가 형성되어 있는 조립식 욕실 의 설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욕실 바닥(2)에 연질의 방수 시트로 구성된 바닥방수재(10)를 적층하되, 방수 시트 둘레를 상방향으로 절곡하여 욕실 측벽(1) 하부에 측벽방수층(11)을 형성하며, 바닥면 일측은 상기 배수구(3) 내부로 삽입하여 외주면이 배수구(3)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설치하는 바닥방수재설치단계와; 배수구(3)에 배수파이프(60)를 삽입하여 배수파이프(60) 외주면이 상기 배수구방수층(12)과 밀착되도록 하되, 배수파이프(60) 상부는 상기 바닥방수재(10)가 적층된 욕실 바닥(2)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배수파이프설치단계와; 상기 욕실 바닥(2)의 코너 부분에 바닥방수재(10) 상측으로 프레임지지부재(20)를 설치하는 지지부재설치단계와; 다수 개의 형강(31)들이 상호 수평을 유지하면서 연결되어 형성된 패널지지프레임(30)을 상기 프레임지지부재(20)에 고정시키되, 패널지지프레임(30) 저면이 상기 프레임지지부재(20) 상면과 이격된 메쉬삽입공간(32)을 형성하는 패널지지프레임설치단계와; 와이어메쉬(50)를 준비하여 와이어메쉬(50) 외주면을 메쉬삽입공간(32)에 끼워 바닥방수재(10)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설치하는 와이어메쉬설치단계와; 상기 배수파이프(60)의 상부 또는 내부에 구배형성장치(70)를 연결 설치하고, 구배형성장치(70) 일측을 와이어메쉬(50)와 연결하여 와이어메쉬(50)를 하방으로 끌어당겨 와이어메쉬(50)에 배수파이프(60)를 향해 하방 경사진 구배를 형성하는 구배형성단계와; 상기 와이어메쉬(50) 하부 공간으로 유동성의 몰탈을 주입하여 와이어메쉬(50)를 따라 배수구(3) 측으로 하방 경사진 구배를 형성하는 마감콘크리트층형성단계와; 상기 마감콘크리트층 상부에 다수의 타일을 고정시켜 타일층(90)을 형성하는 타일설치단계와; 상기 패널지지프레임(30)에 벽체패널을 안착시켜 고정하는 벽체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욕실의 조립식 벽체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바닥면의 방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연질의 바닥방수재를 이용하여 현장 변수에 따른 설계와 다른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현장에서의 시공이 용이하고, 배수파이프와 배수구 사이로 바닥방수재 일부가 끼워져 배수관과 배수구 사이의 방수 성능을 높여줄 수 있게 된다.
특히, 벽체패널이 안착되는 패널지지프레임과, 패널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지지부재 사이에 메쉬삽입공간을 형성하여 메쉬삽입공간으로 와이어메쉬를 삽입하여 바닥 타일의 시공시 접착이 원할히 이루어지고, 크랙이 방지되고 바닥 타일의 강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배수파이프와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구배형성장치를 이용하여 배수파이프 위치의 와이어메쉬를 하측으로 끌어당겨 자연스럽게 구배가 형성되도록 하여 마감몰탈 시공시 구배가 형성된 와이어메쉬를 따라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욕실 바닥면 구배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와이어메쉬로 하여금 종래의 습식 타일 시공시 사용되는 메쉬와 같이 접착력 강화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는 것에 더해 구배형성장치와의 연결을 통해 자연스럽게 구배가 형성되도록 하여 마감몰탈 타설시 작업자가 용이하게 구배를 잡을 수 있게 함으로써 습식으로 이루어지는 바닥 타일 시공의 시공 오차나 시공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함으로써 조립식 욕실 벽체 패널 시공의 신뢰성이 가일층 높아진다.
특히, 구배형성장치는 배수파이프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마감몰탈의 타설시 마감몰탈과 비접촉되는 상태가 되므로 마감몰탈의 양생이 끝난 후에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있어 구배 형성을 위한 원가 증가를 최소화하고 오히려 시간당 작업 속도를 높여 전체적인 공사비가 절감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구배형성장치는 사용자의 핸들 조작에 의해 미세한 높이까지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 섬세한 구배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패널지지프레임에 홀이 타공되고, 이 홀을 통해 와이어메쉬의 둘레 부분을 고정시키는 걸림핀이 삽입됨으로써 구배형성장치를 통한 하부 가압, 몰탈 타설시 몰탈의 주입 압력 등으로 인해 와이어메쉬가 이동하거나 비틀리는 등의 현상을 최소화하여 구배 시공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 설치 구조 및 설치 방법의 전제가 되는 욕실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바닥방수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벽체패널이 안착되기 위한 프레임지지부재 및 패널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와이어메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구배형성장치가 배수파이프에 연결되어 배수파이프 위치를 기준으로 와이어메쉬에 구배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마감몰탈의 시공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벽체패널의 조립 및 바닥 타일의 시공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패널지지프레임이 프레임지지부재와 연결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예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구배형성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구배형성장치의 또다른 예와, 이를 통한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 설치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 설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에 둘러쌓인 바닥(2) 일측에 배수구(3)가 형성되어 있는 욕실에 설치된다.
크게는 바닥방수재(10), 프레임지지부재(20), 패널지지프레임(30), 벽체패널(40), 와이어메쉬(50), 배수파이프(60), 구배형성장치(70), 마감콘크리트층(80) 및 타일층(9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바닥방수재(1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욕실 바닥(2)에 적층되어 있는 것으로, 둘레는 상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욕실 측벽(1) 하부에 측벽방수층(11)을 형성하며, 바닥면 일측은 상기 배수구(3) 내부로 삽입된 채 외주면이 배수구(3)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배수구(3) 내주면에 배수구방수층(12)을 형성한다.
측벽방수층(11)은 욕실 측벽(1)면에 접착제 등의 의해 접착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배수구방수층(12)은 연질 시트의 재단, 접합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배수파이프(6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외주면이 상기 배수구방수층(12)과 밀착된 채 상기 배수구(3)에 삽입되어 있되, 상부는 상기 바닥방수재(10)가 적층된 욕실 바닥(2)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바닥방수재(10)는 특허문헌 2와는 달리 연질의 방수 시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재질로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플라스틱 계통의 방수 시트로부터 신축성을 갖는 고무 시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지지부재(2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욕실 바닥(2)의 코너 부분에 기둥부재(21)에 의해 바닥방수재(10)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프레임지지부재(20)는 두 개의 앵글이 서로 맞대어진 상태로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고정되어 하부의 패널지지프레임(30)의 모서리 부분이 앵글에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한다.
더불어, 기둥부재(21)는 일반적인 막대형 스틱 형상의 강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도 3의 확대된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높이 조절을 하는 이유는 벽체패널(40)의 수평 높이를 맞추기 위한 것으로 시공상의 불량이나, 바닥면의 불균일 등으로 인해 표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 네 곳의 모서리에 설치된 프레임지지부재(20)의 상면 높이가 불일치될 수 있는 바, 이를 해결하여 각 앵글의 높이가 동일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높이 조절을 위한 구성은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레임지지부재(20) 하부에 내부에 나사체결홀이 형성된 상부연결부재(21a)와, 상측이 상부연결부재(21a)의 나사체결홀에 나사결합되어 체결된 회전축(21b) 및 회전축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판(21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회전축(21b)을 작업자가 돌리게 되면 상부연결부재(21a)가 나사결합에 의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구조이다.
패널지지프레임(30)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수 개의 형강(31)들이 상호 수평을 유지하면서 연결된 채 상기 프레임지지부재(20)에 고정되되, 저면이 상기 프레임지지부재(20) 상면과 이격되어 메쉬삽입공간(32)을 형성한다.
도면의 패널지지프레임(30)의 욕실 내부 바닥면 둘레를 따라 네 개의 강재 앵글이 서로 용접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앵글 바닥면에 벽체패널(40)이 안착되게 된다.
메쉬삽입공간(32)은 와이어메쉬(50)의 둘레 부분이 삽입되기 위한 공간으로 설치 작업시에는 프레임지지부재(20) 위에 먼저 와이어메쉬(50)를 설치한 후 그 위에 패널지지프레임(30)을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와이어메쉬(50)가 삽입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틈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프레임지지부재(20)와 패널지지프레임(30)이 별도로 공장에서 준비되어 현장에서 조립되는 상태가 되며, 이 둘을 고정하기 위한 작업이 현장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프레임지지부재(20)과 패널지지프레임(30)이 볼팅 또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공장에서 먼저 서로 고정됨으로써 그 사이에 메쉬삽입공간(32)이 형성되고, 현장에서 와이어메쉬(50)를 메쉬삽입공간(32)으로 삽입시키는 공정으로 진행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후술하는 구배를 형성하기 위해 와이어메쉬(50) 일측을 하부로 잡아당기는 과정이나, 마감몰탈이 와이어메쉬(50) 위에 공급되는 과정에서 와이어메쉬(50)에 변형되려는 힘이 작용하여 메쉬삽입공간(32)에서 빠져나오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패널지지프레임(30)에는 걸림핀삽입홀(33)이 형성되어 있되, 걸림핀삽입홀(33)은 상부에 하부보다 내경이 큰 확경부(3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핀삽입홀(33) 형상에 대응되어 확경부(33a)에 삽입되는 머리부(34a)와, 머리부(34a)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34b)로 이루어진 걸림핀(34)이 삽입되되, 몸체부(34b)는 걸림핀삽입홀(33) 하부로 돌출되어 메쉬삽입공간(32)에 삽입된 와이어메쉬(50) 일측을 걸거나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핀(34)이 설치되는 구성을 통해 몰탈의 주입 압력 등으로 인해 와이어메쉬가 이동하거나 비틀리는 등의 현상을 최소화하여 구배 시공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패널지지프레임(30)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형강이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고 프레임지지부재(20)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지지부재(20)에는 수평 방향으로 슬롯(22)이 형성되고, 패널지지프레임(30)에는 볼트체결홀이 형성되어 도시된 볼트(35)로 볼트체결홀과 슬롯(22)을 관통하여 체결함으로써 변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벽체의 길이를 조절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도 있으나, 벽체패널(40)은 공장에서 조립되어 제공되기 때문에 벽체의 길이를 조절하는 실질적으로 어렵고, 단지 내부 공간이 설계상보다 크게 발생할 경우 영점 조절, 즉 어느 한 쪽으로 벽체패널(40)을 밀어 설계에 최대한 부합되어 시공될 수 있는 작용을 해주게 된다.
벽체패널(40)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가 상기 패널지지프레임(30)에 안착되어 욕실의 내벽면을 형성한다.
벽체패널(40)의 자세한 구성은 특허발명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 부분에 각관 등과 같은 강재 테두리프레임(41)이 배치되고, 그 내부 공간에 욕실 내부 공간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타일층(42), 방수층(43), 수직프레임(44) 등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벽체패널(40)은 공장에서 선 제조된 상태에서 현장에서 패널지지프레임(30)에 안착되면서 볼팅,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패널지지프레임(30)에 고정되고, 상호간에 수평으로 자란히 접하면서 연속으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벽체패널(40)의 시공 타이밍은 패널지지프레임(30)의 설치 이후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어메쉬(5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주면이 상기 메쉬삽입공간(32)에 삽입된 채 상기 바닥방수재(10)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와이어메쉬(50)는 섬유질과 같은 연질로 이루어질 경우 구배 형성이 원할히 이루어지지 않고 몰탈 주입시 구배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금속망과 같은 경질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둘레가 메쉬삽입공간(32)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중앙 부분 일측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고정된 상태가 되기 위한 변형이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구배형성장치(70)는 배수파이프(60)의 상부 또는 내부에 착탈식으로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배수파이프(60)와 평면상에서 동일 위치에 위치한 와이어메쉬(50)와 연결된 채 와이어메쉬(50)를 하방으로 끌어당겨 와이어메쉬(50)에 배수파이프(60)를 향해 하방 경사진 구배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5의 도면을 살펴보면 구배형성장치에 의해 배수파이프(60) 측의 와이어메쉬(50)가 아래쪽으로 당겨져 이동함에 따라 이 부분을 기준으로 구배가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배형성장치(70)의 간편한 실시예로는 도 5,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수파이프(60) 상단에 끼워지는 캡(71)으로 이루어져 와이어메쉬(50)가 배수파이프(60)와 캡(71)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구배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캡(71)을 끼울 경우 와이어메쉬(50)의 둘레 부분이 중앙쪽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게 되어 자칫 둘레가 메쉬삽입공간(32)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따라서, 구배형성장치(70)가 캡(71)으로 이루어질 경우 와이어메쉬(50)를 일부를 절개한 상태에서 캡(71)을 끼우며, 몰탈 타설 및 양생이 끝난 상태에서는 원할한 배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와이어메쉬(50)를 배수구 형상에 대응되도록 절개하면 된다.
이러한 캡(71) 구성을 설치 및 작동이 용이하나, 섬세한 구배 조절은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캡(71)과 배수파이프(60) 사이의 끼움의 깊이 조절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섬세한 구배 조절이 어렵고, 와이어메쉬(50)가 깊이 끼어들어 가압될 경우 구배를 느슨하게 변형하고자 되돌리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실시예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의 구배형성장치(70)는, 상기 배수파이프(60) 상단 내주면에 모서리가 안착되는 "┑" 단면 형상을 갖는 안착부(72)와;
상기 배수파이프(60) 내부에 삽입되고,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연결부재(73a)에 의해 상기 안착부(72)와 연결되는 베이스판(73)과;
하부가 상기 베이스판(7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 핸들(74a)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핸들(74a) 조작에 의해 회전하도록 이루어진 회전축(74)과;
내주면이 상기 회전축(74) 외주면과 나사결합되어 회전축(74)의 회전에 상하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단에 와이어메쉬(50)가 걸리는 후크부(75a)가 형성되어 상하 이동에 의해 후크부(75a)가 와이어메쉬(50)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 상하이동부재(75);로 구성된 예이다.
이러한 구성은 안착부(72)와 배수파이프(60) 접촉면에 양면테이프 등의 임시 접착 수단으로 임시 접착 고정한 상태에서 핸들(74a) 조작을 통해 상하이동부재(75)를 하향 이동시키면서 후크부(75a)가 와이어메쉬(50)를 걸어 하향 이동시키게 된다.
통상적으로 구배를 잡는 높이는 타일 시공면이 바닥 마감이 되고, 이에 따라 배수파이프(60)의 높이는 타일 마감면으로 잡기 때문에 와이어메쉬(50)를 하향 이동시킬 때의 장애물은 발생하지 않는 다 할 것이며, 배수파이프(60)의 두께 역시 도면과 달리 1cm 내외의 두께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핸들(74a) 조작에 의한 와이어메쉬(50)의 이동은 도 10의 상부 도면에서 하부 도면으로 원할히 전환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미세한 구배 조절이 가능해지며, 캡(71) 측벽 두께 부분으로 인한 몰탈 타설에 방해가 되는 장애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마감콘크리트층(80)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처럼 구배형성수단(70)에 의해 와이어메쉬(50)에 구배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메쉬(50) 하부 공간으로 유동성의 몰탈이 주입 및 양생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마감콘크리트층(80) 저부는 바닥방수재(10)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측은 구배형성장치(70)에 의해 구배가 형성된 와이어메쉬(5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게 된다.
타일층(90)은 도 6의 상태에서 도 7의 상태로 상기 마감콘크리트층(80) 상부에 다수의 타일이 고정되어 형성된다.
이때, 타일 시공은 마감콘크리트층의 완전 경화가 이루어지기 전에 시공될 수도 있으며, 마감콘크리트층(80) 위에 살짝 몰탈을 바르면서 부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조립식 욕실의 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1. 바닥방수재설치단계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욕실 바닥(2)에 연질의 방수 시트로 구성된 바닥방수재(10)를 적층하되, 방수 시트 둘레를 상방향으로 절곡하여 욕실 측벽(1) 하부에 측벽방수층(11)을 형성하며, 바닥면 일측은 상기 배수구(3) 내부로 삽입하여 외주면이 배수구(3)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설치한다.
2. 배수파이프설치단계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수구(3)에 배수파이프(60)를 삽입하여 배수파이프(60) 외주면이 상기 배수구방수층(12)과 밀착되도록 하되, 배수파이프(60) 상부는 상기 바닥방수재(10)가 적층된 욕실 바닥(2)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3. 지지부재설치단계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욕실 바닥(2)의 코너 부분에 바닥방수재(10) 상측으로 상술한 프레임지지부재(20)를 설치한다.
4. 패널지지프레임설치단계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수 개의 형강(31)들이 상호 수평을 유지하면서 연결되어 형성된 패널지지프레임(30)을 상기 프레임지지부재(20)에 고정시키되, 패널지지프레임(30) 저면이 상기 프레임지지부재(20) 상면과 이격된 메쉬삽입공간(32)을 형성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널지지프레임(30)이 프레임지지부재(20)와 공장에서 일체로 제조된 경우 앞단계와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5. 와이어메쉬설치단계
와이어메쉬(50)를 준비하여 와이어메쉬(50) 외주면을 메쉬삽입공간(32)에 끼워 바닥방수재(10)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술한 걸림핀(34)이 구비될 경우 테두리 부분이 걸림핀(34)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한다.
6. 구배형성단계
도 5,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파이프(60)의 상부 또는 내부에 구배형성장치(70)를 연결 설치하고, 구배형성장치(70) 일측을 와이어메쉬(50)와 연결하여 와이어메쉬(50)를 하방으로 끌어당겨 와이어메쉬(50)에 배수파이프(60)를 향해 하방 경사진 구배를 형성한다.
이때, 와이어메쉬(50)는 선택적으로 부분 절개하여 구배를 형성할 수 있다.
7. 마감콘크리트층형성단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메쉬(50) 하부 공간으로 유동성의 몰탈을 주입하여 와이어메쉬(50)를 따라 배수구(3) 측으로 하방 경사진 구배를 형성한다.
8. 타일설치단계
상기 마감콘크리트층 상부에 다수의 타일을 고정시켜 타일층(90)을 형성한다.
9. 벽체형성단계
상기 패널지지프레임(30)에 벽체패널을 안착시켜 고정한다.
벽체형성단계는 패널지지프레임설치단계 이후에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은 연질 시트상의 바닥방수재(10)를 이용하여 현장 변수에 따른 설계와 다른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현장에서의 시공이 용이하고, 배수파이프(60)와 배수구(3) 사이로 바닥방수재 일부가 끼워져 배수구방수층(12)을 형성함으로써 배수관과 배수구 사이의 방수 성능을 높여줄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와이어메쉬(50)는 타일 시공시 접착 성능을 높여주고, 타일을 지지하여 타일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줄 뿐만 아니라 마감이 되는 마감콘크리트층(80)의 표면을 보강하여 이 부분 역시 강도를 보강해주는 역할을 해주게 된다.
특히, 와이어메쉬(50)는 메쉬삽입공간(32)에 삽입된 채 걸림핀(34)에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 구배형성장치(70)에 의해 배수파이프(60) 위치가 낮아지는 형태의 구배를 형성함으로써 마감콘크리트층(80) 형성을 위한 몰탈 주입시 작업자가 표면 작업을 매우 손쉽게 할 수 있게 해준다.
1 : 측벽 2 : 바닥
3 : 배수구 10 : 바닥방수재
11 : 측벽방수층 12 : 배수구방수층
20 : 프레임지지부재 21 : 기둥부재
21a : 상부연결부재 21b : 회전축
21c : 지지판 22 : 슬롯
30 : 패널지지프레임 31 : 형강
32 : 메쉬삽입공간 33 : 걸림핀삽입홀
33a : 확경부 34 : 걸림핀
34a : 머리부 34b : 몸체부
35 : 볼트 40 : 벽체패널
41 : 테두리프레임 42 : 타일층
43 : 방수층 44 : 수직프레임
50 : 와이어메쉬 60 : 배수파이프
70 : 구배형성장치 71 : 캡
72 : 안착부 73 : 베이스판
73a : 연결부재 74 : 회전축
74a : 핸들 75 : 상하이동부재
75a : 후크부 80 : 마감콘크리트층
90 : 타일층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측벽(1)에 둘러쌓인 바닥(2) 일측에 배수구(3)가 형성되어 있는 조립식 욕실 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욕실 바닥(2)에 적층되어 있되, 둘레는 상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욕실 측벽(1) 하부에 측벽방수층(11)을 형성하며, 바닥면 일측은 상기 배수구(3) 내부로 삽입된 채 외주면이 배수구(3)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배수구(3) 내주면에 배수구방수층(12)을 형성하는 연질의 방수 시트로 이루어진 바닥방수재(10)와;
    상기 욕실 바닥(2)의 코너 부분에 기둥부재(21)에 의해 바닥방수재(10)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지지부재(20)와;
    다수 개의 형강(31)들이 상호 수평을 유지하면서 연결된 채 상기 프레임지지부재(20)에 고정되되, 저면이 상기 프레임지지부재(20) 상면과 이격되어 메쉬삽입공간(32)을 형성하는 패널지지프레임(30)과;
    하부가 상기 패널지지프레임(30)에 안착되어 욕실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벽체패널(40)과;
    외주면이 상기 메쉬삽입공간(32)에 삽입된 채 상기 바닥방수재(10)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와이어메쉬(50)와;
    외주면이 상기 배수구방수층(12)과 밀착된 채 상기 배수구(3)에 삽입되어 있되, 상부는 상기 바닥방수재(10)가 적층된 욕실 바닥(2)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배수파이프(60)와;
    상기 배수파이프(60)의 상부 또는 내부에 착탈식으로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배수파이프(60)와 평면상에서 동일 위치에 위치한 와이어메쉬(50)와 연결된 채 와이어메쉬(50)를 하방으로 끌어당겨 와이어메쉬(50)에 배수파이프(60)를 향해 하방 경사진 구배를 형성하는 구배형성장치(70)와;
    상기 와이어메쉬(50) 하부 공간으로 유동성의 몰탈이 주입 및 양생되어 형성되어 저부는 바닥방수재(10)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측은 구배형성장치(70)에 의해 구배가 형성된 와이어메쉬(50)와 일체로 연결되어 구배가 형성되는 마감콘크리트층(80)과;
    상기 마감콘크리트층(80) 상부에 다수의 타일이 고정되어 형성된 타일층(9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구배형성장치(70)는,
    상기 배수파이프(60) 상단 내주면에 모서리가 안착되는 "┑" 단면 형상을 갖는 안착부(72)와;
    상기 배수파이프(60) 내부에 삽입되고,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연결부재(73a)에 의해 상기 안착부(72)와 연결되는 베이스판(73)과;
    하부가 상기 베이스판(7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 핸들(74a)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핸들(74a) 조작에 의해 회전하도록 이루어진 회전축(74)과;
    내주면이 상기 회전축(74) 외주면과 나사결합되어 회전축(74)의 회전에 상하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단에 와이어메쉬(50)가 걸리는 후크부(75a)가 형성되어 상하 이동에 의해 후크부(75a)가 와이어메쉬(50)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 상하이동부재(7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의 설치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지지프레임(30)에는 걸림핀삽입홀(33)이 형성되어 있되, 걸림핀삽입홀(33)은 상부에 하부보다 내경이 큰 확경부(3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핀삽입홀(33) 형상에 대응되어 확경부(33a)에 삽입되는 머리부(34a)와, 머리부(34a)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34b)로 이루어진 걸림핀(34)이 삽입되되, 몸체부(34b)는 걸림핀삽입홀(33) 하부로 돌출되어 메쉬삽입공간(32)에 삽입된 와이어메쉬(50) 일측을 걸거나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의 설치 구조.
  5. 삭제
KR1020150143523A 2015-10-14 2015-10-14 조립식 욕실 설치 구조 KR101827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523A KR101827350B1 (ko) 2015-10-14 2015-10-14 조립식 욕실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523A KR101827350B1 (ko) 2015-10-14 2015-10-14 조립식 욕실 설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886A KR20170043886A (ko) 2017-04-24
KR101827350B1 true KR101827350B1 (ko) 2018-02-08

Family

ID=58704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523A KR101827350B1 (ko) 2015-10-14 2015-10-14 조립식 욕실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3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456B1 (ko) 2023-02-03 2023-08-29 이태규 타일시공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5434A (zh) * 2018-05-15 2018-08-21 重庆互邦莱装配式建筑工程有限公司 柔性防水盘、柔性防水盘加工方法及装配式卫生间
CN110725388A (zh) * 2019-11-05 2020-01-24 董魁 一种整体卫生间防水底盘的加固装配结构
KR102423010B1 (ko) * 2021-04-20 2022-07-19 주식회사 성일 코너 및 t자 형상의 욕실용 바닥판의 물 구배 및 벽체 시공이 용이하고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공방법
ES2966861A1 (es) * 2022-09-27 2024-04-24 Estil Guru S L Pieza para soporte de pavimentac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839B1 (ko) 2009-03-24 2011-04-15 이현배쓰(주) 티피알 방수판을 이용한 욕실의 건식 습식 병용 방수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839B1 (ko) 2009-03-24 2011-04-15 이현배쓰(주) 티피알 방수판을 이용한 욕실의 건식 습식 병용 방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456B1 (ko) 2023-02-03 2023-08-29 이태규 타일시공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886A (ko) 2017-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350B1 (ko) 조립식 욕실 설치 구조
US9611634B2 (en) Elongated shower drain
US8918926B1 (en) One piece shower pan and method of making same
JP5576207B2 (ja) 据付け基礎及びその施工方法
US7150129B2 (en) Modular step system for pools
CA2643000C (en) Mock shower drain and associated methods
EP2140072B1 (en) Drain with adjusting frame
US9107545B1 (en) One piece shower pan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160262576A1 (en) Shower hob apparatus
KR100920933B1 (ko) 조립식 내외장재
KR101580954B1 (ko) 층상배관용 슬리브지지체
US6848229B2 (en) Tile laying tool and method of using same
US9687119B2 (en) Frameless shower implement having grooved surfacing
KR200449740Y1 (ko) 건물 옥상의 편심 루프 드레인
KR101262814B1 (ko) 창틀의 수평조절용 고정구
JP3986341B2 (ja) フロアポストを用いた床下補強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376407B1 (ko) 창문 일체형 pc 패널의 구조
KR100901261B1 (ko) 상인방 벽돌 조적용 가설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상인방벽돌 조적 방법
CN210003941U (zh) 可拆装防渗套管组件
KR102583751B1 (ko) 완성형 화장실용 고정 구조
KR102452215B1 (ko) 레벨 조정장치를 이용하여 조립식 욕실을 시공하는 방법
JP3789616B2 (ja) ユニット支持脚及びそれを用いた二重床の施工方法
KR200390282Y1 (ko) 바닥판넬 고정구
KR102038505B1 (ko) 구조물용 받침대 및 그 시공 방법
KR102133798B1 (ko) 베이스 플레이트 일체형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pc 기둥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