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207B1 -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207B1
KR101827207B1 KR1020170051502A KR20170051502A KR101827207B1 KR 101827207 B1 KR101827207 B1 KR 101827207B1 KR 1020170051502 A KR1020170051502 A KR 1020170051502A KR 20170051502 A KR20170051502 A KR 20170051502A KR 101827207 B1 KR101827207 B1 KR 101827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display device
moving
pos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일
Original Assignee
김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일 filed Critical 김강일
Priority to KR1020170051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7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fed one by one from storage place to a display posi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7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movabl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립적으로 상·하방향 이동이 가능한 복수의 LED 모듈이 n×m 배열로 배치되되, 상기 LED 모듈은, LED를 내장하여 외부로 빛을 방출하는 복수의 LED 유닛; 및 복수의 상기 LED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고, 회전하여 복수의 상기 LED 유닛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포스트를 포함하는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LED 모듈이 독립적으로 수직이동 가능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Description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 DISPLAY DEVICE CAPABLE OF VERTICAL MOVEMENT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의 왕래가 빈번한 공공장소에는 광고나 홍보 등을 위해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또는 전광판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는 대개 대형 화면이 건물의 옥상이나 벽면 등에 설치되어 광고용 옥외 전광판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공연장이나 전시장 등에서 대형 화면을 형성하여 홍보나 예술적 전시효과를 나타내도록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공공장소에서 많은 사람에게 광고나 홍보 또는 전시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대형 화면을 이루어 고정 설치된 것일 뿐만 아니라 이를 위해 다수개의 디스플레이패널을 인접 배치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하지만,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정되어 설치되므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입체감을 나타내기에 어려움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05511호 (2017. 02. 06), "디스플레이 장치"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24763호 (2017. 03. 08), "모듈식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LED 모듈이 독립적으로 수직이동 가능하여 입체감을 향상시킨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특징에 따른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독립적으로 상·하방향 이동 가능한 복수의 LED 모듈이 n×m 배열로 배치되되, 상기 LED 모듈은, LED를 내장하여 외부로 빛을 방출하는 복수의 LED 유닛; 및 복수의 상기 LED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LED 유닛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포스트를 포함한다.
상기 LED 유닛은, 빛을 방출하는 LED; 및 상기 LED를 내장하고, 상기 LED 빛을 외부로 투과하는 기둥 형상의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상기 LED 유닛은 수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포스트는, 가장 하부에 배치된 상기 LED 유닛에 결합되고, 복수의 상기 LED 유닛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가장 하부에 배치된 상기 LED 유닛의 최소 위치를 제한하는 리미트센서; 및 상기 동력부에 하부에 배치되어 가장 하부에 배치된 상기 LED 유닛의 최대 위치를 제한하는 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중심에 상기 포스트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는, 복수의 상기 LED 유닛의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회전하여 복수의 상기 LED 유닛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가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가장 하부에 배치된 상기 LED 유닛의 최소 위치를 제한하는 리미트센서; 및 상기 동력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가장 하부에 배치된 상기 LED 유닛의 최대 위치를 제한하는 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 모듈은, 상기 포스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포스트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복수의 상기 LED 유닛이 배치되는 이동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상기 LED 유닛은 상기 이동플레이트 상에 n×m 배열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는,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최소 위치를 제한하는 리미트센서; 및 상기 동력부에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최대 위치를 제한하는 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은, 전(全)방향으로 빛을 투과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네일아트 팩에 의하면,
첫째, 복수의 LED 모듈이 독립적으로 수직이동 가능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둘째, 전(全)방향으로 빛을 투과할 수 있는 하우징에 의해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셋째, 포스트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LED 유닛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넷째, 이동플레이에 복수의 LED 유닛을 배치할 수 있어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LED 유닛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다섯째, 리미트센서 및 엔코더에 의해 복수의 LED 유닛의 이동범위를 한정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LED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LED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포스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용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LED 유닛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LED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용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LED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LED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용 예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LED 유닛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 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LED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LED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포스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용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LED 유닛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독립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복수의 LED 모듈(100)이 n×m 배열로 배치된다.
LED 모듈(100)은 LED 유닛(110) 및 포스트(120)를 포함하는데, LED 유닛(110)은 복수로 구비되고, LED를 내장하여 외부로 빛을 방출한다.
그리고, LED 유닛(110)은 LED 및 하우징(111)을 포함한다.
LED는 빛을 방출하고, 하우징(111)은 기둥 형상으로 LED를 내장하고, LED 빛을 외부로 투과한다.
여기서, 하우징(111)은 전(全)방향으로 LED 빛을 투과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LED 유닛(110)은 수직으로 적층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LED 유닛(110)의 개수를 8개로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포스트(120)는 복수의 LED 유닛(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회전하여 복수의 LED 유닛(11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포스트(120)는 이동부(121), 동력부(122), 리미트센서(123) 및 엔코더(124)를 포함한다.
이동부(121)는 가장 하부에 배치된 LED 유닛(110)에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복수의 LED 유닛(11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동력부(122)는 이동부(121)가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리미트센서(123)는 동력부(122)의 상부에 배치되어 가장 하부에 배치된 LED 유닛(110)의 최소 위치를 제한한다.
엔코더(124)는 동력부(122)의 하부에 배치되어 가장 하부에 배치된 LED 유닛(110)의 최대 위치를 제한한다.
본 발명의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복수의 LED 모듈(100)이 나타내는 LED 색의 조합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적용 예시도인데,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LED 모듈(100)은 독립적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LED 모듈(100)을 4×4 배열로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LED 모듈(100)에 포함된 복수의 LED 유닛(110)의 하우징(111)의 모양을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LED 유닛(110)의 하우징(111) 형상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다양한 모양의 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LED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용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2000)는 앞서 설명한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1000)와 LED 모듈(100)의 일부 구성을 제외하고 모두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LED 모듈(200)은 앞서 설명한 LED 모듈(100)과 동일한 복수의 LED 유닛(210)과 포스트(220)를 포함하고, 이동플레이트(230)를 더 포함한다.
이동플레이트(230)는 포스트(220)의 상부에 결합되어 포스트(22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복수의 LED 유닛(210)이 배치된다.
복수의 LED 유닛(210)은 이동플레이트(230) 상에 n×m 배열로 배치된다.
여기서, 이동플레이트(230) 상에 LED 유닛(210)들을 4×4 배열로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본 발명의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2000)의 적용 예시도인데,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LED 모듈(200)은 독립적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LED 모듈(200)을 3×3 배열로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LED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LED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용 예시도이며,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LED 유닛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3000)는 앞서 설명한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1000)와 LED 모듈(100)의 일부 구성을 제외하고 모두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LED 모듈(300)은 앞서 설명한 LED 모듈(100)과 동일한 복수의 LED 유닛(310)과 포스트(320)를 포함한다.
LED 유닛(310)의 하우징(311)은 중심에 포스트(320)가 관통되는 관통홀(312)이 형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LED 유닛(310)은 수직으로 적층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LED 유닛(310)의 개수를 8개로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포스트(320)는 이동부(321), 동력부(322), 리미트센서(323) 및 엔코더(324)를 포함한다.
이동부(321)는 복수의 LED 유닛(310)의 관통홀(312)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회전하여 복수의 LED 유닛(31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동력부(322)는 이동부(321)가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리미트센서(323) 및 엔코더(324)는 앞서 설명한 포스트(120)의 리미트센서(123) 및 엔코더(124)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3000)의 적용 예시도인데,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LED 모듈(300)은 독립적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LED 모듈(300)을 4×4 배열로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LED 모듈(300)에 포함된 복수의 LED 유닛(310)의 하우징(311)의 모양을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LED 유닛(310)의 하우징(311) 형상은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다양한 모양의 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의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1000, 2000, 3000)는 복수의 LED 모듈(100, 200, 300)이 각각 독립적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의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사람들에게 더욱 효과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LED 모듈 110...LED 유닛
111...하우징 120...포스트
121...이동부 122...동력부
123...리미트센서 124...엔코더
200...LED 모듈 210...LED 유닛
220...포스트 230...이동플레이트
300...LED 모듈 310...LED 유닛
311...하우징 312...관통홀
320...포스트 321...이동부
322...동력부 323...리미트센서
324...엔코더

Claims (10)

  1. 독립적으로 상하방향 이동 가능한 복수의 LED 모듈이 nm 배열로 배치되되,
    상기 LED 모듈은,
    LED를 내장하여 외부로 빛을 방출하는 복수의 LED 유닛; 및
    복수의 상기 LED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LED 유닛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LED 유닛은,
    빛을 방출하는 LED; 및
    상기 LED를 내장하고, 상기 LED 빛을 외부로 투과하는 기둥 형상의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LED 모듈은,
    상기 포스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포스트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복수의 상기 LED 유닛이 배치되는 이동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LED 유닛은 상기 이동플레이트 상에 nm 배열로 배치되며,
    상기 포스트는,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최소 위치를 제한하는 리미트센서; 및
    상기 동력부에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최대 위치를 제한하는 엔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全)방향으로 빛을 투과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70051502A 2017-04-21 2017-04-21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27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502A KR101827207B1 (ko) 2017-04-21 2017-04-21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502A KR101827207B1 (ko) 2017-04-21 2017-04-21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7207B1 true KR101827207B1 (ko) 2018-02-08

Family

ID=61232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502A KR101827207B1 (ko) 2017-04-21 2017-04-21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2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750A (ko) * 2018-07-20 2020-01-30 (주)다스콘 보이드 모듈을 이용한 표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476B1 (ko) * 2010-06-10 2011-10-17 유아트주식회사 이동식 멀티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476B1 (ko) * 2010-06-10 2011-10-17 유아트주식회사 이동식 멀티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750A (ko) * 2018-07-20 2020-01-30 (주)다스콘 보이드 모듈을 이용한 표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102219121B1 (ko) 2018-07-20 2021-02-24 (주)다스콘 보이드 모듈을 이용한 표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37684B (zh) 用于显示设备的方法
JP5080292B2 (ja) 発光ブロックおよび表示装置
US20110157885A1 (en) Cover for a light source
KR101827207B1 (ko) 수직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2483205B (zh) 用于街道的照明装置
KR101697451B1 (ko) 모듈형 발광 디스플레이 및 그 어레이
CN104111538B (zh) 显示装置
JP2013242850A (ja) 表示入力装置
JP2009301009A (ja) ボックス型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広告・宣伝方法
CN114270816B (zh) Mems驱动的具有微led阵列的光学封装
JP6115998B2 (ja) 展示装置
JP2014038310A (ja) 球形画像の表示方法および装置
JP5336092B2 (ja) 発光ブロックおよび表示装置
KR20210084107A (ko) 프로젝터
KR20090004555U (ko) 엘이디 모듈이 장착된 영상장비용 전광판
JP2012129153A (ja) 表示体用照明装置
US20210097906A1 (en) Persistence of vision (pov) display panels and systems
JP7083936B2 (ja) 演出装置
KR101074476B1 (ko) 이동식 멀티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JP2015165611A (ja) 量子ドットディスプレイおよ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表示方法
KR100783483B1 (ko) 엘이디 동영상 전광판용 엘이디 모듈
KR101945838B1 (ko) 미술품 디스플레이 장치
WO2007049362A1 (ja) Ledディスプレイユニット及びled表示装置
US20220336528A1 (en) Lighting system
JP3112407U (ja) 可視・不可視を制御可能なフロア情報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