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206B1 -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팩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206B1
KR101827206B1 KR1020170041735A KR20170041735A KR101827206B1 KR 101827206 B1 KR101827206 B1 KR 101827206B1 KR 1020170041735 A KR1020170041735 A KR 1020170041735A KR 20170041735 A KR20170041735 A KR 20170041735A KR 101827206 B1 KR101827206 B1 KR 101827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attery pack
auxiliary battery
portable terminal
charging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6953A (ko
Inventor
김재문
김도희
Original Assignee
김재문
김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문, 김도희 filed Critical 김재문
Priority to KR1020170041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7206B1/ko
Publication of KR20170116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2/2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팩에 관한 것으로, 충전 케이블의 양 말단에 서로 다른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포함하여, 마이크로 5핀 커넥터 또는 라이트닝 8핀 커넥터를 충전 커넥터로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모두 충전할 수 있으며, 일면에 점착 패드를 포함함으로 인해, 휴대 단말기를 보조 배터리 팩을 이용하여 충전 시, 자유롭게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가능하여 편의성을 높였으며, 기존 보조 배터리팩과 달리, USB 포트를 포함하지 않아, 그 크기가 소형이며, 크기의 소형화 및 충전 케이블을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되는 점에서 휴대가 용이한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팩{ASSIST BATTERY PACK FOR MOBIL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충전 케이블의 양 말단에 서로 다른 커넥터를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 인해, 하나의 보조 배터리팩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5핀 단자 또는 라이트닝 8핀 단자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팩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이동 중에 손에 들고 입력 조작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소형의 단말장치로서, 최근에 널리 사용되는 휴대폰, PDA 또는 MP3 플레이어 따위를 포함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에는 내장되거나 탈착 가능한 배터리가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하는데, 이러한 배터리는 재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구현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 사용 중 배터리가 방전되면 규격이 동일한 다른 배터리로 교체하거나 충전기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해야 휴대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애플이 개발한 스마트폰인 아이폰의 경우에는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배터리가 방전될 경우 사용자가 규격이 동일한 다른 배터리로 교체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충전기를 휴대하고 다니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또한, 최근에 삼성에서 출시한 스마트폰의 경우에도 배터리가 내장된 형태로 개발이 되고 있는 점에서 스마트 폰의 사용 빈도가 높은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내장 배터리로 인해 여러 가지 불편함이 존재한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스마트폰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2-0136146호와 같이, 휴대용 보조 배터리팩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보조 배터리팩은 용량 및 크기가 다양하게 판매가 되고 있다.
이러한 보조 배터리팩의 사용으로 인해, 배터리가 내장된 스마트폰의 경우에도, 배터리 걱정 없이 스마트폰의 사용이 가능해졌으나, 보조 배터리팩은 휴대를 목적으로 하는 점에서 무게 및 크기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애플이 개발한 스마트폰과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은 서로 충전을 위한 입력 단자의 규격이 서로 상이하여, 각각을 충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충전 케이블을 휴대해야 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에,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휴대가 용이한 보조 배터리팩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 5핀 커넥터 또는 라이트닝 8핀 커넥터를 출력단자로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모두 충전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보조 배터리 팩을 이용하여 충전 시, 자유롭게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편의성을 높이고, 크기를 소형화하고, 휴대가 용이한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로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배터리팩에 있어서, 보조 배터리팩 일면에 위치한 충전 케이블과 접속되는 제1 연결커넥터 및 제2 연결커넥터; 상기 상기 연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회로; 및 상기 제어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내장되어, 상기 연결 커넥터를 통해 휴대 단말기로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본체; 및 충전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커넥터 및 제2 연결커넥터는 본체 일면의 양 말단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충전 케이블의 양 말단은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팩에 관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에 보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회로 및 충전 케이블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배터리, 제어회로 및 충전 케이블은 기존의 보조 배터리팩에 사용되는 것들을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존의 보조 배터리팩과 달리, 출력을 위한 연결 커넥터를 두 개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의 일면에 두 개의 연결 커넥터가 위치하며, 상기 연결 커넥터는 보조 배터리 팩의 일면의 양끝 단에 각각 존재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에 충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충전 케이블은 그 길이가 보조 배터리팩의 일면의 길이로 제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충전 케이블은 본체 일면의 양끝 단에 존재하는 연결 커넥터 간의 거리만큼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충전 케이블의 양끝 단은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두 개의 커넥터는 본체의 제1 연결 커넥터 및 제2 연결 커넥터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용 보조 배터리팩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본체의 제1 연결 커넥터 및 제2 연결 커넥터에 연결시킴으로 인해, 충전 케이블을 손쉽게 보관할 수 있다. 기존의 보조 배터리팩의 경우에는 본체와 충전 케이블을 별도로 휴대해야 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팩은 충전 케이블의 양 말단에 커넥터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커넥터를 보조 배터리팩의 연결 커넥터에 연결시킬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하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상기 충전 케이블의 길이는 보조 배터리팩 본체의 두 개의 연결 커넥터가 위치한 일면의 길이와 동일하여, 충전 케이블의 두 개의 커넥터를 본체의 두 개의 연결커넥터에 연결할 경우, 본체의 일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팩은 충전 케이블을 별도로 휴대하지 않고, 본체의 제1 연결 커넥터 및 제2 연결 커넥터에 연결시킴으로 인해, 본체와 함께 휴대가 가능하다. 또한, 보조 배터리팩 본체의 제1 연결 커넥터 및 제2 연결 커넥터는 본체 일면의 양끝 단에 각각 존재하고 있는 점에서, 충전 케이블의 길이가 본체 일면의 길이보다 짧을 경우에는 충전 케이블의 양 말단에 존재하는 커넥터를 본체의 연결 커넥터에 연결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충전 케이블의 길이가 본체의 일면의 길이보다 길 경우에는 본체의 연결 커넥터에 커넥터를 연결시키는 것은 문제가 없지만, 케이블 선이 지나치게 길어 휴대시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배터리 팩 본체의 두 개의 연결 커넥터가 위치한 일면의 길이와 충전 케이블의 길이가 일치하며, 충전 케이블의 두 개의 커넥터를 본체의 두 개의 연결 커넥터에 연결할 경우, 본체의 일면을 구성하도록 하여, 휴대용 보조 배터리팩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보관 및 휴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는 휴대 단말기의 연결 커넥터에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의 제1 및 제2 커넥터는 서로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마이크로 8 핀 커넥터 또는 마이크로 5핀 커넥터이다. 상기와 같이, 충전 케이블의 양 말단은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말단의 커넥터는 휴대용 보조 배터리팩 본체의 연결 커넥터와 연결할 수 있지만,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의 연결 커넥터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케이블 양 말단의 커넥터는 서로 상이한 커넥터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양 말단의 커넥터 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충전 케이블 양 말단의 커넥터는 마이크로 5핀 커넥터 또는 라이트닝 8핀 커넥터이다. 즉, 일 말단이 마이크로 5핀 커넥터일 경우, 다른 말단은 라이트닝 8핀 커넥터이다.
일반적으로 애플사에서 개발하여 판매하는 스마트폰의 경우, 출력 단자가 라이트닝 8핀 커넥터로, 충전을 위해서는 충전 케이블의 말단이 라이트닝 8핀 커넥터일 경우에만 가능하다. 또한,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의 경우, 출력 단자가 마이크로 5핀 커넥터로, 충전을 위해서는 충전 케이블의 말단이 마이크로 5핀 커넥터일 경우에만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팩은 충전 케이블이 라이트닝 8핀 커넥터 및 마이크로 5핀 커넥터를 모두 포함함으로 인해, 필요에 따라, 라이트닝 8핀 커넥터를 사용하거나, 마이크로 5핀 커넥터를 사용하여 휴대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팩 본체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원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충전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커넥터는 마이크로 5핀 커넥터이며, 충전 커넥터를 통해 입력된 전원은 보조 배터리팩 본체의 배터리로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제어회로는 USB 충전포트를 통해 입력되고, 상기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전원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보조 배터리팩 본체의 일면은 휴대 단말기와 부착하기 위한 점착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점착 패드는 구체적으로, a) 두께가 0.5 내지 1.5mm인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기반 폼 시트를 포함하는 접착부; 및 b) 두께가 1.0 내지 2.0 mm인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폼 시트를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으로 구성된 점착 패드를 제공하며, 상기 점착 패드는 거치 물품을 지지 또는 고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 및 폴리우레탄 폼 시트가 모두 다공성으로, 우수한 탄력성 및 복원력을 가진다. 상기 폴리우레탄 폼 시트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폼 70-75 중량%;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20-25 중량%;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 0.01-1 중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는 추가적으로 착색 안료를 1 내지 10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색 안료가 카본 블랙, 산화티탄 또는 산화철일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폼 시트는 폴리우레탄 폼 74-75 중량%; 칼슘 카보네이트 24-25 중량%; 폴리이소시아네이트 0.01-0.08 중량%; 및 블랙 카본 0.01-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팩에 관한 것으로, 충전 케이블의 양 말단에 서로 다른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포함하여, 마이크로 5핀 커넥터 또는 라이트닝 8핀 커넥터를 출력단자로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모두 충전할 수 있으며, 일면에 점착 패드를 포함함으로 인해, 휴대 단말기를 보조 배터리 팩을 이용하여 충전 시, 자유롭게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가능하여 편의성을 높였으며, 기존 보조 배터리팩과 달리, USB 포트를 포함하지 않아, 그 크기가 소형이며, 크기의 소형화 및 충전 케이블을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되는 점에서 휴대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팩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충전 케이블이 보조 배터리팩에 결합한 모습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팩을 충전하는 모습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충전 케이블을 이용하여 애플사의 아이폰을 충전하는 모습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충전 케이블을 이용하여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모습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용 보조 배터리팩을 휴대 단말기에 부착하고, 충전하는 모습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충전 케이블의 양 말단의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100: 보조 배터리팩 본체
110: 제1 연결 커넥터
120: 제2 연결 커넥터
200: 충전 케이블
210: 제1 커넥터
220: 제2 커넥터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실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팩에 관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팩은 크게 보조 배터리팩 본체(100)와 충전 케이블(200)로 구성된다. 보조 배터리팩 본체(100) 일면의 양 말단은 제1 연결 커넥터(110) 및 제2 연결 커넥터 (120)를 포함하고 있으며, 충전 케이블(200)의 양 말단은 제1 커넥터(210) 및 제2 커넥터(220)를 포함하고 있다. 충전 케이블(200)은 제1 연결 커넥터(110) 및 제2 연결 커넥터(120)가 위치한 일면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충전 케이블(200)의 양 말단인 제1 커넥터(210)과 제2 커넥터(220)를 제1 연결 커넥터(110) 및 제2 연결 커넥터(120)에 연결할 경우, 충전 케이블의 길이가 휴대용 보조 배터리팩 본체의 일면과 일치함으로 인해, 보조 배터리팩 본체의 일면을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점으로 인해 보관이 용이하고, 휴대성이 높아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충전 케이블이 보조 배터리팩에 결합한 모습에 관한 것으로, 상기 도 2의 보조 배터리팩은 겉 커버를 제거하고, 내부의 기판과 배터리만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휴대용 보조 배터리팩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충전 케이블의 양 말단의 단자를 보조 배터리팩 본체의 연결 커넥터에 연결할 수 있으며, 연결함으로 인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팩을 충전하는 모습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보조 배터리팩 본체의 제1 연결 커넥터(110) 및 제2 연결 커넥터(120)가 존재하는 일면에 충전 커넥터를 추가로 포함하여, 외부 전원에 의해 보조 배터리팩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보조 배터리팩의 배터리는 사용하지 않을 때 또는 휴대 단말기의 충전 중인 경우에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이 가능하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에 별도의 LED 램프를 포함시켜, 충전 중일 경우에는 기판의 LED 램프의 빛에 의해 휴대용 배터리팩을 충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충전 케이블을 이용하여 애플사의 아이폰을 충전하는 모습에 관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충전 케이블을 이용하여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모습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가 서로 다른 출력 단자를 포함함으로 인해, 별도의 충전 케이블을 휴대해야 되는 불편을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애플사의 아이폰을 충전하기 위해서는 제1 커넥터를 애플사의 아이폰의 출력 단자에 연결시켜 아이폰의 충전이 가능하다. 즉, 제1 커넥터는 라이트닝 8핀 커넥터로 구성됨으로 인해, 라이트닝 8핀 커넥터를 포함하는 아이폰의 충전이 가능하다. 반대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해서는 제2 커넥터를 스마트폰의 출력 단자에 연결하여 충전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2 커넥터는 마이크로 5핀 커넥터이며, 마이크로 5핀 커넥터를 출력 단자로 포함하는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의 충전이 가능하다. 상기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나의 충전 케이블을 통해, 서로 다른 출력 단자를 같는 휴대 단말기의 충전이 가능하며, 이러한 점으로 인해, 기존 보조 배터리팩과 달리 별도의 충전 케이블을 휴대하지 않아도 된다고 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용 보조 배터리팩을 휴대 단말기에 부착하고, 충전하는 모습에 관한 것으로, 보조 배터리팩 본체의 일면은 휴대 단말기와 부착하기 위한 점착 패드를 포함한다. 점착 패드를 포함함으로 인해, 보조 배터리팩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를 충전할 때,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점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보조 배터리팩의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 케이블로 보조 배터리팩을 연결한 이후, 양손을 사용하여 휴대 단말기 및 보조 배터리팩을 들고 있거나, 한손으로 휴대 단말기 및 보조 배터리팩을 함께 쥐고 있어야 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보조 배터리팩의 크기가 커서, 휴대 단말기와 보조 배터리팩을 한손으로 들기 어렵거나, 휴대 중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팩은 휴대 단말기와 점착할 수 있는 점착 패드를 포함하고, 연결 커넥터 및 충전 커넥터로 USB 포트를 포함하지 않아, 기존의 보조 배터리팩과 달리 두께를 최소화하여, 충전시 휴대하기가 간편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충전 케이블의 양 말단의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일 말단의 제1 커넥터를 라이트닝 8핀 커넥터이고, 다른 말단의 제2 커넥터는 마이크로 5핀 커넥터이다. 라이트닝 8핀 커넥터는 8핀으로 구성되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맨 하단의 핀을 1번 핀으로 나타내고, 위로 올라갈수록 2핀, 3핀 순으로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마이크로 5핀 커넥터는 5핀으로 구성되며, 맨 하단의 핀을 1번 핀으로 나타내고 위로 올라갈수록 2핀, 3핀 순으로 나타낸다. 단순하게 충전 케이블의 양 말단을 마이크로 5핀 커넥터로 연결하고, 다른 말단을 라이트닝 8핀 커넥터로 연결한다 하더라도, 본 발명과 같이, 라이트닝 8핀 커넥터 또는 마이크로 5핀 커넥터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충전이 모두 가능한 것은 아니다.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라이트닝 8핀 커넥터와 마이크로 5핀 커넥터를 연결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라이트닝 8핀 커넥터의 4번 핀과 마이크로 5핀 커넥터의 1번 핀을 서로 연결해야 한다. 또한, 라이트닝 8핀 커넥터의 1번 핀 및 마이크로 5핀 커넥터의 5번 핀은 접지와 연결된다.

Claims (6)

  1. 휴대 단말기로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배터리팩에 있어서,
    보조 배터리팩 일면에 위치한 충전 케이블과 접속되는 제1 연결커넥터 및 제2 연결커넥터;
    상기 상기 연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회로; 및
    상기 제어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내장되어, 상기 연결 커넥터를 통해 휴대 단말기로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본체; 및
    충전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커넥터 및 제2 연결커넥터는 본체 일면의 양 말단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충전 케이블의 양 말단은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는 휴대 단말기의 연결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는 서로 상이한 종류의 커넥터인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케이블의 길이는 보조 배터리팩 본체의 두 개의 연결 커넥터가 위치한 일면의 길이와 동일하여,
    충전 케이블의 두 개의 커넥터를 본체의 두 개의 연결커넥터에 연결할 경우, 본체의 일면을 구성하는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팩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원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충전 커넥터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팩.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팩의 일면은 휴대 단말기와 부착하기 위한 점착 패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팩.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는 휴대 단말기의 연결커넥터에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의 제1 커넥터는 라이트닝 8 핀 커넥터이며, 제2 커넥터는 마이크로 5핀 커넥터인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팩.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케이블은 제1 커넥터의 4번 핀과 제2 커넥터의 1번 핀을 전선으로 연결한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팩.
KR1020170041735A 2017-03-31 2017-03-31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팩 KR101827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735A KR101827206B1 (ko) 2017-03-31 2017-03-31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735A KR101827206B1 (ko) 2017-03-31 2017-03-31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945 Division 2016-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953A KR20170116953A (ko) 2017-10-20
KR101827206B1 true KR101827206B1 (ko) 2018-02-08

Family

ID=60299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735A KR101827206B1 (ko) 2017-03-31 2017-03-31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2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166Y1 (ko) * 2018-07-03 2023-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속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보조 전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9049A (ja) 2002-01-18 2003-07-31 Pioneer Electronic Corp 充電ケーブル
JP2011182566A (ja) 2010-03-02 2011-09-15 Yasuyuki Uchida 充電源装置
JP2014011862A (ja) 2012-06-29 2014-01-20 Sango:Kk 携帯機器充電用台及び収納棚
US20160043584A1 (en) * 2014-08-07 2016-02-11 Shenzhen Wistek Energy Co., Ltd. Mobile power supply, charging base and superimposed charging platfor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9049A (ja) 2002-01-18 2003-07-31 Pioneer Electronic Corp 充電ケーブル
JP2011182566A (ja) 2010-03-02 2011-09-15 Yasuyuki Uchida 充電源装置
JP2014011862A (ja) 2012-06-29 2014-01-20 Sango:Kk 携帯機器充電用台及び収納棚
US20160043584A1 (en) * 2014-08-07 2016-02-11 Shenzhen Wistek Energy Co., Ltd. Mobile power supply, charging base and superimposed charging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953A (ko) 2017-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309B1 (ko)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US20090314400A1 (en) Protective Cover With Power Supply Un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1152820B2 (en) Charge sharing battery pack for telephone
EP3051800A1 (en) Smart phone and external micro-projector thereof
US8204551B2 (en) Attachable battery pack for intelligent cell phone
KR101437948B1 (ko)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
KR101827206B1 (ko)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팩
CN201263470Y (zh) 带供电功能的手机套
CN201797005U (zh) 苹果手机背夹式外挂电池
CN205791702U (zh) 电子设备支架
CN210693515U (zh) 一种多功能充电宝
KR20190106267A (ko) 무선충전용 보조배터리를 구비하는 다이어리
KR20170131311A (ko) 핸드폰 충전 잭 보호 고정대
KR200476108Y1 (ko) 전자기기와 연동되는 다기능 허리 벨트
CN204349505U (zh) 一种支架式移动电源
US20170224028A1 (en) Portable charging apparatus and pants that allow charging using the same
CN110602590B (zh) 蓝牙耳机
KR200481073Y1 (ko) 밀착형 보조 배터리
KR200493197Y1 (ko) 보조 배터리 장치
KR20150102634A (ko) 휴대용 보조 배터리가 부착된 이어폰
CN204334891U (zh) 一种蓝牙耳机及配套使用的蓝牙充电装置
KR20150106296A (ko)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
CN204928229U (zh) 一种手机便携随身移动电源
CN208257443U (zh) 一种便于携带的手机无线充电器
CA2486877A1 (en) Carrying case with solar charger mounted on top for portabl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