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845B1 -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장치 - Google Patents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845B1
KR101826845B1 KR1020170027870A KR20170027870A KR101826845B1 KR 101826845 B1 KR101826845 B1 KR 101826845B1 KR 1020170027870 A KR1020170027870 A KR 1020170027870A KR 20170027870 A KR20170027870 A KR 20170027870A KR 101826845 B1 KR101826845 B1 KR 101826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specific
tracking
location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오심
권기대
조성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이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이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이콤
Priority to KR1020170027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8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장치는 도서관 천장에 배치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 어레이와 연결되어 소장 도서의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장치는 책장에 배열되어 있고 RFID 태그를 부착한 특정 도서의 위치 변경을 상기 RFID 리더 어레이를 통해 검출하는 도서위치변경 검출부, 상기 특정 도서의 위치변경이 발생하면 상기 특정 도서를 추적 후보군에 포함시키는 도서추적후보 결정부 및 상기 추적 후보군에 있는 추적 후보 도서의 실시간 위치를 특정 시간마다 추적하는 도서위치 추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장치{APPARATUS FOR BOOK MANAGEMENT BASED ON TRACKING LOCATION}
본 발명은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서관 천장에 배치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 어레이와 연결되어 소장 도서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공공기관 등에서 운영하는 각 도서관은 학생이나 일반인을 위하여 대량의 학술자료 및 일반 도서들을 비치하고 있다. 도서관 이용자들은 도서관에 비치된 각종 도서들을 열람한 후 특정 도서의 대출을 원할 경우 도서관 측에 대출을 신청하고, 정해진 대출 기간이 종료되기 이전에 대출받은 해당 도서를 반납하게 된다.
기존 도서관은 양적, 질적으로 팽창하는 단계에 있으며, 그에 따른 도서 관리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개가식으로 이용되는 도서관 및 학교나 공공기관의 도서관에는 도서의 위치 이동에 따른 도서 정리를 위하여 적지 않은 인원과 시간은 투여하고 있다. 그러나, 인력의 고용에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어 별도의 도서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절실한 상황이다.
기존 도서관의 문제점 중 하나는 도서의 도난 또는 파손되지 않았더라도 원래의 지정된 위치가 아닌 곳에 있을 경우에 사람이 일일이 찾아서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켜야 하며, 이는 소장 도서의 규모가 큰 경우에 쉽게 수행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따라서, 도서의 위치가 지정된 위치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 사용자가 도서관에서 책을 찾고자 한다면 도서의 대출 기록 등을 통하여 도서가 도서관 내에 존재한다는 사실 정도는 알 수 있으나, 그 책의 정확한 위치를 알지 못하여 원하는 책을 접할 수 없게 된다. 도서관의 소장 도서가 아무리 많더라도 도서 정리의 미흡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책을 읽을 수 없는 상황이라면 도서관의 존재 자체가 무의미해 지는 결과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RFID를 이용한 도서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선행기술이 다수 존재하며, 대부분 도서를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수고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RFID를 이용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31246호는 RFID를 이용한 도서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큰 규모의 도서관에서 자신이 원하는 도서를 좀 더 편리하게 찾을 수 있는 해결방법을 제시하여 더욱 개선된 도서관리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7719호는 RFID 시스템을 이용하여 도서관 내의 도서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도서검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서의 정확한 위치를 선반의 LED를 점등시켜 알려주는 기술을 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31246호(2009.12.03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7719호(2005.01.21 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실질적인 각 도서에 대한 위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간 위치추적을 기반으로 실시간 도서 위치 추적, 도서 찾기, 도서관 자료실 맵을 통한 이동경로 서비스 제공할 수 있는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장치는 도서관 천장에 배치된 RFID 리더(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어레이와 연결되어 소장 도서의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장치는 책장에 배열되어 있고 RFID 태그를 부착한 특정 도서의 위치변경을 상기 RFID 리더 어레이를 통해 검출하는 도서위치변경 검출부, 상기 특정 도서의 위치변경이 발생하면 상기 특정 도서를 추적 후보군에 포함시키는 도서추적후보 결정부 및 상기 추적 후보군에 있는 추적 후보 도서의 실시간 위치를 특정 시간마다 추적하는 도서위치 추적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서위치변경 검출부는 상기 특정 도서가 제1 시점에 제1 RFID 리더에 의해 검출되고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특정 시간 이상 경과한 제2 시점에 제2 RFID 리더에 의해 검출되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특정 도서의 위치변경을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서위치변경 검출부는 상기 특정 시간 단위로 상기 특정 도서와 가장 높게 연관된 특정 RFID 리더를 검출하고, 상기 특정 도서와 상기 특정 RFID 리더의 식별자를 연관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특정 시간은 다음의 수학식을 기초로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T={Rmax*(Nmax-N)}/(Vmax*Nmax)
여기에서, T는 상기 특정 도서에 대한 상기 특정 시간, Rmax는 RFID 리더 어레이의 최대 인식 거리, Nmax는 RFID 리더 어레이의 단위시간당 최대 인식 횟수, N은 상기 특정 도서의 현재 위치에서의 RFID 리더기의 단위시간당 인식 횟수, Vmax는 RFID 태그의 최대 신호 전송 속도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서추적후보 결정부는 상기 특정 도서의 위치가 책장존에서 비열람존으로 변경되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특정 도서를 상기 추적 후보군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장치는 과거 특정 시간 동안 추적된 모든 서적들의 위치 분포도를 기초로 상기 책장존, 상기 비열람존 및 상기 열람존에 관한 위치 경계를 동적으로 결정하는 존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존 결정부는 상기 RFID 리더 어레이를 통해 전체 존에 대한 서적 밀집도를 산출하고 제1 특정 밀집도 이상의 존을 상기 책장존으로 결정하고 제2 특정 밀집도 이하를 상기 비열람존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서추적후보 결정부는 상기 특정 도서의 위치가 특정 시간 이상 동안 동일한지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특정 도서를 상기 추적 후보군에서 제외시키는 것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서위치 추적부는 사용자가 요청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도서에 대한 실시간 위치를 추적하여 제공하는 것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서위치 추적부는 상기 특정 도서의 실시간 위치가 책장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책장존인 경우에는 상기 특정 도서의 서지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서위치 추적부는 상기 추적 후보 도서에 관한 위치추적 정보를 추적내역 수집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도서의 실시간 위치를 도서관 자료실 맵 위에 표시하는 도서위치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서위치 표시부는 상기 특정 도서의 과거 특정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위치를 시계열순서에 따라 상기 도서관 자료실 맵 위에 표시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실질적인 각 도서에 대한 위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간 위치추적을 기반으로 실시간 도서 위치 추적, 도서 찾기, 도서관 자료실 맵을 통한 이동경로 서비스 제공할 수 있는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도서관리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도서관리장치에서 수행되는 도서위치추적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무선으로 사물을 인식하는 기술로서 크게 인식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RFID 태그와 그 정보를 읽는 RFID 리더로 구분되는데, 이러한 RFID 태그와 리더는 각각에 장착된 안테나를 이용해 전자기파를 매개체로 정보의 전달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서관의 각 도서에 RFID 태그가 부착되어 있고, 각 도서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신호를 인식하여 도서관의 소장 도서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제공하며, 이러한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RFID 태그 칩에 ID 데이터뿐만이 아니라 사전에 정확한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위치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저장하여 활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서관리시스템(100)은 RFID 리더 어레이(110), 도서관리장치(120) 및 추적내역 수집 서버(130)를 포함하고, 이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RFID 리더 어레이(110)는 도서관리장치(120) 및 추적내역 수집 서버(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RFID 리더 어레이(110)는 안테나, 분배기 및 데이터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안테나는 각 도서에 부착된 RFID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RFID의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되보냄으로써 도서의 존재 및 위치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어레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분배기는 안테나와 데이터 송수신기 사이에 연결되어 안테나를 확장 시킬 수 있고, 데이터 송수신기는 RFID 태그를 인식하여 수집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도서관리장치(120) 및 추적내역 수집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RFID 리더 어레이(110)는 도서관 천장에 복수개의 RFID 리더기가 어레이 형태로 배치되어 있고, RFID 리더 어레이(110)에서 인식하는 범위는 책장존(112), 비열람존(114) 및 열람존(116)으로 구분될 수 있다.
책장존(112)은 도서관 내부에서 복수의 도서를 장기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책장이 모여 있는 곳에 해당하고, 각각의 책장 별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범위의 책장존(112)이 설정될 수 있다.
책장존(112)의 수는 도서관에 위치한 도서보관 책장의 수만큼 존재할 수 있고, 책장존(112)의 식별번호는 도서관에 위치한 도서보관 책장의 일련번호 순으로 매칭되지만 이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책장존(112)은 도서관리장치(120)에서 RFID 리더의 인식 오차에 따른 도서의 이동 식별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존재할 수 있다.
도서관리장치(120)는 특정 도서의 위치 인식이 특정 도서가 보관되어 있는 특정 책장존 내에서 변경되면 해당 특정 도서의 위치 변경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여 처리할 수 있다.
열람존(116)은 도서관 내부에서 도서를 열람할 수 있는 곳에 해당하고,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열람존(116)은 사용자가 도서를 대출하지 않고 열람실에서 도서에 관심을 가지는 경우에 대한 도서 열람 통계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서관리장치(120)는 대출여부, 다른 위치로 이동여부 등을 기초로 특정 도서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관리장치(120)는 특정 도서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해당 도서를 추적후보군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도서관리장치(120)는 도서관 내의 다른 위치로 이동한 도서를 추적후보군에 포함시켜 추적내역 수집 서버(130)로 해당 도서의 실시간 위치추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서관리장치(120)는 추적후보군에 포함된 특정 도서에 대한 데이터를 도서위치를 추적할 때 활용할 수 있다.
비열람존(114)은 도서관 내부에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책장존(112) 및 열람존(116)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 해당하고, 비열람존(114)은 특정 도서의 위치가 책장존(112)에서 다른 책장존(112) 또는 열람존(116)으로 이동하는 중간 단계를 인식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RFID 리더 어레이(110)는 복수의 RFID 리더기들 중 제1 리더(110a)에서 인식된 특정 도서가 다른 위치의 리더기인 제2 리더(110b)에서 인식되는 경우 특정 도서의 위치가 제1 리더(110a)의 위치에서 제2 리더(110b)의 위치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러한 특정 도서의 위치 이동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도서관리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서관리장치(120)는 RFID 리더 어레이(110) 및 추적내역 수집 서버(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서관리장치(120)는 도서관 천장에 배치된 RFID 리더 어레이와 연결되어 도서관에 소장된 도서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추적내역 수집 서버(130)는 RFID 리더 어레이(110) 및 도서관리장치(12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해당한다. 추적내역 수집 서버(130)는 RFID 리더 어레이(110)에서 제공한 도서 위치 정보 및 위치 변경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도서관리장치(120)에서 제공한 도서 위치추적 정보를 시계열 순서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도서관리장치(120)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도서관리장치(120)는 도서위치변경 검출부(210), 도서추적후보 결정부(220), 도서위치 추적부(230), 도서위치 표시부(240), 존 결정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도서위치변경 검출부(210)는 RFID 리더 어레이를 통해 책장에 배열될 수 있고, RFID 태그를 부착한 특정 도서의 위치변경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위치변경 검출부(210)는 특정 도서가 제1 시점에 RFID 리더 어레이(110) 상의 제1 RFID 리더(110a)에 의해 검출되고 제1 시점으로부터 특정 시간 이상 경과한 제2 시점에 제2 RFID 리더(110b)에 의해 검출되는지 여부를 기초로 특정 도서의 위치변경을 인식할 수 있다.
도서위치변경 검출부(210)는 특정 시간 단위로 특정 도서와 가장 높게 연관된 특정 RFID 리더를 검출할 수 있고, 특정 도서와 특정 RFID 리더의 식별자를 연관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시간은 다음의 수학식을 기초로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T={Rmax*(Nmax-N)}/(Vmax*Nmax)
여기에서, T는 특정 도서에 대한 특정 시간, Rmax는 RFID 리더 어레이의 최대 인식 거리, Nmax는 RFID 리더 어레이의 단위시간당 최대 인식 횟수, N은 특정 도서의 현재 위치에서의 RFID 리더기의 단위시간당 인식 횟수, Vmax는 RFID 태그의 최대 신호 전송 속도에 해당한다.
수학식은 RFID 태그의 인식거리에 따라 생길 수 있는 오차 범위를 축소시키기 위해 태그에 저장된 위치 정보와 단위 시간당 태그의 인식 횟수를 이용하여 특정 시간에 대한 결정하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예를 들어, RFID 태그가 듬성하게 위치할 경우에는 약 5m의 인식거리 오차를 가질 수 있지만, 단위시간당 인식 횟수와 태그에 내재된 위치정보를 이용하면 보다 적은 오차 범위 내에서 위치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도서추적후보 결정부(220)는 특정 도서의 위치변경이 발생하면 특정 도서를 추적 후보군에 포함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서추적후보 결정부(220)는 특정 도서의 위치가 책장존(112)에서 비열람존(114)으로 변경되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특정 도서를 추적 후보군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추적후보 결정부(220)는 추적 후보군에 있는 추적 후보 도서의 위치가 특정 시간 이상 동안 동일한지 여부를 기초로 추적 후보 도서에서 제외할 수 있다. 특정 시간 이상의 간격은 일반적인 사용자의 도서관 이용 패턴을 고려할 때, 사용자에 의해 열람되거나 이동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위치 변동 가능 시간 간격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사용자에 의해 도서관리장치(120)에서 설정될 수 있다.
존 결정부(250)는 과거 특정 시간 동안 검색된 모든 서적들의 위치 분포도를 기초로 책장존(112), 비열람존(114) 및 열람존(116)에 관한 위치 경계를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존 결정부(250)는 RFID 리더 어레이(110)를 통해 전체 존에 대한 서적 밀집도를 산출할 수 있고, 제1 특정 밀집도 이상의 존을 책장존(112)으로 결정하고 제2 특정 밀집도 이하의 존을 비열람존(114)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서위치 추적부(230)는 추적후보 도서에 관한 위치추적 정보를 추적내역 수집 서버(130)에 제공할 수 있다. 추적내역 수집 서버(130)에 제공된 위치추적 정보는 도서 찾기 요청이 있는 경우 또는 특정 도서에 대한 이동 경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위치 추적부(230)는 사용자가 요청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도서에 대한 실시간 위치를 추적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서위치 추적부(230)는 추적 후보군에 포함된 도서 전부에 대해 특정 시간마다 실시간 위치를 추적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특정 도서에 대해서 해당 요청시점의 위치를 추적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위치 추적부(230)는 특정 도서의 실시간 위치가 책장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책장존인 경우에는 상기 특정 도서의 서지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지 정보는 도서의 제목, 저자, 출간일 등 기본적인 정보는 물론 도서관에서 부여한 도서관리번호, 대출정보, 책장정보 등의 기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서위치 표시부(240)는 도서위치 추적부(230)에 의해 추적된 추적도서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도 2에 미도시)에 표시할 수 있다.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컴퓨터 모니터, 스마트폰 액정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림 및 영상 등을 출력해서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위치 표시부(240)는 특정 도서의 실시간 위치를 도서관 자료실 맵 위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위치 표시부(240)는 특정 도서의 과거 특정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위치를 도서관 자료실 맵 위에 전부 나타내어 도서의 이동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과거 특정 시점은 특정 도서가 책장존에서 벗어났을 때부터 자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도서관리장치(120)에서 설정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위치 표시부(240)는 특정 도서의 과거 특정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위치를 시계열순서에 따라 도서관 자료실 맵 위에 표시할 수 있다. 도서위치 표시부(240)는 전체 이동 경로상의 특정 위치에 추적 당시의 시간을 표시할 수도 있고 시계열순서로 이동 경로를 따라 위치를 차례로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260)는 도서관리장치(12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도서위치변경 검출부(210), 도서추적후보 결정부(220), 도서위치 추적부(230), 도서위치 표시부(240) 및 존 결정부(2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도서관리장치에서 수행되는 도서위치추적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서위치변경 검출부(210)는 책장에 배열되어 있고 RFID 태그를 부착한 특정 도서의 위치변경을 RFID 리더 어레이를 통해 검출할 수 있다(단계 S310). 일 실시예에서, 도서위치변경 검출부(210)는 특정 도서가 제1 시점에 RFID 리더 어레이(110) 상의 제1 RFID 리더(110a)에 의해 검출되고 제1 시점으로부터 특정 시간 이상 경과한 제2 시점에 제2 RFID 리더(110b)에 의해 검출되는지 여부를 기초로 특정 도서의 위치변경을 인식할 수 있다.
도서추적후보 결정부(220)는 특정 도서의 위치변경이 발생하면 특정 도서를 추적 후보군에 포함시킬 수 있다(단계 S320). 일 실시예에서, 도서추적후보 결정부(220)는 특정 도서의 위치가 책장존(112)에서 비열람존(114)으로 변경되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특정 도서를 추적 후보군에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도서추적후보 결정부(220)는 특정 도서의 위치가 특정 시간 이상 동안 동일한지 여부를 검출하여 특정 도서를 추적 후보군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도서위치 추적부(230)는 추적 후보군에 있는 추적 후보 도서의 실시간 위치를 특정 시간마다 추적할 수 있다(단계 S330). 일 실시예에서, 도서위치 추적부(230)는 추적 후보 도서에 관한 위치추적 정보를 추적내역 수집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도서위치 추적부(230)는 사용자가 요청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도서에 대한 실시간 위치를 추적하여 제공하거나 특정 도서의 실시간 위치가 책장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책장존인 경우에는 특정 도서의 서지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도서위치 표시부(240)는 도서위치 추적부(230)에서 추적된 특정 도서의 실시간 위치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단계 S340). 일 실시예에서, 도서위치 표시부(240)는 특정 도서의 실시간 위치를 도서관 자료실 맵 위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도서위치 표시부(240)는 특정 도서의 과거 특정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위치를 시계열순서에 따라 도서관 자료실 맵 위에 표시하여 전체 이동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도서관리시스템
110: RFID 리더 어레이
110a: 제1 RFID 리더 110b: 제2 RFID 리더
112: 책장존 114: 비열람존
116: 열람존
120: 도서관리장치 130: 추적내역 수집 서버
210: 도서위치변경 검출부 220: 도서추적후보 결정부
230: 도서위치 추적부 240: 도서위치 표시부
250: 존 결정부 260: 제어부

Claims (13)

  1. 도서관 천장에 배치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 어레이와 연결된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장치에 있어서,
    책장에 배열되어 있고 RFID 태그를 부착한 특정 도서의 위치변경을 상기 RFID 리더 어레이를 통해 검출하는 도서위치변경 검출부;
    상기 특정 도서의 위치변경이 발생하면 상기 특정 도서를 추적후보군에 포함시키는 도서추적후보 결정부; 및
    상기 추적 후보군에 있는 추적 후보 도서의 실시간 위치를 특정 시간마다 추적하는 도서위치 추적부를 포함하되,
    상기 특정 도서의 위치는 상기 특정 도서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신호를 가장 높은 신호 강도로 인식한 특정 RFID 리더의 위치를 기초로 결정하고,
    상기 도서추적후보 결정부는
    상기 특정 도서의 위치가 책장존에서 비열람존으로 변경되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특정 도서를 상기 추적 후보군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위치변경 검출부는
    상기 특정 도서가 제1 시점에 제1 RFID 리더에 의해 검출되고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특정 시간 이상 경과한 제2 시점에 제2 RFID 리더에 의해 검출되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특정 도서의 위치변경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위치변경 검출부는
    상기 특정 시간 단위로 상기 특정 도서와 가장 높게 연관된 특정 RFID 리더를 검출하고, 상기 특정 도서와 상기 특정 RFID 리더의 식별자를 연관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시간은
    다음의 수학식을 기초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장치.
    [수학식]
    T={Rmax*(Nmax-N)}/(Vmax*Nmax)
    상기 수학식에서, T는 상기 특정 도서에 대한 상기 특정 시간, Rmax는 RFID 리더 어레이의 최대 인식 거리, Nmax는 RFID 리더 어레이의 단위시간당 최대 인식 횟수, N은 상기 특정 도서의 현재 위치에서의 RFID 리더기의 단위시간당 인식 횟수, Vmax는 RFID 태그의 최대 신호 전송 속도에 해당한다.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과거 특정 시간 동안 추적된 모든 서적들의 위치 분포도를 기초로 상기 책장존, 상기 비열람존 및 열람존에 관한 위치 경계를 동적으로 결정하는 존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존 결정부는
    상기 RFID 리더 어레이를 통해 전체 존에 대한 서적 밀집도를 산출하고 제1 특정 밀집도 이상의 존을 상기 책장존으로 결정하고 제2 특정 밀집도 이하를 상기 비열람존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추적후보 결정부는
    상기 특정 도서의 위치가 특정 시간 이상 동안 동일한지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특정 도서를 상기 추적 후보군에서 제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위치 추적부는
    사용자가 요청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도서에 대한 실시간 위치를 추적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위치 추적부는
    상기 특정 도서의 실시간 위치가 책장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책장존인 경우에는 상기 특정 도서의 서지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위치 추적부는
    상기 추적 후보 도서에 관한 위치추적 정보를 추적내역 수집 서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도서의 실시간 위치를 도서관 자료실 맵 위에 표시하는 도서위치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위치 표시부는
    상기 특정 도서의 과거 특정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위치를 시계열순서에 따라 상기 도서관 자료실 맵 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장치.

KR1020170027870A 2017-03-03 2017-03-03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장치 KR101826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870A KR101826845B1 (ko) 2017-03-03 2017-03-03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870A KR101826845B1 (ko) 2017-03-03 2017-03-03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845B1 true KR101826845B1 (ko) 2018-02-08

Family

ID=61232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870A KR101826845B1 (ko) 2017-03-03 2017-03-03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8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1452A (ko) 2021-09-17 2023-03-24 주식회사 디에이치테크 도서 위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260B1 (ko) * 2012-07-05 2013-01-21 (주)포스비브테크 도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도서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도서의 위치 확인 방법
JP2016177409A (ja) * 2015-03-19 2016-10-06 三菱電機インフォメーションシステムズ株式会社 図書館業務支援装置、図書館業務支援プログラム及び貸与業務支援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260B1 (ko) * 2012-07-05 2013-01-21 (주)포스비브테크 도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도서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도서의 위치 확인 방법
JP2016177409A (ja) * 2015-03-19 2016-10-06 三菱電機インフォメーションシステムズ株式会社 図書館業務支援装置、図書館業務支援プログラム及び貸与業務支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1452A (ko) 2021-09-17 2023-03-24 주식회사 디에이치테크 도서 위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6651B2 (en) Displaying information relating to a designated marker
Cheng et al. Cycle-by-cycle queue length estimation for signalized intersections using sampled trajectory data
Ting et al. The study on using passive RFID tags for indoor positioning
US7378968B2 (en) Detecting the position of an RFID attached asset
Andrienko et al. Understanding movement data quality
US9521518B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object location tracking
Lu et al. Localization algorithm based on maximum a posteriori in wireless sensor networks
JP2008516353A (ja) Rf−id技術を利用した機器をトラッキング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CA2940966C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marketing, and/or attributing interest in one or more real estate properties
Pearson et al. BookMark: Appropriating existing infrastructure to facilitate scalable indoor navigation
KR101826845B1 (ko) 도서위치추적 기반의 도서관리장치
Xu et al. A novel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hree-dimensional indoor positioning system based on trilateral positioning algorithm
R-Moreno et al. Efficient services management in libraries using AI and wireless techniques
KR20080088434A (ko) 탐색 시스템, 탐색 시스템의 관리 서버, 탐색 시스템의이동 통신 장치, 탐색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Miller et al. Assessing the effects of local crime hotspots on parole recidivism
Ullah Khan et al. An improved hybrid indoor positioning system based on surface tessella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JP2003182820A (ja) 書籍および文書ファイルロケーション自動探索装置
KR101826854B1 (ko) Rfid 기반의 장서 점검 장치
Mohammadi et al. Development of a positioning technique for traffic data collection using wireless signal scanners
Cheng et al. Localiz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
Shiomi et al. Finding a person with a Wi-Fi device in a crowd of pedestrians
Wang et al. A quadratic weighted centroid algorithm for tunnel personnel positioning
KR101800772B1 (ko) 열람도서 분석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열람도서 분석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Abdelhalim et al. A survey on analytical approaches used in RFID based applications
Lee et al. An efficient localization method based on adaptive optimal sensor pla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