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187B1 - 버링플레이트의 벤딩금형 - Google Patents

버링플레이트의 벤딩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187B1
KR101826187B1 KR1020160160217A KR20160160217A KR101826187B1 KR 101826187 B1 KR101826187 B1 KR 101826187B1 KR 1020160160217 A KR1020160160217 A KR 1020160160217A KR 20160160217 A KR20160160217 A KR 20160160217A KR 101826187 B1 KR101826187 B1 KR 101826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burring
pipe
hole
press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김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식 filed Critical 김영식
Priority to KR1020160160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1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 B21D19/08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for flang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링플레이트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벤딩할 수 있는 버링플레이트의 벤딩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버링플레이트의 벤딩금형은 천공가공부와, 버링가공부와, 벤딩가공부를 포함하는 벤딩금형에 있어서, 상기 벤딩가공부는 승하강 작동하는 벤딩가압블럭과, 상기 벤딩가압블럭의 하측 방향에 구비된 벤딩금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벤딩가압블럭은 승강구동수단의 하단에서 수직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버링관통공의 단면 넓이 이상의 넓이로 형성되고, 하단에는 파이프 외측 테두리와 대응되는 오목한 형상의 가압홈을 포함하며, 상기 벤딩금형은, 벤딩금형의 상단에 형성되되 하측방향에서 상측방향으로 버링관통공의 내측에 접속되는 내부접속면과, 상기 내부접속면의 양측 단부에서 비스듬하게 하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버링관통공의 파이프 중심 방향 단부가 접촉되는 접촉지지면과, 상기 양측 접촉지지면 단부에서 파이프의 내측 테두리 방향으로 비스듬히 형성되어 벤딩가압블럭이 파이프를 가압하면 버링관통공의 파이프 중심 방향 단부 테두리가 접촉되며 파이프의 내측 테두리 방향으로 절곡되어 절곡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벤딩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버링플레이트의 벤딩금형{Burring plate bending of the mold}
본 발명은 버링플레이트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벤딩할 수 있는 버링플레이트의 벤딩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링플레이트는 천공 하부금형에 투입된 소재의 일정부분을 펀치로 천공하여 적당한 크기의 구멍이 소재에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이하 천공단계)와, 구멍이 천공된 소재를 버링 하부금형에 투입하여 버링펀치로 구멍 둘레가 버링펀치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하는 단계(이하 '버링단계')를 통해 형성한다.
상기한 버링플레이트는 호스 또는 전선 등과 같은 길이가 긴 연질의 제품을 권취하는 권취구의 권취관으로 주로 이용되는데 버링플레이트의 날카로은 끝부분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다치거나 호스 또는 전선 등과 같은 연질의 물품이 파손(찢어지는 등)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버링플레이트가 사용되는 호스 권취관 등과 같은 제품에는 버링플레이트의 끝부분에 고무나 플라스틱 밴드로 형성된 커버를 장착하거나 버링플레이트 끝부분을 부드럽게 연마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생산 비용이 상승되고 작업의 속도 및 제품 생산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77707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11550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37596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버링플레이트 단부를 부드럽게 가공하여 사용자의 손 및 접촉되는 제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버링플레이트의 벤딩금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링플레이트 단부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벤딩할 수 있는 버링플레이트의 벤딩금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링플레이트의 벤딩금형은, 파이프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공을 형성하는 천공가공부와, 상기 관통공의 내측 테두리를 버링 가공하여 파이프 중심 방향으로 버링관통공을 형성하는 버링가공부와, 상기 버링관통공의 파이프 중심 방향 단부 테두리를 파이프 내측 테두리 방향으로 절곡하여 절곡부를 형성하는 벤딩가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벤딩가공부는 승하강 작동하는 벤딩가압블럭과, 상기 벤딩가압블럭의 하측 방향에 구비된 벤딩금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벤딩가압블럭은 승강구동수단의 하단에서 수직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버링관통공의 단면 넓이 이상의 넓이로 형성되고, 하단에는 파이프 외측 테두리와 대응되는 오목한 형상의 가압홈을 포함하며, 상기 벤딩금형은, 벤딩금형의 상단에 형성되되 하측방향에서 상측방향으로 버링관통공의 내측에 접속되는 내부접속면과, 상기 내부접속면의 양측 단부에서 비스듬하게 하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버링관통공의 파이프 중심 방향 단부가 접촉되는 접촉지지면과, 상기 양측 접촉지지면 단부에서 파이프의 내측 테두리 방향으로 비스듬히 형성되어 벤딩가압블럭이 파이프를 가압하면 버링관통공의 파이프 중심 방향 단부 테두리가 접촉되며 파이프의 내측 테두리 방향으로 절곡되어 절곡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벤딩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은 버링플레이트의 단부를 벤딩 가공하여 버링플레이트 단부의 날카로운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버링플레이트 단부와 접촉하는 제품의 파손 및 사용자의 상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링플레이트 단부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벤딩 가공하여 제품의 생산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링플레이트의 벤딩금형을 나타낸 예시도
도 2a, 2b는 본 발명에 따른 버링플레이트 벤딩금형의 천공가공부를 나타낸 예시도 및 천공가공부에 의해 가공된 파이프를 나타낸 단면도
도 3a, 3b는 본 발명에 따른 버링플레이트 벤딩금형의 버링가공부를 나타낸 예시도 및 버링가공부에 의해 가공된 파이프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 4b는 본 발명에 따른 버링플레이트 벤딩금형의 벤딩가공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5a, 5b는 본 발명에 따른 벤딩가공부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권취관 및 상기 권취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링플레이트 벤딩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공지된 구성 및 그와 관련된 작용은 생략 또는 간단히 설명하였고,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링플레이트의 벤딩금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링플레이트 벤딩금형은 파이프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공을 형성하는 천공가공부(100)와, 상기 관통공의 내측 테두리를 버링 가공하여 파이프 중심 방향으로 버링관통공을 형성하는 버링가공부(200)와, 상기 버링관통공의 파이프 중심 방향 단부 테두리를 파이프 내측 테두리 방향으로 절곡하여 절곡부를 형성하는 벤딩가공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서는 천공가공부(100), 버링가공부(200), 벤딩가공부(300)가 하나의 블럭 내부에서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을 형성하며 배치되어 있으나, 천공가공부(100), 버링가공부(200), 벤딩가공부(300)는 분리되어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a, 2b는 본 발명에 따른 버링플레이트 벤딩금형의 천공가공부를 나타낸 예시도 및 천공가공부에 의해 가공된 파이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천공가공부(100)는 천공가압블럭(110) 및 천공금형(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천공가공부(100)는 파이프(400)의 일정부분을 천공가압블럭(110)으로 천공하여 천공가압블럭(110)의 하측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관통공(410)이 파이프(400)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천공가공부(100)의 상세한 구성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 3b는 본 발명에 따른 버링플레이트 벤딩금형의 버링가공부를 나타낸 예시도 및 버링가공부에 의해 가공된 파이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버링가공부(200)는 버링가압블럭(210) 및 버링금형(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버링가공부(200)는 파이프(400)의 관통공으로 버링가압블럭(210)을 투입하여 관통공 내측 둘레가 파이프(400) 내측 방향으로 버링 가공되어 버링관통공(420)이 파이프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버링가공부(200)의 상세한 구성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 4b는 본 발명에 따른 버링플레이트 벤딩금형의 벤딩가공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벤딩가공부(300)는 벤딩가압블럭(310)과, 벤딩금형(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벤딩가압블럭(310)은 유압 프레스 등과 같은 승강구동수단(312)의 하단에 결합되어 승강구동수단(312)의 승하강에 따라 작동한다. 벤딩가압블럭(310)은 승강구동수단(312)의 하단에서 수직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벤딩관통공(410)의 단면 넓이보다 넓게 형성되어 버링관통공(420) 내부로 접속이 불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벤딩가압블럭(310)의 하단에는 파이프의 외측 테두리와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가압홈(311)이 형성된다. 상기 가압홈(311)은 벤딩가압블럭(310)이 하강할 때, 버링관통공(420) 주변 파이프(400) 외측 테두리에 접촉하여 파이프(400)를 수직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벤딩금형(320)은, 상단부에 형성된 내부접속면(321)과, 상기 내부접속면(321)의 양측 단부에서 비스듬하게 하측 방향으로 형성된 접촉지지면(322)과, 상기 양측 접촉지지면(322) 단부에서 파이프(400) 내측 테두리 방향으로 비스듬히 형성된 벤딩가이드(323)와, 상기 양측 벤딩가이드(323)의 단부에서 수직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연장부(324)와, 벤딩금형(320)의 하측단부에서 양측 수직연장부(324)의 하단부까지 형성된 외측테두리부(3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내부접속면(321)은 버링관통공(420)의 단면 넓이보다 좁게 형성된다. 내부접속면(321)은 버링 가공이 완료된 파이프(400)가 벤딩 가공을 위해 벤딩금형(320)의 외측에 위치하였을 때 버링관통공(420)의 내부로 하측방향에서 상측방향으로 접속하도록 형성된다.
접촉지지면(322)은 버링관통공(420)이 형성된 파이프(400)가 벤딩금형(320)의 외측에 위치하였을 때, 버링관통공(420)의 파이프 중심 방향 단부와 접촉되어 파이프(400)와 벤딩금형(320)이 상호 바른 위치에 정렬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접촉지지면(322)은 앞서 설명한 내부접속면(321)이 버링관통공(420) 내부로 접속되어야만 버링관통공(420)의 파이프 중심 방향 단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접촉지지면(322)과 내부접속면(321)은 버링 가공이 완료된 파이프(400)가 벤딩 가공을 위해 벤딩금형(320)의 외측에 접속하였을 때, 파이프(400)와 벤딩금형(320)이 상호 올바른 위치에 정렬되도록 형성된다.
벤딩가이드(323)는, 벤딩가압블럭(310)이 수직 하측 방향으로 파이프(400)를 가압하면 접촉지지면(322)에 접촉되어 있던 버링관통공(420)의 파이프 중심 방향 단부 테두리가 벤딩가이드(323)에 접촉되며 파이프(400) 내측 테두리 방향으로 절곡되어 절곡부(430)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수직연장부(324)는 양측 벤딩가이드(323)의 단부에서 수직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는 양측 수직연장부(324)의 하단에서부터 벤딩금형(320)의 하단부까지 형성된 벤딩금형(320)의 외측테두리부(325)가 파이프(400)의 내측 테두리 둘레보다 작아지도록 형성하기 위함이다.
외측테두리부(325)는 파이프(400)의 내측 테두리에 접촉되지 않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벤딩가압블럭(310)이 수직 하측 방향으로 파이프(400)를 가압할 때, 파이프(400) 내측 테두리와 벤딩금형(320)의 외측 테두리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어 파이프(400)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버링플레이트의 벤딩금형 작동 및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버링플레이트의 벤딩금형의 천공가공부 및 버링가공부의 작동 및 작용을 공지된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벤딩가공부(300)의 작동 및 작용을 살펴본다.
도 4a를 참조하면, 버링관통공(420)이 형성된 파이프(400)는 벤딩금형(320)의 외부로 접속되어 벤딩 가공을 준비하게 된다. 상기한 벤딩 가공 준비단계에서 버링관통공(420)의 내측으로는 내부접속면(321)이 하측 방향에서 상측 방향으로 접속되고, 버링관통공(420)의 파이프 중심 방향 단부는 접촉지지면(322)에 접촉된다. 상기 접촉지지면(322)과 내부접속면(321)은 버링관통공(420)이 형성된 파이프(400)와 벤딩금형(320)이 상호 바른 위치에 정렬하도록 작용하여 다음에 이루어질 벤딩 가공의 불량을 방지한다.
도4b를 참조하면, 승강구동수단(312)의 하강에 따라 벤딩가압블럭(310)은 하강한다. 벤딩가압블럭(310)의 가압홈(311)은 버링관통공(420) 주변의 파이프(400) 외측 테두리와 접촉하며 파이프(400)을 하측 수직 방향으로 가압한다. 벤딩가압블럭(310)의 가압에 따라 파이프(400)는 수직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벤딩관통공(410)의 파이프 중심 방향 단부 테두리는 벤딩가이드(323)와 접촉되며 파이프 내측 테두리 방향으로 절곡되어 절곡면(430)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절곡면(430)의 형성 과정에서 벤딩금형(320)의 양측 단부 및 하측 단부는 파이프(400) 내측 테두리와 소정 간격을 유지하여 파이프(400)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도 5a, 5b는 본 발명에 따른 벤딩가공부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권취관 및 상기 권취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링플레이트 벤딩금형에 의해 벤딩 가공이 완료된 권취관(500)은 버링관통공(420)의 파이프 중심 방향 단부가 파이프(400) 내측 테두리 방향으로 절곡되어 절곡부(430)가 형성된다.
상기 권취관(500)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관(500)의 버링관통공(420)을 통과하는 연질의 호스(미도시) 또는 전선(미도시)등과 같은 제품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고, 권취관과 접촉하는 사용자의 상해 또한 방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링플레이트 벤딩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링플레이트 벤딩방법은 천공가공부의 천공가압블럭 및 천공금형에 의해 파이프 일측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제1공정(S1)과, 버링가공부의 버링가압블럭 및 버링금형에 의해 관통공의 내부 테두리를 파이프 중심 방향으로 버링 가공하여 버링관통공을 형성하는 제2공정(S2)과, 벤딩가공부의 벤딩가압금형 및 벤딩금형에 의해 절곡부를 형성하되, 상기 벤딩가압금형의 가압홈이 버링관통공 주변의 파이프 외측 테두리를 가압하면, 접촉지지면에 접촉되어 있던 버링관통공의 파이프 중심 방향 단부 테두리가 벤딩가이드에 접촉되며 파이프 내측 테두리 방향으로 절곡되어 절곡부를 형성하는 제3공정(S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천공가공부의 천공가압블럭 및 천공금형에 의해 파이프 일측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제1공정(S1): 천공금형의 외측으로 파이프를 접속하고, 천공가압블럭이 하강하여 파이프의 일측으로 관통공을 형성한다.
버링가공부의 버링가압블럭 및 버링금형에 의해 관통공의 내측 둘레를 파이프 내측 방향으로 버링 가공하여 버링관통공을 형성하는 제2공정(S2): 파이프의 관통공이 버링가압블럭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버링금형의 외측으로 접속한다. 버링가압블럭이 하강하여 관통공의 내측에서 파이프 중심 방향으로 버링관통공 형성한다.
벤딩가공부의 벤딩가압금형 및 벤딩금형에 의해 절곡부를 형성하되, 상기 벤딩가압금형의 가압홈이 버링관통공 주변의 파이프 외측 테두리를 가압하면, 접촉지지면에 접촉되어 있던 버링관통공의 파이프 중심 방향 단부 테두리가 벤딩가이드에 접촉되며 파이프 내측 테두리 방향으로 절곡되어 절곡부를 형성하는 제3공정(S3): 파이프의 버링관통공이 벤딩가압블럭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파이프를 벤딩금형의 외측으로 접속한다. 이때 벤딩금형의 내부접속면은 버링관통공의 내부로 접속되고, 벤딩금형의 접촉지지면은 버링관통공의 파이프 중심 방향 단부와 접촉된다. 이 후 벤딩가압금형의 가압홈이 버링관통공 주변의 파이프 외측 테두리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 파이프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버링관통공의 파이프 중심 방향 단부 테두리와 벤딩가이드가 접촉하고, 상기한 접촉에 의해 버링관통공의 파이프 중심 방향 단부 테두리가 파이프 내측 테두리 방향으로 벤딩 가공되어 절곡부로 형성된다.
이상, 본 발명을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0: 천공 가공부 110: 천공가압블럭
120: 천공금형 200: 버링가공부
210: 버링가압블럭 220: 버링금형
300: 벤딩가공부 310: 벤딩가압블럭
311: 가압홈 312: 승강구동수단
320: 벤딩금형 321: 내부접속면
322: 접촉지지면 323: 벤딩가이드
324: 수직연장부 325: 외측테두리부
400: 파이프 410: 관통공
420: 버링관통공 430: 절곡부
500: 권취관

Claims (3)

  1. 파이프(400)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공(410)을 형성하는 천공가공부(100)와,
    상기 관통공(410)의 내측 테두리를 버링 가공하여 파이프(400) 중심 방향으로 버링관통공(420)을 형성하는 버링가공부(200)와,
    상기 버링관통공(420)의 파이프 중심 방향 단부 테두리를 파이프(400) 내측 테두리 방향으로 절곡하여 절곡부(430)를 형성하는 벤딩가공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벤딩가공부(300)는 승하강 작동하는 벤딩가압블럭(310)과, 상기 벤딩가압블럭(310)의 하측 방향에 구비된 벤딩금형(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벤딩가압블럭(310)은 승강구동수단(312)의 하단에서 수직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버링관통공(420)의 단면 넓이 이상의 넓이로 형성되고, 하단에는 파이프(400) 외측 테두리와 대응되는 오목한 형상의 가압홈(311)을 포함하며,
    상기 벤딩금형(320)은, 벤딩금형(320)의 상단에 형성되되 하측방향에서 상측방향으로 버링관통공(420)의 내측에 접속되는 내부접속면(321)과,
    상기 내부접속면(321)의 양측 단부에서 비스듬하게 하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버링관통공(420)의 파이프 중심 방향 단부가 접촉되는 접촉지지면(322)과,
    상기 양측 접촉지지면(322) 단부에서 파이프(400)의 내측 테두리 방향으로 비스듬히 형성되어 벤딩가압블럭(310)이 파이프(400)를 가압하면 버링관통공(420)의 파이프 중심 방향 단부 테두리가 접촉되며 파이프(400)의 내측 테두리 방향으로 절곡되어 절곡부(430)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벤딩가이드(3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링플레이트의 벤딩금형.

  2. 삭제
  3. 삭제
KR1020160160217A 2016-11-29 2016-11-29 버링플레이트의 벤딩금형 KR101826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217A KR101826187B1 (ko) 2016-11-29 2016-11-29 버링플레이트의 벤딩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217A KR101826187B1 (ko) 2016-11-29 2016-11-29 버링플레이트의 벤딩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187B1 true KR101826187B1 (ko) 2018-02-06

Family

ID=61227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217A KR101826187B1 (ko) 2016-11-29 2016-11-29 버링플레이트의 벤딩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1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0446A (zh) * 2018-09-25 2019-02-01 珠海格力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翻孔模具结构及冲压方法
CN109290446B (zh) * 2018-09-25 2024-05-24 珠海格力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翻孔模具结构及冲压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47544A (ja) * 2014-08-27 2016-04-07 株式会社平安製作所 リング状部品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47544A (ja) * 2014-08-27 2016-04-07 株式会社平安製作所 リング状部品と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0446A (zh) * 2018-09-25 2019-02-01 珠海格力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翻孔模具结构及冲压方法
CN109290446B (zh) * 2018-09-25 2024-05-24 珠海格力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翻孔模具结构及冲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187B1 (ko) 버링플레이트의 벤딩금형
CN205650703U (zh) 一种自动调整冲压行程的改良型高精度冲压模具
CN202316754U (zh) 一种屏风支架冲孔组合模具
CN205816544U (zh) 一种自动卸料的高精度冲压模具
KR200167461Y1 (ko) 프레스 성형용 금형장치
JP2007118017A (ja) ダブルアクションプレス装置とプレス方法
KR101965392B1 (ko) 가변 그루브 핀이 적용된 펀치를 갖는 코이닝 장치
CN104325007A (zh) 高强钢深冲件侧冲孔模具及其加工方法
CN207899992U (zh) 封盖冲孔成型复合模装置
KR100717383B1 (ko) 타원 요크 제조용 금형장치
KR20180135539A (ko) 사각 파이프 피어싱 금형
KR101090599B1 (ko) 스프링 와셔 제조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스프링 와셔 제조 방법
KR101261311B1 (ko) 파형강판 펀칭장치
JP3121691B2 (ja) プレス金型
CN205702174U (zh) 一种t型带冲压导位装置
KR100478244B1 (ko) 건축용 판재 성형 프레스 장치
CN212703918U (zh) 一种防带料的冲压模具
KR200389986Y1 (ko) 프레스 금형
CN210676538U (zh) 一种具有高精度轴孔的板料件的落料模具
CN110978124B (zh) 一种纸浆模塑产品特殊冲切方法及装置
CN214601393U (zh) 一种半月牙形定位翻孔冲头
CN211590394U (zh) 一种纸浆模塑产品特殊冲切装置
JPS62282731A (ja) 絞り成形型装置
CN220196076U (zh) 一种冲压模具及冲压设备
KR102181810B1 (ko) 더스트커버용 지지링의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