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034B1 - 전기습윤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습윤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034B1
KR101826034B1 KR1020110086252A KR20110086252A KR101826034B1 KR 101826034 B1 KR101826034 B1 KR 101826034B1 KR 1020110086252 A KR1020110086252 A KR 1020110086252A KR 20110086252 A KR20110086252 A KR 20110086252A KR 101826034 B1 KR101826034 B1 KR 101826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ixel
common electrode
substrat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3473A (ko
Inventor
강한샘
성미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6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034B1/ko
Publication of KR20130023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variable-reflection or variable-refraction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15 - G02F1/169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4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 G02B26/005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based on electrowet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 G09G3/34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the deformation of a fluid drop, e.g. electrowetting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은 전기습윤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과율 및 휘도가 향상된 전기습윤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전기습윤표시장치의 전기습윤 특성을 위한 전기장 형성을 위한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을 모두 제 1 기판 상에 형성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전기습윤표시장치의 투과율 및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정의 효율성 향상 및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반사형 전기습윤표시장치의 경우에는 외부광에 의한 반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콘트라스트비가 감소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습윤표시장치{Electro wetting display}
본 발명의 특징은 전기습윤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과율 및 휘도가 향상된 전기습윤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까지, CRT(cathode ray tube)가 표시장치로서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 CRT를 대신할 수 있는,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 PDP),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luminescence emitting device : OLED)와 같은 평판표시장치가 널리 연구되며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최근에는 경량 및 박형을 갖는 평판표시장치 중 하나로써, 전기 습윤(electro wetting) 특성을 이용한 전기습윤표시장치(electro wetting display)가 주목받고 있다.
여기서, 전기습윤 특성이란, 전기장에 의해 유체의 계면장력(interfacial tension)이 변화되어, 유체가 이동(migration) 또는 변형(deformation)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전기습윤표시장치는 화소 내부의 소정 공간에 친수성유체(hydrophilic liquid)와 소수성유체(hydrophobic liquid)를 주입하고,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압으로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친수성유체의 계면장력을 변화시켜 소수성유체를 이동시킴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전기습윤표시장치는 다른 평판표시장치들에 비해 작은 사이즈, 저소비전력, 빠른 응답속도, 높은 컬러 휘도(High color brightness)의 유리한 특성을 가지므로, 최근 차세대 평판표시장치의 하나로 각광받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전기습윤표시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특히 전기습윤표시장치의 투과율 및 휘도를 보다 향상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습윤표시장치의 투과율 및 휘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정비용 절감 및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을 각각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표시영역의 화소영역 별로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화소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기판 상에 형성된 화소전극과;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중 선택된 하나의 기판 상의 상기 비표시영역에 형성된 공통전극과; 상기 화소전극 상부로 전면에 형성된 소수성막과; 상기 소수성막 상부로, 상기 화소영역의 가장자리를 두르며 형성된 격벽과; 상기 소수성막 상부의 상기 격벽 내측으로 충진된 블랙오일과;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공통전극과 접촉하는 극성유체층을 포함하는 전기습윤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공통전극은 상기 비표시영역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대향되는 두 가장자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은 가장자리가 실패턴에 의해 둘러져 합착되며, 상기 공통전극은 상기 실패턴과 평면적으로 중첩되거나, 또는 상기 실패턴의 내측으로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극성유체층은 H2O이며, 상기 제 1 기판의 배면에는 백라이트가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는 게이트전극과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공통전극은 상기 화소전극과 상기 게이트전극과 상기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통전극은 상기 화소전극과 상기 게이트전극 또는 상기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 중 어느 하나와 동일공정에서 형성한다.
또한, 상기 블랙오일은 상기 화소전극과 상기 공통전극 사이에 걸리는 전기장의 세기에 따라, 상기 화소영역 내의 개구영역의 면적을 달리한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전기습윤표시장치의 전기장 형성을 위한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을 모두 제 1 기판 상에 형성함으로써, 전기습윤표시장치의 투과율 및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정의 효율성 향상 및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반사형 전기습윤표시장치의 경우에는 외부광에 의한 반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콘트라스트비가 감소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표시장치의 다수의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한 단면도.
도 2a ~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표시장치의 출력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화소영역 별로 다양한 계조를 구현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표시장치의 다수의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한 단면도이다.
전기습윤표시장치는 전기 습윤(electrowetting) 특성을 광 스위칭(switching) 도구로 적용한 것으로, 10ms 이하의 빠른 응답속도를 가지며, 약 40%에 달하는 하이 컬러 휘도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약 15 내외의 콘트라스트비(contrast rate)를 가지며, 저소비전력 및 160dpi(dot per ink) 이하의 고해상도의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전기습윤표시장치는 도시한 바와 같이, 극성유체층(120)을 사이에 두고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이 대면 합착된 전기습윤표시장치용 패널(100)과 그 하부에 배치되는 백라이트(1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1 기판(101) 상에는 다수의 박막트랜지스터(T)와 소수성막(113)과 블랙오일(117)이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전기습윤표시장치는 제 1 기판(101) 상에 화소전극(133)과 공통전극(119)이 모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해 차후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그리고, 이들 두 기판(101, 102)은 극성유체층(120)을 사이에 두고 실패턴(seal pattern : 130)이 가장자리를 둘러 봉지되어 합착된다.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 1 기판(101)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AA)과 표시영역(AA)의 가장자리를 두르는 비표시영역(NA)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표시영역(AA)의 화소영역(P)에는 제 1 방향으로 연장하여 다수의 게이트배선(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방향과 교차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하여 게이트배선(미도시)과 더불어 화소영역(P)을 정의하는 데이터배선(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각 화소영역(P)에는 게이트배선(미도시)과 데이터배선(미도시)이 교차하는 부분에 이들 두 배선(미도시)과 연결되는 박막트랜지스터(T)가 형성되는데, 박막트랜지스터(T)는 게이트전극(121), 게이트절연막(123), 반도체층(125) 그리고 소스 및 드레인전극(127, 129)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반도체층(125)은 순수비정질실리콘(a-si:H)으로 이루어진 액티브층(125a)과 불순물을 포함하는 비정질실리콘(n+ a-si:H)으로 이루어진 오믹콘택층(125b)으로 이루어지며, 게이트전극(121)은 게이트배선(미도시)과 연결되어 있으며, 소스전극(127)은 데이터배선(미도시)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박막트랜지스터(T) 상부에는 각각의 박막트랜지스터(T)의 드레인전극(129)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콘택홀(131a)을 갖는 보호층(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보호층(131) 상부에는 각 화소영역(P) 별로 콘택홀(131a)을 통해 각각의 박막트랜지스터(T)의 드레인전극(129)과 접촉하는 화소전극(133)이 형성된다.
그리고, 화소전극(133) 상부에는 소수성 특성을 갖는 물질이 전면 도포 또는 증착되어 소수성막(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소수성막(113) 상부로 각 화소영역(P)의 경계에 각각의 화소영역(P)의 가장자리를 두르는 격벽(115)이 형성되어 있다.
즉, 격벽(115)은 게이트 및 데이터배선(미도시)에 대응하여 평면적으로는 격자형태로 구성되며, 이에 따라 격벽(115)은 각 화소영역(P)을 정의하는 게이트 및 데이터배선(미도시)과 중첩된다.
이러한 격벽(115)은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등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각 화소영역(P) 별로 격벽(115)에 의해 정의되는 일정 공간인, 격벽(115)의 내측으로는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빛의 투과를 계폐(啓閉)하는 역할의 블랙오일(117)이 충진된다.
블랙오일(117)은 실리콘오일, 미네랄 오일, 사염화 탄소(CCl4)와 같은 유기용매가 흑색을 띄는 것으로, 무극성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 1 기판(101)의 상부에는 제 2 기판(102)이 위치하여, 제 1 및 제 2 기판(101, 102)의 사이에는 극성특성을 갖는 극성유체가 개재되어 극성유체층(120)을 이루며, 극성유체층(120)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양 기판(101, 102)의 가장자리를 따라 실패턴(130)이 형성된다.
이때, 극성 특성을 갖는 유체는 미량의 전해질을 첨가한 순수(純水)로, 일예로 H2O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극성유체층(120)과 블랙오일(117)은 서로 다른 비중을 가져, 서로 섞이지 않고 경계를 이루게 된다.
즉, 블랙오일(117)은 극성유체층(120)에 비해 낮은 비중을 가져, 극성유체층(120) 상부에 블랙오일(117)이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제 1 기판(101) 상에는 극성유체층(120)과 반발하는 소수성의 특성을 갖는 소수성막(113)이 형성되어 있어, 극성유체층(120)과 소수성막(113) 사이에는 블랙오일(117)이 개재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 1 기판(101)의 표시영역(AA) 외곽의 비표시영역(NA)에는 화소전극(133)과 전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공통전극(11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통전극(119)은 제 1 기판(101)의 비표시영역(NA)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하거나, 또는 서로 대향하는 두 가장자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한다.
이러한, 공통전극(119)은 극성유체층(120)과 접촉하게 되며, 이를 통해 공통전극(119)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극성유체층(120)은 화소전극(133)과 공통전극(119)을 연결하는 전기장을 원활하게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박막트랜지스터(T)의 온(on)/오프(off)를 위한 신호가 게이트배선(미도시)으로 순차적으로 스캔 인가되어, 데이터배선(미도시)의 화상신호가 선택된 화소영역(P)의 화소전극(133)으로 화상신호가 전달되면, 화소전극(133)과 공통전극(119) 사이에는 전기장이 생성되고, 이의 전기장에 의해 각 화소영역(P)에 채워진 블랙오일(117)은 화소전극(133)과 공통전극(119)에 인가되는 전위차에 응답하여 접촉각이 달라지게 됨으로써 흩어지거나 뭉쳐져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아울러 전기습윤표시장치용 패널(100)이 나타내는 투과율의 차이가 외부로 발현되도록 이의 배면에서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140)가 구비된다.
백라이트(140)는 빛을 발하는 광원(미도시)의 위치에 따라 측광형(side type)과 직하형(direct type)으로 구분되는데, 측광형은 전기습윤표시장치용 패널(100)에 대해 이의 후방의 일측면으로부터 출사된 광원(미도시)의 빛을 별도의 도광판(미도시)으로 굴절시켜 전기습윤표시장치용 패널(100)로 입사시키며, 직하형은 전기습윤표시장치용 패널(100) 배면으로 복수개의 광원(미도시)을 직접 배치시켜 빛을 입사시킨다.
본 발명은 이 둘 중 어느 것이나 이용가능하다.
이때, 광원(미도시)은 음극전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나 외부전극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와 같은 형광램프가 이용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형광램프 이외에 발광다이오드 램프(light emitting diode lamp)가 램프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때, 도면상으로 비표시영역(NA)에 형성되는 공통전극(119)이 평면상으로 실패턴(130)과 중첩되어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전기습윤표시장치의 비표시영역(NA)의 면적을 줄일 수 있으나, 공통전극(119)이 실패턴(130)의 내측으로 비표시영역(NA)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습윤표시장치는 공통전극(119)을 제 1 기판(101) 상에 형성함으로써, 전기습윤표시장치의 투과율 및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정의 효율성 향상 및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자세히 살펴보면, 기존의 공통전극은 인듐-틴-옥사이드(ITO)와 인듐-징크-옥사이드(IZO)를 포함하는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투명한 도전성 물질은 가시광선 파장대의 빛의 투과율이 90% 이하이다.
따라서, 이러한 공통전극이 제 1 기판이 아닌 빛이 투과되는 제 2 기판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기습윤표시장치의 경우 투과율이 90% 이하로 낮아 휘도 또한 낮아지게 된다.
또한, 제 2 기판의 전면에 공통전극을 형성할 경우, 전기습윤표시장치는 백라이트로부터 출사되는 빛 외에도 외부로부터 특정 빛이 전기습윤표시장치 내부로 입사되는데, 이렇게 입사되는 외부광이 공통전극에 의해 반사되어 전기습윤표시장치의 콘트라스트(contrast)를 크게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백라이트의 사용없이 외부광원을 이용하는 반사형 전기습윤표시장치의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이 전기습윤표시장치 내부로 입사된 후 반사되어 외부로 재출사됨에 따라, 빛이 공통전극을 2번을 통과하게 됨으로써, 투과율은 80% 이하로 떨어지게 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전기습윤표시장치는 공통전극(119)을 제 1 기판(101) 상에 형성함으로써, 투과율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외부광에 의한 반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콘트라스트비가 감소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때, 공통전극(119)은 제 1 기판(101)의 비표시영역(NA) 외에도 제 2 기판(102)의 비표시영역(NA)에 형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지만, 공통전극(119)을 제 1 기판(101) 상에 형성함으로써, 전기습윤표시장치의 투과율 및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공정의 효율성 향상 및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전기습윤표시장치는 공통전극(119)을 제 1 기판(101)의 비표시영역(NA)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하거나, 또는 서로 대향하는 두 가장자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함으로써, 제 2 기판(102)의 전면에 공통전극(119)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투명한 도전성 물질의 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공통전극(119)을 투명한 도전성 물질 외에도 비용이 저렴한 일반적인 금속으로 형성할 수도 있어, 재료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다.
또한, 공통전극(119)을 형성하는 과정에서도, 박막트랜지스터(T)의 게이트전극(121), 소스 및 드레인전극(127, 129) 또는 화소전극(133)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함께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공통전극(119) 형성을 위한 공정을 삭제할 수 있어,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a ~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표시장치의 출력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막트랜지스터(도 1의 T)가 턴-오프(turn-off) 상태를 유지하면, 공통전극(119)에 일정 레벨의 공통전극전압(Vcom)이 인가되더라도, 화소전극(133)이 플로팅 상태를 유지하므로, 화소전극(133)과 공통전극(119) 간에는 어떠한 전위차도 발생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소수성막(113)과 극성유체층(120)은 서로 반발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극성유체층(120)과 소수성막(113) 사이에는 블랙오일(117)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블랙오일(117)은 격벽(115)에 의해 정의된 영역에 전체적으로 퍼진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화소영역(P) 전체를 덮게 된다. 따라서, 백라이트(140)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블랙오일(117)에 의해 차단되어, 화소영역(P)을 투과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블랙(black)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막트랜지스터(도 1의 T)가 턴-온(turn-on)되면, 화소전극(133)에는 데이터배선(미도시)을 통해 전달되는 화상신호가 인가되고, 공통전극(119)에는 공통전극전압(Vcom)이 인가되므로, 화소전극(133)과 공통전극(119) 사이에는 일정 레벨의 전위차가 발생된다.
이때, 공통전극(119)이 제 1 기판(101)의 비표시영역(NA)에 형성되더라도, 공통전극(119)과 극성유체층(120)이 접촉함에 따라, 공통전극(119)에 인가된 공통전극전압에 의해 극성유체층(120)은 화소전극(133)과 공통전극(119)을 연결하는 전기장을 원활하게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공통전극(119)과 화소전극(133)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장은 극성유체층(120)의 계면장력을 변화시키게 됨으로써, 극성유체층(120)과 블랙오일(117) 사이의 계면이 변화하게 된다.
즉, 전하를 띠는 극성유체층(120)은 화소전극(133)의 방향으로 끌려오게 되며, 블랙오일(117) 또한 계면이 변화하게 되는데, 블랙오일(117)의 접촉각을 변화시키게 된다.
이를 통해 극성유체층(120)이 블랙오일(117)을 화소영역(P)의 측면 즉, 격벽(115)측으로 밀어내어, 개구영역(OP)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하부에 위치하는 백라이트(140)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개구영역(OP)을 통과하게 됨으로써 화이트(white)를 표시하게 된다.
이 경우, 공통전극(119)과 화소전극(133) 사이에 걸리는 전기장의 세기에 따라 극성유체층(120)이 소수성막(113)과 접촉하게 되는 면적이 다르게 된다.
따라서, 블랙오일(117)에 의해 덮혀지는 화소영역(P) 내의 면적을 다르게 형성할 수 있어, 다양한 계조를 갖는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화소영역(P1)의 제 1 화소전극(133a)과 공통전극(119) 사이에는 무전계 상태 또는 낮은 레벨의 전기장이 발생되도록 하면, 무전계 상태 또는 낮은 레벨의 전기장에 따라 제 1 블랙오일(117a)은 제 1 화소영역(P1)의 전체 영역에 걸쳐 퍼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백라이트(140)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제 1 화소영역(P1)을 투과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제 2 화소영역(P2)의 제 2 화소전극(133b)과 공통전극(119) 사이에 중간 레벨의 전기장이 형성되도록 하면, 중간 레벨의 전기장에 의해 제 2 블랙오일(117b)은 제 2 화소영역(P2)의 2/3 영역에 걸쳐 퍼진 상태를 유지하고, 나머지인 1/3 영역에서는 개구영역(OP1)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백라이트(140)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1/3의 개구영역(OP1)을 통해서만 출사하게 된다.
또한, 제 3 화소영역(P3)의 제 3 화소전극(133c)과 공통전극(119) 사이에 높은 레벨의 전기장이 형성되도록 하면, 높은 레벨의 전기장에 의해 제 3 블랙오일(117c)은 제 3 화소영역(P3)의 1/3 영역에 걸쳐 퍼진 상태를 유지하고, 나머지인 2/3 영역에는 개구영역(OP2)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백라이트(140)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2/3의 개구영역(OP2)을 통해서 출사하게 된다.
즉, 각 화소영역(P1, P2, P3) 별로 투과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다양한 계조를 갖는 영상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습윤표시장치는 공통전극(119)을 제 1 기판(101) 상에 형성함으로써, 전기습윤표시장치의 투과율 및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정의 효율성 향상 및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반사형 전기습윤표시장치의 경우에는 외부광에 의한 반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콘트라스트비가 감소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전기습윤표시장치용 패널(101, 102 : 제 1 및 제 2 기판)
113 : 소수성막, 115 : 격벽, 117 : 블랙오일, 119 : 공통전극
120 : 극성유체층, 121 : 게이트전극, 123 : 게이트절연막
125 : 반도체층(125a : 액티브층, 125b : 오믹콘택층)
127 : 소스전극, 129 : 드레인전극, 130 : 실패턴
131 : 보호층(131a : 콘택홀), 133 : 화소전극, 140 : 백라이트
T : 박막트랜지스터, P : 화소영역, AA : 표시영역, NA : 비표시영역

Claims (9)

  1.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을 각각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표시영역의 다수의 화소영역 별로 위치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다수의 화소영역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제 1 기판 상에 위치하는 화소전극과;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중 선택된 하나의 기판 상의 상기 비표시영역에 위치하는 공통전극과;
    상기 다수의 화소전극 상부로 전면에 위치하는 소수성막과;
    상기 소수성막 상부로, 상기 다수의 화소영역 각각의 가장자리를 두르는 격벽과;
    상기 소수성막 상부의 상기 격벽 내측으로 충진된 블랙오일과;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공통전극과 접촉하는 극성유체층
    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상기 제 2 기판과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극성유체층은 상기 다수의 화소영역에서 모두 연결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은 가장자리가 실패턴에 의해 둘러져 합착되며, 상기 공통전극은 상기 실패턴과 평면적으로 중첩되는 전기습윤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은 상기 비표시영역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대향되는 두 가장자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전기습윤표시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유체층은 H2O인 전기습윤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의 배면에는 백라이트가 위치하는 전기습윤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는 게이트전극과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공통전극은 상기 화소전극과 상기 게이트전극과 상기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전기습윤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은 상기 화소전극과 상기 게이트전극 또는 상기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 중 어느 하나와 동일공정에서 형성하는 전기습윤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오일은 상기 화소전극과 상기 공통전극 사이에 걸리는 전기장의 세기에 따라, 상기 화소영역 내의 개구영역의 면적을 달리하는 전기습윤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오일은 상기 격벽으로 밀착되는 전기습윤표시장치.

KR1020110086252A 2011-08-29 2011-08-29 전기습윤표시장치 KR101826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252A KR101826034B1 (ko) 2011-08-29 2011-08-29 전기습윤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252A KR101826034B1 (ko) 2011-08-29 2011-08-29 전기습윤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473A KR20130023473A (ko) 2013-03-08
KR101826034B1 true KR101826034B1 (ko) 2018-02-07

Family

ID=48175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252A KR101826034B1 (ko) 2011-08-29 2011-08-29 전기습윤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0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6750A (ja) * 1999-06-16 2000-12-26 Canon Inc 表示素子および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6750A (ja) * 1999-06-16 2000-12-26 Canon Inc 表示素子および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473A (ko) 201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42731B (zh) 一种显示面板
US806401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having an ornamental reflector deployed around the periphery of a display region
KR101913428B1 (ko) 전기 습윤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229145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CN101750776A (zh) 柔性液晶显示设备
KR10110717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116024A (ko) 표시 장치
TW200822051A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60061417A (ko) 화소 구조
KR20120117229A (ko) 전기습윤 표시장치
TW202127674A (zh) 發光顯示器及包含其的多螢幕顯示器
KR20080079383A (ko)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130117073A (ko) 전기 습윤 장치
US20190227385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076995A (ko)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를 이용한 표시패널
KR20130131693A (ko)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구비한 투명 표시장치
KR101287203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KR101826034B1 (ko) 전기습윤표시장치
KR20110116506A (ko) 전기습윤 표시장치
KR100565629B1 (ko) 양방향 표시형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
JP2006019142A (ja) 発光素子及び画像表示装置
US8519618B2 (en) Display
KR20150081562A (ko)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150185550A1 (en) Color filter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20080089709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