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944B1 - 에틸렌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에틸렌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944B1
KR101825944B1 KR1020150128675A KR20150128675A KR101825944B1 KR 101825944 B1 KR101825944 B1 KR 101825944B1 KR 1020150128675 A KR1020150128675 A KR 1020150128675A KR 20150128675 A KR20150128675 A KR 20150128675A KR 101825944 B1 KR101825944 B1 KR 101825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ilica gel
ethylene
ultraviolet light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1328A (ko
Inventor
김진세
박석호
최동수
최승렬
김용훈
이수장
박종우
이정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50128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944B1/ko
Publication of KR20170031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4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23B7/148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in a controlled atmosphere, e.g. partial vacuum, comprising only CO2, N2, O2 or H2O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23L3/2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with ultraviolet l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58In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atalyst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저농도의 에틸렌 가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에틸렌 가스 제거장치가 개시된다. 이러한 에틸렌 제거장치는, 하우징, 자외선 광원, 다수의 실리카겔 비드 및 공기 순환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자외선 광원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다수의 실리카겔 비드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충진되고, 광촉매 물질로 코팅된다. 상기 공기 순환 모듈은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를 통과하여 다시 상기 하우징 외부로 순환시킨다.

Description

에틸렌 제거장치{ETHYLENE REMOV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에틸렌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광촉매 분해를 이용한 에틸렌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채류는 성장과정에서, 식물대사중에 에틸렌을 발생시키며, 과채류의 맛과 색깔을 좋게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수확후에도 계속적으로 에틸렌을 발생시켜 농산물의 저장에 있어서 에틸렌 가스의 축적은 농산물의 숙성을 촉진하여 장기저장을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에틸렌을 제거하기 위해서, 흡착제를 이용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효과가 미미하여 에틸렌을 광촉매 분해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상용화되어 있다. 이러한 에틸렌을 광촉매 분해하는 기술은 티타늄옥사이드(TiO2)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전효과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를 이용하여 에틸렌을 이산화탄소(CO2) 및 물(H2O)로 분해하는 기술이다.
에틸렌 광촉매 분해와 관련된 특허는 2003년 공개번호 10-2003-0053232 등과 같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위의 특허는 글래스 비드에 티타늄옥사이드(TiO2), 실리콘옥사이드(SiO2), 텅스텐옥사이드(WO3), 징크옥사이드(ZnO) 등의 물질에 340nm ~ 380nm 파장대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에틸렌을 분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히 위의 특허는 글래스 비드를 이용해 자외선을 산란시킴으로써, 자외선의 패스를 증가시키고, 광촉매와의 접촉기회를 증가시킴으로써, 효율을 증가시키는 기술이다.
그러나, 위 특허가 상용화되어 있는 에틸렌 제거장치를 사용하여 테스트를 한 결과,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농도의 에틸렌 가스 제거에는 효과적이었으나, 저농도의 에틸렌 가스 상태에서는 제거 효과가 거의 미미하여 저온저장에 적용할 수 있는 에틸렌 가스 제거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3-0053232
그에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저농도의 에틸렌 가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에틸렌 가스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에틸렌 제거장치는, 하우징, 자외선 광원, 다수의 실리카겔 비드 및 공기 순환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자외선 광원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다수의 실리카겔 비드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충진되고, 광촉매 물질로 코팅된다. 상기 공기 순환 모듈은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를 통과하여 다시 상기 하우징 외부로 순환시킨다.
예컨대, 상기 자외선 광원은 100nm 내지 280nm 의 파장대역의 UV-C 자외선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벽에는 자외선 차단 물질이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실리카겔 비드에 코팅된 광촉매 물질은 티타늄옥사이드(TiO2), 실리콘옥사이드(SiO2), 텅스텐옥사이드(WO3), 징크옥사이드(ZnO)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 물질로 코팅된 다수의 실리카겔 비드는, 실리카겔 비드가 A-타입의 실리카겔인 경우, A-타입 실리카겔과 광촉매 물질인 티타늄옥사이드 파우더의 질량비는 145:1 내지 155: 1의 범위를 갖도록 교반하여 코팅된 것이고, 실리카겔 비드가 B-타입의 실리카겔인 경우, B-타입 실리카겔과 광촉매 물질인 티타늄옥사이드 파아우더의 질량비는 60:1 내지 70:1 범위를 갖도록 교반하여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하우징은 원통형상이고, 상기 자외선 광원은 자외선 램프이고, 상기 하우징의 장축을 따라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자외선 광원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하우징의 내벽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에틸렌 제거장치에 의하면, 글래스보다 광투과율이 우수한 실리카겔을 사용함으로써, 자외선의 감소를 방지하고, 그에 따라 광전효과를 증대시킴으로써, 저농도의 에틸렌 가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광투과도가 유사한 석영에 비해 실리카겔을 사용함으로써, 제조단가를 낮출수 있다.
또한, 100nm 내지 280nm 의 파장대역의 UV-C 자외선을 이용함으로써, 광전효과에 따른 전자방출 에너지를 증가시켜 저농도의 에틸렌 가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내벽에 자외선 차단 물질을 코팅하는 경우, 위험한 자외선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A-타입 실리카겔과 광촉매 물질인 티타늄옥사이드 파우더의 질량비는 145:1 내지 155: 1의 범위를 갖도록 교반하여 코팅된 것이고, 실리카겔 비드가 B-타입의 실리카겔인 경우, B-타입 실리카겔과 광촉매 물질인 티타늄옥사이드 파아우더의 질량비는 60:1 내지 70:1 범위를 갖도록 교반하여 코팅하는 경우, 자외선의 산란과 광전효과의 발생을 최적화하여 에틸렌 제거효과를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광원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하우징의 내벽에 부착하는 경우, 하우징의 중앙부와 외측부가 고른 자외선 분포를 갖도록 하여, 하우징의 중앙부와 외측부에서 고르게 에틸렌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광원이 인쇄회로기판에 의해 차단되어, 하우징 내부에 별도의 자외선 차단 물질을 코팅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이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좁은 공간에 공기의 통과경로를 증가시킬 수 있어, 에틸렌 제거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효과들은, 이후 설명될 상세한 설명을 바탕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그로 인해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에틸렌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에에 의한 에틸렌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에에 의한 에틸렌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A-타입 실리카겔과 B-타입 실리카겔의 파장에 따른 광투과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에틸렌 제거장치와 본 실시예에 의한 에틸렌 제거장치를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시간 경과에 따른 에틸렌의 농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에틸렌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에틸렌 제거장치(100)는 하우징(110), 자외선 광원(120), 다수의 실리카겔 비드(140) 및 공기 순환 모듈(13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예컨대,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예컨대, 우레탄, 아크릴수지, 글래스 등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광원(120)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자외선 광원(120)은 예컨대, 형광등 타입의 자외선 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자외선 광원(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중앙부에 상기 하우징(110)의 장축 방향을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광원(120)은 예컨대, 상기 자외선 광원은 100nm 내지 280nm의 파장대역의 UV-C 자외선을 생성한다. 광전효과는 특정 파장보다 짧은 빛이 쪼여질 경우 전자가 튀어 나오는 현상이며, 파장이 짧을수록 더욱 잘 나타난다. UV는 파장에 따라 UV-A(315nm~400 nm), UV-B(280nm~315 nm ), UV-C(100nm~280nm)로 나뉘어 진다. 따라서 광전효과는 이 세가지 UV 대역중 UV-C가 가장 효과적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100nm 내지 280nm 의 파장대역의 UV-C 자외선을 이용함으로써, 광전효과에 따른 전자방출 에너지를 증가시켜 저농도의 에틸렌 가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320nm 이하 파장의 자외선에 인체가 노출되는 경우, 피부에 홍반 반응과 색소침착을 일으키고, 눈의 시력저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외선 광원(120)에서 발생된 광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또한, 상기 하우징(110) 내벽에는 자외선 차단 물질이 코팅된다.
상기 다수의 실리카겔 비드(140)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충진되고, 광촉매 물질로 코팅된다. 이때, 상기 실리카겔 비드(140)에 코팅된 광촉매 물질은 티타늄옥사이드(TiO2), 실리콘옥사이드(SiO2), 텅스텐옥사이드(WO3), 징크옥사이드(ZnO)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에틸렌 가스를 광촉매 분해하는 경우, 티타늄옥사이드(TiO2), 실리콘옥사이드(SiO2), 텅스텐옥사이드(WO3), 징크옥사이드(ZnO)와 같은 물질이 사용되는데, 물리적으로 광전효과에 의해 전자를 내보내서 에틸렌의 산화를 돕는다. 이러한 광촉매를 이용한 에틸렌을 산화율을 높이려면, 에틸렌가스, 산소, 광촉매와 자외선(UV)이 동시에 만날 수 있는 확률을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한 하나의 방법은, 반응하는 단면적을 넓히는 방법이 있다. 동일한 크기의 자외선 광원(120)에 대해 반응 단면적을 넓히려면 비드(bead) 표면에 광촉매를 코팅한 뒤 램프 주변을 채워 넣으면 된다. 비드의 크기가 작을수록 단면적은 넓어진다.
앞서 언급된 선행특허에서는 글래스 비드(glass bead)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실험결과 글래스 비드는 자외선에 대한 광투과율이 떨어져서, 글래스 비드에 진입한 자외선이 흡수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중앙부에서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갈수록 자외선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실험결과, 공기의 흐름은 하우징(110)의 중앙부보다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더 많이 흐르게 되는데, 하우징(110)의 외측의 자외선이 약해지는 경우, 에틸렌의 분해성능이 더 많이 감소할 수 밖에 없게 된다.
그에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에에서는 에틸렌 제거장치(100)에서는 글래스 비드 대신, 자외선에 대한 광투과율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석영을 이용하여 실험해본 결과, 석영 비드는 글래스 비드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보여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석영 비드는 고가이므로, 이를 대체할 다른 물질을 찾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석영과 실리카겔의 성분이 같은 SiO2 성분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UV 스펙트로미터(spectormeter)를 이용하여 실리카겔의 UV 파장별 투과도를 살펴 보았다.
도 4는 A-타입 실리카겔과 B-타입 실리카겔의 파장에 따른 광투과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실리카겔은 저습도에서 흡수율이 좋은 A타입(큰 비표면적 작은 세공크기)과 고습도에서 흡수율이 좋은 B타입(작은 비표면적 큰 세공크기)에 대해 1cm 큐벳을 통과할 때의 UV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실리카겔은 방습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A타입의 실리카겔은 수분등을 흡수하는 넓은 표면적과 아주 미세한 구멍을 가지고 있어 물건의 건조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는 낮은 상대습도를 가지므로 흡착력이 매우 뛰어나서 주로 화학약품, 의약품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B타입의 실리카겔은 흡수량이 많아 환경여건에 따라 거의 영구적으로 표준습도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대기의 상태에 따라서 흡착과 방출의 반복주기가 결정되어 진다. A타입의 실리카겔의 경우, 대략 2.5nm의 미세 구멍을 가지며, B타입의 실리카겔의 경우, 4.5nm 내지 7nm의 미세 구멍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4의 그래프에서 보이듯이 UV-C대역에서 실리카겔은 빛을 투과시킨다.
투과율이 100%가 되지 않은 이유는 빛을 산란시켜서 직진되는 빛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이며, 300nm 파장 이상의 영역에대한 투과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보면 UV-C의 투과율이 좋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선택된 산란 부재인 실리카겔 비드(140)에 광촉매제를 코팅한다. 실험에는 Sigma-Aldrich사에서 판매하는 순도99%의 파우더 타입 Titanium oxide를 사용하였다. 산란을 위한 실리카겔에 100%로 코팅이 된다면 모든 자외선을 흡수하여 산란될 여지가 없다. 따라서 적당량이 코팅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험결과, 상기 광촉매 물질로 코팅된 다수의 실리카겔 비드(140)는, 실리카겔 비드가 A-타입의 실리카겔인 경우, A-타입 실리카겔과 광촉매 물질인 티타늄옥사이드 파우더의 질량비는 145:1 내지 155: 1의 범위를 갖도록 교반하여 코팅된 것이고, 실리카겔 비드가 B-타입의 실리카겔인 경우, B-타입 실리카겔과 광촉매 물질인 티타늄옥사이드 파아우더의 질량비는 60:1 내지 70:1 범위를 갖도록 교반하여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 순환 모듈(130)은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기를 상기 하우징(110) 내부를 통과하여 다시 상기 하우징(110) 외부로 순환시킨다.
이를 위하며, 공기 순환 모듈(130)은 예컨대, 제1 팬(131) 및 제2 팬(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팬(131) 및 제2 팬(13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예컨대, 상기 제1 팬(131)은 상기 하우징(110) 외부의 공기를 상기 하우징(110) 내에 주입하고, 상기 제2 팬(132)은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를 하우징(110) 외부로 방출한다.
상기 공기 순환 모듈(130)은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하우징(110) 내부와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를 갖는 것도 무방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에에 의한 에틸렌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도시된 에틸렌 제거장치의 광촉매 물질로 코팅된 실리카겔 비드는 도 1에서 도시된 에틸렌 제거장치의 광촉매 물질로 코팅된 실리카겔 비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광촉매 물질로 코팅된 실리카겔 비드 및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에틸렌 제거장치(100)는 하우징(110), 자외선 광원(120), 다수의 실리카겔 비드(140) 및 공기 순환 모듈(13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예컨대, 사각형의 기둥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광원(120)은, 인쇄회로기판(122)에 실장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121)로 구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22)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벽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21)들이 부착된 인쇄회로기판(122)은 사각형의 하우징(110)의 4개의 내측면에 모두 부착될 수도 있고, 일부 내측면에만 부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이 도 1에서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자외선 광원(120)은 연성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121)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성인쇄회로기판은 플렉서블하므로, 상기 원통형 하우징의 내벽에 밀착될 수 있으며, 다수의 실리카겔 비드를 채워 넣음으로써 별도의 부착없이도 연성회로 기판이 원통형 하우징의 내벽에 밀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우징(110)의 중앙부와 외측부가 고른 자외선 분포를 갖도록 하여, 하우징(110)의 중앙부와 외측부에서 고르게 에틸렌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광원이 인쇄회로기판(122)에 의해 차단되어, 하우징(110) 내부에 별도의 자외선 차단 물질을 코팅하지 않아도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에에 의한 에틸렌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에에 의한 에틸렌 제거장치는 도 2에서 도시된 에텔렌 제거장치와 하우징의 형상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에틸렌 제거장치(100)는 하우징(110), 자외선 광원(120), 다수의 실리카겔 비드(140) 및 공기 순환 모듈(13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예컨대,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된 형상과 달리, 상기 하우징은 스프링과 같은 코일형상으로 굴곡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같이, 상기 하우징(110)이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좁은 공간에 공기의 통과경로를 증가시킬 수 있어, 에틸렌 제거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에틸렌 제거장치와 본 실시예에 의한 에틸렌 제거장치를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시간 경과에 따른 에틸렌의 농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에서 △로 표시된 그래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에틸렌 제거장치의 시간 경과에 따른 에틸렌의 농도를 나타내고, ◇로 표시된 그래프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의한 에틸렌 제거장치의 시간경과에 따른 에틸렌 농도를 나타낸다. 즉, 시간경과에 따라서, 에틸렌의 농도가 획기적으로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에틸렌 제거장치에 의하면, 글래스보다 광투과율이 우수한 실리카겔을 사용함으로써, 자외선의 감소를 방지하고, 그에 따라 광전효과를 증대시킴으로써, 저농도의 에틸렌 가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에틸렌 제거장치
110: 하우징 120: 자외선 광원
121: 발광 다이오드 122: 인쇄회로기판
130: 공기 순환 모듈 131: 제1 팬
132: 제2 팬 140: 실리카겔 비드

Claims (8)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자외선 광원;
    상기 하우징 내부에 충진되고, 광촉매 물질로 코팅된 다수의 실리카겔 비드; 및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를 통과하여 다시 상기 하우징 외부로 순환시키는 공기 순환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광원은 100nm 내지 280nm의 파장대역의 UV-C 자외선을 생성시키며,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는 자외선 차단물질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겔 비드에 코팅된 광촉매 물질은 티타늄옥사이드(TiO2), 실리콘옥사이드(SiO2), 텅스텐옥사이드(WO3), 징크옥사이드(ZnO)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제거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물질로 코팅된 다수의 실리카겔 비드는,
    실리카겔 비드가 A-타입의 실리카겔인 경우, A-타입 실리카겔과 광촉매 물질인 티타늄옥사이드 파우더의 질량비는 145:1 내지 155: 1의 범위를 갖도록 교반하여 코팅된 것이고,
    실리카겔 비드가 B-타입의 실리카겔인 경우, B-타입 실리카겔과 광촉매 물질인 티타늄옥사이드 파우더의 질량비는 60:1 내지 70:1 범위를 갖도록 교반하여 코팅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제거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통형상이고,
    상기 자외선 광원은 자외선 램프이고, 상기 하우징의 장축을 따라 중앙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제거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광원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하우징의 내벽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제거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제거장치.
KR1020150128675A 2015-09-11 2015-09-11 에틸렌 제거장치 KR101825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675A KR101825944B1 (ko) 2015-09-11 2015-09-11 에틸렌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675A KR101825944B1 (ko) 2015-09-11 2015-09-11 에틸렌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328A KR20170031328A (ko) 2017-03-21
KR101825944B1 true KR101825944B1 (ko) 2018-02-07

Family

ID=58502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675A KR101825944B1 (ko) 2015-09-11 2015-09-11 에틸렌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944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227B1 (ko) 2001-12-22 2004-09-2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에틸렌 제거용 광촉매 반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328A (ko) 201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88125A1 (en) Sterilization apparatus using uv light source harmless to human body
US20190083674A1 (en) Multifunctional photocatalytic module
CN104422037B (zh) 利用紫外线的空气净化装置
US10449265B2 (en) High efficiency ultra-violet reactor
US9370592B2 (en) Purified hydrogen peroxide gas microbial control methods and devices
ES2734146T3 (es) Dispositivos para la generación de gas de peróxido de hidrógeno purificado
KR101189477B1 (ko)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US20140105784A1 (en) Ultraviolet treatment device
US11406729B2 (en) Ai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20130313104A1 (en)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s and photocatalyst-coated supports
US20160121265A1 (en) Gas decomposition filter unit and air purifier
JP2009181914A (ja) 紫外線の面発光体、光触媒装置及び空気清浄方法
WO2011162059A1 (ja) 光触媒脱臭装置
US20150147240A1 (en) Led Lamp Having Photocatalyst Agents
KR20160098685A (ko) 다중 파장의 자외선을 이용한 공간 살균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살균 모듈
US20240123109A1 (en) Air purification module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KR20150062564A (ko) 복수의 공기 유로를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KR101825944B1 (ko) 에틸렌 제거장치
JP2009090040A (ja) 空気清浄装置
KR20150050022A (ko) 냉장고용 신선도 유지 장치
US20220040365A1 (en) Air disinfection chamber
US20230135626A1 (en) Photocatalyst filter module
KR20180009757A (ko) 활성 광촉매 산화
US8926899B1 (en) Photocatalytic devices
KR20160017411A (ko) 청과물 보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