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426B1 - 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 Google Patents

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426B1
KR101825426B1 KR1020170018016A KR20170018016A KR101825426B1 KR 101825426 B1 KR101825426 B1 KR 101825426B1 KR 1020170018016 A KR1020170018016 A KR 1020170018016A KR 20170018016 A KR20170018016 A KR 20170018016A KR 101825426 B1 KR101825426 B1 KR 101825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ile
concrete
fi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0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산기평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산기평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산기평동
Priority to KR1020170018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42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4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pile connection plate having a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pile connection plate having the connection unit comprises: a pile finish plate which comprises an edge unit with a hole in the center thereof, and a bolt combination hole formed on the edge unit by being spaced at a certain distance; a connection plate which comprises an edge unit welded on an internal edge of the pile finish plate, a bending unit extended from an external edge of the edge unit upwards, and a hanging bump horizontally extended from a top end of the bending unit; and a connection unit formed on a top end of an internal edge of the edge unit of the pile finish plate to be combined by making a bottom end of the edge unit of the connection plate come in contact with and welding it.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in manufacturing the pile connection plate, which is capable of promoting combination convenience when connecting concrete piles, by separately manufacturing the pile finish plate and the connection plate, allow manufacturing using a pressing method, to reduce manufacturing costs and manufacturing time, and to allow manufacturing of the pile connection plate by using a thin iron plate by separately manufacturing and welding the pile finish plate and the connection plate, thereby remarkably reducing costs.

Description

연결부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파일 연결플레이트{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A 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having a connecting portion

본 발명은 연결부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파일 연결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파일을 서로 연결할 때 결합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파일 연결플레이트를 제작함에 있어 최선의 가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제작비용 및 제작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콘크리트 파일 연결플레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file connecting plate having a connecting por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file connecting plate capable of providing convenience of connection when connecting concrete files to each other, And a concrete file connecting plate capable of reducing a manufacturing tim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파일은 연약지반의 강화나 건물과 같은 건축물의 지지를 위해 지반에 타설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제작을 위해서는 마감판과 마감판 사이에 다수개의 강선을 걸고 상기 마감판을 견인장치와 볼트로 체결한 다음 상기 견인장치로 마감판을 잡아 당겨 팽팽하게 긴장시킨 다음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를 회전 후 양생시킴으로써 원통 형상의 콘크리트파일을 얻게 된다.Generally, a concrete pile is used for piling on the ground for strengthening soft ground or supporting a building such as a building. In order to produce the concrete pile, a plurality of steel wires are placed between the finishing plate and the finishing plate, After tightening with a pulling device and bolts, pulling the finishing plate with the above pulling device to tighten the tension, concrete is poured into the formwork, and after rotating and curing, a cylindrical concrete pile is obtained.

상기한 콘크리트파일은 다져야할 지반이 깊은 경우는 하나의 콘크리트파일의 길이만으로는 곤란하므로 콘크리트파일을 파일 걸쇠를 이용해 서로 연결해서 사용하기도 한다.If the concrete pile is to be laid deep, it is difficult to use only one concrete pile length, so the concrete pile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using pile pile.

그런데 종래의 콘크리트파일은 각각의 플레이트를 맞대고 용접하는 방식으로 결합하게 되는데 이는 작업시간이 오래걸리고 숙련자를 필요로 하는 단점을 갖는 것이어서 본 출원자는 도 1 내지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콘크리트 파일연결구를 등록특허 제10-1543388호로 선출원한바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concrete piles are assembled by welding the respective plates in a manner of welding, the work takes a long time and requires a skilled person. Thus,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a concrete pile connector as shown in Figs. Patent No. 10-1543388.

그런데 상기한 콘크리트 파일연결구는 "상부 콘크리트 파일(1110)의 상부연결플레이트(1111) 하단에 상기 상부연결플레이트의 직경보다 작은 걸림턱(1112)를 형성하고, 하부 콘크리트 파일(1120)의 하부연결플레이트(1121) 상단에는 상기 하부연결플레이트(1121)의 직경보다 작은 걸림턱(1122)를 형성하되 상기 상부 콘크리트 파일(1110)과 하부 콘크리트 파일(1120) 각각의 걸림턱 외측에는 돌출부(1112a,1122a)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돌출부(1112a,1122a)는 한쌍의 반원형 파일연결구(130)와 상기 파일연결구(130)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1140)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한쌍의 반원형 파일연결구(130) 내측에는 상기 돌출부(1112a,1122a)가 삽입되는 상부 돌기(131)와 하부 돌기(132)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어서 연결플레이트의 일측에 파일연결구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림턱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두꺼운 철판을 절단하고 절삭하여 걸림턱과 볼트체결공 들을 형성하여야 하는 것이어서 이는 철판 두께에 따라 많은 가격차이가 발생한다는 점에 비추어볼 때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고, 또 절단 및 절삭과 같은 별도의 가공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 있어서 많은 가공비용이 소요되어 결과적으로 제작단가가 높아질 수 밖에 없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The concrete pile connection port is formed by forming a hooking step 1112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nnecting plate 1111 of the upper concrete pile 1110 and forming a lower end of the lower connecting plate 1111 of the lower concrete pile 1120, A protrusion 1112a and a protrusion 1122a ar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ncrete plate 1121 and a protrusion 1112a and 1122a are formed outside the upper and lower concrete piles 1110 and 1120, The protrusions 1112a and 1122a are coupled by a pair of semicircular pile connection ports 130 and a pair of coupling ports 1140 for coupling the pile connection port 130, And the upper protrusion 131 and the lower protrusion 132 into which the protrusions 1112a and 1122a are inserted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so that the peg connection port can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on plate. It is necessary to cut and cut a thick steel plate to form a latching jaw and bolt fastening holes, which causes a rise in cost in view of a large pric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steel plate, And machining are required.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which results in a high production cost.

[선행기술문헌][Prior Art Literature]

1. 국내 등록특허 제10-1543388호1. Korean Patent No. 10-1543388

2. 국내 특허출원 제10-2009-0102364호 2. Domestic Patent Application No. 10-2009-0102364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파일 연결플레이트를 제작함에 있어 원가가 낮은 얇은 철판를 사용하여 파일마감판과 연결판 부분을 제작하고 이들을 용접하되, 가공이 쉽고 가공단가가 낮은 프레싱공법에 의해 파일마감판과 연결판 부분을 각각 제작함으로써 가공비용과 가공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ile connecting plate by manufacturing a file finishing plate and a connecting plate portion by using a thin steel plate having a low cost and welding them, The finishing plate and the connecting plate portion are respectively manufactured by the finishing plate and the finishing plate so that the processing cost and the processing time can be remarkably reduc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수단을 살펴보면, 본 발명 콘크리트 파일 연결플레이트는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볼트결합공을 구비하는 파일마감판과, 상기 파일마감판 내측 가장자리에 용접되는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로 외측 가장자리로 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 상단으로 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연결판과, 상기 파일마감판의 테두리부 내측 가장자리 상단에 연결판의 테두리부 하단을 밀착시키고 용접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crete file connecting plate comprising a rim having a hole at the center thereof and a bolt coupling hole spaced apart from the rim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hooking protrusion extending horizontally from an upper end of the bent portion, wherein the hooking protrusion is provided with a hooking protrusion, which is welded to the inner edge of the file finishing plate, And the lower end of the rim of the connecting plate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upper end of the inner edge of the rim of the file finishing plate and weld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파일마감판의 볼트결합공 직상부에 대응하는 연결판의 걸림턱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볼트 체결시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utout is formed in the latching jaw of the coupling plat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lt coupling hole of the file finishing plat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bolt fastenin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파일마감판에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개의 오목홈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홈 중앙에 볼트결합공이 천공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ncave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re formed in the file finishing plate, and a bolt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ncave groov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콘크리트 파일을 서로 연결할 때 결합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파일 연결플레이트를 제작함에 있어 파일마감판과 연결판을 분리 제작함에 있어 프레싱공법에 의해 제작가능하게 함으로써 제작비용 및 제작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manufacturing a file connecting plate that can facilitate the coupling when connecting concrete files to each other, the file finishing plate and the connecting plate can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manufactured by a pressing method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and production time.

또한 본 발명은 파일마감판과 연결판을 분리시켜 제작하고 이를 용접함으로써 비교적 얇은 철판을 사용해서 파일 연결플레이트를 제작가능하게 됨으로써 원가부담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manufacture a file connection plate using a relatively thin steel plate by separating and finishing a file finishing plate and a connecting plate,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cost burden.

도 1 내지 도 2은 종래의 콘크리트 파일 연결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 콘크리트 파일 연결플레이트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콘크리트 파일 연결플레이트의 제조공정을 단계별로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 콘크리트 파일 연결플레이트를 콘크리트 파일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 콘크리트 파일 연결플레이트가 콘크리트 파일에 결합된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9는 도 8의 단면도.
도 10 내지 11은 본 발명 콘크리트 파일 연결플레이트와 파일연결구에 의해 콘크리트파일을 연결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12는 도 11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1 and 2 show a conventional concrete file connecting plat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of the concrete file connect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state of Figure 3;
Fig. 5 is a sectional view of Fig. 4; Fig.
6 is a reference view for sho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ncrete file connection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ages.
7 is a view for showing a state before the concrete file connect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joined to a concrete pile.
8 is a view for showing a state where the concrete file connection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concrete pile.
Fig. 9 is a sectional view of Fig. 8; Fig.
10 to 11 are views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concrete files are connected by the concrete file connection plate and the file connection 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ectional view of Fig. 11;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ed state of Figure 13;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lso, the singular forms used herein include plural forms as long as the phrases do not expressly mean the opposite. Means that a particular feature,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 / or component is specified, and that other specific feature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and / And the like.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further construed to have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relevant technical literat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fficial unless defined otherwise.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erspective view specifically illustrates an ide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variations of the illustration, for example variations in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 or specification, are expected. Thus,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any particular form of the depicted area, but includes modifications of the form, for example, by manufacture. For example, the regions shown or described as being flat may have characteristics that are generally coarse / rough and nonlinear. Also, the portion shown as having a sharp angle may be rounded. Thus, the regions shown in the figures are merely approximate, and their shapes are not intended to depict the exact shape of the regions, nor are they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파일 연결플레이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concrete pile connecting plate having a connec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 콘크리트 파일 연결플레이트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콘크리트 파일 연결플레이트의 제조공정을 단계별로 보이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콘크리트 파일 연결플레이트를 콘크리트 파일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콘크리트 파일 연결플레이트가 콘크리트 파일에 결합된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고, 도 10 내지 11은 본 발명 콘크리트 파일 연결플레이트와 파일연결구에 의해 콘크리트파일을 연결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of the concrete pile connection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pile of Fig. 3, Fig. 5 is a sectional view of Fig. FIG. 7 is a view for showing a state before the concrete file connect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onded to a concrete pile, and FIG. 8 is a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crete file connect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joined to a concrete pile FIG. 9 is a sectional view of FIG. 8, FIGS. 10 to 11 are reference views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concrete files are connected by the concrete file connection plate and the file connection 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sectional view of the combined state of FIG.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First, in the drawings, it is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so as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콘크리트 파일 연결플레이트(100)는 중앙에 통공(111)이 형성된 테두리부(112)와 상기 테두리부(112)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볼트결합공(114)이 천공된 파일마감판(110);The concrete file connecting plat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12 having a through hole 111 formed at its center and a file finishing plate 100 having a bolt coupling hole 114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ame 112 110);

상기 파일마감판(110) 내측 가장자리에 용접되는 테두리부(122)와 상기 테두리부(122) 외측 가장자리로 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절곡부(123)와 상기 절곡부(123) 상단으로 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걸림턱(124)을 구비하는 연결판(120);A bent part 122 welded to the inner edge of the file finishing plate 110 and a bent part 123 extending up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rim 122 and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bent part 123; A connecting plate 120 having an engaging jaw 124;

상기 파일마감판(110)의 테두리부(112) 내측 가장자리 상단에 연결판(110)의 테두리부(122) 하단을 밀착시키고 용접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The lower end of the rim portion 122 of the connecting plate 110 is welded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edge of the rim 112 of the file finishing plate 110 to be welded to each other.

또 본 발명은 상기 파일마감판(110)의 테두리부(112)에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개의 오목홈(113)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홈(113)의 중앙에 볼트결합공(1140)이 천공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오목홈(113)은 볼트머리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ncave grooves 113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re formed in the rim portion 112 of the file finishing plate 110, and a bolt coupling hole 114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ncave groove 113 . The concave groove 113 is for preventing the bolt head from being exposed.

상기 파일마감판(110)은 볼트(C)에 의해 콘크리트 파일(B)에 결합되는데, 상기 콘크리트 파일(B)의 일단에는 너트부(D)가 미리 매립된 상태여서 상기 파일마감판(110)을 볼트(C)로 콘크리트 파일(B)에 결합시키게 되면 콘크리트 파일(B)의 일단에 연결판(120), 즉 걸림턱(124)만 노출된 상태가 된다.The file finishing plate 110 is coupled to the concrete file B by a bolt C. The nut D is previously embedded in one end of the concrete file B, The connecting plate 120, that is, the engaging jaw 124, is exposed to one end of the concrete pile B when the bolts C are coupled to the concrete pile B.

상기 걸림턱(124)에는 파일연결구(F)와의 원만한 결합을 위하여 경사면(126)이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때 경사면의 경사각(H)은 1~10°가 바람직하다. 1°이하는 너무 경사각이 작아 공차가 크지 않게 되고, 10°이상은 경사가 너무 커 콘크리트 파일이 틀어질 경우 외측으로 힘이 작용하여 파일연결구(130)의 파손이 우려되기 때문이다.An inclined surface 126 may be formed on the engaging jaw 124 for smooth coupling with the piercing opening F. At this time, the inclination angle H of the inclined surface is preferably 1 to 10 degrees. If the angle is less than 1 °, the inclination angle is too small to obtain a large tolerance. If the inclination angle is more than 10 °, a force acts on the concrete pile and the pile connection hole 130 may be damag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볼트(C)가 너트부(D)에 나사결합될 때 연결판(12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판(120)의 걸림턱(123)에는 다수개의 절개부(125)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A plurality of cutouts 125 are formed in the latching protrusion 123 of the coupling plate 120 to prevent the bolts C from being caught by the coupling plate 120 when the bolts C are screwed to the nut D. [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때 상기 절개부(125)는 볼트(C)의 결합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파일마감판(110)의 볼트결합공(114) 직상부에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utout portion 125 is preferably formed immediately above the bolt coupling hole 114 of the file finishing plate 110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bolt C when the bolt C is engaged.

또한 본 발명 콘크리트 파일 연결플레이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concrete file connect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즉 철판(원형상으로 절단된 철판)을 프레싱장치(미도시)에 의해 포밍하고 상기 볼트 내장홈(114)에 통공(111)과 볼트결합공(115)을 천공하여 파일마감판(110)을 제작하는 단계와, 또 하나의 철판을 프레싱장치에 의해 절곡부(123)와 걸림턱(124)이 형성되도록 포밍하고 통공(121)이 형성되도록 천공하여 연결판(120)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파일마감판(110)의 테두리부(112) 내측 가장자리 상단에 연결판(120)의 테두리부(122) 하단을 밀착하고 이들을 서로 용접하여 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Not shown) to form a through hole 111 and a bolt coupling hole 115 in the bolt built-in groove 114 to form the file finishing plate 110 Forming a connecting plate 120 by forming a bending portion 123 and an engaging protrusion 124 by a pressing apparatus and drilling the through hole 121 so as to form a through hole 121; The lower end of the rim 122 of the connecting plate 120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upper end of the inner edge of the rim 112 of the file finishing plate 110 and welded to each other.

이처럼 파일마감판(110)과 연결판(120)을 분리하여 프레싱가공하는 이유는 하나의 철판만으로는 어떤 가공방법을 구사한다 하더라도 프레싱장치에 의해서는 파일마감판(110)과 상기 파일마감판 상부에 형성된 연결판(120)의 걸림턱(124)과 같은 주조는 결코 제작할 수 없기 때문이다. The reason why the file finishing plate 110 and the connecting plate 1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subjected to pressing processing is that, even if a single iron plate alone is used, the pressing finishing plate 110 and the upper finishing plate This is because casting such as the engaging jaw 124 of the formed connecting plate 120 can never be manufactured.

종래처럼 두꺼운 철판을 기계가공에 의해 절삭하여 제작하는 것보다 본 발명처럼 저렴한 가격의 철판을 사용하고 프레싱장치에 의한 절곡 및 천공작업을 함으로써 제작시간이 짧아지고 원가 및 가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파일 연결플레이트를 제조함이 바람직하다.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of cutting and manufacturing thick steel sheets by machining, the steel sheet is use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at low cost, and the bending and punching work is performed by the pressing apparatus. As a result, the production time is shortened, It is preferable to manufacture a file connecting plate.

이처럼 제작된 본 발명 콘크리트 파일 연결플레이트(100)는 콘크리트 파일(B)의 일단에 결합하게 되면 결국 연결하고자 하는 두개의 콘크리트 파일(B)에는 각 걸림턱(124)이 서로 맞댄 상태가 된다.When the concrete pile connecting plat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to one end of the concrete pile B, the pile jaws 124 are brought into mutual alignment with the two concrete piles B to be connected.

따라서 상기 각각의 걸림턱(124)을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파일연결구(F)가 내측 오목홈(미도시)으로 각각의 걸림턱(124)을 감싸듯이 걸어 잠근 다음 체결구(G)에 의해 결합되면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파일(B)은 하나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여러개의 콘크리트 파일(B)을 하나로 이어서 길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each of the locking protrusions 124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by a pair of piercing hooks F which are engaged with the respective locking protrusions 124 in an inner concave groove (not shown) As a result, the concrete pile B is formed into on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a plurality of concrete files B in succession for a long time.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콘크리트 파일 연결플레이트
110: 파일마감판 111: 통공
112: 테두리부 113: 오목홈
114: 볼트결합공
120: 연결판 121: 통공
122: 테두리부 123: 절곡부
124: 걸림턱
A: 용접부 B: 콘크리트 파일
C: 볼트 D: 너트부
E: 강선 F: 파일연결구
100: Concrete file connection plate
110: File end plate 111: Through hole
112: rim portion 113: concave groove
114: bolt coupling ball
120: connection plate 121: through hole
122: rim portion 123: bent portion
124: hanging jaw
A: weld B: concrete file
C: Bolt D: Nut portion
E: Steel wire F: File connector

Claims (3)

중앙에 통공(111)이 형성된 테두리부(112)와 상기 테두리부(112)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볼트결합공(114)이 천공된 파일마감판(110)을 구비하는 콘크리트 파일 연결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파일마감판(110) 내측 가장자리에 용접되는 테두리부(122)와 상기 테두리부(122) 외측 가장자리로 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절곡부(123)와 상기 절곡부(123) 상단으로 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걸림턱(124)을 구비하는 연결판(120);
상기 파일마감판(110)의 테두리부(112) 내측 가장자리 상단에 연결판(110)의 테두리부(122) 하단을 밀착시키고 용접하여 서로 결합되되,
상기 파일마감판(110)의 볼트결합공(114) 직상부에 대응하는 연결판(120)의 걸림턱(124)에는 절개부(125)가 형성되어 볼트결합공(114)에 볼트체결시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파일 연결플레이트
A concrete pile connecting plate 110 having a rim 112 formed with a through hole 111 at its center and a pile finishing plate 110 having a bolt connecting hole 114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im 112, As a result,
A bent part 122 welded to the inner edge of the file finishing plate 110 and a bent part 123 extending up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rim 122 and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bent part 123; A connecting plate 120 having an engaging jaw 124;
The lower end of the rim 122 of the connecting plate 110 is closely contacted to the upper edge of the inner edge of the rim 112 of the file finishing plate 110,
A cutout 125 is formed in the latching protrusion 124 of the coupling plate 120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le finishing plate 110 directly above the bolt coupling hole 114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bolt coupling hole 114 Wherein the concrete file connecting plate has a connecting porti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마감판(110)의 테두리부(112)에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개의 오목홈(113)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홈(113)의 중앙에 볼트결합공(1140)이 위치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파일 연결플레이트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concave grooves (113)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re formed in a rim portion (112) of the file finishing plate (110), and a bolt coupling hole (1140) And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concrete file connecting plate

KR1020170018016A 2017-02-09 2017-02-09 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KR1018254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016A KR101825426B1 (en) 2017-02-09 2017-02-09 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016A KR101825426B1 (en) 2017-02-09 2017-02-09 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426B1 true KR101825426B1 (en) 2018-02-05

Family

ID=61224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016A KR101825426B1 (en) 2017-02-09 2017-02-09 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42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488A (en) * 2018-04-18 2019-10-28 한국도로공사 the high performance precast reinforced concrete pil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00001239A (en) * 2018-06-27 2020-01-06 (주)성심씨앤엠 Concrete Pile Joining Device With Solid Joining Func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393B1 (en) * 2015-12-31 2016-10-21 주식회사 제일산기평동 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393B1 (en) * 2015-12-31 2016-10-21 주식회사 제일산기평동 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488A (en) * 2018-04-18 2019-10-28 한국도로공사 the high performance precast reinforced concrete pil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04599B1 (en) * 2018-04-18 2020-04-24 한국도로공사 the high performance precast reinforced concrete pil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00001239A (en) * 2018-06-27 2020-01-06 (주)성심씨앤엠 Concrete Pile Joining Device With Solid Joining Function
KR102104172B1 (en) 2018-06-27 2020-04-23 (주)성심씨앤엠 Concrete Pile Joining Device With Solid Joining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0129B2 (en) Component hoist clip
US8402701B2 (en) Anchor for handling building elements, in particular a concrete panel
WO2011106602A2 (en) Standing seam roof clamp
KR101543388B1 (en) 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KR101825426B1 (en) 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KR101790508B1 (en) Fabrication apparatus of concrete pile
KR20120105093A (en) Fence prop fixing structure concrete for fence installation
KR101714371B1 (en) Joints Appartus of The Concrete Piles and Steel Pipe
KR101668393B1 (en) 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KR20170021267A (en) Pile coupler
KR101494879B1 (en) Coupling Means for Form
JP6106512B2 (en) Connector
KR102255423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connecting plate for a concrete pile
CN104947940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deformed bar
KR101451164B1 (en) The clamping device for Concrete piles extending
KR102110224B1 (en) 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connecting plate thereof
JP3103899U (en) Insert collar
GB2338770A (en) Connecting device for parallel posts
KR101668389B1 (en) 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KR20180123944A (en) 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KR102203307B1 (en) Masonry Wall Binding Device
KR102193390B1 (en) 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connecting plate thereof
KR20180002412U (en) Clamp for clamping formworks
KR200463894Y1 (en) Banding clamp of pipe for Removable fence
JPH09195377A (en) Joint tool and structure of joint part of concrete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