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388B1 -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 및 채널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 및 채널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388B1
KR101825388B1 KR1020160066208A KR20160066208A KR101825388B1 KR 101825388 B1 KR101825388 B1 KR 101825388B1 KR 1020160066208 A KR1020160066208 A KR 1020160066208A KR 20160066208 A KR20160066208 A KR 20160066208A KR 101825388 B1 KR101825388 B1 KR 101825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control
data
emergency
broadcasting
v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6035A (ko
Inventor
이창희
김미혜
이용상
Original Assignee
김학용
김호경
이용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용, 김호경, 이용상 filed Critical 김학용
Priority to KR1020160066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388B1/ko
Publication of KR20170136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04H20/33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by plural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 H04H60/43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for identifying broadcas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5/440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를 이용한 채널 전환 방법은 (a) 외부신호 수신부가 외부 기기로부터 화재 경보 신호, 또는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고, 비상방송 출력 명령신호를 생성하여 주제어부에 전달하는 단계; (b) 상기 주제어부가 비상방송 저장부에 저장된 비상방송 스트림(TS:Transport Stream) 읽는 단계; (c) 상기 주제어부가 상기 비상방송 스트림을 분석하여 얻은 분석결과 데이터를 메모리부(700)에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주제어부가 튜너로부터 전달받아 모듈레이터(300)를 통해 출력중인 라이브 영상의 스트림에 포함된 일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주제어부(200)가 상기 데이터에서 채널 정보를 추출하여 임의의 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f) 상기 주제어부가 임의의 상기 데이터 테이블에 상기 (c)단계에서 얻은 분석결과 데이터를 추가하는 단계; (g) 상기 모듈레이터가 상기 비상방송 저장부에 저장된 오리지널 비상방송 데이터를 상기 (f)단계에서 분석결과 데이터가 추가된 데이터 테이블로 교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비상방송으로 전환할 때, 보고 있던 라이브 방송 가상채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 및 채널 전환 방법{BROADCAST EQUIPMENT FOR CONVERTING CHANNEL AND METHOD FOR CONVERTING CHANNEL}
본 발명은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H/E에서 일반적인 지상파방송 또는 위성방송을 송출하다가 재난 시에 비상방송으로 절체하여 다시 송출하는 과정에서 비상방송으로 전환할 때, 이전에 보고 있던 라이브 방송의 가상채널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는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는 지상파방송 또는 위성방송을 송출하다가 재난 시에 비상방송으로 절체하여 다시 송출하는 과정에서 비상방송으로 전환할 때, 이전에 보고 있던 라이브 방송의 가상채널(ex>5-1) 또한 바뀌기 때문에 비상방송 채널이 달라 볼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43580호(2006. 11. 0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H/E에서 일반적인 지상파방송 또는 위성방송을 송출하다가 재난 시에 비상방송으로 절체하여 다시 송출하는 과정에서 비상방송으로 전환할 때, 이전에 보고 있던 라이브 방송의 가상채널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는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를 이용한 채널 전환 방법은 (a) 외부신호 수신부가 외부 기기로부터 화재 경보 신호, 또는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고, 비상방송 출력 명령신호를 생성하여 주제어부에 전달하는 단계; (b) 상기 주제어부가 비상방송 저장부에 저장된 비상방송 스트림(TS:Transport Stream) 읽는 단계; (c) 상기 주제어부가 상기 비상방송 스트림을 분석하여 얻은 분석결과 데이터를 메모리부(700)에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주제어부가 튜너로부터 전달받아 모듈레이터(300)를 통해 출력중인 라이브 영상의 스트림에 포함된 일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주제어부(200)가 상기 데이터에서 채널 정보를 추출하여 임의의 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f) 상기 주제어부가 임의의 상기 데이터 테이블에 상기 (c)단계에서 얻은 분석결과 데이터를 추가하는 단계; (g) 상기 모듈레이터가 상기 비상방송 저장부에 저장된 오리지널 비상방송 데이터를 상기 (f)단계에서 분석결과 데이터가 추가된 데이터 테이블로 교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는 비상방송으로 전환할 때, 보고 있던 라이브 방송 가상채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의 블록도,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를 이용한 채널 전환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의 주제어부가 비상방송 스트림을 읽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의 주제어부가 새로운 임의의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의 모듈레이터가 새롭게 작성된 VCT, MGT 테이블로 교체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의 블록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는 외부신호 수신부(100), 주제어부(200), 모듈레이터(300), 튜너(400), 비상방송 저장부(500), 출력부(600), 및 메모리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신호 수신부(100)는 관리자나 당직자가 사용하는 PC의 서버와 연결되어 해당 PC를 통해 입력되는 화재 경보 신호, 또는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외부신호 수신부(100)는 다른 경로로서 아파트 화재감지 기능을 가진 기기로부터 화재 경보 신호 또는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주제어부(200)는 상기 외부신호 수신부(100)로부터 화재 경보 신호 또는 재난 발생 신호를 전달받아 지상파 방송을 비상방송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 명령신호로 신호처리하여 상기 모듈레이터(300)로 전달한다.
상기 모듈레이터(300)는 상기 비상방송 저장부(500)에 저장된 비상방송 스트림이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튜너(400)에서 전달되는 지상파 신호를 차단한다.
상기 튜너(400)는 지상파방송, 위성방송과 같은 일반적인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비상방송 저장부(500)는 화재 경보 또는 재난 발생 등 특정 상황에 맞는 다양한 비상방송 스트림을 저장관리한다.
상기 출력부(600)는 상기 튜너(400)가 수신한 지상파방송 또는 위성방송을 송출하거나, 화재 또는 재난 발생시 전환명령에 따라 해당되는 비상방송 스트림을 송출한다.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를 이용한 채널 전환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의 상기 외부신호 수신부(100)는 관리자나 당직자가 사용하는 PC의 서버와 연결되어 해당 PC를 통해 입력되는 이벤트 발생신호 즉, 화재 경보 신호, 또는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고, 비상방송 출력 명령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주제어부(200)에 전달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0).
상기 주제어부(200)는 상기 비상방송 출력 명령신호를 수신한 후, 발생한 비상상황에 맞는 특정(지정된)비상방송 스트림(TS:Transport Stream)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상방송 저장부(500)에서 읽는 단계를 수행한다(S200).
상기 주제어부(200)는 상기 S200단계에서 읽어드린 비상방송 스트림을 분석하여 PAT(Program Association Table)를 찾아내고, 상기 PAT에서 복수의 필요한 정보들을 추출하여 자체 저장부 또는 백업 차원에서 외부의 별도 메모리부(700)에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00).
상기 주제어부(200)는 상기 모듈레이터(300)가 상기 튜너(400)로부터 전달받아 출력중인 라이브 영상의 스트림 중, MGT(Master Guide Table), VCT(Virtual Channel Table) 테이블의 데이터를 상기 모듈레이터(300)로부터 전달받는 단계를 수행한다(S400).
여기서 참고로, 방송 데이터는 TS(Transport Stream)라는 전송규약을 통해 전송되는데, 상기 TS는 각각 다른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는 복수의 테이블들로 구성된다.
상기 TS에 포함된 복수의 테이블들 중, PMT(Program Map Table), PAT, VCT, 및 MGT 간단히 살펴보면, 상기 PMT는 실제 영상/오디오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테이블이고, 상기 PAT는 상기 PMT의 PID를 포함하는 테이블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상기 PAT의 내용을 분석하여 PMT의 PID(Packet ID)를 알아내고 해당 PID로 PMT를 찾아 영상/오디오 데이터를 찾아낼 수 있다.
한편, 상기 VCT는 영상을 어떤 채널에서 출력되게 할지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테이블로서, 6-1 SBS, 7-1 KBS 등의 채널정보가 결정되게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MGT는 상기 VCT보다 잦은 빈도로 존재하며, 상기 VCT의 버전과 데이터 길이 등 VCT에 대한 간략한 정보와 다른 테이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주제어부(200)는 라이브 영상 스트림 중 상기 VCT 테이블에서 major/minor 채널 등의 정보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하여 임의의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00).
이후, 상기 주제어부(200)는 상기 S500 단계에서 생성한 테이블에 상기 S300 단계에서 상기 비상방송 스트림 분석을 통해 얻는 데이터(도 3 보라색으로 표시된 데이터)를 추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600).
이때, 상기 주제어부(200)는 추가된 데이터에 대해 예를 들어 "재난방송"과같은 명칭(도 3 보라색으로 표시된 Shart_name)을 기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제어부(200)는 상기 S500 및 S600 단계를 통해 새롭게 작성된 임의의 테이블을 상기 모듈레이터(300) 내부의 특정 저정부에 저장하거나, 별도로 외부의 메모리부(700)에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700).
한편, 상기 주제어부(200)는 상기 VCT테이블의 버전넘버 저장을 위해 상기 S400 단계에서 전달받은 MGT 테이블의 데이터에 대해서도 상기 S500 내지 S700단계의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제어부(200)가 상기 비상방송 저장부(500)에 저장된 비상방송 스트림 데이터를 상기 모듈레이터(300)로 전달하면, 상기 모듈레이터(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방송 스트림 데이터의 VCT, MGT 테이블을 삭제하고, 새롭게 작성된 VCT, MGT 테이블로 교체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800).
이후, 상기 출력부(600)는 VCT, MGT 테이블로 교체된 비상방송 스트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90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하기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외부신호 수신부
200 : 주제어부
300 : 모듈레이터
400 : 튜너
500 : 비상방송 저장부
600 : 출력부
700 : 메모리부

Claims (9)

  1.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를 이용한 채널 전환 방법에 있어서,
    (a) 외부신호 수신부(100)가 외부 기기로부터 화재 경보 신호, 또는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고, 비상방송 출력 명령신호를 생성하여 주제어부(200)에 전달하는 단계;
    (b) 상기 주제어부(200)가 비상방송 저장부(500)에 저장된 비상방송 스트림(TS:Transport Stream) 읽는 단계;
    (c) 상기 주제어부(200)가 상기 비상방송 스트림을 분석하여 얻은 비상방송 분석결과 데이터를 메모리부(700)에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주제어부(200)가 튜너(400)로부터 전달받아 모듈레이터(300)를 통해 출력중인 라이브 영상의 스트림에 포함된 라이브 영상 일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주제어부(200)가 상기 라이브 영상 일부 데이터에서 채널 정보를 추출하여 임의의 라이브 영상 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f) 상기 주제어부(200)가 임의의 상기 라이브 영상 데이터 테이블에 상기 (c)단계에서 얻은 분석결과 데이터를 추가하는 단계;
    (g) 상기 모듈레이터(300)가 상기 비상방송 저장부(500)에 저장된 오리지널 비상방송 데이터를 상기 (f)단계에서 비상방송 분석결과 데이터가 추가된 데이터 테이블로 교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를 이용한 채널 전환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주제어부(200)는
    비상방송 스트림의 분석을 통해 실제 영상/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된 PMT 테이블의 PID(Packet ID)정보를 가진 PAT(Program Association Table)를 찾아내고 상기 PAT에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를 이용한 채널 전환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주제어부(200)는
    상기 라이브 영상의 스트림에서, 영상을 어떤 채널에서 출력되게 할지에 대한 정보를 담은 VCT(Virtual Channel Table:가상채널) 테이블 데이터와 상기 VCT 테이블의 버전과 데이터 길이 정보를 담은 MGT(Master Guide Table)테이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를 이용한 채널 전환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상기 주제어부(200)는
    상기 VCT 테이블에서 major/minor 채널 정보를 추출하여 새로운 VCT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를 이용한 채널 전환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200)는
    생성된 새로운 상기 VCT 테이블에 상기 비상방송 스트림 분석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를 이용한 채널 전환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200)는
    상기 VCT테이블의 버전넘버 저장을 위해 상기 MGT 테이블에 대해서도 상기 스트림 분석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추가하여 새로운 MGT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를 이용한 채널 전환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g)단계에서,
    상기 모듈레이터(300)가 상기 비상방송 저장부(500)에 저장된 오리지널 비상방송 데이터의 VCT 테이블과 MGT 테이블을 삭제하고 새로 생성된 상기 VCT 테이블과 상기 MGT 테이블로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를 이용한 채널 전환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h) 상기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의 출력부(600)가 새로 생성된 상기 VCT 테이블과 상기 MGT 테이블로 교체된 비상방송 스트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를 이용한 채널 전환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200)는
    새로 생성한 상기 VCT 테이블과 상기 MGT 테이블을 교체출력하는 상기 모듈레이터(300) 내부의 특정 저정부에 저장하거나, 상기 메모리부(70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를 이용한 채널 전환 방법.
KR1020160066208A 2016-05-30 2016-05-30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 및 채널 전환 방법 KR101825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208A KR101825388B1 (ko) 2016-05-30 2016-05-30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 및 채널 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208A KR101825388B1 (ko) 2016-05-30 2016-05-30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 및 채널 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035A KR20170136035A (ko) 2017-12-11
KR101825388B1 true KR101825388B1 (ko) 2018-02-09

Family

ID=60943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208A KR101825388B1 (ko) 2016-05-30 2016-05-30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 및 채널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3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245B1 (ko) 2021-11-02 2023-03-16 브로드퀘스트 주식회사 비상 시 다채널 방송 영상의 송출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035A (ko) 201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0418B1 (ko) 방송 스트림으로 전송되는 멀티캐스트 ip 데이터를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460464B1 (ko)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CN106034262A (zh) 自适应流媒体处理方法及装置
US11395050B2 (en) Receiving apparatus, transmitt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JP2021107943A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JP6769518B2 (ja)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KR101825388B1 (ko)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장비 및 채널 전환 방법
KR102330694B1 (ko)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US20100186464A1 (en) Laundry refresher unit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440142B1 (ko)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CN107210041B (zh) 发送装置、发送方法、接收装置以及接收方法
US75386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decoder configuration
KR102078561B1 (ko) 모바일 단말의 방송 방법
Ono et al. Multiple video, Audio, and Lighting Control Signal Synchronous Transmission System using Advanced-MMT (MPEG Media Transport)
US201901819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emergency alert messages
KR102426388B1 (ko)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Nihei et al. Demonstration Test of an Adaptive Video Streaming Method Using Throughput Prediction and Scalable Video Coding
KR101421656B1 (ko) 채널관리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220135874A (ko) 수어 자막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방법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JP2004357172A (ja) チャンネルを自動判別する送受信システム
JP2009077083A (ja) Ts処理装置及びこのts処理装置で使用されるエンコーダ、デコーダ
CN103765907A (zh) 使用扩展描述符将媒体数据从发射机递送到接收机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