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036B1 - 보일러 열교환장치 - Google Patents

보일러 열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036B1
KR101825036B1 KR1020150165364A KR20150165364A KR101825036B1 KR 101825036 B1 KR101825036 B1 KR 101825036B1 KR 1020150165364 A KR1020150165364 A KR 1020150165364A KR 20150165364 A KR20150165364 A KR 20150165364A KR 101825036 B1 KR101825036 B1 KR 101825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water
pipe
heat exchang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0772A (ko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김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수 filed Critical 김용수
Priority to KR1020150165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036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40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40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 F24H1/43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24H9/0015Guiding means in water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에 구비되는 한편 일단부의 입수구로 유입된 물이 흐르면서 본체와 열 교환되어 생성된 온수가 타단부의 출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동관을 포함하는 보일러 열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의 입수관에는 제1열교환장치가 구비되고, 출수관에는 제2열교환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입수관 및 상기 출수관에 각각 구비되는 별도의 상기 제1열교환장치와 제2열교환장치에 의해 상기 유동관을 통해 공급되는 기체가 혼합된 물에서 상기 기체는 부력에 의해 물로부터 분리되며, 물에서 분리된 상기 기체를 유동관에 주입시켜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열교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보일러 열교환장치에 따르면, 유동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기체분리부로 기체를 분리시켜 상기 기체를 유동관의 입수구로 주입시켜 입수구로 유입되는 물과 섞어 줌으로써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1차 상승시킨 상태로 공급하므로 고온의 난방수와 온수를 신속하게 생성 및 공급할 수 있고, 보일러 열교환장치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보일러 열교환장치{Heat Exchanger For Heating Boiler}
본 발명은 보일러에 구비되는 보일러 열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교환장치의 효율을 향상시켜 고온의 난방수 및 온수를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보일러 열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보일러 열교환장치의 일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로서,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열교환장치는 유동관(10) 내를 흐르는 많은 양의 물을 가열하도록 되어 있어 빠른 시간 내에 난방수를 생성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고온의 난방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긴 대기 시간이 필요하므로 열교환 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열교환장치가 구비되어 유동관을 통해 배출되는 기체가 혼합된 물을 잠시 머무르게 하여 상기 물에 혼합되어 있는 기체가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물에서 분리된 기체를 유동관의 입수구로 주입시켜 물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보일러 열교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에 구비되는 한편 일단부의 입수구로 유입된 물이 흐르면서 본체와 열 교환되어 생성된 온수가 타단부의 출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동관을 포함하는 보일러 열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의 입수관에는 제1열교환장치가 구비되고, 출수관에는 제2열교환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입수관 및 상기 출수관에 각각 구비되는 별도의 상기 제1열교환장치와 제2열교환장치에 의해 상기 유동관을 통해 공급되는 기체가 혼합된 물에서 상기 기체는 부력에 의해 물로부터 분리되며, 물에서 분리된 상기 기체를 유동관에 주입시켜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열교환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열교환장치와 상기 제2열교환장치는 상기 기체를 분리시키는 기체분리부와, 상기 기체분리부에서 분리된 상기 기체가 배출되는 기체배출부와, 상기 유동관에 기체를 주입시키는 기체주입부와, 상기 기체배출부와 상기 기체주입부를 연결하는 기체이동관;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열교환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열교환장치의 기체주입부는 상기 유동관의 출수관과 가까운 지점인 배출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제2열교환장치의 기체주입부는 상기 유동관의 입수관과 가까운 지점인 공급지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열교환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열교환장치의 기체주입부가 설치된 유동관은 관의 직경이 줄어들었다가 다시 원래의 지름만큼 커지는 벤추리부가 형성되되, 상기 벤추리부가 형성된 상기 유동관의 내부압력(P2)이 상기 제2열교환장치의 기체배출부의 압력(P1)보다 높게 형성됨에 따라 물에서 분리된 기체가 상기 기체배출부에서 상기 기체주입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기체이동관의 일단부는 유동관의 내부에 삽입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기체분리부는 속이 빈 챔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챔버에는 분리된 기체가 존재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챔버의 일측에는 상기 유동관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챔버 내부로 유입되는 온수유입구와, 상기 챔버의 타측에는 상기 온수유입구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공급된 물이 배출되는 온수배출구와, 상기 챔버 내부에 구비되는 유로블락(Water course block)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온수유입구에서 상기 챔버 내부로 낙차되는 물이 상기 유로블락에 부딪쳐 상기 물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열교환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기체는 헬륨(He)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열교환장치가 제공된다.
본체에 구비되는 한편 일단부의 입수구로 유입된 물이 흐르면서 본체와 열 교환되어 생성된 온수가 타단부의 출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동관을 포함하는 보일러 열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의 출수관에는 별도의 열교환장치가 구비되어 출수구로 배출되는 난방수의 일부를 상기 유동관의 입수관에 주입시켜 입수구로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열교환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별도의 상기 열교환장치는 난방수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에 저장된 난방수를 상기 유동관의 입수관으로 리턴시키는 리턴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챔버의 일측에는 상기 유동관에서 공급되는 난방수가 상기 챔버 내부로 유입되는 챔버유입구와, 상기 챔버의 타측에는 상기 챔버유입구와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공급된 난방수가 배출되는 챔버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열교환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리턴관의 일단부는 상기 유동관의 입수관 내부에 삽입되게 구비되는 난방수주입부와, 타단부는 상기 챔버에 연결되는 난방수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난방수배출부는 상기 챔버유입구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열교환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난방수주입부가 설치된 유동관은 관의 직경이 줄어들었다가 다시 원래의 지름만큼 커지는 벤추리부가 형성되되, 상기 벤추리부가 형성된 상기 유동관의 내부압력(P2)이 상기 챔버 내부압력(P1)보다 높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입수관으로 난방수가 리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보일러 열교환장치에 따르면, 유동관을 통해 배출되는 기체가 혼합된 물에서 기체분리부로 기체를 분리시켜 상기 기체를 유동관으로 주입시켜 물과 섞어 줌으로써 유동관내의 물의 온도를 상승시킨 상태로 공급하므로 고온의 난방수와 온수를 신속하게 생성 및 공급할 수 있고, 보일러 열교환장치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일러 열교환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열교환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열교환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열교환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열교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열교환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열교환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열교환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보일러 열교환장치는 본체(1) 외주면에 나선 형태로 감김 되어 유동관(500)이 구비되고, 상기 유동관(500)의 일단부의 입수구(미도시)로 유입된 물이 흐르면서 본체(1)와 열 교환되어 생성된 온수가 타단부의 출수구(미도시)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보일러의 열원으로는 가스나 액체 연료(기름)를 연소시켜서 고열을 얻는 버너뿐만 아니라,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보일러도 포함된다.
상기 유동관(500)의 입수관(500a)에는 제1열교환장치(100)가 구비되고, 출수관(500b)에는 제2열교환장치(200)가 구비되며, 상기 입수관(500a) 및 상기 출수관(500b)에 각각 구비되는 별도의 상기 제1열교환장치(100)와 제2열교환장치(200)에 의해 상기 유동관(500)을 통해 공급되는 기체가 혼합된 물에서 상기 기체는 부력에 의해 물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상기 기체는 비활성기체이며, 용해도가 낮고 열전도율이 높은 헬륨(Helium)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분리된 상기 기체를 유동관(500)에 유입시켜 물과 섞어 줌으로써 분리된 기체와 유동관 내의 물이 열교환하여 물의 온도를 상승시켜 고온의 난방수와 온수를 신속하게 생성 및 공급할 수 있고, 보일러 열교환장치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일러 열교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이다.
상기 제1열교환장치(100)와 상기 제2열교환장치(200)는 상기 기체를 분리시키는 기체분리부(110,210)와, 상기 기체분리부(110,210)에서 분리된 상기 기체가 배출되는 기체배출부(120,220)와, 상기 유동관(500)에 기체를 주입시키는 기체주입부(130,230)와, 상기 기체배출부(120,220)와 상기 기체주입부(130,230)를 연결하는 기체이동관(140,24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기체이동관(140,240)의 일단부는 유동관(500)의 내부에 삽입되게 구비된다.
상기 기체분리부(100)에서는 입수관(500a)에 설치되어 입수관(500a)에서 배출되는 기체가 혼합된 물이 잠시 머무르게 되며, 상기 물에 혼합되어 있는 기체는 부력에 의해 기체가 상승하여 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기체분리부(200)에서는 출수관(500b)에 설치되어 출수관(500b)에서 배출되는 기체가 혼합된 물이 잠시 머무르게 되며, 상기 물에 혼합되어 있는 기체는 부력에 의해 기체가 상승하여 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제1열교환장치(100)의 기체주입부(130)는 상기 출수관(500b)과 가까운 지점인 배출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제2열교환장치(200'0의 기체주입부(230)는 상기 유동관(500)의 입수관(500a)과 가까운 지점인 공급지점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열교환장치(200)의 기체주입부(230)가 설치된 유동관(500)은 관의 직경이 줄어들었다가 다시 원래의 지름만큼 커지는 벤추리부(30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벤추리부(300)가 형성된상기 유동관(500)의 내부압력(P2)이 상기 제2열교환장치(200)의 기체배출부(220)의 압력(P1)보다 높게 형성됨에 따라 물에서 분리된 기체가 상기 기체배출부(220)에서 상기 기체주입부(230)로 이동된다.
상기 기체이동관(140,240)은 연소실(2) 부근에 위치하고, 본체(1)의 외주면에 나성형태로 감김 되어 구비된다. 그러므로 상기 연소실(2)에서 발생되는 열이 전달되므로 기체이동관(140,240)과 열교환이 발생되므로 열효율이 더욱 향상됨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장치(100)의 기체분리부(110)는 속이 빈 챔버(111)로 이루어진다. 상기 챔버(111,211)에는 분리된 기체가 존재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챔버(111)의 일측에는 상기 입수관(500a)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챔버(111) 내부로 유입되는 온수유입구(112)와, 상기 챔버(111)의 타측에는 상기 온수유입구(112)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공급된 물이 배출되는 온수배출구(113)와, 상기 챔버(11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온수유입구(112)에서 상기 챔버(111) 내부로 낙차되는 물이 부딪쳐 상기 물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유로블락(Water course block)(1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열교환장치(200)의 기체분리부(210)는 속이 빈 챔버(211)로 이루어진다. 상기 챔버(211)에는 분리된 기체가 존재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챔버(211)의 일측에는 상기 출수관(500b)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챔버(211) 내부로 유입되는 온수유입구(212)와, 상기 챔버(211)의 타측에는 상기 온수유입구(212)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공급된 물이 배출되는 온수배출구(213)와, 상기 챔버(21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온수유입구(212)에서 상기 챔버(211) 내부로 낙차되는 물이 부딪쳐 상기 물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유로블락(Water course block)(214)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유로블락(114,214)에 의해 상기 물의 단위부피당 표면적이 증가하여 물에 혼합된 기체가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열교환장치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단열챔버(400)는 외주면에 나선 형태로 감김 되는 상기 유동관(500)및 상기 기체이동관(140,240))을 구비하는 상기 본체(1)를 감싼다.
상기 연소실(2)에는 전기보일러 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유동관(500)의 일단부의 입수구로 유입된 물이 흐르면서 본체(1)와 열 교환되어 생성된 온수가 타단부의 출수구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기체이동관(140,240)도 상기 연소실(2)에서 발생되는 열이 전달되므로 열효율이 더욱 향상됨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단열챔버(400)에는 일정압력유지밸브(410)가 구비되며, 상기 일정압력유지밸브(410)는 필요에 따라 고압 또는 진공을 만들 수 있다.
고압시에는 일정압력유지관(411)을 통해 기체를 흡입하여 고압을 유지시키고, 진공시에는 일정압력유지관(151)을 통해 기체를 배출하여 진공을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외부와의 열교환이 감소하여, 상기 유동관(500)과 상기 기체이동관(140,240)이 외부와의 열교환에 따른 열손실이 줄어들어 열효율이 더욱 향상되어 고온의 난방수와 온수를 신속하게 생성 및 공급할 수 있고, 보일러 열교환장치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보일러 열교환장치는 본체(1) 외주면에 나선 형태로 감김 되어 유동관(500)이 구비되고, 상기 유동관(500)의 일단부의 입수구(미도시)로 유입된 물이 흐르면서 본체(1)와 열 교환되어 생성된 온수가 타단부의 출수구(미도시)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유동관(500)의 출수관(500b)에는 별도의 열교환장치(600)가 구비되어 출수구로 배출되는 난방수의 일부를 상기 유동관(500)의 입수관(500a)에 주입시켜 입수구로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미리 상승시킬수 있다.
따라서 분리된 상기 난방수를 입수관(500a)에 유입시켜 물과 섞어 줌으로써 입수관(500a) 내의 물이 열교환하여 물의 온도를 상승시켜 고온의 난방수와 온수를 신속하게 생성 및 공급할 수 있고, 보일러 열교환장치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일러 열교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이다.
별도의 상기 열교환장치(600)는 난방수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챔버(610)와, 상기 챔버(610)에 저장된 난방수를 상기 유동관(500)의 입수관(500a)으로 리턴시키는 리턴관(6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챔버(610)의 일측에는 상기 유동관(500)에서 공급되는 난방수가 상기 챔버(610) 내부로 유입되는 챔버유입구(611)와, 상기 챔버(600)의 타측에는 상기 챔버유입구(611)와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공급된 난방수가 배출되는 챔버배출구(612)가 형성된다.
상기 리턴관(620)의 일단부는 상기 유동관(500)의 입수관(500a) 내부에 삽입되게 구비되는 난방수주입부(621)와, 타단부는 상기 챔버(600)에 연결되는 난방수배출부(612)를 포함하되, 상기 난방수배출부(621)는 상기 챔버유입구(611)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난방수주입부(621)가 설치된 유동관은 관의 직경이 줄어들었다가 다시 원래의 지름만큼 커지는 벤추리부(300)가 형성되되, 상기 벤추리부(300)가 형성된 상기 유동관의 내부압력(P2)이 상기 챔버(610)의 내부압력(P1)보다 높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입수관(500a)으로 난방수가 리턴된다.
상기 리턴관(620)은 연소실(2) 부근에 위치하고, 본체(1)의 외주면에 나성형태로 감김 되어 구비된다. 그러므로 상기 연소실(2)에서 발생되는 열이 전달되므로 기체이동관(140,240)과 열교환이 발생되므로 열효율이 더욱 향상됨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본체 2 : 연소실
100 : 제1열교환장치 110 : 기체분리부
111 : 챔버 112 : 온수유입구
113 : 온수배출구 114 : 유로블락(Water course block)
120 : 기체배출부 130 : 기체주입부
140 : 기체이동관 200 : 제1열교환장치
210 : 기체분리부 211 : 챔버
212 : 온수유입구 213 : 온수배출구
214 :유로블락(Water course block) 220 : 기체배출부
230 : 기체주입부 240 : 기체이동관
300 : 벤추리부 400 : 단열챔버
410 : 일정압력유지밸브 411 : 일정압력유지관
10,500 : 유동관 10a,500a : 입수관
10b,500b : 출수관 600 : 열교환장치
610 : 챔버 611 : 챔버유입구
612 : 챔버배출구 620 : 리턴관
621 : 난방수주입부 622 : 난방수배출부

Claims (11)

  1. 본체에 구비되는 한편 일단부의 입수구로 유입된 물이 흐르면서 본체와 열 교환되어 생성된 온수가 타단부의 출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동관을 포함하는 보일러 열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의 출수관에는 제2열교환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출수관에 구비되는 별도의 상기 제2열교환장치에 의해 상기 유동관을 통해 공급되는 기체가 혼합된 물에서 상기 기체는 부력에 의해 물로부터 분리되며, 물에서 분리된 상기 기체를 유동관에 주입시켜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상승시키되
    상기 제2열교환장치는,
    상기 기체를 분리시키는 기체분리부; 와,
    상기 기체분리부에서 분리된 상기 기체가 배출되는 기체배출부; 와,
    상기 유동관에 기체를 주입시키는 기체주입부; 와,
    상기 기체배출부와 상기 기체주입부를 연결하는 기체이동관;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열교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의 입수관에는 제1열교환장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열교환장치의 기체주입부는 상기 유동관의 출수관과 가까운 지점인 배출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제2열교환장치의 기체주입부는 상기 유동관의 입수관과 가까운 지점인 공급지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열교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교환장치의 기체주입부가 설치된 유동관은 관의 직경이 줄어들었다가 다시 원래의 지름만큼 커지는 벤추리부가 형성되되, 상기 벤추리부가 형성된 상기 유동관의 내부압력(P2)이 상기 제2열교환장치의 기체배출부의 압력(P1)보다 높게 형성됨에 따라 물에서 분리된 기체가 상기 기체배출부에서 상기 기체주입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열교환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이동관의 일단부는 유동관의 내부에 삽입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열교환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분리부는 속이 빈 챔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챔버에는 분리된 기체가 존재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챔버의 일측에는 상기 유동관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챔버 내부로 유입되는 온수유입구; 와,
    상기 챔버의 타측에는 상기 온수유입구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공급된 물이 배출되는 온수배출구; 와,
    상기 챔버 내부에 구비되는 유로블락(Water course block);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온수유입구에서 상기 챔버 내부로 낙차되는 물이 상기 유로블락에 부딪쳐 상기 물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열교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는 헬륨(He)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열교환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165364A 2015-11-25 2015-11-25 보일러 열교환장치 KR101825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364A KR101825036B1 (ko) 2015-11-25 2015-11-25 보일러 열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364A KR101825036B1 (ko) 2015-11-25 2015-11-25 보일러 열교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772A KR20170060772A (ko) 2017-06-02
KR101825036B1 true KR101825036B1 (ko) 2018-03-14

Family

ID=59222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364A KR101825036B1 (ko) 2015-11-25 2015-11-25 보일러 열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0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116B1 (ko) 2007-09-20 2009-03-24 이동호 상향식 보일러
JP2012207852A (ja) * 2011-03-30 2012-10-25 Samson Co Ltd ボイ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116B1 (ko) 2007-09-20 2009-03-24 이동호 상향식 보일러
JP2012207852A (ja) * 2011-03-30 2012-10-25 Samson Co Ltd ボイ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772A (ko) 2017-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1146B2 (en) Method for heating a primary coolant in a nuclear steam supply system
RU2014147151A (ru) Ядерная система подачи пара
CN203364399U (zh) 燃烧室及使用该燃烧室的热交换器
CN104075108A (zh) 新型螺旋管结构lng中间流体汽化器
CN205504939U (zh) 一种双向逆流蒸汽发生器
KR101825036B1 (ko) 보일러 열교환장치
KR101869374B1 (ko) 스케일 발생 억제 기능을 갖는 저탕식 보일러
KR101839437B1 (ko) 보일러 열교환장치
US20130118719A1 (en) Dual-Chamber Heat Exchanger
CN209042749U (zh) 热水锅炉
CN208476011U (zh) 烟气冷却用烟道
CN104848517B (zh) 一种换热器及采用其的节能燃气热水器
KR101659786B1 (ko) 핀리스 타입 이중관 열 교환장치
EP3216906B1 (en) Energy-saving dyeing machine
KR20120111691A (ko) 보일러폐열회수장치
KR101484541B1 (ko) 노통연관식 보일러
CN203053011U (zh) 快速热水双层水箱
CN102607279B (zh) 长寿命均流式高温下料装置及其工作方法
KR101886560B1 (ko) 연통의 폐열을 회수하기 위한 열교환장치
CN105308397A (zh) 聚焦式中央太阳能接收器
KR101795989B1 (ko) 열 공급용 열교환기
CN210980199U (zh) 一种循环加热系统
JP6393028B2 (ja) 水中燃焼式気化装置
KR101635193B1 (ko) 다단 가열식 보일러
CN202012901U (zh) 一种可移动式注汽锅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