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779B1 - 공기불요추진체계의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 및 이를 갖는 공기불요추진체계 - Google Patents

공기불요추진체계의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 및 이를 갖는 공기불요추진체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779B1
KR101824779B1 KR1020150184290A KR20150184290A KR101824779B1 KR 101824779 B1 KR101824779 B1 KR 101824779B1 KR 1020150184290 A KR1020150184290 A KR 1020150184290A KR 20150184290 A KR20150184290 A KR 20150184290A KR 101824779 B1 KR101824779 B1 KR 101824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tanks
reformer
operating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4698A (ko
Inventor
이정무
김창겸
김성배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4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779B1/ko
Publication of KR20170074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01M8/0625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in a modular combined reactor/fuel cell structure
    • H01M8/0631Reactor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reactor/fuel c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8Propul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097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recycling of the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01M8/0618Reforming processes, e.g. autothermal, partial oxidation or steam reforming
    • B63B2702/1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불요추진체계의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를 제공한다. 상기 공기불요추진체계의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는 개질기와, 연료전지모듈의 사이에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저장 탱크와; 상기 개질기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와, 상기 연료전지모듈에서 배출되는 반응수를 포함하는 작동수를 다수의 저장 탱크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저장 탱크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들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최외곽에 배치되는 저장 탱크로 이송되는 상기 작동수를 이웃하는 다른 저장탱크로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연결관과;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의 하단과, 상기 개질기와 연결하여, 상기 작동수의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부; 및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의 배치 순서대로 상기 작동수를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에 저장 및 배출되도록 하는 작동수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불요추진체계의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 및 이를 갖는 공기불요추진체계{REFORMER WATER MANAGEMENT EQUOPMENT OF AIR-INDEPENDENT PROPULSION SYSTEM AND AIR-INDEPENDENT PROPULSION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불요추진체계의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 및 이를 갖는 공기불요추진체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단의 탱크를 통해, 개질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와, 연료 전지에서 발생되는 반응수를 저장하고, 이를 상기 다단을 이루는 다수의 탱크 순으로 개질기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는 공기불요추진체계의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 및 이를 갖는 공기불요추진체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질기와 연료전지를 포함하는 공기불요추진체계는 개질기의 응축수와, 연료전지로부터 발생되는 반응수를 저장하는 탱크를 구비한다.
특히, 수중함인 잠수함의 경우, 그 내부 영역이 협소함과 아울러 밀폐됨으로 인해, 설비 설치 면적의 제한이 요구된다.
따라서, 응축수와 반응수를 하나의 탱크에 저장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탱크에 저장되는 상기 반응수 및 응축수를 포함하는 작동물은 개질기로 다시 공급된다.
종래의 공기불요추진체계는 탱크에서 상기와 같이 작동물을 개질기로 공급하고, 잔류되는 반응수 및 응축수를 상기 탱크로부터 이송하여 저장하는 러버 백을 구비한다.
즉, 종래에는 하나의 탱크를 사용하여 반응수 및 응축수를 저장하고, 이를 작동물로 하여 개질기로 공급하며, 남은 반응수 및 응축수는 러버 백으로 이송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러버백을 사용하여 잔류되는 반응수 및 응축수를 저장함으로써, 반응수 탱크 자체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디젤 개질기를 활용한 연료전지 추진 시스템 및 방법(특허출원 제10-2013-010503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이웃하는 다수의 탱크를 통해, 개질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와, 연료 전지에서 발생되는 반응수를 저장하고, 이를 상기 다단을 이루는 다수의 탱크 순으로 개질기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는 공기불요추진체계의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 및 이를 갖는 공기불요추진체계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공기불요추진체계의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를 제공한다.
상기 공기불요추진체계의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는 개질기와, 연료전지모듈의 사이에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저장 탱크와; 상기 개질기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와, 상기 연료전지모듈에서 배출되는 반응수를 포함하는 작동수를 다수의 저장 탱크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저장 탱크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들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최외곽에 배치되는 저장 탱크로 이송되는 상기 작동수를 이웃하는 다른 저장탱크로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연결관과;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의 하단과, 상기 개질기와 연결하여, 상기 작동수의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부; 및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의 배치 순서대로 상기 작동수를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에 저장 및 배출되도록 하는 작동수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수 공급부는, 상기 이송부에 설치되며, 상기 최외곽에 배치되는 저장 탱크로 상기 작동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 1개폐 밸브와, 상기 배출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의 하단을 통해 상기 작동수의 배출을 제어하는 다수의 제 2개폐 밸브와, 상기 배출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수를 강제 배출하도록 하는 배출 펌프와, 상기 제 1개폐 밸브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다수의 제 2개폐 밸브의 구동을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의 배치 순서대로 상기 작동수를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에 저장 및 배출되도록 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 각각에는, 상기 작동수의 수위를 측정하고, 측정한 수위를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다수의 수위 측정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 각각에 설치되는 상기 다수의 수위 측정기로부터 측정된 수위값들을 전송 받아,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의 배치 순서대로 상기 작동수를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에 저장 및 배출되도록 상기 제 2개폐 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기에는,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 각각에서의 상기 작동수의 만수위값이 설정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에 설치되는 상기 다수의 수위 측정기로부터 측정되는 수위값들을 전송 받아,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의 배치 순서대로 상기 작동수를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에 저장 및 배출되도록, 상기 수위값들과, 상기 만수위값을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저장탱크와; 산소를 저장하는 산소저장탱크와; 상기 연료저장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연료저장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연료를 사용하여 발전기를 사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엔진과; 상기 연료저장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연료저장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기화시키는 기화기와; 상기 기화기와 연결되며 상기 기화기로부터 공급받은 기체상태의 연료로부터 수소를 추출하여 연료전지로 공급하고, 추출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하는 개질기와; 상기 개질기 및 상기 산소저장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개질기로부터 공급받은 수소와 상기 산소저장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산소로부터 물의 전기분해 역반응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고, 상기 전기분해 역반응 시 발생되는 반응수를 배출하는 연료전지모듈; 및 배출되는 상기 응축수와 상기 반응수를 순차적으로 저장 및 상기 개질기로 공급하는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를 포함하는 공기불요추진체계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는, 상기 개질기와, 상기 연료전지모듈의 사이에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저장 탱크와, 상기 개질기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와, 상기 연료전지모듈에서 배출되는 반응수를 포함하는 작동수를 다수의 저장 탱크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저장 탱크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들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최외곽에 배치되는 저장 탱크로 이송되는 상기 작동수를 이웃하는 다른 저장탱크로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연결관과,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의 하단과, 상기 개질기와 연결하여, 상기 작동수의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부와,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의 배치 순서대로 상기 작동수를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에 저장 및 배출되도록 하는 작동수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수 공급부는, 상기 이송부에 설치되며, 상기 최외곽에 배치되는 저장 탱크로 상기 작동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 1개폐 밸브와, 상기 배출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자장 탱크의 하단을 통해 상기 작동수의 배출을 제어하는 다수의 제 2개폐 밸브와, 상기 배출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수를 강제 배출하도록 하는 배출 펌프와, 상기 제 1개폐 밸브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다수의 제 2개폐 밸브의 구동을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의 배치 순서대로 상기 작동수를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에 저장 및 배출되도록 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 각각에는, 상기 작동수의 수위를 측정하고, 측정한 수위를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다수의 수위 측정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 각각에 설치되는 상기 다수의 수위 측정기로부터 측정된 수위값들을 전송 받아,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의 배치 순서대로 상기 작동수를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에 저장 및 배출되도록 상기 제 2개폐 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기에는,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 각각에서의 상기 작동수의 만수위값이 설정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에 설치되는 상기 다수의 수위 측정기로부터 측정되는 수위값들을 전송 받아,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의 배치 순서대로 상기 작동수를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에 저장 및 배출되도록, 상기 수위값들과, 상기 만수위값을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서로 이웃하는 다수의 탱크를 통해, 개질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와, 연료 전지에서 발생되는 반응수를 저장하고, 이를 상기 다단을 이루는 다수의 탱크 순으로 개질기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작동수를 공급하는 배관 및 밸브를 첫 번째의 저장 텡크에만 연결하기 때문에 나머지 탱크에는 밸브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혐소 공간에서의 설계가 용이하고, 잠수함에서의 유리한 배치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불요추진체계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공기불요추진체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불요추진체계의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공기불요추진체계의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의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공기불요추진체계의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 및 이를 갖는 공기불요추진체계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불요추진체계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공기불요추진체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불요추진체계의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공기불요추진체계의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의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는 상기 공기불요추진체계에 포함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 공기불요추진체계를 설명함에 포함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공기불요추진체계는 수중힘인 잠수함에 구비된다.
도 2를 참조 하여, 본 발명의 공기불요추진체계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공기불요추진체계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저장탱크와, 산소를 저장하는 산소저장탱크와, 상기 연료저장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연료저장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연료를 사용하여 발전기를 사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엔진과, 상기 연료저장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연료저장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기화시키는 기화기와, 상기 기화기와 연결되며 상기 기화기로부터 공급받은 기체상태의 연료로부터 수소를 추출하여 연료전지로 공급하고, 추출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하는 개질기와, 상기 개질기 및 상기 산소저장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개질기로부터 공급받은 수소와 상기 산소저장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산소로부터 물의 전기분해 역반응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고, 상기 전기분해 역반응 시 발생되는 반응수를 배출하는 연료전지모듈과, 배출되는 상기 응축수와 상기 반응수를 순차적으로 저장 및 상기 개질기로 공급하는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로 구성된다.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는, 다수의 저장 탱크(100)와, 이송부(200)와, 다수의 연결관(300)과, 배출부(400)와, 작동수 공급부(500)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100)는 개질기와, 상기 연료전지모듈의 사이에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다.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100)는 서로 동일한 용량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이송부(200)는 상기 개질기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와, 상기 연료전지모듈에서 배출되는 반응수를 포함하는 작동수를 다수의 저장 탱크(100)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저장 탱크(100)로 이송한다.
상기 이송부(200)는 이송관(210)과, 제 1개폐 밸브(5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송관(210)의 일단은 상기 개질기 및 연료전지모듈과 연결된다.
상기 이송관(210)의 타단은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100)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저장 탱크(100)에 연결된다. 특히, 상단에 연결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연결관(300)은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들(100)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최외곽에 배치되는 저장 탱크(100)로 이송되는 상기 작동수를 이웃하는 다른 저장 탱크(100)로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다수의 연결관(300) 각각은 서로 이웃하는 저장 탱크들(300) 상단을 연결하여 유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400)는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100)의 하단과, 상기 개질기와 연결하여, 상기 작동수의 배출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배출부(400)는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100)의 하단 각각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 1배출관(410)과, 상기 다수의 제 1배출관(410)을 연결하여, 상기 개질기를 연결하는 제 2배출관(420)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는 작동수 공급부(500)는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100)의 배치 순서대로 상기 작동수를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100)에 저장 및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작동수 공급부(500)는, 제 1개폐 밸브(510)와, 다수의 제 2개폐 밸브(520)와, 배출 펌프(530)와, 제어기(54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개폐 밸브(510)는 이송관(210)에 설치되며, 상기 최외곽에 배치되는 저장 탱크(100)로 상기 작동수의 공급을 제어한다.
상기 다수의 제 2개폐 밸브(520) 각각은, 상술한 다수의 제 1배출관(410) 상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100)의 하단을 통해 상기 작동수의 배출을 제어한다.
상기 배출 펌프(530)는 제 2배출관(420) 상에 설치되어, 작동수를 개질기로 강제 배출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기(540)는 상기 제 1개폐 밸브(510)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다수의 제 2개폐 밸브(520)의 구동을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100)의 배치 순서대로 상기 작동수를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100)에 저장 및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100) 각각에는, 상기 작동수의 수위를 측정하고, 측정한 수위를 상기 제어기(530)로 전송하는 다수의 수위 측정기(550)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기(540)는,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100) 각각에 설치되는 상기 다수의 수위 측정기(550)로부터 측정된 수위값들을 전송 받아,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100)의 배치 순서대로 상기 작동수를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100)에 저장 및 배출되도록 상기 제 2개폐 밸브(520)의 구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기(540)에는,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100) 각각에서의 상기 작동수의 만수위값이 설정되고, 상기 제어기(540)는,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100)에 설치되는 상기 다수의 수위 측정기(550)로부터 측정되는 수위값들을 전송 받아,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100)의 배치 순서대로 상기 작동수를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100)에 저장 및 배출되도록, 상기 수위값들과, 상기 만수위값을 비교할 수도 있다.
다음은,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 하여, 본 발명의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다수의 저장 탱크(100)는 1,2,3,4,5,6번 탱크로 설명하고, 다수의 제 2개폐 밸브(520)는 각 1,2,3,4,5,6번 탱크의 하단에 일대일로 설치되는 1,2,3,4,5,6번 밸브로 설명한다.
도 4a를 참조 하면, 1번 저장 탱크는 비어있는 상태를 이루고, 2 내지 6번 탱크는 작동수가 채워진 상태를 이룬다.
이때, 1번 밸브는 개방 상태(ON)를 이룬다. 이외, 2 내지 6번 밸브는 폐쇄 상태(OFF)를 이룬다.
이어, 도 4b를 참조 하며, 제어기(540)는 제 1개폐 밸브(510)를 개방하여, 개질기 및, 연료전지모듈에서 배출되는 작동수를 공급 받을 수 있다.
이와 동시에, 1번 밸브, 3 내지 6번 밸브는 폐쇄(OFF)되고, 2번 밸브는 개방(ON)되는 상태를 이룬다.
따라서, 1번 탱크에는 새로운 작동수가 유입되고, 2번 탱크에 저장되는 작동수는 제 1,2배출관(410,420)을 통해 개질기 측으로 배출된다.
도 4c를 참조 하면, 상기와 같은 2번 탱크에 저장되는 작동수가 모두 배출되면, 제어기(540)는 1,2번 밸브를 폐쇄(OFF)하고, 2번 탱크에도 새로운 작동수가 공급되어 저장되도록 한다.
아울러, 제어기(540)는 3번 밸브를 개방(ON)하여, 3번 탱크에 저장되는 작동수를 제 1,2배출관(410,42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이어, 도 4c를 참조 하면, 5번 탱크의 작동수가 모두 배출되고, 5번 밸브가 폐쇄(OFF)되며, 새로운 작동수가 공급되어 저장되는 상태를 보여준다.
이와 동시에, 제어기(540)는 6번 밸브를 개방(ON)하여 6번 탱크에 저장되는 작동수를 제 1,2배출관(410,420)을 통해 개질기 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식을 통해, 서로 이웃하는 다수의 탱크를 통해, 개질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와, 연료 전지에서 발생되는 반응수를 저장하고, 이를 상기 다단을 이루는 다수의 탱크 순으로 개질기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작동수를 공급하는 배관 및 밸브를 첫 번째의 저장 텡크에만 연결하기 때문에 나머지 탱크에는 밸브을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혐소 공간에서의 설계가 용이하고, 잠수함에서의 유리한 배치가 가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공기불요추진체계의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 및 이를 갖는 공기불요추진체계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저장 탱크
200 : 이송부
300 : 연결관
400 : 배출부
500 : 작동수 공급부

Claims (9)

  1. 개질기와, 연료전지모듈의 사이에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저장 탱크;
    상기 개질기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와, 상기 연료전지모듈에서 배출되는 반응수를 포함하는 작동수를 다수의 저장 탱크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저장 탱크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들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최외곽에 배치되는 저장 탱크로 이송되는 상기 작동수를 이웃하는 다른 저장탱크로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연결관;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의 하단과, 상기 개질기와 연결하여, 상기 작동수의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부; 및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의 배치 순서대로 상기 작동수를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에 저장 및 배출되도록 하는 작동수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불요추진체계의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 공급부는,
    상기 이송부에 설치되며, 상기 최외곽에 배치되는 저장 탱크로 상기 작동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 1개폐 밸브와,
    상기 배출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의 하단을 통해 상기 작동수의 배출을 제어하는 다수의 제 2개폐 밸브와,
    상기 배출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수를 강제 배출하도록 하는 배출 펌프와,
    상기 제 1개폐 밸브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다수의 제 2개폐 밸브의 구동을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의 배치 순서대로 상기 작동수를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에 저장 및 배출되도록 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불요추진체계의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 각각에는,
    상기 작동수의 수위를 측정하고, 측정한 수위를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다수의 수위 측정기가 설치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 각각에 설치되는 상기 다수의 수위 측정기로부터 측정된 수위값들을 전송 받아,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의 배치 순서대로 상기 작동수를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에 저장 및 배출되도록 상기 제 2개폐 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불요추진체계의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는,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 각각에서의 상기 작동수의 만수위값이 설정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에 설치되는 상기 다수의 수위 측정기로부터 측정되는 수위값들을 전송 받아,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의 배치 순서대로 상기 작동수를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에 저장 및 배출되도록, 상기 수위값들과, 상기 만수위값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불요추진체계의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
  5.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저장탱크;
    산소를 저장하는 산소저장탱크;
    상기 연료저장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연료저장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연료를 사용하여 발전기를 사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엔진;
    상기 연료저장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연료저장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기화시키는 기화기;
    상기 기화기와 연결되며 상기 기화기로부터 공급받은 기체상태의 연료로부터 수소를 추출하여 연료전지로 공급하고, 추출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하는 개질기;
    상기 개질기 및 상기 산소저장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개질기로부터 공급받은 수소와 상기 산소저장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산소로부터 물의 전기분해 역반응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고, 상기 전기분해 역반응 시 발생되는 반응수를 배출하는 연료전지모듈; 및
    배출되는 상기 응축수와 상기 반응수를 순차적으로 저장 및 상기 개질기로 공급하는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를 포함하되,
    상기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는,
    상기 개질기와, 상기 연료전지모듈의 사이에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저장 탱크와,
    상기 개질기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와, 상기 연료전지모듈에서 배출되는 반응수를 포함하는 작동수를 다수의 저장 탱크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저장 탱크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들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최외곽에 배치되는 저장 탱크로 이송되는 상기 작동수를 이웃하는 다른 저장탱크로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연결관과,
    상기 다수의 자장 탱크의 하단과, 상기 개질기와 연결하여, 상기 작동수의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부와,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의 배치 순서대로 상기 작동수를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에 저장 및 배출되도록 하는 작동수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불요추진체계.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 공급부는,
    상기 이송부에 설치되며, 상기 최외곽에 배치되는 저장 탱크로 상기 작동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 1개폐 밸브와,
    상기 배출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의 하단을 통해 상기 작동수의 배출을 제어하는 다수의 제 2개폐 밸브와,
    상기 배출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수를 강제 배출하도록 하는 배출 펌프와,
    상기 제 1개폐 밸브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다수의 제 2개폐 밸브의 구동을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의 배치 순서대로 상기 작동수를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에 저장 및 배출되도록 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불요추진체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 각각에는,
    상기 작동수의 수위를 측정하고, 측정한 수위를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다수의 수위 측정기가 설치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 각각에 설치되는 상기 다수의 수위 측정기로부터 측정된 수위값들을 전송 받아,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의 배치 순서대로 상기 작동수를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에 저장 및 배출되도록 상기 제 2개폐 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불요추진체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는,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 각각에서의 상기 작동수의 만수위값이 설정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에 설치되는 상기 다수의 수위 측정기로부터 측정되는 수위값들을 전송 받아,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의 배치 순서대로 상기 작동수를 상기 다수의 저장 탱크에 저장 및 배출되도록, 상기 수위값들과, 상기 만수위값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불요추진체계.
KR1020150184290A 2015-12-22 2015-12-22 공기불요추진체계의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 및 이를 갖는 공기불요추진체계 KR101824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290A KR101824779B1 (ko) 2015-12-22 2015-12-22 공기불요추진체계의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 및 이를 갖는 공기불요추진체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290A KR101824779B1 (ko) 2015-12-22 2015-12-22 공기불요추진체계의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 및 이를 갖는 공기불요추진체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698A KR20170074698A (ko) 2017-06-30
KR101824779B1 true KR101824779B1 (ko) 2018-02-01

Family

ID=59279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290A KR101824779B1 (ko) 2015-12-22 2015-12-22 공기불요추진체계의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 및 이를 갖는 공기불요추진체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7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409B1 (ko) * 2020-04-10 2022-01-28 국방과학연구소 연료전지 반응수 처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2301A (ja) 2002-03-29 2003-10-15 Honda Motor Co Ltd 水素供給システム、前記水素供給システムにおける水素供給方法および液体燃料充填方法
KR100558908B1 (ko) * 2005-02-17 2006-03-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반응물탱크의 공유구조를 갖는 잠수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2301A (ja) 2002-03-29 2003-10-15 Honda Motor Co Ltd 水素供給システム、前記水素供給システムにおける水素供給方法および液体燃料充填方法
KR100558908B1 (ko) * 2005-02-17 2006-03-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반응물탱크의 공유구조를 갖는 잠수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698A (ko) 2017-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7482B2 (ja) 充放電システム
JP2022502823A (ja) 燃料電池の水素回収装置
CN102460797A (zh) 用于潜艇的包含燃料电池的发电设备
KR101824779B1 (ko) 공기불요추진체계의 개질기 반응수 운용 설비 및 이를 갖는 공기불요추진체계
KR100945945B1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연료전지 시스템의 퍼지 방법
KR101789388B1 (ko) 개질기를 갖는 공기불요추진체계의 연료 블랭킷 가스 운용 설비 및 이를 갖는 공기불요추진체계
KR101739209B1 (ko) 메탄올 운용 설비 및 이를 갖는 공기불요추진체계
KR101447865B1 (ko) 선박용 연료 전지 시스템
CN100361338C (zh) 燃料箱、燃料电池系统和氢气发生器
KR102564578B1 (ko) 금속 연료 수소 발생장치용 금속 연료 공급장치
KR101913809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JP5153243B2 (ja) 燃料電池装置
KR101442977B1 (ko) 버퍼 탱크를 구비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101336498B1 (ko) 부품 간소화 및 제어 안정성이 우수한 온수저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시스템
KR20220033552A (ko) 부유식 수소 공급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180046817A (ko) 연료전지 시스템
GB2579779A (en) Power generation for subsea marine applications
KR101853943B1 (ko) 발전시설 일체형 선박
KR102475163B1 (ko) 수소 이송관에서 수분제거장치
KR20160121810A (ko) 금속연료 연속 공급장치, 이를 갖는 잠수함의 수소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29364A (ko) 해상용 수소 충전 장치
KR20180011992A (ko) 수중함의 수소발생장치
KR101335504B1 (ko) 단일 물 배출 포트가 구비되는 연료전지 장치
KR20140039554A (ko) 선박용 연료 전지 시스템
KR102614400B1 (ko) 압력 평형이 유지되는 수중함의 수소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