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703B1 - 분진 흡입 장치 - Google Patents

분진 흡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703B1
KR101824703B1 KR1020170011889A KR20170011889A KR101824703B1 KR 101824703 B1 KR101824703 B1 KR 101824703B1 KR 1020170011889 A KR1020170011889 A KR 1020170011889A KR 20170011889 A KR20170011889 A KR 20170011889A KR 101824703 B1 KR101824703 B1 KR 101824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fastened
suction port
additional spac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재
배광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뷰티그라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뷰티그라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뷰티그라운드
Priority to KR1020170011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7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18Manicure or pedicure sets, e.g. combinations without case, etui,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분진 흡입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는 손톱 위에 도포된 젤 또는 조형물 등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미세한 분진 또는 발톱 주변의 각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분진을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분진 흡입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분진 흡입 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Dust Suction}
본 실시예는 분진 흡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네일 아트(Nail Art)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손톱 위에 젤 또는 조형물을 도포하게 된다. 이후 손톱 위에 젤 또는 조형물 등을 제거하기 위해 네일 아트용 전동 드릴을 이용하게 된다. 네일 아트용 전동 드릴은 회전하면서 손톱 위에 도포된 젤 또는 조형물을 제거하게 되는데, 이때, 미세한 분진이 다량으로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손톱 위에 도포된 젤 또는 조형물 등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네일 아트용 전동 드릴로 인한 미세한 분진이 발생하지만, 대부분의 매장에서는 별도의 흡입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단순히, 작업 테이블의 하단에 별도의 구멍(공간)을 형성하여 미세한 분진이 작업 테이블 하단(밑)으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하지만, 손톱 위에 도포된 젤 또는 조형물 등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미세한 분진은 실내의 공기중을 떠돌면서 고객 및 작업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손톱 위에 도포된 젤 또는 조형물 등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미세한 분진을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실시예는 손톱 위에 도포된 젤 또는 조형물 등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미세한 분진 또는 발톱 주변의 각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분진을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분진 흡입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공기 중에 미세한 분진을 흡입하는 장치에 있어서, 오목한(Concave) 직사각형 형태로서 일측면에 공기 배출구를 형성하는 하우징;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며, 평면 상에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는 흡입구가 뚫려 있는 상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기 흡입구에 대응하는 위치 상에 배치되며, 구비된 팬(Fan)을 회전시켜 상기 흡입구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 배출구로 방출하도록 동작하는 모터; 상기 흡입구에 착탈되는 형태로 체결되는 흡입구 캡; 상기 흡입구 캡과 상기 모터 사이에 착탈되는 방식으로 삽입되는 필터부; 및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흡입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흡입구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타원 형상의 양측면에 상기 일회용 3중 필터의 착탈을 위해 ‘[’, ‘]’자 형상의 추가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 캡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이 뚫려 있는 공간을 둘러 쌓는 형태의 테두리가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의 평면과 수평을 이루면서 중앙으로 연결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내측이 상기 흡입구의 외측과 체결된다.
분진 흡입 장치는 상기 상면의 내측에 상기 일회용 3중 필터를 고정시키도록 고정되는 필터 고정부; 및 상기 필터 고정부를 상기 모터에 고정시키는 지지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흡입구 캡은 상기 필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면의 외측에 체결된다.
상기 지지대는 중앙이 뚫려 있는 공간을 둘려 쌓는 형태의 테두리가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의 하면이 상기 모터에 고정되고, 상기 테두리의 상면이 상기 필터 고정부에 체결된다.
상기 필터 고정부는 중앙이 뚫려 있는 공간을 둘려 쌓는 형태의 테두리가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의 평면과 직각을 이루는 한 쌍의 제 1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와 수평을 이루면서 중앙으로 연결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돌출부의 평면과 수직을 이루는 한 쌍의 제 2 돌출부가 형성된다.
분진 흡입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전원 포트; 및 상기 하우징 외측에 형성된 상기 전원 포트와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된 상기 제어 회로부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원 회로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분진 흡입 장치는 상기 제어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면의 외측에 상기 모터를 온 또는 오프로 동작시키는 스위치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상면의 평면 상에 상기 스위치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스위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모터가 회전하도록 동작시킨다.
상기 필터부의 외측 반경은 상기 상면에 형성된 상기 흡입구와 동일한 반경을 갖는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공기 중에 미세한 분진을 흡입하는 장치에 있어서, 오목한 직사각형 형태로서 일측면에 공기 배출구를 형성하는 하우징;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며, 평면 상에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는 흡입구가 뚫려 있는 상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기 흡입구에 대응하는 위치 상에 배치되며, 구비된 팬을 회전시켜 상기 흡입구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 배출구로 방출하도록 동작하는 모터; 상기 흡입구의 외측에 별도로 체결되는 자바라 모듈; 상기 자바라 모듈과 상기 모터 사이에 착탈되는 방식으로 삽입되는 필터부; 및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흡입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자바라 모듈은 상기 흡입구 캡 외측에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일측과 연결되며, 외측에 별도의 주름이 형성되어 신축성을 갖는 호스 형태의 자바라부(Bellows); 및 상기 자바라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후드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흡입구 캡의 외측 전체를 덮는 형태의 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의 평면상의 상기 자바라부 일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의 외측에 상기 자바라부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자바라부는 일측에 상기 체결홈에 걸리는 형태로 결합부가 형성되며, 타측이 상기 후드와 체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손톱 위에 도포된 젤 또는 조형물 등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미세한 분진 또는 발톱 주변의 각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분진을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장치에 별도의 주름이 형성된 신축성 있는 호스 형태로 자바라(Bellows)를 체결하는 형태로 손톱 분진뿐만 아니라 발톱 분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분진 흡입구에 일회용 교체식 필터를 착탈하여 손톱 또는 발톱 소재가 끝난 후 필터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1b, 1c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 장치의 정면도, 사시도, 배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2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흡입구 캡의 착탈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3b, 3c, 3d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 장치의 내부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4b, 4c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별도의 자바라 모듈과 분진 흡입 장치와 착탈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5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 장치와 전동 드릴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 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 장치(100)는 내부에 흡입 모듈(200)을 포함한다. 분진 흡입 장치(100)는 흡입구(112) 주변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 분진을 흡입 모듈(200)을 동작하여 빨아들여서 내부의 일회용 3중 필터(208), 끈끈이 필터(209)에 걸러지도록 한다. 분진 흡입 장치(100)는 주변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 분진을 흡입하는 데 이용 가능하나, 특히, 손톱 위에 도포된 젤 또는 조형물 등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 분진을 흡입하는데 적합하다. 분진 흡입 장치(10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0)의 측면을 이용하여 세워놓을 수 있다.
분진 흡입 장치(100)는 공기 중에 미세한 분진을 흡입하는 장치로서, 하우징(120)에 오목한(Concave) 직사각형 형태로서 일측면에 공기 배출구(130)를 형성한다. 상면(11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하우징(120)과 볼팅(Bolting)하는 형태로 결합하며, 평면 상에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는 흡입구(112)가 뚫려 있다. 모터(230)는 하우징(120) 내부의 흡입구(112)에 대응하는 위치 상에 배치되며, 구비된 팬(Fan)을 회전시켜 흡입구(112)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 배출구(130)로 방출하도록 동작한다. 흡입구 캡(140)은 흡입구(112)에 착탈되는 형태로 체결된다. 일회용 3중 필터(208)와 끈끈이 필터(209)는 흡입구 캡(140)과 모터(230) 사이에 삽입된다. 제어 회로부(310)는 모터(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모터(2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면(110)은 평면 상에 드릴 방향 제어 스위치(150)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스위치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면(110)은 평면 상에 드릴 조절 스위치(160)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드릴 조절 스위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면(110) 상에 형성되어 있는 흡입구(112)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흡입구(112)는 타원 형상의 양측면에 일회용 3중 필터(208)와 끈끈이 필터(209)의 착탈을 위해 소정의 추가 공간이 형성된다.
흡입구 캡(140)은 흡입구(112)에 착탈되는 형태로 체결된다. 드릴 방향 제어 스위치(150)는 상면(110)의 외측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모터(230)를 온 또는 오프로 동작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드릴 조절 스위치(160)는 다이얼 형태로 형성되며, 기 설정된 일방향으로 돌리는 경우, 전동 드릴(510)의 RPM이 증가하도록 하며, 기 설정된 타방향으로 돌리는 경우, 전동 드릴(510)의 RPM이 감소하도록 한다.
드릴 전원 스위치(162)는 사용자가 드릴 전원 스위치(162)를 한 번 누르는 경우, 온(On)으로 동작하며, 한 번 더 누르는 경우, 오프(Off)로 동작한다. 드릴 방향제어 스위치(150)는 기 설정된 일방향(예컨대, 좌측)으로 동작하는 경우 정방향(예컨대, 오른손용)으로 드릴이 회전하고, 기 설정된 타방향(예컨대, 우측)으로 동작하는 경우 역방향(예컨대, 왼손용)으로 드릴이 회전한다. 적색 LED(152)는 드릴 전원 스위치(162)로 인해 드릴 전원이 인가되면 점등된다. 녹색 LED(154)는 동작스위치(172)로 인해 전원이 인가되면 점등된다.
도 1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0)과 결합하는 상면(110)의 하단에는 모터(230)의 동작을 온 또는 오프로 스위칭하도록 동작하는 드릴 방향 제어 스위치(150)와 전동 드릴(510)의 RPM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드릴 조절 스위치(160)를 구비한다. 상면(110)에 분진 흡입 장치(100)의 온 또는 오프 여부를 나타내는 램프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램프는 분진 흡입 장치(100)의 동작에 따라 점등 및 소등된다. 사용자가 드릴 방향 제어 스위치(150)를 조작하여 모터(230)의 동작을 온시키는 경우, 흡입 모듈(200) 내의 모터(230)가 동작하여 주변의 공기 및 미세 분진을 빨아 들인다.
공기 배출구(130)는 하우징(120)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공기 배출구(130)는 모터(230)의 공기 출력단과 연결되어 모터(230)가 빨아들이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전원 포트(170)는 하우징(120)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별도의 전원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전원 회로부(320)로 공급한다. 드릴 체결 포트(180)는 하우징 타측면에 형성되며, 별도의 케이블(520)을 통해 전동 드릴(510)과 연결된다.
동작스위치(172)는 하우징(120)의 타측면에 형성된다. 동작스위치(172)는 모터(230)의 RPM을 조절한다. 동작스위치(172)는 언락 스위치(UnLock Switch)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동작스위치(172)를 1번 누르는 경우, 온(On)으로 동작하며, 24V로 강(모터(230)의 동작 RPM을 최대 RPM 동작)으로 동작한다. 사용자가 동작스위치(172)를 2번 누르는 경우 19V로 중간(모터(230)의 동작 RPM을 중간 RPM 동작)으로 동작한다. 사용자가 동작스위치(172)를 3번 누르는 경우 15V로 약(모터(230)의 동작 RPM을 최소 RPM 동작)으로 동작한다. 사용자가 동작스위치(172)를 약 2초간 누르고 있는 경우 오프(Off)된다.
도 1c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 장치의 배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진 흡입 장치(100)의 배면은 하우징(120)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하우징(120)의 측면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130)가 배면까지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도 1d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 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진 흡입 장치(100)의 하우징(120) 측면 중 어느 한 면에는 공기 배출구(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 배출구(130)는 하우징(120)의 배면까지 이어진다. 공기 배출구(130)는 흡입 모듈(200) 내의 모터(230)의 공기 출력단과 연결되어 모터(230)가 빨아들이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하우징(120)의 측면 중 다른 한 면에서는 전원 포트(170), 드릴 체결 포트(180)가 구비되어 있다. 전원 포트(170)에는 별도의 전원 케이블이 삽입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드릴 체결 포트(180)에는 전동 드릴(510)이 별도의 케이블(520)을 통해 연결된다.
도 2a는 본 실시예에 따른 흡입구 캡과 흡입 장치 본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 캡(140)과 상면(110)은 서로 간에 분리 및 체결된다. 흡입구 캡(140)과 상면(110) 사이에는 별도의 일회용 3중 필터(208)와 끈끈이 필터(209)가 삽입된다. 흡입구 캡(140)은 흡입구(112)에 착탈되는 형태로 체결된다. 흡입구 캡(140)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흡입구 캡(140)은 중앙이 뚫려 있는 공간을 둘러 쌓는 형태의 테두리가 형성되며, 테두리의 평면과 수평을 이루면서 중앙으로 연결되는 지지대를 포함(지지구조를 갖는)한다. 흡입구 캡(140)은 내측이 흡입구(112)의 외측에 체결된다.
도 2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흡입구 캡과 흡입 장치 본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 캡(140)과 상면(110)을 분리한 상태에서 흡입구 캡(140)에 맞는 사이즈의 일회용 3중 필터(208) 및 끈끈이 필터(209)를 삽입 및 제거할 수 있다. 필터 고정부(210)는 상면(110)의 내측에 일회용 3중 필터(208)와 끈끈이 필터(209)를 고정시킨다. 일회용 3중 필터(208)는 분진을 걸러내는 필터로서, 흡입구 캡(140)과 필터 고정부(21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다.
끈끈이 필터(209)는 필터 고정부(210)에 삽입되는 형상을 가진다. 끈끈이 필터(209)의 외측에 필터 고정부(210)의 제 1 돌출부(330)가 삽입되는 제 1 체결홈(201)과 제 2 체결홈(202)이 형성된다.
제 1 체결홈(201), 제 2 체결홈(202)은 제 1 돌출부(330)가 통과될 수 있는 직경과 너비의 관통공을 형성한다. 끈끈이 필터(209)는 일회용 3중 필터(208)에서 걸러진 분진이 흡착되도록 하는 필터로서, 흡입구 캡(140)과 필터 고정부(21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다.
도 2c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고정부(210), 끈끈이 필터(209), 일회용 3중 필터(208), 흡입구 캡(140)은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어셈블리(Assembly)를 형성한다.
도 2c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고정부(210)와 흡입구 캡(140)이 서로 결합하게 되며, 필터 고정부(210)와 흡입구 캡(140)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도 2c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고정부(210)와 흡입구 캡(140)의 결합 시 내부 공간에 일차적으로 일회용 3중 필터(208)가 삽입된다. 도 2c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고정부(210)와 흡입구 캡(140)의 결합 시 내부 공간에 이차적으로 끈끈이 필터(209)가 삽입된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 캡(140)은 배면에 평면과 수직방향으로 결합 가이드(142)가 형성된다.
결합 가이드(142)의 일측면에는 필터 고정부(210)의 제 1 돌출부(330)가 체결되는 제 1 홈부(143)(ㄱ 자 형태로 홈이 형성됨)와 필터 고정부(210)의 제 2 돌출부(340)가 체결되는 제 2 홈부(144)(ㄱ 자 형태로 홈이 형성됨)가 형성된다. 즉, 제 1 홈부(143)(ㄱ 자 형태로 홈이 형성됨)에는 제 1 돌출부(33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걸림쇠 형태의 제 2 돌출부(340)가 ㄱ 자 형태의 홈을 따라 체결된다. 제 2 홈부(144)(ㄱ 자 형태로 홈이 형성됨)에는 제 1 돌출부(33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걸림쇠 형태의 제 2 돌출부(340)가 ㄱ 자 형태의 홈을 따라 체결된다.
제 2 돌출부(340)가 제 1 홈부(143)와 체결될 때, 제 2 돌출부(340)는 제 1 홈부(143)에 형성된 ㄱ 자 홈으로 따라 제 1 홈부(143)에 체결되며, 제 2 돌출부(340)가 제 1 홈부(143)와 분리될 때, 제 2 돌출부(340)는 제 1 홈부(143)에 형성된 ㄱ 자 홈으로 따라 역방향으로 제 1 홈부(143)에서 분리된다. 제 2 돌출부(340)가 제 2 홈부(144)와 체결될 때, 제 2 돌출부(340)는 제 2 홈부(144)에 형성된 ㄱ 자 홈으로 따라 제 2 홈부(144)에 체결되며, 제 2 돌출부(340)가 제 2 홈부(144)와 분리될 때, 제 2 돌출부(340)는 제 2 홈부(144)에 형성된 ㄱ 자 홈으로 따라 역방향으로 제 2 홈부(144)에서 분리된다.
결합 가이드(142)의 타측면에는 상면(110)에 형성된 흡입구(112) 측면의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 체결되는 제 1 체결부(145)(ㄷ 자 형태로 돌출부가 형성됨)와 흡입구(112) 측면의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 체결되는 제 2 체결부(146)(ㄷ 자 형태로 돌출부가 형성됨)가 형성된다.
제 1 체결부(145)가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 체결될 때, 제 1 체결부(145)는 ‘[’자 형상의 추가 공간을 따라 상면(110)에 체결되며, 제 1 체결부(145)가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서 분리될 때, 제 1 체결부(145)는 ‘[’자 형상의 추가 공간을 따라 역방향으로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서 분리된다.
제 2 체결부(146)가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 체결될 때, 제 2 체결부(146)는 ‘]’자 형상의 추가 공간을 따라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 체결되며, 제 2 체결부(146)가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서 분리될 때, 제 2 체결부(146)는 ‘]’자 형상의 추가 공간을 따라 역방향으로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서 분리된다.
도 3a는 흡입구 캡(140)과 상면(110)과 하우징(120)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 캡(140)은 분진 흡입 장치(100)의 상면(110)에서 분리 또는 체결되며, 상면(110)은 하우징(120)과 볼팅하는 형태로 체결된다. 하우징(120) 내부에는 전원 회로부(320), 제어 회로부(310) 및 흡입 모듈(200)을 포함한다.
도 3b는 흡입구 캡과 상면과 필터 고정부, 지지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 캡(140)은 분진 흡입 장치(100)의 상면(110)에 형성된 흡입구(112)의 외측에 체결된다. 흡입구 캡(140)의 내측에는 일회용 3중 필터(208)가 삽입될 수 있다. 일회용 3중 필터(208)를 고정하기 위한 필터 고정부(210)가 상면(110)을 사이에 두고 흡입구 캡(140)과 체결될 수 있다. 필터 고정부(210)는 모터(230)에 고정되기 위해 지지대(220)와 결합된다.
상면(110)의 평면 상에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는 흡입구(112)가 뚫려 있는데, 기 흡입구(112)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타원 형상의 양측면에 흡입구 캡(140)을 결합하기 위해 ‘[’, ‘]’자 형상의 추가 공간이 형성된다.
일회용 3중 필터(208)는 흡입구 캡(140)과 필터 고정부(210) 사이에 삽입된다. 즉, 일회용 3중 필터(208)는 흡입구 캡(140)과 필터 고정부(210) 사이의 흡입구(112)에 배치된다. 일회용 3중 필터의 외측 반경은 상면(110)에 형성된 흡입구(112)와 동일한 반경을 갖는다.
필터 고정부(210)는 중앙이 뚫려 있는 공간을 둘려 쌓는 형태의 테두리가 형성되며, 테두리의 평면과 직각을 이루는 한 쌍의 제 1 돌출부(330)가 형성된다. 필터 고정부(210)는 테두리와 수평을 이루면서 중앙으로 연결되는 지지대를 포함(지지구조를 갖는)한다. 필터 고정부(210)는 제 1 돌출부(330)의 평면과 수직을 이루는 한 쌍의 제 2 돌출부(340)를 형성한다. 제 1 돌출부(330)에는 수직 방향으로 걸림쇠 형성의 제 2 돌출부(340)가 형성된다.
지지대(220)는 필터 고정부(210)를 모터(230)에 고정시킨다. 지지대(220)는 중앙이 뚫려 있는 공간을 둘려 쌓는 형태의 테두리가 형성된다. 지지대(220)는 테두리의 하면이 모터(230)에 고정되고, 테두리의 상면이 필터 고정부(210)에 체결된다.
도 3c는 필터 고정부(210), 지지대(220), 모터(230)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고정부(210)와 지지대(220)는 모터(230)의 외측에 결합된다.
모터(230)는 하우징(120) 내부의 흡입구(112)에 대응하는 위치 상에 배치된다. 모터(230)는 구비된 팬을 회전시켜 흡입구(112)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 배출구로 방출하도록 동작한다.
지지대(220)는 필터 고정부(210)를 모터(230)에 고정시킨다. 지지대(220)는 중앙이 뚫려 있는 공간을 둘려 쌓는 형태의 테두리를 형성한다. 지지대(220)를 형성하는 테두리의 하면이 모터에 고정되고, 테두리의 상면이 필터 고정부(210)에 체결된다.
필터 고정부(210)는 중앙이 뚫려 있는 공간을 둘려 쌓는 형태의 테두리가 형성된다. 필터 고정부(210)는 테두리의 평면과 직각을 이루는 한 쌍의 제 1 돌출부(330)를 형성한다. 필터 고정부(210)는 테두리와 수평을 이루면서 중앙으로 연결되는 지지대를 포함(지지구조를 갖는)하며, 제 1 돌출부(330)의 평면과 수직을 이루는 한 쌍의 제 2 돌출부(340)를 형성한다.
도 3d는 분진 흡입 장치(100)의 내부 모듈들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 캡(140)은 분진 흡입 장치(100)의 상면(110)와 분리 또는 체결된다.
분진 흡입 장치(100)는 필터 고정부(210), 지지대(220), 모터(230), 제어 회로부(310), 전원 회로부(320),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하우징(120)은 오목한 직사각형 형태로서 일측면에 공기 배출구(130)를 형성하며, 내측에 모터(230), 제어 회로부(310), 전원 회로부(320), 지지대(220), 필터 고정부(210)를 배치한다. 하우징(120)은 외측에 상면(110)과 볼팅되는 형태로 체결한다.
모터(230)는 하우징(120) 내부의 상면(110)의 흡입구(112)에 대응하는 위치 상에 배치된다. 모터(230)는 구비된 팬을 회전시켜 흡입구(112)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 배출구(130)로 방출하도록 동작한다.
모터(230)는 공기 배출구(130)로 공기를 방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는데, 배출구의 전면부에 스펀지 필터(232)가 삽입된다. 스펀지 필터(232)는 공기의 역방향을 주행을 방지한다.
제어 회로부(310)는 하우징(120) 내부에 배치되며, 모터(230), 전원 회로부(320), 드릴 방향 제어 스위치(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모터(2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전원 회로부(320)는 하우징(120) 내부에 배치되며, 전원 포트(170), 제어 회로부(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원 회로부(320)는 하우징(120) 외측에 형성된 전원 포트(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포트(170)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을 하우징(120) 내측에 배치된 제어 회로부(310)로 전달한다.
지지대(220)는 모터(230)에 외측에 체결된다. 지지대(220)는 필터 고정부(210)를 모터(230)에 고정시킨다. 지지대(220)는 중앙이 뚫려 있는 공간을 둘려 쌓는 형태의 테두리가 형성된다. 지지대(220)는 테두리의 하면이 모터(230)에 고정되고, 테두리의 상면이 필터 고정부(210)에 체결된다.
지지대(220)는 스펀지 재질로 형성된다. 지지대(220)는 모터(230)와 필터 고정부(210) 사이에 삽입된다. 즉, 모터(230)와 필터 고정부(210)가 체결될 때 미세한 공간이 발생하는데, 모터(230)와 필터 고정부(210) 사이의 공간으로 인해 공기가 통과하는 소리가 발생된다. 따라서, 지지대(220)는 스펀지 재질로서, 모터(230)와 필터 고정부(210) 사이에 삽입되어 공기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펀지 재질의 지지대(220)의 두께는 모터(230)와 필터 고정부(210)가 체결될 때 발생하는 공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220)의 재질이 스펀지인 경우 모터(230)와 필터 고정부(210)가 체결될 때 발생하는 공간 보다 두껍게 형성되더라도 스펀지 재질의 특성으로 인해 모터(230)와 필터 고정부(210)가 체결될 때 발생하는 공간을 완전히 메울 수 있다.
필터 고정부(210)는 지지대(220)의 외측에 체결된다. 필터 고정부(210)는 중앙이 뚫려 있는 공간을 둘려 쌓는 형태의 테두리가 형성된다. 필터 고정부(210)는 테두리의 평면과 직각을 이루는 한 쌍의 제 1 돌출부(330)가 형성되며, 테두리와 수평을 이루면서 중앙으로 연결되는 지지대를 포함(지지구조를 갖는)한다. 필터 고정부(210)는 제 1 돌출부(330)의 평면과 수직을 이루는 한 쌍의 제 2 돌출부(340)를 형성한다.
상면(11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하우징과 볼팅된다. 상면(110)은 평면 상에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는 흡입구(112)를 형성한다. 일회용 3중 필터(208)는 흡입구(112)를 기준으로 흡입구 캡(140)과 필터 고정부(210) 사이에 삽입된다. 일회용 3중 필터(208)는 흡입구 캡(140)와 함께 착탈된다. 흡입구 캡(140)은 흡입구(112)에 착탈되는 형태로 체결된다.
도 4a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별도의 자바라 모듈과 분진 흡입 장치를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자바라 모듈(400)이 흡입구 캡(140)의 외측에 결합된다. 도 4a의 (b)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장치에 별도의 주름이 형성된 신축성 있는 호스 형태의 자바라 모듈(400)이 흡입구 캡(140)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분진 흡입 장치(100)에 별도의 자바라 모듈(400)이 체결되는 경우, 손톱 분진뿐만 아니라 발톱 분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분진 흡입 장치(100)에 별도의 자바라 모듈(400)이 체결되는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0)의 배면을 바닥에 고정하는 형태로 거치될 수 있다. 또한, 자바라 모듈(400)의 신축성을 이용하여 후드(410)를 발톱과 가까운 쪽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별도의 자바라, 흡입 장치 본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고정부(210), 끈끈이 필터(209), 일회용 3중 필터(208), 체결부(430)가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어셈블리를 형성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고정부(210)와 체결부(430)는 서로 결합하게 되며, 필터 고정부(210)와 체결부(430)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필터 고정부(210)와 체결부(430)의 결합 시 내부 공간에 일차적으로 일회용 3중 필터(208)가 삽입된다. 필터 고정부(210)와 체결부(430)의 결합 시 내부 공간에 이차적으로 끈끈이 필터(209)가 삽입된다. 끈끈이 필터(209)는 필터 고정부(210)의 제 1 돌출부(330)에 삽입되는 형상을 가진다. 끈끈이 필터(209)의 외측에 형성된 제 1 체결홈(201)과 제 2 체결홈(202)이 필터 고정부(210)의 제 1 돌출부(33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체결부(430)의 배면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 캡(140)은 배면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체결부(430)의 배면에는 필터 고정부(210)와 결합하기 위해 평면과 수직방향으로 체결부용 결합 가이드가 형성된다.
체결부용 결합 가이드의 일측면에는 필터 고정부(210)의 제 1 돌출부(330)가 체결되는 제 3 홈부(ㄱ 자 형태로 홈이 형성됨)와 필터 고정부(210)의 제 2 돌출부(340)가 체결되는 제 4 홈부(ㄱ 자 형태로 홈이 형성됨)가 형성된다. 즉, 제 3 홈부(ㄱ 자 형태로 홈이 형성됨)에는 제 1 돌출부(33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걸림쇠 형태의 제 2 돌출부(340)가 ㄱ 자 형태의 홈을 따라 체결된다. 제 4 홈부(ㄱ 자 형태로 홈이 형성됨)에는 제 1 돌출부(33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걸림쇠 형태의 제 2 돌출부(340)가 ㄱ 자 형태의 홈을 따라 체결된다.
제 2 돌출부(340)가 제 3 홈부와 체결될 때, 제 2 돌출부(340)는 제 3 홈부에 형성된 ㄱ 자 홈으로 따라 제 3 홈부에 체결되며, 제 2 돌출부(340)가 제 3 홈부와 분리될 때, 제 2 돌출부(340)는 제 3 홈부에 형성된 ㄱ 자 홈으로 따라 역방향으로 제 3 홈부에서 분리된다. 제 2 돌출부(340)가 제 4 홈부와 체결될 때, 제 2 돌출부(340)는 제 4 홈부에 형성된 ㄱ 자 홈으로 따라 제 4 홈부에 체결되며, 제 2 돌출부(340)가 제 4 홈부와 분리될 때, 제 2 돌출부(340)는 제 4 홈부에 형성된 ㄱ 자 홈으로 따라 역방향으로 제 4 홈부에서 분리된다.
체결부용 결합 가이드의 타측면에는 상면(110)에 형성된 흡입구(112) 측면의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 체결되는 제 3 체결부(ㄷ 자 형태로 돌출부가 형성됨)와 흡입구(112) 측면의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 체결되는 제 4 체결부(ㄷ 자 형태로 돌출부가 형성됨)가 형성된다.
제 3 체결부가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 체결될 때, 제 3 체결부는 ‘[’자 형상의 추가 공간을 따라 상면(110)에 체결되며, 제 3 체결부가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서 분리될 때, 제 3 체결부는 ‘[’자 형상의 추가 공간을 따라 역방향으로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서 분리된다.
제 4 체결부가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 체결될 때, 제 4 체결부는 ‘]’자 형상의 추가 공간을 따라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 체결되며, 제 4 체결부가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서 분리될 때, 제 4 체결부는 ‘]’자 형상의 추가 공간을 따라 역방향으로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서 분리된다.
도 4b에서는 흡입구 캡(140)를 제외한 필터 고정부(210), 끈끈이 필터(209), 일회용 3중 필터(208), 체결부(430)만이 결합하여 하나의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어셈블리를 형성할 때 흡입구 캡(140)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어셈블리가 흡입구 캡(140)을 포함하는 경우 필터 고정부(210), 끈끈이 필터(209), 일회용 3중 필터(208), 흡입구 캡(140), 체결부(430)를 결합하여 어셈블리를 형성할 수 있다. 체결부(430)는 흡입구 캡(140)의 외측에 체결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자바라 모듈(400)의 체결부(430)는 흡입구 캡(140)의 외측의 체결홈에 체결부(430)가 체결되는 형태로 고정된다.
도 4c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별도의 자바라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자바라 모듈(400)은 후드(410), 자바라부(420)(별도의 주름이 형성된 신축성 호스), 체결부(430)를 포함한다.
자바라 모듈(400)은 흡입구 캡(140)의 외측에 별도로 체결된다. 체결부(430)는 흡입구 캡(140)의 외측에 체결된다.
체결부(430)는 흡입구 캡(140)의 외측 전체를 덮는 형태의 커버로 이루어진다. 체결부(430)는 커버의 평면상의 자바라부(420) 일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430)는 커버의 외측에 자바라부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다.
자바라부(420)는 체결부(430)의 일측과 연결되며, 외측에 별도의 주름이 형성되어 신축성을 갖는 호스 형태를 갖는다. 자바라부(420)는 일측에 체결홈에 걸리는 형태로 결합부가 형성된다. 자바라부(420)는 타측이 후드와 체결된다. 후드(410)는 자바라부(420)의 타측과 연결된다.
별도의 자바라 모듈(400)을 이용하는 경우 별도의 주름이 형성된 신축성 있는 호스 형태로 자바라 모듈(400)을 이용하는 경우 손톱 분진뿐만 아니라 발톱 분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410)의 내부는 원통형의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하여 양측면의 경사지는 형태로 내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 5a, 5b, 5c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 장치와 전동 드릴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 장치(100)는 전동 드릴(510)과 연결된다. 전동 드릴(510)은 별도의 케이블(520)을 경유하여 드릴 체결 포트(180)에 체결된다.
분진 흡입 장치(100)는 전동 드릴(510)과 연결되기 위해, 드릴 체결 포트(180), 드릴 조절 스위치(160)를 구비한다. 전동 드릴(510)은 별도의 케이블(520)을 이용하여 분진 흡입 장치(100)의 드릴 체결 포트(180)에 체결된다. 전동 드릴(510)은 전원 회로부(3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즉, 전원 회로부(320)는 전원 포트(17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동 드릴(510)로 전송한다. 제어 회로부(310)는 전원 회로부(320), 드릴 조절 스위치(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드릴 조절 스위치(160)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전동 드릴(510)을 제어한다.
분진 흡입 장치(100)의 하우징(120) 측면에 별도의 케이블(520)을 체결하여 전동 드릴과 연결되는 드릴 체결 포트(180)를 구비한다. 상면(110)의 일측에 전동 드릴(510)에 대한 RPM을 조절하도록 하는 드릴 조절 스위치(160)를 구비한다. 상면(110)의 평면 상에 드릴 조절 스위치(160)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드릴 조절 스위치 관통공이 형성된다.
제어 회로부(310)는 드릴 조절 스위치(160)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전동 드릴(510)의 모터 RPM이 조절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전동 드릴(510)이 케이블(520)을 경유하여 드릴 체결 포트(180)에 체결되는 경우, 제어 회로부(310)는 전동 드릴(510), 드릴 조절 스위치(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드릴 조절 스위치(16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입력에 따라 전동 드릴(510)에 대한 RPM을 조절하도록 한다.
드릴 조절 스위치(160)는 기 설정된 일방향으로 돌리는 경우, 전동 드릴(510)의 RPM이 증가하고, 기 설정된 타방향으로 돌리는 경우, 전동 드릴(510)의 RPM이 감소하는 방식의 다이얼 형태로 형성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분진 흡입 장치
110: 상면 120: 하우징
130: 공기 배출구 140: 흡입구 캡
150: 스위치 160: 드릴 조절 스위치
170: 전원포트 180: 드릴 체결 포트

Claims (13)

  1. 공기 중에 미세한 분진을 흡입하는 장치에 있어서,
    오목한(Concave) 직사각형 형태로서 일측면에 공기 배출구를 형성하는 하우징;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며, 평면 상에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는 흡입구가 뚫려 있는 상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기 흡입구에 대응하는 위치 상에 배치되며, 구비된 팬(Fan)을 회전시켜 상기 흡입구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 배출구로 방출하도록 동작하는 모터;
    상기 흡입구에 착탈되는 형태로 체결되는 흡입구 캡;
    상기 흡입구 캡과 상기 모터 사이에 착탈되는 방식으로 삽입되는 필터부;
    상기 상면의 내측에 상기 필터부를 고정시키는 필터 고정부; 및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부
    를 포함하되, 상기 흡입구 캡의 배면 상에 평면과 수직방향으로 결합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 가이드는 일측면에 ㄱ 자 형태로 홈이 형성된 제 1 홈부, 제 2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가이드의 내측에 상기 필터 고정부의 상면에 평면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 1 돌출부가 체결되며, 상기 제 1 홈부, 상기 제 2 홈부에 상기 제 1 돌출부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걸림쇠 형태의 제 2 돌출부가 ㄱ 자 형태의 홈을 따라 체결되며,
    상기 결합 가이드의 타측면에는 상면에 형성된 상기 흡입구 측면의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 ㄷ 자 형태로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 1 체결부가 체결되며, 상기 흡입구 측면의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 ㄷ 자 형태로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 2 체결부가 체결되며, 상기 제 1 체결부가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 체결될 때, 상기 제 1 체결부는 ‘[’자 형상의 추가 공간을 따라 상기 상면에 체결되며, 상기 제 1 체결부가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서 분리될 때, 상기 제 1 체결부는 ‘[’자 형상의 추가 공간을 따라 역방향으로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서 분리되며, 상기 제 2 체결부가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 체결될 때, 상기 제 2 체결부는 ‘]’자 형상의 추가 공간을 따라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 체결되며, 상기 제 2 체결부가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서 분리될 때, 상기 제 2 체결부는 ‘]’자 형상의 추가 공간을 따라 역방향으로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흡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타원 형상의 양측면에 상기 필터부의 착탈을 위해 ‘[’, ‘]’자 형상의 추가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흡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 캡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이 뚫려 있는 공간을 둘러 쌓는 형태의 테두리가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의 평면과 수평을 이루면서 중앙으로 연결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내측이 상기 흡입구의 외측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흡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고정부를 상기 모터에 고정시키는 지지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흡입구 캡은 상기 필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면의 외측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흡입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중앙이 뚫려 있는 공간을 둘려 쌓는 형태의 테두리가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의 하면이 상기 모터에 고정되고, 상기 테두리의 상면이 상기 필터 고정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흡입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고정부는,
    중앙이 뚫려 있는 공간을 둘려 쌓는 형태의 테두리가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의 평면과 직각을 이루는 한 쌍의 상기 제 1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와 수평을 이루면서 중앙으로 연결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돌출부의 평면과 수직을 이루는 한 쌍의 상기 제 2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흡입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전원 포트; 및
    상기 하우징 외측에 형성된 상기 전원 포트와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된 상기 제어 회로부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원 회로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흡입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면의 외측에 상기 모터를 온 또는 오프로 동작시키는 스위치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상면의 평면 상에 상기 스위치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스위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모터가 회전하도록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흡입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의 외측 반경은 상기 상면에 형성된 상기 흡입구와 동일한 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흡입 장치.
  10. 공기 중에 미세한 분진을 흡입하는 장치에 있어서,
    오목한 직사각형 형태로서 일측면에 공기 배출구를 형성하는 하우징;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며, 평면 상에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는 흡입구가 뚫려 있는 상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기 흡입구에 대응하는 위치 상에 배치되며, 구비된 팬을 회전시켜 상기 흡입구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 배출구로 방출하도록 동작하는 모터;
    상기 흡입구의 외측에 별도로 체결되는 자바라 모듈;
    상기 자바라 모듈과 상기 모터 사이에 착탈되는 방식으로 삽입되는 필터부;
    상기 상면의 내측에 상기 필터부를 고정시키는 필터 고정부; 및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부
    를 포함하되, 상기 자바라 모듈의 배면 상에 평면과 수직방향으로 체결부용 결합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용 결합 가이드는 일측면에 ㄱ 자 형태로 홈이 형성된 제 3 홈부, 제 4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가이드의 내측에 상기 필터 고정부의 상면에 평면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 1 돌출부가 체결되며, 상기 제 3 홈부, 상기 제 4 홈부에 상기 제 1 돌출부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걸림쇠 형태의 제 2 돌출부가 ㄱ 자 형태의 홈을 따라 체결되며,
    상기 체결부용 결합 가이드의 타측면에는 상면에 형성된 상기 흡입구 측면의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 ㄷ 자 형태로 돌출부가 형성된 제 3 체결부와 체결되며, 상기 흡입구 측면의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 ㄷ 자 형태로 돌출부가 형성된 제 4 체결부가 체결되며, 상기 제 3 체결부가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 체결될 때, 상기 제 3 체결부는 ‘[’자 형상의 추가 공간을 따라 상기 상면에 체결되며, 상기 제 3 체결부가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서 분리될 때, 상기 제 3 체결부는 ‘[’자 형상의 추가 공간을 따라 역방향으로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서 분리되며, 상기 제 4 체결부가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 체결될 때, 상기 제 4 체결부는 ‘]’자 형상의 추가 공간을 따라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 체결되며, 상기 제 4 체결부가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서 분리될 때, 상기 제 4 체결부는 ‘]’자 형상의 추가 공간을 따라 역방향으로 ‘]’자 형상의 추가 공간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흡입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바라 모듈은,
    상기 흡입구 외측에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일측과 연결되며, 외측에 별도의 주름이 형성되어 신축성을 갖는 호스 형태의 자바라부(Bellows); 및
    상기 자바라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후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흡입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흡입구 캡의 외측 전체를 덮는 형태의 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의 평면상의 상기 자바라부 일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의 외측에 상기 자바라부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흡입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바라부는,
    일측에 상기 체결홈에 걸리는 형태로 결합부가 형성되며, 타측이 상기 후드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흡입 장치.
KR1020170011889A 2017-01-25 2017-01-25 분진 흡입 장치 KR101824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889A KR101824703B1 (ko) 2017-01-25 2017-01-25 분진 흡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889A KR101824703B1 (ko) 2017-01-25 2017-01-25 분진 흡입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251A Division KR20180088267A (ko) 2017-11-23 2017-11-23 분진 흡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4703B1 true KR101824703B1 (ko) 2018-02-02

Family

ID=61223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889A KR101824703B1 (ko) 2017-01-25 2017-01-25 분진 흡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70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1642A (ja) * 1998-07-30 2002-07-16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移動収着フィルタ装置
JP2002531742A (ja) * 1998-12-04 2002-09-24 ドナルドソン 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エーロゾル・セパレータおよび方法
JP2002537523A (ja) * 1999-02-26 2002-11-05 ドナルドソン 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枠構造体に挿入される濾過エレメントとその使用方法
KR100712455B1 (ko) * 2005-11-10 2007-05-07 문봉권 공기정화장치
KR101664865B1 (ko) * 2016-03-25 2016-10-13 주식회사 청우씨엔티 집진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1642A (ja) * 1998-07-30 2002-07-16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移動収着フィルタ装置
JP2002531742A (ja) * 1998-12-04 2002-09-24 ドナルドソン 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エーロゾル・セパレータおよび方法
JP2002537523A (ja) * 1999-02-26 2002-11-05 ドナルドソン 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枠構造体に挿入される濾過エレメントとその使用方法
KR100712455B1 (ko) * 2005-11-10 2007-05-07 문봉권 공기정화장치
KR101664865B1 (ko) * 2016-03-25 2016-10-13 주식회사 청우씨엔티 집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6787B2 (en) Mask apparatus
KR20210003543A (ko)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JP4286534B2 (ja) 吸引ポンプ
RU2286078C2 (ru) Узел пылесоса с всасывающими каналами и пылесос
US20200206546A1 (en) Mask device
JP2002307332A (ja) 電動手工具装置の粉塵吸引モジュール
ITBS20040028U1 (it) Apparecchio per formare il vuoto in contenitori per conservare prodotti con vassoio di recupero liquidi separabile e lavabile
KR20140121071A (ko) 공기청정기
KR20180088267A (ko) 분진 흡입 장치
KR101824703B1 (ko) 분진 흡입 장치
CN210112806U (zh) 具有摄像头的检测头模组及检测仪器
US20190223668A1 (en) Stick vacuum cleaner with improved filter
WO2018196771A1 (zh) 空调器
KR101954526B1 (ko) 네일아트용 분진 필터링 장치
CN103315680B (zh) 带吹风的吸尘器
CN210842844U (zh) 清洁装置
CN205617098U (zh) 便携式超声波清洗装置
CN209662296U (zh) 检测仪
CN112450798A (zh) 除螨仪
CN205821756U (zh) 便携式超声波清洗装置
CN205821757U (zh) 便携式超声波清洗装置
CN219190282U (zh) 一种电推剪
CN210300841U (zh) 一种窗纱清洁器
KR102269657B1 (ko) 이동식 집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 방법
CN211460002U (zh) 除螨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