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451B1 - 휴대용 정수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451B1
KR101824451B1 KR1020160136661A KR20160136661A KR101824451B1 KR 101824451 B1 KR101824451 B1 KR 101824451B1 KR 1020160136661 A KR1020160136661 A KR 1020160136661A KR 20160136661 A KR20160136661 A KR 20160136661A KR 101824451 B1 KR101824451 B1 KR 101824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assembly
purified
ba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형
Original Assignee
유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형 filed Critical 유지형
Priority to KR1020160136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4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2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small portabl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ersonal travel or emergency equipment, survival kits, combat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08Mobile separation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2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bottle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정수시킬 물을 담을 수 있는 취수공간이 마련되고, 상측이 개방된 취수용기부; 상기 취수용기부에서 개방된 상측에 인입되어 상기 취수공간에 저수된 상기 물을 정수시켜주는 필터어셈블리부; 및 상기 필터어셈블리부의 상측에 결합되고, 일부분이 상기 취수용기부의 상측에서 상기 취수공간 측으로 인입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어셈블리부에 의하여 정수되는 상기 물이 수용되는 정수(淨水)공간이 마련된 정수용기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정수용기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상기 필터어셈블리부가 상기 취수공간의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취수공간 내에 수용된 상기 물이 상기 필터어셈블리부의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정수가 되어 상기 정수용기부 내측의 정수공간으로 유입되며,상기 필터어셈블리부에는 다수개의 필터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물의 정수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휴대용 정수기의 활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정수기{Portable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간편하고 취수한 물을 간단하게 음용가능하도록 정수시킬 수 있는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화의 발달에 따라 환경 오염도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 오염의 일례로 물에 대한 오염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시설물에는 정수시설을 통해 정수된 수돗물이 공급되고 있으나, 환경오염이 증가됨에 따라 수돗물에 대한 불신 또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레저활동처럼 야외로 외출이나 여행시 약수, 지하수 또는 암반수와 같은 자연수를 음용하는 사례가 많지만, 이러한 자연수의 위생상 안전성 또한 보장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간편하게 들고 다니면서 취수한 물을 용이하게 정수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정수기에 대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종래의 기술 중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83-8710호(이하 선행기술 1)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89-7779호 (이하 선행기술 2) 등이 있다.
선행기술 1에 의하면, 길이가 긴 관에 상부 유출구와 하부 유입구를 연결하는 내부도관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차례대로 다단계의 여과부를 넣어 사용자가 빨아서 정수된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이는 내부의 여과부를 교환하기 불가능하다는 문제점 및, 사용자가 이용하기에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 2에 따르면, 피스톤 선단에 여과필터를 설치한 방식의 휴대용 정수기로서, 이는 실린더의 부피가 비교적 커서 휴대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가 용이하면서 쉽게 취수한 물을 정수시켜서 안전하게 음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정수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는 정수시킬 물을 담을 수 있는 취수공간이 마련되고, 상측이 개방된 취수용기부; 상기 취수용기부에서 개방된 상측에 인입되어 상기 취수공간에 저수된 상기 물을 정수시켜주는 필터어셈블리부; 및 상기 필터어셈블리부의 상측에 결합되고, 일부분이 상기 취수용기부의 상측에서 상기 취수공간 측으로 인입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어셈블리부에 의하여 정수되는 상기 물이 수용되는 정수(淨水)공간이 마련된 정수용기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정수용기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상기 필터어셈블리부가 상기 취수공간의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취수공간 내에 수용된 상기 물이 상기 필터어셈블리부의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정수가 되어 상기 정수용기부 내측의 정수공간으로 유입되며, 상기 필터어셈블리부에는 다수개의 필터가 장착된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어셈블리부의 외측테두리에 장착되고, 상기 취수용기부 내측의 물이 상기 필터어셈블리부와 상기 취수용기부의 내측면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억제시켜주는 오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어셈블리부는, 다수개의 필터; 다수개의 상기 필터와 결합되고, 내측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상기 필터의 외측에서 상기 필터를 보호하는 보호프레임; 및 상기 보호프레임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보호프레임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보호프레임과 상기 정수용기부의 하측 사이의 결합을 매개하는 커넥팅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커넥팅프레임의 하측에는 티(tea) 잎 또는 티백(tea bag)를 홀딩시켜주기 위한 제1티넷(tea net)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필터어셈블리부는, 상기 커넥팅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커넥팅프레임과 상기 필터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티넷과 함께 상기 티 잎 또는 티백을 홀딩시켜주는 제2티넷;을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2티넷은, 상기 커넥팅프레임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다수개의 상기 필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카본필터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취수용기부의 하측에는, 상기 취수용기부의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취수용기부 내의 압력을 높여줄 수 있는 에어밸브(air vent valve)가 마련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에어밸브는, 상기 취수용기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공기의 유입만 허용되고 내측에서 외측으로 유체의 누출을 억제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정수용기부의 내측에 수용된 물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오염도를 표시하여주는 오염도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오염도측정부는, 상기 정수용기부의 내측에 마련되고, 정수되어 상기 정수용기부의 내측에 수용된 물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오염도감지센서; 상기 정수용기부의 내측에 수용된 물에 대하여 상기 오염도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오염도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며, 상기 정수용기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정수용기부에 장착되며, 상기 오염도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오염도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오염도감지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측정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는, 다수의 필터를 통해 정수시키므로 물의 정수능력이 증대되고, 휴대용 정수기의 활용성이 증진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용 정수기에 의하여 정수된 물이 어느 정도 수준의 오염도를 갖는지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정수된 물에 대한 신뢰도가 증진되는 효과 또한 있으며, 필터의 교체필요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관리의 편의성 또한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종단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부분종단면 및 필터의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취수용기부 하측단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종단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부분종단면 및 필터의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취수용기부 하측단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는 정수용기부, 취수용기부 및 필터어셈블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오염도측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취수용기부(100)는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컵과 같은 형태로서 정수시킬 물을 담을 수 있는 취수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측이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취수용기부(100)는 휴대용 정수기(10)의 하측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필요시 취수용기부(100)을 분리시킨 후 취수용기부(100) 내 빈 공간인 취수공간에 물을 취수하여 수용시킬 수가 있다.
취수용기부(100)에 취수된 물은 후술할 필터어셈블리부(200)에 의하여 정수처리된 후 정수용기부의 정수용기바디(310) 내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취수용기부(100)의 하측에는 에어밸브(air vent valve)(150)가 마련되어 있다.
취수용기부(100)의 하측에 마련된 에어밸브(150)는 취수용기부(100)의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취수용기부(100) 내의 압력을 높여줄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에어밸브(150)는 취수용기부(100)의 취수공간 내에서 정수용기부(310, 320) 및 필터어셈블리부(200)와 취수용기부(100) 사이의 압력을 낮춰주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에어밸브(150)는 도 5의 (a)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취수용기부(100)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공기의 유입만 허용되고 내측에서 외측으로 유체의 누출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용기부(100)의 내측 바닥쪽에 필터어셈블리부(200)가 위치되고 정수용기부의 정수용기바디(310)가 취수용기부(10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취수용기부(100)를 정수용기부의 정수용기바디(310)로부터 분리시켜서 취수용기부(100)에 물을 담기 위하여 정수용기바디(310)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정수용기바디(310) 및 필터어셈블리부(200)와 취수용기부(100)의 내측공간의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에어밸브(150)가 열리게 되어 외부의 공기가 취수용기부(10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쉽게 취수용기부(100)로부터 필터어셈블리부(200) 및 정수용기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취수용기부(100) 내 취수공간에 물을 수용시키고 필터어셈블리부(200) 및 정수용기부를 취수용기부(100)의 상측에서부터 삽입시키면서 밀어넣으면 도 5의 (b)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물이 외부로 새지 않도록 에어밸브(150)가 닫힌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취수공간에 있던 물이 필터어셈블리부(200)를 지나 정수용기부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이동을 하게 된다.
정수용기부는 후술할 필터어셈블리부(200)와 결합하여 필터어셈블리부(200)의 상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수용기부는 일부분이 취수용기부(100)의 상측에서 취수공간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으며, 필터어셈블리부(200)에 의하여 정수되는 물이 수용되는 정수(淨水)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즉, 필터어셈블리부(200)가 결합된 정수용기부의 하측단 부분이 취수용기부(100)의 취수공간으로 인입되어 취수공간의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게 끼워진다.
정수용기부는 정수용기바디(310) 및 마개(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정수용기바디(310) 내측의 정수공간에 있는 정수된 물을 음용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정수용기바디(310)의 상측단에 마개(320)가 결합된다.
필터어셈블리부(200)는 취수용기부(100)에서 개방된 상측에 인입되어 취수공간 내에 저수된 물을 정수시켜준다. 이러한 필터어셈블리부(200)는 후술할 정수용기부와 결합된다.
정수용기부의 하측에 결합된 필터어셈블리부(200)가 취수용기부(100)의 취수공간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취수공간 내에 수용된 물이 필터어셈블리부(200)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필터어셈블리부(200)를 지나면서 정수된 물이 정수용기부 내측의 정수공간으로 유입된다.
필터어셈블리부(200)에는 다수개의 필터(230)가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필터어셈블리부(200)는 다수개의 필터(230), 보호프레임(210) 및 커넥팅프레임(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필터(230)는 다수개가 구비되며, 이러한 다수개의 필터(230)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카본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필터(230)는 횡단면의 모습이 도 4의 부분확대횡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름진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주름진 구조를 갖추면 표면적이 증대되기 때문에 좀 더 많은 양의 물을 필터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수개의 필터(230) 각각의 주름진 구조가 서로 닮은 형태로써 제1필터(231), 제2필터(233) 및 제3필터(235)의 주름의 위치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같도록 하여 필터(231, 233, 235) 사이의 간격이 동등하게 유지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보호프레임(210)은 다수개의 필터(230)와 결합하되, 보호프레임(210)의 내측에 다수개의 필터(230)가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다수개의 필터(230)의 외측에서 필터(230)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호프레임(210)의 외면에는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을 통해 이물질이 1차적으로 걸러질 수 있다. 즉, 홈보다 큰 이물질이 1차적으로 걸러진다는 것이다.
취수공간내에 있는 물은 정수용기부 및 필터어셈블리부(200)가 취수용기부(100)에 대하여 하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압력을 받게 된다. 이 압력은 사용자가 정수용기부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누르면서 받게되는 힘이다.
취수공간내에 있는 물이 압력을 받음에 따라 필터어셈블리의 보호프레임(210)의 홈을 통해 물이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다수개의 필터(230)를 거치면서 필터어셈블리부(200) 내측으로 정수되어 유입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정수된 물은 정수용기부의 정수용기바디(31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커넥팅프레임(220)은 보호프레임(210)의 상측에 결합된다. 여기서 다수개의 필터(230)는 커넥팅프레임(220)과 보호프레임(21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보호프레임(210)의 상측에 커넥팅프레임(220)이 위치하게 되며, 이 커넥팅프레임(220)은 정수용기부의 정수용기바디(310)의 하측단에 결합된다.
따라서, 커넥팅프레임(220)에 의하여 보호프레임(210)과 정수용기부의 정수용기바디(310)의 하측단 사이의 결합이 매개된다.
이러한 커넥팅프레임(220)의 하측에는 망으로 된 제1티넷(tea net)(240)이 장착되어 있다. 즉, 제1티넷(240)은 티(tea)잎 또는 티백(tea bag)을 홀딩시켜주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필터어셈블리부(200)는 제2티넷(25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커넥팅프레임(220)의 하측에 결합되어, 커넥팅프레임(220)과 필터(230)사이에 제2티넷(250)이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1티넷(240)과 함께 티 잎 또는 티백을 홀딩시켜준다.
커넥팅프레임(220)의 하측단에 제2티넷(250)이 결합됨에 따라, 제1티넷(240)에 대하여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2티넷(250)이 위치된다. 제1티넷(240)과 제2티넷(250)의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된 공간은 티백이나 차 잎 등이 내재될 수 있도록 마련된 티백(tea bag)공간이다.
이 티백공간(245) 내에 티백이나 차 잎등이 내재되면 정수된 물을 이용하여 차를 음용할 수도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티넷(25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커넥팅프레임(220)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필터어셈블리부(200)의 외측테두리에 장착되고, 취수용기부(100) 내측의 물이 필터어셈블리부(200)와 취수용기부(100)의 내측면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억제시켜주는 오링을 더 포함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링은, 필터어셈블리부(200)와 취수용기부(100)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고 밀봉되도록 실링을 하여주므로, 취수공간 내에 있던 물이 외부로 새지 않고 필터어셈블리부(200) 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필터어셈블리부(200)에 의해 물이 정수된다.
여기서, 휴대용정수기는 오염도측정부(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오염도측정부(400)는 정수용기부의 내측에 수용된 물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외부에서 사용자 등이 인식할 수 있도록 오염도를 표시하여준다.
이러한 오염도측정부(400)는 오염도감지센서(410), 디스플레이(420) 및 측정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오염도감지센서(410)는 정수용기부의 내측에 마련되고, 정수되어 상기 정수용기의 내측에 수용된 물의 오염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420)는 정수용기부의 내측에 수용된 물에 대하여 상기 오염도감지센서(410)에 의해 측정된 오염도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420)는 정수용기부에 장착된다.
측정제어기는 디스플레이(420)를 통해 정수된 물에 대한 오염도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오염도감지센서(410) 및 디스플레이(420)를 제어한다.
필터어셈블리부(200)에 의해 정수되어 정수용기바디 내측에 수용된 물에 대하여 오염도측정부(400)의 오염도감지센서(410)가 오염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정수된 물에 대한 오염도가 디스플레이(420)에 의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420)를 통해 표시되는 정수된 물의 오염도를 보고 정수된 물의 수질을 확인하고 안심하고 음용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는 사용자가 취수한 물을 쉽게 정수처리하여 음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용 정수기의 활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필터를 통해 정수시키므로 물의 정수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정수된 물이 어느 정도 수준의 오염도를 갖는지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정수된 물에 대하여 신뢰를 갖고 음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파악되는 오염도를 보고 사용자가 필터의 교체필요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관리의 편의성 또한 증진되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취수용기부 150 : 에어밸브
200 : 필터어셈블리부 210 : 보호프레임
220 : 커넥팅프레임 230 : 필터
310 : 정수용기바디 320 : 마개
400 : 오염도측정부 410 : 오염도감지센서
420 : 디스플레이

Claims (10)

  1. 정수시킬 물을 담을 수 있는 취수공간이 마련되고, 상측이 개방된 취수용기부;
    상기 취수용기부에서 개방된 상측에 인입되어 상기 취수공간에 저수된 상기 물을 정수시켜주는 필터어셈블리부; 및
    상기 필터어셈블리부의 상측에 결합되고, 일부분이 상기 취수용기부의 상측에서 상기 취수공간 측으로 인입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어셈블리부에 의하여 정수되는 상기 물이 수용되는 정수(淨水)공간이 마련된 정수용기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정수용기부의 내측에 수용된 물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오염도를 표시하여주는 오염도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수용기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상기 필터어셈블리부가 상기 취수공간의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취수공간 내에 수용된 상기 물이 상기 필터어셈블리부의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정수가 되어 상기 정수용기부 내측의 정수공간으로 유입되며,
    상기 필터어셈블리부는,
    다수개의 필터;
    다수개의 상기 필터와 결합되고, 내측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상기 필터의 외측에서 상기 필터를 보호하는 보호프레임; 및
    상기 보호프레임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보호프레임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보호프레임과 상기 정수용기부의 하측 사이의 결합을 매개하는 커넥팅프레임;을 포함하고,
    다수개의 상기 필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카본필터이며,
    상기 커넥팅프레임의 하측에는 티(tea) 잎 또는 티백(tea bag)를 홀딩시켜주기 위한 제1티넷(tea net)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필터어셈블리부는,
    상기 커넥팅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커넥팅프레임과 상기 필터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티넷과 함께 상기 티 잎 또는 티백을 홀딩시켜주는 제2티넷;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티넷은,
    상기 커넥팅프레임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취수용기부의 하측에는,
    상기 취수용기부의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취수용기부 내의 압력을 높여줄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는 에어밸브(air vent valve)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에어밸브는,
    상기 취수용기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공기의 유입만 허용되고 내측에서 외측으로 유체의 누출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부의 외측테두리에 장착되고, 상기 취수용기부 내측의 물이 상기 필터어셈블리부와 상기 취수용기부의 내측면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억제시켜주는 오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도측정부는,
    상기 정수용기부의 내측에 마련되고, 정수되어 상기 정수용기부의 내측에 수용된 물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오염도감지센서;
    상기 정수용기부의 내측에 수용된 물에 대하여 상기 오염도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오염도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며, 상기 정수용기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정수용기부에 장착되며, 상기 오염도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오염도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오염도감지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측정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KR1020160136661A 2016-10-20 2016-10-20 휴대용 정수기 KR101824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661A KR101824451B1 (ko) 2016-10-20 2016-10-20 휴대용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661A KR101824451B1 (ko) 2016-10-20 2016-10-20 휴대용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4451B1 true KR101824451B1 (ko) 2018-02-01

Family

ID=61231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661A KR101824451B1 (ko) 2016-10-20 2016-10-20 휴대용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45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3475B2 (ja) * 2011-04-12 2014-06-04 文▲徳▼ 楊 濾過機能付き携帯用飲料容器
KR101442565B1 (ko) * 2014-02-26 2014-09-22 한동하이드로 주식회사 휴대용 기능성 수소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3475B2 (ja) * 2011-04-12 2014-06-04 文▲徳▼ 楊 濾過機能付き携帯用飲料容器
KR101442565B1 (ko) * 2014-02-26 2014-09-22 한동하이드로 주식회사 휴대용 기능성 수소수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932353A (zh) 一种可实现垃圾分离的污水箱及洗地机
IL178398A0 (en) Replaceable cartridge filter jug
WO2002068580A3 (en) Integrated filtration and detection device
CA2700703A1 (en) Dechlorinator and method of dechlorination
KR101824451B1 (ko) 휴대용 정수기
JP3943547B2 (ja) 濾過水及び濾紙の同時採集装置
CN201755068U (zh) 吸取式过滤水杯
CN106723899A (zh) 一种便携式取水净水杯
CN109060445A (zh) 一种水质检测取样装置
CN102115268B (zh) 一种新型的分体式即滤饮水机专用净水器
CN208493396U (zh) 一种高中理科化学实验用过滤装置
CN211905233U (zh) 一种用于环境检测的气象色谱仪
CN207949256U (zh) 一种便携式净化检测水杯
CN210427130U (zh) 一种水质检测用水样多层取样装置
CN209296392U (zh) 一种生活饮用水检测装置
CN106277409A (zh) 一种生活污水过滤装置
CN215640330U (zh) 一种水污染物采集管理设备
KR200234144Y1 (ko) 착탈식 필터를 갖는 휴대용 물통
KR102574178B1 (ko) 착탈식 물탱크를 구비한 정수기
CN215939197U (zh) 河涌水样采集过滤装置
KR102427025B1 (ko)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 및 수질진단 방법
CN211954851U (zh) 一种便捷式水质采样器
CN212546629U (zh) 一种直饮水设备的进水装置
CN213745068U (zh) 一种常压储罐脱水管道水封器
CN220089217U (zh) 一种净热一体机流量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