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750B1 - 마모 교체식 볼밸브 - Google Patents

마모 교체식 볼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3750B1
KR101823750B1 KR1020160029295A KR20160029295A KR101823750B1 KR 101823750 B1 KR101823750 B1 KR 101823750B1 KR 1020160029295 A KR1020160029295 A KR 1020160029295A KR 20160029295 A KR20160029295 A KR 20160029295A KR 101823750 B1 KR101823750 B1 KR 101823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valve
seal ring
opening
contac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5916A (ko
Inventor
이병순
Original Assignee
이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순 filed Critical 이병순
Priority to KR1020160029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750B1/ko
Publication of KR20170105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7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663Pack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모 교체식 볼밸브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밸브챔버(15)를 형성하며, 상기 밸브챔버(15)의 일단에 유입구(11)가, 타단에 유출구(13)가 각각 형성되는 밸브몸체(3);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개폐 회전함으로써 상기 유입구(11)로 유입되어 유통공(10)을 통해 상기 유출구(13)로 유출되는 유체의 유동을 단속하는 개폐볼(5); 상기 개폐볼(5)을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손잡이(7); 및 상기 볼시트(21,22)와 개폐볼(5)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는 밀봉링(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개폐볼 회전 시 볼시트와의 접촉에 의해 밀봉링에 마모, 손상 및 유체누설이 발생하는 경우, 밀봉링 교체를 통해 마모 등의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고, 따라서 볼밸브에 대한 유지보수의 효율성 및 편리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밀봉링과 볼시트의 접촉면 경사각도를 45도보다 크거나 작게 하여, 밀봉링과 볼시트 사이의 수밀성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밀봉링에 의한 볼시트의 마모 및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마모 교체식 볼밸브{Ball Valve Replaceable For Wear}
본 발명은 마모 교체식 볼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 이동이 있는 관로 상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개폐볼에 의하여 개폐볼을 통하여 관로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유동을 단속하도록 되어 있는 마모 교체식 볼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밸브는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몸체(103)의 내부의 밸브챔버(125) 내부에 장착되는 개폐볼(105)이 회전손잡이(107)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개폐볼(105)에 관통된 유통공(127)을 통해 관로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유동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도록 되어 있는 바, 탄성체인 합성고무 또는 테프론 재질의 시트링부재(111)에 의해 몸체(103) 내주면과 개폐볼(105)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를 밀봉하고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볼밸브(101)는 유체 유동의 단속을 위해, 도 1의 밸브 개방상태에서 도 2의 밸브 폐쇄상태로 회전을 반복하는 바, 장시간 사용 시 볼밸브(101)와 접촉하는 시트링부재(111) 접촉면이 마모를 일으킬 뿐 아니라, 시트링부재(111)와 접촉하는 볼밸브(101) 외주면도 마모를 일으켜 볼밸브(101)의 유체누설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유체누설을 막기 위해서는 밸브(101)를 완전히 분해한 뒤 볼밸브(101)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볼밸브(101)의 가용수명이 단축되고, 따라서 교체주기가 짧아지며, 결과적으로 밸브 유지보수의 효율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트링부재(111) 내주면과 개폐볼(105) 외주면의 접촉면(131,132)은 밸브몸체(103)의 축선(C)에 대해 상호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는 바, 그 각도가 45도보다 큰 경우, 접촉면(131,132) 중 개폐볼(105) 회전방향 상으로 앞서 있는 선행접촉면(131)에서는 무사히 회전이 이루어지지만, 뒤서 있는 추종접촉면(132)에서는 회전이 불가하거나 가능하더라도 접촉면(132)에서 즉, 시트링부재(111) 내주면와 개폐볼(105) 외주면 상에 큰 마모 및 그에 따른 손상이 발생하며, 마찬가지로 위 각도가 45도보다 작은 경우에도 선행접촉면(131)에서 회전이 불가하거나 시트링부재(111) 내주면와 개폐볼(105) 외주면 상에 큰 마모 및 그에 따른 손상과 유체누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접촉면(131,132)의 각도가 45도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각도가 45도이면 개폐볼(105)의 회전은 접촉면(131,132) 모두에서 가능하지만, 개폐볼(105)은 접촉면(131,132) 모두에서 마모를 일으켜 장시간 사용 시 마모 손상이나 그로 인한 유체누설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069636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볼밸브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밸브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동을 단속하기 위해 유동 관로를 개폐하는 개폐볼이 회전하면서 개폐동작을 할 때, 밸브몸체의 볼시트와 접촉을 일으키는 외주면 상에 밀봉링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개폐볼에 발생하는 마모, 손상 및 그에 따른 유체 누설을 최소화하고, 따라서 볼밸브의 유지보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밸브 폐쇄 시 위와 같이 밀봉링을 볼시트에 밀착시켜 유체밀봉을 달성함에 있어, 밀봉링과 볼시트의 접촉면 중 개폐볼의 회전방향 상으로 앞서는 선행접촉면과 뒤서는 추종접촉면의 밸브몸체 축선에 대한 경사각도를 달리함으로써 밀봉링에 의한 볼시트의 마모 및 손상을 최소화하고, 그에 따라 밸브의 유밀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밸브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밸브챔버의 일단에 유입구가, 타단에 유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밸브몸체; 상기 밸브챔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개폐 회전함으로써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유통공을 통해 상기 유출구로 유출되는 유체의 유동을 단속하는 개폐볼; 상기 밸브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개폐볼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개폐볼을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손잡이; 및 밸브 폐쇄 시 상기 유입구 및 상기 유출구 내측단의 볼시트와 상기 개폐볼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개폐볼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볼시트와 개폐볼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는 밀봉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마모 교체식 볼밸브를 제공한다.
또한, 밸브 폐쇄 시 상기 밀봉링과 상기 볼시트의 접촉면은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절단한 평단면 상에서 밸브 개방을 위한 회전방향 상으로 선행하는 선행접촉면이 상기 밸브몸체의 축선에 대해 45도보다 크게 경사지고, 추종하는 추종접촉면이 상기 축선에 대해 45도보다 작게 경사지도록 환형의 연속곡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면은 중심선에 대한 경사각도가 동일하며, 상기 중심선이 상기 축선에 대해 기울기각도로 기울어져, 상기 선행접촉면은 상기 축선에 대해 45도보다 크게 경사지고, 상기 추종접촉면은 상기 축선에 대해 45도보다 작게 경사지도록 환형의 연속곡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마모 교체식 볼밸브에 따르면, 개폐볼 회전 시 밸브몸체의 볼시트와 접촉되는 부분에 밀봉링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고 있으므로, 볼시트와 접촉에 의해 밀봉링에 마모, 손상 및 유체누설이 발생하는 경우, 개폐볼 전체를 교체하는 대신 밀봉링 교체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고, 따라서 볼밸브에 대한 유지보수의 효율성 및 편리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개폐볼 외주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밀봉링의 장착각도를 밸브몸체의 축선에 대해 기울이거나, 밀봉링 중심선에 대한 외주면의 경사각도를 서로 달리함으로써, 밀봉링과 볼시트의 접촉면 경사각도를 45도보다 크거나 작게 하여, 밀봉링과 볼시트 사이의 밀봉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밀봉링에 의한 볼시트의 마모 및 손상을 최소화하고, 적은 개폐조작력으로도 개폐가 가능하게 하여 조작의 불편이나 부품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밸브의 수밀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또 가용수명을 대폭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개폐볼의 볼시트 접촉면 전체를 완전구 형상으로 곡면 가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완전구 형상의 가공에 따르는 작업 정밀도를 낮추어 생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시트링부재를 구비한 볼밸브의 정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모 교체식 볼밸브의 횡단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평단면도.
도 5는 도 4의 볼밸브를 발췌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도 4 및 도 5의 밀봉링을 발췌하여 도시한 평단면도.
도 7은 도 3의 밀봉링을 기울이지 않은 채, 접촉면의 경사각도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개폐 회전시키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A는 추종접촉면(32-1)이 45도보다 작은 상태를, B는 추종접촉면(32-2)이 45도보다 큰 상태를, C는 선행접촉면(31-2)이 45도보다 작은 상태를, D는 선행접촉면(31-1)이 45도보다 큰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모 교체식 볼밸브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마모 교체식 볼밸브는 도 3 및 도 4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밸브몸체(3), 개폐볼(5), 회전손잡이(7), 및 밀봉링(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밸브몸체(3)는 볼밸브(1)의 외부몸체를 이루는 일종의 관체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유동이 일어나는 파이프 등의 관로 상에 설치되는 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양단에 각각 유입구(11)와 유출구(13)가 형성되며, 유입구(11)와 유출구(13) 사이의 내부 공간에는 개폐볼(5)을 설치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되어 있는 밸브챔버(15)가 형성된다.
상기 개폐볼(5)은 볼밸브(1) 보다 구체적으로는 밸브챔버(15)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동을 단속하는 수단으로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밸브챔버(15) 내에 배치되어 밸브몸체(3) 내주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 몸체가 중공체로 제작되는 것이 무게를 줄이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개폐볼(5)은 밸브챔버(15)를 이루는 밸브몸체(3)의 상측 벽면을 관통하여 상단면에 결합된 회전축(17)을 통해 회전손잡이(7)와 연결되며, 밸브챔버(15) 하측 내주면에 끼워지는 지지축(19)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개폐볼(5)은 회전축선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몸체를 관통하여 유통공(10)이 형성되는 바, 회전손잡이(7)를 통한 사용자의 개폐 조작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유통공(1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유입구(11)로 유입되어 유출구(13)로 유출되는 유체의 유동을 단속한다.
상기 회전손잡이(7)는 밸브몸체(3) 내에서 개폐볼(5)을 회전시키는 수단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것이 적용 가능한 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일반적인 휠 형태로 제작 가능하다. 따라서, 회전손잡이(7)는 위에서 웜과 웜기어(미도시)에 의해 회전축(17)과 연결되고, 회전축(17)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밸브몸체(3) 상측 벽면을 관통하여 개폐볼(5) 상면에 연결됨으로써, 사용자는 회전손잡이(7)를 통해 개폐볼(5)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밀봉링(9)은 밸브 폐쇄 시 위 개폐볼(5)과 밸브몸체(3) 내주면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를 밀봉하는 밀봉수단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1)가 폐쇄된 때, 밸브챔버(15)로 이어진 유입구(11)와 유출구(13)의 내측단에 끼워져 있는 볼시트(21,22)와 개폐볼(5)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개폐볼(5) 외주면 상에 장착된다. 이때, 밀봉링(9)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볼트(23) 등에 의해 개폐볼(5) 몸체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 볼시트(21,22)와의 접촉에 의해 마모 또는 손상 및 그로 인한 유체누설이 발생한 때 쉽게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개폐볼(5)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밸브 폐쇄 시 유입구(11) 및 유출구(13)로 각각 노출되는 면이 밸브몸체(3) 즉, 유입출구(11,13) 축선(C)과 직각을 이루도록 평탄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개폐볼(5)은 중공체로 되어 있으므로 평탄면 상에 밀봉링(9)을 장착하기 위한 지지대(25)가 형성되는 바, 도 4 및 도 5의 경우 지지대(25)는 도면 상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기울기각도(θ)만큼 경사져 있으나, 밸브몸체(3) 축선(C)과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지지대(25)가 한 쪽으로 경사진 경우, 밸브(1)가 폐쇄된 때 상호 접촉되는 밀봉링(9)과 볼시트(21,22)의 접촉면(31,32)은 회전축(17)의 축선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절단한 평단면 상에서 밸브몸체(3)의 축선(C)에 대해 경사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밀봉링(9)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선행접촉면(31)에서 회전반경이 증대되고, 추종접촉면(32)에서 회전반경이 축소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때, 하나의 밀봉링(9)에 의해 형성되는 각각의 접촉면(31,32)은 밸브(1)가 개방하는 회전방향(R) 상으로 선행하는 선행접촉면(31)이 축선(C)에 대해 45도보다 크게 경사지고, 추종하는 추종접촉면(32)이 축선(C)에 대해 45도보다 작게 경사지며, 하나의 고리모양으로 이어져 연속곡면을 형성한다. 설명을 위해 위 각도들을 과장되게 나타내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중심선(D)에 대해 접촉면(31,32)을 이루는 밀봉링(9) 상하면 즉, 외주면의 경사각도(α)를 45도라고 하고, 밀봉링(9) 전체의 즉, 밀봉링(9) 중심선(D)의 밸브몸체(3) 축선(C)에 대한 기울기각도(θ)를 15도라고 하면, 각 접촉면(31,32)의 실제 경사각도(S) 중 선행접촉면(31)의 경사각도는 경사각도(α)와 기울기각도(θ)의 합으로 60도가 되고, 추종접촉면(32)의 경사각도는 경사각도(α)와 기울기각도(θ)의 차로 30도가 된다. 이는 밀봉링(9)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축선(C)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접촉면(31,32)의 실제 경사각도(S) 차이로 직접 나타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이든 즉, 밀봉링(9)의 경사 유무와 무관하게, 접촉면(31,32)의 경사각도(S)는 선행접촉면(31)이 도 7에 D로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60도로 45도보다 커지고, 추종접촉면(32)이 도 7에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30도로 45도보다 작아지는 바, 선행접촉면(31)의 각도가 45도보다 크면 도 7의 D로 도시된 것처럼, 개폐볼(5)이 화살표(R) 방향으로 회전할 때, 밀봉링(9-1)은 접촉면(31-1)을 이루는 외주면의 단반경(r1) 모서리가 접촉면(31-1)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접촉면(31-1)을 이루는 볼시트(21) 내주면에 대해 마모, 손상 및 그에 따른 유체누설을 거의 일으키지 않는다. 반면, 선행접촉면(31)의 각도가 45도보다 작으면 도 7의 C로 도시된 것처럼, 밀봉링(9-2)은 접촉면(31-2)을 이루는 외주면의 장반경(r2) 모서리가 접촉면(31-2)과 크게 간섭을 일으켜, 밀봉링(9-2)의 회전을 저지하거나 접촉면(31-2)을 이루는 볼시트(21) 내주면을 깊게 마모, 손상시켜 궁극에는 유체누설을 가져오게 된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도 7의 A로 확대 도시된 것처럼, 개폐볼(5)이 화살표(R)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접촉면(31,32) 중 추종접촉면(32)의 각도가 45도보다 작은 밀봉링(9-3)은 접촉면(32-1)을 이루는 볼시트(22) 내주면에 대해 마모, 손상을 거의 일으키지 않는다. 반면, 도 7의 B로 확대 도시된 것처럼, 추종접촉면(32)의 각도가 45도보다 큰 밀봉링(9-4)은 접촉면(32-2)을 이루는 외주면의 장반경(r3) 모서리가 접촉면(32-2)과 크게 간섭을 일으키므로, 밀봉링(9-4)의 회전을 저지하거나 접촉면(32-2)을 이루는 볼시트(22) 내주면을 깊게 마모, 손상시키며, 그에 따라 유체누설을 발생시킨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모 교체식 볼밸브(1)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볼밸브(1)를 통해 관로 상의 유체 유동을 단속하기 위해서는 회전손잡이(7)를 조작하게 되는 바, 먼저 밸브를 폐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전손잡이(7)를 돌려 회전축(17)을 통해 지지축(19)을 중심으로 개폐볼(5)을 회전시킴으로써, 개폐볼(5)의 유통공(10)이 밸브몸체(3)의 유입구(11)에서 유출구(13)를 잇는 축선(C)과 직각을 이루도록 한다. 반대로, 위와 같이 폐쇄된 상태의 볼밸브(1)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회전손잡이(7)를 역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여, 개폐볼(5)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유통공(10)을 축선(C)과 나란하게 정렬시켜 유체를 유동시킨다.
이때,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밀봉링(9)이 축선(C)에 대해 기울기각도(θ)만큼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 또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접촉면(31,32)을 이루는 밀봉링(9)의 외주면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밀봉링(9)의 접촉면(31,32)을 이루는 외주면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 경우 즉, 어느 경우이든 접촉면(31,32) 중 선행접촉면(31)의 경사각도(S)가 밀봉링(9) 중심선(D)에 대한 밀봉링(9) 외주면의 경사각도(α)와, 밸브몸체(3) 축선(C)에 대한 밀봉링(9) 중심선(D)의 기울기각도(θ)의 합이고, 추종접촉면(32)의 경사각도(S)가 경사각도(α)와 기울기각도(θ)의 차로 나타나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1) 개폐 시 밀봉링(9)의 선행측 외주면은 접촉면(31-1)과 같은 형태로 축선(C)에 대해 45도보다 큰 각을 이루어 볼시트(21)에 의해 회전 저항을 받거나 마모로 인한 손상을 일으키지 않으며, 마찬가지로 추종측 외주면도 접촉면(32-1)과 같은 형태로 축선(C)에 대해 45도보다 작은 각을 이루어 볼시트(22)에 의해 회전 저항을 받거나 마모로 인한 손상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밀봉링(9)이 체결볼트(23) 등에 의해서 개폐볼(5)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부착되므로, 밸브(1) 개폐가 반복됨에 따라 볼시트(21,22)와의 접촉에 의해 접촉면(31,32)이 마모되는 밀봉링(9)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되므로, 마모 시 개폐볼(5) 전체를 교체하여야 했던 종래의 볼밸브에 비해 비용절감은 물론, 교체 작업의 편리성 등 밸브(1) 유지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 : 볼밸브 3 : 밸브몸체
5 : 개폐볼 7 : 회전손잡이
9 : 밀봉링 10 : 유통공
11 : 유입구 13 : 유출구
15 : 밸브챔버 17 : 회전축
19 : 지지축 21, 22 : 볼시트
25 : 지지대 31, 32 : 접촉면

Claims (3)

  1. 삭제
  2. 내부에 밸브챔버(15)를 형성하며, 상기 밸브챔버(15)의 일단에 유입구(11)가, 타단에 유출구(13)가 각각 형성되는 밸브몸체(3);
    상기 밸브챔버(1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개폐 회전함으로써 상기 유입구(11)로 유입되어 유통공(10)을 통해 상기 유출구(13)로 유출되는 유체의 유동을 단속하는 개폐볼(5);
    상기 밸브몸체(3)를 관통하여 상기 개폐볼(5)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개폐볼(5)을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손잡이(7); 및
    밸브 폐쇄 시 상기 유입구(11) 및 상기 유출구(13) 내측단의 볼시트(21,22)와 상기 개폐볼(5)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개폐볼(5)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볼시트(21,22)와 개폐볼(5)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는 밀봉링(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밸브 폐쇄 시 상기 밀봉링(9)과 상기 볼시트(21,22)의 접촉면(31,32)은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절단한 평단면 상에서 밸브 개방을 위한 회전방향 상으로 선행하는 선행접촉면(31)이 상기 밸브몸체(3)의 축선(C)에 대해 45도보다 크게 경사지고, 추종하는 추종접촉면(32)이 상기 축선(C)에 대해 45도보다 작게 경사지도록 환형의 연속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교체식 볼밸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31,32)은 중심선(D)에 대한 경사각도(α)가 동일하며, 상기 중심선(D)이 상기 축선(C)에 대해 기울기각도(θ)로 기울어져, 상기 선행접촉면(31)은 상기 축선(C)에 대해 45도보다 크게 경사지고, 상기 추종접촉면(32)은 상기 축선(C)에 대해 45도보다 작게 경사지도록 환형의 연속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교체식 볼밸브.
KR1020160029295A 2016-03-11 2016-03-11 마모 교체식 볼밸브 KR101823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295A KR101823750B1 (ko) 2016-03-11 2016-03-11 마모 교체식 볼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295A KR101823750B1 (ko) 2016-03-11 2016-03-11 마모 교체식 볼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916A KR20170105916A (ko) 2017-09-20
KR101823750B1 true KR101823750B1 (ko) 2018-01-31

Family

ID=60033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295A KR101823750B1 (ko) 2016-03-11 2016-03-11 마모 교체식 볼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375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916A (ko) 201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2387A (en) Rotating disc gate valve
RU2292506C2 (ru) Запорная арматура
US3284046A (en) Rotary valves
KR20200083799A (ko) 더블 디스크 버터플라이 밸브
US20090014675A1 (en) Resilient seated butterfly valve with interchangeable off-center and on-center discs
RU2158867C2 (ru) Съемный патрон шарового клапана смесительного крана
US20200284357A1 (en) Eccentric rotary valve
KR101823750B1 (ko) 마모 교체식 볼밸브
KR101852478B1 (ko) 버터플라이 밸브
KR102092314B1 (ko) 이중 볼 구조의 볼밸브 어셈블리 및 작동 방법
KR890000449B1 (ko) 유체 조절 밸브
CN211624299U (zh) 止回阀及其开度调节机构
CN114658865A (zh) 防卡阻低扭导向截止阀
KR101878045B1 (ko) 이중 실링 구조를 가지는 버터플라이 밸브
KR101879375B1 (ko) 직선형 글로브밸브
KR200310680Y1 (ko) 버터플라이 밸브
TWM449215U (zh) 閥件錐體外切線與閥座之軸不平行之三偏心閥
KR101625986B1 (ko) 편심형 디스크가 구비된 제수밸브
KR101123333B1 (ko) 박형 볼시트를 갖는 볼밸브
KR100579879B1 (ko) 디스크시트 유동형 버터플라이밸브
KR200347226Y1 (ko) 디스크시트 유동형 버터플라이밸브
KR101370099B1 (ko) 핸들부착 콘밸브
CN215720935U (zh) 一种安全耐用的手转阀
KR101928063B1 (ko) 원통형 회전 게이트밸브
KR200366883Y1 (ko) 더블실링 소프트 메탈 시트 버터플라이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