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048B1 - 급수제어 전환장치 - Google Patents

급수제어 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3048B1
KR101823048B1 KR1020170085007A KR20170085007A KR101823048B1 KR 101823048 B1 KR101823048 B1 KR 101823048B1 KR 1020170085007 A KR1020170085007 A KR 1020170085007A KR 20170085007 A KR20170085007 A KR 20170085007A KR 101823048 B1 KR101823048 B1 KR 101823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valve
direc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훈
Original Assignee
현대에너지컨설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에너지컨설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에너지컨설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5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0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83Filling valves or arrangements for fi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8Pipe-line systems for liquids or viscous pro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5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8Level sensors, e.g. water level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8Storage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제어 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개의 공급배관체를 구비하여 2개의 공급배관체 중 어느 하나의 공급배관체를 통해 급수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을 경우 즉시 다른 하나의 공급배관체를 이용하여 계속적인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급수제어 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부의 직수를 공급하는 라인으로서, 직수가 유입되는 인렛부가 구비되며, 일측은 상기 인렛부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분기되는 분기관을 포함한 직수배관체와, 상기 직수배관체와 연통되어 유입된 물을 보일러몸체측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상기 직수배관체의 분기관에 각각 결합되어 물을 이송하는 복수의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에 각각 구비되며 이송관을 통해 이송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개폐밸브와,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공급배관체와, 상기 이송관을 통해 이송되는 물의 속도 및 양을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이송관의 일측에 구비되되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 되는 유량감지수단과, 상기 이송관을 통해 이송되는 물이 상기 개폐밸브 또는 보일러 몸체와 연결된 아웃렛부에 구비된 동작밸브의 폐쇄시 직수배관체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송관에 구비되는 역류방지밸브와, 상기 역류방지밸브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수동제어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역류방지수단과,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전송단말기와 통신하도록 이루어진 제어부 및 각도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양단이 상기 이송관과 물탱크에 각각 결합되는 플렉시블관과, 상기 플렉시블관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된 체결너트와, 상기 플렉시블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체결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급수제어 전환장치{Changeover device for water supply control}
본 발명은 급수제어 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개의 공급배관체를 구비하여 2개의 공급배관체 중 어느 하나의 공급배관체를 통해 급수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을 경우 즉시 다른 하나의 공급배관체를 이용하여 계속적인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급수제어 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수제어는 보일러시스템이나 정수기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장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보일러나 정수기에 공급되는 유체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중 보일러시스템은 보일러 본체에 물을 적절하게 채우고 버너를 가동하여 보일러본체에 급수된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배출하거나 가열된 물을 순환시키도록 하고 있다.
즉, 보일러시스템은 본체에 물이 보충 안 된 상황에서는 보일러의 정상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보일러 본체에 무리가 가해져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통상의 보일러시스템은 보일러본체에 물이 채워지는 물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물탱크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수위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위에 따라 물탱크와 연결된 급수부에서 물을 공급하되 공급되는 물을 양을 제어하는 급수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급수 제어장치는 보일러 본체의 물에 대한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가 떨어질 경우 급수 제어장치가 가동되어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하나의 공급배관체 즉 급수가 보일러 본체로 공급되는 배관부가 하나의 공급배관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공급배관체가 고장이 발생되거나 할 경우에는 수위가 떨어짐에도 불구하고 보일러 본체측으로 급수가 공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 제20-0185132호인 보일러용 급수제어 밸브가 제안된 바 있는데, 이는 조작손잡이와 상기 조작손잡이로 회전 조작되는 볼밸브에 의해 내부 통로가 개폐되는 밸브동체 일측에 나사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나사결합부가 형성된 쪽의 밸브동체 내측에는 원통부와 이 원통부의 일측단부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플랜지부로 이루어진 패킹을 삽입설치하며, 상기 밸브동체의 나사 결합부에는 연결대상 주름관의 단부를 조임링을 개재하여 상기 패킹의 내측에 압입고정시키는 유니언너트가 결합설치되도록 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급수제어 밸브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밸브의 수밀상태를 향상시키고 시공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조작손잡이를 사용자가 직접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공고실용신안 제20-1987-0003168호인 보일러의 급수 자동 제어장치가 제안된 바 있는데, 이는 보일러 내부의 수위의 증감에 따른 플루트의 상,하 이동으로 인하여 상, 하의 통공과 턱을 가지고 있는 변파이 하단양측에 돌기를 형성하고 있는 안내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하측 증기관을 번갈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급수가 공급되도록 하고는 있으나, 하나의 공급배관체에 의해 급수의 공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는 급수의 공급이 즉시 중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185132호(2000.03.29. 등록) 0002. 대한민국공고실용신안 제20-1987-0003168호(1987.09.24. 공고)
본 발명은 급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급수 제어장치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2개의 공급배관체를 각각 구비하되, 이들 2개의 공급배관체를 직수가 공급되는 직수배관체와 수위감지체에 같이 연결되도록 하여 어느 하나의 공급배관체가 고장날 경우 다른 하나의 공급배관체가 즉시 가동하여 급수의 계속적인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급수제어 전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공급배관체와 연결된 보일러시스템으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 및 속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상기 공급배관체를 제어하는 유량제어수단이 구비되고, 공급되는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수단을 포함한 급수제어 전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의 직수를 공급하는 라인으로서, 직수가 유입되는 인렛부가 구비되며, 일측은 상기 인렛부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분기되는 분기관을 포함한 직수배관체와, 상기 직수배관체와 연통되어 유입된 물을 보일러몸체측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상기 직수배관체의 분기관에 각각 결합되어 물을 이송하는 복수의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에 각각 구비되며 이송관을 통해 이송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개폐밸브와,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공급배관체와, 상기 이송관을 통해 이송되는 물의 속도 및 양을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이송관의 일측에 구비되되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 되는 유량감지수단과, 상기 이송관을 통해 이송되는 물이 상기 개폐밸브 또는 보일러 몸체와 연결된 아웃렛부에 구비된 동작밸브의 폐쇄시 직수배관체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송관에 구비되는 역류방지밸브와, 상기 역류방지밸브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수동제어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역류방지수단과,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전송단말기와 통신하도록 이루어진 제어부 및 각도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양단이 상기 이송관과 물탱크에 각각 결합되는 플렉시블관과, 상기 플렉시블관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된 체결너트와, 상기 플렉시블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체결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에는, 복수의 플렉시블관이 배치되는 경우 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판은, 편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플렉시블관이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과, 물탱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이송관은 보일러 몸체에 구비된 물탱크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이송관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즉시 다른 이송관을 통해 보일러에 직수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직수가 공급되지 않아 발생하는 보일러의 고장 및 사고를 최소화하고, 부분적으로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제어 전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제어 전환장치를 평면에서 도시한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제어 전환장치의 제어부의 동작 관계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제어 전환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제어 전환장치의 체결수단을 도시한 구조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제어 전환장치(1)는, 직수배관체(10)와, 공급배관체(20)와, 유랑감지수단()과 역류방지수단(40)과 제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직수배관체(10)는, 외부의 직수를 공급하는 라인으로서, 예를 들어 수도배관과 연결되거나 별도의 직수저장탱크와 연결되는 것으로, 직수가 유입되는 인렛부(11)가 구비된다.
상기 인렛부(11)의 일측에는 수도배관 등과 연결되기 위한 결합너트가 더 구비되며, 타측에는 후술할 공급배관체(20)로 유입된 물을 전달하되 복수의 공급배관체(20)와 결합하는 분기관(12)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분기관(12)은 일측은 상기 인렛부(11)와 결합되고 타측은 복수의 공급배관체(20)에 각각 결합되도록 'T'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배관체(20)는 상기 직수배관체(10)와 연통되어 유입된 물을 보일러몸체측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상기 직수배관체(10)의 분기관(12)에 각각 결합되어 물을 이송하는 이송관(21)과, 상기 이송관(21)을 통해 이송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개폐밸브(22)와, 상기 개폐밸브(2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관(21)은, 일단이 상기 분기관(12)에 결합되며 내부가 빈 관체로서 분기관(12)을 통해 유입된 물을 이송하는 관이다.
이때, 상기 이송관(21)은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각각의 이송관(21)에 상기 개폐밸브(22)와 제어수단(23)이 독립적으로 동작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이송관(21)의 일단은 상기 분기관(12)에 결합되고 타단은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합치관(14)에 결합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다른 실시예로서 각각의 이송관(21)은 보일러 몸체에 구비된 물탱크에 직접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이송관(21)이 합치관(14)에 결합 되는 경우 한 쌍의 이송관(21)을 통해 이송되는 물의 속도 및 양에 의해 합치관(14)과 이송관(21)의 결합부위 또는 합치관(14)과 아웃렛부(13)의 결합부위 등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개폐밸브(22)는, 상기 이송관(21)을 통해 이송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이송관(21)에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게 구비되며 후술할 제어수단(23)을 통해 개방 또는 폐쇄되면서 이송관(21)을 통해 이송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수단(23)은, 보일러 몸체에 구비된 수위감지센서(도면 중 미도시됨) 등을 통해 직수의 공급이 필요한 경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22)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23)은 각각의 이송관(21)에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각각의 이송관(21)에 구비된 개폐밸브(22)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즉 사용 중 어느 일측의 이송관에 구비된 개폐밸브(22)가 오작동하는 경우 즉시 오작동에 따른 경고메시지를 사용자의 전송단말기(70)에 전송하도록 하여 각 이송관에 구비된 개폐밸브(22)의 고장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수단(23)에는 별도의 오작동감지부(231)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오작동감지부의 내부구조 및 동작관계는 통상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유량감지수단(30)은, 이송관(21)을 통해 이송되는 물의 속도 및 양을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이송관(21)의 일측에 구비되되 각각의 유량감지수단(30)이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량감지수단(30)은, 이송관(21)의 내부에서 이송되는 물의 속도 및 유량을 감지하여 일정량 이상의 속도 및 양이 감지되는 경우 이를 오작동으로 인식하여 상기 제어수단(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50)로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50)가 제어수단(23)을 구동시키도록 한다.
즉, 이송관(21)을 통해 이송되는 물의 속도 및 양이 급격하게 빠르거나 많은 양이 이송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물의 이동을 차단함으로써 보일러 몸체의 물탱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동시에 이송관(21)이 파손 및 이로 인한 누수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유량감지수단(30)은 상기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이송관(21)의 일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센서가 구비된 유량감지관(31)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유량감지관(31) 내부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물의 속도 및 양을 감지한 후 이를 제어부(50)로 전송한다.
상기 역류방지수단(40)은, 이송관(21)을 통해 이송되는 물이 상기 개폐밸브 또는 보일러 몸체와 연결된 아웃렛부(13)에 구비된 동작밸브(15)의 폐쇄시 직수배관체(10)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송관(21)에 구비되는 역류방지밸브(41)와, 상기 역류방지밸브(4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수동제어밸브(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역류방지밸브(41)는 상기 제어수단(23)과 아웃렛부(13) 사이에 배치되어 아웃렛부(13)로 이송되는 물이 상기 동작밸브(15)의 폐쇄시 인렛부(11)측으로 역류하면서 제어수단(23)을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동작밸브(15)의 폐쇄시 이송관(21)의 내부에 남아 있는 물이 제어수단(23)측을 향해 역류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워터해머(수격작용) 현상에 의해 제어수단(23)의 내부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작밸브(15)의 폐쇄와 동시에 역류방지밸브(41)가 동시에 폐쇄되면서 동작밸브(15)와 역류방지밸브(41) 사이에 남아 있는 물을 가두어 둠으로써 제어수단(23)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수동제어밸브(42)는 상기 제어수단(23)과 인렛부(11) 사이에 구비되어 문제가 발생한 개폐밸브(22), 제어수단(23) 등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수동제어밸브(42)를 폐쇄함으로써 불필요한 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역류방지수단(40)은 각각의 이송관(21)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며, 특히 역류방지밸브(41)는 상기 동작밸브(15)와 동시에 동작되도록 제어부(50)를 통해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배관체(20)에 구비된 복수의 제어수단(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전송단말기(70)와 통신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50)는 유량감지수단(30) 또는 보일러 몸체의 물탱크에 구비된 수위감지센서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통해 상기 제어수단(23)을 구동시켜 개폐밸브(22)를 개방하거나 차단하여 직수를 보일러 몸체의 물탱크측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하고, 이와 동시에 사용자의 전송단말기(70)에 각각의 제어수단(23) 또는 개폐밸브(22)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장소에 관계없이 제어수단(23) 또는 개폐밸브(22)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고장이 발생하면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유지 보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전송단말기(70)는 보일러 몸체를 제어하는 제어패널 또는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식 단말기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제어 전환장치를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51)은 제어부(50)와 전송단말기(70)를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송수신부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제어 전환장치(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에 형성된 공급관(81)과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6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체결수단(60)은 물탱크(80)의 외측으로 노출된 공급관(81)과 아웃렛부(13)를 결합시 아웃렛부(13)를 포함한 전체 급수제어 전환장치(1)의 배치된 각도가 물탱크(80)의 외측 또는 저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때 상기 공급관(81)과 아웃렛부(13)의 각도 차이가 있거나 혹은 거리가 이격된 상황에서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제어 전환장치(1)는 기존에 설치된 보일러 시스템의 급수관을 교체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이때 각각의 보일러 시스템에 구비된 물탱크의 공급관(81)은 위치 및 물탱크로부터 노출된 각도가 상이할 수 있는데, 상기 체결수단(60)을 통해 다양한 보일러 시스템에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제어 전환장치(1)가 적용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수단(60)은, 각도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플렉시블관(61)과, 상기 플렉시블관(61)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된 체결너트(62)와, 상기 플렉시블관(61)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와이어(63) 및 복수의 플렉시블관(61)이 배치되는 경우 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6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플렉시블관(61)은 내부가 빈 관체로써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주름이 형성되어 상기 주름이 펼쳐지거나 접히면서 길이가 조절되고, 주름의 각도가 변화하면서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보일러 시스템에 사용되는 특성상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너트(62)는 상기 플렉시블관(61)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일단은 아웃렛부(13)에 결합되고 타단은 공급관(81)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와이어(63)는 일측은 플렉시블관(61)의 외주면을 감싸거나 또는 상기 체결너트(62)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은 물탱크(80)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플렉시블관(61)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플렉시블관(61)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도 및 길이가 변화 가능한 것으로 장시간 방치시 중력 및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길이가 연장되거나 각도가 변화할 수 있는데 상기 고정와이어(63)를 통해 플렉시블관(61)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플렉시블관(61)의 길이 및 각도가 자유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상기 고정판(64)은 상기 플렉시블관(61)이 복수개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플렉시블관(61)이 끼움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것으로, 편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되 플렉시블관(61)이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641)과 물탱크(8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부재(6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판(64)은 상기 이송관(21)이 합치관(14)을 통해 합치되지 않고 개별적으로 물탱크에 결합될 때 사용되는 것으로, 복수의 이송관(21)이 각각 물탱크에 결합될 때 배치된 이송관(21)의 간격이 벌어지고 각 이송관(21)에 결합된 플렉시블관(61)이 이와 함께 간격이 벌어져 미감이 좋지 못하고 교체 및 수리 등과 같은 유지보수시 각각의 플렉시블관(61)이 상호 엉키고 이로 인해 이송관(21)이 뒤틀리는 등의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클램프부재(642)는, 상기 고정판(64)의 좌우 양측 또는 상하 양측에 구비되어 물탱크(80)를 감싸거나 물탱크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물탱크(80)의 형태 및 크기에 맞추어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판(64)과 나사 등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제어 전환장치
10 : 직수배관체 20 : 공급배관체
30 : 유량감지수단 40 : 역류방지수단
50 : 제어부 60 : 체결수단
70 : 전송단말기 80 : 물탱크
11 : 인렛부 12 : 분기관
13 : 아웃렛부 14 : 합치관
15 : 동작밸브
21 : 이송관 22 : 개폐밸브
23 : 제어수단
31 : 유량감지관 41 : 역류방지밸브
42 : 수동제어밸브
61 : 플렉시블관 62 : 체결너트
63 : 고정와이어 64 : 고정판
641 : 끼움홈 642 : 클램프부재

Claims (3)

  1. 외부의 직수를 공급하는 라인으로서, 직수가 유입되는 인렛부(11)가 구비되며, 일측은 상기 인렛부(11)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분기되는 분기관(12)을 포함한 직수배관체(10);와,
    상기 직수배관체(10)와 연통되어 유입된 물을 보일러몸체측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상기 직수배관체(10)의 분기관(12)에 각각 결합되어 물을 이송하는 복수의 이송관(21)과, 상기 이송관(21)에 각각 구비되며 이송관(21)을 통해 이송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개폐밸브(22)와, 상기 개폐밸브(22)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수단(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공급배관체(20);와,
    상기 이송관(21)을 통해 이송되는 물의 속도 및 양을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이송관(21)의 일측에 구비되되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 되는 유량감지수단(30);과,
    상기 이송관(21)을 통해 이송되는 물이 상기 개폐밸브 또는 보일러 몸체와 연결된 아웃렛부(13)에 구비된 동작밸브(15)의 폐쇄시 직수배관체(10)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송관(21)에 구비되는 역류방지밸브(41)와, 상기 역류방지밸브(4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수동제어밸브(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역류방지수단(40);과,
    상기 제어수단(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전송단말기(70)와 통신하도록 이루어진 제어부(50) 및
    각도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양단이 상기 이송관(21)과 물탱크(80)에 각각 결합되는 플렉시블관(61)과,
    상기 플렉시블관(61)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된 체결너트(62)와,
    상기 플렉시블관(61)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와이어(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체결수단(6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체결수단(60)에는,
    복수의 플렉시블관(61)이 배치되는 경우 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64)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판(64)은,
    편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플렉시블관(61)이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641)과,
    물탱크(8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부재(6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제어 전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21)은 보일러 몸체에 구비된 물탱크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제어 전환장치.
KR1020170085007A 2017-07-04 2017-07-04 급수제어 전환장치 KR101823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007A KR101823048B1 (ko) 2017-07-04 2017-07-04 급수제어 전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007A KR101823048B1 (ko) 2017-07-04 2017-07-04 급수제어 전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3048B1 true KR101823048B1 (ko) 2018-01-29

Family

ID=61028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007A KR101823048B1 (ko) 2017-07-04 2017-07-04 급수제어 전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30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466U (ko) 2021-04-06 2022-10-13 주식회사 신흥밸브 배관 및 밸브 연결용 유니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4379A (ja) * 2006-07-05 2008-01-24 Kubota Corp 高温用弁
KR101320871B1 (ko) * 2013-07-29 2013-10-23 한길플랜트 주식회사 축열탱크 자동급수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4379A (ja) * 2006-07-05 2008-01-24 Kubota Corp 高温用弁
KR101320871B1 (ko) * 2013-07-29 2013-10-23 한길플랜트 주식회사 축열탱크 자동급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466U (ko) 2021-04-06 2022-10-13 주식회사 신흥밸브 배관 및 밸브 연결용 유니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5936A (ko) 재순환 유체 가열 시스템
NZ552630A (en) Controller,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pplementing water
WO2005002321A3 (en) Communication system for multizone irrigation
KR101823048B1 (ko) 급수제어 전환장치
CN103335132A (zh) 冷热水龙头及冷热水供水系统
US11421896B1 (en) Return tee for hot water recirculation system
US9032995B2 (en) Liquid supply with circulation via through-passing inner pipes
CN101888967B (zh) 多入口管分配系统
CN212454448U (zh) 一种网络注浆装置
CN101972760B (zh) 集中式清管球接收装置
CN217482841U (zh) 一种热水罐串联节能供热系统
US7878372B1 (en) Automatic water cooler replenishing system
CN212842408U (zh) 一种液氨制冷系统低压循环桶液位自动控制系统
GB2349908A (en) Water supply arrangement
CN207316480U (zh) 一种用于盐浆输送的输送管路
CN109099245B (zh) 软管站系统
CN207584086U (zh) H型回水系统智能温控阀
CN206346255U (zh) 一种二次供水区域性加压泵站的防水锤供水系统
CN208755733U (zh) 饮水机预热系统
CN218565901U (zh) 快速制冷快速加热转换一体机
CN218561158U (zh) 局部控制水循环达成定压排放的热水管道系统
CN217951236U (zh) 一种供热控制阀门
US20080073442A1 (en) Radiant heating system
CN211533989U (zh) 一种多阀组件及净饮水装置
CN216521976U (zh) 一种高效管网用的循环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