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789B1 - System for fire drill base on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ystem for fire drill base on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789B1
KR101822789B1 KR1020170035058A KR20170035058A KR101822789B1 KR 101822789 B1 KR101822789 B1 KR 101822789B1 KR 1020170035058 A KR1020170035058 A KR 1020170035058A KR 20170035058 A KR20170035058 A KR 20170035058A KR 101822789 B1 KR101822789 B1 KR 101822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ire
facility
experienti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0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식
Original Assignee
이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식 filed Critical 이성식
Priority to KR1020170035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78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7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04N5/21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fire evacuation training system and a method using the same which determine a facility in which a subject stays based on image information around the subject and location information, and use virtual information incorporating the image information around the subject,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facility information for the facility in which the subject stays to perform fire evacuation tr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ystem based on augmented reality comprises: a subject terminal to acquire subject information including image information for a facility in which a subject stays and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a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to acquire facility information for the facility in which the subject stays based on the acquired subject information, divide the facility whose facility information is acquired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determine at least one area among the plurality of areas to generat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to present an occurrence of a virtual fire in the determined area; and an image output device to output an image including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when synchronized with the subject terminal. Accordingly, a fire situation can be experienced for ordinary people including children, and a virtual fire situation can be presented to perform evacuation training in various facilities without a limitation on a place.

Description

증강현실 기반의 화재 대피훈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System for fire drill base on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xtinguishing system and a fire extinguish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반의 화재 대피훈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체험자 주변의 영상정보와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을 판단하고, 체험자 주변의 영상정보와 위치정보와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를 반영한 가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 대피훈련을 수행하는 화재 대피훈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gmented reality-based fire evacuation training system and a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e evacuation training system based on an augmented reality based on imag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vacuation training system for performing fire evacuation drill using virtual information reflecting information on a facility in which a user is staying, and a metho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백화점, 상가 건물, 관공서 등과 같이 불특정 다수인이 이용하는 각종 건물은 복수의 층으로 구획되어 있고, 복도통로를 구비하는바, 지진, 정전이나 화재 등과 같은 위급한 재난발생시 당황하지 않고 비상계단이나 비상통로 등을 찾기가 매우 곤란하여 치명적인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이 항상 내재하고 있다.Generally, various buildings used by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such as a home, an office, a department store, a shopping mall, and a government office,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layers and a corridor passage is provided.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earthquake, power outage or fire,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emergency stairs or emergency paths, so there is always a risk that it could lead to a fatal accident.

특히, 건물 내 화재 발생시 불이라는 위험요소에 의하여 비상계단이나 통로 등을 제대로 찾지 못함으로 인하여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게 되는 사례가 많이 있었다.Especially, there were many cases where many fire casualties occurred due to failure to find emergency stairs or passage due to the danger of fire in the case of fire in the building.

또한, 각종 시설물에 있어 층간의 통로가 되는 비상계단은 비상사태 발생시에 병목현상을 야기하는 대표적인 구조물로서 식별이 제대로 안 될 경우에는 대피의 지연은 물론이고, 또한 통행의 적체 등으로 인해 압사 등과 같은 대형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emergency stairway which is a passage between the layers in various facilities is a typical structure causing a bottleneck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and when the identification is not made properly, not only the delay of the evacuation but also the collapse Causing large-scale safety accidents.

이에 따라, 기존의 각종 건축물의 통로나 계단 등에는 각종 피난유도 구조물들을 구비하여 사람들의 안전한 피난대비를 유도하도록 하였으나, 실제로 각종 재난 사고가 발생했을 때에는 갑작스러운 사태에 대해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게 되어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는 문제가 존재한다.Accordingly, the existing passageways and stairways of various buildings are provided with various evacuation inducing structures to induce safe evacuation of people. However, when various disaster accidents occur, it is impossible to appropriately respond to sudden situations, There is a problem that occurs.

이는 어린이들을 포함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소방 재난 훈련이 이론교육에 그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따라, 화재발생시 대응 방법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충분히 숙지하고 있으면서도 실제 화재를 경험해 본 적이 없기 때문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개선방안이 필요하다.It is believed that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disaster training for firefighting for the general public including children is limited to theoretical education. As a result,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measures.

이러한 이론 중심의 소방 재난 훈련을 탈피하고자, 화재 상황을 체험해보고, 훈련하는 기술들이 발명되었지만, 이러한 기술들은 특정 시설에 방문하여, 화재 상황을 체험해야 하는 장소의 제한이 존재하여, 한정된 이용자들만이 체험할 수 있다는 한계가 존재하여, 이에 대한 개선방안이 요구된다.In order to escape from these theory-based firefighting disaster drills, techniques for experiencing and training fire situations have been invented.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on places where such technologies must be visited at a specific facility and experience a fire situation.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can be experienced, and improvement measures are required.

한편,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은 체험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로서, 현실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줄 수 있으며, 이러한 증강현실 기술은 교육, 원격 의료진단, 방송, 건축설계, 제조 공정관리 등에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어, 향후 그 활용 가능성이 매우 큰 기술이라고 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s a technology for superimposing virtual objects on the real world seen by the viewer as an eye, and can display the virtual worlds hav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real time in a real world together as a single image. Technology has been stud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education, remote medical diagnosis, broadcasting, architectural design, and manufacturing process management.

이에 따라,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화재 체험 및 화재 대피훈련을 경험해보는 방안의 모색이 요구된다.Therefore, it is required to find a way to experience fire experience and fire evacuation drill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한국등록특허 제10-1015474호 (발명의 명칭: 화재체험 훈련장치)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015474 (title of the invention: fire experience training device)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18908 (발명의 명칭: 교육용 재난안전 체험시스템)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6-0118908 (title: Disaster Safety Experiences System for Educ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장소의 제한 없이 다양한 시설에서, 어린이들을 포함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화재 상황을 체험하고, 가상의 화재 상황을 연출하여 대피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증강현실 기반의 화재 대피훈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experiencing a fire situation in a general facility including children, A fire escape training system based on an augmented reality capable of performing evacuation drill and a method us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화재 대피훈련 시스템은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영상정보와 실시간 위치정보가 포함된 체험자 정보가 획득되도록 하는 체험자 단말; 상기 획득된 체험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가 획득되도록 하며, 상기 시설정보가 획득된 시설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되,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결정되어, 상기 결정된 영역에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연출되도록 하는 증강현실 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화재 대피훈련 서버; 및 상기 체험자 단말과 동기화되면, 상기 증강현실 정보가 포함된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영상출력장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gmented reality-based fire evacuation training system comprising: an experiencer terminal for acquiring experiential information including image information and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a facility where an experient is staying; Wherein facility information of a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t is staying is acquired based on the acquired experience information, and the facility where the facility information is acquire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at least one area of the plurality of areas is determined A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for generat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for causing a virtual fire to be generated in the determined area; And a video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an image including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when being synchronized with the experience user terminal.

그리고 상기 화재 대피훈련 서버는, 상기 획득된 체험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체험자가 상기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영역에 체류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체험자가 상기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영역에 체류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가상의 화재로 인하여 가상의 연기가 발생되는 상황을 연출하도록, 상기 증강현실 정보가 포함된 영상에 소정의 시야 제한이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experiencer is staying in the area where the virtual fire has occurred based on the obtained experient information, and the experient is staying in the area where the virtual fire occurred If a determination is made, a predetermined visual field limit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image including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so as to produce a situation in which virtual smoke is generated due to the virtual fire.

더불어, 상기 시설정보는, 상기 시설의 구조에 대한 평면도, 배치도, 입면도 및 단면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건축도면 정보, 상기 시설에 마련된 소화설비에 대한 정보, 그리고 상기 시설의 내부의 벽지, 바닥재, 몰딩, 가구, 조명, 커튼 및 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인테리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cility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rchitectural drawing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a floor plan, a layout plan, an elevation view, and a sectional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facility, information on fire fighting facilities provided in the facility, Moldings, furniture, lighting, curtains, and doors.

또한, 상기 화재 대피훈련 서버는, 상기 건축도면 정보 및 상기 인테리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의 화재의 확산 속도 및 확산 방향이 결정되도록 하며, 상기 가상의 화재의 확산 속도 및 확산 방향이 결정되면, 상기 영상출력장치에 상기 결정된 가상의 화재의 확산 속도 및 확산 방향에 따라 상기 가상의 화재의 실시간 상태가 지속적으로 갱신된 증강현실 정보가 포함된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되, 상기 가상의 화재의 확산 속도 및 확산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체험자가 안전하게 체류 중인 시설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대피 경로정보가 상기 지속적으로 갱신된 증강현실 정보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Also, 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may determine the spreading speed and the diffusion direction of the virtual fire on the basis of the building drawing information and the interior information, and when the diffusion speed and the diffusion direction of the virtual fire are determined, The image output device outputs to the image output device an image includ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 which the real time status of the virtual fire is continuously updat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iffusion speed and diffusion direction of the fire, The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that allows the experient to safely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facility where he / she is staying can be included in the continuously updated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화재 대피훈련 서버는, 외부로부터 기상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기상정보에 따라 상기 가상의 화재의 확산 속도 및 확산 방향이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may acquire weather information from outside and determine the diffusion speed and diffusion direction of the virtual fire according to the weather information.

또한, 상기 화재 대피훈련 서버는, 상기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영역에 체류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체험자의 체류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체류 시간이 기설정된 기간을 초과하면, 상기 체류 시간이 초과된 체험자의 대피 행동의 평가에 상기 체류 시간의 초과 여부가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Also, 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may measure the residence time of the experient who is judged to be staying in the area where the virtual fire has occurred, and if the residence time exceeds the preset time, The evaluation of the evacuation behavior may reflect the excess of the residence time.

그리고 상기 화재 대피훈련 서버는, 상기 특정 시설에 체류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체험자의 체험자 단말에 임시 아이디를 부가하되, 별도의 패스워드 입력없이 로그인되도록 하고, 상기 임시 아이디로 로그인된 체험자 단말과 동기화된 영상출력장치에 상기 특정 시설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대피 경로정보가 포함된 증강현실 정보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adds a temporary ID to the experience terminal of the experience judged to be in the specific facility, logs in without inputting a separate password, and outputs the video output synchronized with the experience terminal logged in as the temporary ID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cluding the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enabling the device to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specific facility can be transmitted.

또한, 상기 화재 대피훈련 서버는, 상기 임시 아이디로 로그인된 체험자 단말을 통해 획득된 실시간 위치정보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갱신되면, 상기 임시 아이디로 로그인된 체험자 단말의 이동 경로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며, 상기 생성된 이동 경로정보와 상기 대피 경로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체험자의 대피 행동을 평가할 수 있다.Also, 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experiential terminal logged in with the temporary ID is updated as time elapses, movement path information of the experiential terminal logged in with the temporary ID is generated, The evacuation behavior of the experiencer can be evaluated by comparing the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with the generated moving route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화재 대피훈련 서버는, 상기 체험자 단말이 복수로 마련되어, 각각의 체험자 단말을 통해, 각각의 영상정보와 각각의 체험자 정보가 개별적으로 획득된 경우, 상기 각각의 영상정보와 상기 각각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체험자 단말 중 상기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영역에 체류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체험자 단말을 선별하고, 상기 체험자 단말이 선별되면, 상기 특정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와 상기 선별된 체험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영상정보 및 실시간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시설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대피 경로정보가 개별적으로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experiential terminals, and when each of the image information and each experient information is individually obtained through each experiential terminal, The virtual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lection unit configured to select, from among the plurality of experiential terminals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experiential terminals that are judged to be staying in the virtual fire area,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pecific facility, the escape route information for escaping to the outside of the specific facility can be individually generated.

또한, 상기 체험자 단말은, 상기 동기화된 영상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체험자가 상기 대피 경로정보가 포함된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체험자의 체중, 신장, 체온, 심박수, 호흡수, 혈당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가 획득되도록 하고, 상기 화재 대피훈련 서버는, 상기 획득된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체험자의 화재 대피훈련 중 건강상태를 판단하되, 상기 체험자가 상기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영역에 체류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체험자의 체류 시간을 연산하여, 상기 체험자의 건강상태와 상기 연산된 체험자의 체류 시간에 따라 상기 체험자의 대피 행동을 평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periential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of body weight, height, body temperature, heart rate, respiration rate, and blood glucose of the experiencer when the experient is outputting an image including the evacuation path information through the synchronized video output device Wherein 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judges a health state of the experient's fire evacuation drill on the basis of the obtained biometric information, wherein the experient is in a state where the user is staying in the area where the virtual fire occurred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residence time of the experient, and evaluate the evacuation behavior of the experient in accordance with the health state of the experient and the residence time of the experiented person.

그리고 상기 화재 대피훈련 서버는, 상기 획득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체험자의 주변에 소방 설비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소방 설비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소방 설비에 대한 작동안내정보가 상기 증강현실 정보에 부가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re is a fire fighting facility in the vicinity of the experiencer based on the obtained image information,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e fighting facility exists, And may be added to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화재 대피훈련 방법은 체험자 단말에 의해,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영상정보와 실시간 위치정보가 포함된 체험자 정보가 획득되는 단계; 화재 대피훈련 서버에 의해, 상기 획득된 체험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가 획득되는 단계; 상기 화재 대피훈련 서버에 의해, 상기 시설정보가 획득된 시설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되,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결정되어, 상기 결정된 영역에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연출되도록 하는 증강현실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 및 영상출력장치가 상기 체험자 단말과 동기화되면, 상기 영상출력장치에 의해, 상기 증강현실 정보가 포함된 영상이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re extinguishing method for augmented reality-based fire extinguishing,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Is obtained; The facility information on the facility where the experient is staying is obtained by 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based on the acquired experience information; Wherein the facility where the facility information is obtaine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by 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and at least one area of the plurality of areas is determined so that a virtual fire is generated in the determined area Generat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And outputting an image including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by the video output apparatus when the video output apparatus is synchronized with the experiential terminal.

이에 의해, 장소에 제한 없이 다양한 시설에서, 어린이들을 포함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화재 상황을 체험할 수 있으며, 가상의 화재 상황을 연출하여 대피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fire situation can be experienced for the general public including children in various facilities in various places, and evacuation drills can be performed by creating a virtual fire situ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화재 대피훈련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정보에 포함된 대피 경로정보가 전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화재 대피훈련 시스템의 체험자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화재 대피훈련 시스템의 화재 대피훈련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화재 대피훈련 시스템의 영상출력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화재 대피훈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흐름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n augmented reality-based fire evacuation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evasion path information included in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experiencer terminal of a fire evacuation training system based on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in a fire evacuation training system based on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ideo output apparatus of a fire evacuation training system based on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gmented reality-based fire evacuation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from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화재 대피훈련 시스템(이하에서는 '화재 대피훈련 시스템'으로 총칭함)을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정보에 포함된 대피 경로정보가 전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n augmented reality-based fire evacuation training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e evacuation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vacuation path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mitted.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훈련 시스템은 증강현실 정보를 기반으로 장소의 제한 없이 다양한 시설에서, 어린이들을 포함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화재 상황을 체험하고, 가상의 화재 상황을 연출하여 대피훈련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esigned to experience a fire situation for ordinary people including children in various facilities without limitation of a place based on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and to perform a evacuation drill by directing a virtual fire situation .

이를 위해, 본 화재 대피훈련 시스템은, 체험자 단말(100),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 및 영상출력장치(300)로 구성된다.To this end, the fire escape training system includes an experience terminal 100, a fire escape training server 200, and a video output device 300.

체험자 단말(100)은,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테블릿 PC 등, 체험자가 소지하거나 착용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로 구현되며,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영상정보 또는 실시간 위치정보가 포함된 체험자 정보를 획득하여,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The experiential terminal 100 is implemented as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being held or worn by an experienced person such as a smart phone, a smart watch, and a tablet PC. The experiential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video information on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t is staying or experiential information And deliver it to 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200. [

그리고 체험자 단말(100)은, 파노라마 카메라와 같은 영상정보 획득 수단이 마련되어, 피사체를 통해, 서로 다른 시점에서 촬영되어, 기설정된 시구간 동안 기설정된 지리적 위치를 기준으로 한 전방, 후방, 상방, 하방, 좌측방 및 우측방 영상들 중 인접한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하는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experiential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image information acquiring means such as a panoramic camera and is photographed at different viewpoints through the subject and is displayed on the front, back, up, down , Imag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two adjacent ones of the left and right room images can be obtained.

이때, 인접된 적어도 두 개의 영상정보들은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에 의해, 인접한 영상정보들이 서로 스티치(Stitch) 처리되어, 파노라마 영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At this time, adjacent at least two pieces of image information are stitched to each other by 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to be produced as a panorama image.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는, 체험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체험자 정보를 기반으로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을 인지하고,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200 can recognize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cer is staying based on the experie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xperience user terminal 100 and acquire the facility information on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ced user is staying.

예를 들면,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는,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이 A 초등학교라고 인지하면, A 초등학교에 대한 시설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거나,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로딩하여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can acquire facility information for the A elementary school by receiving it from the outside or loading it from a pre-stored database, if the experient is aware that the facility where the user is staying is A elementary school.

구체적으로,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는 A 초등학교에 대한 시설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A 초등학교에 대한 건축도면 정보를 수신하고, 기저장된 A 초등학교에 마련된 소화설비에 대한 정보를 로딩하고, 체험자 정보에 포함된 영상정보에서 A 초등학교의 인테리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e evacuation drill server 200 receives the building drawing information for the A elementary school from the outside in order to acquire the facility information for the A elementary school, loads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provided in the A elementary school, The interior information of the A elementary school can be extracted from the ima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xperient information.

이때, 인테리어 정보는 복수의 체험자 단말(100)로부터 개별적으로 각각의 영상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제1 체험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를 통해 A 초등학교 내부의 벽지에 대한 정보의 추출에는 성공하였으나, A 초등학교 내부의 바닥재에 대한 정보의 추출에는 실패하면, 제2 체험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를 통해 A 초등학교 내부의 바닥재에 대한 정보의 추출을 시도하여, 성공할 때까지 각각의 영상정보를 통해 인테리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더불어, 같은 방식으로 A 초등학교 내부의 몰딩, 가구, 조명, 커튼 및 문에 대한 정보를 각각의 영상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respective image information is individually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experiential terminal 100, the interior information is successively extracted from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experiencer terminal 100 in the A elementary school If it is unsuccessful to extract the information about the floor material inside the A elementary school, it tries to extract the information about the floor material inside the A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experiential terminal 100, Interior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through information. 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molding, furniture, lighting, curtains, and doors inside A elementary school can be extracted from each image information in the same manner.

더불어,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는,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가 획득되면,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연출되도록 하는 증강현실 정보를 생성한다.In addition, 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divides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cing person is staying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stores virtual fire in at least one area of the plurality of areas And generates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to be directed to be generated.

예를 들면,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는, 체험자가 자신이 거주하는 집에 체류 중인 경우, 체험자의 거주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를 획득하고, 시설정보가 획득되면, 거주 시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해당하는 주방에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연출되도록 하는 증강현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acquires the facility information on the residence of the experiencer when the experient is staying in the residence where the resident resides, and when the facility information is acquired,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that causes a virtual fire to be generated in the kitchen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여기서, 증강현실 정보는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것과 같은 연출을 위해, 가상의 불꽃 및 가상의 연기에 대한 영상이 실제 체험자의 거주 시설에 대한 영상과 함께 출력될 수 있다.Here,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can be output together with an image of a virtual resident of a practitioner, for virtual flame and virtual smoke, for the same presentation as when a virtual fire occurs.

더불어,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는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이후, 증강현실 정보가 시간 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갱신되도록 하여, 체험자의 행동에 따라 가상의 화재가 확산되거나 진화되는 상태를 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200 may continuously update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with time after a virtual fire has occurred, thereby producing a state in which a virtual fire spreads or evolves according to the behavior of the experiencer .

또한,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는 가상의 화재가 확산되거나 진화되는 상태를 연출함에 있어,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영역에 대한 건축도면 정보 및 인테리어 정보 또는 온도, 습도와 같은 기상정보에 따라 가상의 화재의 확산 방향과 확산 속도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어,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서 실제 화재가 발생된 것과 같은 상황을 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virtual fire in a state where the fire is diffused or evolved, The diffusion direction of the fire and the diffusion speed of the fire of the user can be determined.

이때,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는 가상의 화재의 확산 속도 및 확산 방향이 결정되면, 영상출력장치(300)에 결정된 가상의 화재의 확산 속도 및 확산 방향에 따라 가상의 화재의 실시간 상태가 지속적으로 갱신된 증강현실 정보가 포함된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되, 가상의 화재의 확산 속도 및 확산 방향을 고려하여, 체험자가 안전하게 체류 중인 시설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대피 경로정보가 지속적으로 갱신된 증강현실 정보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diffusion speed and the diffusion direction of the virtual fire are determined, 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determines whether the real time state of the virtual fire is continuous The evacuation path information is continuously updated so that the experient can safely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facility in consideration of the diffusion speed and diffusion direction of the virtual fire. It can be included i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그리고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는 특정 시설에 체류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체험자의 체험자 단말(100)에 임시 아이디를 부가하되, 별도의 패스워드 입력없이 로그인되도록 하고, 임시 아이디로 로그인된 체험자 단말(100)과 동기화된 영상출력장치(300)에 특정 시설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대피 경로정보가 포함된 증강현실 정보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200 adds the temporary ID to the experience user terminal 100 of the experience user who is determined to be staying in the specific facility but logs in without inputting a separate password,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cluding the escape route information to the video output apparatus 300 synchronized with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to allow the escape route to be escaped to the outside of the specific facility.

이때,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는, 임시 아이디로 로그인된 체험자 단말(100)을 통해 획득된 실시간 위치정보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갱신되면, 임시 아이디로 로그인된 체험자 단말(100)의 이동 경로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며, 생성된 이동 경로정보와 대피 경로정보를 비교하여 체험자의 대피 행동을 평가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experiential terminal 100 logged in as the temporary ID is updated as time elapses, 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200 searches the moving path of the experiential terminal 100,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and evacuation behavior of the user can be evaluated by comparing the created route information with the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그리고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는, 체험자 단말(100)에 의해 획득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체험자의 주변에 소방 설비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소방 설비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소방 설비에 대한 작동안내정보가 증강현실 정보에 부가되도록 할 수 있다.Then, 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200 judges whether or not there is a fire fighting facility on the basis of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experience user terminal 100, and if it is judged that the fire fighting facility exists, So that the operation guide information can be added to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이때, 소방 설비의 작동안내정보는, 분말소화기, 투척용 소화기, 비상벨 설비, 비상조명등, 소방전 등의 작동안내정보를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operation guidance information of the fire fighting equipment means operating guidance information such as a powder fire extinguisher, a throwing fire extinguisher, an emergency bell, an emergency light, and a fire extinguisher.

더불어,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는 체험자 단말(100)에 파노라마 카메라와 같은 영상정보 획득 수단이 마련된 경우, 체험자 단말(100)을 통해 인접한 복수의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인접한 복수의 영상정보를 서로 스티치(Stitch) 처리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xperiental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the image information acquiring means such as a panoramic camera, the fire evacuation drill server 200 can acquire a plurality of adjacent image information through the experiencer terminal 100, Information can be stitch-processed to produce a panoramic image.

그리고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는, 특정 영역에 가상의 화재가 발생되도록 한 이후, 증강현실 정보가 포함된 영상에 체험자의 체험자 정보를 기반으로,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 특히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영역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대피 경로정보, 화재 상황에 적절한 대응 요령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도록 하고, 체험자가 화재 상황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대피 행동을 수행하는지 평가할 수 있다.Then, after 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200 causes a virtual fire to occur in a specific area, 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200 generates a virtual fire based on the experience information of the experiencer on the image including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include information on the evacuation route to allow escape from the area where the fire escape is possible and information on the appropriate response to the fire situation and evaluate whether the evacuee is appropriately responding to the fire situation and performing evacuation action.

여기서 적절한 대피 행동의 평가 항목으로는, 비상벨을 작동시키는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지 않고, 계단으로 대피하는지, 대피시 낮은 자세로 이동하는지, 몸과 얼굴을 의류, 젖은 수건, 티슈 등으로 보호하는지 여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evaluation items of appropriate evacuation behavior include whether to operate the emergency bell, to evacuate to the stairs without using the elevator, to move to a lower posture when evacuating, to protect the body and face with clothes, wet towels, And the like.

구체적으로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는, 체험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체험자가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영역에 체류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영역에 체류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체험자의 체류 시간을 측정하여, 체류 시간이 기설정된 기간을 초과하면, 체류 시간이 초과된 체험자의 대피 행동의 평가에 체류 시간의 초과 여부를 반영하여, 체험자가 가상의 화재 발생 지역에서 질식사 또는 기타 화재 상황에 의해, 부상 또는 사망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벗어나도록 하는 대피 행동을 습득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200 determines that the experient is staying in a virtual fire area based on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xperi- ence, When the residence time exceeds the predetermined period, the experience of the person who has exceeded the residence time is evaluat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residence time has been exceeded. In this case, To learn to evacuate safely from the risk of injury or death.

더불어,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는, 체류 시간이 초과된 체험자와 근접한 다른 체험자의 체험자 단말(100)에 체류 시간이 초과된 체험자에 대한 구조 이벤트가 발생되도록 하고, 구조 이벤트가 발생된 체험자 단말(100)과 동기화된 영상출력장치(300)에 구조 이벤트에 대한 영상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어, 체험자들의 협동심을 향상시키고, 생명을 존중하고 보호할 수 있는 경험을 체험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200 may cause a rescue event for an experiencing person whose residence time has been exceeded to be generated in the experiential terminal 100 of another experient who is close to the resident who has exceeded the residence time, It is possible to cause the video output apparatus 300 synchronized with the video output apparatus 100 to output an image of a structural event, thereby enhancing the cooperation of the participants and experiencing the experience of respecting and protecting the life.

여기서, 구조 이벤트는 체류 시간이 초과된 체험자와 함께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영역 또는 시설 밖으로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대피하도록 하는 이벤트가 발생될 수 있다. Here, the structure event may be an event that causes the escapee to escap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out of the area or facility where the virtual fire occurred together with the experiential resident time.

그리고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는, 다른 예를 들면, 영상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체험자 주변에 다른 체험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체험자의 주변에 다른 체험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른 체험자와 함께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영역 또는 시설 밖으로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대피하도록 하는 협력 이벤트가 발생될 수 있다. 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200 judges whether or not there is another experiential person around the experiential person based on the received image information when the image information is received, A cooperation event may be generated to escap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out of the area or facility where the virtual fire has occurred together with other experience persons.

또한,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험자와 제2 체험자가 이용하는 각각의 체험자 단말(100)을 통해, 각각의 영상정보와 각각의 체험자 정보가 개별적으로 획득된 경우, 각각의 영상정보와 각각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체험자 단말(100) 중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영역에 체류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체험자 단말(100)을 선별하고, 체험자 단말(100)이 선별되면, 특정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와 선별된 체험자 단말(100)로부터 획득된 영상정보 및 실시간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시설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대피 경로정보가 제1 대피경로 및 제2 대피경로와 같이 개별적으로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2, 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acquires the respective image information and each experient information individually through each experiential terminal 100 used by the first experient and the second experient, Based on the respective image information and the respectiv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the experiente terminal 100 judged as being in the virtual fire area of the plurality of experiente terminals 100 is selected, and the experiente terminal 100 The evacuation path information for allowing the user to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specific facility based on the facility information for the specific facility and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real tim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elected experiential terminal 100, And can be generated individually as in the second evacuation route.

영상출력장치(300)는, HMD(Head mounted Display) 또는 VR 글라스와 같이 체험자가 착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체험자 단말(100)과 동기화되면, 체험자의 시점에 따라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영상과 함께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에 의해 생성된 증강현실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The video output apparatus 300 is provided so that an experient can be worn such as an HMD (Head Mounted Display) or a VR glass. When the experiente terminal 100 is synchronized with the experience user terminal 100,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200 may be output.

특히, 영상출력장치(300)는,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가 파노라마 영상이 포함된 증강현실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실제 모습과 파노라마 영상을 통해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영상이 체험자의 시점에 따라 함께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Particularly, when 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delivers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cluding the panorama image, the virtual image is output through the panorama image and the actual appearance of the facility where the experiencing person is staying So that the images can be output together with the viewer's viewpoin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훈련 시스템의 체험자 단말(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xperiential terminal 100 of 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체험자 단말(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영상정보 또는 실시간 위치정보가 포함된 체험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experiential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for acquiring experient information including image information or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for a facility where the experient is staying as described above.

이를 위하여, 본 체험자 단말(100)은, 영상정보 획득부(미도시), 위치정보 획득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저장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한다.The user terminal 100 includes an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not shown),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10, a control unit 120, a communication unit 130, a storage unit 140, and a display unit 150 .

영상정보 획득부(미도시)는 체험자 단말(100)의 카메라로 구현되어,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과 같은 체험자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not shown) may be implemented by a camera of the experience user terminal 100, and may acquire image information by photographing the vicinity of the user, such as a facility where the user is staying.

또한, 영상정보 획득부(미도시)는, 파노라마 카메라로 구현되어, 체류 중인 시설과 같은 체험자 주변을 서로 다른 시점에서 촬영하여, 기설정된 시구간 동안 기설정된 지리적 위치를 기준으로 한 전방, 후방, 상방, 하방, 좌측방 및 우측방 영상들 중 인접한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하는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not shown) is implemented by a panoramic camera.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not shown) captures images of the environment around the user, such as the facility in which the user is staying, at different points in time, It is possible to acquire imag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two adjacent ones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room images.

위치정보 획득부(110)는, 체험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실시간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positional information obtaining unit 110 is provided for obtaining real-time positional information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experiencer.

여기서, 실시간 위치정보는, 현재 시점(time)에서의 체험자의 위치정보를 의미하며, 체험자가 이동하면 위치정보가 갱신될 수 있어, 실시간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Here, the real-time position information mean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xperient at the current time, and when the experient moves, the position information can be updated and real-time posi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제어부(120)는 체험자 단말(10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체험자 단말(100)의 전반적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control unit 120 is provided for controlling the components of the experience user terminal 100 to perform the overall tasks of the experience user terminal 100. [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영상정보 획득부(미도시) 또는 위치정보 획득부(110)를 통해 획득된 체험자 정보들을,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20 may transmit the experienc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not shown) or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10 to 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200.

또한, 특정 영상출력장치(300)와 동기화되도록 하여, 체험자가 자신의 체험자 정보가 반영된 증강현실 정보들을 동기화된 영상출력장치(300)를 통해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ynchronize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with the specific image output device 300 so that the experiencing person can access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reflecting his / her experience information through the synchronized image output device 300.

통신부(130)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이용하여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로 획득된 영상들을 전달하거나, 블루트스, 비콘과 같은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특정 영상출력장치(300)와 동기화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communication unit 130 is provided to transmit the images obtained by 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200 using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or to be synchronized with the specific image output apparatus 300 using a local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or beacon do.

저장부(140)는 체험자 단말(100)의 업무들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storage unit 140 is provided to store applications and data necessary for performing tasks of the experiential terminal 100. [

구체적으로 저장부(140)는,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torage unit 140 may install an application provided by 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200. [

디스플레이부(150)는 체험자 단말(100)이 출력하고자 하는 정보들을 출력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display unit 150 is provided for outputting information to be output by the experiencer terminal 100.

더불어, 체험자 단말(100)은, 전술한 영상정보 획득부, 위치정보 획득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저장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 이외에, 생체정보 획득부(미도시), 입력부(미도시) 및 배터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pos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10, control unit 120, communication unit 130, storage unit 140, and display unit 150, the experiential terminal 100 may acquire biometric information (Not shown), an input unit (not shown), and a battery unit (not shown).

생체정보 획득부(미도시)는, 체험자의 체중, 신장, 체온, 심박수, 호흡수, 혈당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The biometric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acquire biometric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body weight, height, body temperature, heart rate, respiration rate, and blood glucose of the experiencer.

또한, 입력부(미도시)는 수행하고자 하는 업무에 관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마련되며, 배터리부(미도시)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An input unit (not shown) is provided for inputting a command related to a task to be performed, and a battery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for supplying powe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훈련 시스템의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of a fire evacuation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는, 체험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체험자 정보를 기반으로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을 인지하고,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를 획득하여,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연출되도록 하는 증강현실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cognizes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cer is staying based on the experie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xperience user terminal 100, acquires the facility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ced user is staying, Is provided for generating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that divides the self-staying facility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directs the virtual fire to be generated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reas.

이를 위하여, 본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는, 통신부(210), 제어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a control unit 220, and a storage unit 230.

통신부(210)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이용하여, 체험자 단말(100) 및 영상출력장치(300), 그리고 기타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communication unit 210 is provided for communicating with the experiencer terminal 100, the video output apparatus 300, and other external servers using a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구체적으로 통신부(210)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이용하여 체험자 단말(100)로부터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영상정보와 실시간 위치정보를 수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210 receives image information and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cer is staying from the experiencer terminal 100 using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or receives facilities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cer is staying from outside .

또한, 통신부(210)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이용하여 생성된 증강현실 정보가 포함된 영상을 영상출력장치(300)에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10 can transmit the image including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generated using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video output apparatus 300. [

제어부(220)는,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의 전반적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control unit 220 is provided for controlling the components of 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to perform the overall tasks of 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수신된 체험자 정보를 기반으로,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을 인지하고,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이 인지되면, 해당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거나, 저장부(230)에 기저장된 데이터에서 로딩하여 획득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20 recognizes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cer is staying based on the received experience information, and receives the facility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from the outside or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230 ) From the pre-stored data.

여기서, 시설정보는, 시설의 구조에 대한 평면도, 배치도, 입면도 및 단면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건축도면 정보, 시설에 마련된 소화설비에 대한 정보, 그리고 시설의 내부의 벽지, 바닥재, 몰딩, 가구, 조명, 커튼 및 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인테리어 정보가 포함된다.Herein, the facility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onstruction draw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floor plan, the layout plan, the elevation view and the section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facility, information on the fire fighting equipment provided in the facility, And interior information that includes information about lights, curtains, and doors.

한편, 제어부(220)는,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가 획득되면,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연출되도록 하는 증강현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acility information on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t is staying is obtained, the controller 220 divides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t is staying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a virtual fire is generated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reas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to be rendered.

또한, 제어부(220)는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이후, 증강현실 정보가 시간 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갱신되도록 하여, 체험자의 행동에 따라 가상의 화재가 확산되거나 진화되는 상태를 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the virtual fire is generated, the controller 220 may continuously update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with the lapse of time, and may produce a state in which a virtual fire spreads or evolves according to the behavior of the experiencer.

그리고 제어부(220)는, 획득된 체험자 정보를 기반으로 체험자가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영역에 체류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체험자가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영역에 체류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출력장치(300)를 통해 출력되는 증강현실 정보가 포함된 영상에 소정의 시야 제한이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가상의 화재로 인하여 가상의 연기가 발생된 상황을 연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20 determines whether the experient is staying in a region where a virtual fire has occurred based on the obtained experient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xperient is staying in a region where a virtual fire has occurred, It is possible to produce a situation in which a virtual smoke is generated due to a virtual fire by displaying a predetermined visual field limitation on an image including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outputted through the virtual camera 300. [

또한, 제어부(220)는 특정 영역에 가상의 화재가 발생되도록 한 이후, 증강현실 정보가 포함된 영상에 체험자의 체험자 정보를 기반으로,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 특히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영역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대피 경로정보, 화재 상황에 적절한 대응 요령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도록 하고, 체험자가 화재 상황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대피 행동을 수행하는지 평가할 수 있다.After the virtual fire is generated in the specific area, the control unit 220 displays the virtual reality information on the image including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experience information of the experience person, It is possible to include information on the evacuation route to allow escape, and information on appropriate response to the fire situation, and to evaluate whether the evacuee is appropriately responding to the fire situation and performing the evacuation action.

더불어, 제어부(220)는, 체험자 단말(100)로부터 체험자의 생체정보가 수신되면, 획득된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체험자의 화재 대피훈련 중 건강상태를 판단하되, 체험자가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영역에 체류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체험자의 체류 시간을 연산하여, 체험자의 건강상태와 체험자의 체류 시간에 따라 체험자의 대피 행동을 평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experiencer is received from the experiencer terminal 100, the control unit 220 determines the health state of the experient's fire evacuation training based on the obtained biometric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stay time of the experience person and evaluate the evacuation behavior of the experience person according to the health state of the experience person and the stay time of the experience person.

그리고 제어부(220)는, 체험자 단말(100)이 복수로 마련되어, 각각의 체험자 단말(100)을 통해, 각각의 영상정보와 각각의 체험자 정보가 개별적으로 획득된 경우, 각각의 영상정보와 각각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체험자 단말(100) 중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영역에 체류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체험자 단말(100)을 선별하고, 체험자 단말(100)이 선별되면, 특정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와 선별된 체험자 단말(100)로부터 획득된 영상정보 및 실시간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시설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대피 경로정보가 개별적으로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plurality of experiential terminals 100 are provided and the respective image information and the respective experiential information are individually obtained through each experiential terminal 100, The experiential terminal 100 that is judged to be staying in the virtual fire area among the plurality of experiential terminal devices 100 is selected based on the real time loca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experiential terminal 100 is selected, And evacuation path information for allowing the user to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specific facility on the basis of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elected experiential terminal 100 can be separately generated.

한편, 저장부(230)는,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의 업무들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the storage unit 230 is provided for storing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tasks of 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200.

구체적으로 저장부(230)는, 시설의 구조에 대한 평면도, 배치도, 입면도 및 단면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건축도면 정보, 시설에 마련된 소화설비에 대한 정보, 그리고 시설의 내부의 벽지, 바닥재, 몰딩, 가구, 조명, 커튼 및 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인테리어 정보가 포함된 시설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torage unit 230 stores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plan, layout, elevation, and cross-sectional views of the structure of the facility, information on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provided in the facility, , And interior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furniture, lighting, curtains, and door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훈련 시스템의 영상출력장치(3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5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ideo output apparatus 300 of a fire evacuation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출력장치(300)는 체험자 단말(100)과 동기화되면, 체험자의 시점에 따라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영상과 함께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에 의해 생성된 증강현실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image output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ynchronizes with the experience user terminal 100 and displays the image of the facility where the user is staying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the experience person and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200 .

이를 위해, 본 영상출력장치(300)는, 통신부(310), 제어부(320) 및 디스플레이부(330)를 포함한다.The image output apparatus 3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310, a control unit 320, and a display unit 330.

통신부(310)는, 블루트스, 비콘과 같은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특정 체험자 단말(100)과 동기화되거나, 네트워크 통신망을 이용하여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로부터 증강현실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communication unit 310 is provided for receiving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from 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200 by using a local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or beacon, synchronizing with the specific experience user terminal 100, or using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

제어부(320)는, 영상출력장치(30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영상출력장치(300)의 전반적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control unit 320 is provided to control the components of the video output apparatus 300 to perform overall tasks of the video output apparatus 300.

구체적으로 제어부(320)는, 체험자의 시점에 따라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영상과 함께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에 의해 생성된 증강현실 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20 may output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200 together with the image of the facility where the experiencer is staying,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the experiencer.

또한,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가 파노라마 영상이 포함된 증강현실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실제 모습과 파노라마 영상을 통해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영상이 체험자의 시점에 따라 함께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200 delivers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cluding the panorama image, the actual appearance of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cing person is staying and the image in which the virtual fire is generated through the panorama image, Can be output together.

디스플레이부(330)는, 체험자의 시점에 따라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영상과 함께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에 의해 생성된 증강현실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330 may output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200 together with the image of the facility where the experient is staying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the experient.

또한, 디스플레이부(330)는,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가 파노라마 영상이 포함된 증강현실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실제 모습과 파노라마 영상을 통해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영상을 체험자의 시점에 따라 함께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200 delivers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cluding the panorama image, the display unit 330 displays the actual state of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cing person is staying and the virtual fire through the panorama image The image can be output together with the viewer's viewpoint.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화재 대피훈련 방법(이하에서는 '화재 대피훈련 시스템'으로 총칭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흐름도이다.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gmented reality-based fire evacuation training method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fire evacuation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훈련 방법은 증강현실 정보를 기반으로 장소의 제한 없이 다양한 시설에서, 어린이들을 포함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화재 상황을 체험하고, 가상의 화재 상황을 연출하여 대피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The fire evacuation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perform a evacuation drill by experiencing a fire situation to an ordinary person including a child in various facilities without limitation of a place based on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have.

이를 위해, 우선, 체험자 단말(100)이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영상정보와 실시간 위치정보가 포함된 체험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510).For this purpose, the experiencer terminal 100 can acquire the experi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where the experient is staying (S510).

체험자 정보가 획득되면,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는 획득된 체험자 정보를 기반으로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을 인지하고,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가 기저장된 시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20).When the experiencer information is obtained, 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recognizes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t is staying based on the obtained experient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facility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t is staying is present in the database (S520).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가 기저장된 시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경우(S520-Y),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는 기저장된 시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를 로딩하여 획득할 수 있다.If the facility information on the facility where the experient is staying exists in the database of the pre-stored facility (S520-Y), the fire evacuation drill server 200 loads the facility information for the facility in the database for the previously stored facility Can be obtained.

그리고 만약에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가 기저장된 시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S520-N), 외부로부터 해당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를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If the facility information on the facility where the experient is staying does not exist in the database of the previously stored facility (S520-N), the facility information on the facility can be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acquired.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가 획득되면, 화재 대피훈련 서버(200)가, 시설정보가 획득된 시설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되,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결정되어, 결정된 영역에 가상의 화재가 발생되도록 하는 증강현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530).When the facility information on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t is staying is obtained, 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divides the facility in which the facility information is acquired into a plurality of areas, at least one area of the plurality of areas is determined, To generat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S530).

영상출력장치(300)가 체험자 단말(100)과 동기화되면, 영상출력장치(300)에 의해, 생성된 증강현실 정보가 포함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S540). When the video output apparatus 300 is synchronized with the experiencer terminal 100, the video output apparatus 300 can output the video including the generated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S54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특정의 실시예를 위주로 도시하고 설명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lso,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체험자 단말 110 : 위치정보 획득부
120 : 제어부 130 : 통신부
140 : 저장부 150 : 디스플레이부
200 : 화재 대피훈련 서버 210 : 통신부
220 : 제어부 230 : 저장부
300 : 영상출력장치 310 : 통신부
320 : 제어부 330 : 디스플레이부
100: experiencer terminal 110: posi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120: control unit 130:
140: storage unit 150: display unit
200: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10: communication part
220: control unit 230:
300: video output device 310:
320: Control section 330:

Claims (12)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영상정보와 실시간 위치정보가 포함된 체험자 정보가 획득되도록 하는 체험자 단말;
상기 획득된 체험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가 획득되도록 하며, 상기 시설정보가 획득된 시설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되,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결정되어, 상기 결정된 영역에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연출되도록 하는 증강현실 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화재 대피훈련 서버; 및
상기 체험자 단말과 동기화되면, 상기 증강현실 정보가 포함된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영상출력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시설정보는,
상기 시설의 구조에 대한 평면도, 배치도, 입면도 및 단면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건축도면 정보, 상기 시설에 마련된 소화설비에 대한 정보, 그리고 상기 시설의 내부의 벽지, 바닥재, 몰딩, 가구, 조명, 커튼 및 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인테리어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 대피훈련 서버는,
상기 체험자 단말이 복수로 마련되어, 각각의 체험자 단말을 통해, 각각의 영상정보와 각각의 체험자 정보가 개별적으로 획득된 경우, 상기 복수의 체험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체험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를 통해 추출 가능한 인테리어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체험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를 통해 추출 불가능한 인테리어 정보를 상기 복수의 체험자 단말 중 다른 하나의 체험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를 통해 추출 하며,
상기 화재 대피훈련 서버는,
외부로부터 기상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기상정보 또는 상기 건축도면 정보 및 상기 인테리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의 화재의 확산 속도 및 확산 방향이 결정되도록 하며, 상기 가상의 화재의 확산 속도 및 확산 방향이 결정되면, 상기 영상출력장치에 상기 결정된 가상의 화재의 확산 속도 및 확산 방향에 따라 상기 가상의 화재의 실시간 상태가 지속적으로 갱신된 증강현실 정보가 포함된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되, 상기 가상의 화재의 확산 속도 및 확산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체험자가 안전하게 체류 중인 시설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대피 경로정보가 상기 지속적으로 갱신된 증강현실 정보에 포함되도록 하고,
상기 화재 대피훈련 서버는,
상기 각각의 영상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각각의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체험자 주변에 다른 체험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체험자 주변에 다른 체험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협력 이벤트가 발생하여, 다른 체험자와 함께 협력하여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체류 중인 시설의 외부로 탈출하도록 하며,
상기 화재 대피훈련 서버는,
상기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영역에 체류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체험자의 체류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체류 시간이 기설정된 기간을 초과하면, 상기 체류 시간이 초과된 체험자의 대피 행동의 평가에 상기 체류 시간의 초과 여부가 반영되도록 하고,
상기 화재 대피훈련 서버는,
상기 체류 시간이 초과된 체험자가 발생하면, 상기 체류 시간이 초과된 체험자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의 체험자 단말에 상기 체류 시간이 초과된 체험자에 대한 구조 이벤트가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구조 이벤트가 발생한 체험자 단말과 동기화된 영상출력장치에 구조 이벤트에 대한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체류 시간이 초과된 체험자를 구조하여 함께 체류 중인 시설의 외부로 탈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화재 대피훈련 시스템.
An experiential terminal for acquiring experiential information including image information and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for a facility where the experient is staying;
Wherein facility information of a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t is staying is acquired based on the acquired experience information, and the facility where the facility information is acquire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at least one area of the plurality of areas is determined A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for generat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for causing a virtual fire to be generated in the determined area; And
A video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an image including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when being synchronized with the experiential terminal; Lt; / RTI >
The facility information includes:
A floor plan, a floor plan, a floor plan, a floor plan, a floor plan, a plan view, an elevation, and a sectional view of the facility, information on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provided in the facility, And interior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door,
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includes:
Wherein when a plurality of experiential terminals are provided and image information and respective experiential information are individually acquired through each experiential terminal, extraction is performed through video information received from any of the experiential terminals of the plurality of experiential terminals Extracting possible interior information and extracting interior information which can not be extracted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any one of the experiencer terminals through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ther experienter terminals of the plurality of experienter terminals,
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includes:
The diffusion rate and the diffusion direction of the virtual fire are determined based on the weather information, the building drawing information, and the interior information, and the diffusion speed and the diffusion direction of the virtual fire are determined The image output device outputs the image including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 which the real-time state of the virtual fire is continuously updat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iffusion speed of the fire and the diffusion direction, The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for allowing the experient to safely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facility where he or she is staying is included in the continuously updated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peed and the diffusion direction,
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includes:
When each of the image information is receive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re is another experiencer around the experient based on the received image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are other experients around the experient, Cooperate with the experient to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facility staying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includes:
And a controller for measuring a stay time of an experient who is judged to be staying in the area where the virtual fire has occurred and if the residence time exceeds the preset time, To reflect the excess,
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includes:
A rescue event for the experiente whose residence time is exceeded to the experiential terminal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xperiential person whose residence time has been exceeded is generated when the resuscitator experiences the residence time exceeding the residence time, And the image of the structural event is outputted to the video output device synchronized with the augmented reality, so that the experienced person who has exceeded the stay time is rescued and escapes to the outside of the facility staying toge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대피훈련 서버는,
상기 획득된 체험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체험자가 상기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영역에 체류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체험자가 상기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영역에 체류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가상의 화재로 인하여 가상의 연기가 발생되는 상황을 연출하도록, 상기 증강현실 정보가 포함된 영상에 소정의 시야 제한이 표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화재 대피훈련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includes:
And a virtual fire detect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experiencer is staying in the area where the virtual fire occurred, based on the obtained experient information, Wherein a predetermined visual field limitation is expressed in an image including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so as to produce a situation in which a virtual smoke is genera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대피훈련 서버는,
상기 체험자 단말에 임시 아이디를 부가하되, 별도의 패스워드 입력없이 로그인되도록 하고,
상기 임시 아이디로 로그인된 체험자 단말과 동기화된 영상출력장치에 상기 시설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대피 경로정보가 포함된 증강현실 정보가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화재 대피훈련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includes:
A temporary ID is added to the experiential terminal, and the login is made without inputting a separate password,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based o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video output device synchronized with the experiential terminal logged in with the temporary ID so that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cluding the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enabling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facility is transmitted.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대피훈련 서버는,
상기 임시 아이디로 로그인된 체험자 단말을 통해 획득된 실시간 위치정보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갱신되면, 상기 임시 아이디로 로그인된 체험자 단말의 이동 경로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며, 상기 생성된 이동 경로정보와 상기 대피 경로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체험자의 대피 행동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화재 대피훈련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includes:
When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experiential terminal logged in as the temporary ID is updated as time elapses, movement route information of the experiential terminal logged in with the temporary ID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travel route information and the evacuation And evaluating the evacuation behavior of the experiencer by comparing the path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대피훈련 서버는,
상기 체험자 단말이 복수로 마련되어, 각각의 체험자 단말을 통해, 각각의 영상정보와 각각의 체험자 정보가 개별적으로 획득된 경우, 상기 각각의 영상정보와 상기 각각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체험자 단말 중 상기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영역에 체류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체험자 단말을 선별하고,
상기 체험자 단말이 선별되면, 상기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와 상기 선별된 체험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영상정보 및 실시간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시설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대피 경로정보가 개별적으로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화재 대피훈련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includes:
A plurality of experiential terminals are provided, and, when each image information and each experient information are individually acquired through each experiential terminal, the plurality of experiential information is obtained based on the respective image information and the respective real- Selecting an experiential terminal which is judged to be staying in the area where the virtual fire occurred,
When the experiential terminal is selected, escape route information for escaping to the outside of the facility based on the facility information for the facility and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elected experiential terminal are individually generated Augmented reality based fire evacuation training syste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험자 단말은,
상기 체험자 단말과 동기화된 영상출력장치를 통해,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체험자의 체중, 신장, 체온, 심박수, 호흡수, 혈당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가 획득되도록 하고,
상기 화재 대피훈련 서버는,
상기 획득된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체험자의 화재 대피훈련 중 건강상태를 판단하되, 상기 체험자가 상기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영역에 체류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체험자의 체류 시간을 연산하여, 상기 체험자의 건강상태와 상기 연산된 체험자의 체류 시간에 따라 상기 체험자의 대피 행동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화재 대피훈련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experiential terminal,
Wherein at least one of the body weight, height, body temperature, heart rate, respiration rate, and blood glucose of the subject is obtained through the video output device synchronized with the experiential terminal,
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includes:
Determining a health state of the experient's fire evacuation drill based on the obtained biometric information, calculating a residence time of the experienc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xperiencer is staying in the area where the virtual fire occurred, And the evacuation behavior of the user is evaluated according to the health state of the user and the residence time of the user who has been calculat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대피훈련 서버는,
상기 획득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체험자의 주변에 소방 설비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소방 설비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소방 설비에 대한 작동안내정보가 상기 증강현실 정보에 부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화재 대피훈련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fire fighting facility exists in the vicinity of the experiencer based on the obtained image information, and, when determining that the fire fighting facility exists, adding operation guide information on the fire fighting facility to the augmenting reality information Augmented reality based fire evacuation training system.
화재 대피훈련 서버에 의해 외부로부터 기상정보를 획득하고, 체험자 단말에 의해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영상정보와 실시간 위치정보가 포함된 체험자 정보가 획득되는 단계;
상기 화재 대피훈련 서버에 의해, 상기 획득된 체험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가 획득되는 단계;
상기 화재 대피훈련 서버에 의해, 상기 시설정보가 획득된 시설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되,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결정되어, 상기 결정된 영역에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연출되도록 하는 증강현실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
영상출력장치가 상기 체험자 단말과 동기화되면, 상기 영상출력장치에 의해, 상기 증강현실 정보가 포함된 영상이 출력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이 출력되고, 체험자의 대피 행동이 완료되면, 상기 화재 대피훈련 서버에 의해 상기 대피 행동이 완료된 체험자를 평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시설정보는,
상기 시설의 구조에 대한 평면도, 배치도, 입면도 및 단면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건축도면 정보, 상기 시설에 마련된 소화설비에 대한 정보, 그리고 상기 시설의 내부의 벽지, 바닥재, 몰딩, 가구, 조명, 커튼 및 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인테리어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시설정보가 획득되는 단계는,
상기 화재 대피훈련 서버에 의해, 복수로 마련되는 각각의 체험자 단말로부터 각각의 영상정보와 각각의 체험자 정보가 개별적으로 획득되고, 상기 각각의 영상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화재 대피훈련 서버에 의해, 상기 각각의 체험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체험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를 통해 추출 가능한 인테리어 정보가 추출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체험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를 통해 추출 불가능한 인테리어 정보를 상기 각각의 체험자 단말 중 다른 하나의 체험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를 통해 추출되도록 하여 시설정보가 획득되고,
상기 증강현실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는,
상기 화재 대피훈련 서버에 의해, 상기 기상정보 또는 상기 건축도면 정보 및 상기 인테리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의 화재의 확산 속도 및 확산 방향이 결정되며, 상기 가상의 화재의 확산 속도 및 확산 방향이 결정되면, 상기 화재 대피훈련 서버가 상기 영상출력장치에 상기 결정된 가상의 화재의 확산 속도 및 확산 방향에 따라 상기 가상의 화재의 실시간 상태가 지속적으로 갱신된 증강현실 정보가 포함된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되, 상기 가상의 화재의 확산 속도 및 확산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체험자가 안전하게 체류 중인 시설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대피 경로정보가 포함되는 증강현실 정보가 생성되며,
상기 증강현실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는,
상기 화재 대피훈련 서버에 의해, 상기 수신된 각각의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체험자 주변에 다른 체험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되고, 체험자 주변에 다른 체험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른 체험자와 함께 협력하여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체류 중인 시설의 외부로 탈출하도록 하는 협력 이벤트가 발생 되도록 하는 증강현실 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영상이 출력되는 단계는,
상기 화재 대피훈련 서버에 의해, 상기 체류 시간이 초과된 체험자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체류 시간이 초과된 체험자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의 체험자 단말과 동기화된 영상출력장치에 상기 체류 시간이 초과된 체험자를 구조하여 함께 체류 중인 시설의 외부로 탈출하도록 하는 구조 이벤트가 발생하여, 상기 구조 이벤트에 대한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체험자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화재 대피훈련 서버에 의해, 대피 행동 중에 상기 가상의 화재가 발생된 영역에 체류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체험자의 체류 시간이 측정되어, 상기 체류 시간이 기설정된 기간을 초과하면, 상기 체류 시간이 초과된 체험자의 대피 행동의 평가에 상기 체류 시간의 초과 여부가 반영되도록 하여 체험자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화재 대피훈련 방법.
Acquiring weather information from outside by a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acquiring experient information including image information and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a facility where the experient is staying by the experient terminal;
The facility information on the facility where the experient is staying is obtained by 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based on the obtained experience information;
Wherein the facility where the facility information is obtaine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by 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and at least one area of the plurality of areas is determined so that a virtual fire is generated in the determined area Generat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Outputting an image including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by the video output apparatus when the video output apparatus is synchronized with the experiential terminal; And
Evaluating the user who has completed the evacuation action by 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when the image is output and the evacuation behavior of the experient is completed; Lt; / RTI >
The facility information includes:
A floor plan, a floor plan, a floor plan, a floor plan, a floor plan, a plan view, an elevation, and a sectional view of the facility, information on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provided in the facility, And interior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door,
Wherein the facility information is acquired,
Wherein 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acquires image information and respective experience information from each of a plurality of experiential terminals individually and acquires each image information, Extracting interior information extractable through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any one of the experiencer terminals, extracting interior information that can not be extracted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any one of the experiencer terminals, Facility information is obtained by being extracted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one experiential terminal,
The step of generating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comprises:
The diffusion speed and the diffusion direction of the virtual fire are determined by 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on the basis of the weather information, the building drawing information, and the interior information, and when the diffusion speed and the diffusion direction of the virtual fire are determined 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outputs to the image output apparatus an image includ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 which a real time state of the virtual fire is continuously updated according to the diffusion speed and diffusion direction of the determined virtual fire,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cluding the evacuation path information for allowing the experience to safely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facility where the user is staying is gene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diffusion speed and the diffusion direction of the virtual fire,
The step of generating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comprises:
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judges whether there is another experiential person around the experiential person based on each of the received image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other experiential person around the experiential perso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s generated that causes a cooperation event to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facility that is staying within the time,
Wherein the step of outputting the image comprises:
If it is determined by the fire evacuation training server that the resident time has exceeded the residence time, the image output apparatus synchronized with the experience user who has exceeded the residence time and the experiential terminal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 structure event is generated in which the experiencer is rescued and escapes to the outside of the facility that is staying together, so that an image for the structure event is output,
Evaluating the experiencer comprises:
The residence time of an experient who is judged to be staying in the area where the virtual fire has occurred during the evacuation action is measured by the fire escape training server and if the residence time exceeds the preset time period, Wherein the experience is assessed by reflecting an excess of the stay time in an evaluation of the evacuation behavior of the experient, and evaluating the experiencer.
KR1020170035058A 2017-03-21 2017-03-21 System for fire drill base on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8227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058A KR101822789B1 (en) 2017-03-21 2017-03-21 System for fire drill base on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058A KR101822789B1 (en) 2017-03-21 2017-03-21 System for fire drill base on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2789B1 true KR101822789B1 (en) 2018-03-08

Family

ID=61726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058A KR101822789B1 (en) 2017-03-21 2017-03-21 System for fire drill base on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789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054A (en) * 2018-03-27 2019-10-08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a fire drill in living space of user
CN111612671A (en) * 2020-04-27 2020-09-01 深圳市城市公共安全技术研究院有限公司 Emergency drilling system
KR20200120491A (en) * 2019-04-11 2020-10-21 주식회사 스탠스 Fire training system
KR102228175B1 (en) * 2020-07-22 2021-03-16 (주)메가플랜 Emergency route guidance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KR102236879B1 (en) * 2019-11-21 2021-04-06 (주)에이트원 System of virtual training for industrial safety and method thereof
KR102349293B1 (en) * 2021-11-09 2022-01-11 대한민국 Method and system for evacuation route guidance of occupants using augmented reality of mobile devices
KR102531913B1 (en) * 2022-11-29 2023-05-12 주식회사 인포인 Digital twin IoT wireless fire control system
US11995736B2 (en) 2021-11-09 2024-05-28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or evacuation route guidance of occupants using augmented reality of mobile devic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668B1 (en) * 2014-11-25 2015-10-28 권일 Experiential safety training method and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based on g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668B1 (en) * 2014-11-25 2015-10-28 권일 Experiential safety training method and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based on game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054A (en) * 2018-03-27 2019-10-08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a fire drill in living space of user
KR102071427B1 (en) * 2018-03-27 2020-01-30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a fire drill in living space of user
KR20200120491A (en) * 2019-04-11 2020-10-21 주식회사 스탠스 Fire training system
KR102296927B1 (en) * 2019-04-11 2021-09-01 주식회사 스탠스 Fire training system
KR102236879B1 (en) * 2019-11-21 2021-04-06 (주)에이트원 System of virtual training for industrial safety and method thereof
CN111612671A (en) * 2020-04-27 2020-09-01 深圳市城市公共安全技术研究院有限公司 Emergency drilling system
CN111612671B (en) * 2020-04-27 2023-11-07 深圳市城市公共安全技术研究院有限公司 Emergency drilling system
KR102228175B1 (en) * 2020-07-22 2021-03-16 (주)메가플랜 Emergency route guidance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WO2022019392A1 (en) * 2020-07-22 2022-01-27 (주)메가플랜 Emergency path guid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102349293B1 (en) * 2021-11-09 2022-01-11 대한민국 Method and system for evacuation route guidance of occupants using augmented reality of mobile devices
US11995736B2 (en) 2021-11-09 2024-05-28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or evacuation route guidance of occupants using augmented reality of mobile devices
KR102531913B1 (en) * 2022-11-29 2023-05-12 주식회사 인포인 Digital twin IoT wireless fire control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789B1 (en) System for fire drill base on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
JP6550497B2 (en) Position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US20170176190A1 (en) Devices and methods to facilitate escape from a venue with a sudden hazard
KR101895569B1 (en) Smart evacuation guide system and method using virtual reality and context awareness algorithm
KR102019438B1 (en) Escaping direc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JP7434498B2 (en) disaster prevention system
KR101671981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position of co-operated firemen by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displaying a position of co-operated firefighter, and fire hat for performing the method
JP6242839B2 (en) Support system
JP6372851B2 (en) Evacuation support equipment
CN111612672A (en) Emergency drilling system
KR101513896B1 (en)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sensing emergency situation and system for managing thereof
JP2016133938A (en) Monitoring system
TWI755834B (en) Visual image location system
KR101845657B1 (en) System for earthquake drill base on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
CN111640277A (en) Fire condition display system
CN111612671B (en) Emergency drilling system
JP2017004084A (en) Support system
US2023038501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TW201514940A (en) Intelligent disaster prevention and guiding device and rescue system
KR101560635B1 (en) Special purpose helmet and method of displaying objects
CN110344711B (en) Fireproof door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KR101786225B1 (en) Method of save a life and Rescuing device of save a life for fire using beacon
WO2016135447A1 (en)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JP6051496B1 (en) Program, terminal device and fire alarm system
KR102648467B1 (en) Sense-based training space system for advanced fire fighting trai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