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484B1 - 패킹의 탈부착이 쉬운 밀폐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패킹의 탈부착이 쉬운 밀폐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484B1
KR101822484B1 KR1020160131753A KR20160131753A KR101822484B1 KR 101822484 B1 KR101822484 B1 KR 101822484B1 KR 1020160131753 A KR1020160131753 A KR 1020160131753A KR 20160131753 A KR20160131753 A KR 20160131753A KR 101822484 B1 KR101822484 B1 KR 101822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packing
lid
groove
groo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효
Original Assignee
이동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효 filed Critical 이동효
Priority to KR1020160131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4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6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channel embracing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킹의 탈부착이 쉬운 밀폐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밀폐용기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뚜껑에 끼워지는 고무재질의 패킹의 탈부착이 쉽도록 구성하여, 깨끗하게 세척이 가능하고,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한, 밀폐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패킹의 탈부착이 쉬운 밀폐용기 뚜껑{AIRTIGHT VESSEL'S CAP HAVING EASILY STICKING AND REMOVAL OF PACKING}
본 발명은 패킹의 탈부착이 쉬운 밀폐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밀폐용기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뚜껑에 끼워지는 고무재질의 패킹의 탈부착이 쉽도록 구성하여, 깨끗하게 세척이 가능하고,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한, 밀폐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밀폐용기는, 밀폐력을 증가시켜 내부와 외부의 공기 흐름을 차단하여, 내부에 담긴 물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고, 부패를 최대한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밀폐용기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으로 구분되는데, 함체는 플라스틱에서 환경호르몬이 나오지 않는 유리, 자기 또는 스텐 등을 사용하고, 형태 역시 다양하게 변하고 있다. 그리고 뚜껑은 위와 같은 함체와의 밀폐를 위한 결합을 위해 잠금요소를 구비하고, 탄력성이 중요하여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것을 사용한다.
이때 밀폐용기의 밀폐력을 위해서는, 뚜껑에 고무재질의 패킹이 끼워지는데, 이와 같이 뚜껑에 패킹이 끼워진 상태에서, 함체가 뚜껑과 결합되면서 접촉되는 부분이 상기 패킹을 가압시켜 밀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위와 같은 패킹의 끼움은, 뚜껑의 테두리 영역에 패킹 끼움 전용 홈이 형성되고 여기에 패킹이 끼워지도록 하는데, 밀폐용기는 보통 세척을 많이 하고, 사용빈도가 높기 때문에 사실상 세척 후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패킹이 끼워진 뚜껑의 영역은 세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뿐더러, 유입된 물의 배출이 쉽지 않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해, 상기 패킹이 끼워진 뚜껑의 영역에는 이물질이 존재할 우려가 크고, 이물질까지는 아니어도 세척 및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세균이 번식하기 쉽다. 또한 곰팡이가 피어 있는 경우도 자주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뚜껑으로부터 패킹의 탈부착이 쉽도록 한다면, 위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여, 본 발명을 안출하기에 이르렀다.
한편, 관련된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319191호에는 패킹의 탈착이 용이한 밀폐용기 뚜껑이 기재되어 있다.
위에 기재된 기술은, 절첩되어지는 락 요소에 의하여 함체를 밀폐토록 하는 밀폐용기에 사용되는 밀폐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밀폐를 위한 패킹이 뚜껑에 장착된 상태에서 훼손되지 않으면서도 탈착이 용이하여 패킹이 장착되는 부위에서 발생되는 비 위생적인 부분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패킹의 탈착이 용이하며 뚜껑의 패킹이 장착되는 부위의 청결한 세척이 가능하게 되면서도 밀폐가 가능토록 하고,
뚜껑을 상면과 잠금요소가 구비되는 테두리를 각각 분리토록 한 후 탈착가능토록 하고 결합시에는 패킹의 결합을 위한 장착홈이 형성되다가 분리토록 하면 장착홈이 제거토록 함으로서 패킹의 분리는 물론 장착홈의 세척이 용이토록 하며,
또한, 상면을 환경호르몬이 나오지 않는 재질로 사용함으로서 밀폐가 용이하면서도 완전한 위생상태를 구현가능토록 한 패킹의 탈착이 용이한 밀폐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특히, 위 기술의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을 참조하면, '용기함체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패킹이 장착되는 뚜껑은 테두리체와 상기 테두리체와 가압에 의하여 탈착되는 상면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테두리체와 상면체가 결합된 상태에서 패킹이 장착되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용기함체의 개구된 상단을 막아주는 상면을 갖는 상면체와 테두리체가 결합될 경우에 상면체에는 상면체가 테두리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내측으로 하향 돌출되게 돌출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테두리의 연장되는 외측으로는 상면체가 테두리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패킹이 장착될 공간확보를 위하여 일정한 폭의 후렌지가 형성되며, 상기 상면체의 후렌지의 외측테두리는 테두리체의 외벽과 긴밀하게 밀착되어 끼워지고, 상기 테두리체의 외벽의 내측으로는 상면체의 상면을 지지하게 일정폭으로 형성되는 받침테로 이루어지고, 상기 테두리체의 받침테에는 돌출테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상면체의 상면으로는 일정깊이의 요입테를 형성하여 상기 요입테에 상면체의 후렌지가 테두리체의 받침테에 받침되어질 경우에 돌출테와 요입테가 맞물림 결합되면서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위에 기재된 기술은, 패킹의 탈착을 위해서 뚜껑의 구성을 테두리체와 상면체로 구분하고 있다. 즉, 목적 달성을 위해 보통의 뚜껑의 구조를 변화시킨 것이다.
일반적인 밀폐용기의 뚜껑은 테두리 영역이 뚜껑과 일체 결합된 것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뚜껑과 테두리를 별도 구조로 분리시켜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기술의 제조를 위해 요구되는 비용도 증가되고, 제조과정 자체도 복잡해진다. 그리고 상기 기술이 적용되려면 종래의 통상적으로 이용되던 밀폐용기 뚜껑의 공법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19191호(2013.10.18.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용기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뚜껑에 끼워지는 고무재질의 패킹의 탈부착이 쉽도록 구성하여, 깨끗하게 세척이 가능하고,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한, 패킹의 탈부착이 쉬운 밀폐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패킹의 탈부착이 쉬운 밀폐용기 뚜껑은, 고무재질의 패킹(20)이 끼워지는 밀폐용기 뚜껑(10)에 있어서, 상기 뚜껑(10)의 상면 일측에는, 그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는 홈부(11)가 복수 개 형성되되, 상기 홈부(11)는 상측홈부(11a) 및 하측홈부(11b)를 포함하고, 상기 홈부(11)에는 마개(12)가 끼워지되, 상기 마개(12)는 상측마개(12a) 및 하측마개(12b)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홈부(11a)의 내면에는 마개(12)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속돌기(13)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마개(12a)의 일측에는 상기 단속돌기(13)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함몰된 단속홈(14)이 형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측홈부(11a)는 홈부(11)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측홈부(11b)는 상기 상측홈부(11a)의 하부측에 구성되며, 상기 하측홈부(11b)는 상기 상측홈부(11a) 보다 크게 구성되어, 홈부(11)의 형태가 '凸'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때 상기 마개(12)는, (a)상측마개(12a)가 눌려짐으로 인해 상기 하측마개(12b)로 패킹(20)을 눌러주고, (b)상기 단속돌기(13) 및 단속홈(14)을 통해 (b-1)상하 이동되며, (b-2)패킹(20)이 탈착된 이후 홈부(11)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마개(12)는, 일예로서 상기 홈부(11)의 '凸' 형태에 대응되는, "凸"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마개(12)는, 상기 상측마개(12a)는 'ㅁ'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하측마개(12b)는 패킹(20) 방향으로 집중된 화살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의 경우, 하측홈부(11b)의 일단에는 상기 마개(12)의 이탈을 완전히 방지하는 제2 단속돌기(15)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킹의 탈부착이 쉬운 밀폐용기 뚜껑에 의하면, 통상의 밀폐용기의 뚜껑에 부착되는 고무재질의 패킹을 손쉽게 제거(탈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패킹은 물론, 패킹이 끼워져있던 뚜껑 내부를 세척할 수 있어서 위생을 도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의 효과를 도출하도록 구성함에도 불구하고, 각 구성들의 유기적인 결합으로 부품 분실의 우려가 없고, 나아가 밀폐용기의 본래 목적인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킹의 탈부착이 쉬운 밀폐용기 뚜껑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킹의 탈부착이 쉬운 밀폐용기 뚜껑의 측면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킹의 탈부착이 쉬운 밀폐용기 뚜껑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킹의 탈부착이 쉬운 밀폐용기 뚜껑에서 홈부가 구성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패킹의 탈부착이 쉬운 밀폐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밀폐용기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뚜껑에 끼워지는 고무재질의 패킹의 탈부착이 쉽도록 구성하여, 깨끗하게 세척이 가능하고,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한, 밀폐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을, 도면을 통해 아래에서 서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킹의 탈부착이 쉬운 밀폐용기 뚜껑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패킹의 탈부착이 쉬운 밀폐용기 뚜껑은, 고무재질의 패킹(20)이 끼워지는 밀폐용기 뚜껑(10)으로 구성되되, 뚜껑(10)의 상면 일측에 복수 개의 홈부(11)가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킹의 탈부착이 쉬운 밀폐용기 뚜껑의 측면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a) 및 (b)는 패킹(20)이 뚜껑(10)에 끼워지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고, (c)는 뚜껑(10)에 홈부(11)와 마개(12)가 구성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따르면, 홈부(11), 마개(12), 단속돌기(13), 단속홈(14) 및 제2 단속돌기(15)가 뚜껑(10)에 포함된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킹의 탈부착이 쉬운 밀폐용기 뚜껑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홈부(11)는 뚜껑(1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는 구성으로, '凸'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홈부(11)의 좁은 상부측은 상측홈부(11a)로 지칭하고, 넓은 하부측은 하측홈부(11b)로 지칭한다.
마개(12)는 홈부(11)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마찬가지로 좁은 상부측과 넓은 하부측을 포함하는 '凸' 형태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좁은 상부측을 상측마개(12a)로 지칭하고, 넓은 하부측을 하측마개(12b)로 지칭한다.
단속돌기(13)는 상측홈부(11a)의 내면에 마개(12) 방향으로 돌출된다.
단속홈(14)은 상측마개(12a)의 일측에, 상기 단속돌기(13)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함몰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단속돌기(13)와 단속홈(14)의 구성에 의해 상기 마개(12)가 홈부(11)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소지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젓가락 등의 물품으로 마개(12)를 눌러주면, 마개(12)가 하부방향으로 눌리면서 이의 하측에 위치한 패킹(20)을 눌러주어 상기 패킹(20)이 뚜껑(10)으로부터 일부분 이탈되면 손으로 잡아댕겨 뺄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패킹(20)은 뚜껑(10)으로부터 잘 이탈되지 않았기 때문에 세척이 어려워 곰팡이 등의 위생적인 문제가 있었는데,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도 3 참조).
이때, 패킹(20)이 탈착되고 나면, 마개(12)는 지지해주던 패킹(20)이 사라지기 때문에 이탈되기 쉽고, 이로 인해 별도로 보관해야하지만, 이는 매우 번거로운 일이며, 잃어버리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술된 단속돌기(13) 및 단속홈(14)을 마련하여 마개(12)가 홈부(1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또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는 마개(12)를 상부에서 세게 밀어내어 단속홈(14)이 단속돌기(13)를 강제 이탈하도록 하여 마개(12)를 홈부(11)로부터 이탈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마개(12)를 다시 홈부(11) 방향으로 밀어올려 마개(12)의 부착이 가능할 수도 있다. 이때 마개(12)의 재부착은, 하측홈부(11b)에서 밀어 올리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마개(12)는 패킹(20)의 누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형태적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도 2 및 도 3에 따른 마개(12)는 하측마개(12b)의 형태가 "ㅁ"자 형태이었지만,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도 4와 같이 하측마개(12b)의 하단부가 패킹(20) 방향으로 집중되는 화살표 방향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패킹(20)의 누름이 더 쉬워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의 (b) 및 (d)와 같이, 하측마개(12b)와 하측홈부(11b)의 이격공간에는 제2 패킹(도면부호 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홈부(11)와 마개(12) 구성에 의해 저하될 수 있는 밀폐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도 4의 (d)에 따르면 제2 단속돌기(1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는 하측홈부(11b)의 일단에 구성되는 것으로, 마개(12)가 홈부(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는 하측마개(12b)의 구성이 화살표 방향인 경우 적용 가능하며, 이때에는 마개(12)의 강제 이탈은 불가능하다.
다만, 마개(12)의 분실우려를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킹의 탈부착이 쉬운 밀폐용기 뚜껑에서 홈부가 구성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4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 : 뚜껑
11 : 홈부
11a : 상측홈부
11b : 하측홈부
12 : 마개
12a : 상측마개
12b : 하측마개
13 : 단속돌기
14 : 단속홈
15 : 제2 단속돌기
20 : 패킹

Claims (8)

  1. 고무재질의 패킹(20)이 끼워지는 밀폐용기 뚜껑(10)에 있어서,
    상기 뚜껑(10)의 상면 일측에는, 그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는 홈부(11)가 복수 개 형성되되, 상기 홈부(11)는 상측홈부(11a) 및 하측홈부(11b)를 포함하고,
    상기 홈부(11)에는 마개(12)가 끼워지되, 상기 마개(12)는 상측마개(12a) 및 하측마개(12b)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홈부(11a)의 내면에는 마개(12)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속돌기(13)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마개(12a)의 일측에는 상기 단속돌기(13)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함몰된 단속홈(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의 탈부착이 쉬운 밀폐용기 뚜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홈부(11a)는 홈부(11)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측홈부(11b)는 상기 상측홈부(11a)의 하부측에 구성되며,
    상기 하측홈부(11b)는 상기 상측홈부(11a) 보다 크게 구성되어, 홈부(11)의 형태가 '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의 탈부착이 쉬운 밀폐용기 뚜껑.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개(12)는,
    상기 상측마개(12a)가 눌려짐으로 인해 상기 하측마개(12b)로 패킹(20)을 눌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의 탈부착이 쉬운 밀폐용기 뚜껑.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마개(12)는,
    상기 단속돌기(13) 및 단속홈(14)을 통해 (a)상하 이동되며, (b)패킹(20)이 탈착된 이후 홈부(11)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의 탈부착이 쉬운 밀폐용기 뚜껑.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개(12)는,
    상기 홈부(11)의 '凸' 형태에 대응되는, "凸"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의 탈부착이 쉬운 밀폐용기 뚜껑.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개(12)는,
    상기 상측마개(12a)는 'ㅁ'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하측마개(12b)는 패킹(20) 방향으로 집중된 화살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의 탈부착이 쉬운 밀폐용기 뚜껑.
  8. 청구항 7에 있어서,
    하측홈부(11b)의 일단에는 상기 마개(12)의 이탈을 완전히 방지하는 제2 단속돌기(15)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의 탈부착이 쉬운 밀폐용기 뚜껑.
KR1020160131753A 2016-10-12 2016-10-12 패킹의 탈부착이 쉬운 밀폐용기 뚜껑 KR101822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753A KR101822484B1 (ko) 2016-10-12 2016-10-12 패킹의 탈부착이 쉬운 밀폐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753A KR101822484B1 (ko) 2016-10-12 2016-10-12 패킹의 탈부착이 쉬운 밀폐용기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2484B1 true KR101822484B1 (ko) 2018-03-08

Family

ID=61725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753A KR101822484B1 (ko) 2016-10-12 2016-10-12 패킹의 탈부착이 쉬운 밀폐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48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37865A (zh) * 2011-06-23 2012-12-26 林焕章 密封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37865A (zh) * 2011-06-23 2012-12-26 林焕章 密封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191B1 (ko) 패킹의 탈착이 용이한 밀폐용기 뚜껑
KR200448655Y1 (ko)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JP6189871B2 (ja) 真空容器用ゴム封止材及びこれを用いた真空容器蓋
KR101388092B1 (ko) 진공용기용 체크밸브와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US9723939B2 (en) Valve for a sippy cup and sippy cup including the same
KR20210041771A (ko) 내부 가스 배출이 용이한 컵뚜껑
KR20120114701A (ko) 가압기준면을 갖는 액체용기
KR101822484B1 (ko) 패킹의 탈부착이 쉬운 밀폐용기 뚜껑
KR101431386B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1524412B1 (ko) 진공과 밀폐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된 밀폐용기
KR200441528Y1 (ko) 밀폐 용기 뚜껑
KR20060116628A (ko) 개폐가 용이한 식품용 밀폐용기
KR101844352B1 (ko) 밀폐용기에 사용되는 잠금수단을 갖는 스텐뚜껑
KR20180004595A (ko) 진공밀폐 용기
KR101669228B1 (ko) 밀폐부재를 이용한 밀폐용기
KR101820201B1 (ko) 감염성 폐기물용 밀폐용기
KR100599579B1 (ko) 밀폐 용기 뚜껑
KR20160040056A (ko) 용기뚜껑에 진공을 유도하는 진공수단이 구비된 밀폐용기
KR101491420B1 (ko)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 뚜껑
KR102072494B1 (ko) 밀봉용기
KR102242655B1 (ko) 진공성능이 우수한 진공쌀통용 실리콘 가스켓 실링구조
KR101854571B1 (ko) 세척이 용이한 밀폐용기
KR101597903B1 (ko) 밀폐용기 누름판
KR20180001860U (ko) 밀폐용기용 뚜껑
KR101480290B1 (ko) 펌핑에 의한 진공을 유도하는 쳇크밸브가 구비된 밀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