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199B1 - 디지털 수신기 및 디지털 수신기에서의 실시간 시청률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수신기 및 디지털 수신기에서의 실시간 시청률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199B1
KR101821199B1 KR1020110043399A KR20110043399A KR101821199B1 KR 101821199 B1 KR101821199 B1 KR 101821199B1 KR 1020110043399 A KR1020110043399 A KR 1020110043399A KR 20110043399 A KR20110043399 A KR 20110043399A KR 101821199 B1 KR101821199 B1 KR 101821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udience rating
digital receiver
sign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5766A (ko
Inventor
심석진
박태진
서주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3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199B1/ko
Priority to CN201510640092.4A priority patent/CN105245921B/zh
Priority to CN201180051881.4A priority patent/CN103210654B/zh
Priority to PCT/KR2011/009842 priority patent/WO2012099339A2/en
Priority to EP11856432.7A priority patent/EP2666301A4/en
Priority to US13/341,535 priority patent/US9300996B2/en
Publication of KR20120125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7Processing of monitored end-user data, e.g. trend analysis based on the log file of viewer sel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수신기에서 이용 가능한 채널들의 시청률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채널 선택 과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수신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수신기가 시청률 알림 모드로 설정되었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시청률 정보 수집에 대한 설정 사항을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수신기가 시청률 정보 수집 대상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디지털 수신기의 채널 시청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시청률 정보를 포함하는 제4 신호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시청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수신기 및 디지털 수신기에서의 실시간 시청률 제공 방법{A digital receiver and a method of providing real-time rating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수신기 및 상기 디지털 수신기의 동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용 가능한 채널들에 대한 시청률 정보를 수집, 생성 및 제공하는 디지털 수신기 및 디지털 수신기에서의 실시간 시청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방송 환경은 전 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급격한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디지털 방송이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최근에는 종래 지상파, 위성, 케이블과 같은 매체 이외에 각 가정에 연결된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 CoD(Contents on Demand)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IPTV 방송 서비스도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디지털 수신기에서 시청중인 채널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채널 선택의 편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사용자의 채널 선택 편의를 위해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의 시청률 정보 제공 방법의 일 예는, 시청률 알림 모드로 설정 정보를 포함한 제1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시청률 정보 수집에 대한 설정 사항이 포함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수신기가 시청률 정보 수집 대상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디지털 수신기의 채널 시청 정보를 포함한 제3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시청률 정보가 포함된 제4 신호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시스템의 시청률 정보 수집 방법의 일 예는, 디지털 수신기에서 시청률 알림 모드 설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제1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디지털 수신기를 채널 시청 정보 수집대상으로 포함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포함한 제2 신호를 상기 디지털 수신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수신기에서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시청률 정보 수집 대상으로 설정된 경우, 채널 시청 정보를 포함한 제3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3 신호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시청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디지털 수신기로 상기 생성된 시청률 정보를 포함한 제4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시청률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일 예는,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채널 시청 정보를 생성하는 채널 히스토리부; 시청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시청률 알림 모드 설정 정보를 포함한 제1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시청률 정보 수집에 대한 설정 사항이 포함된 제2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시청률 정보 수집 대상으로 설정된 경우, 채널 시청 정보를 포함한 제3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시청률 정보가 포함된 제4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각의 디지털 수신기에서 표본조사를 수행하여 시청률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방송 서비스 제공자는 신뢰성 있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방송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방송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사용자는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는 채널 및 각 채널의 시청률 변동 추이를 파악할 수 있어 채널 선택의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시청률 제공과 관련하여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를 포함한 방송 시스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수신기의 일 예에 대한 상세 구성블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의 다른 예에 대한 상세 구성블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내부 구성요소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의 원격제어장치들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청률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청률 제공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청률 정보 제공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도 9의 표본 수집 여부 검토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
도 11은 도 9의 채널 시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
도 12는 도 9의 시청률 정보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청률 정보 제공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청률 정보 전송 포맷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청정보 전송 알림 메시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청률 순위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청률 알림 메시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시청률 정보가 표시된 EPG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상세 시청률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지털 수신기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디지털 수신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더욱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 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Operating System)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디지털 수신기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수신기에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등을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후술하는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를 포함한 방송 시스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를 포함한 방송 시스템의 일 예는,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 CP)(10),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 SP)(20), 네트워크 제공자(Network Provider; NP)(30) 및 HNED(Customer)(40)를 포함한다. 여기서, HNED(40)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100)를 포함하고, 이러한 클라이언트(1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TV, 스마트 TV, IPTV 등 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10)는, 각종 컨텐츠를 제작하여 제공한다. 컨텐츠 제공자(10)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지상파 방송 송출자(terrestrial broadcaster), 케이블 방송 사업자(cable SO(System Operator) 또는 MSO(Multiple System Operator), 위성 방송 송출자(satellite broadcaster), 다양한 인터넷 방송 송출자(Internet broadcaster), 개인 컨텐츠 제공자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자(10)는, 방송 컨텐츠 외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추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서비스 제공자(20)는, 컨텐츠 제공자(10)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서비스 패키지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서비스 제공자(20)는, 제1 지상파 방송, 제2 지상파 방송, 케이블 MSO, 위성 방송, 다양한 인터넷 방송, 애플리케이션 등을 패키지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자(20)는, 유니캐스트(uni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100) 측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유니캐스트 방식은 하나의 송신자와 하나의 수신자 사이에 데이터를 1:1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유니캐스트 방식의 경우 수신기에서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면, 서버는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멀티캐스트 방식은 특정한 그룹의 다수의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서버는 데이터를 미리 등록된 다수의 수신기에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캐스트 등록을 위해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프로토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컨텐츠 제공자(10)와 서비스 제공자(10)는 동일한 개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자(10)가 컨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서비스 패키지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20)의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네트워크 제공자(30)는, 서버와 클라이언트(100)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네트워크 망을 제공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100)는,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End User; HNED)를 구축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시스템 내 서버는 전송되는 컨텐츠의 보호를 위해 제한 수신(Conditional Access) 또는 컨텐츠 보호(Content Protection) 등의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100)측에서는 전송측의 제한 수신이나 컨텐츠 보호에 대응하여 이와 관련된 처리를 위해 케이블카드(CableCARD), DCAS(Downloadable Conditional Access System)와 같은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100)도 네트워크 망을 통해, 양방향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오히려 클라이언트(100)가 컨텐츠 제공자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기존 서비스 제공자(20)는 이를 수신하여 다시 다른 클라이언트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수신기의 일 예에 대한 상세 구성블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100)의 일 예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구비하면서 튜너(110)와 복조부(1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을 튜닝하여 RF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튜너(110)는, 수신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수신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로 튜닝 및 수신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한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예컨대,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례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복조부(120)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디지털 수신기는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를 각각 별개로 구비할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영상을,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음성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지털 수신기(100)에 다양한 외부장치가 인터페이싱되도록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제어부(170)는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지털 수신기(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수신기(1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다양한 셋톱-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톱-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디지털 수신기(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수신기(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지털 수신기(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다양한 플랫폼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수신기(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110),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지털 수신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튜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지털 수신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지털 수신기(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츠는, 디지털 수신기(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채널 히스토리부(1701), 및 시청률 정보 분석부(170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채널 히스토리부(1701)는, 디지털 수신기(100)의 채널 시청 정보를 저장하고, 제어부(170)는, 디지털 수신기(100)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되는 소정 신호에 따라 시청률 알림 모드로 설정되면, 시청률 알림 모드로 설정되었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신호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시청률 정보 획득 및 생성을 위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시청률 정보 수집에 대한 설정 사항을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수신기가 시청률 정보 수집 대상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디지털 수신기의 채널 시청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시청률 정보를 포함하는 제4 신호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시청률 정보 분석부(1702)는, 상기 시청률 정보가 포함된 제4 신호를 분석한다. 즉, 시청률 정보에 포함된 방송국 정보, 채널 정보, 프로그램 정보, 시청률 변동 추이 정보 등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시청률 정보 분석부(1702)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수신기에서 이용 가능한 채널에 대한 시청률 정보만을 필터링(filtering)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시청률 정보 분석부(1702)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시청률 변동이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시청률 변동이 검색되는 경우에만 상기 시청률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8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시청률 변동이 검색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80)의 소정 영역에 시청률 변동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알림 메시지에 관하여는 이하 도 17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에 상기 시청률 정보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EPG에 관하여는 이하 도 18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시청률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장르(genre)의 프로그램만을 포함하는 시청률 순위 목록, 특정 방송국의 프로그램만을 포함하는 시청률 순위 목록, 특정 지역의 프로그램 시청률 순위만을 포함하는 시청률 순위 목록, 및 특정 시간대에 방영되는 프로그램만을 포함하는 시청률 순위 목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채널 시청 정보 수집 주기 및 채널 시청 정보 전송 주기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주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수신기의 채널 시청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채널 시청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신호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디지털 수신기(100)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들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내용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디지털 수신기(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디지털 수신기(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를 구비하는 액정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 동작 가능한 인버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디지털 수신기(100)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수신기(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위한 블록도로서,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지털 수신기(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화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디지털 수신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디지털 수신기(100)는, 장치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일례이다,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다른 예로는, 도 2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80)와 오디오 출력부(185)가 제외된 셋톱-박스,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기기,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이 중 셋톱-박스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3 및 4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의 다른 예에 대한 상세 구성블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우선, 도 3에 대하여 설명하면, 셋톱-박스(250)와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셋톱-박스(25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55), 저장부(258), 신호 처리부(26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63), 및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55)는,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55)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기기와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저장부(258)는, 신호 처리부(26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58)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55)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신호 처리부(260)는, 입력되는 신호의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26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역다중화 또는 복호화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호 처리부(260)는 영상 디코더 또는/및 음성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260)는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 또는/및 음성 신호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63)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신호 처리부(260)로 전달하거나, 신호 처리부(260)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63)는 로컬키(미도시) 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 온/오프, 동작 입력, 설정 입력 등의 다양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 처리부(26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는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는 디스플레이 장치(300)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는 그 외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셋톱-박스(250)는, 별도의 미디어(media) 재생을 위한 미디어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미디어 입력부로는, 블루레이 입력부(미도시)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즉, 셋톱-박스(250)는, 블루레이 플레이어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입력되는 블루레이 디스크 등의 미디어는 신호 처리부(260)에서의 역다중화 또는 복호화 등의 신호 처리 이후, 그 표시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튜너(27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73), 복조부(275), 저장부(278), 제어부(28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83), 디스플레이부(290) 및 오디오 출력부(295)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270), 복조부(275), 저장부(278), 제어부(28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83), 디스플레이부(290), 및 오디오 출력부(295)는, 상술한 도 4에서 기술한 튜너(110), 복조부(120), 저장부(140), 제어부(17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부(185)에 대응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을 참조하고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73)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는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73)는 셋톱-박스(250)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셋톱-박스(25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는 제어부(170)를 거쳐,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된다.
한편, 도 4에 대하여 설명하면, 셋톱-박스(250)와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도 3에 도시된 셋톱-박스(250)와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동일하나, 튜너(270) 및 복조부(275)의 위치가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아닌 셋톱-박스(250)에 구비되는 것이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내용은 전술한 내용을 참조하고 상이한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신호 처리부(260)는, 튜너(270) 및 복조부(275)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63)는, 채널 선택, 채널 저장 등에 관한 입력을 수신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내부 구성요소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 및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70)의 일 예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On-Screen Display) 생성부(340), 믹서(mixer)(3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5), 및 포맷터(formatter)(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상기 제어부(170)는 음성 처리부(미도시)와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MPEG-2 TS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역다중화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를 복호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된 영상 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을 지원할 수 있다.예를 들어, 영상 디코더(325)는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는 MPEG-2 디코더의 기능을 수행하고,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H.264 규격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는 H.264 디코더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된 영상 신호는, 믹서(350)로 입력된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 각종 데이터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되는 OSD 데이터는, 디지털 수신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시청률 정보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OSD 생성부(340)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믹서(350)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데이터와 영상 처리부(22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를 믹싱하여 포맷터(360)로 제공한다. 복호된 영상 신호와 OSD 데이터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가 오버레이(overlay)되어 표시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는 입력되는 60Hz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디스플레이부(180)의 출력 주파수에 따라 예를 들어, 120Hz 또는 24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지도록 변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는 프레임 레이트를 60Hz에서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3 프레임을 삽입함으로써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는 프레임 레이트를 60Hz에서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기존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프레임 또는 예측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여 변환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프레임 변환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를 바이패스할 수도 있다.
포맷터(360)는,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의 출력을 디스플레이부(180)의 출력 포맷에 맞게 변경한다. 예를 들어, 포맷터(360)는 R, G, 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 G, 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포맷터(360)는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의 출력이 3D 영상 신호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출력 포맷에 맞게 3D 형태로 구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3D 서비스를 지원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오디오 포맷을 처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 예로, 음성 신호가 MPEG-2, MPEG-4, AAC, HE-AAC, AC-3, BSAC 등의 포맷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도 이에 대응되는 디코더를 구비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경우에도 이를 복호할 수 있다. 여기서,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로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시각, 종료시각 등의 방송 정보가 포함된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제어부(170)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로서,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다른 구성이 추가되거나 도시된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의 원격제어장치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수신기(100)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UID; User Interface Device)가 원격제어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의 통신 수단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다양한 통신 규격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통상적인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200) 이외에 매직 리모트 콘트롤러(400), 키보드와 터치패드가 구비된 리모트 콘트롤러(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직 리모트 콘트롤러(400)는, 리모트 콘트롤러 내부에 자이로 센서(Gyro Sensor)를 탑재하여 손의 떨림이나 회전을 인식할 수 있다. 즉, 매직 리모트 콘트롤러(400)는 사용자의 상하좌우 움직임에 따라 포인터를 이동시켜 원하는 동작 예를 들어, 채널이나 메뉴를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키보드와 터치패드를 구비한 리모트 콘트롤러(300)는, 키보드를 통하여 텍스트의 입력을 용이하게 하고, 터치패드를 통하여 포인터의 이동 및 사진이나 동영상의 확대, 축소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청률 정보를 제공받기 위하여, 사용자는 특정 메뉴 항목 선택 등의 다양한 동작을 상술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통하여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청률 정보 제공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청률 정보 제공 시스템의 일 예는, 소정 서비스에 가입된 디지털 수신기(10)와 시청률 정보 집계 서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시청률 정보 집계 서버(20)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하여 운영되는 서버와 임의의 시청률 조사기관에 의하여 운영되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시청률 정보 집계 서버(20)는, 각 디지털 수신기(10)의 시청률 정보를 계속하여 수집하면, 특정한 순간 데이터 전송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서버의 데이터 처리량을 상회하게 됨으로써 서버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즉, 시청률 정보 집계 서버(20)는, 시청률 정보 데이터(30)를 획득하는 중 특정한 순간(9분 20초)에 서비스에 가입된 디지털 수신기들의 시청 채널이 일시에 변경되면, 수집되는 시청률 정보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서버의 손상으로 이후부터 정확한 시청률 정보를 생성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시청률 정보는 표본 디지털 수신기의 수가 많을수록 신뢰도는 향상되나, 많은 수의 표본 디지털 수신기로부터 획득되는 시청률 정보 데이터로 인해 서버의 손상 가능성도 있어 적절한 해결책이 요구된다.
관련하여, 디지털 수신기에서 다양한 채널 및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 또는 프로그램을 검색 및 선택하여 이용하기 어렵다. 즉, 시청률 조사가 극히 일부의 디지털 수신기의 시청 정보만을 조사하여 이루어지므로 시청률 정보가 부정확한 문제점이 있었고, 컨텐츠 제공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는, 현재 방송 서비스 가입자들이 어떤 채널을 시청 중인지, 또한 어떤 채널의 시청률이 급변하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사용자는 어떠한 채널이 가장 시청자들에게 인기있는 채널인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디지털 수신기에서 이용 가능한 다양한 채널 또는 프로그램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이용하기 위하여, 디지털 수신기에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인기 채널 및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정확하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수신기의 제공이 절실히 필요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청률 제공 시스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청률 제공 시스템의 다른 예는, 소정 서비스 범위 내에 포함된 디지털 수신기(100), 중계기(200), 시청률 정보 수집 서버(300) 및 시청률 집계 데이터베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서비스라 함은, 방송 서비스, 시청률 정보 제공 서비스 등 임의의 디지털 수신기(100)가 포함될 수 있는 서비스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시청률 정보 수집 서버(300)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하여 운영 및 관리되는 서버와, 별도의 시청률 정보 제공자에 의하여 운영 및 관리되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시청률 제공 시스템은, 실시 예에 따라 소정 서비스 범위 내에 포함된 디지털 수신기 중 일부만을 시청률 정보 획득 과정에서 이용하여 서버의 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시청률 제공 시스템은 기 설정된 서버의 적정 데이터 처리량에 따라서, 상기 적정 데이터 처리량이 초과되지 않는 범위에서 시청률 데이터가 수집되도록 시청률 정보 획득에 이용되는 디지털 수신기의 개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10에서 후술한다.
시청률 정보 획득 대상이 되는 디지털 수신기는, 임의의 중계기(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즉, 디지털 수신기는 중계기(200)를 통해 시청률 정보 수집 서버(300)와 시청률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중계기(200)는, 디지털 수신기(100)들로부터 유입되는 데이터의 전송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중계기(200)는 동일한 서비스 범위 내의 소정의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된 디지털 수신기들에 관하여 시청률 수집 범위에 포함된 디지털 수신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만을 시청률 정보 수집 서버(300)로 전송함으로써, 데이터량의 과도한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시청률 수집 범위는, 시청률 정보 수집 서버(3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중계기(200)는, 실시 예에 따라 시청률 정보 수집 서버(300)의 내부 구성 모듈일 수 있다.
지역 또는 서비스에 따라 복수의 시청률 정보 수집 서버(300)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청률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중계기(200) 및 복수의 시청률 정보 수집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중계기 및 각 시청률 정보 수집 서버로 데이터를 분산함으로써 데이터 폭증에 따른 서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시청률 집계 데이터베이스(400)는, 각 시청률 정보 수집 서버(300)로부터 시청률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00)는, 모든 서버와 이시 또는 동시에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각 디지털 수신기(100)에서 시청되는 모든 프로그램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시청률 정보 수집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하여 실시간 시청률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시청률 정보를 디지털 수신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청률 정보 제공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수신기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소정의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시청률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정된 대상의 시청자로부터 시청률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에는 그 정확도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정확한 시청률 정보를 획득하고, 제공할 수 있다.
서버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하여 운영 및 관리되는 서버와 별도의 시청률 정보 제공자에 의하여 운영 및 관리되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수신기는, 시청률 알림 설정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S101).
일 예로, 사용자로부터 특정 키 입력 신호 또는 특정 메뉴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디지털 수신기는 시청률 알림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소정 영역에, 시청률 알림 모드로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알림 메시지에 관하여는 이하 도 16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른 예로, 디지털 수신기는, 기본(default) 모드로써 시청률 알림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디지털 수신기는 사용자의 별도 입력이 없어도 시청률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시청률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수신기는, 시청률 설정 모드로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설정 신호를 서버로 전송한다(S102).
디지털 수신기는, 유/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소정의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을 인터넷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수신기는, 디지털 수신기의 아이디 정보,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설정 알림 신호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수신기는, 서버의 채널 시청 정보 수집 대상에 포함되도록 요청하는 가입 요청 신호를 설정 신호에 포함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알림 신호를 전송한 디지털 수신기를 채널 시청 정보 수집을 위한 표본 수집 대상으로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검토한다(S103).
서버는 데이터 과부하 방지를 위하여 시청률 알림 모드로 설정된 모든 디지털 수신기로부터 시청률 정보를 획득하지 않고, 소정의 디지털 수신기만을 표본 수집 대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 도 10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서버는 S103 단계 검토 결과를 각 디지털 수신기로 전송하고(S104), 각 디지털 수신기는 상기 검토 결과를 수신한다(S105).
서버는 검토 결과 전송을 통해 이후 특정 디지털 수신기의 경우 채널 시청 정보를 상기 서버에게 계속하여 전송하거나 전송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지털 수신기는, 수신된 검토 결과로부터 시청률 정보 수집 표본 대상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식별한다(S106).
디지털 수신기는 일 예로, 채널 시청 정보 수집 대상으로 결정되었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 주기 위하여 소정의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지털 수신기는 별도의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추후 시청률 정보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지털 수신기는 시청률 정보 수집 대상으로 식별된 경우에는 채널 시청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채널 시청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로 전송한다(S107). 상기 채널 시청 정보는, 시청 프로그램, 시청 채널, 시청 시간 등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널 시청 정보로 시청자의 인적 사항과 관련된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서버는, 서버의 데이터 부하를 분산 시키기 위해 채널 시청 정보 수집 대상에 포함된 각각의 디지털 수신기의 채널 시청 정보 수집 주기 및 수집된 정보의 전송 주기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주기 설정에 관하여는 이하 도 11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서비스 제공자는 디지털 수신기로부터 전송받은 시청률을 집계한다(S108).
일 예로, 서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채널 시청 정보 저장용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다른 서버와 공유함으로써, 더욱 신뢰성 있는 시청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데이터베이스는, 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시간 시청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는 생성된 시청률 정보를 디지털 수신기로 전송하고(S109), 디지털 수신기는 시청률 정보를 수신한다(S110).
디지털 수신기는 수신된 시청률 정보에 기초하여 OSD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 써 사용자에게 시청률 정보를 제공한다(S111).
일 예로, OSD는 디지털 수신기의 전체 화면 또는 화면 일부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시청률 정보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시청률 정보를 전달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이하 도 15 내지 17을 참조한다.
다른 예로, 디지털 수신기는, 수신된 시청률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디지털 수신기에서 접근 가능하거나 현재 또는 관련 채널에 대한 시청률 정보만을 필터링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수신기는, 기 설정된 임계치를 상회하는 시청률 변동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시청률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시청률 정보 디스플레이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하여는, 이하 도 12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관련 채널이라 함은 예를 들어, 현재 디지털 수신기에서 튜닝한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의 장르나 시청 등급, 시리즈물, 재전송 또는 재방송 등을 제공하는 채널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그 밖에 디지털 수신기는 수신된 시청률 정보를 화면상에 출력함과 동시에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여 함께 출력하거나 독자적으로 오디오 데이터만을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0은 도 9의 표본 수집 여부 검토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실시 예에 따라, 소정의 서버는, 서비스 범위 내에 포함된 모든 디지털 수신기로부터 채널 시청 정보를 수집하지 않고, 소정의 디지털 수신기로부터만 채널 시청 정보를 수신하여 서버의 데이터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서버는 디지털 수신기로부터 시청률 알림 모드 설정 신호가 수신되면(S1031), 큐 사이즈에 대한 정보를 로드(load)한다(S1032).
여기서, 시청률 알림 모드 설정 신호는 예를 들어, 디지털 수신기의 서비스 가입 정보, 식별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큐 사이즈 정보는, 서버에서 동시에 수집 및 저장 가능한 디지털 수신기들의 채널 시청 정보의 큐(queu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큐(queue)는 컴퓨터의 기본적인 자료 구조의 한 가지로, 먼저 입력된 데이터가 먼저 추출되는 FIFO(First In First Out) 구조로 저장하는 형식을 의미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채널 시청 정보가 서버에서 큐(queue) 형태로 저장되는 예시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채널 시청 정보는 큐(queue) 형태가 아닌 스택(stack), 테이블(table), 맵(map) 등 다양한 데이터 저장 형식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서버는 서버의 최대 허용 큐 사이즈의 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각 디지털 수신기의 채널 시청 정보 표본 조사 대상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큐 사이즈 정보를 로드할 수 있다.
서버는 큐 사이즈의 최대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검토한다(S1033).
서버는 로드된 큐 사이즈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큐의 사이즈가 최대치를 넘는 경우에는 해당 디지털 수신기를 채널 시청 정보 표본 수집 대상에서 제외하고, 그렇지 않으면 해당 디지털 수신기를 채널 시청 정보 표본 수집 대상으로 결정한다. 상기에서, 서버는 현재 큐 사이즈가 최대치를 넘은 경우에는, 이후 소정 시간 또는 소정 횟수 동안 수신된 모든 디지털 수신기의 시청률 알림 모드 설정 신호를 수신하지 않거나 수신하더라도 상기 모든 디지털 수신기를 채널 시청 정보 표본 수집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서버는 검토 결과, 해당 디지털 수신기를 채널 시청 정보 표본 수집 대상에 포함하는 경우, 허용(OK) 신호를 생성한다(S1035). 반면에, 서버는 검토 결과, 해당 디지털 수신기를 채널 시청 정보 표본 수집 대상에서 제외한 경우에는, 제외(deny) 신호를 생성한다(S1034).
서버는 생성된 신호를 각 해당 디지털 수신기로 전송(S104)하여 디지털 수신기에서 상기 생성된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서버는 주기적으로 큐 사이즈에 관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1041).
서버는 예를 들어, 채널 시청 정보 표본 수집 대상으로 설정된 디지털 수신기의 전원이 오프(off)되는 등으로 동작이 중지되면, 이를 반영하여 큐 사이즈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추후 채널 시청 정보 수집 대상 판단시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1은 도 9의 채널 시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디지털 수신기는, 서버로부터 시청률 정보 획득을 위한 표본 조사 대상으로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검토 결과 신호를 수신하면, 검토 결과 신호에 포함된 사항에 기초하여 채널 시청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디지털 수신기는, 서버에서 시청률 정보 요청에 대한 대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한다(S1071).
서버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디지털 수신기를 시청률 정보의 수십 대상에 포함시킬 것인지 여부에 대한 검토 결과와, 시청률 수집 대상으로 판단된 디지털 수신기에서 시청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설정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수신기는,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어떠한 설정 사항들이 포함되어 있는지 식별할 수 있다.
디지털 수신기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특정 형식으로 인코딩되었으면 대응되는 디코딩 동작을 수행한 후 해당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디지털 수신기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신호에 포함된 정보들을 분류할 수 있다.
디지털 수신기는, 분석된 데이터를 통하여 수집 주기 및 전송 주기를 파악한다(S1072).
일 예로, 디지털 수신기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설정 사항에 따라, 특정 주기 단위로 채널 변동 정보를 수집하고, 특정 주기 단위로 수집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과도한 데이터의 로드(load)로 인한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청률 정보 표본 수집 대상으로 설정된 각 디지털 수신기의 시청률 정보 수집 주기와 시청률 정보 전송 주기를 각각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수많은 디지털 수신기로부터 동시에 시청률 정보가 전송되어 과도한 데이터가 로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서버는 소정 서비스 범위 내에 포함되어 시청률 정보 수집 대상으로 설정된 디지털 수신기들에 있어서, 제1 디지털 수신기의 시청률 정보 수집 주기 및 시청률 정보 전송 주기는 5분으로, 제2 디지털 수신기의 시청률 정보 수집주기 및 시청률 정보 전송 주기는 7분으로 설정함으로써, 교차적으로 데이터가 수신되도록 할 수 있다.
서버는 상술한 바와 같은 설정 사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디지털 수신기를 시청률 정보 수집 대상에 포함시킬 것인지 여부에 대한 검토 결과와 함께 디지털 수신기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수신기는, 상기 파악된 수집 주기 및 전송 주기에 기초하여, 디지털 수신기의 채널 시청 정보를 획득한다(S1073).
따라서, 디지털 수신기는, S1072 단계에서 수집 주기 및 전송 주기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면, 획득된 정보에 따라 채널 시청 정보를 수집 및 서버로 전송한다(S1074). 이를 통해, 서버는 각 디지털 수신기의 시청률 정보 수집 및 생성을 위한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도 12는 도 9의 시청률 정보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수신기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시청률 정보를 분석한다(S1111).
디지털 수신기는, 서버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어떠한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디지털 수신기는, 수신된 데이터에 시청률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시청률 정보에 포함된 실시간 시청률 정보, 시청률 변동 추이 정보, 채널 속성 정보, 프로그램 썸네일 정보 등을 각각 분류할 수 있다.
디지털 수신기는, 채널 정보를 필터링할 수 있다(S1112).
디지털 수신기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시청률 정보에 다양한 채널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률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나, 해당 디지털 수신기에서 이용 가능한 채널이 제한적인 경우, 상기 수신된 시청률 정보로부터 해당 디지털 수신기에서 이용 가능한 채널들에 대한 시청률 정보만을 추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시청률 정보 생성을 위한 서버는 모든 채널에 대한 시청률 정보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디지털 수신기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해당 디지털 수신기에서 이용 가능한 채널에 대한 정보만을 필터링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에서 각 디지털 수신기에 맞춤형으로 해당 디지털 수신기에서 이용 가능한 채널에 대한 시청률 정보만을 포함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디지털 수신기에서는 채널 정보 필터링 단계(S1112)를 생략할 수 있다.
디지털 수신기는, 시청률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 변동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13).
일 예로, 디지털 수신기는 시청률 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시청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기 설정된 임계치를 상회하는 시청률 변동이 검색되는 경우에만 시청률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에서, 임계치는 디지털 수신기의 제조시에 미리 설정된 값이거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임의의 채널의 시청률이 10% 이상 증가하는 경우에만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디지털 수신기는 판단 결과, 임계치 이상의 변동이 있는 경우, OSD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OSD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S1114).
시청률 변동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알림 메시지에 관하여는, 이하 도 17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반면에, 임계치 이상의 시청률 변동이 검색되지 않는 경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시청률 정보를 계속하여 획득함과 동시에 기 획득한 시청률 정보는 저장하지 않고 무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 채널의 시청률이 급등하는 경우에 알림 메시지를 통하여 시청률 변화를 인지할 수 있고, 바로 채널 전환하여 해당 채널의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청률 정보 제공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수신기는, 현재 이용 중인 채널의 정보를 시청률 정보 생성을 위한 소정의 서버로 전송함이 없이, 시청률 정보만을 획득할 수 있다.
디지털 수신기는 사용자가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하여 현재 이용 중인 채널에 대한 정보 전송을 제한하고자 하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세스를 통하여 시청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디지털 수신기는, 시청률 정보 요청 신호를 서버로 전송한다(S201).
일 예로, 사용자로부터 특정 키 입력 신호 또는 특정 메뉴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디지털 수신기는 시청률 알림 모드로 설정되고, 서버로 시청률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수신기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소정 영역에 시청률 알림 모드로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지털 수신기는, 기본 모드로 시청률 알림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디지털 수신기는 사용자 등의 별도의 입력이 없어도 시청률 정보 요청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시청률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정의 디지털 수신기들의 시청률 정보를 검색한다(S202).
서버는, 소정의 서비스 범위 내에 포함된 디지털 수신기들의 시청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시청 채널 정보는 이하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수신기는 상기 시청률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관련 정보를 로드(load)할 수 있다.
서버는 시청률 정보를 생성한다(S203).
일 예로, 서버는 시청률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사항을 분석하여, 디지털 수신기가 특정 구간 또는 특정 범위 내의 시청률 정보를 원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그에 따른 시청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2011년 3월 15일의 시청률 정보를 원하는 경우, 해당일의 시청률 정보만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가 'MBS' 채널의 시청률 정보를 원하는 경우, 상기 특정 방송 채널의 시청률 변동 정보만을 검색하여 생성할 수 있다.
서버는 시청률 정보를 디지털 수신기로 전송하고(S204), 디지털 수신기는 상기 시청률 정보를 수신한다(S205).
일 예로,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생성된 시청률 정보를 디지털 수신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데이터 전송 속도 및 정보 보호를 위하여 특정 형태로 압축된 형식으로 상기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전송할 수 있고, 디지털 수신기는 상기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압축된 형식에 따라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디지털 수신기는 OSD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206).
디지털 수신기는, 기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에 따라 시청률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지털 수신기는 시청률 알림 메시지만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시청률 변동 추이까지 포함된 상세 시청률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수신기는, 서버에서 전송된 시청률 정보에 포함된 채널들 중 어떤 채널이 현재 디지털 수신기에서 이용 가능한 채널인지 검색할 수 있고, 검색 결과에 따라 해당 디지털 수신기에서 이용 가능한 채널들만의 시청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OSD 데이터를 생성하고 출력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청률 정보 전송 포맷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소정의 서비스 범위 내에 포함된 디지털 수신기(100)는, 시청률 정보 생성을 위한 데이터를 소정의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청률 정보는 생성된 정보의 분류를 위하여 특정 포맷으로 생성될 수 있다.
특정 포맷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DVB 서비스에 따른 포맷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럽 지역에서 통용되는, 신호의 부호 및 압축을 MPEG-2를 기본으로 하는,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 포맷을 이용하는 경우 'dvb://233a.2f.1'과 같은 형태로 디지털 수신기(100)에서 이용 가능한 채널의 목록(101)을 구성하고, 이용 가능한 채널 목록 중 현재 디지털 수신기(100)에서 이용 중인 채널(102)이 어떠한 채널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소정의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버로 전송되는 정보는, 3-id 정보 및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3-id 정보는, 기본 네트워크 ID(original network id), 트랜스포트 스트림 ID(transport stream ID), 서비스 ID(service ID)를 포함하는 정보로써, 이를 통하여 서버는 각 디지털 수신기를 식별할 수 있고, 어떤 디지털 수신기에서 어떤 채널이 이용 가능한지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정보는 방송 정보 테이블(SDT: Service Description Table), 이벤트 정보 테이블(EIT: Event Information Table)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정보 테이블은 서비스 이름(service name)과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벤트 정보 테이블은 이벤트 이름(event name), 이벤트 시간(예를 들어, 시작 시각, 종료 시각 또는 듀레이션(duration))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수신기(100)는 다양한 포맷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함으로써, 시청률 정보 생성 및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수신기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에 따른 포맷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서버(200)는 각 디지털 수신기(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통하여 채널 시청 목록(201)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널 시청 목록(201)에 포함된 항목 중 특정 항목(202)이 서비스 범위 내의 어떠한 디지털 수신기에서 이용 가능한 채널인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200)는, 소정의 서비스 범위 내에 포함된 디지털 수신기(100)들로부터 이용 가능한 채널, 시청 중인 채널 등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전송받은 정보들을 통하여 시청률 정보 획득을 위한 목록(201)을 생성함으로써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한 시청률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디지털 수신기(100)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청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청정보 전송 알림 메시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수신기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소정의 컨텐츠(1301)를 디스플레이 중 소정 주기 동안 수집된 사용자의 채널 시청 정보를 시청률 정보 생성을 위한 서버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전송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130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알림 메시지(1302)는, 일 예로 사용자에 의하여 알림 기능이 설정된 경우에만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현재 디지털 수신기를 통하여 시청 중인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최소화되어 디스플레이되거나 반투명한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알림 메시지(1302)를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채널 시청 정보가 소정의 서버로 전송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고,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하여 상기 정보 전송을 중단하고자 하는 경우, 시청률 정보 제공을 제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청률 순위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수신기는, 서버에서 시청률 정보를 전송받고, 이에 기초하여, OSD 메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청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수신기는, 소정의 컨텐츠(1401)가 디스플레이되는 중 사용자로부터 특정 키 입력 신호 또는 특정 메뉴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시청률 정보 제공 메뉴(140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시청률 정보 제공 메뉴(1402)는, 각 방송 채널의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률 순위 정보 및 각 프로그램의 시청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수신기는, 프로그램의 시청률에 따라 가장 시청률이 높은 프로그램 순으로 소정의 프로그램의 시청률 정보만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시청률 정보 제공 메뉴(1402)를 통하여 현재 가장 시청률이 높은 상위 5개의 프로그램은 무한도전(1403), X-PORTS(1406), MUSIC(1404), 슈퍼스타(1407) 그리고 경제쇼(1405)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시청률 정보 제공 메뉴(1402)에 포함된 정보들을 통하여 무한도전(1403)이 MBC 방송국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이며, 현재 시청률이 35%임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기 방송국 명칭은 방송국 로고(logo)로 대체될 수 있으며, 상기 시청률(35%)는 숫자 정보가 아닌 그래프 정보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시청률 정보 제공 메뉴(1402)에 포함된 프로그램에 관하여 현재 디지털 수신기에서 이용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디지털 수신기에서 이용 가능한 프로그램(1403,1404,1405)과, 현재 디지털 수신기에서 이용 가능하지 않은 프로그램(1406,1407)을 구별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어떤 프로그램이 현재 디지털 수신기에서 이용 가능한 프로그램인지 인식할 수 있다.
프로그램의 이용 가능 여부는, 사용자가 이용 중인 방송 서비스의 종류, 상기 프로그램의 시청 가능 연령 또는 상기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청률 알림 메시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수신기는, 소정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중 시청률 정보가 소정의 서버로부터 전송되고, 상기 전송된 시청률 정보에 포함된 시청률의 변동 정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상회하는 경우, 상기 시청률의 변동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11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1101)는, 방송국 명, 점유율, 프로그램 명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임계치는 디지털 수신기의 제조 시에 설정되거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는, 알림 메시지(1101)는 시청률의 변동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상회하지 않더라도, 일정 시간 주기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예를 들어, 매시 정각에 시청률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수신기는 알림 메시지(1101)와 함께 또는 별도로 알림 아이콘(1102)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알림 아이콘(1102)은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화살표 형태로 디스플레이되거나 시청률이 상승한 프로그램의 썸네일 화면을 포함한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 메시지(1101) 또는/및 알림 아이콘(1102)은, 현재 디지털 수신기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반투명한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특정 핫 키(hot key) 입력 신호가 수신되거나, 커서(cursor)를 통한 알림 메시지(1101) 또는 알림 아이콘(1102)의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디지털 수신기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청률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수신기는 상기 알림 메시지(1101)에 표시된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디지털 수신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환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디지털 수신기를 통하여 다른 컨텐츠를 이용 중인 경우에도 시청률 변동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시청률이 상승한 프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을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시청률 정보가 표시된 EPG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수신기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1201)에 시청률 정보(1202)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EPG는, 방송 신호의 빈 주파수대나 부가 채널을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시간과 내용, 출연자 정보 등을 보내 주는 방송 프로그램 안내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EPG는 전자 프로그램 안내로서, 수신된 EPG 데이터는 셋톱박스나 디지털 수신기 내의 기억 장치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시청자는 소정의 신호 입력을 통해 EPG를 조작하여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예약하며, 페이퍼뷰 방식(pay per view) 프로그램 주문, 주제 또는 종별 프로그램 검색, 비디오 녹화 등을 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EPG에 실시간 채널별 시청률(1202)에 대한 정보이 포함되었다. 도 18에서, 시청률 정보(1202)는 숫자로 표시가 되었으나, 숫자 이외에 현재 각 채널의 시청률 정보를 더욱 간편하고 이해하기 쉽도록 그래프, 색상 등 다양한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수신기는 별도의 제어 동작 없어도 EPG 제공 시 시청률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채널 선택 편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단순 EPG 만이 아닌 새로운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디지털 수신기에 대한 이용 편의 및 관심을 높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수신기는 EPG 상에 시간대별로 시청률이 가장 높은 채널 또는 컨텐츠에 대해서는 깜빡이거나 색상을 달리하거나 별도의 인디케이터(indicator)를 제공할 수도 있고, 시청률이 가장 높은 채널 이외에도 미리 정해진 바에 따라 시청률 순으로 색상이나 인디케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상세 시청률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수신기는, 단순히 실시간 시청률 또는 시청률 순위에 대한 정보만을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더욱 상세한 정보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수신기는, 시청률 변동 추이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수신기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키 입력 신호 또는 특정 메뉴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화면(1300)에 시청률 상세 정보창(130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시청률 상세 정보창(1301)은, 디지털 수신기에서 이용 가능한 각 방송 채널(1302)의 시간대별(1303) 시청률 변동 추이(130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 채널의 시청률 변동 추이 예를 들어, 특정 채널의 시청률이 특정 시간에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다른 시간에 급격히 감소하였는지 등을 더욱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되진 않았으나 예를 들어, 제공되는 시청률 변동 추이에 대한 정보는 현재 시각을 기점으로 소정 시점까지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현재 시각의 각 채널의 시청률 정보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19의 시청률 상세 정보 창에서 수직 바 형태 또는/및 아래 시간 정보를 깜빡이게 하는 등으로 다른 시간대에 비해 더욱 쉽게 인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15시경에 'MBS' 채널의 시청률이 급격히 감소하였고, 'QBS' 채널의 시청률은 급격히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수신기는 사용자가 소정의 포인터(1305) 등을 통하여, 시청률 변동 추이(1304)의 특정 부분을 선택하는 경우, 프로그램 정보(1306) 또는/및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관련 정보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선택 동작은, 사용자로부터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동작 또는 단순히 포인터(1305)를 시청률 변동 추이(1304)의 특정 부분에 접촉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공된 시청률 상세 정보창을 통하여 15시경에 'QBS' 채널의 시청률이 급등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입장에서 15시경에 ‘QBS’ 채널의 시청률 급등 이유가 궁금한 경우, 포인터(1305)를 시청률 변동추이(1304)의 특정 부분에 접촉시킴으로써, 프로그램 정보(1306)를 통하여, 상기 시청률 급등의 이유가 'TONIGHT SHOW'가 방송됨에 따른 것이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다양한 시청률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디지털 수신기의 이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19의 시청률 상세 정보창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부분이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여기서, 만약 정보창이 확대된 경우에는 확대된 부분에 포함된 채널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 구체적인 시청률 정보, 시청률 순위, 상기 프로그램 정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축소된 경우에는 상기 확대시 제공되었던 관련 정보들은 사라지고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대한 시청률 변동 추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 밖에 디지털 수신기는 이미지 정보와 함께 또는 별도로 상기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수신기에서 만약 3D 서비스를 제공 가능하다면, 도 16 내지 19에 도시된 시청률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3D UI로 구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더욱 유발시킬 수도 있으며, 이는 디지털 수신기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수신기는, 도 16 내지 19에서 제공되는 각 시청률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채널 또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컨텐츠로 화면 또는 채널 전환을 하거나 PIP(Picture In Picture)나 POP(Picture Of Picture) 형식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지털 수신기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도 16 내지 19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외에 텍스트 형식의 시청률 순위 정보를 화면의 특정 영역에 데이터 방송 서비스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디지털 수신기의 동작방법은 디지털 수신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멀티미디어 장치 105: 방송 수신부
110: 튜너 120: 복조부
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3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140: 저장부 15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
170: 제어부 180: 디스플레이부
185: 오디오 출력부 190: 전원 공급부
200: 원격 제어장치

Claims (19)

  1. 시청률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수신기에 있어서,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채널 시청 정보를 생성하는 채널 히스토리부;
    시청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시청률 알림 모드로 설정된 경우, 시청률 알림 모드 설정 정보를 포함한 제1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시청률 정보 수집에 대한 설정 사항이 포함된 제2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시청률 정보 수집 대상으로 설정된 경우, 채널 시청 정보를 포함한 제3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시청률 정보가 포함된 제4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된 제3 신호로 인한 큐 사이즈가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초과된 이후 소정 시간 또는 소정 횟수 동안 상기 제3 신호를 수신하지 않거나 수신된 상기 제3 신호의 채널 시청 정보를 상기 제4 신호의 생성에 필요한 채널 시청 정보의 표본 수집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률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수신기는,
    상기 시청률 정보가 포함된 제4 신호를 분석하는 시청률 정보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신호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수신기에서 이용 가능한 채널에 대한 시청률 정보만을 필터링(filtering)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시청률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수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수신기는,
    상기 시청률 정보가 포함된 제4 신호를 분석하는 시청률 정보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신호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시청률 변동이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시청률 변동이 검색되는 경우에만 상기 시청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시청률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수신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소정 영역에 시청률 변동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시청률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수신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에 상기 시청률 정보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시청률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수신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청률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장르(genre)의 프로그램만을 포함하는 시청률 순위 목록, 특정 방송국의 프로그램만을 포함하는 시청률 순위 목록, 특정 지역의 프로그램 시청률 순위만을 포함하는 시청률 순위 목록, 및 특정 시간대에 방영되는 프로그램만을 포함하는 시청률 순위 목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시청률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수신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채널 시청 정보 수집 주기 및 채널 시청 정보 전송 주기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주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수신기의 채널 시청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채널 시청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시청률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수신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10043399A 2011-01-20 2011-05-09 디지털 수신기 및 디지털 수신기에서의 실시간 시청률 제공 방법 KR101821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399A KR101821199B1 (ko) 2011-05-09 2011-05-09 디지털 수신기 및 디지털 수신기에서의 실시간 시청률 제공 방법
CN201510640092.4A CN105245921B (zh) 2011-01-20 2011-12-20 数字接收机及其提供实时收视率的方法
CN201180051881.4A CN103210654B (zh) 2011-01-20 2011-12-20 数字接收机及其提供实时收视率的方法
PCT/KR2011/009842 WO2012099339A2 (en) 2011-01-20 2011-12-20 Digital receiver and method of providing real-time rating thereof
EP11856432.7A EP2666301A4 (en) 2011-01-20 2011-12-20 DIGITAL RECEIVER AND REAL TIME EVALUATION METHOD THEREOF
US13/341,535 US9300996B2 (en) 2011-01-20 2011-12-30 Digital receiver and method of providing real-time rat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399A KR101821199B1 (ko) 2011-05-09 2011-05-09 디지털 수신기 및 디지털 수신기에서의 실시간 시청률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766A KR20120125766A (ko) 2012-11-19
KR101821199B1 true KR101821199B1 (ko) 2018-01-23

Family

ID=47511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399A KR101821199B1 (ko) 2011-01-20 2011-05-09 디지털 수신기 및 디지털 수신기에서의 실시간 시청률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11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888B1 (ko) 2013-10-07 2020-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시청 패턴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시청 패턴 정보 제공 방법
JP7065784B2 (ja) * 2016-11-08 2022-05-12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988B1 (ko) * 2007-11-30 2009-03-25 엔에이치엔(주) 방송 프로그램 랭킹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988B1 (ko) * 2007-11-30 2009-03-25 엔에이치엔(주) 방송 프로그램 랭킹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766A (ko) 2012-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719B1 (ko) 서비스 시스템 및 디지털 수신기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33493B1 (ko) 영상표시기기의 메시지 공유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US8745668B2 (en) Servic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ervice in digital receiver thereof
US9854299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763595B1 (ko) 모니터링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네트워크 tv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네트워크 tv
US9257023B2 (en) Media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3210654A (zh) 数字接收机及其提供实时收视率的方法
US93323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information on a television
KR101687611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시스템
KR101821199B1 (ko) 디지털 수신기 및 디지털 수신기에서의 실시간 시청률 제공 방법
KR102040608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신호 처리방법
KR101835325B1 (ko) 디지털 시스템 및 디지털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701854B1 (ko) 영상표시기기의 실시간 검색 채널 목록 제공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101880458B1 (ko) 디지털 기기 및 디지털 기기에서의 컨텐츠 처리 방법
KR101835324B1 (ko) 가상 채널 브라우징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2101490A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78140B1 (ko) 가상 채널 브라우징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127022A (ko) 디지털 수신기 및 디지털 수신기에서의 컨텐트 제어 방법
KR20120125939A (ko) 서비스 시스템 및 디지털 수신기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51054B1 (ko) 영상 표시 기기상에서 선택된 텍스트를 이용하여 관련되는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영상 표시 기기
KR101701833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KR2016012648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20099537A (ko)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실행하는 네트워크 tv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네트워크 tv
KR101710398B1 (ko) Usb저장장치의 제거 및 재인식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20120053910A (ko) 재생한 컨텐츠를 마킹하여 저장하는 방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영상 표시 기기,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