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018B1 - Case for projector - Google Patents

Case for proj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018B1
KR101821018B1 KR1020150166614A KR20150166614A KR101821018B1 KR 101821018 B1 KR101821018 B1 KR 101821018B1 KR 1020150166614 A KR1020150166614 A KR 1020150166614A KR 20150166614 A KR20150166614 A KR 20150166614A KR 101821018 B1 KR101821018 B1 KR 101821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tation
projector
heat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6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61492A (en
Inventor
방걸원
Original Assignee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66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018B1/en
Publication of KR20170061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4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0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6Cooling; Preventing overheating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터 케이스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프로젝터가 배치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프로젝터에서 방출된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투과부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투과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projector cas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 projector disposed therein, a transmission portion provided on the body portion to transmit light emitted from the projector to the outside, and a cleaning portion provided on the body portion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transmission portion do.

Description

프로젝터 케이스{CASE FOR PROJECTOR}Projector case {CASE FOR PROJECTOR}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젝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jector case.

프로젝터는 외부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스크린에 투영함으로써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이다. 프로젝터는 실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건물의 벽면 또는 천장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프로젝터는 별도의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거나 외부의 물체에 안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projector is a device that transmits external information by transmitting external data to the screen. The projector may be installed indoors, and may be installed on a wall or ceiling of a building. In addition, the projector may be installed externally, and the projector may be installed to be fixed to a separate structure or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seated on an external object.

상기와 같은 경우 경우 프로젝터는 외부의 이물질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이때, 프로젝터에 구비되는 렌즈에 이물질이 끼는 경우 프로젝터에서 빛을 정확하게 스크린에 투영하지 못함으로써 이미지가 깨지거나 이미지의 선명도가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프로젝터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프로젝터를 보호하는 장치가 필요할 수 있다. In such a case, the projector can be easily exposed to foreign substances. At this time, if a foreign object is caught in a lens provided in the projector, the projector can not correctly project light onto the screen, which may cause an image to be broken or the sharpness of the image to be lowered. To prevent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such a projector, a device for protecting the projector may be requir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프로젝터의 사용시 외부의 이물질을 보호하면서 프로젝터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프로젝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projector case that prevents malfunction of a projector while protecting external foreign materials when the projector is used.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내부에 프로젝터가 배치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프로젝터에서 방출된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투과부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투과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부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body portion having a projector disposed therein; a transmission portion that is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and transmits light emitted from the projector to the outside; A projector case including a cleaning portion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바디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물질제거부와,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leaning unit may include a rotating unit rotatably fixed to the body, a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rotatably mounted on the rotating unit, and a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rotating unit to rotate the rotating unit.

또한,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may include a brush.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rotation plate connected to the rotation unit, and a rotation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rotation plate to rotate the rotation plate.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도록 상기 회전판과 연결될 수 있다. The rotation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plate to be eccentric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on plate.

또한,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이물질제거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 시 상기 이물질제거부를 운동시키는 커넥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lean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unit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nd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to move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when the driving unit operates.

또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시 회전하는 제1 자전부와, 상기 제1 자전부와 연결되는 동력전달벨트부와, 상기 제1 자전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동력전달벨트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물질제거부와 연결되는 제2 자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or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magnetic charger unit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nd rotated when the driving unit operates, a power transmission belt unit connected to the first magnetic charger unit, And a second charger unit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belt unit and connected to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또한, 상기 투과부와 상기 프로젝터 사이에 배치되는 렌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ojector may further include a lens unit disposed between the transmissive unit and the projector.

또한,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바디부의 내부와 외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heat exchange unit installed in the body unit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air of the body unit.

또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바디부 외부에 노출되는 제1 열교환부와, 상기 제1 열교환부와 연결되며, 상기 바디부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열교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eat exchanging unit may include a first heat exchanging uni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and a second heat exchang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heat exchanging unit and disposed in the body.

또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제1 열교환부와 상기 제2 열교환부 사이에 배치되는 펠티어 소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heat exchang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peltier element unit disposed between the first heat exchanging unit and the second heat exchanging unit.

또한, 상기 펠티어 소자부는 상기 제2 열교환부 측의 온도가 상기 제1 열교환부 측의 온도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the Peltier element section may be formed such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heat exchange section side is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heat exchange section sid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프로젝터를 내부에 수납하여 프로젝터를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내부의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프로젝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ouse the projector and protect the projector from external foreign matter.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projector, which may be caused by an internal temperature r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케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로젝터 케이스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클리닝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jecto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projector case shown in Fig.
3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cleaning unit shown in FIG.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noted that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inclusive in a manner similar to the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additions.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케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로젝터 케이스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클리닝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jecto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projector case shown in Fig. 3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cleaning unit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프로젝터 케이스(100)는 바디부(110), 렌즈부(120), 투과부(130), 클리닝부(140), 열교환부(150), 센서부(160), 전원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3, the projector case 100 includes a body 110, a lens unit 120, a transmission unit 130, a cleaning unit 140, a heat exchanging unit 150, a sensor unit 160, A power supply unit 170, and a control unit 180.

바디부(1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프로젝터(P)가 수납될 수 있다. 이때, 바디부(11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 space may be formed in the body part 110, and a projector P may be accommodated therein. At this time, the body 11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may be made movable.

렌즈부(120)는 바디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렌즈부(120)는 프로젝터(P)에서 방출되는 빛을 굴절시켜 직진시키거나 특정한 위치로 안내할 수 있다. The lens unit 120 may be installed in the body 110. At this time, the lens unit 120 may refract the light emitted from the projector P to straighten or guide the light to a specific position.

투과부(130)는 바디부(11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투과부(130)는 아크릴, 유리 등과 같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transmissive portion 130 may be fixed to the body portion 110. At this time, the transmissive portion 13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acrylic or glass.

클리닝부(140)는 바디부(110)에 설치되어 투과부(130)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클리닝부(140)는 바디부(110)의 외측 또는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클리닝부(140)가 바디부(110)의 외측에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cleaning unit 140 may be installed on the body 11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transmission unit 130. At this time, the cleaning unit 140 may be disposed outside or inside the body 110. Hereinafter, the cleaning unit 140 is disposed outside the body 11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클리닝부(140)는 회전부(141), 이물질제거부(142), 구동부(143) 및 커넥터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회전부(141)는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디부(110)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바디부(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회전부(141) 부분은 회전부(141)의 운동 시 회전 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The cleaning unit 140 may include a rotation unit 141, a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142, a driving unit 143, and a connector unit 144. At this time, the rotation part 141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and may be fixed to the body part 110 so that one end thereof is rotatable. The portion of the rotation part 141 that is rotatably fixed to the body part 110 may form a rotation center when the rotation part 141 is moved.

이물질제거부(142)는 회전부(1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이물질제거부(142)는 회전부(141)에 자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142 may be installed to be rotatable on the rotation unit 141. At this time,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142 may be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rotation unit 141.

상기와 같은 이물질제거부(142)는 브러쉬(14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브러쉬(142a)는 동물의 모, 합성수지, 천연물질, 모직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142 may include a brush 142a. At this time, the brush 142a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animal hair, synthetic resin, natural materials, and wool.

구동부(143)는 회전부(141)와 연결되어 회전부(141)를 일정한 경로에서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부(143)는 회전부(141)와 연결되는 회전판(143a)과, 회전판(143a)과 연결되어 회전판(143a)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143b)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43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ng unit 141 to reciprocate the rotating unit 141 in a predetermined path. The driving unit 143 may include a rotating plate 143a connected to the rotating unit 141 and a rotating driving unit 143b connected to the rotating plate 143a to rotate the rotating plate 143a.

회전판(143a)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바디부(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회전판(143a)은 바디부(110)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The rotation plate 143a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nstalled to be rotatable on the body 110. [ At this time, the rotary plate 143a may be installed outside or inside the body 110.

구동부(143)는 회전판(143a)의 회전 중심에 연결되어 회전판(143a)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부(143)는 회전판(143a)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14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회전구동부(143b)는 회전판(143a)의 회전 중심에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143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on plate 143a to rotate the rotation plate 143a. At this time, the driving unit 143 may include a rotation driving unit 143b for rotating the rotation plate 143a. The rotation driving unit 143b may include a motor connected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on plate 143a.

회전부(141)는 회전판(143a)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회전판(143a)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회전부(141)와 회전판(143a)은 회전부(141)가 회전판(143a)에 회전 가능하도록 샤프트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rotation part 141 may be connected to a part of the rotation plate 143a which is eccentric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on plate 143a. At this time, the rotation unit 141 and the rotation plate 143a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haft or the like so that the rotation unit 141 can rotate on the rotation plate 143a.

커넥터부(144)는 구동부(143)와 이물질제거부(142)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커넥터부(144)는 구동부(143) 및 회전부(141)에 설치될 수 있다. The connector 144 may connect the driving unit 143 and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142. At this time, the connector 144 may be installed in the driving unit 143 and the rotating unit 141.

커넥터부(144)는 회전부(141)가 설치되는 회전판(143a) 부분 또는 회전판(143a)과 연결되는 회전부(141) 부분에 설치되는 제1 자전부(144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부(144)는 제1 자전부(144a)와 연결되는 동력전달벨트부(144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부(144)는 제1 자전부(144a)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자전부(144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동력전달벨트부(144b)는 제1 자전부(144a)와 제2 자전부(144c)를 연결하여 제1 자전부(144a)의 회전을 제2 자전부(144c)로 전달할 수 있다. The connector 144 may include a first rotary part 143a on which the rotary part 141 is installed or a first rotary part 144a on the rotary part 141 connected to the rotary plate 143a. In addition, the connector 144 may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belt 144b connected to the first magnet 144a. The connector unit 144 may include a second magnet unit 144c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 unit 144a. At this time, the power transmission belt part 144b may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magnet parts 144a and 144c to transmit the rotation of the first magnet part 144a to the second magnet part 144c.

상기와 같은 제1 자전부(144a)와 제2 자전부(144c)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자전부(144a)와 제2 자전부(144c)는 풀리, 롤러 등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자전부(144a)와 제2 자전부(144c)는 기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동력전달벨트부(144b)는 타이밍벨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체인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first and second magnet units 144a and 144c may have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e first magnetic charger 144a and the second magnetic charger 144c may be in the form of a pulley, a roller, or the like.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magnetic charger 144a and the second magnetic charger 144c may be formed in a gear shape. At this time, the power transmission belt portion 144b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iming belt, or may be formed in a chain shape.

상기와 같은 제1 자전부(144a)에는 제1 회전구동기어(193)가 고정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구동기어(193)는 회전부(141)에 삽입될 수 있으며, 회전판(143a)에 연결되는 회전축(143c)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회전축(143c)은 회전부(141)에 형성된 제1 장공(141a) 상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 장공(141a)의 내면은 기어(141b)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회전구동기어(193) 외면에는 기어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장공(141a)의 이동 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장공(141a)는 슬롯(Slot)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rotation driving gear 193 may be fixed to the first magnet unit 144a. At this time, the first rotation driving gear 193 may be inserted into the rotation part 141 and may be installed on the rotation shaft 143c connected to the rotation plate 143a. The rotation shaft 143c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slot 141a formed in the rotation unit 141. [ 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long hole 141a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gear 141b, and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rotation drive gear 193 in the form of a gear to rotate when the first long hole 141a moves . At this time, the first long hole 141a may be formed in a slot shape.

다른 실시예로써 제1 장공(미표기)가 회전판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 장공에는 회전축(143c)와 제1 회전구동기어(193)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장공의 내면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어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장공의 기어는 제1 회전구동기어(193)의 외면에 형성된 기어와 치합하여 회전축(143c)의 이동 시 제1 회전구동기어(19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장공이 회전판(143a)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장공은 회전판(143a)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심 방향, 또는 회전판(143a)에서 일직선,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장공은 회전판(143a)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부(141)를 왕복 운동할 때, 회전축(143c)이 운동하는 경로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장공(141a)이 회전부(141)에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As another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hat a first long hole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rotary plate. At this time, the rotation shaft 143c and the first rotation driving gear 193 can be installed in the first long hole. In particular, a gear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elongated hole as described above. The gear of the first elongated hole meshes with a gea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rotation driving gear 193, The first rotation drive gear 193 can be rotated. When the first long hole is formed in the rotary plate 143a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long hole may be formed in the center direction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ry plate 143a, or in a straight or curved shape in the rotary plate 143a. At this time, the first long hole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path as that of the rotation shaft 143c when the rotating portion 141a reciproc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143a.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elongated hole 141a is formed on the rotation part 14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2 자전부(144c)는 이물질제거부(14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자전부(144c)는 회전부(141)에 형성된 제2 장공(141c)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장공(141c)은 제1 장공(141a)과 유사하게 슬롯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부(14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magnet unit 144c may be connected to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142. [ The second magnet unit 144c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slot 141c formed in the rotation unit 141. [ At this time, the second long hole 141c may be formed in a slot shape similar to the first long hole 141a, and may b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part 141. [

상기 제1 장공이 회전판(143a)에 형성되는 경우 제2 장공(141c)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 자전부(144c)는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부(141)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long hole is formed in the rotary plate 143a, the second long hole 141c may not be formed. That is, the second magnet unit 144c may be installed inside the rotation unit 141 so as to be rotatable.

제2 자전부(144c)의 회전을 이물질제거부(142)로 전달하도록 기어유닛(192)이 제2 자전부(144c)와 이물질제거부(1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gear unit 19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magnet unit 144c and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142 so as to transmit the rotation of the second magnet unit 144c to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142. [

구체적으로 기어유닛(192)은 제2 자전부(144c)에 설치되는 제1 기어(192a)와 이물질제거부(142)와 연결되는 제2 기어(19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어(192a)와 제2 기어(192b)의 운동 방향은 수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기어(192a)는 링 기어일 수 있으며, 제2 기어(192b)는 피니언 기어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자전부(144c)가 회전하는 경우 제1 기어(192a) 및 제2 기어(192b)를 통하여 이물질제거부(142)를 자전 운동시킬 수 있다. The gear unit 192 may include a first gear 192a provided on the second magnet unit 144c and a second gear 192b connected to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142. [ At this time, the direction of motion of the first gear 192a and the second gear 192b may be vertical. For example, the first gear 192a may be a ring gear, and the second gear 192b may be a pinion gear. Therefore, when the second magnet member 144c rotates,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142 can be rotated through the first gear 192a and the second gear 192b.

커넥터(144)는 제1 자전부(144a)가 설치되는 회전축(143c)과 제2 자전부(144c)를 연결하는 지지부(144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44d)는 회전축(143c)에 고정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144d)의 일부에는 제2 자전부(144c)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장공(141c)을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장공이 회전판(143a)에 형성되는 경우 지지부(144d)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 자전부(144c)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회전부(141)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위치가 가변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넥터(144)가 지지부(144c)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nnector 144 may include a support portion 144d connecting the rotation shaft 143c to which the first magnet unit 144a is installed and the second magnet unit 144c. At this time, the support portion 144d may be connected to be fixed to the rotation shaft 143c. The second magnet unit 144c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a part of the support portion 144d and the second elongated hole 141c may reciprocate. At this time, if the first long hole is formed in the rotary plate 143a, the support 144d may not be provided.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magnet unit 144c may be installed to be rotatable within the rotation unit 141, and the position thereof may not be variable. Hereinafter, the connector 14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ase where the connector 144 includes the support portion 144c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열교환부(150)는 바디부(110)에 설치되어 바디부(110)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배출하거나 바디부(110) 내부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때, 열교환부(150)는 바디부(110)의 외부에 설치되는 제1 열교환부(151) 및 바디부(110) 내부에 설치되는 제2 열교환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eat exchanging part 150 may be installed in the body part 110 to discharge the heat inside the body part 110 to the outside or to cool the inside of the body part 110. The heat exchanging unit 150 may include a first heat exchanging unit 151 installed outside the body 110 and a second heat exchanging unit 152 installed inside the body 110.

제1 열교환부(151)는 히트싱크 또는 팬 등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열교환부(152)는 히트싱크 또는 팬 등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heat exchanging unit 15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heat sink, a fan, or the like. The second heat exchanging part 15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heat sink, a fan, or the like.

열교환부(150)는 제1 열교환부(151)와 제2 열교환부(152) 사이에 설치되는 열전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전달부는 제2 열교환부(152)로부터 제2 열교환부(152)까지 열을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열전달부는 열전달 겔, 액체, 테잎 등의 형태일 수 있다. The heat exchanging unit 150 may further include a heat transfer unit (not shown) installed between the first heat exchanging unit 151 and the second heat exchanging unit 152. At this time, the heat transfer part can transfer heat from the second heat exchange part 152 to the second heat exchange part 152. In particular, the heat transfer part may be in the form of a heat transfer gel, a liquid, a tape, or the like.

열교환부(150)는 제1 열교환부(151)와 제2 열교환부(152) 사이에 설치되는 펠티어 소자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펠티어 소자부(153)는 제1 열교환부(151)와 접촉하는 부분에서는 발열하고, 제2 열교환부(152)와 접촉하는 부분에서는 냉각될 수 있다. 따라서 펠티어 소자부(153)는 제1 열교환부(151)와 접촉하는 부분의 온도가 제2 열교환부(152)와 접촉하는 부분의 온도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The heat exchanging unit 150 may include a Peltier device unit 153 installed between the first heat exchanging unit 151 and the second heat exchanging unit 152. At this time, the Peltier element part 153 generates heat in a portion contacting the first heat exchanging part 151 and can be cooled in a part contacting the second heat exchanging part 152. Therefore, the Peltier element part 153 can be formed to have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part where the Peltier element part 153 makes contact with the first heat exchanging part 151 and the second heat exchanging part 152.

센서부(160)는 바디부(110)에 설치되어 바디부(1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전원부(170)는 프로젝터(P), 클리닝부(140), 열교환부(150), 센서부(160) 및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전원부(170)는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각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써 이차 전지 등과 같이 충전이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The sensor unit 160 may be installed in the body 110 to measu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body 110. The power supply unit 17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rojector P, the cleaning unit 140, the heat exchanging unit 150, the sensor unit 160,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power source unit 17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o supply power to each component, and in another embodiment, the power source unit 170 may be chargeable such as a secondary battery.

제어부(180)는 클리닝부(140), 열교환부(150) 및 센서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클리닝부(140), 열교환부(150) 및 센서부(16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8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leaning unit 140, the heat exchanging unit 150 and the sensor unit 160 to control at least one of the cleaning unit 140, the heat exchanging unit 150, and the sensor unit 160 .

프로젝터 케이스(100)는 상기의 구성 이외에도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19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91)는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버튼 형태의 입력버튼, 외부 단말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통신모듈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입력부(191)가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형태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projector case 100 may include an input unit 191 for receiving an input signal from a user. At this time, the input unit 191 may have various forms such as a display panel including a touch panel, a button-shaped input button,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a signal from an external terminal. Hereinafter, the input unit 19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ase of a display panel including a touch panel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한편, 상기와 같은 프로젝터 케이스(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케이스(100) 내부에 프로젝터(P)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100)에는 별도의 커버(111) 등이 구비됨으로써 내부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에는 각종 케이블 등이 구비됨으로써 프로젝터(P)와 연결되어 프로젝터(P)의 구동을 외부에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the operation of the projector case 100 will be described. The projector P can be installed inside the case 100. At this time, the case 10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cover 111 or the like to selectively close the internal space. In addition, the cas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projector P by providing various cables or the like, so that the driving of the projector P can be externally adjusted.

상기와 같이 프로젝터(P)가 설치된 후 프로젝터(P)를 구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프로젝터(P)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부(191)를 통하여 작동 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180)에서 프로젝터(P)와 연결된 케이블을 통하여 프로젝터(P)를 제어할 수 있다. After the projector P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projector P can be driven and used. At this time, the projector P can control the projector P through the cable connected to the projector P by the control unit 180 when the operation signal is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191 as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은 프로젝터 케이스(100)는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프로젝터 케이스(100)를 이동하여 사용하는 동안 투과부(130)에 외부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흡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젝터(P)에서 방출되는 빛이 제대로 투과부(130)를 통과하지 못함으로써 프로젝터(P)에서 구현되는 영상이 일그러지거나 선명하지 않을 수 있다. The projector case 100 as described above may be movable. At this tim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nd the like on the outside can be adsorbed to the transmission portion 130 while the projector case 100 is moved and used. In this case, since the light emitted from the projector P does not pass through the transmission portion 130 properly, the image implemented in the projector P may be distorted or unclear.

상기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입력부(191)를 통하여 구동부(143)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회전구동부(143b)를 작동시킬 수 있다. In such a case, the user can operate the driving unit 143 through the input unit 191. [ That is, when the input signal is inputted, the control unit 180 can operate the rotation driving unit 143b.

회전구동부(143b)의 작동에 따라서 회전판(143a)이 회전하고, 회전판(143a)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부(141)가 일정한 범위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다. The rotary plate 143a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rotary drive part 143b and the rotary part 141 reciprocates in a certain rang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plate 143a.

이때, 회전부(141)가 일정한 범위에서 왕복 운동하는 경우 회전축(143c)은 제1 장공(141a) 내부를 운동할 수 있으며, 회전구동기어(193)도 회전축(143c)과 함께 1 장공(141a) 내부를 운동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rotary part 141 reciprocates within a certain range, the rotary shaft 143c can move inside the first long hole 141a, and the rotary drive gear 193 is rotated by the first long hole 141a together with the rotary shaft 143c. The inside can be exercised.

회전구동기어(193)가 제1 장공(141a) 내부를 운동하는 경우 회전구동기어(193)의 기어와 제1 장공(141a)의 기어(141b)가 서로 치합되면서 회전구동기어(193)를 도 3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When the rotary drive gear 193 moves inside the first long hole 141a, the gear of the rotary drive gear 193 and the gear 141b of the first long hole 141a are engaged with each other, 3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회전구동기어(193)가 회전하면, 회전구동기어(193)와 함께 제1 자전부(144a)도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회전판(143a)에 연결된 제1 자전부(144a)가 자전운동을 할 수 있다. 제1 자전부(144a)의 자전 운동에 따라서 동력전달벨트부(144b)도 회전하고, 동력전달벨트부(144b)는 제2 자전부(144c)를 자전 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자전부(144c)는 지지부(144d)와 연결되어 제2 장공(141c)을 따라 선형 운동함으로써 동력전달벨트부(144b)의 길이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When the rotation driving gear 193 rotates, the first magnetizing unit 144a can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driving gear 193. In this case, the first magnet unit 144a connected to the rotation plate 143a can rotate. The power transmission belt portion 144b also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magnet member 144a and the power transmission belt portion 144b can rotate the second magnet member 144c.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power transmission belt part 144b can be kept constant by moving the second magnet part 144c linearly along the second long hole 141c by being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144d.

제2 자전부(144c)가 자전 운동하는 경우 제1 기어(192a)도 제2 자전부(144c)와 함께 회전할 수 있으며, 제1 기어(192a)는 제2 기어(192b)를 회전시킬 수 있다. The first gear 192a may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second magnet 144c when the second magnet 144c is rotated and the first gear 192a may rotate the second gear 192b have.

상기와 같이 제2 기어(192b)가 회전하는 경우 이물질제거부(142)는 회전부(141)의 끝단에서 자전 운동할 수 있다. 이때, 회전부(141)의 운동에 따라서 이물질제거부(142)는 일정한 범위를 왕복 운동할 수 있다. 특히 이물질제거부(142)는 투과부(130)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반복하여 왕복 운동할 수 있다. When the second gear 192b rotates as described above,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142 can rotate at the end of the rotation unit 141. [ At this time,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142 can reciprocate within a certain range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rotation unit 141. [ Particularly,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142 can reciprocate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transmitting unit 130 repeatedly.

상기와 같이 이물질제거부(142)는 일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일정 범위를 왕복 운동하면서 투과부(130)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물질제거부(142)는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교번하여 회전하면서 투과부(130)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142 can remove the foreign substances adsorbed to the transmitting unit 130 while reciprocating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hile rotating in one direction or another direction. For example,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142 can remove foreign substances adsorbed to the transmitting unit 130 while rotating alternately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상기와 같은 작업은 사용자가 설정한 횟수, 시간 등에 따라서 작동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중지신호를 입력하는 경우까지 수행될 수 있다. The above operation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set by the user, the time, etc., and can be performed until the user inputs the stop signal.

한편, 프로젝터(P)가 작동하는 동안 케이스(100) 내부에서는 프로젝터(P)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서 제어부(180)는 펠티어 소자부(153)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입력신호 없이 프로젝터(P)의 시작신호의 입력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펠티어 소자부(153)를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어부(180)는 센서부(160)에서 측정된 바디부(110)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펠티어 소자부(153)를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센서부(160)에서 측정된 결과를 근거로 제어부(180)가 펠티어 소자부(153)를 작동시키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rojector P,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of the case 100 may rise due to the heat generated by the projector P.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80 may operate the Peltier element part 153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f the user. The control unit 180 may operate the peltier element unit 153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start signal of the projector P is inputted without the input signal of the user.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80 may operate the Peltier element unit 153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body 110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60 reache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more. Hereinaft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control unit 180 operates the peltier element unit 153 based on the result of the measurement by the sensor unit 16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구체적으로 프로젝터(P)가 작동하는 경우 센서부(160)는 바디부(110) 내부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바디부(110)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바디부(110)의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미만인 경우 현재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반며나 제어부(180)는 바디부(110)의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펠티어 소자부(153)를 작동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projector P operates, the sensor unit 160 may continuously measu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body 110 and transmit the measured temperature to the controller 180.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80 can determine whether the temperature inside the body 110 is higher than a preset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180 can maintain the current state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body 110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controller 180 may operate the Peltier element part 153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body part 110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펠티어 소자부(153)가 작동하면, 제2 열교환부(152)와 접촉한 부분의 온도가 초기온도보다 낮아질 수 있다. 이때, 제2 열교환부(152)에서는 바디부(110) 내부의 기체와 열교환할 수 있으며, 바디부(110) 내부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다. 특히 제2 열교환부(152)와 인접한 바디부(110) 내부의 기체 온도가 하강함으로써 바디부(110) 내부에 대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When the Peltier element part 153 operates, the temperature of the part contacting with the second heat exchanging part 152 may be lower than the initial temperature. At this time, the second heat exchanging part 152 can exchange heat with the gas inside the body part 110,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body part 110 can be lowered. Particularly, the temperature of the gas inside the body 110 adjacent to the second heat exchanger 152 is lowered, so that convection can be formed inside the body 110.

상기와 같은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제1 열교환부(151)에서는 외기와 펠티어 소자부(153)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 특히 제1 열교환부(151)는 펠티어 소자부(153)의 온도가 너무 상승함으로써 펠티어 소자부(153)가 고장나거나 바디부(110)가 열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ur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the first heat exchanging unit 151 can exchange heat between the outside air and the Peltier element unit 153. Particularly, the first heat exchanging part 151 can prevent the Peltier element part 153 from failing or the body part 110 from being damaged by heat due to the temperature of the Peltier element part 153 rising excessively.

따라서 프로젝터 케이스(100)는 이동 가능한 형태로 제작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케이스(100)는 투과부(130)의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어 관리가 편리하다. 프로젝터 케이스(100)는 프로젝터(P) 사용으로 인하여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프로젝터(P)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수명을 늘려줄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ojector case 100 can be manufactured in a movable form, thereby enhancing user convenience. In addition, the projector case 100 can easily remove foreign matters from the transmission portion 130, and is easy to manage. The projector case 100 prevents the internal temperature from rising due to the use of the projector P,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of the projector P and increasing the life span thereof.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appended claims cover all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true spirit of the invention.

100: 케이스
110: 바디부
120: 렌즈부
130: 투과부
140: 클리닝부
150: 열교환부
160: 센서부
170: 전원부
180: 제어부
191: 입력부
192: 기어유닛
100: Case
110:
120:
130:
140: Cleaning section
150: heat exchanger
160:
170:
180:
191:
192: gear unit

Claims (12)

내부에 프로젝터가 배치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프로젝터에서 방출된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투과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투과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바디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물질제거부;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이물질제거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 시 상기 이물질제거부를 운동시키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시 회전하는 제1 자전부;
상기 제1 자전부와 연결되는 동력전달벨트부; 및
상기 제1 자전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동력전달벨트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물질제거부와 연결되는 제2 자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도록 상기 회전판과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 및 회전판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 1 장공에, 상기 회전부 및 회전판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회전축이 삽입되어 이동함으로써 상기 회전부를 일정한 경로로 왕복운동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케이스.
A body portion in which a projector is disposed;
A transmission unit installed in the body and transmitting light emitted from the projector to the outside;
And a cleaning unit installed on the body to remove foreign matter from the transmitting unit,
The cleaning unit may include: a rotating unit having one end rotatably fixed to the body; A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rotatably installed on the rotating unit; A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rotating unit to rotate the rotating unit, the driving unit including a rotating plate connected to the rotating unit, and a rotation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rotating plate to rotate the rotating plate; And a connector part connected to the driving part and the foreign matter removing part to move the foreign matter removing part when the driving part operates,
The connector unit,
A first charger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nd rotated when the driving unit operates;
A power transmission belt unit connected to the first magnet unit; And
And a second charger unit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harger unit and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belt unit and connected to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The rota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plate so as to be eccentric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on plate, and a rotation shaft installed in the other of the rotation part and the rotation plate is inserted and moved in a first slot provided in any one of the rotation part and the rotation plate, Is reciprocated in a predetermined path.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브러쉬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portion includes a brush.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와 상기 프로젝터 사이에 배치되는 렌즈부;를 더 포함하는 프로젝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ens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transmissive portion and the proje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바디부의 내부와 외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부;를 더 포함하는 프로젝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heat exchanger installed in the body to exchange heat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od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바디부 외부에 노출되는 제1 열교환부; 및
상기 제1 열교환부와 연결되며, 상기 바디부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케이스.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heat-
A first heat exchange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And
And a second heat exchanger connected to the first heat exchanger and disposed in the body.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제1 열교환부와 상기 제2 열교환부 사이에 배치되는 펠티어 소자부;를 더 포함하는 프로젝터 케이스.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heat-
And a Peltier element part disposed between the first heat exchanging part and the second heat exchanging par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펠티어 소자부는 상기 제2 열교환부 측의 온도가 상기 제1 열교환부 측의 온도보다 낮게 형성된 프로젝터 케이스.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Peltier element part has a temperature at the side of the second heat exchange part being lower than a temperature at the side of the first heat exchange part.
KR1020150166614A 2015-11-26 2015-11-26 Case for projector KR1018210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614A KR101821018B1 (en) 2015-11-26 2015-11-26 Case for proj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614A KR101821018B1 (en) 2015-11-26 2015-11-26 Case for proj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492A KR20170061492A (en) 2017-06-05
KR101821018B1 true KR101821018B1 (en) 2018-01-22

Family

ID=59222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614A KR101821018B1 (en) 2015-11-26 2015-11-26 Case for proj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101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3595A (en) * 2007-02-21 2008-09-04 Seiko Epson Corp Projector
JP2010271346A (en) 2009-05-19 2010-12-02 Seiko Epson Corp Proj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3595A (en) * 2007-02-21 2008-09-04 Seiko Epson Corp Projector
JP2010271346A (en) 2009-05-19 2010-12-02 Seiko Epson Corp Proj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492A (en) 2017-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27933B1 (en) Subunit module for constructing modular robot
CN105874394B (en) Mobile body device
CN203618070U (en) Cleaning device of dome camera
CN105137696A (en) Anti-shake apparatus of camera module and camera module
EP3236141A1 (en) Driving device and lighting apparatus
EP2103865A1 (en) Positioning encoding in a light fixture
KR20100063075A (en) Ionizer having cleaning system
US20090038544A1 (en) Film coating holder and film coating device using same
KR101821018B1 (en) Case for projector
US11857885B2 (en) Cubic puzzle
CN204989716U (en) Anti -shake device and camera module of camera module
JP2009301851A (en) Static eliminator equipped with cleaning mechanism
KR20190035006A (en) Window cleaning Robot
US20230026738A1 (en) Electronic device
JP6274995B2 (en) Reciprocating rotary sensor an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equipped with the same
JP2015213898A (en) Take-up type filter apparatus
CN107367478B (en) Non-dispersive infrared optical sulfur hexafluoride gas concentration sensor
CN101131529A (en) Iris unit, and image project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1183805B2 (en) Cable-arrangement structure and electrical apparatus therewith
CN106681086B (en) Support of oscillating mirror, oscillating mirror and projector
EP2372450A1 (en) Image-projecting and image-capturing system and method
US8641199B2 (en) Projector
US9291886B2 (en) Animated projection system
CN109971942B (en) Clamping mechanism and annealing device
KR20200132626A (en) Folded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