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727B1 - Submersible cage system for fish farming - Google Patents

Submersible cage system for fish farm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727B1
KR101820727B1 KR1020170083245A KR20170083245A KR101820727B1 KR 101820727 B1 KR101820727 B1 KR 101820727B1 KR 1020170083245 A KR1020170083245 A KR 1020170083245A KR 20170083245 A KR20170083245 A KR 20170083245A KR 101820727 B1 KR101820727 B1 KR 101820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age
frame
electromagnetic contactor
electro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2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문호
박영태
박성욱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70083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7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7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ge fish farming apparatus which includes: an upper electrode fram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surface of water and comprising electrode holder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 electrode having an end connected with an electrode holder of the electrode frame, and extended vertically to the water surface to generate strong shock energy by using electricity; a lower electrode frame comprising electrode holder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o be connected with the other end of the electrode; a buoy connected with a side of the upper electrode frame to provide buoyancy; a weight connected with a side of the lower electrode frame to provide weight to make the electrode extended underneath the water surface; and a controller connected with the electrode to control the connection of electricity. As such, when red tides are formed in a cage fish farm, the apparatus quickly removes the red tides, and the apparatus is installed at a low cost and brings an outstanding red tide aid effect without secondary problems such as resource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us, the apparatus is capable of preventing industrial damage caused by red tides.

Description

유해생물 4면 차단이 가능한 가두리 양식장치{Submersible cage system for fish farming}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mersible cage system for fish farming,

본 발명은 수산 동물의 양식기술과 관련된 것으로 국제특허분류 A01K 61/00의 가두리 양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가두리 양식틀 외부에 유해생물4면 차단장치가 설치된 가두리양식장치에 관한 수생 동물의 양식에 속하는 사육설비 및 양식 가두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quaculture technology of aquatic animals and relates to a cage aquaculture device of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A 01 K 61/00.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eeding facility and a cage apparatus belonging to aquatic animal culture related to a cage aquaculture apparatus having a four-sided screening device for harmful creatures outside a cage mold frame.

우리나라 수산물 생산량은 양식 생산량이 50%를 상회하고 있다. 이와 같은 양식 수산물의 생산 시설인 양식장은 대부분 해안선에 인접한 연안에 위치하고 있다. 양식수산물을 생산하는 양식장이 연안에 위치한 이유는 가까운 거리로 관리가 용이하다는 편의성도 있지만 조류의 흐름이 느려 시설물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저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하다는 것과 해류에 영양성분이 풍부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production of aquatic products in Korea is more than 50%. Most of these aquaculture production facilities are located on the coast near the coastline. The reason that the aquaculture production farm is located in the coast is convenient because it is easy to manage with a close distance, but it is easy to maintain the facility because of the low flow of birds, and it is possible to install it at low cost, have.

대용량의 양식 시설을 위해 외해 양식장이 논의되고 있으며 일부 양식시설의 경우 해안에서 1마일이상 이격된 외해에 설치되어 운영되는 곳도 있다. 그러나 고비용 및 관리의 어려움으로 대부분의 양식시설은 연안 주변에 시설하게 되고, 이런 연안 양식 시설은 육상에서 유입되는 하수에 함유된 유기물질이 그대로 양식장에 유입되는 효과를 보게 된다. 이와 같은 효과는 많은 장점이 있으나, 적조 발생 시 구제 대책 수립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For large-scale aquaculture facilities, aquaculture farms are being discussed, and some aquaculture facilities may be installed and operated in offshore distances more than one mile from the coast. However, due to the high cost and difficulties in management, most aquaculture facilities are installed around the coast, and these coastal aquaculture facilities have the effect that the organic matter contained in the sewage introduced from the land enters the farm as it is. Although such an effect has many advantages, it is very difficult to formulate remedial measures in case of red tide.

적조는 일반적으로 물이 붉게 바뀌는 경우가 많아서 붉은 물이라는 의미에서 적조(赤潮)라고 하지만 실제로 바뀌는 색은 원인이 되는 플랑크톤의 색깔에 따라서 다르다. 오렌지색이나 적갈색, 갈색 등이 되기도 하며 이는 적조를 일으키는 생물이 엽록소 이외에도 카로테노이드(carotenoid)류의 붉은색, 갈색 색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적조를 일으키는 플랑크톤은 규조류(珪藻: diatom), 편모조류(鞭毛藻: dinoflagellate)같은 식물성 플랑크톤이 가장 일반적이며 한국에서의 적조 기준도 이 두 가지 플랑크톤의 양을 이용한다. 이외에도 남조류(藍藻: cyanobacteria)나 원생생물인 야광충(noctiluca), 섬모충(mesodinium)에 의해서 적조가 일어나기도 한다.Red tide is generally called red tide in the sense of red water because it is often reddish, but the actual color changes depending on the color of the plankton causing it. Orange, reddish brown, brown, etc. This is because the creatures causing red tide have carotenoids like red and brown pigments in addition to chlorophyll. Phytoplankton such as diatom and dinoflagellate are the most common plankton causing red tides, and red tide standards in Korea also use the amounts of these two plankton. In addition, cyanobacteria (cyanobacteria), prototypes (noctiluca), and protozoan (mesodinium) may occur in the red tide.

적조가 일어나면 물속에 녹아 있는 산소 농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물속의 산소를 이용해서 호흡을 하는 어패류가 질식하여 폐사하는 일이 많이 발생한다. 그뿐만 아니라 물고기의 아가미에 플랑크톤이 끼여 물리적으로 질식하는 경우도 있으며, 적조를 일으키는 플랑크톤 중 독성을 가진 조류(藻類)가 있어서 이 독성 때문에 폐사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적조가 일어나면 어업, 특히 양식어업에 큰 타격을 줄 뿐만 아니라 독성물질이 축적된 어패류를 사람이 섭취함으로써 중독증상을 보일 수도 있다.When red tide occurs, the concentration of oxygen dissolved in the water is lowered, so that the fish and shellfish breathing using oxygen in the water suffocate and die. In addition, there are some cases where plankton is physically suffocated by fish gills, and there are some algae that are toxic among the plankton causing red tides, which are dead due to this toxicity. Because of this, when red tide occurs, it may not only hurt fishery, especially aquaculture, but it may also cause symptoms of poisoning by ingesting fish and shellfish that accumulate toxic substances.

해안선 부근의 내해에 양식적조발생시 구제 대책이 어려운 이유는 현재 구현되는 대표적인 적조 구제방법인 황토 살포법이 양식어류에 직접적으로 악 영향을 주어 사용에 제한이 있다는 것이어서 해류의 흐름이 늦어 적조 생물의 확산이 매우 더디다는 것이다. 느린 조류로 인한 적조 생물의 확산 속도 저조는 동일 지역에 적조 생물의 밀도를 높여 양식 어류의 피해를 더욱 가중시킨다. 적조생물로 인한 양식 어류의 피해는 주로 질식사 인데 질식사 원인은 적조생물의 산소 소모에 따른 산소고갈과 적조 생물의 점액질이 양식 어류의 아가미에 흡착되어 양식어류가 호흡을 하지 못하는 두 가지로 대표된다.The reason for the difficulty in remediation in the event of breeding in the inland waters near the coastline is that there is a restriction on the use of the loess application method, which is a representative red tide remedy method currently implemented, directly affecting the aquaculture fish, It is very slow. The slow rate of diffusion of red tide organisms due to slower tidal currents increases the density of red tide organisms in the same area, thereby increasing the damage of the aquaculture fish. The cause of suffocation is mainly due to oxygen depletion due to oxygen consumption of the red tide organism and the mucus of the red tide organism is adsorbed on the gill of the aquaculture fish and the fish can not breathe.

우리나라의 경우 해안선 부근의 내해에 양식장이 밀집되어 적조의 양식장 유입이 용이하여 적조 발생 시 피해가 크게 발생한다. 그러나 적조의 피해도 사전에 대책을 수립하고 예방활동을 강하하면 크게 줄일 수 있다. 해양수산부 발표에 따르면 2013년 247억원의 최대 적조 피해가 발생한 후 ‘적조 대응 중장기 종합대책’을 수립·실행한 결과 매년 피해가 감소하여 2015년에는 적조피해가 53억원 정도로 감소하였다.In Korea, the farms are concentrated in the inland waters near the shoreline, so that it is easy to inflow the red tide farms, which causes a great deal of damage when red tide occurs. However, the damage of red tide can be greatly reduced if countermeasures are established in advance and the prevention activities are reduced.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after the biggest red tide damage occurred in 2013, the "Red Tide Full-Year Comprehensive Measures" were established and executed. As a result, the damage decreased every year and the red tide damage decreased to about 5.3 billion won in 2015.

현재 적조 구제 방법은 황토 및 적조구제물질(해수부 승인 4종)살포 또는 해수에 살균수를 희석하여 재 방류하는 방법 등이 있고 적조 발생 수역의 해수를 분산시켜 적조 생물의 밀도를 낮추는 방법 등이 있다. 황토 살포는 가장 보편적인 적조 구제방법으로 실시되고 있으나 2차 오염 및 자원의 낭비, 유해성 논란 등 반대 여론도 일부 존재한다.Currently, red tide remedies include spraying loess and red tides (four types approved by the sea) or diluting the sterilized water in seawater and re-discharging the water. Reducing the density of red tide creatures by dispersing seawater in the red tide . Horticultural spraying is the most common red tide remedy, but there are some opposing opinions such as secondary pollution, waste of resources, and controversy about harm.

최근에는 적조 구제 행위로 인한 해양환경의 2차 오염 발생 위험을 최소화하고 자원의 직접적 낭비가 적은 전기 자극을 이용한 적조구제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전기에너지를 이용해 살균수를 생성하고 적조 발생지역에서 담수한 물에 혼합 후 방류하는 살균수 적조구제법은 매우 효율적인 구제 방법 중 하나이다. 살균수 적조구제법은 적조가 발생된 물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여 물의 물성을 변화시켜 적조 생물을 사멸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황토살포나 기타의 방식에 비해 구제효율이 매우 높고 특히 2차 오염의 위험성이 매우 적다. 그러나 구제비용의 과다와 구제 설비가 크다는 단점이 있어 이를 개선하여 효율적으로 적조구제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In recent years, red tide remediation using electric stimulation has been sought to minimize the risk of secondary contamina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due to red tide remedies and to reduce direct waste of resources. The sterilization water redistribution method that generates sterilized water by using electric energy and discharges it after mixing with water in the red tide area is one of very effective remedies. The sterilization water red tide salvage method is to supply the electric energy to the water in which the red tide is generated, thereby chang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water to kill the red tide organism. This method has a very high efficiency of remediation compared to the method of loess spraying and other methods, especially the risk of secondary contamination is very low. However, there are disadvantages such as excessive remediation cost and large remediation facilities, and it is urgent to research for applying them to red tide remediation efficiently.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84284호에서는 가두리 양식장의 그물 하측에 결합되는 확산노즐과, 상기 확산노즐의 내측으로 연결되며 오존공급장치에서 공급된 용해된 오존 또는 치료제를 수중펌프의 구동력에 의해 그물 상측으로 이송하는 이송관으로 이루어지는 적조퇴치 및 어병치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존공급장치는 바닷물을 흡수하는 급수관이 연결된 급수펌프와; 상기 이송관으로 산소 및 오존을 공급하는 산소통 및 오존발생기와; 오존의 발생을 활성화하는 과산화수소 또는 이산화망가니즈(manganese dioxide)의 촉매를 공급하는 촉매공급부와; 산소, 오존 또는 치료제, 바닷물을 혼합하여 용해하는 믹서을 포함하며, 상기 그물은 어류의 질병을 치료하고자 할 때는 상측으로 끌어올려 부피를 줄이고, 그물의 외측에는 비닐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홀이 형성된 덮개를 덮어 내측으로 오존 또는 치료제를 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의 적조퇴치 및 어병치료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No. 10-1584284 discloses an ozone treatment apparatus that includes a diffusion nozzle coupled to the underside of a cage farm and a dissolved ozone or therapeutic agent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diffusion nozzle and supplied from the ozone supply device to the upper side of the net by the driving force of an underwater pump Wherein the ozone supply device comprises: a water supply pump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ipe for absorbing seawater; An oxygen cylinder and an ozone generator for supplying oxygen and ozone to the transfer pipe; A catalyst supply unit for supplying a catalyst of hydrogen peroxide or manganese dioxide to activate the generation of ozone; And a mixer for mixing and dissolving oxygen, ozone or a therapeutic agent and seawater. The net is raised to the upper side when it is desired to treat a disease of a fish to reduce its volume. On the outer side of the net, a cover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d the ozone or the therapeutic agent is spread over the inside of the pond.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73851호에서는 왕복압축식 베인펌프를 탑재시킨 선박, 또는 대선(臺船)을 가두리 양식장 일측에 정박, 고정시키고 가두리 양식장 내의 수중 하부층에서 기포 발생시키며, 양식장 하면의 양식수와 공기가 교반하면서 압축미세공기를 수중에 토출, 확산시켜 교반된 미세공기는 수중에서 서서히 용해되어 수중 용존산소가 증가되고 표면에는 양식장 하류의 양식수가 용수되면서 양식장 표면의 적조생물을 양식장 외부로 이동시켜 양식중인 어류의 폐사를 방지하는 양식장용 적조피해 방지장치를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No. 10-0473851 discloses that a vessel or a vessel equipped with a reciprocating compression vane pump is fixed and fixed on one side of a cage farm and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underwater layer in a cage farm, And the dissolved micro-air is slowly dissolved in the water to increase the dissolved oxygen in the water. On the surface, the culture water downstream of the aquaculture water is sprayed, And preventing the fish from being killed.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37725호에서는 대기 중의 공기를 고압으로 압축하는 공기 압축기와, 일단은 공기 냉각기의 냉풍 토출구와 연결되며 표면에는 다수의 통기 홀이 구비되어 가두리 양식장의 가두리 망 외측 하단부를 따라 연장 설치되는 냉풍 파이프와, 일단은 공기 냉각기의 열풍 토출구와 연결되며 표면에는 다수의 통기 홀이 구비되어 상기 냉풍 파이프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일정 수직높이로 이격된 상태로 연장 설치되는 열풍 파이프와, 상기 가두리 망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위치하며 유입되는 적조 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적조 감지기와, 상기 적조 감지기에서 감지되는 적조 농도에 따라 상기 공기 압축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 구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37725 discloses an air compressor for compressing atmospheric air to a high pressure and an air compressor connected at one end to a cold air discharge port of an air cooler and having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t its surface to extend and extend along the lower outer side of a cage net A hot air pipe connected to the hot air discharge port of the air cooler at one end and having a plurality of vent holes at a surface thereof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cold air pipe by a predetermined vertical heigh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red tide detected by the red tide senso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d tide rescu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23888호에서는 내부에 어류가 수용되어 양식되는 그물망과 상기 그물망의 둘레면을 따라 구획설치되고 해수면에 부유되는 작업로와 상기 작업로의 둘레부를 따라 둘러싸고 해수면에 부유되는 부유물로 형성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상측단이 체결되고 해수가 통과되는 작은 미세공이 형성되며 표면에 일측이 절개된 절개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차단막과 상기 차단막의 절개부에 매달려서 상기 차단막이 해수면으로부터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중량추와 상기 차단막의 하단측에는 차단막이 해수의 흐름에 따라 좌 또는 우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를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23888 discloses a fishing net which is formed by a mesh network in which fish are contained and cultured and a work channel which is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net and floated on the sea surface and a float which surrounds the circumference of the work channel and floats on the sea surface A shielding membrane having at least one incision formed at one side thereof on the surface thereof, and a shielding membrane suspended from the incised portion of the shielding membrane so that the shielding membrane floats from the sea level And a barrier weight for preventing the barrier membrane from flowing to the left or right depending on the flow of seawater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arrier membrane. 그러나 상기 발명들은 본 발명은 상부전극프레임, 상기 상부전극프레임에 형성된 전극홀더에 일단이 연결되고 수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 전기를 이용하여 강한 충격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전극, 하부전극프레임, 및 상기 전극에 연결되어 전기의 연결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치와는 그 구성 및 효과에서 차이를 보인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provided an upper electrode frame, an electrode connected at one end to an electrode holder formed at the upper electrode frame and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water surface to generate strong impact energy using electricity, a lower electrode fram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of electricity to the cage aquaculture device.

본 발명은 내해에 밀집되어 있는 양식장에 적조가 발생하였을 때에 짧은 시간 내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를 극복하고, 이전 적조 구제 방법인 황토살포에 의한 구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자극에 의한 적조 구제 방법을 가두리 양식장에 적합하게 실현시킬 수 있는 가두리 양식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the problem of occurrence of massive damage within a short time when red tide occurs in a farm concentrated in the seawater, an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redemption by the red tide redemption metho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ge aquaculture device capable of realizing a method suitable for a cage farm.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면과 평행으로 형성되며 일정간격으로 전극홀더가 형성된 상부전극프레임, 상기 상부전극프레임에 형성된 전극홀더에 일단이 연결되고 수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 전기를 이용하여 강한 충격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전극, 상기 전극의 타단이 연결된 전극홀더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하부전극프레임, 상기 상부전극프레임의 일면에 연결되어 부력을 제공하는 부이, 상기 하부전극프레임의 일면에 연결되어 전극이 수면의 하부로 연장되도록 무게를 제공하는 추 및 상기 전극에 연결되어 전기의 연결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pper electrode frame formed in parallel with a water surface and having electrode holder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e end connected to an electrode holder formed on the upper electrode frame, A lower electrode frame having electrode holders to which the other ends of the electrodes are connected at regular intervals, a buoy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upper electrode frame to provide buoyancy, and a lower electrode frame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lower electrode frame, A weight for providing weight so that the electrode extends to a lower portion of the water surface, and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electrode for adjusting electrical connection.

본 발명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적조발생에 취약하여 막대한 피해를 입고 있는 내해 가두리 양식장에서 적조 발생 시, 신속히 적조를 제거하며, 적은 비용으로 설치가 용이하고, 자원의 소모나 환경문제 등 2차적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뛰어난 적조구제의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적조에 의한 산업적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By using the cage aquacultu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red tides quickly, to install at low cost, to consume resources and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The effect of excellent red tide can be obtained without causing a secondary problem, thereby preventing industrial damage caused by red tide.

도 1은 본 발명의 가두리 양식장치의 본체 케이스 전면을 개발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두리 양식장치의 의 본체 케이스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가두리 양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두리 양식장치의 전원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두리 양식장치의 전자접촉기 MC1의 동작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치의 전자접촉기 MC2의 동작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전자접촉기 MC1, MC2를 구동하는 트윈타이머(TWIN TIMER)회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순환 접점출력장치의 운전신호를 발생시키는 회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는 순환 접점출력장치 중 운전신호를 발생시키는 회로의 출력에 따라 전자접촉기를 동작시키는 릴레이회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치의 전자접촉기에 전극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치의 1면 유해생물차단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치의 유해생물 4면 차단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치가 가두리 양식장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가두리 양식장과 가두리 양식장치의 연결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development of a main body case front surface of a cage aquarium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main body case of the cage aquarium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age aquacultur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ower supply unit of the cage aquacultur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MC1 of the cage aquarium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MC2 of the cage aquarium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twin timer circuit for driving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s MC1 and MC2.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ircuit for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of the circulating contact output device.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relay circuit for operating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in accordance with an output of a circuit for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among circulating contact output devices.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lectrode connected to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of a cage aquar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blocking a single-sided harmful organism in the cage aquacultu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evice for cutting off four pests of a pest of a caged aquar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ge aquacultu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 cage farm.
Fig. 14 is an enlarged view of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a cage farm and a cage aquaculture apparatus.

연안의 양식장 부근 조류는 매우 늦은 속도로 이동하므로 연안에서 적조를 포함한 유해생물은 양식장 주변의 4면 모두에서 발생한다. 이와 같은 형태의 유해생물을 구제하기 위해서는 구제장치가 설치된 선박을 양식장 주변으로 원형 운항시켜야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장시간 선박을 좁은 양식장 주변을 원형으로 운항시키는 것은 안전의 문제뿐만 아니라 비용 및 효율성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연안의 양식장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구제를 위해서는 양식장 4면에서 유해생물 구제가 실시되어야하며 유해생물 구제를 위한 전기 에너지의 피크 사용량을 제한하고 전기 자극 신호가 양식 어류에 피해가 전혀 없어야한다. Birds near coastal farms move at a very late rate, so harmful organisms, including red tide, on coasts occur on all four sides of the farm. In order to relieve these types of harmful organisms, ships equipped with relief devices should be circulated around the farm. However, in reality, it is not desirable to operate a long-time vessel around a narrow farm in a circular manner, not only in terms of safety but also in cost and efficiency. For more efficient relief in coastal aquaculture, hazardous bioremediation must be carried out on four sides of the farm, and the peak use of electrical energy for the rescue of harmful organisms should be limited and the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should not be harmful to the aquaculture.

이와 같은 전기 자극에 의한 적조구제방법은 황토발포법에 비해 2차 오염의 발생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다만 유해생물 구제를 위한 전기 자극 범위 내에 전기 자극에 의한 어류의 피해 발생의 위험이 내재되어있는 관계로 전기 자극 신호를 출력하는 전극 주변에 어류 접근을 차단하는 그물망을 설치하고 양식장 인근에서 사용 시 접근 거리에 제한을 두고 운영하도록 하고 있다.This red tide remedy method by electric stimulation is characterized by less occurrence of secondary pollution than the yellow clay foaming method. However, since there is inherent risk of damage to fish caused by electric stimulation within electric stimulation range for harmful biological remedy,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mesh to block the access to fish around the electrode outputting electric stimulation signal, It is operated by a limited number of streets.

본 발명인 ‘4면 차단이 가능한 가두리 양식장 전용 유해생물 구제장치’는 양식장 4면 모두에 유해생물 구제용 전기 자극 신호용 전극을 설치하여 양식장 주변에서 발생한 유해생물을 구제하는 것으로 구제용 전기 자극 신호에 의한 어류의 피해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전기 에너지의 피크 사용량이 낮은 저비용 고효율의 양식장 전용의 적조구제장치를 제작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for restraining the four sides of a caged aquaculture poultry farm', is provided with an electrode for electric stimulation signal for poultry rescue on all four sides of a farm, thereby relieving harmful organisms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the farm. A low-cost, high-efficiency red tide salvage system for farms with low peak usage of electrical energy without causing damage to fish was constructed.

도 1은 본 발명의 가두리 양식장치의 본체 케이스 전면을 개발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체 케이스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총 12개의 3상 전자접촉기로 24개의 구제용 전극을 제어하여 유해생물을 구제하도록 하였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development of a main body case front of a cage aquariu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main body case. A total of 12 three-phase contactors were used to control 24 electrodes for remediation. A more detailed description follows.

1. 구조도1. Structure

도 3은 본 발명의 가두리 양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인 ‘가두리 양식장치’는 전원장치1, 전원장치2, 순환접점출력장치 그리고 전극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인 ‘가두리 양식장치’의 특징은 전기에너지의 피크 사용량을 제한하기 위해 순차 출력 방식을 적용하였고 빠른 구제를 위해 2면에 전기 자극 신호를 동시에 출력하면서도 양식어류에 감전 등의 피해가 없도록 전기적으로 완전히 절연된 두 개의 전원장치를 동시에 운영하도록 한 것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age aquacultur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ge aquacultur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ower supply device 1, a power supply device 2, a circulating contact output device, and an electrode. The 'cage aquacultur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quential output method is applied to limit the peak usage of electric energy, and electric stimulation signals are simultaneously output on two sides for quick relief, Two fully-isolated power supplies operate simultaneously.

2. 전원장치2. Power supply

도 4는 본 발명의 가두리 양식장치의 전원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전원장치 1, 전원장치 2는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전원장치 1, 전원장치 2는 동일한 전원을 입력받아 매우 높은 절연저항을 가지는 트랜스 퍼머 T1을 통해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트랜스퍼머 T1을 통해 전기적으로 절연된 전원장치 1, 전원장치 2의 전기절연의 값은 대략 100㏁이상으로 이는 두 개의 전원장치의 출력이 전기적으로 어떠한 쇼트 현상도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상세한 동작은 다음과 같다.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ower supply unit of the cage aquacultur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device 1 and the power supply device 2 have the same configuration. Power supply 1 and power supply 2 are electrically isolated from the same power source through Transformer T1, which has a very high insulation resistance. The value of electrical insulation of the power supply 1 and the power supply 2 electrically isolated by the transformer T1 is about 100 MΩ or more, which means that the output of the two power supply devices does not cause any electrical short circuit. More detailed operation is as follows.

일반의 사용 전원인 AC220V이 트랜스 퍼머 T1에 입력되면 트랜스퍼머 T1의 2차측에는 회로 구동용 전원 12V 1A와 적조구제용 전기신호인 25V 100A가 출력된다. 적조구제용 전기신호 25V 100A는 다이오드 D1, D2에서 정류되어 출력용 콘덴서 C1에 충전된다. 이때 전압은 E = 25 * √2 = 35.35VDC 가 된다. 35.35VDC는 서로 병렬 연결된 전자접촉기 MC12, MC2에 입력된다.When AC220V, which is a general power source, is input to the transformer T1, 12V 1A of the circuit driving power and 25V 100A of the red signal are output to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T1. The red tide relief electric signal 25V 100A is rectified by the diodes D1 and D2 and charged to the output capacitor C1. At this time, the voltage becomes E = 25 * √2 = 35.35VDC. 35.35 VDC are input to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s MC12 and MC2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전자접촉기 MC1, MC2는 서로 상대방의 B접점에 구동 코일이 연결되어 동시에 구동은 불가능하며 반드시 하나의 전자접촉기만 구동한다. MC1, MC2의 출력도 서로 반대 극성으로 병렬 연결되어있다. 이런 구성은 전자접촉기 MC1, MC2 중 동작하는 전자접촉기에 따라 출력의 극성이 반전되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s MC1 and MC2, the drive coils are connected to the contact B of the other side so that they can not be driven simultaneously, and only one electromagnetic contactor is necessarily driven. The outputs of MC1 and MC2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opposite polarities. This configuration means that the polarity of the output is inverted according to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operating among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s MC1 and MC2.

도 5는 본 발명의 가두리 양식장치의 전자접촉기 MC1의 동작을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치의 전자접촉기 MC2의 동작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전자접촉기 MC1은 동작하여 적조구제용 전기신호가 +/-의 극성으로 출력된다. 전자접촉기 MC2는 동작하여 적조구제용 전기신호 가 반전된 -/+의 극성으로 출력되는 것을 도식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전자접촉기 MC1, MC2의 반복동작은 일정한 주파수를 가지는 AC전원을 발생시켜 전극의 소손을 방지하고 직류전원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한다.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MC1 of the cage aquariu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MC2 of the cage aquar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MC1 operates to output the electric signal for redeye relief with +/- polarity.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MC2 operates to output the polarity of the polarity of the reversed electric signal for red-eye relief. The repetitiv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s MC1 and MC2 generates an AC power source having a constant frequency, thereby preventing the electrode from being burned down and solving the problems caused by the use of the DC power source.

도 7은 전자접촉기 MC1, MC2를 구동하는 트윈타이머(TWIN TIMER)회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전자접촉기 MC1, MC2의 동작은 트윈타이머(TWIN TIMER)에 의해 결정된다. 트윈타이머(TWIN TIMER)에 전원이 인가되면 트윈타이머(TWIN TIMER)는 A접점으로 AC전압을 출력하는데 트윈타이머(TWIN TIMER) A접점으로 출력된 AC전압은 전자접촉기 MC1의 B접점을 통해 전자접촉기 MC2의 코일로 입력된다. 전자접촉기 MC2의 코일에 AC전압이 인가되면 전자접촉기 MC2는 구동하여 적조구제용 전기신호 -/+를 출력한다. 또한 전자접촉기 MC2가 동작하면 전자접촉기 MC2의 B접점이 오프(off)되어 전자접촉기 MC1은 구동이 불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동작은 전자접촉기 MC1,MC2의 동시작동으로 생기는 쇼트로 인한 회로의 파괴를 방지한다.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twin timer circuit for driving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s MC1 and MC2.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s MC1, MC2 is determined by a twin timer.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TWIN TIMER, the TWIN TIMER outputs the AC voltage to the A contact. The AC voltage output to the TWIN TIMER A contact is applied to the contactor through the contact B of the magnetic contactor MC1. MC2. ≪ / RTI > When an AC voltage is applied to the coil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MC2,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MC2 is driven to output an electric signal - / + for redeying relief. When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MC2 is operated, the B contact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MC2 is turned off, and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MC1 becomes impossible to drive. This operation prevents the breakdown of the circuit due to the short circuit caused by the simultaneous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s MC1 and MC2.

트윈타이머(TWIN TIMER)에 설정된 시간이 종료되면 트윈타이머(TWIN TIMER)는 B접점으로 출력을 전환한다. 트윈타이머(TWIN TIMER)의 출력이 B접점으로 전환되면 전자접촉기 MC2의 B접점을 통해 전자접촉기 MC1의 코일로 입력된다. 전자접촉기 MC1의 코일에 AC전압이 인가되면 전자접촉기 MC1는 구동하여 적조구제용 전기신호 +/-를 출력한다. 이때도 또한 전자접촉기 MC1이 동작하면 전자접촉기 MC1의 B접점이 오프(off)되어 전자접촉기 MC2는 구동이 불가능해진다.When the time set in the TWIN TIMER is completed, the TWIN TIMER switches the output to the B contact. When the output of the TWIN TIMER is switched to the B contact, it is inputted to the coil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MC1 through the contact B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MC2. When an AC voltage is applied to the coil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MC1,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MC1 is driven to output an electric signal +/- for redeying relief. At this time as well, when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MC1 is operated, the B contact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MC1 is turned off and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MC2 becomes impossible to drive.

3. 순환 접점출력장치3. Circular contact output device

도 8은 순환 접점출력장치의 운전신호를 발생시키는 회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인 ‘유해생물 4면 차단이 가능한 가두리 양식장치’는 총 24개의 전극으로 구현하였다. 양식장의 크기에 따라 전극의 숫자는 가변이 가능하다. 전극 24개는 3개를 1조로 하며 유해생물 구제의 공백을 없애기 위해 중첩되어 12개조로 구성한다. 각조는 3상의 전자접촉기로 운전되며 전자접촉기는 전극의 12개조에 따라 총 12개이다. 12개의 전자접촉기는 구제 속도 향상을 위해 마주보는 전극을 운전하는 전자접촉기를 한조로 하여 총 6개로 편성하였다. 이는 총 6번의 출력신호로 전극 24개에 구제신호를 모두 출력하는 것으로 신호 당 3초씩 소요될 경우 양식장 4면을 구제하는데 18초 소요되는 것을 의미한다.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ircuit for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of the circulating contact output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a cage aquaculture device capable of blocking four sides of harmful creatures' is realized with a total of 24 electrod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arm, the number of electrodes can be variable. Twenty-four electrodes are grouped into three, and twelve pairs of electrodes are stacked to eliminate gaps in harmful organisms. Each set is operated by three phase magnetic contactors, and the total number of the contactors is 12 according to the 12 electrodes of the electrode. Twelve electromagnetic contactors were assembled in total of six with a magnetic contactor operating opposite electrodes to improve the speed of relief. This means that all of the remediation signals are output to 24 electrodes with a total of 6 output signals, which means that it takes 18 seconds to rescue four sides of the farm if 3 seconds is required per signal.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순환 접점출력장치의 운전신호를 발생시키는 회로로 기본 적조구제시간 3초를 발생시키는 타이머 S1, 그리고 타이머S1의 신호를 분주하여 6회마다 초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IC1 4017 그리고 IC1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여 릴레이를 구동시키는 IC2 2003 그리고 릴레이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적조의 밀도에 따라 타이머 S1의 시간을 설정한다. 타이머 시간이 길수록 구제효율은 증가하며 1회 4면 구제시간은 길어진다. 최초 타이머 S1의 신호가 입력되면 IC1은 Q0를 출력한다. 3초 후 다시 타이머 S1의 신호가 입력되면 IC1은 Q1을 출력한다. 이처럼 타이머 S1의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IC1은 Q1→ Q2→ Q3→ Q4→ Q5를 출력하고 다시 타이머 S1의 신호가 입력되면 IC1은 Q6을 출력하는데 Q6은 IC1의 리셋(RESET)에 연결되어 IC1을 리셋시켜 초기화 시키며 그럼 IC1은 Q1을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은 6번의 타이머 신호마다 무한 반복된다.As shown in FIG. 8, the circuit for generating the operation signal of the circulating contact output device includes a timer S1 for generating a basic redeye recovery time of 3 seconds, an IC1 4017 for generating the initial signal every 6 times by dividing the signal of the timer S1, IC2 2003, which amplifies the output signal of IC1 and drives relay, and relay. The user sets the time of the timer S1 according to the density of the red tide. The longer the timer time, the greater the relief efficiency and the longer the four-sided relief time. When the signal of the first timer S1 is inputted, IC1 outputs Q0. When the signal of the timer S1 is inputted again after 3 seconds, IC1 outputs Q1. Whenever the timer S1 signal is input, IC1 outputs Q1 → Q2 → Q3 → Q4 → Q5. When the signal of timer S1 is input again, IC1 outputs Q6. Q6 is connected to IC1 reset (reset) And then IC1 outputs Q1. This operation is repeated infinitely for every six timer signals.

도 9는 순환 접점출력장치 중 운전신호를 발생시키는 회로의 출력에 따라 전자접촉기를 동작시키는 릴레이회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릴레이회로는 총 6조이며 각조는 두 개의 전자접촉기를 구동한다.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relay circuit for operating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in accordance with an output of a circuit for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among circulating contact output devices. The relay circuit is a total of six sets, each of which drives two electromagnetic contactors.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치의 전자접촉기에 전극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각 전극은 중첩되어 운전되므로 구제의 공백이 없다.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lectrode connected to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of a cage aquar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each electrode is operated in superposition, there is no space for remedy.

4. 전극4. Electrode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치의 1면 유해생물차단(100)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극은 은이 함유된 스텐레스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수직으로 설치하였다. 하단에는 무거운 추(150)를 달고 상단에는 부력을 제공하는 부이(140)를 설치하여 전극의 구조물이 해수면에 안정적으로 부유될 수 있게 하였다. 각 전극에서 전선이 인출되어 전극홀더상(130) 및 전극홀더하(131)에 고정되어 가두리 양식장의 아래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전극홀더상(130)는 상부전극프레임(110)에 고정되고, 전극홀더하(131)는 하부전극프레임(111)에 고정되어 있어 상부 및 하부전극프레임(110, 111)의 간격에서 전극(120)이 작용하게 된다. 하부전극프레임(111) 아래에 추(150)를 달아 상부전극프레임 및 하부전극프레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며, 양식장 주변의 수류에 휩쓸리지 않고 전극(120)이 일정 범위에서 작용하도록 한다.1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ingle-sided pest control 100 of a cage aquar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was made of stainless steel electrode containing silver and installed vertically. And a buoy 14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to provide a weight 150 and a buoyancy at the upper end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can be stably floated on the sea surface. Electric wires are drawn out from each electrode and fixed to the electrode holder 130 and the electrode holder 131, and extend vertically below the cage farm. The electrode holder 130 is fixed to the upper electrode frame 110 and the lower electrode holder 131 is fixed to the lower electrode frame 111 so that the ga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 frames 110, ). The weights 150 are placed under the lower electrode frame 111 so that the gap between the upper electrode frame and the lower electrode frame is kept constant and the electrode 120 is allowed to act in a certain range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flow around the farm.

상기 전극(120)은 수면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하며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각 전극 간의 간격은 전극홀더의 간격에 의해 결정된다. 이때 유해생물 구제용 전극과 전기에너지는 교류 60 Hz 전기를 이용하여 강한 충격 에너지 발생이 용이한 펄스형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강한 충격을 발생시키기 위한 교류전원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한다. 전기 자극을 이용한 적조 구제 시 사용되는 전기 자극신호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60㎐ 펄스 교류전원을 사용함으로써 강한 충격 에너지 발생이 용이하고 구제의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펄스방식은 구제 속도는 느리지만 강도가 강하며 비저항이 낮은 지역에서도 사용이 용이하다.The electrodes 120 ar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nd perpendicular to the water surface.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is determin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holders. In this case, since the electrode for harmful biohazard and the electric energy are used in pulse form in which strong impact energy is easily generated by using AC 60 Hz electricity, it is characterized by using an AC power source for generating a strong impact. There are many kinds of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s used in red tide remedy using electrical stimulation. However, by using 60Hz pulsed alternating current power, it is easy to generate strong impact energy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persistence of relief. Such a pulse method has a low relief speed but is easy to use even in a region where the strength is high and the resistivity is low.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치의 유해생물 4면 차단장치(200)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극은 가두리 양식장을 중앙에 두고 1면 유해생물차단(100)을 4면으로 둘러싸서 구성한다. 이때 전극(120)이 일정 간격으로 유지되고, 각 전극의 작용영역은 중첩되어 운전되므로 구제의 공백이 없다.FIG. 12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evice 400 for blocking four pests of a cage aquar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is composed of a cage pond at the center and one side surrounded by four sides of the pest control (100). At this time, the electrodes 120 are maintained at a constant interval, and the operation regions of the respective electrodes are overlapped and operated, so there is no space for remedy.

<< 실시예Example 1> 1>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치가 가두리 양식장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4는 가두리 양식장과 가두리 양식장치의 연결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일반적인 가두리 양식장은 가두리프레임(310) 상부에 발판을 형성하고, 하부에 그물망을 두어 양식어를 가두어 양식하게 되는데, 가두리 양식장의 4면을 본 발명의 가두리 양식장치를 장착하여 유해생물의 피해를 예방, 구제할 수 있다.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ge aquacultu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 cage farm, and FIG. 14 is an enlarged view of a connection unit between a cage aquaculture farm and a cage aquaculture apparatus. In general, a cage farm is formed by forming a foot plate on the cage frame 310, and a net i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cage frame 310. The four sides of the cage farm are equipped with a cage aquariu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harm , Can be saved.

전극(120)의 작용으로 방출되는 에너지가 양식장의 양식어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전극이 양식어에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가두리프레임(310)과 상부전극프레임(110)을 스페이서(400)로 연결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 파도나 파랑에 의해 장치전체가 움직이더라도 가두리프레임(310)과 상부전극프레임(110)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므로서 양식어가 전극에 의한 충격 에너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였다.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the electrode does not reach the cultured fish so that the energy released by the action of the electrode 120 does not affect the culture of the farm. The frame 310 and the upper electrode frame 1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pacer 400 so that the frame 310 and the upper electrode frame 110 ) Was maintained at a constant interval so that the cultured fish was not directly exposed to impact energy by the electrodes.

스페이서는 가두리프레임(310)과 상부전극프레임(110)의 4개의 모서리부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수평하도록 설치하며, 일단은 가두리프레임의 결속부재 파이프를 매개로 연결되며 타단은 상부전극프레임을 매개로 연결된다. 이때 가두리프레임(310)과 상부전극프레임(110)과 연결되는 스페이서(400)의 중간 부분은 힌지 형태의 상하로 접힐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여 파랑이나 파도등에 의해 높이차가 변동되는 힘을 받더라도 수면위에 부상한 각 구조물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The spacers are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ference to the four corners of the cage frame 310 and the upper electrode frame 110. One ends of the spac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upling member pipe of the cage frame, do. At this time, the middle part of the spacer 400 connected to the cage frame 310 and the upper electrode frame 110 is configured to be folded up and down in the form of a hinge, so that even if a difference in height difference is caused by wave or wave, The stability of each floating structure can be maintained.

본 발명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치는 적조발생에 취약하여 막대한 피해를 입고 있는 내해 가두리 양식장에서 유해생물 발생 시, 신속히 제거하며, 적은 비용으로 설치가 용이하고, 자원의 소모나 환경문제 등 2차적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뛰어난 구제의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적조에 의한 산업적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The cage aquacultur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sceptible to the occurrence of red tide, so that it can be quickly removed in case of harmful organisms in an inland sea cage farm which is suffering from enormous damage, easy installation at a low cost, secondary problems such as resource consumption and environmental problems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excellent remedy without causing it, and it is possible to be industrially used because it can prevent industrial damage caused by red tide.

100 : 1면 유해생물차단 110 : 상부전극프레임
111 : 하부전극프레임 120 : 전극
130 : 전극홀더상 131 : 전극홀더하
140 : 부이 150 : 추
200 : 유해생물 4면 차단장치
300 : 가두리양식장 310 : 가두리프레임
400 : 스페이서 500 : 컨트롤러
100: 1 cut off harmful organisms 110: upper electrode frame
111: lower electrode frame 120: electrode
130: electrode holder phase 131: electrode holder bottom
140: Buoy 150: Chu
200: 4-way cut-off device for harmful creatures
300: Cage farm 310: Cage frame
400: spacer 500: controller

Claims (9)

수면에 평행으로 4면을 에워싸도록 연결되며 일정간격으로 하나 이상의 전극홀더가 형성된 상부전극프레임; 일정 깊이의 수심에 평행으로 4면을 에워싸도록 연결되며 일정간격으로 하나 이상의 전극홀더가 형성된 하부전극프레임; 상기 상부전극프레임에 형성된 각각의 전극홀더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하부전극프레임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극의 상부전극프레임과 연결된 일단에는 트랜스퍼머를 통해 전기적으로 절연된 전원장치 1; 상기 전원장치 1과 동일한 전원을 입력받아 절연저항을 갖는 트랜스퍼머를 통해 전기적으로 절연된 전원장치 2; 및 순환접점출력장치가 연결되며, 상기 전극에 연결되어 전기의 연결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유해생물 4면 차단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해생물 4면 차단장치의 상부전극프레임과 하부전극프레임이 전극과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체적의 내측에는 수면에 평행으로 4면을 에워싸도록 가두리프레임이 연결되고 가두리프레임의 상부에는 발판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그물망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가두리 양식장치가 형성되며,
상기 가두리양식장치의 가두리프레임과 유해생물 4면 차단장치의 상부전극프레임이 이루는 모서리부에는 힌지 구조로 상하로 접힐 수 있는 스페이서가 형성되어 파도의 충격에도 상부전극프레임과 가두리양식장치가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생물 4면 차단이 가능한 가두리 양식장치.
An upper electrode frame connected to surround four surfaces in parallel to the water surface and having at least one electrode holder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 lower electrode frame connected to surround four sides in parallel to a water depth of a predetermined depth and having at least one electrode holder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e end of the electrode holder is connected to each electrode holder formed on the upper electrode frame, and the other end of the electrode holder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electrode frame,
A power supply 1 electrically isolated from the electrode through a transformer at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electrode frame; A power supply 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1 through a transformer having an insulation resistance, And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circulating contact output device and connected to the electrode to adjust electrical connection;
A cover frame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a volume formed by connecting the upper electrode frame and the lower electrode frame of the four-faced shielding device of the noxious organisms to the electrodes so as to surround four surfaces in parallel with the water surface, And a cage aquaculture device having a network connected to the lower part is formed,
A spacer, which is folded up and down by a hinge structure, is formed at the corner of the cage frame of the cage aquaculture device and the upper electrode frame of the device for blocking the four sides of the noxious creature so that the upper electrode frame and the cage aquarium Which is capable of blocking four kinds of harmful creatur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장치 1 또는 전원장치 2는 병렬로 연결된 전자접촉기 1과 전자접촉기 2에 연결되며, 상기 전자접촉기 1과 전자접촉기 2는 서로 반전되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생물 4면 차단이 가능한 가두리 양식장치.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supply device (1) or the power supply device (2) is connected to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 and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2) connected in parallel and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 and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Cage aquaculture device capable of blocking 4 sides of creatu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접촉기 1 또는 전자접촉기 2는 트윈타이머(TWIN TIMER)회로에 연결되어 구동되며, 상기 트윈타이머(TWIN TIMER)는 전자접촉기 1 또는 전자접촉기 2 중 하나만을 구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생물 4면 차단이 가능한 가두리 양식장치.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 or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2) is connected to and driven by a TWIN TIMER circuit, and the TWIN TIMER is capable of driving only one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Which is capable of blocking four kinds of pest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접점출력장치는 운전신호를 발생시키는 회로의 출력에 따라 전자접촉기를 동작시키는 릴레이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치.The cage form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circulating contact output device comprises a relay circuit for operating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 output of a circuit for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83245A 2017-06-30 2017-06-30 Submersible cage system for fish farming KR1018207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245A KR101820727B1 (en) 2017-06-30 2017-06-30 Submersible cage system for fish farm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245A KR101820727B1 (en) 2017-06-30 2017-06-30 Submersible cage system for fish farm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0727B1 true KR101820727B1 (en) 2018-01-22

Family

ID=61094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245A KR101820727B1 (en) 2017-06-30 2017-06-30 Submersible cage system for fish farm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72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2780B1 (en) * 1997-03-22 2000-02-01 홍기표 Digital timing relay
KR101582778B1 (en) * 2015-07-13 2016-01-05 박기붕 Fish faming n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2780B1 (en) * 1997-03-22 2000-02-01 홍기표 Digital timing relay
KR101582778B1 (en) * 2015-07-13 2016-01-05 박기붕 Fish faming n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Mitigation and controls of HABs
CA2926663C (en) Electrical fence and use of the same in a fish farm
US10849317B2 (en) Ultrasonic eradication of sea lice on farmed fish
CN203530947U (en) Movable river surface cleaning device
WO2018190550A1 (en) Oxygen supply device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Sellner et al. Prevention, control, and mitigation of harmful algal bloom impacts on fish, shellfish, and human consumers
JP2006101738A (en) Water tank for ashore cultivating migratory fish
KR101820727B1 (en) Submersible cage system for fish farming
KR101687385B1 (en) Towed electric stimulating net having electrode for elimination of red algae
CN203033815U (en) Advanced oxidation treatment device for prevention and control of red tide organism attack on seaborne culture zone
JP3740562B2 (en) Seawater sterilization method
KR101584284B1 (en) System for eradication of red tide and treatment of fish diseases for farm
CN101367578A (en) Integral electrocatalysis high-grade oxidized blue algae treatment platform
KR101368491B1 (en) Appliance for electrolysis attached ship and the method of sterilizing red tied using it
JP6645659B2 (en) How to eliminate bluefish
CN209922953U (en) Water treatment device for treating ship ballast by photoelectrocatalysis
CN209178963U (en) A kind of floating algae controlling device
CN105502675A (en) Floating island flow algae gathering and controlling system and usage thereof
KR101907262B1 (en) Apparatus for eliminating red tide
EP3346850B1 (en) Ultrasonic eradication of sea lice on farmed fish
CN201309850Y (en) Water disinfecting device for aquiculture
CN103058349B (en) Advanced oxidation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d tide plankton invasion on offshore culture zone
CN102107944A (en) Device for controlling red tides by using active oxygen particles
CN101234804B (en) Assembly type water bloom or red current treatment workbench
KR100636291B1 (en) Apparatus for eliminating red/green t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