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073B1 - 무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들의 발견 동안 발견 프로토콜의 구성가능한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들의 발견 동안 발견 프로토콜의 구성가능한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073B1
KR101820073B1 KR1020137032550A KR20137032550A KR101820073B1 KR 101820073 B1 KR101820073 B1 KR 101820073B1 KR 1020137032550 A KR1020137032550 A KR 1020137032550A KR 20137032550 A KR20137032550 A KR 20137032550A KR 101820073 B1 KR101820073 B1 KR 101820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wireless device
discovery
devices
wireless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2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8451A (ko
Inventor
폴 에이. 람버트
Original Assignee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38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발견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이 방법은, 구성가능한 파라미터를 갖는 발견 프로토콜을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개시하는 단계와, 여기서 발견 프로토콜은 하나 이상의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의 발견과 관련되며;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와; 그리고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결정된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의 개수에 근거하여 발견 프로토콜의 구성가능한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또한,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결정된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의 개수에 근거하여 조정된 바와 같은 발견 프로토콜의 구성가능한 파라미터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의 발견을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들의 발견 동안 발견 프로토콜의 구성가능한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DJUSTING A CONFIGURABLE PARAMETER OF A DISCOVERY PROTOCOL DURING DISCOVERY OF DEVICES IN A WIRELESS NETWORK}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개시내용은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3/492,137호(출원일: 2012년 6월 8일) 및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제61/494,613호(출원일: 2011년 6월 8일)에 대한 우선권 혜택을 주장하며, 이 특허출원들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디바이스들의 발견을 수행하기 위한 기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배경기술은 본 개시내용의 배경 상황을 전반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본 발명의 발명자로 명명된 사람들이 행한 작업은, 이러한 작업이 본 배경기술 부분에서 설명되는 한, 뿐만 아니라 (만약 본 배경기술 부분에서 설명되지 않은 경우 본 출원의 출원시 종래 기술로서의 자격이 없는) 여러 양상의 설명으로 제공되는 한, 본 개시내용에 대한 종래 기술로서 명백하게 인정되는 것이 아니며 암시적으로 인정되는 것도 아니다.
무선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무선 매체를 통해 함께 연결된 디바이스들의 네트워크를 말하며, 무선 배포 방법(예를 들어, 스프레드-스펙트럼(spread-spectrum) 혹은 직교 주파수-분할 멀티플렉싱(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OFDM))에 의해 무선 매체를 통해 통신을 행한다.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통신의 하나 이상의 표준들(이것은 또한 본 명세서에서 "무선 통신 표준"으로 지칭됨)에 특정된 프로세스들에 따라 전형적으로 동작한다. 무선 통신의 서로 다른 방법 및 표준은, 일반적으로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전송 범위에 근거하여, 아래의 표제로부터 식별되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카테고리(category)로 분류될 수 있다.
개인 영역 네트워크( Personal Area Network , PAN )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는 (전화기 및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들 간의 단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해 사용되는 컴퓨터 네트워크이다. PAN의 도달범위는 전형적으로 수 미터이다. PAN은 디바이스들 자신들의 특정 그룹 간의 통신(개체내 통신(intrapersonal communication))을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혹은 상위 레벨 네트워크 및/또는 인터넷으로의 연결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개인 영역 네트워크는 USB 및 파이어와이어(FireWire)와 같은 컴퓨터 버스들로 유선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전형적으로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는 가능하게는 적외선 및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무선 통신 표준으로 형성된다.
특히, 적외선 데이터 협회(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에서의 전형적인 사용을 위해, 적외선 광을 통한 데이터의 단거리 교환용 물리적 사양 통신 프로토콜 표준들(physical specifications communications protocol standards)을 정의한다. 블루투스는, IEEE 802.15.1로서 알려지기도 한,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용 산업 사양이다. 블루투스는 보안화된 전세계적 무허가 단거리 무선 주파수(secure, globally unlicensed short-range radio frequency)를 통해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모바일 폰(mobile phones), 랩탑(laptops), PC, 프린터, 디지털 카메라 및 비디오 게임 콘솔(video game consoles)) 간의 정보 교환 및 연결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로컬 영역 네트워크( Local Area Network , LAN )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무선 LAN 혹은 WLAN)는 일반적으로 유선연결을 사용함이 없이 둘 이상의 디바이스들을 연결(linking)하는 것에 대응한다. WLAN은 한정된 영역 내에서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라디오파(radio waves)에 근거하는 스프레드-스펙트럼 혹은 OFDM 기술을 사용하는바, 이것은 또한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로서 알려져 있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Wi-Fi 표준으로서 또한 지칭되는 IEEE 802.11 표준은 IEEE LAN/MAN 표준 위원회(IEEE LAN/MAN Standards Committee)의 워킹 그룹 11(working group 11)(IEEE 802)에 의해 개발된 무선 LAN/WLAN 표준들의 세트를 표시한다. IEEE 802.11 표준은 두 가지 타입(혹은 모드)의 무선 LAN 네트워크들((i) 인프라스트럭처 모드(infrastructure mode) 혹은 ESS 네트워크들) 및 (ii) ad-hoc 모드 혹은 IBSS(독립형 BSS) 네트워크)을 지원한다.
대도시 영역 네트워크( Metropolitan Area Network , MAN )
무선 대도시 영역 네트워크(MAN)는, 무선 대도시 영역 네트워크 표준(상업적으로는 WiMAX로서 알려져 있음)(이 표준은 안테나들을 통한 고정형 혹은 이동형 디바이스들로부터의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정의함)을 위한 광대역 무선 액세스 표준에 관한 IEEE 802.16 워킹 그룹에 의해 상표화된 명칭이다. WiMAX는 IEEE 802.16 표준의 순응성(conformance) 및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촉진시키기 위해 2001년 6월에 형성된 WiMAX 포럼에 의해, 마이크로파 액세스를 위한 전세계적 상호운영성(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으로서 정의된 것이며, 공식적으로는 무선MAN(WirelessMAN)으로서 알려져 있다. WiMAX 표준에 따라, 가입자 스테이션들(subscriber stations)은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에 연결된 기지국들(base-stations)과 통신할 수 있다.
와이드 영역 네트워크( Wide Area Network , WAN )
와이드 영역 네트워크 혹은 WAN은, 객실, 빌딩 혹은 캠퍼스에 전형적으로 한정되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혹은 대도시 영역 네트워크(MAN)와는 대조적으로, 넓은 지리적 영역을 커버(cover)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다. WAN의 가장 널리 알려져 있고 가장 잘 알려져 있는 예는 인터넷이다. 추가적으로, WAN은 또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EDGE(Exchang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3G,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모바일 데이터 통신을 지칭한다.
무선 통신 표준은 전형적으로,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가 또 하나의 다른 무선 디바이스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들 혹은 프로세스들을 특정한다. 이러한 프로토콜들은 일반적으로 발견 프로토콜들로 지칭된다. 예를 들어,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무선 LAN(혹은 ESS 네트워크)과 관련된 발견 프로토콜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는, 통신용으로 이용가능한 다수의 무선 주파수들(혹은 채널들) 중 하나를 통해 정기적으로(예를 들어, 대략 매 100 mSec 마다) 짧은 무선 메시지들(이것은 비컨들(beacons)로서 지칭됨)을 전송함으로써 자신의 존재를 광고(advertise)한다. 비컨들은 액세스 포인트의 능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파워 절약 모드(power saving modes)와 같은 프로토콜 동작들 중 일부에 대한 타이밍 기준(timing reference)의로서의 역할도 한다. 비컨 내에서 광고된 능력은 네트워크 명칭 혹은 SSID, 지원되는 데이터 전송속도 등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들은, 능동 스캐닝 프로세스(active scanning process)를 수행함으로써 혹은 수동 스캐닝 프로세스(passive scanning process)를 수행함으로써 ESS 네트워크에서 AP와 연결될 수 있다. 능동 스캐닝 프로세스는 무선 디바이스가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을 AP에 전송하는 것(그리고 이후 궁극적으로는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반면 수동 스캐닝 프로세스에서는, 무선 디바이스가 통신용으로 이용가능한 다수의 무선 주파수들(혹은 채널들) 중 하나를 통해 비컨들을 경청한다. 무선 디바이스가 AP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발견하면, 무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IEEE 801.11 표준(이것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통합됨)에서 특정된 바와 같은 인증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IBSS 네트워크와 관련된 발견 프로토콜에 따라, 제 1 디바이스는 먼저 제 2 디바이스로부터의 비컨을 경청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제 2 디바이스들을 발견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가 임의의 비컨들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전형적으로 제 1 디바이스는 비컨의 전송 전에 (고정된 범위 내에서) 임의 시간 동안 기다린다. 그러나,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로부터 비컨을 수신하는 경우,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와의 타이밍을 동기화시킬 수 있고, 두 개의 디바이스들은 IEEE 802.11 표준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알고리즘에 따라 비컨을 전송하는 프로세스를 공유할 수 있다.
많은 수(예를 들어, 10개 혹은 그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들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들의 사용자들이 존재할 수 있는 영역 혹은 장소(예를 들어, 경기장 혹은 콘서트장과 같은 여흥 장소)에서, 다양한 무선 채널들을 통한 상당량의 통신은 발견 관련 트래픽(discovery-related traffic)(예를 들어, 비컨, 프로브 요청, 프로브 응답, 등)을 포함할 수 있는바, 이는 데이터 통신에 있어 무선 채널들의 전체 대역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체 대역폭에서의 이러한 손실은, 소정의 영역 혹은 위치에 존재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들의 수에 상관없이, (다른 무선 디바이스를 발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프로세스들(혹은 단계들)을 특정하는 종래의 발견 프로토콜에 부분적으로 그 원인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는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발견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이 방법은 구성가능한 파라미터(configurable parameter)를 갖는 발견 프로토콜(discovery protocol)을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개시(initiate)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발견 프로토콜은 하나 이상의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의 발견과 관련된다. 이 방법은 또한,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의 개수를 결정하는 것, 그리고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결정된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의 개수에 근거하여 발견 프로토콜의 구성가능한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또한,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결정된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의 개수에 근거하여 조정된 바와 같은 발견 프로토콜의 구성가능한 파라미터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의 발견을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완료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또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는 네트워크 발견 서비스를 포함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를 설명한다. 네트워크 발견 서비스는 구성가능한 파라미터를 갖는 발견 프로토콜을 개시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발견 프로토콜은 하나 이상의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의 발견과 관련된다. 네트워크 발견 서비스는 또한,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의 개수를 결정하는 것과;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결정된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의 개수에 근거하여 발견 프로토콜의 구성가능한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것과; 그리고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결정된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의 개수에 근거하여 조정된 바와 같은 발견 프로토콜의 구성가능한 파라미터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의 발견을 완료하는 것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하나 이상의 구현예들의 잠재적인 장점은, 예를 들어, 소정의 영역에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들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들의 사용자들이 존재하는 경우, (ESS 네트워크에서) 비컨 주기(beacon period)를 연장(extend)시킴으로써, 혹은 (IBSS 네트워크에서) 초기 비컨이 전송될 (임의의) 백오프 시간(backoff time)을 연장시킴으로써, 다양한 무선 채널들을 통한 발견-관련 트래픽의 총 개수를 잠재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소정의 영역 내에서의 무선 디바이스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기법들에 근거하여 무선 디바이스들과 관련된 발견 프로토콜들을 채택함으로써 파워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들의 세부사항이 아래의 설명 및 첨부되는 도면에서 제시된다.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 도면 그리고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구현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발견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은 일 구현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여러 도면들에서의 동일한 참조 기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제 1 무선 디바이스(102)와 제 2 무선 디바이스(104)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100)를 예시한다. 무선 네트워크(100)가 두 개의 무선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제시되었지만, 무선 네트워크(100)는 임의 개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100)는 배경기술 부분에서 설명된 무선 네트워크들의 타입들 중 임의의 타입에 대응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개인 영역 네트워크,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대도시 영역 네트워크, 와이드 영역 네트워크 등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무선 디바이스(102)와 제 2 무선 디바이스(104)는 배경기술 부분과 연계되어 설명된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표준들(예를 들어, IEEE 802.11 표준, 블루투스, 적외선, GPRS, WiMAX, EDGE, 3G, HSDPA 등)에 따라 통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무선 디바이스(104)와의 무선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제 1 무선 디바이스(102)는 네트워크 발견 서비스(106)를 포함하는바, 여기서 네트워크 발견 서비스(106)는 구성가능한 파라미터를 갖는 발견 프로토콜을 수행하며, 구성가능한 파라미터는 (일 구현예에서) 제 1 무선 디바이스(102)의 소정의 범위 내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수에 따라 달라진다. 존재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들의 수에 상관없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프로세스들을 일반적으로 특정하는 종래의 발견 프로토콜과는 달리,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발견 프로토콜은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소정의 영역에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들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들의 사용자들이 존재하는 경우, (ESS 네트워크에서) 비컨 주기를 연장시킴으로써, 혹은 (IBSS 네트워크에서) 초기 비컨이 전송될 (임의의) 백오프 시간을 연장시킴으로써, 다양한 무선 채널들을 통한 발견-관련 트래픽의 총 개수를 잠재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구성가능한 파라미터는, 디바이스가 발견-관련 패킷들(예를 들어, 비컨들, 프로브 요청들, 프로브 응답들, 퍼블릭 액션 프레임(public action frame)들)을 전송하는 파워, 비컨이 전송되는 간격(비컨 주기), 비컨이 (예를 들어, 소정의 영역 내에서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개수에 근거하여 백오프 알고리즘을 조정함으로써) 전송될 (임의의) 백오프 시간, 프로브 요청을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 프로브 응답을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 그리고 비컨을 전혀 전송하지 않을 것인지의 여부 중 하나 이상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는 일 구현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발견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200)을 나타낸다. 제 1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제 1 무선 디바이스(102))에서, 하나 이상의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의 발견을 위한 (구성가능한 파라미터를 갖는) 발견 프로토콜이 네트워크 발견 서비스에 의해(예를 들어, 네트워크 발견 서비스(106)에 의해) 개시된다(단계(202)). 발견 프로토콜은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무선 통신 표준들(이것은 예를 들어, IEEE 802.11 표준, 블루투스, 적외선, GPRS, WiMAX, EDGE, 3G, HSDPA 등을 포함함)과 관련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구성가능한 파라미터는, (i) 디바이스가 발견-관련 패킷들(예를 들어, 비컨들, 프로브 요청들, 프로브 응답들, 퍼블릭 액션 프레임들)을 전송하는 파워, (ii) 비컨이 전송되는 간격(비컨 주기), (iii) 비컨이 (예를 들어, 소정의 영역 내에서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개수에 근거하여 백오프 알고리즘을 조정함으로써) 전송될 (임의의) 백오프 시간, (iv) 프로브 요청을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 (v) 프로브 응답을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 그리고 (vi) 비컨을 전혀 전송하지 않을 것인지의 여부 중 하나 이상에 대응할 수 있다.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소정의 범위 내의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의 수는 네트워크 발견 서비스에 의해 결정된다(단계(204)). 일 구현예에서,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소정의 범위 내의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의 수는 네트워크 발견 서비스에 의해 직접적으로 결정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소정의 범위 내에 얼마나 많은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이 있을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무선 채널들을 직접적으로 청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BSS 네트워크에서,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발견-관련 패킷들(예를 들어, 비컨들, 프로브 요청들 및/또는 프로브 응답들)을 청취할 수 있고, 제 1 무선 디바이스를 둘러싸고 있을 수 있는 서로 다른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응하는 다양한 고유 MAC 어드레스들을 캡처(capture)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네트워크 발견 서비스는 제 1 무선 디바이스를 둘러싸고 있을 수 있는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의 개수를 간접적으로 결정하는바, 예를 들어,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위치 및/또는 시각(time of day)에 근거하여 간접적으로 결정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네트워크 발견 서비스는, 만약 위치결정 디바이스(예를 들어, GPS 시스템, 혹은 제 1 무선 디바이스와 관련된 다른 지리적위치결정 디바이스)가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위치는 경기장에 대응함 그리고 시각은 경기장에서 경기가 일어나는 시간에 대응함을 표시한다면, 제 1 무선 디바이스를 둘러싸고 있는 다수의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이 존재할 수 있는지를 간접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의 개수는, 하나 이상의 특정 무선 통신 표준들(예를 들어, Wi-Fi 표준)에 따라 통신을 행하는 오로지 그러한 무선 디바이스들만에 대응하고, 하나 이상의 특정 무선 통신 표준들에 따라 통신하지 않는 (예를 들어, 셀률러 표준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들은 제외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의 개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표준에 따라 통신을 행하는 모든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응하는바, 예를 들어, 만약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LTE 송수신기, 블루투스 송수신기 및 Wi-Fi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있다면,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의 개수는 LTE 셀률러 표준, 블루투스 표준 및 Wi-Fi 표준에 따라 통신을 행할 수 있는 (제 1 무선 디바이스를 둘러싸고 있는) 모든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응한다.
발견 프로토콜의 구성가능한 파라미터는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의 개수에 근거하여 (예를 들어, 네트워크 발견 서비스에 의해) 조정된다(단계(206)).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구성가능한 파라미터는, 디바이스가 발견-관련 패킷들(예를 들어, 비컨들, 프로브 요청들, 프로브 응답들, 퍼블릭 액션 프레임들)을 전송하는 파워, 비컨이 전송되는 간격(비컨 주기), 비컨이 (예를 들어, 소정의 영역 내에서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개수에 근거하여 백오프 알고리즘을 조정함으로써) 전송될 (임의의) 백오프 시간, 프로브 요청을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 프로브 응답을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 그리고 비컨을 전혀 전송하지 않을 것인지의 여부 중 하나 이상에 대응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일 구현예에서는,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의 개수에 근거하여 발견 프로토콜의 구성가능한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것 대신에 혹은 이러한 조정하는 것과 결합하여, 발견 프로토콜의 구성가능한 파라미터는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위치에 근거하여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구성가능한 파라미터는 위치결정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위치에 오로지 근거하거나 혹은 여기에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의 발견은, 발견 프로토콜의 조정된 구성가능한 파라미터에 따라 (예를 들어, 네트워크 발견 서비스에 의해)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완료된다(단계(208)). 예를 들어, IBSS 네트워크에서, 제 1 무선 디바이스를 둘러싸고 있는 다수의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이 있는 경우,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백오프 알고리즘은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비컨을 전송하는 시간을 지연시키도록 조정될 수 있다. 또 하나의 다른 예로서, ESS(혹은 BSS)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비컨 주기는 액세스 포인트가 다수의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 및/또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에 의해 둘러싸인 환경에서 연장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다수의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경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발견-관련 패킷들을 전송하는 파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무선 디바이스(300)의 일 구현예를 예시한다. 무선 디바이스(300)는 도 1의 제 1 무선 디바이스(102)와 제 2 무선 디바이스(104) 중 하나 혹은 양쪽 모두에 대응할 수 있다. 도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300)는 수신기 회로(302), 네트워크 발견 서비스(304), 구성가능한 파라미터(306), 전송 회로(308) 및 메모리(310)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300)는 또한, (일 구현예에서) 네트워크 발견 서비스(304)와 관련된 명령들을 실행시키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수신기 회로(300)는 발견 관련 트래픽(예를 들어, 비컨, 프로브 응답, 프로브 요청, 퍼블릭 액션 프레임 등)을 수신하기 위해 경청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 발견 서비스(304)는 수신기 회로(302)에 의해 수신된 발견 관련 트래픽에 근거하여 (예를 들어, 앞서의 예들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구성가능한 파라미터(306)를 조정한다. 전송 회로(308)는 네트워크 발견 서비스(304)에 의해 조정된 바와 같은 구성가능한 파라미터(306)에 따라 발견 관련 트래픽(예를 들어, 비컨, 프로브 응답, 프로브 요청, 퍼블릭 액션 프레임 등)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앞서 설명된 방법의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의 단계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가능한 프로세서들에 의해 수행되어, 입력 데이터에 관해 동작하고 출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구현예들은 전체적으로 하드웨어 실시예의 형태, 전체적으로 소프트웨어 실시예의 형태,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요소 모두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하는(하지만 이러한 것에만 한정되지 않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다양한 구현예들은 컴퓨터-사용가능 매체 혹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부터 액세스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물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바, 여기서 컴퓨터-사용가능 매체 혹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혹은 임의의 명령 실행 시스템과 결합되거나 혹은 이들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제공한다. 이에 관해 설명하면, 컴퓨터-사용가능 매체 혹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혹은 디바이스와 결합되거나 혹은 이들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포함, 저장, 전달, 전파 또는 운반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매체는 전자적, 자기적, 광학적, 전자기적, 적외선, 혹은 반도체 시스템(또는 장치 혹은 디바이스)이거나 전파 매체일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예들은, 반도체 혹은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solid state memory), 자기 테이프, 탈착가능 컴퓨터 디스켓,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판독-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강성 자기 디스크(rigid magnetic disk) 및 광학 디스크를 포함한다. 광학 디스크들의 현재 사례들은, 콤팩트 디스크 - 판독 전용 메모리(Compact Disk - Read Only Memory, CD-ROM), 콤팩트 디스크 - 판독/기입(Compact Disk - Read/Write, CD-R/W) 및 DVD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들의 발견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구현예들이 설명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구현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된 가르침이 무선 통신 표준을 참조하고 있지만, 이러한 가르침은 유선 통신 표준에 적용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앞서 설명된 방법들의 단계들은 서로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 또한 원하는 결과를 달성한다. 이에 따라, 다음의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많은 수정들이 행해질 수 있다.

Claims (12)

  1. 구성가능한 파라미터(configurable parameter)를 갖는 발견 프로토콜(discovery protocol)을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개시(initiate)하는 단계와, 여기서 상기 발견 프로토콜은 하나 이상의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의 발견과 관련되며;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미리정해진 범위(predetermined range) 내에 얼마나 많은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이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상기 미리정해진 범위 내에 얼마나 많은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이 있는지의 결정에 근거하여 상기 발견 프로토콜의 상기 구성가능한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상기 미리정해진 범위 내에 얼마나 많은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이 있는지의 결정에 근거하여 조정된 바와 같은 상기 발견 프로토콜의 상기 구성가능한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의 발견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상기 미리정해진 범위 내에 얼마나 많은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이 있는지의 결정에 근거하여 조정되는 상기 발견 프로토콜의 상기 구성가능한 파라미터는,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발견-관련 패킷들(discovery-related packets)을 전송하는 파워(power),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비컨(beacon)이 전송되는 간격(interval),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비컨이 전송될 백오프 시간(backoff time),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을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을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 혹은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비컨을 전혀 전송하지 않을 것인지의 여부
    중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상기 미리정해진 범위 내에 얼마나 많은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이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발견-관련 트래픽(discovery-related traffic)을 경청(listen)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상기 미리정해진 범위 내에 얼마나 많은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이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특정 무선 통신 표준들에 따라 통신하는 제 2 무선 디바이스들만을 얼마나 많은지 결정하는 것과,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특정 무선 통신 표준들에 따라 통신하지 않는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을 제외(exclude)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견 프로토콜은 무선 통신 표준에 의해 특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표준은 IEEE 802.11 표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infrared), GPRS, WiMAX, EDGE, 3G, 혹은 HSDPA 중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삭제
  7. 네트워크 발견 서비스를 포함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로서,
    상기 네트워크 발견 서비스는,
    구성가능한 파라미터를 갖는 발견 프로토콜을 개시하는 것과, 여기서 상기 발견 프로토콜은 하나 이상의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의 발견과 관련되며;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미리정해진 범위 내에 얼마나 많은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이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과;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상기 미리정해진 범위 내에 얼마나 많은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이 있는지의 결정에 근거하여 상기 발견 프로토콜의 상기 구성가능한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것과; 그리고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상기 미리정해진 범위 내에 얼마나 많은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이 있는지의 결정에 근거하여 조정된 바와 같은 상기 발견 프로토콜의 상기 구성가능한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의 발견을 완료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상기 미리정해진 범위 내에 얼마나 많은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이 있는지의 결정에 근거하여 조정되는 상기 발견 프로토콜의 상기 구성가능한 파라미터는,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발견-관련 패킷들을 전송하는 파워,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비컨이 전송되는 간격,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비컨이 전송될 백오프 시간,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프로브 요청을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프로브 응답을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 혹은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비컨을 전혀 전송하지 않을 것인지의 여부
    중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발견 서비스는,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발견-관련 트래픽을 경청함으로써,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상기 미리정해진 범위 내에 얼마나 많은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이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발견 서비스는,
    하나 이상의 특정 무선 통신 표준들에 따라 통신하는 제 2 무선 디바이스들만을 얼마나 많은지 결정하는 것과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특정 무선 통신 표준들에 따라 통신하지 않는 제 2 무선 디바이스들 제외시키는 것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상기 미리정해진 범위 내에 얼마나 많은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이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견 프로토콜은 무선 통신 표준에 의해 특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표준은 IEEE 802.11 표준, 블루투스, 적외선, GPRS, WiMAX, EDGE, 3G, 혹은 HSDPA 중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
  12. 삭제
KR1020137032550A 2011-06-08 2012-06-08 무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들의 발견 동안 발견 프로토콜의 구성가능한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8200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94613P 2011-06-08 2011-06-08
US61/494,613 2011-06-08
US13/492,137 2012-06-08
US13/492,137 US9456328B2 (en) 2011-06-08 2012-06-08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djusting a configurable parameter of a discovery protocol during discovery of devices in a wireless network
PCT/US2012/041605 WO2012170849A2 (en) 2011-06-08 2012-06-08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djusting a configurable parameter of a discovery protocol during discovery of devices in a wireless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451A KR20140038451A (ko) 2014-03-28
KR101820073B1 true KR101820073B1 (ko) 2018-01-18

Family

ID=47293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2550A KR101820073B1 (ko) 2011-06-08 2012-06-08 무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들의 발견 동안 발견 프로토콜의 구성가능한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456328B2 (ko)
EP (1) EP2719208B1 (ko)
JP (1) JP5999606B2 (ko)
KR (1) KR101820073B1 (ko)
CN (1) CN103621122B (ko)
WO (1) WO201217084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9435A1 (en) * 2012-08-23 2014-02-27 Nokia Siemens Networks Oy Massive discovery of devices
CN108337729B (zh) * 2013-04-09 2020-11-24 英特尔Ip公司 在周边感知联网(nan)中使用同步信标的系统、装置和方法
CN103260253A (zh) * 2013-04-17 2013-08-21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发送消息帧的方法及通信终端
US10257705B2 (en) * 2013-06-10 2019-04-09 Apple Inc. Configuring wireless accessory devices
US10693727B2 (en) * 2013-10-13 2020-06-23 ZPE Systems, Inc. Non-intrusive device discovery and configuration cloning
GB2520039B (en) * 2013-11-07 2016-06-29 Canon Kk Node Discovery in a communication network
CN106105322A (zh) * 2014-03-14 2016-11-09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Wifi有效网络转变
US10284386B2 (en) * 2014-08-28 2019-05-07 Maxlinea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high security mode in a network
JP6507556B2 (ja) 2014-10-16 2019-05-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6064408A1 (en) * 2014-10-23 2016-04-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device discovery
KR102340996B1 (ko) * 2015-04-23 2021-12-20 주식회사 위츠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
US10064097B2 (en) 2015-06-05 2018-08-28 Apple Inc. Interface shaping for virtual interfaces
KR102138448B1 (ko) * 2015-10-12 2020-07-27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셀룰러 시스템에서의 발견 신호 전송
WO2017086046A1 (ja) * 2015-11-16 2017-05-26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端末
US10098135B2 (en) 2016-02-22 2018-10-09 Intel IP Corporation Action frame for schedule update in a NAN
US10320902B2 (en) * 2016-08-31 2019-06-11 Apple Inc. Detecting asymmetric awareness in peer-to-peer protocol
US11395125B2 (en) 2019-08-29 2022-07-19 Itron, Inc. Power-efficient passive discovery by network devices
US11071049B2 (en) * 2019-08-29 2021-07-20 Itron, Inc. Power-efficient passive discovery by network devices
US11399272B2 (en) 2019-08-29 2022-07-26 Itron, Inc. Power-efficient passive discovery by network devices
CN110535727B (zh) * 2019-09-02 2021-06-18 杭州安恒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资产识别方法和装置
US11601873B2 (en) 2021-04-23 2023-03-07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load balancing on 6 GHz radios using out-of-band discovery in a mixed AP deployment
US11706699B2 (en) * 2021-04-23 2023-07-18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load balancing on 6 GHz radios using out-of-band discovery in a mixed AP deploy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8656A1 (en) 2008-06-27 2009-12-30 Qualcomm Incorporated Multi-rate peer discovery methods and apparatus
WO2010035157A1 (en) 2008-09-25 2010-04-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rectional discovery protocol with coordinated channel selec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8788A (ja) * 2002-01-22 2003-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セルサーチ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装置及び方法
JP4519535B2 (ja) * 2004-06-17 2010-08-04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データ通信装置、データ通信方法、データ通信プログラム、通信チャンネル選択装置および通信チャンネル選択プログラム
US7948953B2 (en) * 2005-12-19 2011-05-24 Aruba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ing the same service set identifier for different basic service sets
US8995829B2 (en) * 2007-06-05 2015-03-31 Cisco Technology, Inc. Optical link quality monitoring in a computer network
CN101918926B (zh) * 2007-10-24 2013-05-01 乔纳森·彼得·多伊奇 用于通过虚拟ip地址访问没有可访问地址的联网装置的各种方法和设备
JP5222081B2 (ja) * 2008-09-24 2013-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101085629B1 (ko) * 2009-03-16 2011-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에서 ⅰp 통신의 네트워크 설정 방법 및 장치
US8995356B2 (en) * 2009-10-14 2015-03-31 Qualcomm Incorporated Cod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broadcast channels
US8837353B2 (en) * 2009-10-16 2014-09-16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operation for operation between WPAN and WLAN for a network interface car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8656A1 (en) 2008-06-27 2009-12-30 Qualcomm Incorporated Multi-rate peer discovery methods and apparatus
WO2010035157A1 (en) 2008-09-25 2010-04-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rectional discovery protocol with coordinated channel sel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19208A2 (en) 2014-04-16
KR20140038451A (ko) 2014-03-28
US20120315853A1 (en) 2012-12-13
JP2014519774A (ja) 2014-08-14
CN103621122B (zh) 2018-08-10
WO2012170849A2 (en) 2012-12-13
EP2719208B1 (en) 2018-08-22
US9723475B2 (en) 2017-08-01
WO2012170849A8 (en) 2014-03-06
CN103621122A (zh) 2014-03-05
US9456328B2 (en) 2016-09-27
JP5999606B2 (ja) 2016-09-28
WO2012170849A3 (en) 2013-01-24
US20170006459A1 (en)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0073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들의 발견 동안 발견 프로토콜의 구성가능한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277210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st initial network link setup
EP277209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st initial network link setup
US9888350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hybrid wireless fine-timing measurement
US101939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st-discovery communication within a neighborhood-aware network
EP277211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st initial network link setup
CN109076574B (zh) 涉及针对站的唤醒时间段的无线通信
KR101886319B1 (ko) 이웃 영역 네트워크 검출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CN104380770B (zh) 用于d2d发现的方法和装置
EP277209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st initial network link setup
EP277209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st initial network link setup
Xu et al. Throughput analysis of vehicular internet access via roadside WiFi hotspot
KR101565229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계층화 채널 접근 방법 및 장치
KR20160064172A (ko)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d2d) 콘트롤 정보 릴레이
KR20150107782A (ko) 이웃 인식 네트워크들에서 프레임들을 포맷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EP277209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st initial network link setup
WO2013063598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st initial network link setup
KR101846177B1 (ko) 이웃 인식 네트워크들에 대한 독립적 기본 서비스 세트 기반 데이터 경로들에 대한 방법들 및 장치들
JP2015511075A (ja) フェムトアクセスポイントの検出のための帯域外スキャニング
EP3072354B1 (en) Relay capable wireless apparatuses
KR20160082524A (ko) 무선 네트워크의 무선 매체에 대한 그룹 액세스를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20140090001A (ko) 무선랜 네트워크에 기반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4048227A1 (zh) 扫描方法、控制扫描的方法、用户设备、基站和系统
EP2257108A1 (en) Process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establishing intermittent connections between a moving system and external access points
US20170188301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backward compatible power reduction FTM respon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