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955B1 -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955B1
KR101819955B1 KR1020170039255A KR20170039255A KR101819955B1 KR 101819955 B1 KR101819955 B1 KR 101819955B1 KR 1020170039255 A KR1020170039255 A KR 1020170039255A KR 20170039255 A KR20170039255 A KR 20170039255A KR 101819955 B1 KR101819955 B1 KR 101819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rilling
simulation
explo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남섭
김영주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39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9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4/00Automatic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rilling operations, i.e. self-operating systems which function to carry out or modify a drilling operation without intervention of a human operator, e.g. computer-controlled drilling system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nitoring a plurality of drilling variables or condi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추선의 특징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시추선의 특징에 따라 이를 시뮬레이션 하고 단말기와 통신하여 해당 정보를 단말기에도 전송할 수 있는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시뮬레이션 정보에 따라 시추장비의 시스템을 시뮬레이팅하는 시뮬레이터; 상기 시뮬레이터와 통신하는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뮬레이터는, 시뮬레이션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수동초크, 원격초크, 바이패스 라인, 초크인렛, 차단밸브, 표면분배기, 해저분배기, 드릴스트링밸브, 축압기 동작의 모델링을 제어하는 폭발부; 시추선 장비 중 오작동하는 장비를 인지하는 장비 작동불량부; 상기 폭발부 및 작동불량부로부터 각각 폭발정보 및 오작동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에 따라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뮬레이션화면 생성부; 상기 시뮬레이션화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시뮬레이션화면 생성부가 생성한 화면데이터를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시뮬레이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시뮬레이션 정보 중 입력된 시추 대상의 토질에 따라 시추 대상의 토질의 밀도를 계산하고 상기 폭발부 및 상기 작동불량부로부터 폭발정보 및 오작동 정보를 수신하여 각각 폭발상황 및 오작동상황에 대응하는 정보를 생성하고 시뮬레이션화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화면을 표시부로 하여금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송신되는 화면데이터의 송신을 제어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시뮬레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화면 생성부로 하여금 시뮬레이션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해양의 시추선에서의 상황에 대응하여 시추시의 정보들을 태블릿PC나 스마트폰과 같이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에 가시적으로 보여주고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방법 및 시스템{DRILLING CONTROL EDUC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RINE DRILLING}
본 발명은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추선의 특징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시추선의 특징에 따라 이를 시뮬레이션 하고 단말기와 통신하여 해당 정보를 단말기에도 전송할 수 있는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 세계적으로 개발된 해양구조물 대부분은 비교적 천해(수심 20m 내외의 낮은 수심)에 있는 항만구조물이 대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 이외에는 조력발전, 파력발전, 해상풍력발전과 같이 해양에너지를 이용해 발전하는 구조물이나 거가대교의 침매터널, 인천대교와 같은 장대교량 등도 최근 개발된 해양 구조물의 대표적인 예이다.
컴퓨터 기술의 비약적인 발달과 더불어 제어 및 계측 분야에도 HILS(Hardware In the Loop Simulation) 기술이 확산일로에 있다. 과거에는 복잡한 수학적인 모델링과 이에 대한 해석 또는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슈퍼컴퓨터를 활용하였으나, 현재에는 컴퓨터의 처리속도 향상으로 일반 컴퓨터로도 복잡한 시스템의 모델링과 해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HILS를 단순하게 표현한다면 시스템의 모델링 기법과 하드웨어를 결합한 실시간 시스템 시뮬레이션 해석기법이라 할 수 있다. 즉, 실제 제품이 없더라도 수학적인 모델링과 시스템의 특성을 실시간 컴퓨터(real time computer)로 구현하고, 시스템의 입력 및 출력 요소를 실제 센서와 구동장치로 구성하여 컴퓨터로 시스템의 성능을 모의 테스트 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러한 HILS기술을 적용할 경우, 시스템의 성능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parameter)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고, 각각의 파라미터에 대한 특성을 쉽게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최종적인 단계의 제품을 대상으로 하는 것에 비해 개발 단계에서 제품의 문제점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개발기간과 개발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도 있다.
이러한 HILS에는 시스템 평가, 수학적 모델링, 실시간 모델 해석, 실시간 제어, 인터페이싱 기술, 센서 기술, 액츄에이터 제어 및 시스템 통합기술 등이 필요하고, 자동차 산업 분야에는 널리 알려져 있는 기술이기도하다. 최근에는 항공, 철도, 군수용 무기 등에도 적용의 폭이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HILS를 사용하는 이유는 근본적으로 제품 개발에 필요한 시간과 경비를 절약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해양에서의 시추에 있어서는 제어 계통을 포함한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시운전시험동안 많은 오류가 발생하고, 이러한 오류를 수정하기 위해 많은 회사들은 엔지니어들을 정기적으로 파견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 되지만, HILS를 적용할 경우 시운전 단계 이전에도 제어시스템의 오류를 미리 발견할 수 있어 시운전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해양에서의 시추에 있어서는 시추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실제 해양에 설치하는 시추 구조물과 같은 플랜트를 시험하기 위해서는 준비과정에서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시험 중 운전과 안전 작업에도 경비가 필요하게 된다. HILS는 초기 설계 단계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만, 실장(implementation) 단계에서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장 단계에서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 많은 비용이 지출되므로 HILS를 적용할 경우 제품개발에 필요한 비용 또한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해양 환경에서의 시추는 보다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며 많은 변수가 작용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조심스런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이와 같은 시추의 상황들을 모두 고려하고 HILS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가시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시스템의 구성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31663호(발명의 명칭 : 시추 제어 시스템을 시험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양 시추선에서의 상황에 대응하여 시추시의 정보들을 태블릿PC나 스마트폰과 같이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에 가시적으로 보여주고 시뮬레이션할 수 있도록 하는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방법 및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공정에 대해서 (Training을 위한) 모니터링 해야 할 중요한 변수들, 제어(조작) 방법, 비상상황 발생 시 대응방법 등을 단말기를 통해 입력하면 이를 애니메이션으로 보여주거나 간접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한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방법 및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시스템은, 시뮬레이션 정보에 따라 시추장비의 시스템을 시뮬레이팅하는 시뮬레이터; 상기 시뮬레이터와 통신하는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뮬레이터는, 시뮬레이션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수동초크, 원격초크, 바이패스 라인, 초크인렛, 차단밸브, 표면분배기, 해저분배기, 드릴스트링밸브, 축압기 동작의 모델링을 제어하는 폭발부; 시추선 장비 중 오작동하는 장비를 인지하는 장비 작동불량부; 상기 폭발부 및 작동불량부로부터 각각 폭발정보 및 오작동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에 따라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뮬레이션화면 생성부; 상기 시뮬레이션화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시뮬레이션화면 생성부가 생성한 화면데이터를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시뮬레이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시뮬레이션 정보 중 입력된 시추 대상의 토질에 따라 시추 대상의 토질의 밀도를 계산하고 상기 폭발부 및 상기 작동불량부로부터 폭발정보 및 오작동 정보를 수신하여 각각 폭발상황 및 오작동상황에 대응하는 정보를 생성하고 시뮬레이션화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화면을 표시부로 하여금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송신되는 화면데이터의 송신을 제어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시뮬레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화면 생성부로 하여금 시뮬레이션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뮬레이션 정보는, 시추선의 규모, 시추선의 크기, 시추선의 높이, 시추선에 설치된 실린더의 직경, 시추 대상의 토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시뮬레이션 정보를 입력받는 단말입력부; 상기 시뮬레이션 정보를 상기 서버통신부로 송신하고 상기 화면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통신부; 및 상기 단말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단말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방법은, 시뮬레이션 정보에 따라 시추장비의 시스템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수동초크, 원격초크, 바이패스 라인, 초크인렛, 차단밸브, 표면분배기, 해저분배기, 드릴스트링밸브, 축압기 동작의 모델링을 제어하는 시뮬레이터; 및 상기 시뮬레이터와 통신하며 시뮬레이션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시뮬레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시추시스템의 동작을 모델링하는 단계; 상기 모델링 결과 폭발상황이 발생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폭발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폭발상황에 대처하고 수습하기 위한 조작키를 단말기의 터치패널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폭발상황을 시뮬레이션한 상황에 대응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키의 조작이 바르게 입력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상기 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조작키의 입력이 바르게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폭발상황이 수습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단말기의 표시창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방법은, 시뮬레이션 정보에 따라 시추장비의 시스템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시추선 장비 중 오작동하는 장비를 인지하는 시뮬레이터; 및 상기 시뮬레이터와 통신하며 시뮬레이션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시뮬레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화면데이터에 포함된 오작동 정보에 따라 시추선 중 시스템의 오작동하는 장비가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시추시스템 중 오작동하는 장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오작동 한 장비를 인지하는 단계; 상기 시추시스템 중 오작동하는 장비에 대하여 수리하기 위한 조작키를 상기 단말기의 터치패널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수리하는 상황을 시뮬레이션하는 상황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조작키를 바르게 입력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조작키의 입력이 바르게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수리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방법 및 시스템 및 방법은 해양의 시추선에서의 상황에 대응하여 시추시의 정보들을 태블릿PC나 스마트폰과 같이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에 가시적으로 보여주고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방법 및 시스템 및 방법은 각 공정에 대해서 (Training을 위한) 모니터링 해야 할 중요한 변수들, 제어 방법, 비상상황 발생 시 대응방법 등을 단말기를 통해 입력하면 이를 시뮬레이션으로 보여주거나 간접적으로 조작하도록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개별적으로 교육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방법 및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시뮬레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방법 및 시스템에서 폭발상황을 단말기로 제공하고 이를 사용자가 대처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방법 및 시스템에서 오작동상황을 단말기로 제공하고 이를 사용자가 대처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방법 및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시뮬레이터(100)와 단말기(200)로 구성된다.
먼저, 시뮬레이터(100)는 시뮬레이션 정보에 따라 시추선에 구부된 시추시스템을 시뮬레이션한다.
단말기(200)는 시뮬레이터(200)와 통신하며 시뮬레이션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시뮬레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를 수신한다. 시뮬레이션 정보는 시추선의 규모, 시추선의 크기, 시추선의 높이, 시추기에 설치된 실린더의 직경, 시추 대상의 토질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시뮬레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시뮬레이터(100)는 입력부(110), 폭발부(120), 작동불량부(130), 시뮬레이션화면 생성부(140), 표시부(150), 통신부(160) 및 제어부(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110)를 통해 시뮬레이터(100)의 운용자는 시뮬레이션 정보를 입력한다. 시뮬레이션 정보는 시추선의 규모, 시추선의 크기, 시추선의 높이, 시추기에 설치된 실린더의 직경, 시추 대상의 토질일 수 있다.
폭발부(120)는 수동초크, 원격초크, 바이패스 라인, 초크인렛, 차단밸브, 표면분배기, 해저분배기, 드릴스트링밸브, 축압기 동작의 모델링을 폭발의 임계 상태에 도달하였는 지의 여부를 인지한다.
작동불량부(130)는 시추선의 시추시스템에 있어서 오작동이 발생하거나 고장난 장비가 있는 지의 여부를 인지한다.
시뮬레이션화면 생성부(140)는 또한, 제어부(170)를 통해 폭발방지부(120) 및 작동불량부(130)로부터 수신한 폭발정보 및 오작동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에 따라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시뮬레이션화면 생성부(140)는 제어부(170)가 계산한 정보에 따라 시뮬레이션 화면을 출력한다.
표시부(150)는 시뮬레이션화면 생성부(140)로부터 생성된 화면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예컨대, 폭발부(120)가 폭발의 임계 상태에 도달한 경우 해당 임계 상황에 대응하는 폭발상황을 표시하고, 대응하여 운용자가 해당 폭발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조작화면도 함께 제공한다. 해당 조작화면에 따라 폭발상황에 대처하는 조작화면을 처리하면 이에 대응하는 성공 또는 실패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한다.
통신부(160)는 시뮬레이션화면 생성부(140)가 생성한 화면데이터를 단말기(200)로 송신하고 단말기(200)로부터 시뮬레이션 정보를 입력받는다. 시뮬레이션 정보는 시추선의 규모, 시추선의 크기, 시추선의 높이, 시추기에 설치된 실린더의 직경, 시추 대상의 토질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해당 시추 대상의 토질에 따라 시추 대상의 토질의 밀도를 계산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시추중의 웰 상태, 웰의 체적, 웰의 드릴러, 대기시간 및 시추선의 하중, 로우초크 및 불해딩(bullheading)을 인지하여 이를 계산한다. 폭발부(120) 및 작동불량부(130)로부터 폭발정보 및 오작동 정보를 수신하여 각각 폭발상황 및 오작동상황에 대응하는 정보를 생성하고 시뮬레이션화면 생성부(140)에 의해 생성된 화면을 표시부(150)에 표시하는 것을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통신부(160)를 통해 송신되는 화면데이터의 송신을 제어하고 수신되는 시뮬레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화면 생성부(140)로 하여금 시뮬레이션 정보를 생성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200)는 단말입력부(210), 단말통신부(220), 단말표시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말입력부(210)는 시뮬레이션 정보를 입력받는다. 단말입력부(210)는 시추선의 규모, 시추선의 크기, 시추선의 높이, 시추선에 설치된 실린더의 직경, 시추 대상의 토질 등일 수 있다.
단말통신부(220)는 화면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단말통신부(220)는 단말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시추선의 규모, 시추선의 크기, 시추선의 높이, 시추선에 설치된 실린더의 직경, 시추 대상의 토질을 상기 서버통신부로 송신한다.
단말표시부(230)는 단말통신부(220)를 통해 수신한 화면데이터를 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방법 및 시스템에서 폭발상황을 단말기로 제공하고 이를 사용자가 대처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뮬레이터(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추선의 시추시스템에 포함된 수동초크, 원격초크, 바이패스 라인, 초크인렛, 차단밸브, 표면분배기, 해저분배기, 드릴스트링밸브, 축압기 동작의 모델링을 제어한다.
단말기(200)는 시뮬레이터(100)와 통신하며 시뮬레이션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시뮬레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를 수신한다.
먼저, S202단계에서 단말기(200)는 화면데이터에 포함된 시추선의 시추시스템의 동작을 모델링한다. 시추선의 시추시스템은 수동초크, 원격초크, 바이패스 라인, 초크인렛, 차단밸브, 표면분배기, 해저분배기, 드릴스트링밸브, 축압기 등일 수 있다.
S204단계에서 시추선의 시추시스템의 동작을 모델링하여 폭발 임계치에 도달하여 폭발상황이 발생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204단계에서의 판단결과 폭발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폭발상황에 대처하고 수습하기 위한 조작키를 단말기(200)의 터치패널에 표시한다(S206단계). 한편 바람직하게 단말기(200)는 터치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단말기(200)의 표시창을 통해 조작키를 표시하고 이를 사용자가 터치함에 의해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만약, 터치 조작이 불가능한 단말기(200)인 경우에는 입력키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S208단계에서 단말기(200)는 폭발상황을 시뮬레이션한 상황에 대응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키의 조작이 바르게 입력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원격초크에서 과부하로 인하여 폭발과 함께 화재가 발생한 경우, 원격초크의 전원을 차단하고 화제를 제압하도록 조작키를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화제의 제압은 물과 소화기 중 선택하도록 하고 소화기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바르게 입력되는 것으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S208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조작키의 입력이 바르게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폭발상황이 수습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단말기(200)의 표시창을 통해 표시한다(S210단계). 또는 처리되지 못한 경우에는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고(S212단계), S206단계로 리턴한다.
전술한 단계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이를 단말기(200)에 시뮬레이션으로 보여주고 이를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이에 대응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을 나타낸 방법이다. 그러나, 폭발상황 이외에 다른 오류나 고장 등의 상황에 의해 시추선의 동작이 멈출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방법 및 시스템에서 오작동상황을 단말기로 제공하고 이를 사용자가 대처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시뮬레이터(100)는 시뮬레이션 정보에 따라 시추선의 시추시스템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시추선의 시추시스템의 중 오작동하는 장비를 인지할 수 있다.
시추선의 시추시스템의 장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동초크, 원격초크, 바이패스 라인, 초크인렛, 차단밸브, 표면분배기, 해저분배기, 드릴스트링밸브, 축압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시뮬레이터(100)와 통신하며 시뮬레이션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시뮬레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를 수신한다.
먼저, S302단계에서 단말기(200)는 화면데이터에 포함된 오작동 정보에 따라 시추시스템 중 오작동하는 장비가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304단계에서 단말기(200)는 시추시스템 중 오작동하는 장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오작동 한 장비를 인지한다.
S306단계에서 단말기(200)는 시추시스템 중 오작동하는 장비의 오작동 정보와 함께 이를 수리하기 위한 조작키를 단말기(200)의 터치패널에 표시한다.
S308단계에서 단말기(200)는 수리하는 상황을 시뮬레이션하는 상황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조작키를 바르게 입력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308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조작키의 입력이 바르게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수리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단말기(200)의 표시창에 표시한다(S310단계). 또는 처리되지 못한 경우에는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고(S312단계), S306단계로 리턴한다.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식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시뮬레이터 110 : 입력부
120 : 폭발부 130 : 작동불량부
140 : 시뮬레이션화면 생성부 150 : 표시부
160 : 통신부 170 : 제어부
200 : 단말기 210 : 단말입력부
220 : 단말통신부 230 : 단말표시부

Claims (5)

  1. 시추선의 규모, 시추선의 크기, 시추선의 높이, 시추선에 설치된 실린더의 직경, 시추 대상의 토질을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정보에 따라 시추장비의 시스템을 시뮬레이팅하는 시뮬레이터; 및
    상기 시뮬레이터와 통신하는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뮬레이터는,
    상기 시뮬레이션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수동초크, 원격초크, 바이패스 라인, 초크인렛, 차단밸브, 표면분배기, 해저분배기, 드릴스트링밸브, 축압기 동작의 모델링을 제어하는 폭발부;
    시추선 장비 중 오작동하는 장비를 인지하는 장비 작동불량부;
    상기 폭발부 및 상기 작동불량부로부터 각각 폭발정보 및 오작동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에 따라 시뮬레이션 데이터 및 화면데이터를 생성하는 시뮬레이션화면 생성부;
    상기 시뮬레이션화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시뮬레이션 데이터 및 상기 화면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시뮬레이션화면 생성부가 생성한 상기 시뮬레이션 데이터 및 상기 화면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상기 시뮬레이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시뮬레이션 정보 중 시추 대상의 토질에 따라 시추 대상의 토질의 밀도를 계산하고, 상기 폭발부 및 상기 작동불량부로부터 폭발정보 및 오작동 정보를 수신하여 각각의 폭발상황 및 오작동상황에 대응하는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시뮬레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뮬레이션 데이터 및 상기 화면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상기 시뮬레이션화면 생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시뮬레이션화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시뮬레이션 데이터 및 상기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로 송신되는 상기 시뮬레이션 데이터 및 상기 화면데이터의 송신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시뮬레이션 정보를 입력받는 단말입력부;
    상기 시뮬레이션 정보를 상기 통신부로 송신하고 상기 시뮬레이션 데이터 및 상기 화면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통신부; 및
    상기 단말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시뮬레이션 데이터 및 상기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단말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폭발상황에 대처하고 수습하기 위한 조작키를 상기 단말기의 단말표시부에 표시하고, 폭발상황을 시뮬레이션한 상황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조작키를 바르게 입력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조작키의 입력이 바르게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폭발상황이 수습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를 통해 표시하고,
    또한,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오작동하는 장비를 수리하기 위한 조작키를 상기 단말기의 단말표시부에 표시하고, 수리상황을 시뮬레이션한 상황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조작키를 바르게 입력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조작키의 입력이 바르게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수리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를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해양의 시추선에서의 다양한 상황에 대응하여 시추시의 정보들을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동시에, 시추시의 각 공정에 대한 제어나 비상상황 발생시의 대응방법을 시뮬레이션으로 보여주거나 간접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폭발상황 및 오작동 발생을 포함하는 각각의 비상상황에 따른 개별적인 교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항에 기재된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시스템을 이용한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시스템의 단말기를 통하여 시추시스템의 동작을 모델링하는 단계;
    상기 모델링하는 단계에서의 모델링 결과 폭발상황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폭발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폭발상황에 대처하고 수습하기 위한 조작키를 상기 단말기의 터치패널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폭발상황을 시뮬레이션한 상황에 대응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키의 조작이 바르게 입력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상기 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조작키의 입력이 바르게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폭발상황이 수습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방법.
  5. 청구항 1항에 기재된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시스템을 이용한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시스템의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화면데이터에 포함된 오작동 정보에 따라 시추선의 시추시스템 중 오작동하는 장비가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시추시스템 중 오작동하는 장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오작동 한 장비를 인지하는 단계;
    상기 시추시스템 중 오작동하는 장비에 대하여 수리하기 위한 조작키를 상기 단말기의 터치패널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수리하는 상황을 시뮬레이션하는 상황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조작키를 바르게 입력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상기 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조작키의 입력이 바르게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수리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방법.
KR1020170039255A 2017-03-28 2017-03-28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방법 및 시스템 KR101819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255A KR101819955B1 (ko) 2017-03-28 2017-03-28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255A KR101819955B1 (ko) 2017-03-28 2017-03-28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9955B1 true KR101819955B1 (ko) 2018-01-19

Family

ID=61025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255A KR101819955B1 (ko) 2017-03-28 2017-03-28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9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64032A (zh) * 2021-12-24 2022-05-10 中国海洋石油集团有限公司 一种桌面式深水关井井控多岗位协同演练系统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157B1 (ko) * 2012-05-08 2014-01-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 시뮬레이터 및 그의 영상 표시 방법
KR101350805B1 (ko) * 2012-05-08 2014-01-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 시뮬레이터 및 그의 시뮬레이션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157B1 (ko) * 2012-05-08 2014-01-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 시뮬레이터 및 그의 영상 표시 방법
KR101350805B1 (ko) * 2012-05-08 2014-01-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 시뮬레이터 및 그의 시뮬레이션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64032A (zh) * 2021-12-24 2022-05-10 中国海洋石油集团有限公司 一种桌面式深水关井井控多岗位协同演练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603B1 (ko) 데이타 수집부를 갖는 선박의 동적 위치설정 제어시스템에 대한 검증시스템
AU2006309414A1 (en) Method and system for testing a control system for a marine petroleum process plant
US11237855B2 (en) Engineering system and engineering method that use cloud environment
EP3703075A1 (en) Method for verifying measurement control system of nuclear power plant, and verification device therefor
WO2015026743A1 (en) System for integrated marine and process simulation
KR101819955B1 (ko) 해양 시추용 시추제어 교육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29587A (ko) 선박 검증용 통합 시뮬레이션 장치
Tofte et al. How digital technology and standardisation can improve offshore operations
US10295996B2 (en) Test device for monitoring control device
NO335328B1 (no) Et testsystem og en fremgangsmåte for å teste samspillet mellom to eller flere kontrollsystemprogramvarer på en marin installasjon eller et fartøy
Chan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enario-based drilling simulator for training and evaluating human factors
KR20210003462A (ko) 해상구조물의 동적 시뮬레이터에 의한 설비 및 장비운전의 예측 및 제어가능한 지능형 자동화시스템
Burrafato et al. Virtual reality in D & C: New approaches towards well digital twins
Aarseth et al. A Hardware-In-The-Loop Simulator For Offshore Machinery Control System Testing.
KR20100073354A (ko) 동역학 기반의 조선 및 해양 생산 공법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1723678B1 (ko) 물리기반해석과 가상현실 및 하드웨어분석 통합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Smogeli et al. Third party HIL testing of safety critical control system software on ships and rigs
Islam et al. DP in ice environment–improving safety and efficiency of arctic operations: an update
Sotomayor-Moriano et al. Teaching model-based fault detection and isolation using a virtual laboratory environment
Segura et al. Towards the education 4.0: integration of the concepts of Industry 4.0 within the degrees of naval architect and marine engineering
Patel et al. Unmanned/Minimally Manned Floating Deepwater Installations: Design and Safety Considerations
KR101792716B1 (ko) 아날로그신호 시뮬레이터를 갖는 선박의 동적 위치설정 제어시스템에 대한 검증시스템 및 방법
Popadko et al. Simulation Stand for Testing of Oil and Gas Industry Objects Control Algorithm
Zhao et al. Hardware-in-the-Loop Simulation for a Heave Compensator of an Offshore Support Vessel
KR20200075407A (ko) 원자력발전소 사이버 취약성 시험을 위한 가상 물리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